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0266A -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266A
KR20040050266A KR1020020078051A KR20020078051A KR20040050266A KR 20040050266 A KR20040050266 A KR 20040050266A KR 1020020078051 A KR1020020078051 A KR 1020020078051A KR 20020078051 A KR20020078051 A KR 20020078051A KR 20040050266 A KR20040050266 A KR 20040050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data
patient data
prescription
authent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1313B1 (ko
Inventor
정우종
김관유
안현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to KR1020020078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313B1/ko
Publication of KR20040050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에 관한 데이터를 환자 본인 또는 의료 기관 등에 제공하기 위한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자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제공할 때 상기 환자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수집 및 제공에 대해 인증을 받도록 한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환자 데이터가 입력 되는 단말기 입력부, 상기 환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말기 저장부, 상기 환자로부터 상기 환자 데이터에 대한 인증을 부여 받는 인증 장치, 상기 단말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환자 데이터 중 상기 인증을 부여 받은 환자 데이터를 인증된 환자 데이터라 하고,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전송부, 상기 단말기 전송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 저장부, 및 상기 환자에게 상기 서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 {PATIENT DATA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환자에 관한 데이터를 환자 본인 또는 의료 기관 등에 제공하기 위한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자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제공할 때 상기 환자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수집 및 제공에 대해 인증을 받도록 한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환자에 관한 데이터(이하 '환자 데이터'라 함)로서 대표적인 것은 처방전, 엑스레이,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또는 초음파 촬영 결과, 혈액 검사 결과, 심전도 측정 결과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환자 데이터를 수집하여 다음 번에 환자를 진료할 때 활용한다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즉, 환자에게 특별한 알레르기가 있다든지, 어떤 약품에 대한 부작용을 나타낸 적이 있었다든지, 특정 병을 앓았던 적이 있었다든지 하는 환자 데이터는 그 이후에 환자를 치료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자 데이터의 수집에는 난점이 많다. 첫째로, 각각의 환자 데이터는 환자를 진료 및 처방한 각 병원, 또는 약품을 조제/처방한 각 약국에 분산되어 있고, 분산된 데이터를 환자 스스로, 또는 병원이 자체적으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둘째로, 환자 데이터는 환자의 개인 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누구에게나 공개될 수 없고 공개되어서도 안되기 때문이다. 환자 데이터가 환자의 의사와 상관 없이, 비밀을 지켜야 할 의무가 있는 진료 병원이 아닌, 환자와 관계 없는 불특정 의료 기관이나, 약품 및 의료 기기 판매점 등으로 흘러 들어간다면 심각한 문제가 될 것이다. 최악의 경우, 장기를 노린 범죄의 대상이 되거나 약품 또는 의료 기기 판매점의 광고 대상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환자 데이터에 대한 보안은 필수적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종래에는 환자 데이터가 개별 병원이나 약국에 산재되어 관리되고, 동일 병원 및 약국을 방문했을 때에만 해당 병원 또는 약국에 보관된 이전의 환자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었다.
한편, 환자 스스로 처방전 데이터를 제공하면, 상기 환자(또는 환자의 보호자)만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최근 등장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병원 및 약국 등 직접 환자 데이터를 처리, 보관하는 의료 기관과의 연계가 없이, 환자의 자발적 노력에만 의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 데이터를 수집, 저장하기 위해 상기 환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환자로부터 상기 환자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인증을 받도록 하여 환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상기 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환자 스스로 자신과 관련된 여러 가지 건강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환자 데이터로부터 약력 정보 또는 병력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환자)는 자신에게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환자 데이터를 상기 환자의 전자 우편 주소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자신의 환자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 기관 등으로부터 환자 데이터의 제공이 요청되는 경우, 환자로부터 상기 환자 데이터의 제공에 대한 인증을 받은 경우에만 상기 의료 기관에 상기 환자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면서 여러 의료 기관이 필요한 환자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되어 있는 처방전 데이터 중에서, 처방 약품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환자에게 상기 처방 약품에 대한 복약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약 지도 정보는 환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전자 우편으로 전송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되어 있는 처방전 데이터 중에서, 처방 약품의 복용 시기를 추출하여 상기 복용 시기에 환자에게 복용 시기가 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처방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처방전 데이터들 사이에 의학적으로 상충되는 처방 내용이 검색되는 경우, 그 사실을 알려주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처방전 데이터가 단말기 전송부로부터 전송되는 경우의 전송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서버 저장부에 처방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의 저장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서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처방전 데이터를 출력한 경우의 출력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알림 메시지 전송부에 의해, 환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된 알림 메시지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데이터 제공 서버
