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8275A -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arching and Storing Sender's and Receiver's Telephone Numb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arching and Storing Sender's and Receiver's Telephone Numb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8275A
KR20040048275A KR1020020076074A KR20020076074A KR20040048275A KR 20040048275 A KR20040048275 A KR 20040048275A KR 1020020076074 A KR1020020076074 A KR 1020020076074A KR 20020076074 A KR20020076074 A KR 20020076074A KR 20040048275 A KR20040048275 A KR 20040048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story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coming
outgo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0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6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8275A/en
Publication of KR20040048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275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terminal having various searching and storing functions of an origination and destination phone number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classify and display origination and destination phone numbers variably, and store phone numbers individually or collectively. CONSTITUTION: A key input unit(104) sets or releases a history search mode, or classify history lists according to a specific classification reference. A microprocessor(114) receives and interprets a history search mode key value and a classification reference key value, generates a control signal of the history search mode and transmits it, and controls a general 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A data storing unit(108) temporarily stores destination history, origination history and call history. A program memory(112) stores a history classification program. A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112) stores user information and various data required for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An LCD(106) displays a history list.

Description

착신 및 발신 전화번호의 다양한 검색 및 저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arching and Storing Sender's and Receiver's Telephone Number and Control Method Thereof}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arching and Storing Sender's and Receiver's Telephone Numb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착신 및 발신 전화번호의 효율적인 검색 및 저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발신 및 착신 전화번호를 다양한 기준에 의해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하고, 필요한 전화번호를 개별적 및 일괄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fficient retrieval and storage function of incoming and outgoing telephone number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control provide a function of classifying and displaying outgoing and incoming phone number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and storing the necessary phone numbers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It is about a method.

주지하다시피, 최근의 전자 공학 및 통신 공학의 비약적인 발달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양의 연락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 생활에서 필수적인 연락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As is well known, with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various functions. That i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data processing technology, people can use not only voice calls but also wireless Internet access, video communication and video message transmiss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 addition, due to the rapid dissemin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becoming an essential means of communication in modern life, such as a considerable amount of contact generated through human communication.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 시도가 이루어져 소정의 시간이 지나 통화 연결 시도가 종료되기 전까지 통화 연결이 성공되지 않으면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 시도가 이루어졌다는 사실조차도 알 수 없었다. 즉,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 연결 시도가 실패한 경우 통화 연결 시도와 관련하여 어떠한 정보도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하였다.Conventional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nows that even if a call connection attempt is mad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all connection is not successful until a predetermined time passes and the call connection attempt is completed, the user even knows that a call connection attempt is made to his mobile terminal. Could not. That is,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d not provide any information to the user regarding the call connection attempt when the call connection attempt failed.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통화 연결 시도가 실패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통화 연결 시도가 있었음을 단순하게 알려주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5번의 통화 연결 시도가 실패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부재중 5통화"와 같은 문구가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에게 통화 연결 실패가 5번 있었음을 알려준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disadvantage, when a call connection attempt fail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mply provides a service for informing that there has been a call connection attempt. For example, when five attempts to connect a call fail, a phrase such as “5 missed calls” is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inform the user that there have been five call failures.

하지만, 이와 같이 통화 연결 실패가 몇 번 있었다는 단편적인 정보만을 제공해 주는 서비스는 발신자에 관한 어떠한 정보도 제공해 주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자신이 받지 못한 통화 연결 시도가 몇 번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있지만, 누구에게서 걸려 온 전화인지 확인할 수 없으므로 발신자에 대한 궁금증이 증폭되어 심한 경우 일상 생활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다.However, the service that provides only the fragmentary information that there have been several call connection failures does not provide any information about the caller. Therefore, the user can know how many times the call connection attempt has not been receiv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but can not determine who the call is from, so the question of the caller is amplified and severely affects daily life. In some cases.

따라서, 이와 같이 종래 이동통신 서비스가 발신자의 정보를 전혀 제공해 주지 않아 유발되는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CID : Caller Identification)가 제공되고 있다.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란 통화 개시 전에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표시 단말기에 발신자의 전화번호 및 전화가 걸려온 시각을 표시하여 주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는 교환(Switching) 기술, 단말 기술, 전송 기술을 결합한 전화망의 새로운 서비스로서, 발신호 및 착신호에 대한 사용자 제어가 가능하고, 발신자의 전화번호 또는 이름이 통화 전 또는 통화 중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화면에 표시되므로 수신자가 통화 연결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표시되므로 폭력 및 장난 전화 등 전화폭력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고, 부재 중 수신 내역도 모두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drawbacks caused by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does not provide any information of the caller has been recently provided caller identification service (CID: Caller Identification). Caller ID display service is a service that displays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and the time the call was received on the called party's mobile terminal or display terminal before the call is initiated. This caller ID service is a new service of telephone network that combines switching technology, terminal technology, and transmission technology, and enables user control of calling and incoming calls, and the caller's phone number or name is before or during a call. Displayed on the LCD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the receiver can select the call connection. In addition, since the caller's phone number is displayed, it can be protected from phone violence such as violence and mischief calls, and can check all of the missed reception details.

