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6342A -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웨이를 통합하기 위한 장치 및그에 의한 신호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웨이를 통합하기 위한 장치 및그에 의한 신호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6342A
KR20040046342A KR1020020074248A KR20020074248A KR20040046342A KR 20040046342 A KR20040046342 A KR 20040046342A KR 1020020074248 A KR1020020074248 A KR 1020020074248A KR 20020074248 A KR20020074248 A KR 20020074248A KR 20040046342 A KR20040046342 A KR 20040046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ignal
processor
packet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5128B1 (ko
Inventor
이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브텍
Priority to KR10-2002-0074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5128B1/ko
Publication of KR20040046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128B1/ko

Links

Landscapes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웨이를 통합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의한 신호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종단점(SEP : Signaling End Point)으로부터의 SS7(Signaling System no.7)메시지를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메시지로 재작성하여 변환 서브시스템으로 출력하고, 상기 변환 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 IPC메시지를 SS7메시지로 재작성하여 상기 신호종단점으로 송신하는 신호중계기 서브시스템과, 상기 신호중계기 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 IPC메시지를 IP패킷으로 재작성하여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으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 IP패킷을 IPC메시지로 재작성하여 상기 신호중계기 서브시스템으로 출력하는 상기 변환 서브시스템과, 상기 변환 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 IP패킷을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로 재작성하여 차세대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차세대망으로부터 수신되는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를 IP패킷으로 재작성하여 상기 변환 서브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웨이 사이에 SS7링크가 아닌 IP로 정합하게 되므로, 통신선로 구축비용을 절감할수 있고, SS7 프로토콜의 제약을 받지 않고 신호게이트웨이를 구축할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웨이를 통합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의한 신호처리 방법{APPARATUS FOR INTEGRATING SIGNALING TRANSFER POINT(STP) WITH SIGNALING GATEWAY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IN}
본 발명은 일반전화망과 차세대통신망을 연동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웨이를 통합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의한 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제전기통신연합의 전기통신 표준화부문(ITU-T)에서 표준화한 공통선(CCS : Common Channel Signaling) 신호방식인 No.7 신호방식은 가입자간의 호 접속 및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통신망을 운용 관리하기 위한 각종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방식이다.
이러한 No.7 신호방식의 프로토콜 구조를 살펴보면, 범용성을 높이기 위해 신호의 전송 제어와 오류 정정, 신호망의 보안 조치 등을 분담하는 망 서비스부인 메시지 전달부(MTP: Message Transfer Part), 신호 연결 제어부(SCCP: 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 전화 교환과 데이터 교환 등 응용 분야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계되는 사용자부인 종합 정보 통신망 사용자부(ISUP: ISDN(Integrated Service Data Network) User Part), 문답 처리 기능부(TC: Transaction Capabilities), 그 외 이동망, 지능망 사용자부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시지 전달부(MTP)는 신호점 상호간에 송수신되는 No.7 신호 관련 메시지를 신뢰성 있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부로서, 신호 트래픽 전달과 사용자부 분배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 메시지 처리부와, 신뢰성 있는 신호 메시지 전달을 위해 신호망에 속한 모든 제원(신호 링크, 신호 링크셋, 신호점, 신호 루트)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제원들간의 관계에 일치성을 유지하고 신호망 형상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망 관리부로 구성된다
상기 No.7 신호방식은, 음성이나 데이터 등을 전달하기 위한 통신회선과는 별도로 해당 제어신호만을 분리하여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신호 링크를 사용함에 따라 신호처리속도를 향상시킬수 있고,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에 대한 다양한신호 내용을 데이터화하여 하나의 신호단위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신호단위의 길이는 데이터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통신망의 제어를 위한 신호 전달 및 각종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NO.7 신호망은 크게 사용자에 의해 발생한 신호 메시지를 발신 또는 착신하거나 전달하는 신호점(SP : Signaling Point)과, 해당 신호점 사이를 연결하는 논리적 정보 전송로인 신호 링크(SL :Signaling Link)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신호점에는 메시지를 발신 또는 착신하는 신호종단점(SEP : Signaling End Point)과, 하나의 쌍으로 구성되어 한 신호 링크에서 다른 신호 링크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신호중계점(STP : Signaling Transfer Point)이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종단점에는 신호 메시지를 발생한 발신점(OP : Originating Point)과 신호 메시지의 목적지인 착신점(DP : Destination Point)이 있다. 한편, 해당 신호 링크들의 집합을 신호 링크셋(LS : Signaling LinkSet)이라 하고, 신호점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경로를 신호 루트(SR : Signaling Route)라 하며, 한 신호 목적점에 대해 루팅 경로인 신호 루트들의 집합을 신호 루트셋이라 한다.