111전자 우편 전송부
112인증 수단
12서버 저장부
13인증 장치
131인증 확인 메시지 제공부
132인증 장치 입력부
14단말기 입력부
15단말기 저장부
16단말기 전송부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환자 데이터가 입력 되는 단말기 입력부, 상기 환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말기 저장부, 상기 환자로부터 상기 환자 데이터에 대한 인증을 부여 받는 인증 장치, 상기 단말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환자 데이터 중 상기 인증을 부여 받은 환자 데이터를 인증된 환자 데이터라 하고,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전송부, 상기 단말기 전송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 저장부, 및 상기 환자에게 상기 서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환자 데이터의 상기 단말기 입력부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환자에게 상기 환자 데이터에 대한 인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인증 확인 메시지를 제공하는 인증 확인 메시지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환자로부터 소정 기간에 대한 기간 정보, 또는 소정 출처에 대한 출처 정보를 입력 받는 인증 장치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기간 동안, 또는 소정 출처로부터 상기 단말기 입력부에 입력된 환자 데이터에 대해서는 자동적으로 인증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단말기 입력부로 입력되는 모든 환자 데이터에 대하여 인증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제공 서버는 상기 환자를 인증하는 인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인증된 환자에게만 상기 환자에 관한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제공 서버는 상기 환자의 전자 우편 주소로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우편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환자 데이터는 처방전 데이터, 의료 검사 결과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단말기에 입력된 환자 데이터 중에서 상기 환자에 의해 인증된 환자 데이터만을 수신 받는 서버 수신부,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 저장부, 및 상기 환자에게 상기 서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환자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 저장부, 데이터 요청자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데이터 요청 명령을 수신하는 데이터 요청 명령 수신부, 상기 데이터 요청 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환자로부터 상기 환자 데이터 요청자에 대한 상기 환자 데이터의 제공에 대한 인증 여부를 확인 받는 인증 장치, 및 상기 인증 장치로부터 상기 환자 데이터의 제공이 인증되는 경우 상기 환자 데이터를 인증된 환자 데이터라고 하고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요청자에게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환자의 처방전 데이터 중에서 상기 환자에 의해 인증된 처방전 데이터만을 수신 받는서버 수신부, 상기 인증된 처방전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 저장부, 약품에 대한 복약 지도 정보를 저장하는 복약 지도 정보 저장부, 상기 복약 지도 정보 중에서 상기 인증된 처방전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처방 약품에 해당하는 복약 지도 정보를 검색하는 복약 지도 정보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복약 지도 정보를 상기 환자에게 제공하는 복약 지도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환자의 처방전 데이터 중에서 상기 환자에 의해 인증된 처방전 데이터만을 수신 받는 서버 수신부, 상기 인증된 처방전 데이터 중에서 처방 약품 정보, 상기 처방 약품의 복용 시기 정보 및 복용 기간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하는 서버 검색부, 상기 복용 시기 정보 및 상기 복용 기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용 기간 동안 상기 복용 시기마다 상기 환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기 처방 약품의 복용 시기임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알림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환자로부터 인증된 처방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처방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처방전 데이터 중에서 상기 처방전 데이터의 작성 날짜에 기초하여 최신 처방전 데이터와 이전 처방전 데이터를 비교하여 의학적으로 상충되는 처방 내용을 검색하여 추출하는 검색부, 상기 상충되는 처방 내용을 상기 환자에게 제공하는 처방 내용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이 제공하는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제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10)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10)은 데이터 제공 서버(11), 서버 저장부(12), 인증 장치(13), 단말기 입력부(14), 단말기 저장부(15) 및 단말기 전송부(16)를 포함한다.
단말기 입력부(14)로부터 환자 데이터가 입력된다. 여기서, 환자 데이터는 처방전 데이터일 수도 있고, MRI, CT, 초음파 촬영 이미지, 혈액 및 소변 검사 결과 등 의료 기관에서 이루어진 각종 검사 결과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환자 데이터의 입력은 병원, 약국 등의 의료 기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환자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인증 장치(13)에 의해 상기 환자 데이터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진다. 의료 기관 등에서 입력된 환자 데이터를 환자 본인에게 제공하기 위한 경우에도, 본 실시예의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10)을 통해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환자의 인증이 필요하다.