한편,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행된 통화 연결 시도와 관련된 발신 전화기의 전화번호 및 발신자의 정보(이름이나 별칭)와 같은 발신 이력은 기 설정된 일정 갯수(예컨대 10개 내지 50개 정도)까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전화 걸기를 시도한 착신 전화기의 전화번호 및 착신자의 정보와 같은 착신 이력도 기 설정된 일정 갯수까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착신 이력 및 발신 이력을 키 조작을 통해 언제든지 검색하고 전화번호 메모리 영역에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이동통신 단말기에 임시로 저장되는 착신 이력 및 발신 이력은 기 설정된 일정 갯수를 초과하면 오래된 데이터부터 차례대로 하나씩 메모리에서 삭제된다.On the other hand, outgoing histories, such a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alling telephone and the caller's information (name or alias) associated with the call connection attempt performed by the called party'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up to a predetermined number (for example, about 10 to 50). It i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terminal. Similarly, the incoming call history such a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alled phone and the information of the called party, which the user attempted to make a call is also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p to a predetermined number. Therefore, the user can retrieve the incoming call history and the outgoing call history stored in hi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any time through key manipulation and separately store it in the telephone number memory area. In this way, the incoming and outgoing history temporarily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leted from the memory one by one in order from the old data when the preset number exceeds a predetermined number.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는 착신 이력 및 발신 이력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착신 이력과 발신 이력을 별도로 구분하여 저장하였다가 착신 이력별 또는 발신 이력별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착신 이력 및 발신 이력을 구분하지 않고 저장하였다가 한꺼번에 디스플레이해 주는 두 가지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를 통상 착신 이력이나 발신 이력에서 찾고자 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착신 이력이나 발신 이력을 검색하는 데 최악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모든 착신 이력 및 발신 이력을 검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하는 고된 작업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coming and outgoing history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parately stored the incoming and outgoing history according to the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n display by the incoming or outgoing history, or distinguish the incoming and outgoing history It is provided in two forms that can be stored and displayed at once. Therefore, when a user wants to find a desired phone number in a normal incoming or outgoing history, a problem of searching for a incoming or outgoing history is usually the worst case. have. This can be a arduous task that requires a lot of time and effort for the user.

더욱이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하는 수 십개의 착신 이력이나 발신 이력을 검색하는 데에도 사용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하는데, 향후 수 백개 정도의 착신 이력 및 발신 이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급될 경우 착신 이력이나 발신 이력의 검색에 수반되는 사용자의 불편함은 이루 말할 수 없이 증폭될 것이다.Moreover, the user must invest a lot of time and effort to retrieve dozens of incoming and outgoing histories currently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that provides hundreds of incoming and outgoing histories in the future is prevalent. If the user's discomfort associated with the incoming or outgoing history search will be amplified.

또한, 현재 사용자는 착신 이력이나 발신 이력에 포함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임시로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전화번호 메모리 영역으로 별도 보관하고자 할 경우 한번에 하나씩 저장해야 한다. 이러한 기능 역시 전화번호 메모리 영역으로 별도로 보관해야 하는 전화번호가 많은 경우, 사용자에게 많은 노력과 시간을 요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urrent user should store the phone numbers temporarily included in the incoming or outgoing history and stored temporaril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phone number memory area, one at a time. Such a function also requires a lot of effort and time for the user when there are many phone numbers to be kept separately in the phone number memory area.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발신 및 착신 전화번호를 다양한 기준에 의해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하고, 필요한 전화번호를 개별적 및 일괄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 for classifying and displaying outgoing and incoming phone number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and storing necessary telephone numbers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발신 및 통화 내역을 나타낸 예시 화면,2 is an exemplary screen showing incoming, outgoing and call detail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lassified according to various classification criter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착발신 이력을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arching an incoming / outgoing call histor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02 : 프로그램 메모리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2: program memory

104 : 키입력부 106 : LCD 표시부104: key input unit 106: LCD display unit

180 : 데이터 저장부 110 : 모드 상태 저장부180: data storage unit 110: mode state storage unit

112 : 가입자 정보 저장부 114 : 마이크로프로세서112: subscriber information storage unit 114: microprocessor

116 : 디지털 처리부 118 : 베이스밴드 변환부116: digital processing unit 118: baseband conversion unit

120 : 스피커 122 : 마이크로폰120: speaker 122: microphone

124 : 안테나 126 : RF 신호 처리부124: antenna 126: RF signal processing unit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착신, 발신 및 통화와 관련된 이력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력 목록을 검색하기 위한 이력 검색 모드를 설정하거나 해제하고, 상기 이력 검색 모드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이력 목록을 특정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서의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이력 검색 모드 키값 및 분류 기준 키값을 전달받아 해석하고, 상기 이력 검색 모드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일정 갯수만큼의 착신 이력, 발신 이력 및 통화 이력을 임시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분류 기준 키값에 따라 상기 착신 이력, 상기 발신 이력 및 상기 통화 이력을 분류하는 기능을 갖는 이력 분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된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정보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 저장부;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력 분류 프로그램에 의해 분류된 이력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LCD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및 발신 전화번호의 다양한 검색 및 저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ing a history list associated with the incoming, outgoing and call, setting or canceling the history search mode for searching the history list, the history list displayed in the history search mode A key input unit as data input means for classifying the data according to a specific classification criterion; A micro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and interpret a history search mode key value and a classification reference key value from the key input unit, generate and transmit a control signal of the history search mode, and control an overall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data storage unit for temporarily stor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incoming calls, an outgoing call, and a call lo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rogram memory for storing a history classification program having a function of classifying the incoming history, the outgoing history, and the call histor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reference key value received from the microprocessor; A subscriber information storage unit which stores one or more telephone numbers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of a user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and various data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LCD display unit on which a history list classified by the history classification program is displayed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and has various search and storage functions of incoming and outgoing telephone numbe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이력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상기 이력 검색 모드 키값을 전달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기 이력 검색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b)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이력 분류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상기 분류 기준 키값을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전달받는 단계; (c) 상기 이력 분류 프로그램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분류 기준 키값에 따라 상기 이력 목록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이력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d)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다른 분류 기준 키값이 입력되면 상기 다른 분류기준 키값에 따라 상기 이력 목록의 분류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및 (e)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상기 이력 검색 모드의 해제 키값이 입력되면 상기 이력 검색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및 발신 전화번호의 다양한 검색 및 저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isplaying a history list, (a) the microprocessor receives the history search mode key value through the key input unit to retrieve the hist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witching to a mode; (b) the microprocessor driving the history classification program and receiving the classification reference key value through the key input unit; (c) the history classification program classifying the history list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on key value received from the microprocessor, and displaying the classified history list; (d) the microprocessor performing sorting of the history list according to the other classification criteria key value when another classification criteria key value is input; And (e) releasing the history search mode when the release key value of the history search mode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It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바람직한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프로그램 메모리(102), 키입력부(104), LCD 표시부(106), 데이터 저장부(108), 모드 상태 저장부(110), 가입자 정보 저장부(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112),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114),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이하 'DSP'라 칭함)(116), 베이스밴드(Baseband) 변환부(118), 스피커(120), 마이크로폰(122), 안테나(124), RF 신호 처리부(126)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각종 휴대폰, 피디에이(PDA) 등을 포함한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gram memory 102, key input unit 104, LCD display unit 106, data storage unit 108, mode state storage unit 110, subscriber information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112, a microprocessor 114,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116, a baseband converter 118, a speaker 120, a microphone 122, an antenna 124, an RF signal processor 126,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riety of mobile phones, PDA (PDA) and the like.

