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7541A - Driving circuit of plasma display - Google Patents

Driving circuit of plasma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7541A
KR20040047541A KR1020030045875A KR20030045875A KR20040047541A KR 20040047541 A KR20040047541 A KR 20040047541A KR 1020030045875 A KR1020030045875 A KR 1020030045875A KR 20030045875 A KR20030045875 A KR 20030045875A KR 20040047541 A KR20040047541 A KR 20040047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gradation
block
subfiel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8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89312B1 (en
Inventor
오타하라마사유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47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5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312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lighting or sustain dischar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PURPOSE: A circuit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is provided to perform the detection of the moving by using a small amount of memory in comparison with a conventional circuit. CONSTITUTION: A circuit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includes a signal converter(1) and a false contour processing block. The signal converter(1) generates a lighting pattern for use in a lighting/non-lighting control of each of the sub-fields from the degree of gray level of the inputted image signals. And, the false contour processing block detects the image among the still image or the dynamic image by comparing the changes of the lighting pattern before and after and processing the false contour suppression by adjusting the lighting and non-lighting of the predetermined sub-fields in the lighting pattern when the dynamic image is detected.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DRIVING CIRCUIT OF PLASMA DISPLAY}Plasma Display Driver Circuit {DRIVING CIRCUIT OF PLASMA DISPLAY}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을 구동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sma display driving circuit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PDP).

최근, PDP는 휘도나 콘트라스트 향상 등의 화질 개선이 이루어져서, 대화면 평면 디스플레이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PDPs have been improved in image quality such as brightness and contrast, and are widely used as large-screen flat panel displays.

이러한 PDP에 있어서, AC형 PDP는 일반적으로 계조 표현을 하기 위해 화소의 점등 제어에 서브필드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In such a PDP, the AC type PDP generally uses a subfield method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of pixels to express gray scales.

그러나 서브필드 방식은, 원리상에 있어서 의사윤곽을 발생하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However, the subfield method is known to be easy to generate pseudo contours in principl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의사윤곽의 발생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4 and 5, the generation of the pseudo contour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4의 (a)에는 원래 점등되는 화소를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설정 기간이 있으므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스테인(점등 지속) 기간은 연속하지 않지만, 여기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어드레스 설정 기간이 생략되어 있다.In Fig. 4A, since there is an address setting period for selecting a pixel that is originally lit, the sustain (lighting duration) period is not continuous as shown in Fig. 6, but the address setting period is omitted here for the sake of simplicity. It is.

도면에서 각 서브필드의 서스테인 기간에서 각 화소를 구동하는 서스테인 신호에 있어서, 각 서스테인 신호의 강도(펄스 전압)가 동일하고 시간당 발광량이 동일하여, 시간폭(펄스폭)이 계조를 나타내기 위해서 제어된다.In the figure, in the sustain signal for driving each pixel in the sustain period of each subfield, the intensity (pulse voltage) of each sustain signal is the same and the amount of light emitted per hour is equal, so that the time width (pulse width) is controlled to show the gray scale. do.

이에 따라, 인간의 눈의 망막상에서는 간헐적인 도 4의 (a)의 발광이 시간적으로 적분되어 도 4의 (b)에 나타내는 휘도 상태로서 나타나기 때문에, 발광 시간(서스테인 기간의 합계치)이 길면 그 만큼 적분량이 증가하여 화면이 밝게 보이게 된다. 이에 따라, 서브필드에 의한 계조 표현이 행하여진다.Accordingly, in the retina of the human eye, the intermittent light emission of FIG. 4 (a) is integrated as time and appears as the luminance state shown in FIG. 4 (b), so that the longer the light emission time (the total value of the sustain period) is, The amount of integration increases and the screen looks bright. In this way, gradation expression by subfields is performed.

따라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스테인 신호에 의한 휘도(세로 축 방향)는 각 서브필드와 동일하다.Therefore, as shown in Fig. 4A, the luminance (vertical axis direction) by each sustain signal is the same as each subfield.

그리고 도 4의 (a),(b),(c)의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And the horizontal axis | shaft of (a), (b), (c) of FIG. 4 has shown time.

전술한 바와 같이, 계조 127 또는 계조 128 또는 기타 모든 계조에서도, 각각의 화상이 정지 화상일 때, 계속적으로 그 발광 스킴(scheme)이 반복하여 행해지는 한, 예를 들어 간헐적인 발광이었다고 해도 시간적인 적분효과에 의해, 정상적인 계조 제어가 행하여진다.As described above, even in gradation 127 or gradation 128 or all the other gradations, for example, even if it is intermittent luminescence as long as the emission scheme is repeatedly performed when each image is a still image, By the integration effect, normal gradation control is performed.

그러나 화상이 동화상일 때는, 이와 달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27 계조의 배경에서 128 계조의 물체(A)가 이동하는 경우, 즉, 앞부분(B)이 127 계조에서 128 계조로 변화하고, 뒷부분(C)이 128 계조에서 127 계조로 변화하도록 물체(A)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의사윤곽이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mage is a moving image, as shown in Fig. 5, when the object A of 128 gradations moves in the background of 127 gradations, that is, the front portion B changes from 127 gradations to 128 gradations. When the object A moves (rightward) such that the rear portion C changes from 128 gray scales to 127 gray scales, a pseudo contour occurs.

즉,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조 127의 발광에서 계조 128의 발광으로 변화하는 앞부분(B)에서는. 화소의 비발광 시간(T2)이 계조 127에서 계조 127로 변화하는 화소의 비발광 시간(T1)보다 길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4A, in the front portion B that changes from light emission of gradation 127 to light emission of gradation 128. The non-emission time T2 of the pixel becomes longer than the non-emission time T1 of the pixel that changes from gradation 127 to gradation 127.

이로 인하여, 도 4의 (b)의 3F(필드)의 기간에 있어서, 시간 T2에서의 망막상의 자극량이 시간 T1에 비교하여 대폭 저하된다. 따라서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간의 눈의 감도에서는, 계조 127에서 계조 128로 변화하는 앞부분(B)에서의 휘도가 실질적인 계조에 비해 저하되어 보이게 된다.For this reason, in the period of 3F (field) of FIG. 4B, the amount of irritation on the retina at time T2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ime T1. Therefore, as shown in Fig. 3C, in the sensitivity of the human eye, the luminance at the front portion B, which changes from gray scale 127 to gray scale 128, appears to be lower than the actual gray scale.

