KR200400502Y1 - Air diffuser - Google Patents

Air diffu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2Y1
KR200400502Y1 KR20-2005-0024320U KR20050024320U KR200400502Y1 KR 200400502 Y1 KR200400502 Y1 KR 200400502Y1 KR 20050024320 U KR20050024320 U KR 20050024320U KR 200400502 Y1 KR200400502 Y1 KR 200400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disks
diffuser
exhaus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32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기현
임재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화
주식회사 한수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화, 주식회사 한수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화
Priority to KR20-2005-00243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0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2Y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4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 C02F3/16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the aerator having a vertical axis
    • C02F3/165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the aerator having a vertical axis using vertical aeration chann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츰 직경이 작아지고 각각 배기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돔(dome)형 디스크를 적층하여 산기부를 구성하되, 각 디스크의 배기슬릿에서 기포가 배출되는 지점이 서로 달라 기포가 합체되어 크기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용존산소를 높이면서도, 슬러지의 퇴적으로 배기슬릿이 폐쇄되는 문제가 없는 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ome-shaped disks each having a smaller diameter gradually forming exhaust slits to form an acid base, but the air bubbles are discharged from the exhaust slits of each disk so that the bubbles are coalesc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dispersing device that prevents the size from increasing and increases dissolved oxygen, but does not cause the exhaust slits to be closed by sludge deposition.

본 고안에 따른 산기장치는 기포발생수단; 상기 기포발생수단과의 연결을 위하여 배관이 결합되는 끼움공과 내부 공간을 갖는 수용체; 상기 수용체 상부 테두리 안치부에 밀착 수용되는 제1디스크와, 상기 제1디스크 상부로 차례로 적층되고 직경이 차츰 작아지는 N개의 디스크들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디스크는 서로 상응하는 곡률을 갖는 돔(dome) 형상으로 결합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디스크는 상기 결합중공 주변에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입부의 외측 플랜지에 방사상 형태로 미세한 배기슬릿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산기부; 및 상기 산기부의 각 디스크의 결합중공을 통하여 체결하고, 제1디스크를 상기 수용체에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iffus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ubble generation means; A container having a fitting hole and an inner space to which a pipe is coupled for connection with the bubble generating means; The first disk is tightly accommodated in the upper edge of the receiver and N disks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op of the first disk and gradually smaller in diameter, each of which is a dome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shape of each of the disks, and each of the disks has an indentation portion formed around the coupling hole, and a plurality of minute exhaust slits are formed in a radial shape on the outer flange of the recess portion; And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rough the coupling hollows of the respective disks of the diffuser, and fixing the first disk to the container.

Description

산기장치{AIR DIFFUSER}Air diffuser {AIR DIFFUSER}

본 고안은 각종 오폐수 처리시설이나 양어장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ffuser device that can be used in various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or fish farms,

특히 차츰 직경이 작아지고 각각 배기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돔(dome)형 디스크를 적층하여 산기부를 구성하되, 각 디스크의 배기슬릿에서 기포가 배출되는 지점이 서로 달라 기포가 합체되어 크기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용존산소를 높이면서도, 슬러지의 퇴적으로 배기슬릿이 폐쇄되는 문제가 없는 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Particularly, the dome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dome-shaped disks each having a smaller diameter and an exhaust slit, but the air bubbles are discharged from the exhaust slit of each disk, so that the bubbles are coalesc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diffuser that does not have a problem of preventing exhaust slit from being closed due to sludge deposition while increasing dissolved oxygen.

산기장치는 오폐수 처리시설, 특히 생물학적 처리방법 중 호기성 반응조(포기조)에서 미생물의 활성화를 위하여 필수적이다.The diffuser is essential for the activation of microorganisms in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especially in aerobic reactors (aeration tanks) of biological treatment methods.

호기성 반응조에서의 정화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기질(Substrate)농도, pH, 온도, 용존산소(DO, Dissolved Oxygen) 등인데, Factors affecting the purification efficiency in an aerobic reactor include substrate concentration, pH, temperature, and dissolved oxygen (DO).