도 1을 설명하면, 프로그램 메모리(302)에는 단말기 자체의 기능을 구현하고 네트워크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프로토콜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착발신 이력 관리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착발신 이력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키입력부(104)를 통해 입력된 분류 기준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임시로 저장되어 있는 착신 이력 및 발신 이력을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발신 이력 관리 프로그램은 객체 지향 언어인 C++나 JAVA 등을 이용하여 코딩(Coding)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류 기준으로는 전부, 오름, 내림, 시간, 신규, 이동, 일반 등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 the program memory 302 stores protocol software for implementing functions of the terminal itself and processing message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network, and a predetermined call history management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have. The call reception history management program performs a function of classifying a call history and a call history stored temporaril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 classification criter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4. The call history management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ded using C ++ or JAVA, which is an object-oriented language.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ll, ascending, descending, time, new, moving, general and the lik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키입력부(104)에는 전화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버튼(Key Button)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키버튼은 통상적으로 12개의 숫자키(0 ~ 9, *, #), 다수의 기능키, 다수의 커서(Cursor) 이동키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입력부(104)에 구비되어 있는 숫자키, 기능키, 커서 이동키 등을 조작하여 착신 이력이나 발신 이력을 선택하여 원하는 전화번호를 검색 및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The key input unit 10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 buttons for inputting numbers such as telephone numbers. Such key buttons typically include 12 numeric keys (0 to 9, *,,), multiple function keys, multiple cursor movement keys,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user can search for and store a desired phone number by selecting a call log or call log by operating a numeric key, a function key, a cursor movement key, and the like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104.

LCD 표시부(106)는 일반적으로 배터리(Battery)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각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 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LCD 표시부(106)는 하나의 화면에 가능한 각종 분류 기준과 선택된 분류 기준에 따른 착신 이력 또는 발신 이력을 디스플레이한다.The LCD display unit 106 generally displays an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ing a state of use of a battery, a reception strength of radio waves, a date and a time.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CD display unit 106 displays various sorting criteria and incoming or outgoing histories according to the selected sorting criteria possible on one screen.

데이터 저장부(108)는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프로그램 실행시 데이터 버퍼(Buffer)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키입력부(104)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외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수신되는 문자나 이미지(Image)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저장부(108)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착신 내역 및 발신 내역이 기 설정된 갯수까지 임시로 저장되어 있고, 착신 내역 또는 발신 내역이 기 설정된 갯수가 초과되면 먼저 저장된 순서대로 하나씩 삭제된다. 이는 먼저 삽입된 자료가 먼저 삭제되는(FIFO : First In First Out) 자료 구조인 대기열(Queue) 구조와 같은 원리이다.The data storage unit 108 generally serves as a data buffer when executing an operation progra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emporarily stores data input by the key input unit 104 or performs mobile communication from the outside. The terminal 100 stores data such as a text or an image received by the terminal 100.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storage unit 108 temporarily stores the incoming and outgoing detail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up to a preset number, and the incoming or outgoing history exceeds the preset number. First, they are deleted one by one in the order in which they were stored. This is the same principle as the Queue structure, which is the first In First Out (FIFO) data structure that is inserted first.

모드 상태 저장부(110)는 키입력부(104)에 의해 선택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현재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Flag)(0, 1, 2,...)로 저장한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착신 모드인지, 발신 모드인지, 착발신 이력 검색 모드인지, 저장 모드인지, 통화 모드인지 등을 구분하기 위해 각각의 모드마다 고유한 상태 플래그를 할당하여 모드 상태 저장부(110)를 갱신한다.The mode state storage unit 110 stores the current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lected by the key input unit 104 as a state flag (0, 1, 2, ...). That is, the microprocessor 114 sets a unique state flag for each mode to distinguish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an incoming mode, an outgoing mode, an incoming / outgoing call history search mode, a storage mode, or a call mode. The mode state storage unit 110 is updated by the allocation.