환자의 환자 데이터는 매우 개인적인 정보이기 때문에, 이를 임의의 제3자가 접근하게 되면 환자의 사생활 보호 등의 관점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상기 인증 장치(13)를 통해 상기 환자로부터 인증된 환자 데이터만을 취급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한편, 상기 인증 장치(13)는 상기 단말기 입력부(14)로의 입력에 응답하여상기 환자에게 상기 환자 데이터에 대한 인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인증 확인 메시지를 제공하는 인증 확인 메시지 제공부(131)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 장치(13)는 사용자의 인증을 위하여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 PDA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증 장치, 또는 인터넷, 스마트 카드(smart card) 등을 이용한 인증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후에 개발되는 인증 장치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인증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 장치(13)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입력부(14)로 상기 환자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환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상기 인증 확인 메시지에 해당하는 상기 환자 데이터의 입력 사실 및 이에 대한 인증 여부를 묻는 SMS 등이 전송되고, 상기 환자는 이러한 SMS에 응답하여 인증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장치(13)는 인터넷을 이용한 것이다. 상기 환자 데이터가 단말기 입력부(14)에 입력되면, 환자 데이터는 단말기 저장부(15)에 저장되고, 사용자 단말기는 단말기 전송부(16)를 이용하여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10)에 이와 관련된 소정의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소정의 정보는 암호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그 후, 환자가 인터넷을 통해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10)에 접속하면,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10)은 상기 환자 데이터 입력 사실을 환자에게 통보하고 인증 여부를 묻는 화면을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환자는 출력 화면의 지시에 따라 인증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환자의 인증에 따라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10)은 상기 단말기에 환자 데이터의 전송 요구를 하고, 그에 따라 단말기 저장부(15)에 저장된 상기 환자와 관련된 환자 데이터는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10)으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10)으로 전송되고, 상기 환자의 인증이 종료된 후에야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10)이 상기 환자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증 서버로는 공인 인증 서버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장치는 인증 장치 입력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자는 상기 인증 장치 입력부(132)로 소정의 기간 정보 또는 소정의 출처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상기 기간 정보 또는 출처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인증 장치(13)는 상기 기간 정보에 해당하는 기간 동안, 또는 상기 출처 정보에 해당하는 출처로부터 입력된 환자 데이터에 대해서는 입력시마다 상기 환자의 개별적인 인증 행위가 없어도 자동적으로 인증을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환자가 매번 인증할 것이 확실한 기간 동안의, 또는 출처로부터의 환자 데이터에 대해 매번 인증 행위를 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한다. 소정 기간이라 함은 상기 환자가 치료를 받는 일정한 기간일 수 있고, 소정 출처라 함은 상기 환자가 자주 방문하여 치료를 받는 특정 병원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환자 데이터의 전송에 대해 인증을 부여하는 과정은 상기 환자 데이터가 상기 단말기 입력부(14)로 입력되는 시기에 관계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말기(14)로 환자 데이터가 입력되기 전에도, 소정 출처 또는 소정 기간 동안의 환자 데이터에 대해서는 자동적으로 인증을 부여하도록 상기 환자가 설정함으로써, 미리 인증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자가 인터넷을 이용하여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10)에 접속한 후, A라는 병원과 B라는 약국을 지정하여 인증을 부여한다. 그 후 A병원과 B약국에서 단말기 입력부(14)로 환자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 전송부(16)는 자동적으로 상기 서버 저장부(12)로 상기 환자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10)은 미리 A병원 및 B약국의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환자에 관한 환자 데이터가 입력되면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10)으로 전송하라는 설정을 하여 둘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입력부(14)로 환자 데이터가 입력되면, 단말기는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10)에 접속하여 상기 환자로부터 사전 인증(previous authentication)이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사전 인증이 수행되었으면 상기 환자 데이터를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10)으로 전송한다.