이중 기질농도나 온도 및 pH 등의 인자는 폐수 자체의 고유의 성질에 기인한 것이고, 인위적인 조작에 의하여 변화 여지가 있는 인자는 용존산소농도라 할 수 있어,The factors such as substrate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pH are due to the inherent properties of the wastewater itself, and the factors that can be changed by artificial manipulation can be called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단순화시켜서 볼 때 효율적인 산소공급이 정화효율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어지는 것이다.Simplified, efficient oxygen supply become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purification efficiency.

오폐수 처리시설에서 산기장치는 포기조 내에 설치되어 적절한 용존산소(DO)를 유지하는데, 기체인 산소는 액체인 폐수 내에서 주로 분산된 상태로 존재하므로 기포의 크기를 가능한 줄여 기포와 액체와의 총 접촉면적을 늘이고 체류시간은 가능한 늘여야 용존산소가 증가하게 된다. In a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an acid generator is installed in the aeration tank to maintain proper dissolved oxygen (DO). The oxygen, which is a gas, is mainly dispersed in the wastewater, which is a liquid, so as to reduce the size of the bubble as much as possible, the total contact between the bubble and the liquid. Increasing the area and residence time as much as possible increases the dissolved oxygen.

반대로 기포의 크기가 크고 체류시간이 짧다면 용존산소효율(SOTE, Standard Oxygen Transfer Efficiency)은 악화된다. On the contrary, if the bubble size is large and the residence time is short, the dissolved oxygen efficiency (SOTE, Standard Oxygen Transfer Efficiency) deteriorates.

용존산소의 증가를 위하여 기포와 물의 접촉시간을 길이는 방법으로 포기조의 수심을 깊게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수심이 깊을수록 수압이 증가하므로 기포발생수단인 송풍기의 전력 소요량이 많아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산소흡수효율의 증가효과를 전력소모량이 상쇄해 버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포기조의 수심은 약 3~8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dissolved oxygen, the depth of the aeration tank can be considered as a method of lengthening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bubble and the water, but in this case, the deeper the depth, the higher the water pressure, so the power requirement of the blower, which is a bubble generating means, increases. This happens. Therefore, it is known that the aeration tank has a depth of about 3 to 8 m because the power consumption cancel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oxygen absorption efficiency.

종래 산기장치는 송풍기에 의해 압송된 외부 공기(또는 산소)를 미세화하여 수많은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크게 파이프 형태, 볼을 이용한 형태, 디스크 형태로 분류할 수 있는데,Conventional diffuser device is to generate a large number of bubbles by miniaturizing the outside air (or oxygen) that is conveyed by the blower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a pipe shape, a ball shape, a disk shape,

먼저 파이프 형태는 기포발생수단과 연결되고 파이프 외주면에 미세기공이 형성되어 있어, 기공을 통하여 기포가 방출되는데, 방출되는 기포가 상호 충돌하여 합체되어 커지는 문제점과 시간 경과에 따라 슬러지의 퇴적으로 인하여 기공이 막히게 되는 단점이 있다. First, the pipe form is connected to the bubble generating means, and micropore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so that bubbles are released through the pores. There is a drawback to this blockage.

또 볼을 이용한 형태는 기포발생수단과 연결된 용기 내에 세라믹 또는 합성수지 볼을 투입한 것으로, 기포와 볼의 충돌에 의하여 기포가 부서지면서 작아지도록 한 것으로 기포크기의 일정함을 유지할 수 없고 다른 장치에 비하여 기포의 상대적인 크기가 크고 슬러지의 퇴적에 따른 문제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form using the ball is a ceramic or synthetic resin ball is put into the container connected to the bubble generating means, and the bubble is broken by the collision of the bubble and the ball to be smaller as it is not able to maintain the uniformity of the bubble size and compared with other devices The relative size of the bubbles is large and has problems due to the deposition of sludge.

나아가 디스크 형태의 산기장치는 디스크에 형성된 미세 기공을 이용하는 것으로, 역시 슬러지에 의한 기공 폐쇄의 문제점을 갖는다.Furthermore, the disc type diffuser uses fine pores formed in the disc, which also has a problem of pore closure by sludge.