이에 따라, 이동하는 물체(A)의 앞부분(B)에 어두운 부분(의사윤곽)이 발생하게 된다.As a result, dark portions (pseudocontours) occur in the front portion B of the moving object A. FIG.

반대로, 뒷부분(C)에서는, 계조 128에서 계조127로 변화할 때, 실질적으로 발광하지 않는 기간이 매우 짧아지기 때문에, 즉 발광기간이 인접하기 때문에, 망막상의 자극량이 증가하여 휘도가 실질적인 계조에 비해 증가하여 보이게 된다.On the contrary, in the rear part C, since the period of substantially no light emission becomes very short when the gray level is changed from the gray level 128 to the gray level 127, that is, since the light emission period is adjacent, the amount of stimulation on the retina increases and the luminance is higher than that of the actual gray level. It increases in appearance.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제로 계조 128과 계조 127은 1계조밖에 다르지 않지만, 실제의 계조 차이에 비해 큰 휘도 차이로서 인간의 눈에 인식됨으로써, 의사윤곽이 발생하여 동화상의 품질을 악화된다.As described above, the gradation 128 and the gradation 127 are actually only one gradation, but are perceived by the human eye as a large luminance difference compared to the actual gradation difference, so that a pseudo contour occurs and the quality of the moving image is deteriorated.

이러한 의사윤곽의 발생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움직임 검출을 이용하여, 검출 결과에 대응시켜, 부호화 방법을 적응적으로 전환하여 동화부분의 계조를 보상하는 구성이 있다(비특허 문헌 1).As a method of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such pseudo contours, as shown in Fig. 7, there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gray scale of the moving picture portion is compensated by adaptively switching the cod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result by using motion detection. Patent Document 1).

즉, 비교부(101)는 메모리(100)에 기억되어 있는 직전 필드의 화소와 입력되는 필드의 화소를 비교하여 화소의 계조의 차를 구하고, 차이가 확인된 경우 그 화소가 변화하고 있다고 검출하여 동화라고 판정한다.That is, the comparison unit 101 compares the pixels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field stored in the memory 100 with the pixels of the input field, obtai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ay levels of the pixels, and detects that the pixels are changing when the difference is confirmed. It is determined as a fairy tale.

계조수 제어부(102)는 입력되는 화상의 계조도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 스킴이 연속하는 계조도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gradation number control unit 102 converts the gradation of the input image into a gradation of continuous light emission scheme as shown in FIG. 8 and outputs the gradation.

그리고 전환부(103)는 비교부(1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정지 화상의 경우 입력되는 계조도를 그대로 PDP의 구동 회로에 출력하고, 동화의 경우 계조수 제어부(102)에서 변환된 계조도를 PDP의 구동 회로로 출력한다.Then, the switching unit 103 outputs the gradation degree input in the case of a still image to the driving circuit of the PDP as it is by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mparing unit 101, and the gradation number converted in the gradation number control unit 102 in the case of moving pictures. The figure is output to the drive circuit of the PDP.

이때, 동화 부분에 있어서의 계조 회복을 위해 계수 회로나 지연 회로를 이용하여 오차 확산 루프를 구성하는 것과 같은 화상의 보상을 행한다.At this time, in order to recover the gradation in the moving picture portion, an image compensation such as an error diffusion loop is performed by using a coefficient circuit or a delay circuit.

<비특허 문헌 1>Non-Patent Document 1

카와하라 이사오(Kawahara Isao), 세키모토 쿠니오(Sekimoto Kunio), "고정세 PDP를 위한 동화 의사 윤곽 억제 방식의 개발", 2000년 영상 정보 미디어 학회 연차 대회, 강연 원고집, pp.369-370Kawahara Isao, Sekimoto Kunio, "Development of Fairy Tale Contour Suppression for Fixed-PDP," 2000 Korean Society for Visual Information Media, Lecture Manuscript, pp.369-370

이러한 종래예에서는, 각 필드 단위로 화상을 비교할 필요가 있으므로, 직전 필드에 있어서의 동일 위치의 화소의 발광 스킴을 검출(움직임을 검출)함으로써, 의사 화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In such a conventional example, it is necessary to compare images on a field-by-field basis, so that the pseudo image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by detecting (moving) the light emission scheme of the pixels at the same position in the immediately preceding field.

그러나 종래예에는 발광 스킴의 검출을 위해, 1 필드의 영상 신호(계조도)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용량을 필요로 하여, 기억 용량을 만족시키기 위한 기억 소자를 탑재해야 한다.However, the conventional example requires a storage capacity for storing a video signal (gradation degree) of one field in order to detect a light emission scheme, and requires a storage element for satisfying the storage capacity.

근래,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표시 화상의 세밀화 및 고해상도화가 진행되어 1 필드의 데이터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기억 용량도 이에 따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In recent years, miniaturization and high resolution of display images in displays have progressed, and the amount of data in one field has increased, and the storage capacity needs to increase accordingly.

그리고 탑재하는 기억 소자(메모리)의 용량이 증가하는 것은, 필드 간의 비교 처리를 행하지 않는 제품에 비해, 직접적으로 제품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된다.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memory element (memory) to be mounted causes a direct increase in product cost compared to a product that does not perform the comparison process between the fields.

또한 종래예에서는 움직임을 검출하는 경우에, 전후 필드 간에 있어서의 움직임 검출이 아니라 복수 필드에 있어서의 움직임 검출을 행함으로써 의사 윤곽의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필요로 하는 기억 용량이 또한 증가하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example, in the case of detecting motion, the pseudo contour suppression effect can be obtained by performing motion detection in a plurality of fields instead of motion detection between front and rear fields, but the required storage capacity also increases. .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보다 적은 기억 용량으로 움직임 검출을 행할 수 있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sma display driving circuit capable of detecting motion with a smaller storage capacity than in the prior 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plasma display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블록 변환부(2)가 각 점등 패턴을 분류하는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테이블의 일예이다.FIG. 2 is an example of a table showing a block configuration in which the block converting section 2 of FIG. 1 classifies each lighting pattern.