단말기 저장부(15)는 상기 단말기 입력부(14)로부터 입력된 환자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단말기 저장부(15)에는 환자로부터 인증을 부여 받지 못한 환자 데이터와 환자로부터 인증을 부여 받은 환자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 중 상기 환자로부터 인증을 부여 받은 환자 데이터를 '인증된 환자 데이터'라고 하기로 한다.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와 인증되지 않은 환자 데이터는 실시예에 따라서 하나의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개의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단말기 입력부(14), 단말기 저장부(15) 및 단말기 전송부(16)는 단말기 측 구성 요소로서, 상기 단말기는 병원, 약국 등 의료 기관에서 사용되는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 의무 기록) 프로그램이나 보험 청구용 프로그램 등, 일련의 의미 있는 환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저장부(15)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된 환자 데이터는 단말기 전송부(16)를 통해 서버 저장부(12)로 전송된다. 도 2는 환자 데이터 중 처방전 데이터가 상기 단말기 전송부(16)로부터 전송되는 경우의 전송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저장된 환자 데이터 중에서 인증된 환자 데이터는 단말기 전송부(16)를 통해 상기 서버 저장부(12)로 전송되고, 환자로부터 인증을 부여 받지 못한 환자 데이터, 또는 환자로부터 인증 여부에 대한 응답을 받지 못한 환자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 저장부(15)에 저장된 상태로 있게 된다. 환자로부터 인증을 부여 받지 못한 환자 데이터에 대해서는 계속 단말기 저장부(15)에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고, 일정 기간 경과 후에는 삭제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서버 저장부(12)에는 환자로부터 인증된 환자 데이터만이 저장되게 된다. 도 3은 상기 서버 저장부(12)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 데이터 중 처방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의 저장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기 환자 데이터는 보안이나, 상기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10)의 성능 관리 측면을 고려하여 일정 유효 기간을 두고, 상기 유효 기간이 경과한 환자 데이터는 폐기 처분할 수도 있다.
데이터 제공 서버(11)는 상기 서버 저장부(12)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 데이터를 상기 환자에게 제공한다. 도 4는 저장되어 있는 환자 데이터 중 처방전 데이터를 출력한 경우의 출력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환자 또는 병원의 의사 등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처방전을 조회하고, 그러면 데이터 제공 서버는 상기 환자의 처방전 목록 및 내용 등을 도 4와 같이 표시한다. 이러한 출력 화면의 구성은 웹 프로그래밍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환자 데이터는 전자 우편을 통해 환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제공 서버(11)는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상기 환자에게 전자 우편으로 전송하는 전자 우편 전송부(111)를 포함하고, 환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10)에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전자 우편을 통하여 환자 데이터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제공 서버(11)는 상기 환자를 인증하는 인증 수단(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10)은 환자로부터 인증된 데이터만을 수집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각 환자의 환자 데이터에 대한 보안을 일차적으로 유지하고, 상기 환자가 자신의 환자 데이터를 제공 받기 위한 경우에도, 본인이 상기 환자임을 확인해야 하는 인증 수단(112)을 구비함으로써, 환자 본인으로 판명된 자만이 자신의 환자 데이터를 열람,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이차적으로 보안을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10)을 이용하면, 환자는 각 의료 기관에서 작성되는 자신과 관계된 환자 데이터를 용이하게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10)에서 쉽게 제공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환자 데이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축적되어 환자 본인은 물론, 의료 기관 등에서 요긴하게 사용될 수 있는 한편, 환자 데이터가 유출되어 악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20)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20)은 데이터 제공 서버(21), 서버 저장부(22) 및 서버 수신부(23)를 포함한다.
서버 수신부(23)는 환자 데이터 중에서 환자로부터 인증된 환자 데이터만을 수신 받는다. 상기 환자 데이터는 병원, 약국 등의 의료 기관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20)은 환자로부터 인증된 환자 데이터만을 수신 받기 때문에, 환자 데이터가 환자의 의사와 관계 없이 이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수신부(23)에서 수신된 인증된 환자 데이터는 서버 저장부(22)에 저장된다. 데이터 제공 서버(21)는 상기 서버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환자에게 제공한다.
데이터 제공 서버(21)는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 중에서 상기 환자의 병력에 대한 병력 정보 또는 약력 정보만 추출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환자가 많은 관심을 가지는 데이터인 병력 정보 또는 약력 정보만을 별도로 제공 받는 것이 환자에게 편리할 수 있다. 상기 병력 정보는 환자 또는 의사가 입력한 병명, 치료 기간 등만을 추출하도록 프로그래밍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제공 서버(21)는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상기 환자의 전자 우편 주소로 전송하는 전자 우편 전송부(21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환자 본인에게만 제공하기 위하여 환자 본인인지를 인증하는 인증 수단(212)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30)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30)은 서버 저장부(31), 데이터 요청 명령 수신부(32), 인증 장치(33) 및 데이터 제공부(34)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10, 20)은 환자의 인증을 받은 인증된 환자 데이터만을 저장하여 두고, 상기 환자가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하고 있는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30)은 저장되어 있는 환자 데이터를 환자의 인증을 받아 병원, 약국 등 의료 기관에 제공하는 구성을 하고 있다.