이러한 세 종류의 전통적인 산기장치를 개량하여 용존산소를 높이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 왔는데, 그 예로는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dissolved oxygen by improving these three types of traditional diffusers.

포기조의 상부에서 산소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기포 체류시간을 늘이고, 수류에 의하여 기포와 물의 접촉기회를 높이도록 한 특허등록 제0187831호(1999.01.07) 『폐수의 호기성 생물처리에 있어서의 산기장치』와,Patent registration No. 0187831 (1999.01.07), `` Aspirator for Aerobic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water, '' to increase bubble residence time by allowing oxygen to be supplied at the top of the aeration tank, and to increase the contact opportunities of bubbles and water by water flow. Wow,

음향공진을 이용하여 산소의 용해도를 높이기 위한 특허등록 제0206746호(1999.04.09) 『음향공진을 이용한 산기장치 등이 있다.Registered Patent No.0206746 (1999.04.09) for improving the solubility of oxygen using acoustic resonance.

본 고안은 산기장치를 개량하여 용존산소를 높이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improve the dissolved oxygen device to increase the dissolved oxygen.

이에 본 고안은 차츰 직경이 작아지고 각각 배기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돔(dome)형 디스크를 적층하여 산기부를 구성하고, 각 디스크의 배기슬릿에서 기포가 배출되는 지점이 서로 다름으로 인하여 기포의 충돌로 합체되어 크기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용존산소를 높이면서도, 상부의 디스크는 하부 디스크의 배기슬릿을 폐쇄하지 않으면서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져 지붕역할을 하여 슬러지의 퇴적으로 배기슬릿이 막히는 문제가 없는 산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diffuser by stacking a plurality of dome-type disks each having a smaller diameter and having exhaust slits formed thereon, and bubbles due to different points at which air bubbles are discharged from the exhaust slits of each disk. The upper disk has a size that can cover the exhaust disk of the lower disk without closing the exhaust slit of the lower disk while preventing the increase in size due to coalescing due to the collision of the exhaust gas, and the exhaust slit is blocked by the sludge depos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less apparatus.

또 본 고안은 적층된 디스크와 제1디스크가 결합되는 수용체를 체결할 수 있는 특정 체결수단을 통하여 조립성을 높인 산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dispersing device having improved assembly property through a specific fastening means capable of fastening a container to which a stacked disk and a first disk are coupl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산기장치는 기포발생수단; 상기 기포발생수단과의 연결을 위하여 배관이 결합되는 끼움공과 내부 공간을 갖는 수용체; 상기 수용체 상부 테두리 안치부에 밀착 수용되는 제1디스크와, 상기 제1디스크 상부로 차례로 적층되고 직경이 차츰 작아지는 N개의 디스크들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디스크는 서로 상응하는 곡률을 갖는 돔(dome) 형상으로 결합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디스크는 상기 결합중공 주변에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입부의 외측 플랜지에 방사상 형태로 미세한 배기슬릿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제(n-2)디스크는 제(n-1)디스크의 배기슬릿을 폐쇄하지 않으면서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산기부; 및 상기 산기부의 각 디스크의 결합중공을 통하여 체결하고, 제1디스크를 상기 수용체에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air diffus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bubble generation means; A container having a fitting hole and an inner space to which a pipe is coupled for connection with the bubble generating means; The first disk is tightly accommodated in the upper edge of the receiver and N disks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op of the first disk and gradually smaller in diameter, each of which is a dome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N-2) discs are formed in each of the discs, and each of the discs has recesses formed around the coupling holes, and a plurality of fine exhaust slits are formed in a radial shape on the outer flange of the recesses. The (n-1) is an diffuser having a size that can be covered without closing the exhaust slit of the disk; And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rough the coupling hollows of the respective disks of the diffuser, and fixing the first disk to the contain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산기장치의 설명에서 산기부의 디스크와 관련하여 대문자 ‘N'은 가장 작고 최상부에 위치하는 최종 디스크를 지칭하는 것이며, 소문자 ‘n’은 임의의 디스크를 지칭하는 것이다.In the description of the dif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the disc of the diffuser, the uppercase letter 'N' refers to the smallest and topmost disc, and the lowercase letter 'n' refers to any disk.