가입자 정보 저장부(112)에는 가입자(=사용자)의 등록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가입자 정보 저장부(112)는 카드 형태로 슬롯(Slot)에 삽입하도록 되어 있어 SIM 카드라고도 하는데,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통신망 사이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SIM 카드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개인 보안키,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작동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일반 유무선 전화번호, 상대방 정보 등)가 저장되어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장착된 이 SIM 카드를 빼내 다른 단말기에 장착하면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원이 켜지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SIM 카드에 있는 모든 정보를 이동 통신망과 주고받으며,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사용 승인이 떨어짐과 동시에 음성 통화 및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The subscriber information storage unit 112 stores registration information of a subscriber (= user). The subscriber information storage unit 112 is also called a SIM card because it is inserted into a slot in the form of a card, and performs an interface func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a communication network. The SIM card stores a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a personal security key, and various data (general wired / wireless telephone number, counterpart information, etc.)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You can remove the SIM card and attach it to another terminal to perform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That is, when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turn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s and receives all the information in the SIM car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o.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모드 상태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 플래그를 근거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키입력부(104)에 의해 착발신 이력의 검색 모드가 선택되면 프로그램 메모리(102)에 저장되어 있는 착발신 분류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입력된 분류 기준에 따라 착발신 이력의 분류 및 디스플레이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착발신 이력의 검색 모드가 선택되면 검색 모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모드 상태 저장부(110)로 전달하고, 분류 기준이 선택되면 해당 분류 기준 키값을 착발신 분류 프로그램으로 전달한다.The microprocessor 114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based on the state flag stored in the mode state storage unit 110. In particular, when the search mode of the incoming / outgoing call history is selected by the key input unit 104, the microprocessor 114 drives the incoming / outgoing call classif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program memory 102 and classifies and displays the incoming / outgoing call history according to the input classification criteria. Do the work. To this end, the microprocessor 114 generates a search mode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the search mode control signal to the mode state storage unit 110 when the search mode of the incoming / outgoing history is selected,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lassification criterion key value to the incoming / outgoing classification program whe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re selected. .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착발신 이력의 검색 모드 중 특정 착발신 항목에 커서가 위치해 있는 상태에서 통화 버튼이 선택되면 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통화 기능을 수행하고, 저장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전화번호를 가입자 정보 저장부(112)의 전화번호 영역에 저장한다.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를 베이스밴드 변환부(118)로 전송한다(TX DATA).In addition, the microprocessor 114 performs a call function by switching to the call mode when the call button is selected while the cursor is located at a specific call item among the search modes of the call history, and performs the call function when the save button is selected. Stored in the telephone number area of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12. Accordingly, the microprocessor 114 transmits the digital data for performing this function to the baseband converter 118 (TX DATA).

DSP(116)는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잡음 제거를 위한 이퀄라이저(Equalizer)로서 기능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이다. 또한, DSP(116)는 베이스밴드 변환부(118)와 음성 데이터(SPEECH)를 주고받으며, 베이스밴드 변환부(118)로부터 디지털 데이터(RX DATA)를 수신한다.The DSP 116 is a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that codes or decodes a speech signal, functions as an equalizer for multipath noise cancellation, and performs an acoustic data processing function. Also, the DSP 116 exchanges voice data SPEECH with the baseband converter 118 and receives digital data RX DATA from the baseband converter 118.

베이스밴드 변환부(1318)는 RF 신호 처리부(126)와 DSP(116), 스피커(120), 및 마이크로폰(122)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등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피커(120)는 베이스밴드 변환부(118)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며,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The baseband converter 1318 converts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RF signal processor 126 and the DSP 116, the speaker 120, and the microphone 122 into baseband signals, and converts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and the analog. -Performs functions such as digital conversion. The speaker 120 outputs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baseband converter 118 as an audible sound, and the microphone 122 converts a user's voice input into an electrical signal.

또한, 베이스밴드 변환부(118)는 전송 데이터(TXIQ)를 RF 신호 처리부(126)로 전달하며, RF 신호 처리부(126)의 전력(POWER)을 제어하거나 해당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한다(AGC). 그리고, RF 신호 처리부(126)로부터 수신 신호(RXIQ)를 전달받는다.In addition, the baseband converter 118 transmits the transmission data (TXIQ) to the RF signal processor 126, and controls the power (POWER) of the RF signal processor 126 or automatically controls the corresponding gain (AGC). . In addition, the RF signal processor 126 receives the received signal RXIQ.

안테나(124)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RF 신호 처리부(126)는 안테나(124)로 수신된 RF 신호를 복조 및 증폭하고 베이스밴드 변환부(118)로부터 인가되는 전송 신호를 변조하여 RF 신호 처리부(126)로 출력한다.The antenna 124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and the RF signal processor 126 demodulates and amplifies an RF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124 and modulates a transmission signal applied from the baseband converter 118 to perform an RF signal processor. Output to (126).

RF 신호 처리부(126)는 마이크로프로세서(114)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고주파 신호에 싣는 변조 과정을 수행하여 안테나(124)를 통해 전파 공간으로 송출하거나, 안테나(124)를 통해 수신되는 전파 신호를 복조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14)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RF signal processing unit 126 performs a modulation process of load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icroprocessor 114 to a high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radio space through the antenna 124 or demodulates the ra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24. To deliver to the microprocessor 114.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착신, 발신 및 통화 내역을 나타낸 예시 화면이다.2 is an exemplary screen diagram showing incoming, outgoing and call detail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lassified according to various classification criter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착신, 발신 및 통화 이력의 분류 기준으로 '전부', '저장', '오름', '내림', '시간', '역순', '일반', '이동', '신규', '외국'을 제공한다. 여기서, 분류 기준을 하나씩 정의하면 '전부'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이력 모두를 무작위로 디스플레이하는 항목이고, '저장'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전화번호 전부나 일부를 하나씩 또는 일괄적으로 도 1에서 설명한 가입자 정보 저장부(112)의 전화번호 저장 영역에 저장시키는 항목이다. 또한, '오름'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이력을 오름차순(Ascending Order)으로 분류하는 항목이고, '내림'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이력을 내림차순(Descending Order)으로 분류하는 항목이다.As can be seen from Figure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l', 'save', 'up', 'down', 'time' as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incoming, outgoing and call history ',' Reverse, 'general', 'move', 'new', 'foreign'. Here, whe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re defined one by one, 'all' is an item which randomly displays all the history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save' is one or a batch of all or part of the displayed phone numbers. This item is stored in the telephone number storage area of the subscriber information storage 112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n addition, 'ascending' is an item for classifying the history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ascending order, and 'Descending' is a descending order in descending order of the history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is item is classified as.