서버 저장부(31)는 환자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서버 저장부(31)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 데이터는 환자 본인이 직접 입력한 것일 수도 있고,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의료 기관에서 작성된 환자 데이터를 환자로부터 인증을 부여 받고 전송하여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데이터 요청 명령 수신부(32)는 의료 기관 등 상기 환자 데이터를 이용하고자 하는 데이터 요청자로부터 상기 환자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데이터 요청 명령을 수신한다.
인증 장치(33)는 상기 데이터 요청 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환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요청자에게 상기 환자 데이터의 제공을 허락할 것인지에 대한 인증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환자는 상기 인증 장치(33)를 이용하여, 평소에 주로 이용하던 병원인지, 자신의 환자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본인의 진료에 도움이 될 것인지, 아니면 환자 데이터를 개인 정보로서 의료 기관이라 하더라도 이용하게 하고 싶지 않든지 등의 여러 가지를 고려하여 인증을 부여할 수도, 부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인증 장치(33)는 인증할 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증 확인 메시지를 상기 환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인증 확인 메시지 전송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을 부여하는 것은 인터넷이나 스마트 카드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요청자로부터 환자 데이터 제공 요청이 있을 때마다, 환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을 허락할 것인지에 대해 묻는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간단하고 빠르게 인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인증 장치(33)에 의해 상기 환자로부터 상기 환자 데이터의 제공에 대한 인증이 부여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제공부(34)는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요청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환자는 자신의 환자 데이터를 자신이 직접 인증한 데이터 요청자에게만 제공할 수 있어, 자신의 정보에 대한 유표를 제어할 수 있고, 환자 데이터가 악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의료 기관 등 데이터 요청자로서는, 환자에 대한 축적된 환자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축적된 환자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진료가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환자 데이터를 제공 받은 병원으로서는 환자에 대해 특정 약품에 대한 부작용이나 알레르기 반응의 유무, 이제까지의 병력 등의 정보를 알 수 있게 되므로 상기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처방을 내릴 수 있게 되고, 상기 환자로서는 부작용이나 알레르기 반응 등을 재검사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고 비용 면에서도 검사 비용의 절감 효과가 있다. 특히, 종양과 같이 꾸준한 경과를 주시하는 것이 필수적인 병의 경우, 이제까지 촬영된 초음파 사진 등을 전부 제공 받는다면, 이러한 초음파 사진들은 진료를 하는 것에 있어서 의사의 판단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40)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40)은 서버 수신부(41), 서버 저장부(42), 복약 지도 정보 저장부(43), 복약 지도 정보 검색부(44) 및 복약 지도 정보 제공부(4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40)은 환자 데이터가 처방전 데이터이고, 저장되어 있는 처방전 데이터를 그 상태 그대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상기 처방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유용한 복약 지도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환자 관리 시스템(10, 20, 30)과 상이하다.
서버 수신부(41)는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환자의 처방전 데이터 중에서 상기 환자에 의해 인증된 처방전 데이터만을 수신 받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관리 시스템(40)에서도 환자에 관한 데이터는 환자의 인증을 받은 후에야 이용할 수 있다.
서버 저장부(42)는 인증된 처방전 데이터를 저장하고, 복약 지도 정보 저장부(43)는 약품에 대한 복약 지도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복약 지도 정보는 상기 약품의 실제 크기의 그림 또는 사진, 상기 약품의 복용시 효과, 상기 약품의 제조 회사, 상기 약품의 복용 방법, 상기 약품의 복용 전 전문 의사와 상담할 사항, 상기 약품과 다른 약품 간의 상호 부작용 정보, 상기 약품에 따른 금기 음식 정보, 상기 약품 사용시의 부작용, 또는 상기 약품의 보관 방법 등일 수 있다.
복약 지도 정보 검색부(44)는 상기 처방전 데이터에서 환자에게 처방된 처방 약품을 추출하고, 상기 복약 지도 정보 저장부(43)에 저장되어 있는 복약 지도 정보 중에서 상기 처방 약품에 해당하는 복약 지도 정보를 검색한다.
복약 지도 정보 제공부(45)는 상기 복약 지도 정보 검색부(44)에서 검색된 복약 지도 정보를 상기 환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복약 지도 정보 제공부(45)는 상기 복약 지도 정보를 환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전자 우편으로 전송하는 복약 지도 정보 전송부(45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는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40)을 직접 이용하지 않고서도, 이동 통신 단말기나 전자 우편을 통해 자신에게 처방된 처방 약품에 대한 복약 지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한다.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50)은 서버 수신부(51), 서버 검색부(52), 및 알림 메시지 전송부(5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처방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처방 약품의 복용 시기에 맞추어 환자에게 처방 약품의 복용 시간이 되었음을 알려주는 구성을 하고 있다.