먼저 도 1에서, 본 고안에 따른 산기장치(D)의 수용체(20)는 외부에 위치하는 기포발생수단(40)(예: 송풍기)과 배관(41)을 통하여 연결 결합되는 끼움공(23)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 공간(21)을 가져 용기 형태를 이루고 있다. First, in Figure 1, the receiver 20 of the diffuser device 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tting hole 23 is coupled through the bubble generating means 40 (for example, blower) and the pipe 41 is located outside This is formed and has the internal space 21, and forms the container form.

상기 배관(41)과 상기 수용체(20)의 연결을 위하여 하부 중앙에 형성된 상기 끼움공(23) 부위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특히 나사부재(2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배관(41) 단부에는 암나사부(41a)가 형성되어 있으며, 기밀성 향상을 위하여 오링(43)이 개재되어 있다.In particular, a screw member 25 is provided at the fitting hole 23 formed at the lower center for connecting the pipe 41 and the receiver 20 to be screwed thereon, and the pipe 41 The female thread part 41a is formed in the edge part, and the O-ring 43 is interposed in order to improve airtightness.

상기 나사부재(25)는 외주면과 내주면에 각각 나선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용체(20) 하부판(20a)의 내면과 외면에서 각각 너트(25a)(25b)와 결합되어 고정되고, 각 너트와 상기 하부판(20) 사이에는 패킹링(25c)(25d)이 개재되어 있어 기밀성 향상에 기여하도록 되어 있다.The screw member 25 has spiral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respectively, and is fixed to the nuts 25a and 25b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a of the receiver 20, respectively. The packing rings 25c and 25d are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plates 20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airtightness.

상기 나사부재(25)의 내주면 나선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체결부재인 볼트(30)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piral of the screw member 25 is for coupling with the bolt 30 which is a fastening member described below.

이러한 나사부재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Such a screw member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s necessary.

도 1에서, 본 고안의 핵심을 이루는 산기부(10)의 디스크들 중 최초 제1디스크(10C)는 상기 수용체(20)의 상부 테두리 안치부(27)에 위치하며, 제1디스크(10B)와 상기 수용체(20) 사이의 기밀성 향상을 위하여 패킹링(27a)이 개재되어 있다.In FIG. 1, the first first disk 10C of the discs of the diffuser 10 that forms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upper edge settled portion 27 of the container 20, and the first disk 10B. And a packing ring 27a is interposed to improve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20.

상부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고 디스크들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산기부(10)에서, 제1디스크(10B)로부터 가장 상부의 최종 제N디스크(10C)까지 모든 디스크는 서로 상응하는 곡률을 갖는 돔(dome) 형상으로 결합중공(10a)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diffuser portion 10 in which the size decreases toward the top and the disks are stacked, all the disks from the first disk 10B to the uppermost final N disk 10C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engagement hollow 10a is formed in the shape of ().

제n번째 디스크(10A)를 도시된 도 1에서, 상기 결합중공(10a) 주변에는 요입부(1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요입부는 디스크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부에 위치한 디스크와의 사이에 기포가 머무를 수 있는 체임버 역할을 하게 된다.In FIG. 1 showing the nth disk 10A, a concave inlet 11 is formed around the coupling hollow 10a, and the concave inlet is bubbled between the disk and the disk located above. Will act as a chamber to stay.

또 상기 요입부(11)의 외측 플랜지에는 방사상 형태로 미세한 배기슬릿(13)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배기슬릿은 디스크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부에 위치한 디스크와의 사이에 상기 기포발생수단(40)으로부터 공급되는 기체가 미세한 기포를 형성하여 수중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ne exhaust slits 13 are formed in a radial shape on the outer flange of the concave portion 11, wherein the exhaust slits are bubble generating means 40 between the disks located above the disks in a stacked state. The gas supplied from) serves as a discharge passage to form a fine bubble to be discharged into the water.