즉, 상기 No.7 신호망은 상술한 신호점과, 신호 링크, 신호 링크셋, 신호 루트에 대한 제원 데이터로 구성되며, 발신점에 의해 발생된 신호 메시지를 착신점으로 향하는 신호 링크셋의 특정 신호 링크를 통해 전달하여(루팅이라 함) 호 접속 및 서비스 요구를 수행하게 된다.
현재, 일반 공중전화망에서 음성 전화서비스와 다이얼-업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일반 전화망 교환기는 음성 트래픽을 제공하기에 적합하게 설계되어 있어서, 인터넷 트래픽이 증가함에 따라서 그 효용가치가 감소하고 있으며, 서서히 통신망에서 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서 기존 일반 전화망은 물론 IP 망과 무선망을 통합하고 음성, 데이터 그리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는 새로운 패킷 기반의 차세대 통신망의 구축이 추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통선 신호방식 프로토콜을 차세대 통신망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Th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 IETF)에서는 일반전화망과 인터넷 망을 접속할 때 사용되는 Q.931, SS7 ISUP, MTP2, MTP3과 같은 SS7(Signaling System no.7) 신호를 IP 네트워크에 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신호 적응 표준 및 변환된 신호 프로토콜을 올바르게 전달하는 SIGTRAN(Signaling Transport) 프로토콜을 표준화했다. 상기 SIGTRAN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Q.931, ISUP 메시지 등의 일반전화망 신호를 IP환경인 차세대 통신망 노드로 전달할수 있다.
상기 SIGTRAN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일반전화망과 차세대 통신망간의 신호를 연결하는 장치를 신호게이트웨이라 하며, 신호게이트웨이는 일반전화망 접속을 위한 SS7신호 프로토콜과 차세대전화망 접속을 위한 SIGTRAN 프로토콜 그리고 두 프로토콜간의 인터워킹 기능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신호게이트웨이는 일반 전화망의 No.7 신호메시지를 차세대통신망의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로 변환하고, 차세대통신망의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를 일반전화망의 No.7 신호메시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세대 통신망을 구축하는 경우 소프트스위치(SSW)의 최대 호성능에 발생하는 신호메시지를 처리할수 있도록 신호게이트웨이를 설치해야 하며신호게이트웨이 성능 및 망 구성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소프트스위치와 신호게이트웨이는 1 : 1, 1:N, N:N의 형태로 구성되어야 한다.
일반 전화망에서 차세대 통신망으로 진화하기 위하여 두 망을 연동하는 경우, 일반 신호망의 신호 중계기와 신호게이트웨이 사이는 신호링크로 연결되며, 소프트스위치의 최대 호성능에 발생하는 신호메시지를 처리할수 있는 용량의 신호링크가 설치되어야 한다. 그런데 SS7 프로토콜의 두 신호점간의 No.7 링크개수가 16개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소프트스위치의 최대 호 성능처리를 위해서는 신호중계기(상기 신호중계점에 해당하는 장비)와 신호게이트웨이 사이에 다중신호점 기능을 사용하거나 신호게이트웨이를 추가 설치해야 한다. 즉,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웨이간에 연결되는 No.7신호링크를 구축하기 위하여 많은 회선 및 설치비용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웨이를 통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호게이트웨이의 기능을 포함하는 신호중계기 장치 및 그 신호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를 내부 LAN인터페이스를 통해 정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호중계기의 내부버스에 IPC메시지를 IP메시지로변환하기 위한 통신인터페이스변환 모듈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변환 모듈과 신호게이트웨이를 IP로 정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일반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의 신호중계기(STP : Signal Transfer Point)와 차세대망(NGN : Next Generation Network)의 신호게이트웨이(signaling gateway)를 통합하기 위한 장치가, 신호종단점(SEP : Signaling End Point)으로부터의 SS7(Signaling System no.7)메시지를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메시지로 재작성하여 변환 서브시스템으로 출력하고, 상기 변환 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 IPC메시지를 SS7메시지로 재작성하여 상기 신호종단점으로 송신하는 신호중계기 서브시스템과, 상기 신호중계기 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 IPC메시지를 IP패킷으로 재작성하여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으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 IP패킷을 IPC메시지로 재작성하여 상기 신호중계기 서브시스템으로 출력하는 상기 변환 서브시스템과, 상기 변환 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 IP패킷을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로 재작성하여 차세대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차세대망으로부터 수신되는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를 IP패킷으로 재작성하여 상기 변환 서브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일반전화망(PSTN)의 신호중계기(STP)내에 신호게이트웨이를 통합하기 위한 장치가, 상기 신호중계기의 내부버스에 연결되며, 상기 내부버스를 통해 입력되는 IPC메시지를 IP패킷으로 재작성하여 신호게이트웨이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게이트웨이로부터의 IP패킷을 IPC메시지로 재작성하여 상기 내부버스로 출력하는 변환모듈과, 상기 변환모듈과 L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변환모듈로부터의 IP패킷을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로 재작성하여 차세대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차세대망으로부터의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를 IP패킷으로 재작성하여 상기 변환모듈로 전달하는 상기 신호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견지에 