서버 수신부(51)는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환자의 처방전 데이터 중에서 환자에 의해 인증된 처방전 데이터만을 수신 받는다.
서버 검색부(52)는 소정 환자에 대하여 상기 인증된 처방전 데이터 중에서 처방 약품 정보, 상기 처방 약품의 복용 시기 정보 및 복용 기간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한다. 이러한 정보의 추출은 각 정보의 입력시 해당 필드를 구분하여 저장함으로써 쉽게 해당하는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으며, 또는 자연어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알림 메시지 전송부(53)는 상기 복용 시기 정보 및 상기 복용 기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용 기간 동안 상기 복용 시기마다 상기 환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기 처방 약품의 복용 시기임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8은 상기 알림 메시지 전송부(53)에 의해, 환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된 알림 메시지의 일례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림 메시지는 상기 처방 약품의 실제 크기의 이미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환자는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된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여, 알림 메시지가 전송된 시간에 알림 메시지가 지시하는 처방 약품을 복용할 수 있다. 처방 약품의 실제 크기의 이미지 정보가 전송되므로, 복용해야 할 약품을 명확하게 알 수 있고, 또한 복용해야 할 시간에 알림 메시지가 전송되므로 처방 약품을 잊지 않고 때에 맞춰 복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50)은 보통 '하루 3번 식후 30분'에 복용해야 하는 약품은 물론, 일주일회 1회 정도 등 복용 시기를 기억하기 어려운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60)은 수신부(61), 저장부(62), 검색부(63) 및 처방 내용 제공부(64)를 포함한다.
수신부(61)는 환자로부터 인증된 처방전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부(62)는 상기 처방전 데이터를 저장한다. 검색부(63)는 상기 처방전 데이터 중에서 상기 처방전 데이터의 작성 날짜에 기초하여 최신 처방전 데이터와 이전 처방전 데이터를 비교하여 의학적으로 상충되는 처방 내용을 검색하여 추출한다.
처방 내용 제공부(60)은 상기 상충되는 처방 내용을 상기 환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처방 내용 제공부(60)는 상충되는 처방이 있었다는 사실과, 어떤 내용이 상충되는지에 대한 상세한 설명 등을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충되는 처방인지의 판단은 일정한 규칙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병 A에 대하여 약품 B 및 약품 C의 처방이 상충되는 것이라는 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두고, 질병 A에 대하여 약품 B를 처방한 이후 동일한 질병 A에 대하여 약품 C를 처방한 경우에는 이러한 처방이 상충되는 것임을 환자에게 알려준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60)은 단순히 처방전 데이터를 환자 본인 또는 의료 기관 등에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저장되어 있는 처방전 데이터의 내용을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환자에게 필수적인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전 처방전 데이터에서의 병력 정보에 따르면 특정한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 이후의 처방전 데이터의 약품 정보에서 상기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 처방되어서는 안 되는 약품이 처방된 경우, 상기 환자에게 이러한 사실을 알려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60)은 복용해서는 안 되는 약품이 처방된 경우, 환자가 상기 약품을 복용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 데이터를 수집, 저장하기 위해 환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환자로부터 상기 환자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인증을 받도록 하여, 환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면서 환자 데이터를 수집, 저장, 제공하는 등 환자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상기 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환자 스스로 자신과 관련된 여러 가지 건강 데이터를 관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환자 데이터로부터 약력 정보 또는 병력 정보를 추출하여 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환자(사용자)는 자신에게 유용한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한편, 환자 데이터를 환자의 전자 우편 주소로 전송하기 때문에, 환자(사용자)는 용이하게 자신의 환자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 기관 등으로부터 환자 데이터의 제공이 요청되는 경우, 환자로부터 상기 환자 데이터의 제공에 대한 인증을 받은 경우에만 상기 의료 기관에 상기 환자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면서 여러 의료 기관이 필요한 환자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처방전 데이터 중에서, 처방 약품 정보를 추출하여 환자에게 상기 처방 약품에 대한 복약 지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약 지도 정보는 환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전자 우편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환자가 상기 복약 지도 정보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되어 있는 처방전 데이터 중에서, 처방 약품의 복용 시기를 추출하여 상기 복용 시기에 환자에게 복용 시기가 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환자가 복용 시기를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처방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처방전 데이터들 사이에 의학적으로 상충되는 처방 내용이 검색되는 경우 그 사실을 알려줌으로써, 환자가 복용해서는 안 되는 약품을 복용하는 등의 위험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환자 본인이 자신의 환자 데이터에 대해 인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환자 본인 외에도 환자의 법적 보호자 역시도 환자 데이터에 대해 인증할 수도 있을 것이다. 환자 본인이 어린이이거나 고령자, 또는 중병을 앓고 있는 자라면, 환자 본인보다는 환자를 보호하고 있는 환자의 법적 보호자가 환자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9)