여기서, 오름차순이란 한글 자음의 'ㄱ' -> 'ㄴ' -> ... -> 'ㅎ' 순으로 이력을 분류하는 것이고, 내림차순은 이와 반대로 이력을 분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오름차순과 내림차순은 반대의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력에 한글 이외의 숫자, 이미지, 외국어(특히, 영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오름차순이나 내림차순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탑재되는 착발신 이력 분류 프로그램의 코딩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조 시에 오름차순을 이미지->숫자->한글->외국어의 순서로 정할 수도 있고, 이와 반대로 외국어->한글->숫자->이미지의 순서로 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Here, the ascending order is to classify the history in the order of 'a'-> 'ㄴ'-> ...-> 'ㅎ' of the Hangul consonants, the descending order is to classify the history in reverse. In additio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rder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the opposite meaning. On the other hand, when the histo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umbers other than Korean, images, and foreign languages (particularly English), the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is used for coding an incoming / outgoing call history classification program moun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ill be decided by. That is, when manufactur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ascending order may be determined in the order of image-> number-> Korean-> foreign language, or, conversely, in the order of foreign language-> Korean-> number-> image. .

한편, '시간'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이력을 시간 순으로 분류하는 항목이고, '역순'은 '시간' 항목과 반대로 이력을 분류하는 항목이다. 또한, '일반'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이력들 중 일반 유무선 전화번호만 따로 분류하는 항목이고, '이동'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이력들 중 이동통신 단말기(100)(휴대폰, 피디에이 등)의 전화번호만 따로 분류하는 항목이다.Meanwhile, 'time' is an item for sorting the history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chronological order, and 'reverse order' is an item for sorting the history as opposed to the 'time' item. In addition, 'general' is an item for classifying only general wired and wireless telephone numbers among the historie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moving'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mong the historie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100) (phone, PD, etc.) is a category that separates only the phone number.

마지막으로, '신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이력들 중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가입자 정보 저장부(112)의 전화번호 영역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전화번호만 따로 분류하는 항목이고, '외국'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이력들 중 국내 국선 전화번호나 MIN이 아닌 외국에서 사용되는 전화번호만 따로 분류하는 항목이다. 특히, '외국' 항목은 앞으로 IMT-2000 전용 단말기가 상용화되어 전세계적인 로밍(Roaming) 서비스가 제공되면 외국과의 전화 통화가 빈번해질 수 있으므로 유용한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Finally, 'new' classifies only new phone numbers that are not stored in the phone number area of the subscriber information storage unit 11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mong the history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parately. The item 'foreign' is an item that classifies only domestic phone numbers or phone numbers used in foreign countries other than MIN among the record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particular, the 'foreign' item may be used as a useful function since IMT-2000-only terminal is commercialized and a global roaming service is provided so that phone calls with foreign countries may be frequent.

도 2A의 예시 화면을 보면, 착신 이력이 오름차순으로 분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2A에 적용된 오름차순은 숫자->한글->외국어임을 알 수 있고, 숫자도 오름차순(0, 1, 2..)으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Looking at the example screen of Figure 2A, it can be seen that the incoming history is sorted in ascending order.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ascending order applied to FIG. 2A is numbers-> Korean-> foreign language, and the numbers are also in ascending order (0, 1, 2 ..).

도 2B의 예시 화면은 발신 이력들 중 MIN만을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물론, 도 2B의 예시 화면에는 국내의 모든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사용하는 MIN이 한꺼번에 디스플레이되고 있지만, 각 이동통신 사업자별로 발신 이력을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기능도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2B의 예시 화면에서 '이동' 항목이 선택되면 다음 단계로 각 이동통신 사업자의 선택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예컨대, 1. SKT(011, 017), 2. KTF(016, 018). 3. LGT(019)),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가 선택되면 해당되는 MIN만이 분류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반' 항목도 각 지역번호별(02, 031, 051, 062 등)로 이력을 재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기능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The example screen of FIG. 2B classifies and displays only MIN among the call histories. Of course, although the MIN used by all domestic mobile communication operators is displayed at once on the example screen of FIG. 2B, a function of classifying and displaying the calling history for each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may be provided. That is, when the 'move' item is selected in the example screen of FIG. 2B, a selection screen of each mobile operator is displayed in the next step (for example, 1. SKT (011, 017) and 2. KTF (016, 018). LGT (019)), when a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is selected, only the corresponding MIN may be classified and displayed. Similarly, the 'general' item may also provide a function of reclassifying and displaying the history for each area code (02, 031, 051, 062, etc.).

도 2C의 예시 화면은 통화 이력들 중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가입자 정보 저장부(112)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전화번호만을 분류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키입력부(104)를 통해 '신규' 항목의 키값이 입력되면 프로그램 메모리(102)에 저장되어 있는 착발신 분류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가입자 정보 저장부(112)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전화번호와 데이터 저장부(108)에 임시로 저장되어 있는 착발신 이력을 비교하여 새로운 전화번호만을 LCD 표시부(106)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킨다.The example screen of FIG. 2C classifies and displays only new telephone numbers which are not stored in the subscriber information storage 11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mong the call histories. To this end, when the key value of the 'new' item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4, the microprocessor 114 drives the incoming / outgoing classif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program memory 102 and stored in the subscriber information storage 112. All phone numbers and incoming / outgoing call history stored temporarily in the data storage unit 108 are compared to display only the new phone number through the LCD display unit 106.

한편,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도 2에서 예로 든 여덟 가지의 착발신 이력의 분류 기준 이외의 다른 분류 기준에도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other classification criteria other tha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eight kinds of incoming / outgoing histories illustrated in FIG.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착발신 이력을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arching an incoming / outgoing call histor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착신 이력, 발신 이력, 통화 이력 중 하나 이상의 이력을 확인하고 싶은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키입력부(104)에 구비되어 있는 소정의 기능키를 조작하여 착발신 이력 검색 기능을 선택한다(S300).A user who wants to check one or more of the incoming history, the outgoing history, and the call history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in FIG. 1 is the key input unit 10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 incoming / outgoing call history search function is selected by operating a predetermined function key provided at step S300.

키입력부(104)를 통해 착발신 이력 검색의 키값을 전달받은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모드 상태 저장부(110)의 플래그를 검색 모드 값으로 설정하고 검색 모드로 변경한다(S302).The microprocessor 114 that receives the key value of the incoming / outgoing history search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4 sets the flag of the mode state storage unit 110 to the search mode value and changes to the search mode (S302).