따르면, 일반전화망(PSTN)의 신호중계기(STP)와 차세대망(NGN)의 신호게이트웨이(signaling gateway)가 통합된 시스템에서, 상기 일반전화망으로부터 수신되는 SS7메시지를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차세대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이, 제1프로세서가, 상기 일반전화망의 신호종단점(SEP)으로부터 수신되는 SS7(Signaling System no.7)메시지를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메시지로 재작성하여 IPC버스를 통해 제2프로세서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제2프로세서가, 상기 버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IPC메시지를 IP패킷으로 재작성하여 LAN인터페이스를 통해 제3프로세서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제3프로세서가, 상기 L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IP패킷을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로 재작성하여 차세대망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견지에 따르면, 일반전화망(PSTN)의 신호중계기(STP)와 차세대망(NGN)의 신호게이트웨이(signaling gateway)가 통합된 시스템에서, 상기 차세대망으로부터 수신되는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를 SS7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일반전화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이, 제1프로세서가, 상기 차세대망으로부터 수신되는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를 IP패킷으로 재작성하여 LAN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프로세서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제2프로세서가, 상기 LAN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IP패킷을 IPC메시지로 재작성하여 IPC버스를 통해 제3프로세서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제3프로세서가, 상기 IPC버스를 통해 수신되는 IPC메시지를 SS7메시지로 재작성하여 상기 일반전화망의 신호종단점(SEP)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웨이가 통합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구성중 주요 프로세서들 사이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에서 설명한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필요한 프로세스(process)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TCP패킷의 헤더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제어패킷(control packet)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심플패킷(simple packet)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컴플렉스패킷(complex packet)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웨이가 통합된 시스템에서 수신되는 SS7메시지를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로 변환하여 송신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웨이가 통합된 시스템에서 수신되는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를 SS7메시지로 변환하여 송신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통합시스템 2 : 차세대망
3 : SSW 4 : NGN EMS
5 : SEP 10 : 신호중계기 서브시스템
11 : SMHP 12 : HCIU
13 : SNMP 20 : 통신인터페이스변환 서브시스템
21 : IPIP 30 :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
31 : SGP 32 : SGOP
40 : 허브 50 : 허브
60 : SGMP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기 운용중인 신호중계기에 신호게이트웨이 기능을 통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신호중계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신호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두 프로세서 사이의 통신을 위한 통신인터페이스변환 모듈을 포함하게 된다. 이 통신인터페이스변환 모듈은 신호중계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로부터의 IPC메시지를 IP메시지(TCP패킷)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럴 경우, 기 운용중인 신호중계기를 재사용 할수 있으며 서비스 중단이나소프트웨어 변경없이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웨이 시스템을 통합할수 있다. 또한,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웨이 사이를 SS7 링크가 아닌 IP로 정합함으로써 통신선로 구축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SS7 프로토콜의 제약을 받지 않고 신호게이트웨이를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웨이가 통합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합 시스템은, 크게 신호중계기 서브시스템(10), 통신인터페이스변환 서브시스템(20) 및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신호중계기 서브시스템(10)은 SMHP(11), HCIU(12) 및 SNMP(1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변환 서브시스템(20)은 IPIP(2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30)은 SGP(31) 및 SGOP(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합 시스템은,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변환 서브시스템(20)과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30) 사이에 송수신되는 패킷을 해당 목적지로 스위칭하기 위한 허브(40)와,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30)과 차세대망(2) 사이에 송수신되는 패킷을 해당 목적지로 스위칭하기 위한 허브(50)와, 운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서브 시스템(SGMP)(60)을 포함한다.