상기 배기슬릿(13)이 배출통로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n-2)디스크는 제(n-1)디스크의 배기슬릿을 폐쇄하지 않아야하고, 그러면서도 슬리지의 퇴적으로 배기슬릿(13)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기슬릿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져야 한다.In order for the exhaust slit 13 to function as an exhaust passage, the (n-2) disc should not close the exhaust slit of the (n-1) disc, while the exhaust slit 13 is blocked by the deposition of the slit. It should be sized to cover the entire exhaust slit in order to prevent it.

상기 제1디스크(10B)의 중공 둘레에는 안치홈의 영역 내에서 네 유입공(17)이 형성되어 있어 보다 원활한 기체 유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데, 다른 디스크에도 동일한 또는 변형된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Four inlet holes 17 are formed in the hollow circumference of the first disc 10B to allow more smooth gas inflow, and a plurality of inlet holes that are identical or deformed may be formed in other discs. Can be.

상기 산기부(10)의 제1디스크(10B)와 상기 수용체(20)가 결합된 상태의 고정은 접착제나 별도의 브라켓 등으로도 구현 가능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각 디스크의 적층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인 볼트(30)에 의하여 한번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립성 향상을 도모하였다.Fix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first disk (10B) and the receptor 20 of the diffuser 10 can be implemented by an adhesive or a separate bracket,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o fix the stacked state of each disk The bolt 30, which is a fastening means for it to be made at a time to improve the assembly.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볼트(30)는 몸체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배기홈(도면에서는 90도 간격으로 4개)이 형성되어 있어, 앞서 설명한 나사부재(25)의 내주면 나사부와 결합될 경우에도 상기 기포발생수단(40)으로부터 공급되는 기체의 소통 유입을 보장할 수 있다.1 and 2, the bolt 30 has a plurality of exhaust grooves (four at 90-degree intervals in the draw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screw portion of the screw member 25 described above Even when combined with the bubble generating means 40 can ensure the inflow of gas supplied from the means.

렌치 등의 공구와 결합되는 볼트(30)의 육각형 횡단면 헤드(33) 하부에는 상기 산기부(10)의 최종 제N디스크(10C) 중공(10a) 둘레와 접촉하여 중공을 폐쇄하기 위하여 원형의 폐쇄부(35)가 형성되어 있는데, 패킹링(35a)이 개재되어 있어 기밀성 향상을 도모하였다.The bottom of the hexagonal cross-section head 33 of the bolt 30 coupled with the tool such as a wrench is closed in a circular shape in order to close the hollow in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final N disk 10C hollow 10a of the diffuser 10. Although the part 35 is formed, the packing ring 35a is interposed and the airtightness was improved.

상기 최종 제N디스크(10C)는 단순히 제(N-1)디스크의 배기슬릿(13)을 덮는 역할을 하면 충분하므로, 다른 디스크와 달리 요입부와 배기슬릿이 없다.Since the final Nth disk 10C simply serves to cover the exhaust slit 13 of the (N-1) th disk, unlike the other disk, there is no recess and an exhaust slit.

또 상기 수용체(20)의 끼움공(23) 위치에는 상기 기포발생수단(40)의 정지 또는 고장시 배관을 거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In addition, the insertion hole 23 position of the receiver 2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backflow prevention means for preventing water from flowing through the pipe when the bubble generating means 40 is stopped or broken,

도 3에 도시된 상기 역류방지수단의 예는 상기 나사부재(25)의 내부에 힌지(51) 결합되어 있는 체크판(50)이다. 상기 체크판(50) 하부에는 수밀성을 위한 패킹링(53)이 배열되어 있다.An example of the backflow prevention means shown in FIG. 3 is a check plate 50 coupled to a hinge 51 inside the screw member 25. A packing ring 53 for watertightness is arranged below the check plate 50.

이러한 체크판은 체크볼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다른 다양한 역류방지수단의 구현이 가능하다.Such a check plate may be modified in the form of a check ball, and various other backflow prevention means may be implemented.