도 3은 도 1의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3 is a timing 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plasma display driving circuit of FIG. 1.

도 4는 종래예에 있어서의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4 is a timing chart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plasma display driving circuit in the conventional example.

도 5는 동화상에 있어서의 의사윤곽의 발생의 개념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generation of pseudo contours in a moving image.

도 6은 서브필드 방식의 필드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eld configuration of a subfield method.

도 7은 종래예에 따른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plasma display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8은 종래예에 따른 의사윤곽의 억제를 설명하는 서브필드의 점등 패턴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ghting pattern of a subfield for explaining suppression of pseudo contou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xample.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symbols in the drawings>

1 : 신호 변환부, 2 : 블록 변환부, 3 : 메모리1: signal converter, 2: block converter, 3: memory

4 : 비교부, 5 : 패턴 제어부4: comparison unit, 5: pattern control unit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하나의 필드를 복수의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상기 각 서브필드의 발광의 점등/비점등 제어에 의해 계조 표현을 행하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 있어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계조도로부터 상기 각 서브필드의 점등/비점등 제어에 이용하는 점등 패턴을 생성하는 신호 변환부와, 전후의 점등 패턴의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영상이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 중 어느 하나인지 검출하고, 동화상인 경우 상기 점등 패턴에 있어서의 소정의 서브필드의 발광 및 비발광을 조정하여, 의사윤곽 억제 처리를 행하는 의사윤곽 처리부(블록 변환부, 메모리, 비교부, 패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asma display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sma display driving circuit which divides one field into a plurality of subfields and performs gradation expression by lighting / non-lighting control of emission of each subfield. A signal converter which generates a lighting pattern used for lighting / non-lighting control of the respective subfields from the gradation diagram of the subfields is compared with a change in the lighting pattern before and after the image to detect whether the video i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Is a pseudo contour processing unit (block conversion unit, memory, comparison unit, pattern control unit) for performing pseudo contour suppression processing by adjusting the light emission and non-emission of a predetermined subfield in the lighting pattern. .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상기 의사윤곽 처리부가, 각 계조도에 대응하는 상기 점등 패턴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복수의 블록에 분류하여, 입력되는 계조도가 분류된 블록의 블록 번호를 출력하는 블록 변환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lasma display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seudo contour processing unit classifies the lighting pattern corresponding to each gradation degree into a plurality of block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and determines the block number of the block in which the input gradation degree is classified. It characterized by having a block conversion unit for outputting.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의사윤곽 처리부가, 하나의 프레임의 각 화소에 대응시켜 상기 블록 번호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asma display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seudo contour processing unit has 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block number in association with each pixel of one frame.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의사윤곽 처리부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블록 번호와 입력되는 영상 신호로부터 생성되는 블록 번호를 각 화소마다 비교하고, 동화상 여부를 판정하는 움직임 검출을 행하는 비교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lasma display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seudo contour processing unit compares a block numb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with a block number generated from an input video signal for each pixel, and performs motion detec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o move or not.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wealth.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의사윤곽 처리부가, 상기 비교부가 출력하는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필드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의 서브필드의 발광 및 비발광의 제어를 행하는 패턴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asma display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ttern control section in which a pseudo contour processing section controls light emission and non-light emission of a subfiel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field in response to a comparison result output from the comparison s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은, 이미 종래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6에 나타낸 하나의 필드를 복수의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각 서브필드의 발광의 점등/비점등 제어로 프레임에 있어서의 각 화소의 계조 표현을 행하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one field shown in FIG. 6 into a plurality of subfields as described in the conventional example, and expresses the gradation representation of each pixel in the frame by lighting / non-lighting control of light emission of each sub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sma display driving circui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AC형 PDP에 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계조도의 점등 패턴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블록화하고 이 블록 사이의 변화, 즉 의사윤곽이 발생하기 쉬운 점등 패턴 변화만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lasma display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sma display driving circuit for an AC type PDP, and in particular, blocks the lighting pattern of each gradation leve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and generates a change between the blocks, that is, a pseudo contour. It is the structure which detects only the lighting pattern change which it is easy to mak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영상 신호의 각 화소의 계조도가 변화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움직임 검출, 즉 전후 프레임 화상이 대응하는 화소의 계조도의 변화의 검출을 계조도 자체의 비교가 아니라 계조도가 포함되는 블록 번호의 비교로 행한다. 따라서 프레임 화상의 각 화소의 비교를 위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 용량이 종래예에 비해 대폭 삭감된다.Accordingly, the plasma display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motion detec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gradation of each pixel of the video signal has changed, that is, detecting the change in the gradation of the pixel corresponding to the before and after frame image. This is done by comparing the block numbers that contain the gradation diagram, not by comparing. Therefore, the memory capacity for storing data for comparison of each pixel of the frame image is great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exampl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소 단위에서 움직임 검출을 행하고, 이 움직임 검출의 결과에 기초하여, 검출된 화소의 계조도를 조정하고, 프레임 화상에 있어서의 의사윤곽을 억제하는 처리(의사윤곽 억제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가진다.The plasma display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motion detection in units of pixels as described above, and based on the result of the motion detection, adjusts the gray level of the detected pixel and adjusts the pseudo outline in the frame image. It has a function to perform a suppression process (pseudo contour suppression process).

여기서, 1 프레임 내에 있어서, 화소에서 계조도(블록 번호)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 그 화소는 움직임이 검출되었다고 해서 동화상 부분으로 되고, 화소에서 계조도(블록 번호)의 변화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그 화소는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해서 정지화상 부분으로 된다.Here, in one frame, when a change in the gradation degree (block number) is detected in a pixel, the pixel becomes a moving image part when the motion is detected, and when the change in the gradation degree (block number) is not detected in the pixel, The pixel becomes a still picture part because no motion is detect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plasma display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에서, 신호 변환부(1)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예를 들면, RGB(레드/그린/블루의 3원색 이용) 방식의 디지털 데이터)의 화소마다의 계조도(표시 계조)에 대응하여, 각 서브필드의 점등/비점등 제어에 이용되는 점등 패턴을 룩업 테이블 등을 이용한 변환 처리에 따라 생성한다.In this figure, the signal converter 1 corresponds to the gradation level (display gradation) for each pixel of an input video signal (e.g., digital data of RGB (using three primary colors of red, green, and blue)). Then, a lighting pattern used for lighting / non-lighting control of each subfield is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a conversion process using a lookup table or the like.