한편, 참조부호 3은 소프트스위치(SSW)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4는 차세대망(NGN) 장비관리시스템(EMS : Element Management System)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차세대망(2)과 상기 소프트스위치(3)는 SIGTRAN 프로토콜로 연결되고,상기 차세대망(2)과 상기 차세대망 장비관리시스템(4)은 Q3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여기서, Q3 인터페이스는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로, CMIP(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 COBR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로 정의될 수 있다.
상세히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신호메시지처리 프로세서(SMHP : signaling Message Handling Processor)(12)는 신호종단점(11)으로부터의 SS7메시지(L3 메시지)를 분석하고, 차세대망(NGN)으로 전달해야할 메시지로 판단된 경우 상기 SS7메시지를 프로세서간통신(IPC : 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메시지로 변환하여 고속통신인터페이스부(HCIU : High Communication Interface Unit)(12)로 출력하고, 상기 고속통신인터페이스부(12)로부터의 IPC 메시지를 SS7메시지로 변환하여 해당 신호종단점(5)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IPC 메시지는 EROS(Enhanced Real time Operating System)레벨에서 작성되고 해석되며, 네트워킹을 위해 기본적으로 메시지를 발생하는 프로세서 아이디(ID) 정보와 메시지를 수신하는 프로세스 아이디(ID)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중계기 서브시스템(10)에는 복수의 상기 신호메시지처리 프로세서(11)들이 존재하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신호메시지처리 프로세서간 또는 신호메시지처리 프로세서와 다른 프로세서간 통신은 고속통신인터페이스부(12)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고속통신인터페이스부(12)는 입력되는 IPC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 목적지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신호종단점으로부터 수신한 SS7메시지의 정보를 가진 IPC메시지는 변환 프로세서(21)로 전달된다. 신호망관리 프로세서(SNMP : Signaling Network management Processor)(13)는 신호망(signaling Network)관리를 담당한다.
상기 변환 프로세서(IPIP : IPc-to-Ip Processor)(21)는 상기 신호중계기 서브시스템(10)과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30)을 연결하는 서브시스템으로, 상기 신호중계기 서브시스템(10)과는 상기 고속통신인터페이스부(12)를 통해 IPC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30)과는 LAN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즉, 상기 IPIP(21)은 상기 신호중계기 서브시스템(10)으로부터 수신되는 IPC메시지를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30)으로 송신하고, 역으로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30)으로부터 수신되는 TCP패킷을 해석하여 IPC메시지로 재구성하여 상기 신호중계기(10)로 송신한다. 상기 IPIP(21)과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30) 사이에 TCP패킷을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IP어드레스와 포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유일한 네트워킹 요소가 결정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IPIP(21)은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1)가 수신한 메시지를 단순 트래픽 메시지, 운용관리 메시지 등으로 구분하여 처리할수 있도록, 신호중계기 서브시스템(10)으로부터 수신한 IPC메시지의 IPC시그널 아이디(ID)를 단순 트래픽 메시지, 운용관리 메시지 등으로 매핑한후 TCP패킷에 인캡슐(encapsulation)하여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1)로 전달한다. 성능 개선을 위해 TCP패킷 대신 UDP(User Datagram Protocol) 및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메시지를 사용하거나 UDP, SCTP 메시지와 TCP 메시지를 혼용하여 사용할수 있다.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SGP : Signaling gateway Processor)(31)는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30)의 핵심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로, 신호중계기 서브시스템(10)으로부터 수신한 일반전화망(PSTN) 기반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IP기반의 시그널링 메시지로 변환하여 SIGTRAN(Signaling Transport) 프로토콜을 통해 차세대통신망(NGN : Next Generation Network)으로 전달하고, 역으로 차세대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IP기반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일반전화망 기반의 시그널링 메시지로 변환하여 신호중계기 서브시스템(1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일반전화망 기반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IP기반의 시그널링 메시지로 변환하는 기술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IETF에서 표준화한 SIGTRAN 프로토콜에 근거하고 있다.
이외에,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1)는 운용관리 메시지(장애, 통계 등)를 구분하여 신호게이트웨이운용 프로세서(32)로 보고하고, 필요한 경우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2)로부터 운용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이 경우,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1)는 장애, 통계 등의 운용관리 아이템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해 상기 신호게이트웨이운용 프로세서(32)를 통해 원격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을 수행할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1)는 TCP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의 상태변화 및 이벤트(event) 발생을 상기 신호게이트웨이운용 프로세서(32)로 보고하고, 상기 신호게이트웨이운용 프로세서(32)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 경우,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1)와 신호게이트웨이운용 프로세서(32) 사이는IP 어드레스와 포트 번호로 이루어지는 유일한 네트워킹 요소가 결정되어야 한다.