검색 모드로 변경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프로그램 메모리(102)에 저장되어 있는 착발신 이력 분류 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S304).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착발신 이력 분류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LCD 표시부(106)에는 착발신 이력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When the search mode is changed, the microprocessor 114 drives the incoming / outgoing call history classif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program memory 102 (S304). When the call origination history classification program is drive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call history log menu screen is displayed on the LCD display 106.

LCD 표시부(106)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착발신 이력 메뉴 화면의 착신 이력 모드, 발신 이력 모드, 통화 이력 모드 중 검색을 원하는 하나의 이력 모드 키값이 사용자에 의해 키입력부(104)를 통해 입력된다(S305).One history mode key value desired to be searched among the incoming history mode, the outgoing history mode, and the call history mode of the incoming / outgoing history menu screen displayed on the LCD display unit 106 is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4 (S305). .

LCD 표시부(106)를 통해 다양한 분류 기준 항목이 표시된 특정 이력 모드 화면에서 검색을 원하는 하나의 분류 기준 키값이 사용자에 의해 키입력부(104)를 통해 입력된다(S306).One sorting criteria key value desired to be searched on the specific history mode screen on which various sorting criteria items are displayed through the LCD display unit 106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4 by the user (S306).

키입력부(104)를 통해 특정 분류 기준 키값을 수신한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구동 중인 착발신 이력 분류 프로그램으로 수신한 분류 기준 키값을 넘겨주고, 착발신 이력 분류 프로그램은 넘겨받은 분류 기준 키값을 이용하여 데이터 저장부(108)에 저장되어 있는 착발신 이력을 분류한다(S308).The microprocessor 114 that receives the specific classification key value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4 passes the classification reference key value received to the call origination history classification program in operation, and the call origination classification program uses the received classification reference key value. The incoming / outgoing call histor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8 is classified (S308).

분류된 이력 목록은 마이크로프로세서(114)의 제어에 의해 LCD 표시부(106)에 디스플레이된다(S310). 따라서, 사용자는 키입력부(104)에 구비되어 있는 커서 이동키 등을 이용하여 LCD 표시부(106)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력 목록의 검색을 진행한다. 물론, 사용자는 이력 목록의 검색을 진행하는 도중 특정 이력 항목을 별도로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도 있다.The sorted history list is displayed on the LCD display unit 106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114 (S310). Accordingly, the user searches the history list displayed on the LCD display 106 by using a cursor movement key or the like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104. Of course, the user may separately store or delete a specific history item while searching the history list.

분류된 이력 목록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검색이 진행되는 동안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키입력부(104)를 통해 다른 분류 기준 키값이 입력되는지를 지속적으로 체크한다(S312).While searching is performed by the user on the sorted history list screen, the microprocessor 114 continuously checks whether another sorting reference key value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4 (S312).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단계 S312에서 다른 분류 기준 키값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 S308로 진행하여 입력된 분류 기준에 따라 이력 목록의 분류 작업을 다시 수행한다. 그렇지 않고,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단계 S312에서 다른 분류 기준 키값이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분류된 이력 목록의 검색 작업을 계속 진행한다(S314).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12 that another classification criterion key value is input, the microprocessor 114 proceeds to step S308 to perform classification work on the history list again according to the input classification criterion. Otherwis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12 that no other classification criteria key value is input, the microprocessor 114 continues the search operation of the sorted history list (S314).

마찬가지로, 분류된 이력 목록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검색이 진행되는 동안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키입력부(104)로부터 검색 모드 해제 키값이 입력되는지를 지속적으로 체크한다(S316).Similarly, while searching is performed by the user on the sorted history list screen, the microprocessor 114 continuously checks whether a search mode release key value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04 (S316).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단계 S316에서 검색 모드 해제 키값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착발신 이력 검색 모드를 해제한다(S318). 여기서, 착발신 이력 검색 모드의 해제는 착발신 이력 검색 모드가 아닌 다른 모드(대기 모드, 음성 통화 모드, 데이터 통신 모드 등)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가 전환되는 경우를 지칭한다. 단계 S316에서 사용자에 의해 착발신 이력 검색 모드가 해제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모드 상태 저장부(110)의 착발신 이력 모드의 플래그값을 전환될 모드의 플래그값으로 변경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arch mode release key value is input in step S316, the microprocessor 114 releases the call origin history search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318). Here, the release of the incoming call history search mode refers to a case where the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witched to a mode other than the incoming call history search mode (standby mode, voice call mode, data communication mode, etc.). When the call origination history search mode is released by the user in step S316, the microprocessor 114 changes the flag value of the call history history mode of the mode state storage unit 110 to the flag value of the mode to be switched.

그렇지 않고,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단계 S316에서 검색 모드 해제 키값이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단계 S314로 진행하여 분류된 이력 목록의 검색 작업을 계속 진행한다.Otherwis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16 that the search mode release key value is not input, the microprocessor 114 proceeds to step S314 to continue the search operation of the sorted history lis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that all description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착발신 이력을 검색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검색 자체가 거의 불가능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착발신 이력 검색 모드를 이용하여 편리하고 빠르게 원하는 착발신 이력을 검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earch the incoming and outgoing history using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but the search itself may be almost impossi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veniently and quickly the desired incoming and outgoing history by using various incoming and outgoing history search mode You can search for

또한,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는 착발신 이력을 검색 모드에서 한번에 하나씩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기능만을 제공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여러 개의 전화번호를 일괄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only a function of storing a call number in the search mode one at a time in a search mode,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collectively store several phone numbers.