즉, 신호 변환부(1)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각 화소의 계조도를 도 2의 테이블에 나타낸 점등 패턴으로 변환한다.That is, the signal converter 1 converts the gradation of each pixel of the input video signal into the lighting pattern shown in the table of FIG.

도 2는 256 계조 표시 시에 실제로 표시되는 계조와 점등되는 서브필드의 조합을 나타내는 점등 패턴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Fig. 2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ghting pattern which shows the combination of the gray scale actually displayed and 256 sub-fields which are actually displayed at the time of 256 gray scale display.

즉, 신호 변환부(1)는 도 2에서와 같이 점등 기간이 상이한 각 서브필드의 조합에 따라, 계조도를 점등/비점등의 제어를 행하는 점등 패턴으로 변환한다.That is, the signal converter 1 converts the gradation degree into a lighting pattern for controlling lighting / non-lighting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each subfield having a different lighting period as shown in FIG.

도 2에서는 서브필드의 번호가 클수록 계조도가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In FIG. 2, the larger the number of the subfield is, the higher the gradation is.

블록 변환부(2)는, 프레임 단위(표시 화면 단위)로, 각 화소마다의 계조도에 대응하여 변환된 상기 점등 패턴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블록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블록 변환부(2)는 각 점등 패턴마다 이 점등 패턴이 분류되어 속하는 블록의 블록 번호를 출력하고, 이 블록 번호를 각 화소에 대응시켜 메모리(3)에 저장한다.The block conversion unit 2 classifies the lighting pattern, which is conver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gradation degree for each pixel in frame units (display screen units), into a plurality of blocks as shown in FIG. 2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The block converting section 2 outputs the block number of the block to which the lighting pattern is classified for each lighting pattern, and stores the block number in the memory 3 in association with each pixel.

이로 인해, 블록 변환부(2)에는 상기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등 패턴이 복수의 블록으로 분류되어 있다.For this reason, the lighting pattern is classified into the several block by the block conversion part 2 based on the said predetermined rule as shown in FIG.

예를 들면, 도 2의 예에서는 256 계조를 나타내는 점등 패턴에 있어서, 계조도가 높은 서브필드의 변화점을 각 블록의 구분으로서 이용하고 있다.For example, in the example of FIG. 2, the change point of the subfield with high gradation is used as a division | segmentation of each block in the lighting pattern which shows 256 gradations.

즉, 도 2에서는, 계조도를 표현하는 점등 패턴에서 점등 상태로 되어 있는 각 서브필드에 있어서, 가장 점등 기간이 긴 서브필드(계조도가 높은 서브필드)에 따라 각 점등 패턴이 분류되는 블록 구성이 설정되어 있다.That is, in Fig. 2, in each subfield that is in the lighting state in the lighting pattern representing the gradation degree, each block pattern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ubfield with the longest lighting period (the subfield with the high gradation degree). Is set.

이로 인해, 도 2의 각 점등 패턴에 있어서, 블록 0은 서브필드 번호 1까지가 점등되는 계조도 0,1로 구성되어 있다.For this reason, in each lighting pattern of FIG. 2, the block 0 is comprised by the gradation degree 0,1 to which subfield number 1 is lit.

블록 1은 가장 높은 계조도의 서브필드로서 서브필드 번호 2가 점등되고 있는 것(계조도 2, 3)이다.Block 1 indicates that subfield No. 2 is lit as the subfield of the highest gradation degree (gradations 2 and 3).

블록 2는 가장 높은 계조도의 서브필드로서 서브필드 번호 3이 점등되고 있는 것(계조도 4에서 7까지)이다.Block 2 indicates that subfield No. 3 is lit as the subfield of the highest gradation degree (gradations 4 to 7).

블록 3은 가장 높은 계조도의 서브필드로서 서브필드 번호 4가 점등되고 있는 것(계조도 8에서 15까지)이다.Block 3 indicates that subfield No. 4 is lit (the gradations 8 to 15) as the subfield of the highest gradation degree.

블록 4는 가장 높은 계조도의 서브필드로서 서브필드 번호 5가 점등되고 있는 것(계조도 16에서 31까지)이다.Block 4 indicates that subfield No. 5 is lit as the subfield of the highest gradation degree (gradations 16 to 31).

블록 5는 가장 높은 계조도의 서브필드로서 서브필드 번호 6이 점등되고 있는 것(계조도 32에서 63까지)이다.Block 5 shows that subfield No. 6 is lit as the subfield of the highest gradation degree (gradations 32 to 63).

블록 6은 가장 높은 계조도의 서브필드로서 서브필드 번호 7이 점등되고 있는 것(계조도 64에서 127까지)이다.Block 6 indicates that subfield No. 7 is lit as the subfield of the highest gradation degree (gradation degrees 64 to 127).

블록 7은 가장 높은 계조도의 서브필드로서 서브필드 번호 8이 점등되고 있는 것(계조도 128에서 255까지)이다.Block 7 indicates that the subfield No. 8 is lit as the subfield of the highest gradation degree (gradation degree 128 to 255).

상기 도 2의 분류는 일예이며, 각 블록의 단락을 어느 점등 패턴으로 할지, 각각의 블록에 포함되는 점등 패턴의 범위를 어느 정도로 할지 및 점등 패턴을 분류하는 블록의 수(분류수)를 몇 개로 할지는, 의사윤곽의 억제 처리의 정도 및 해상도/계조도 등의 조건에 따라 임의로 결정된다.The classification of FIG. 2 is an example, and which lighting pattern is used as a short circuit of each block, to what extent is the range of lighting patterns included in each block, and how many blocks (classification numbers) classify lighting patterns? The haze is arbitrari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such as the degree of suppression processing of pseudo contour and the resolution / gradation degree.