상기 신호게이트웨이운용 프로세서(32)는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30)의 운용관리를 위한 프로세서로, 데이터베이스(DB : Database) 서버의 역할을 주로 담당한다. 운용자 단말기(PC : Personal computer)에 의해 전달되는 명령어를 해석하여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1)로 전달하고, 그 결과를 상기 운용자 단말기(PC)로 반환하는 MMC (Man Machine Communication) 인터페이스 기능 및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1) 운용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신호게이트웨이운용 프로세서(32)는 운용자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운용자 인터페이스의 각종 요구를 수용할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운용자 단말기는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GUI ; Graphic User Interface)로 운용되며, 상기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하는 일반 이벤트(event)성 요구와 스트링(string)으로 입력되는 MMC를 동시에 수용할수 있어야 하며, 각각 별도의 TCP연결로 구현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신호게이트웨이운용 프로세서(32)는 운용자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원격 SQL(운용자 단말기의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 또는 MMC로 요청되는 데이터베이스 정보검색 및 갱신 등)을 처리할수 있어야 한다.
즉, 상기 신호게이트웨이운용 프로세서(32)는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2) 및 운용자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원격 SQL에 대하여 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거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정보를 독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게이트웨이운용 프로세서(32)와 데이터베이스 간의 인터페이스는 솔라리스(solaris) 오퍼레이팅 시스템(OS : operating system)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프로세서는 IP링크 및 스위치로 이중화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한 시스템(프로세서)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이중화된 IPIP(21)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고속통신인터페이스부(12)를 통한 IPC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중화된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1)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신호게이트웨이운용 프로세서(32)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고, 서비스 절체 및 페어(pair) 시스템의 메모리 정보 복사 등 긴급을 요하는 상황에서는 직접적인 TCP 인터페이스를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이중화된 신호게이트웨이운용 프로세서(32) 사이 및 이중화된 운용자 단말기(PC)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TCP 인터페이스를 기본으로 한다.
도 2는 도 1의 구성중 주요 프로세서들 사이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메시지처리 프로세서(12)와 변환 프로세서(21) 사이는 프로세서간통신(IPC)으로 연결된다. 상기 변환 프로세서(21)와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1) 사이는 TCP(UDP, SCTP)로 연결된다.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1)와 차세대망(NGN)은 SIGTRAN 프로토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1)와 신호게이트웨이운용 프로세서(32) 사이는 ODBC(Open DataBase Connectivity) 및 TCP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게이트웨이운용 프로세서(32)와 운용자단말기(33) 사이는 DBC(Open DataBase Connectivity), MMC를 위한 TCP 및 OAM을 위한 TCP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술한 내용을 근거로 프로세서간 인터페이스를 정리하면 하기 <표1>과 같다.
SMHP IPIP SGP SGOP PC DataBase
SMHP IPC IPC - - - -
IPIP IPC IPC TCP(UDP,SCTP) - -
SGP - TCP(UDP,SCTP) (TCP) ODBC, TCP - -
SGOP - - ODBC, TCP TCP ODBC, TCP1,TCP2 Solaris OS
PC - - - ODBC, TCP1,TCP2 - -
DataBase - - - Solaris OS - -
상기 도 1의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 운용중인 신호중계기(예 : SMX-10)의 내부버스에 IPC메시지를 IP메시지(TCP패킷)로 변환하는 모듈(IPIP)을 연결하고, 상기 모듈과 신호게이트웨이 기능을 하는 서브 시스템을 IP로 정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30)이 기존 운용중인 신호 중계기와 내부 버스로만 연결되므로, 소프트스위치의 최대 호성능 처리를 위해서 신호 중계기와 신호 게이트웨이간에 SS7 링크용량을 고려한다거나, SS7 프로토콜 제약에 따라 추가로 신호 게이트웨이를 신설할 필요가 없다. 단지, SIGTRAN 처리 모듈인 SGP만을 증설함으로써 신호게이트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킬수 있다.
도 3은 도 1에서 설명한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30)을 구동하기 위한 필요한 프로세스(process)들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신호게이트웨이운용 프로세서(32)에는 운용자 명령어를 처리하는 MMI(211), 데이터 베이스 프로세스 Mysql(212), 신호게이트웨이 전체 프로세스를 총괄하는 SGsm(213)이 탑재된다.