  1. 환자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환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 데이터가 입력 되는 단말기 입력부,
    상기 환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말기 저장부,
    상기 환자로부터 상기 환자 데이터에 대한 인증을 부여 받는 인증 장치,
    상기 단말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환자 데이터 중 상기 인증을 부여 받은 환자 데이터를 인증된 환자 데이터라 하고,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전송부,
    상기 단말기 전송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 저장부, 및
    상기 환자에게 상기 서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환자 데이터의 상기 단말기 입력부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환자에게 상기 환자 데이터에 대한 인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인증 확인 메시지를 제공하는 인증 확인 메시지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환자로부터 소정 기간에 대한 기간 정보를 입력 받는 인증 장치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기간 동안 상기 단말기 입력부에 입력된 환자 데이터에 대해서는 자동적으로 인증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환자로부터 소정 출처에 대한 출처 정보를 입력 받는 인증 장치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출처로부터 상기 단말기 입력부에 입력된 환자 데이터에 대해서는 자동적으로 인증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환자로부터 상기 단말기 입력부로 입력되는 모든 환자 데이터에 대하여 인증을 부여하도록 하는 전체 인증 명령을 입력 받는 인증 장치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체 인증 명령이 입력된 이후에 상기 단말기 입력부로 입력되는 환자 데이터에 대해서는 자동적으로 인증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관리 시스템.
  6. 환자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환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에 입력된 환자 데이터 중에서 상기 환자에 의해 인증된 환자 데이터만을 수신 받는 서버 수신부,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 저장부, 및
    상기 환자에게 상기 서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는 인증된 처방전 데이터이고,
    상기 데이터 제공 서버는 상기 인증된 처방전 데이터 중에서 상기 환자의 병력에 대한 병력 정보 또는 약력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데이터는 처방전 데이터, 의료 검사 결과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
  9. 제1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공 서버는 상기 환자를 인증하는 인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인증된 환자에게만 상기 환자에 관한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
  10. 제1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공 서버는 상기 환자의 전자 우편 주소로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우편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
  11. 환자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 저장부,
    데이터 요청자로부터 상기 환자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데이터 요청 명령을 수신하는 데이터 요청 명령 수신부,
    상기 데이터 요청 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환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요청자에 대한 상기 환자 데이터의 제공에 대한 인증 여부를 확인 받는 인증 장치, 및
    상기 인증 장치로부터 상기 환자 데이터의 제공이 인증되는 경우 상기 환자 데이터를 인증된 환자 데이터라고 하고 상기 인증된 환자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요청자에게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제공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인증 여부의 확인을 위하여 인증 확인 메시지를 상기 환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인증 확인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제공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요청자에 관한 데이터 요청자 정보를 입력 받는 인증 장치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 요청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요청 명령이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환자 데이터의 제공에 대해 자동적으로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제공 시스템.