비교부(4)는 메모리(3)에 기억된 이전에 입력된 프레임(예를 들면, 직전의 프레임, 또는 하나 걸러서 비교할 수도 있음)의 각 화소의 점등 패턴의 블록 번호와 입력되는 프레임의 각 화소의 영상 신호로부터 생성되는 점등 패턴의 블록 번호를 각 화소마다 비교하고, 계조도가 변화하였는지 여부(동화상 부분 또는 정지 화상 부분 중 어디인지)를 판정하는 움직임 검출을 행한다.The comparator 4 is a block number of a lighting pattern of each pixel of a previously input frame (for example, the previous frame or every other one) stored in the memory 3 and each pixel of the input frame. The block number of the lighting pattern generated from the video signal of D is compared for each pixel, and motion detection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gray level has changed (either the moving image portion or the still image portion).

예를 들면, 비교부(4)는 입력되는 프레임의 각 화소의 영상 신호로부터 생성되는 점등 패턴의 블록 번호와 메모리(3)에 기억된 직전의 프레임을 비교하는 경우에, 전후 프레임의 각 화소의 블록 번호를 비교하면 되므로, 의사 윤곽 억제 처리의 효과가 향상된다.For example, the comparing unit 4 compares the block number of the lighting pattern generated from the video signal of each pixel of the input frame with the immediately preceding frame stored in the memory 3, so as to compare each pixel of the front and rear frames. Since the block numbers can be compared, the effect of the pseudo contour suppression process is improved.

또한 비교부(4)는 점등 패턴에 있어서의 블록 간의 이동이 어느 블록 사이에서 행해졌는지에 대응하여, 각 화소의 계조도의 변경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패턴 제어부(5)로 출력한다.In addition, the comparator 4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pattern control unit 5 instructing the change of the gradation degree of each pixel in correspondence to which block the movement between blocks in the lighting pattern is performed.

패턴 제어부(5)는, 도 3의 타이밍 차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부(4)의 비교 결과에 대응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각 화소의 계조도를 조정하고 조정한 계조도를 PDP로 출력하여, 필드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의 서브필드의 발광 및 비발광 제어를 하고, PDP를 구동시켜 화상 표시를 행한다.As shown in the timing chart of FIG. 3, the pattern control unit 5 adjusts the gradation degree of each pixel to the PDP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son unit 4. It outputs, light emission and non-emission control of the subfield of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field are performed, and an image display is performed by driving a PDP.

다음,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n operation example of the plasma display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도 3의 타이밍 차트에서 종축은 휘도를 나타내고 횡축은 시각을 나타내며, 실제로는 각 서브필드의 앞에 어드레스 설정 기간이 있지만, 도 4의 (a)와 같이 생략되어 있다.In the timing chart of Fig. 3,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luminance and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ime. In reality, although an address setting period precedes each subfield, it is omitted as shown in Fig. 4A.

신호 변환부(1)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각 화소의 계조도를 점등 패턴으로 변환하고 이 점등 패턴을 블록 변환부(2)로 출력한다.The signal converter 1 converts the gradation of each pixel of the input video signal into a lighting pattern and outputs the lighting pattern to the block converter 2.

예를 들면, 영상 신호가 RGB 방식의 디지털 신호이며, 레드/그린/블루의 3원색이 각각 256계조로 표시되고, 각각 8비트의 데이터량이라면 전체 24비트의 신호가 입력된다.For example, the video signal is an RGB digital signal, and three primary colors of red, green, and blue are each displayed in 256 gray levels, and if the data amount is 8 bits each, a total of 24 bits signals are input.

이로 인해, 신호 변환부(1)는 24비트로 입력되는 RGB 방식의 영상 신호를 레드/그린/블루의 각각 8비트로 분리하여, 각 원색의 계조도를 각각 점등 패턴으로서 블록 변환부(2)로 출력한다.For this reason, the signal converter 1 separates the RGB-type video signal input by 24 bits into 8 bits of red, green, and blue, respectively, and outputs the gray level of each primary color as a lighting pattern to the block converter 2, respectively. do.

그리고 블록 변환부(2)는 입력되는 3원색 각각의 점등 패턴을 각 원색마다 도 2에 나타낸 블록으로 각각 분류한다.The block converting section 2 classifies the lighting patterns of the input three primary colors into the blocks shown in Fig. 2 for each primary color, respectively.

다음에, 블록 변환부(2)는 점등 패턴마다 분류된 각 원색의 블록의 블록 번호를 각 원색마다 메모리(3)에 저장하는 동시에 이 각 원색의 블록 번호를 비교부(4)로 출력한다.Next, the block converting section 2 stores the block numbers of the blocks of the primary colors classified for each lighting pattern in the memory 3 for each of the primary colors and outputs the block numbers of the primary colors to the comparison section 4.

여기서, 도 2에서 블록을 블록 0∼7의 8종류로 하고 있으므로, 각 원색의 블록 번호가 3비트로 각각 표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블록 변환부(2)는 9비트의 블록 번호 데이터를 메모리(3)에 저장하는 동시에 비교부(4)로 출력한다.Here, in FIG. 2, the blocks are made of eight types of blocks 0 to 7, so that the block numbers of the primary colors can be represented by 3 bits, respectively. Therefore, the block converter 2 stores 9-bit block number data in the memory 3 and outputs it to the comparator 4.

이에 따라, 비교부(4)는 입력되는 점등 패턴과 메모리(3)로부터 판독한 직전 프레임의 점등 패턴과의 비교, 즉 전후 필드의 블록 번호의 비교를 3원색마다 독립적으로 행한다.As a result, the comparison unit 4 independently compares the lighting pattern inputted with the lighting pattern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frame read out from the memory 3, that is, the block number of the front and rear fields, independently for every three primary colors.

이때, 3원색마다, 비교부(4)가 메모리(3)로부터 비교를 위한 점등 패턴의 블록 번호를 판독할 때마다, 블록 변환부(2)는 차례로 대응하는 위치의 화소의 점등 패턴의 블록 번호를 덮어 써서, 변환한 점등 패턴의 블록 번호를 저장해 나간다.At this time, every time each of the three primary colors, the comparison unit 4 reads the block number of the lighting pattern for comparison from the memory 3, the block converting unit 2 in turn blocks the block number of the lighting pattern of the pixel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verwrite the block number of the converted lighting pattern.

이에 따라, 메모리(3)에는 비교가 행해질 때마다 새로운 각 프레임의 점등 패턴의 블록 번호가 기억되어지게 된다.As a result, the block number of the lighting pattern of each new frame is stored in the memory 3 each time a comparison is made.