이상과 같은 산기장치(D)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air diffuser (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1에서, 기포발생수단(40)에서 배관(41)을 거쳐 상기 수용체(20)의 나사부재(25)로 공기(또는 산소)가 유입되면 상기 공기의 유입압력에 의하여 상기 체크판(50)이 들리게 되고,In FIG. 1, when air (or oxygen) flows from the bubble generating means 40 through the pipe 41 to the screw member 25 of the container 20, the check plate 50 is formed by the inflow pressure of the air. You hear this,

상기 나사부재(25) 내주면과 상기 볼트(30)의 배기홈(31) 사이에 형성되는 관로를 통하여 상기 수용체(20)의 내부공간(21)으로 공기가 유입된다.Air flows into the inner space 21 of the container 20 through a conduit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member 25 and the exhaust groove 31 of the bolt 30.

다음으로 상기 수용체(20) 내부공간(21)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산기부(10) 중 제1디스크(10B)의 중공(10a)과 상기 볼트(30) 사이의 틈, 특히 상기 배기홈(31) 및 유입공(17)을 통하여 제1디스크(10B)의 요입부(11)와 제2디스크 하면 사이에 형성되는 체임버로 공기가 유입되고, Nex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21 of the receiver 20 is a gap between the hollow 10a of the first disk 10B and the bolt 30, in particular, the exhaust groove ( 31 and air flows into the chamber formed between the inlet 11 of the first disk (10B)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isk through the inlet hole 17,

이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제1디스크(10B)의 배기슬릿(13)과 제2디스크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통로를 통하여 포기조 내의 수중으로 방출되고,Some of this air is discharged into the water in the aeration tank through a discharge passage formed between the exhaust slit 13 and the second disk of the first disk 10B,

나머지 공기는 제2디스크의 중공과 상기 볼트(30) 사이의 틈, 특히 배기홈(31)을 거쳐 제2디스크의 요입부와 제3디스크 사이에 형성되는 체임버를 거쳐 일부는 배기슬릿으로 나머지는 제3디스크의 요입부로 공급된다.The remaining air passes through a gap formed between the hollow of the second disk and the bolt 30, in particular through the exhaust groove 31, and a chamber formed between the recessed portion of the second disk and the third disk. It is supplied to the recessed part of a 3rd disc.

이러한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공기는 제(N-1)디스크의 배기슬릿으로 배출된다.Through this process, air is finally discharged to the exhaust slit of the (N-1) th disc.

본 고안에 따른 산기장치(D)에서 기포의 크기는 상기 배기슬릿(13)의 크기에 의존하므로 슬릿의 크기를 미세하게 할수록 방출되는 기포의 크기도 작아진다.In the diffuser device 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bubble depends on the size of the exhaust slit 13, so that the smaller the size of the slit, the smaller the size of the bubble is released.

또 본 고안에서는 제(n-1)디스크의 배기슬릿에서 방출되는 기포와 제n디스크의 배기슬릿에서 방출되는 기포의 방출지점이 서로 다르고, 수중에서 기포의 상승되는 현상을 고려할 때,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ubbles are discharged from the exhaust slit of the (n-1) disk and the bubbles are discharged from the exhaust slit of the n-th disk, and the bubble rises in water,

제(n-1)디스크에서 방출되는 기포와 제n디스크에서 방출되는 기포가 충돌하여 합체되어 기포가 커지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Bubbles emitted from the (n-1) th disk and bubbles emitted from the nth disk collide with each other to minimize a problem of increasing bubbles.

또 제n디스크는 제(n-1)디스크의 배기슬릿을 위한 지붕역할을 하므로 슬러지의 퇴적으로 공기배출통로가 막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nth disk serves as a roof for the exhaust slits of the (n-1) th disk,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of blocking the air discharge passage due to sludge deposition.