Claims (14)

착신, 발신 및 통화와 관련된 이력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a history list related to incoming, outgoing and call, 상기 이력 목록을 검색하기 위한 이력 검색 모드를 설정하거나 해제하고, 상기 이력 검색 모드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이력 목록을 특정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서의 키입력부;A key input unit as data input means for setting or canceling a history search mode for searching the history list, and classifying the history list displayed in the history search mode according to a specific classification criterion;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이력 검색 모드 키값 및 분류 기준 키값을 전달받아 해석하고, 상기 이력 검색 모드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A micro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and interpret a history search mode key value and a classification reference key value from the key input unit, generate and transmit a control signal of the history search mode, and control an overall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 설정된 일정 갯수만큼의 착신 이력, 발신 이력 및 통화 이력을 임시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A data storage unit for temporarily stor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incoming calls, an outgoing call, and a call lo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분류 기준 키값에 따라 상기 착신 이력, 상기 발신 이력 및 상기 통화 이력을 분류하는 기능을 갖는 이력 분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A program memory for storing a history classification program having a function of classifying the incoming history, the outgoing history, and the call histor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reference key value received from the microprocessor;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된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정보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 저장부(SIM); 및A subscriber information storage unit (SIM) which stores one or more telephone numbers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of a user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and various data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력 분류 프로그램에 의해 분류된 이력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LCD 표시부LC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history list classified by the history classification program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및 발신 전화번호의 다양한 검색 및 저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ariety of search and storage functions of the incoming and outgoing phone number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이력 검색 모드 키값에 따라 작동 모드를 상기 이력 검색 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상기 검색 모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플래그(Flag)를 기 설정된 값으로 변경하여 저장하는 모드 상태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및 발신 전화번호의 다양한 검색 및 저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search mode control signal from the microprocessor in order to switch the operation mode to the history search mode according to the history search mode key value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and sets a fla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ariety of retrieval and storage of incoming and outgoing phone nu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ode state storage unit for changing and stor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력 검색 모드는 착신 이력 검색 모드, 발신 이력 검색 모드 및 통화 이력 검색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및 발신 전화번호의 다양한 검색 및 저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history search mod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ariety of search and storage function of the incoming and outgoing telephone nu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all history search mode, call history search mode and call history search mo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특정 분류 기준은 전부, 오름차순, 내림차순, 시간순, 역시간순, 일반 유무선 전화번호,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새로운 전화번호 및 외국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및 발신 전화번호의 다양한 검색 및 저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specific classification criteria are all, ascending, descending, chronological, reverse chronological, general wired or wireless telephone number, 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a variety of incoming and outgoing telephone number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new telephone number and foreign telephone numb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arch and storage function.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전부에 따라 분류된 이력 목록에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착신 이력, 상기 발신 이력 및 상기 통화 이력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및 발신 전화번호의 다양한 검색 및 저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history list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all has the various search and storage functions of the incoming and outgoing telephone numb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oming history, the outgoing history and the call history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are all included. Mobile terminal.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일반 유무선 전화번호에 따라 분류된 이력 목록은 전국의 각 지역국번별로 재분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및 발신 전화번호의 다양한 검색 및 저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history list classified according to the general wired / wireless telephone number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arious search and storage functions of incoming and outgoing telephone numbers, which can be reclassified by each local station number of the whole country.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MIN에 따라 분류된 이력 목록은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할당된 사업자 번호별로 재분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및 발신 전화번호의 다양한 검색 및 저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history list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I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ariety of retrieval and storage of incoming and outgoing telephone number,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reclassified by the operator number assign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새로운 전화번호에 따라 분류된 이력 목록은 상기 이력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전화번호들 중 상기 가입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전화번호만상기 LCD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및 발신 전화번호의 다양한 검색 및 저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Incoming and outgoing telephone numb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story list classified according to the new telephone number is displayed only on the LCD display of the telephone number not stored in the subscriber information storage unit among the telephone numbers included in the history lis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arious search and storage functio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폰, 피디에이(PD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및 발신 전화번호의 다양한 검색 및 저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mobile phon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ariety of retrieval and storage of incoming and outgoing telephone nu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DA (PDA). 이력 목록을 검색하기 위한 이력 검색 모드를 설정하거나 해제하고, 상기 이력 검색 모드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이력 목록을 특정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서의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이력 검색 모드 키값 및 분류 기준 키값을 전달받아 해석하고, 상기 이력 검색 모드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이력, 발신 이력 및 통화 이력을 임시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전달받는 상기 분류 기준 키값에 따라 상기 착신 이력, 상기 발신 이력 및 상기 통화 이력을 분류하는 기능을 갖는 이력 분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된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정보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 저장부;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력 분류 프로그램에 의해 분류된 이력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LCD 표시부를 구비하여 상기 이력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A key input unit as data input means for setting or canceling a history search mode for searching a history list, and classifying the history list displayed in the history search mode according to a specific classification criterion; A micro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and interpret a history search mode key value and a classification reference key value from the key input unit, and generate and transmit a control signal of the history search mode; A data storage unit for temporarily storing a reception history, an origination history, and a call hist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rogram memory for storing a history classification program having a function of classifying the incoming call history, the outgoing call history, and the call histor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reference key value received from the microprocessor; A subscriber information storage unit which stores one or more telephone numbers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of a user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and various data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LC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history list classified by the history classification program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wherein the history list is displayed. (a)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상기 이력 검색 모드 키값을 전달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기 이력 검색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a) the microprocessor conver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o the history search mode by receiving the history search mode key value through the key input unit; (b)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이력 분류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상기 분류 기준 키값을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전달받는 단계;(b) the microprocessor driving the history classification program and receiving the classification reference key value through the key input unit; (c) 상기 이력 분류 프로그램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분류 기준 키값에 따라 상기 이력 목록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이력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c) the history classification program classifying the history list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on key value received from the microprocessor, and displaying the classified history list; (d)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다른 분류 기준 키값이 입력되면 상기 다른 분류 기준 키값에 따라 상기 이력 목록의 분류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및(d) the microprocessor performing a classification operation of the history list according to the other classification criteria key value when another classification criteria key value is input; And (e)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상기 이력 검색 모드의 해제 키값이 입력되면 상기 이력 검색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e) canceling the history search mode when the release key value of the history search mode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및 발신 전화번호의 다양한 검색 및 저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ariety of search and storage functions of incoming and outgoing telephone number comprising a.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in step (b) 상기 분류 기준 키값은 전부, 오름차순, 내림차순, 시간순, 역시간순, 일반 유무선 전화번호, MIN, 새로운 전화번호 및 외국 전화번호 항목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키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및 발신 전화번호의 다양한 검색 및 저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The sorting key values are all, ascending, descending, chronological, reverse chronological, general wired and wireless telephone number, MIN, a new telephone number and a foreign telephone number, the key value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foreign telephone number items, characterized in that various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arch and storage function.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or 11, 상기 분류 기준 키값의 선택은 상기 키입력부에 구비되어 있는 커서(Cursor) 이동키의 조작을 통해서 커서가 상기 각각의 항목으로 이동됨으로서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및 발신 전화번호의 다양한 검색 및 저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The selection of the classification criteria key value may be performed by moving the cursor to each of the items through manipulation of a cursor movement key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Various retrieval and storage of incoming and outgoing telephone numbers may be performed.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unc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in step (c)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분류된 이력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저장 버튼 키값이 입력되면 커서 이동키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를 상기 가입자 정보 저장부의 전화번호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저장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및 발신 전화번호의 다양한 검색 및 저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The mobile terminal has a storage function of storing a telephone number selected by a cursor movement key in a telephone number storage area of the subscriber information storage unit when a storage button key value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while the classified history list is displayed.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arious search and storage functions of incoming and outgoing telephone numbers.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저장 기능은 상기 커서 이동키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기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 저장 영역에 하나씩 저장하는 기능 및 일괄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모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및 발신 전화번호의 다양한 검색 및 저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The storing function provides both a function of storing one or more of the telephone numbers selected by the cursor movement key in the telephone number storage area one by one, and a function of storing them collectively.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torage function.
KR1020020076074A 2002-12-02 2002-12-02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arching and Storing Sender's and Receiver's Telephone Numb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400482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074A KR20040048275A (en) 2002-12-02 2002-12-02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arching and Storing Sender's and Receiver's Telephone Numb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074A KR20040048275A (en) 2002-12-02 2002-12-02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arching and Storing Sender's and Receiver's Telephone Numb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275A true KR20040048275A (en) 2004-06-07