이하, 3원색 각각에 대해 동일한 동작이 행하여지므로 원색의 종류를 나타내지 않지만, 3원색 모두에 대하여 동일한 처리가 행하여진다.Hereinafter, since the same operation is performed for each of the three primary colors, the kind of the primary colors is not shown, but the same processing is performed for all three primary colors.

그리고 예를 들면, 도 3의 타이밍 차트에 있어서, 계조 127의 2F(필드) 번째부터 계조 128의 3F 번째로 이행하는 경우에는, 종래예에 기재했던 바와 같이 거의 같은 계조도였다고 해도 비점등 기간이 길어지므로 계조도의 저하가 인간의 눈에는 느껴진다.For example, in the timing chart of FIG. 3, when the transition from the 2F (field) th of the gradation 127 to the 3F th of the gradation 128 is performed, the non-illumination period occurs even if the gradation is almost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conventional example. As it becomes longer, the decrease in gradation is felt in the human eye.

이로 인해, 도 4의 (c)와 같이, 실질적인 계조도가 저하하여 도 5의 물체(A)의 앞부분(B)이 어두운 의사윤곽으로 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For this reason, as shown in (c) of FIG. 4,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substantially gray level from decreasing so that the front portion B of the object A of FIG. 5 becomes a dark pseudo outline.

여기서, 비교부(4)는 메모리(3)의 블록 번호(블록 6)와 블록 변환부(2)로부터 출력되는 블록 번호(블록 7)를 비교한다. 비교부(4)가 필드 사이의 비점등 기간이 길다고 판정한 경우, 즉 블록 6(계조도 127)으로부터 블록 7(계조도 128)로 계조도가 변화되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제어 신호를 패턴 제어부(5)로 출력한다. 이 제어 신호는, 2F 번째와 3F 번째의 비점등 기간의 서브필드에서 소정의 위치의 서브필드를 점등시키도록, 점등 패턴에 새로 점등될 서브필드를 삽입하는 처리를 명령하는 신호이다.Here, the comparing unit 4 compares the block number (block 6) of the memory 3 with the block number (block 7) output from the block converting unit 2. When the comparison unit 4 determines that the non-lighting period between the fields is long, that is, when it detects that the gray level is changed from block 6 (gradation 127) to block 7 (gradation 128), the control signal is patterned. Output to the control part 5 is carried out. This control signal is a signal for instructing a process of inserting a subfield to be newly lit in the lighting pattern so as to light the subfiel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subfields of the 2F th and 3F th non-lighting periods.

이에 따라, 패턴 제어부(5)는 전술한 2F(필드) 번째로부터 3F 번째로 이행하는 경우, 서브필드 1∼7의 사이에서 어느 하나의 서브필드를 소정의 서브필드로서 점등시키도록 계조도를 조정한다(비점등 기간에 애드 펄스(add pulse)를 삽입). 그리고 패턴 제어부(5)는 조정한 계조도의 영상 신호(RGB 방식의 화상 신호)를 PDP로 출력하여 필드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의 서브필드의 발광 및 비발광의 제어를행하고, PDP를 구동시켜 화상을 표시한다.As a result, the pattern control unit 5 adjusts the gradation so as to light any one subfield as a predetermined subfield between the subfields 1 to 7 when shifting from the 2F (field) th to the 3F th described above. (Add pulse in non-lighting period). The pattern control unit 5 outputs the adjusted gradation image signal (RGB system image signal) to the PDP to control light emission and non-emission of the subfiel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field, and to drive the PDP. Display an image.

이에 따라, 계조 127로부터 계조 128로 변화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긴 비점등 기간에 점등하는 서브필드가 존재하는 것에 의해 시간적 적분에서 인간의 망막상에서의 자극량의 저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예와 같이 실질적으로 계조도가 저하하지(인간이 느끼는 휘도가 낮아지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의사윤곽을 억제할 수 있다.As a result, even in the case of changing from gradation 127 to gradation 128, the presence of a subfield that lights up in a long non-lighting period can reduce the decrease in the amount of stimulation on the human retina in time integration. Therefore, since the gradation is not substantially lowered (the luminance felt by human beings is lowered) as in the conventional example, the pseudo contour can be suppressed in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3의 타이밍 차트에서, 계조 128의 3F 번째로부터 계조 127의 4F 번째로 이행하는 경우(움직임 검출에 의해 화소의 계조도가 변화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종래예에 기재한 바와 같이 거의 같은 계조도였다고 해도, 비점등 기간이 극단적으로 짧아서 인간의 눈에는 계조도가 높게 느껴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timing chart of Fig. 3, when transitioning from the 3F th of the gradation 128 to the 4F th gradation of the gradation 127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gradation of the pixel is changed by the motion detection), as described in the conventional example Even with the same gradation level, the non-lighting period is extremely short, so the gradation level is felt high in the human eye.

이로 인해 시간적 적분에 의한 자극량이 높아져, 실질적인 계조도(인간의 느끼는 휘도)가 상승하여, 도 5의 물체(A)의 뒷부분(C)이 밝은 의사윤곽으로 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As a result, the amount of stimulation caused by temporal integration is increased, the actual gray level (luminance felt by human being) is increased, and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rear portion C of the object A of FIG. 5 from becoming a bright pseudo contour.

여기서, 비교부(4)는 메모리(3)의 블록 번호「블록 7」와 블록 변환부(2)로부터 출력되는 블록 번호「블록 6」를 비교한다. 비교부(4)가 필드 사이의 비점등 기간이 소정의 기간보다 짧다고 판정한 경우, 즉 블록 7(계조도 128)로부터 블록 6(계조도 127)으로 계조도가 변화되는 경우에는, 제어 신호를 패턴 제어부(5)로 출력한다. 이 제어 신호는 3F 번째와 4F 번째의 점등 기간의 서브필드에서 소정의 위치의 서브필드를 비점등시키도록, 점등 패턴으로부터 점등되는 서브필드를 솎아내는(점등되는 서브필드 중 어느 하나를 비점등으로 하는) 처리를 명령하는 신호이다.Here, the comparing unit 4 compares the block number "block 7" of the memory 3 with the block number "block 6" output from the block converting unit 2. When the comparison unit 4 determines that the non-illumination period between the fields is shorter than the predetermined period, that is, when the gradation degree is changed from block 7 (gradation degree 128) to block 6 (gradation degree 127), the control signal is returned. Output to the pattern control part 5 is carried out. This control signal removes the subfields to be lit from the lighting pattern (non-lighting any of the lit subfields) so as to make the subfields of the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subfields of the 3F th and 4F th lighting periods non-lit. Is a signal for processing.