만약 상기 기포발생수단(40)이 고장 등의 원인으로 정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역류방지수단인 체크판(50)이 상기 나사부재(25)의 통로를 폐쇄하므로 포기조 내의 오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If the bubble generating means 40 is stopped due to a failure or the like, the check plate 50 as the backflow preventing means closes the passage of the screw member 25, thereby preventing backflow of sewage in the aeration tank.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산기장치는 차츰 직경이 작아지고 각각 배기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돔(dome)형 디스크를 적층하여 산기부를 구성하고, 각 디스크의 배기슬릿에서 기포가 배출되는 지점이 서로 다름으로 인하여 기포의 충돌로 합체되어 크기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용존산소를 높이면서도, 상부의 디스크는 하부 디스크의 배기슬릿을 폐쇄하지 않으면서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져 지붕역할을 하여 슬러지의 퇴적으로 배기슬릿이 막히는 문제가 없다.As described above, the diffus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maller diameter and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dome-shaped disks each having an exhaust slit, and forming an diffuser, and bubbles are discharged from the exhaust slit of each disk. Due to the different points, the coalescing of the bubble prevents the size from increasing and increases the dissolved oxygen, while the upper disk has a size that can be covered without closing the exhaust slit of the lower disk.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exhaust slit is blocked by sedimentation.

또 본 고안은 적층된 디스크와 제1디스크가 결합되는 수용체를 체결할 수 있는 특정 체결수단을 통하여 조립성을 높이면서도 기체 유통에 문제가 없고, 역류방지수단의 도입으로 수류가 기포발생수단으로 역류되는 문제가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assemblability through a specific fastening means capable of fastening the receptor to which the stacked disk and the first disk are coupled, and there is no problem in gas distribution.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re is no problem.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산기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apparatus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산기장치의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dif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체결수단을 이루는 볼트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lt forming the fastening means,

도 3은 역류방지를 위한 체크판과 관련된 나사부재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crew member associated with the check plate for preventing backflow.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D: 산기장치 10: 산기부D: diffuser 10: diffuser

10A: 디스크, 11: 요입부10A: disc, 11: recess

13: 배기슬릿 15: 안치홈13: Exhaust slit 15: Settling groove

20: 수용체 21: 내부공간20: receptor 21: internal space

23: 끼움공 25: 나사부재23: fitting hole 25: screw member

27: 안치부 30: 볼트27: settled portion 30: bolt

31: 배기홈 33: 헤드31: exhaust groove 33: head

40: 기포발생수단 41: 배관40: bubble generation means 41: piping

50: 역류방지 체크판50: non-return check board

Claims (5)

기포발생수단;Bubble generating means; 상기 기포발생수단과의 연결을 위하여 배관이 결합되는 끼움공과 내부 공간을 갖는 수용체;A container having a fitting hole and an inner space to which a pipe is coupled for connection with the bubble generating means; 상기 수용체 상부 테두리 안치부에 밀착 수용되는 제1디스크와, 상기 제1디스크 상부로 차례로 적층되고 직경이 차츰 작아지는 N개의 디스크들로 이루어지되,The first disk is tightly received and accommodated in the upper edge of the receiver, and N disks that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op of the first disk and gradually smaller in diameter, 상기 각 디스크는 서로 상응하는 곡률을 갖는 돔(dome) 형상으로 결합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Each of the disks is formed of a coupling hollow in the shape of a dome (dome)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상기 각 디스크는 상기 결합중공 주변에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고,Each of the disks has a recessed portion formed around the coupling hole, 상기 요입부의 외측 플랜지에 방사상 형태로 미세한 배기슬릿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A plurality of fine exhaust slits are formed radially on the outer flange of the concave portion, 제(n-2)디스크는 제(n-1)디스크의 배기슬릿을 폐쇄하지 않으면서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산기부; 및The (n-2) th disk includes an diffuser having a size that can be covered without closing the exhaust slit of the (n-1) th disk; And 상기 산기부의 각 디스크의 결합중공을 통하여 체결하고, 제1디스크를 상기 수용체에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산기장치.And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rough the coupling hollows of the respective disks of the diffuser, and fixing the first disk to the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means 볼트와,With bolts, 상기 수용체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끼움공에 배열되어 있는 나사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장치.And a screw member arranged in the fitting hol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의 볼트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olt of the fastening means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배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장치.An air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exhaust groove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수용체의 끼움공 위치에는 상기 기포발생수단 쪽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장치.Dispers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 hole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water from flowing into the bubble generating means at the insertion hole position of the recepto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산기부의 최종 제N디스크는 단순히 제(N-1)디스크의 배기슬릿을 덮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장치.The last Nth disk of the diffuser portion simply serves to cover the exhaust slit of the (N-1) th disk.
KR20-2005-0024320U 2005-08-24 2005-08-24 Air diffuser KR20040050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320U KR200400502Y1 (en) 2005-08-24 2005-08-24 Air diffu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320U KR200400502Y1 (en) 2005-08-24 2005-08-24 Air diffu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2Y1 true KR200400502Y1 (en) 2005-11-08