Family

ID=37343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074A KR20040048275A (en) 2002-12-02 2002-12-02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arching and Storing Sender's and Receiver's Telephone Numb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8275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052B1 (en) * 2005-03-24 2006-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 communication typ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92010B1 (en) * 2004-08-20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ommunication particulars and informa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0727356B1 (en) * 2004-09-20 2007-06-13 주식회사 팬택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Database of Communication Log and Method for Managing Human Connections by Using Same
KR100744929B1 (en) * 2005-06-10 2007-08-01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1066036B1 (en) * 2004-06-16 2011-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registering call number on telephone director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91434B1 (en) * 2004-06-16 2011-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registering phone number of short message
KR101493088B1 (en) * 2008-06-20 2015-02-12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i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plurality of phone-numbers registered in one category and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1338A (en) * 1997-07-18 1999-02-12 Kokusai Electric Co Ltd Portable telephone set
KR20010066456A (en) * 1999-12-31 2001-07-11 윤종용 Data search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020058618A (en) * 2000-12-30 2002-07-12 구자홍 Method for Searching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KR20030061549A (en) * 2002-01-14 2003-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a recipient/originating telephone number lis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1338A (en) * 1997-07-18 1999-02-12 Kokusai Electric Co Ltd Portable telephone set
KR20010066456A (en) * 1999-12-31 2001-07-11 윤종용 Data search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020058618A (en) * 2000-12-30 2002-07-12 구자홍 Method for Searching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KR20030061549A (en) * 2002-01-14 2003-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a recipient/originating telephone number lis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036B1 (en) * 2004-06-16 2011-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registering call number on telephone director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91434B1 (en) * 2004-06-16 2011-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registering phone number of short message
KR100692010B1 (en) * 2004-08-20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ommunication particulars and informa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0727356B1 (en) * 2004-09-20 2007-06-13 주식회사 팬택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Database of Communication Log and Method for Managing Human Connections by Using Same
KR100628052B1 (en) * 2005-03-24 2006-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 communication typ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44929B1 (en) * 2005-06-10 2007-08-01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7774026B2 (en) 2005-06-10 2010-08-10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1493088B1 (en) * 2008-06-20 2015-02-12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i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plurality of phone-numbers registered in one category and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13075A1 (en) Method of displaying call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dapted to display call information
US20050288926A1 (en) Network support for wireless e-mail using speech-to-text conversion
JP2005124234A (en) Telephone set
KR20000051317A (en) Method for displaying the current time of called party in portalbe mobile teminal
KR20050053278A (en) Method for searching short message in mobile phone
EP11535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nswering incoming emergency calls to a wireless phone
US8463268B2 (en) Mobile radio terminal apparatus
KR20040048275A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arching and Storing Sender&#39;s and Receiver&#39;s Telephone Numb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70001625A (en) Method for searching usage log of data service and voice communication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776110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character message fro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33147B1 (en) Method for saving contents of sms to report missed call in phone book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90590B1 (en) Mobile Terminal Transacting Number Recognizing Two-Number Automatically And Method Thereof
WO2004060004A1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st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70105596A1 (en) Real time caller information retrieval and display in dispatch calls
KR100977993B1 (en) Method for rejecting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0056987A (en) Method for searching telephone number in the order of frequency transmitting signal in mobile wireless telephone
KR20050027591A (en) Method for managing received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42731B1 (en) Method for processing message in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therefor
KR20040089237A (en) method for sending short message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group
KR100655967B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utomatic conversion function of dialing number and method thereof
KR2006006103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orting short message by name and method therefor
KR101075998B1 (en) Method for saving in a specific message receiving box receive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0244977A (en) Radio communication unit
KR100863040B1 (en) Method for selecting redial number
KR101134829B1 (en) Mobile terminal having a message search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