  14. 처방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복약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환자의 처방전 데이터 중에서 상기 환자에 의해 인증된 처방전 데이터만을 수신 받는 서버 수신부,
    상기 인증된 처방전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 저장부,
    약품에 대한 복약 지도 정보를 저장하는 복약 지도 정보 저장부,
    상기 복약 지도 정보 중에서 상기 인증된 처방전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처방 약품에 해당하는 복약 지도 정보를 검색하는 복약 지도 정보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복약 지도 정보를 상기 환자에게 제공하는 복약 지도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지도 정보 제공부는 상기 검색된 복약 지도 정보를 상기 환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전자 우편으로 전송하는 복약 지도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지도 정보는 상기 약품의 실제 크기의 그림 또는 사진, 상기 약품의 복용시 효과, 상기 약품의 제조 회사, 상기 약품의 복용 방법, 상기 약품의 복용 전 전문 의사와 상담할 사항, 상기 약품과 다른 약품 간의 상호 부작용 정보, 상기 약품에 따른 금기 음식 정보, 상기 약품 사용시의 부작용, 상기 약품의 보관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
  17. 처방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처방 약품의 복용 시기를 알려주기 위한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환자의 처방전 데이터 중에서 상기 환자에 의해 인증된 처방전 데이터만을 수신 받는 서버 수신부,
    상기 인증된 처방전 데이터 중에서 처방 약품 정보, 상기 처방 약품의 복용 시기 정보 및 복용 기간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하는 서버 검색부,
    상기 복용 시기 정보 및 상기 복용 기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용 기간 동안 상기 복용 시기마다 상기 환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기 처방 약품의 복용 시기임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알림 메시지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에는 상기 처방 약품의 실제 크기의 이미지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
  19. 환자에게 처방전 데이터에 기초한 의학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환자로부터 인증된 처방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처방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처방전 데이터 중에서 상기 처방전 데이터의 작성 날짜에 기초하여 최신 처방전 데이터와 이전 처방전 데이터를 비교하여 의학적으로 상충되는 처방 내용을 검색하여 추출하는 검색부,
    상기 상충되는 처방 내용을 상기 환자에게 제공하는 처방 내용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1020020078051A 2002-12-10 2002-12-10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100561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051A KR100561313B1 (ko) 2002-12-10 2002-12-10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051A KR100561313B1 (ko) 2002-12-10 2002-12-10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266A true KR20040050266A (ko) 2004-06-16
KR100561313B1 KR100561313B1 (ko) 2006-03-16

Family

ID=37344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051A KR100561313B1 (ko) 2002-12-10 2002-12-10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3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263B1 (ko) * 2006-08-04 2010-07-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환자의 의료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9015A (ko) * 2012-08-31 2014-03-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헬스케어를 위한 건강정보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1414781B1 (ko) * 2012-08-03 2014-07-04 (주)헬스웨이브 모바일 앱을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50200B1 (ko) 2019-05-31 2020-08-3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7-세그먼트를 구비한 진단 기기 이미지 인식 장치
KR20210067318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시큐어링크 출력정보 기반 의료 및 의약정보 자동 수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058Y1 (ko) 2009-12-30 2012-03-22 주식회사 코넥트론 환자정보 보호를 위한 환자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0423A (ko) * 2000-03-24 2001-10-18 강진불 인터넷을 통한 처방전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08636A (ko) * 2000-07-24 2002-01-31 김민호 인터넷을 통한 약품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263B1 (ko) * 2006-08-04 2010-07-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환자의 의료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1414781B1 (ko) * 2012-08-03 2014-07-04 (주)헬스웨이브 모바일 앱을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29015A (ko) * 2012-08-31 2014-03-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헬스케어를 위한 건강정보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2150200B1 (ko) 2019-05-31 2020-08-3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7-세그먼트를 구비한 진단 기기 이미지 인식 장치
KR20210067318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시큐어링크 출력정보 기반 의료 및 의약정보 자동 수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1313B1 (ko) 200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43382A1 (en) Patient-centric health record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6463417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health information
US20040111622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personal information records
EP1459251B1 (en) Portable storage device for storing and accessing personal data
US8600776B2 (en) Records access and management
JP5525161B2 (ja) 携帯機器または携帯端末へ医療データを安全に転送する方法
US201102888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hentication of Medical Data Through Biometric Identifier
KR20140089346A (ko)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과 프로그램
JP2007094943A (ja) 特定疾患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
KR102113806B1 (ko) 개인의료정보데이터 관리방법 및 시스템
US20200357495A1 (en) Method, server, and program for providing healthcare data
US20120209624A1 (en) Encrypted portabl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JP2011039674A (ja) 医療データベースセンターシステム
KR20130095443A (ko) 휴대용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의료 정보 시스템
US7885826B2 (en) Medical service support system, medical service support server, and medical service support terminal for supporting medical service
US2011012564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personal health records by individuals
KR100561313B1 (ko)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
CN111951917A (zh) 数据管理方法、数据读取方法、存储介质、数据管理系统及终端设备
KR20110138896A (ko) 건강정보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건강정보 관리 서비스 방법
US20170098035A1 (en) Medical Information System and Application
US20200272761A1 (en) Software having control logic for secure transmission of personal data via the internet from computers to the server, with secure storage of the data on servers
JP7284969B1 (ja) 医療情報共有システム
JP7385427B2 (ja) 医療情報閲覧システム及び医療情報閲覧方法
JP2023041390A (ja) 情報処理装置、認証方法、認証プログラムおよび患者認証システム
KR20170062046A (ko) Pmr카드를 이용한 병원 통합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