Family

ID=4370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320U KR200400502Y1 (en) 2005-08-24 2005-08-24 Air diffu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02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1376A2 (en) * 2008-12-17 2010-06-24 (주)에이엔티이십일 Multi-stage air-diffusing device
KR101128977B1 (en) 2009-12-16 2012-03-23 (주)에이엔티이십일 Multi-Disk Diffuser
KR101266507B1 (en) 2012-11-19 2013-05-27 (주)에이엔티이십일 Air diffuser
WO2014077542A1 (en) * 2012-11-19 2014-05-22 (주)에이엔티이십일 Air diffuser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1376A2 (en) * 2008-12-17 2010-06-24 (주)에이엔티이십일 Multi-stage air-diffusing device
WO2010071376A3 (en) * 2008-12-17 2010-09-23 (주)에이엔티이십일 Multi-stage air-diffusing device
CN102317216A (en) * 2008-12-17 2012-01-11 安特二十一株式会社 Multi-stage air-diffusing device
CN102317216B (en) * 2008-12-17 2014-04-02 安特二十一株式会社 Multi-stage air-diffusing device
KR101128977B1 (en) 2009-12-16 2012-03-23 (주)에이엔티이십일 Multi-Disk Diffuser
KR101266507B1 (en) 2012-11-19 2013-05-27 (주)에이엔티이십일 Air diffuser
WO2014077542A1 (en) * 2012-11-19 2014-05-22 (주)에이엔티이십일 Air diffuser
CN103974913B (en) * 2012-11-19 2015-12-30 安特二十一株式会社 Air diffuser
US9567246B2 (en) 2012-11-19 2017-02-14 Ant21 Co., Ltd Air diffus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71376A2 (en) Multi-stage air-diffusing device
US7044453B2 (en) Membrane diffuser with uniform gas distribution
KR200400502Y1 (en) Air diffuser
KR102131677B1 (en) Guide module and micro bubble generator for wastewater treatment provided with the same
KR101128977B1 (en) Multi-Disk Diffuser
KR101010579B1 (en) Multi-Disk Diffuser
RU2451642C1 (en) Aerator membrane
KR20120092864A (en) Air suppling apparatus for liquid treatment facility
KR101198378B1 (en) Multi-disk type diffuser
KR200368391Y1 (en) Multi-Disk Diffuser
US11066314B2 (en) Water treatment aerator having bubble diffuser
US7341660B1 (en) Unitary three stag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102198449B1 (en) An strip diffuser for ultra-fine strength generation of stainless steel equipped with a backflow prevention check sheet
KR200296762Y1 (en) Air diffusers
JP2007260622A (en) Microorganism carrier and septic tank
KR100285798B1 (en) Contact aeratim style septic tank
CN220078781U (en) Vortex activated sludge optimizing device
KR0177034B1 (en) Spherical Elastic Membrane New Organs
US8419842B2 (en) Hydronic system air eliminator
CN217895394U (en) Contain butadiene styrene rubber sewage standard treatment&#39;s device
CN218988982U (en) Water distribution device for anaerobic tower and anaerobic tower
CN209522644U (en) A kind of high tower aerobic reactor
CN210001733U (en) Sedimentation tank for double-system membrane bioreactor
JP5037302B2 (en) Air diffuser
KR200270103Y1 (en) Cyclone Air Suppl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