이에 따라, 패턴 제어부(5)는 전술한 3F 번째로부터 4F 번째로 이행하는 경우, 서브필드 1∼7의 사이에서 어느 하나의 서브필드를 솎아내는 처리를 해서 소정의 서브필드를 비점등으로 하여, 점등 패턴에서 계조도의 조정을 행한다. 그리고 패턴 제어부(5)는 조정된 계조도의 영상 신호를 PDP(도시하지 않음)로 출력하여, 필드에서 소정의 위치의 서브필드의 발광 및 비발광의 제어를 하고, PDP를 구동시켜 화상을 표시한다.Accordingly, when the pattern control section 5 shifts from the 3F th to the 4 th th mentioned above, the pattern control section 5 performs a process of removing any subfield among the subfields 1 to 7 to make the predetermined subfield non-lighting, The tone is adjusted in the lighting pattern. The pattern control unit 5 outputs the adjusted gradation image signal to a PDP (not shown), controls light emission and non-emission of a subfiel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field, and drives the PDP to display an image. do.

이에 따라, 계조 128로부터 계조 127로 변화하는 경우에도, 연속하여 점등되는 서브필드에 비점등 서브필드가 존재하는 것에 의해, 시간적 적분에서 인간의 망막상에서의 자극량의 상승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예와 같이 실질적으로 계조도가 상승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의사윤곽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a result, even when the gray level is changed from the gray level 128 to the gray level 127, the non-lighting subfield is present in the continuously lit subfields,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stimulation on the human retina in time integration. Therefore, since the gray scale does not substantially increase as in the conventional example, the pseudo contour can be suppres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비교부(4)는 도 3에서와 같이 1F 번째로부터 2F 번째로의 이행할 때, 블록 번호「블록 6」가 변화하지 않는 것을 검출하면, 즉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는 화소인 것을 검출하면, 계조도의 조정을 행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패턴 제어부(5)로 출력한다.When the comparison unit 4 detects that the block number &quot; block 6 &quot; does not change when transitioning from the 1F th to the 2F th as in Fig. 3, i.e., detects that the pixel is not detected motion, A control signal indicating that the figure is not adjusted is output to the pattern control unit 5.

이에 따라, 패턴 제어부(5)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각 화소의 계조도를 조정하지 않고 PDP로 출력한다.Accordingly, the pattern control unit 5 outputs to the PDP without adjusting the gradation of each pixel of the input video signal.

전술한 처리를 3원색 모두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행함으로써, 계조도 127과 계조도 128과 같이 가까운 계조도이지만, 서브필드 방식의 특성에 의해 인간의 망막상의 자극량이 대폭 변화되어 인간의 눈에서 발생하는 의사윤곽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By independentl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on all three primary colors, the gradation of the human retina is greatly chang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field system, but the gradation of the human retina is greatly chang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field system. It is possible to suppress pseudo contours.

또한 패턴 변환부(2) 및 비교부(4)는, 처리 속도나 회로 규모의 제한 등에 따라, 3원색을 따로 병렬 처리하는 회로 구성 또는 하나의 회로로서 순차 시계열 처리를 하는 회로 구성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ttern converting unit 2 and the comparing unit 4 may use either a circuit configuration for parallel processing of three primary colors or a circuit configuration for sequentially time series processing as one circuit depending on the processing speed or the limitation of the circuit scale. It is available.

전술한 바와 같이, 움직임 검출에 이용된 영상 신호를 RGB 방식의 데이터로서 각각 256계조(8비트) (전체 3×8비트=24비트)로 가정하고, 해상도를 VGA (640×480)로 가정하면, 종래에는 총 24(비트)×640×480=7372800(비트)의 기억 용량의 메모리가 필요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ssuming that the video signal used for motion detection is RGB data, each of 256 gray levels (8 bits) (3 × 8 bits = 24 bits), and the resolution is VGA (640 × 480). Conventionally, a total memory capacity of 24 (bits) x 640 x 480 = 7722800 (bits) is required.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RGB 방식의 데이터로서 블록 수가 각각 8종(블록 0∼7의 8종을 식별하기 위해서 3비트가 필요)이므로 (전체 3×3비트=9비트), 해상도를 종래예와 같이 VGA로 하면, 총 9(비트)×640×480=2764800(비트)의 기억 용량이 필요하게 되므로, 종래의 37.5%의 메모리의 용량이면 된다.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8 types of blocks (3 bits are required to identify 8 types of blocks 0 to 7) as data of the RGB method (all 3x3 bits = 9 bits), the resolution is conventionally known. If VGA is used as in the example, a total of 9 (bits) x 640 x 480 = 2764800 (bits) of storage capacity is required, so a conventional 37.5% of memory capacity is required.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움직임 검출을 행하는 회로의 메모리의 용량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회로 전체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plasma display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reatly reduce the capacity of the memory of the circuit for performing motion detection and can reduce the cost of the entire circu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비교부(4)에서의 움직임 검출을, 전후 프레임에서 대응하는 각 화소마다의 블록 번호를 비교(대소 비교)해서 행한다. 따라서 종래 방법과 같이 계조도의 각 비트 단위에서 자릿수 올림 또는 자릿수 내림을 개별적으로 검출하지 않고 또한 비교 결과 그자체를 제어 신호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패턴 제어부(5)에 대하여, 의사 윤곽 억제를 목적으로서, 점등 패턴, 즉 계조도에 대하여 점등 서브필드의 삽입 및 비점등 서브필드의 설정을 행하는 조정을 간략 또한 정확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sma display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motion detection in the comparing section 4 by comparing (case comparison) the block numbers for respective pixels in the front and rear frames. Therefore,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rounding up or down is not individually detected in each bit unit of the gradation level, and the comparison itself can be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purpose of suppressing pseudo contours, the pattern control unit 5 can easily and accurately adjust the lighting pattern, that is, the insertion of the lighting subfield and the setting of the non-lighting subfield for the gray scal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의사윤곽의 억제를 위해 움직임 검출을 행하는 경우에, 종래의 움직임 검출 방법과 같이 전후의 프레임 사이에서 대응하는 위치의 화소의 계조도의 차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점등 패턴을 분류한 블록의 블록 번호로 움직임 검출을 행하기 때문에, 프레임 단위에 있어서 화소마다 계조도를 기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종래예에 비해 보다 적은 기억 용량으로 움직임 검출을 행할 수 있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tion detection is performed for suppressing the pseudo contour, the difference in the gradation degree of the pixel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not used between the frames before and after the conventional motion detection method. Since motion detection is performed by the block number of the block which classifies the lighting pattern, it is not necessary to store the gradation level for each pixel in the frame unit.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 plasma display driving circuit which can perform motion detection with a smaller storage capacity than the conventional example.

Claims (5)

하나의 필드를 복수의 서브필드로 분할하고, 상기 각 서브필드의 발광의 점등/비점등 제어에 의해 계조를 표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 있어서,A plasma display driving circuit which divides one field into a plurality of subfields and expresses a gray scale by lighting / non-lighting control of light emission of each subfield.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계조도로부터 상기 각 서브필드의 점등/비점등 제어에 이용되는 점등 패턴을 생성하는 신호 변환부, 그리고A signal conversion unit for generating a lighting pattern used for lighting / non-lighting control of the respective subfields from the gradation diagram of the input video signal, and 전후의 점등 패턴의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영상이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 중 어느 하나인지 검출하고, 동화상으로 검출한 경우 상기 점등 패턴에 있어서의 소정의 서브필드의 발광 및 비발광을 조정하여 의사윤곽 억제 처리를 하는 의사윤곽 처리부By comparing the changes in the lighting patterns before and after, detecting whether the video i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when detecting the moving image, adjusts the emission and non-emission of a predetermined subfield in the lighting pattern to suppress pseudo contour. Pseudocontour processing unit to process 를 포함하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Plasma display driving circuit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의사윤곽 처리부는,The pseudo contour processing unit, 각 계조도에 대응하는 상기 점등 패턴을 소정의 규칙에 따라 복수의 블록으로 분류하여, 입력되는 계조도가 분류된 블록의 블록 번호를 출력하는 블록 변환부를 포함하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And a block converting unit for classifying the lighting pattern corresponding to each gray level into a plurality of block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and outputting a block number of a block in which the input gray level is classified.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의사윤곽 처리부는, 하나의 프레임의 각 화소에 대응하여 상기 블록 번호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포함하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And the pseudo contour processing unit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block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pixel of one fram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의사윤곽 처리부는,The pseudo contour processing unit,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블록 번호와 입력되는 영상 신호로부터 생성되는 블록 번호를 각 화소마다 비교하여, 동화상 여부를 판정하는 움직임 검출을 행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And a comparison unit for comparing the block numb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with the block number generated from the input video signal for each pixel and performing motion detection for judging moving images. 제4항에 잇어서,In accordance with claim 4, 상기 의사윤곽 처리부는,The pseudo contour processing unit, 상기 비교부가 출력하는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필드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의 서브필드의 발광 및 비발광의 제어를 행하는 패턴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And a patter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light emission and non-emission of the subfiel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field, in response to a comparison result output by the comparison unit.
KR1020030045875A 2002-11-26 2003-07-07 Driving circuit of plasma display KR10058931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42212 2002-11-26
JP2002342212A JP4012812B2 (en) 2002-11-26 2002-11-26 Plasma display drive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541A true KR20040047541A (en) 2004-06-05
KR100589312B1 KR100589312B1 (en) 2006-06-14

Family

ID=32704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875A KR100589312B1 (en) 2002-11-26 2003-07-07 Driving circuit of plasma displa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012812B2 (en)
KR (1) KR10058931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629B1 (en) * 2004-08-10 2011-02-23 톰슨 라이센싱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the detected degree of motion in video
KR20180002318U (en) 2018-07-11 2018-07-31 박태종 Holder for stay bar for a fishing rod on the shi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4722B2 (en) 2004-12-06 2013-12-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JP2007147790A (en) * 2005-11-25 2007-06-14 Hitachi Displays Lt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6530B2 (en) 1998-09-18 2009-01-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Moving image pseudo contour reduction method for image display device
KR20010058723A (en) * 1999-12-30 2001-07-06 박종섭 Driving device and method of AC plasma display pane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629B1 (en) * 2004-08-10 2011-02-23 톰슨 라이센싱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the detected degree of motion in video
US8624980B2 (en) 2004-08-10 2014-01-07 Thomson Lic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the detected degree of motion in video
KR20180002318U (en) 2018-07-11 2018-07-31 박태종 Holder for stay bar for a fishing rod on the s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77563A (en) 2004-06-24
KR100589312B1 (en) 2006-06-14
JP4012812B2 (en) 200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0579B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47351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gray scale display with subframes
KR100359980B1 (en) Plasma panel display device
KR20010052785A (en) Image Display Apparatus
JP3758294B2 (en) Moving picture correction method and moving picture correction circuit for display device
JP2001083926A (en) Animation false contour compensating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it
KR100799893B1 (en) Method of and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in sub-fields
JP2001154631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gradation in pdp
KR100472483B1 (en) Method for reducing a false contour and apparatus therefor
US2007022271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00352954A (en) Method for processing video image in order to display on display device and device therefor
JP2001034229A (en) Picture display device
JPH09258688A (en) Display device
KR100589312B1 (en) Driving circuit of plasma display
JP2010134304A (en) Display device
US2023000540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JP4759209B2 (en) Image display device
JP2008165045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KR100502929B1 (en) A method for displaying pictures on plasma display panel and an apparatus thereof
KR20050116074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416143B1 (en) Gray Scale Display Method for Plasma Display Panel and Apparatus thereof
EP1732055B1 (en) Display device
JP2008281631A (en) Image processor,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0529073B1 (en) Circuit and method of processing image and device of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using plasma display panel
JP2001282183A (en) Gradation control device for pd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