그리고,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1)에는 운용자를 위한 GUI프로그램이 탑재되고, SGP 프로세스들을 관리하는 SGpm(214), 프로세스 상태를 확인하는 chkclnt(215), 프로세스 구동을 담당하는 runclnt(217), 프로세스 종료를 담당하는 killclnt(216), 신호게이트웨이 초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SGinm(218), 레벨 3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SCTP(219), SIGTRAN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M3UA(MTP 3 User Adaptation layer, 220), SS7과 SIGTRAN 사이의 변환을 담당하는 IWF(InterWorking Function)프로세스(221), 레이어 관리를 담당하는 LM(222) 등이 탑재된다. 프로세스들은 TCP/IP 소켓(Socket)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프로세스의 상태 관리는 공유메모리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동작을 살펴보면, 시스템이 부팅되면 SGsm(213)과 SGpm(214)이 가장 먼저 구동되고, 각각 형상 파일을 읽어 자신이 관리해야 할 프로세스를 검색하고, 해당 프로세서가 구동되어 있는지 검사한 후 구동시킨다.
이후, 구동된 프로세서들은 SGsm(213)과 SGpm(214)중 자신을 관리할 프로세스와 상태를 송수신할 공유메모리를 생성하고 주기적으로 자신의 상태를 알린다. 상기 SGsm(213)과 SGpm(214)은 공유메모리를 통해 지신이 관리하는 프로세스들의 상태를 수신하고, SGpm(214)은 SGOP(32)의 SGsm(213)으로 자신이 탑재되어 있는 프로세서 내의 다른 프로세스들의 상태를 알린다. 그러면, 상기 SGsm(213)은 SGP(31)의 SGpm(214)으로부터 수신된 프로세스들의 상태를 수신하여 다른 프로세서 내에 프로세스들의 상태를 관리하고, 변경이 발생하면 이를 MMI블록(211)을 통해 SGMP(60)의 GUI를 통해 운용자에게 보고한다. 또한 운용중 시스템 운용 관리를 위하여 프로세스의 상태변화가 필요한 경우, 운용자는 SGMP(60)의 GUI를 통해 명령하면 SGOP(32)의 MMI(211)를 거쳐 SGsm((213)으로 명령이 수신되고, 해당 SGP(31)의 SMpm(214)으로 전송하여 chklnt(215), runclnt(217), killclnt(216)를 통해 명령어를 수행한 후 결과를 운용자에게 통보한다.
이하 상술한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가 통합된 시스템내에서 사용되는 TCP메시지(또는 TCP패킷)에 대해 살펴본다.
도 4는 TCP패킷의 헤더 구조를 보여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CP메시지의 헤더는 2바이트의 패킷종류(packet type) 필드, 2바이트의 패킷시퀀스번호(packetSeq.Number) 필드, 2바이트의 패킷길이(packet length) 필드, 2바이트의 원시코드(primitive code) 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패킷종류' 필드에는 패킷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된다. 상기 패킷의 종류는 제어(control), 심플(simple), 컴플렉스(complex)가 있다. 제어패킷(control packet)은 메시지 헤더로만 구성된 패킷으로 원시코드만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 제어패킷의 경우 패킷종류 필드에는 '0x000'이 기록된다. 심플패킷(simple packet)은 하나의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패킷으로 메시지 헤더와 하나의 사용자 데이터 필드로 구성된다. 상기 심플패킷의 경우, 상기 패킷 종류 필드에는 '0x0001'이 기록된다. 컴플렉스패킷(complex packet)은 다수의 사용자 데이터를 하나의 TCP패킷에 번들링(bundling)시키는 경우에 사용하는 패킷으로 하나의 메시지 헤더와 다수의 사용자 데이터 필드들로 구성된다. 상기 컴플렉스패킷의 경우, 상기 패킷 종류 필드에는 '0x0002'이 기록된다.
상기 '패킷시퀀스번호' 필드에는 사용자 데이터가 다수의 TCP패킷에 나누어 전송되는 경우 연속적인 패킷들의 마지막 패킷인지를 나타내는 1비트 정보(More-bit)와 연속적인 패킷의 순서를 나타내는 15비트 정보(packet sequence number)가 기록된다. 상기 More-bit는 연속적인 패킷의 마지막이거나 사용자 데이터가 하나인 경우 0의 값을 가지고, 연속적인 패킷의 마지막 패킷이 아닌 경우 1의 값을 가진다. 상기 'packet sequence number'는 연속적인 패킷의 순서를 나타내며 0부터 0x7fff까지의 값을 가질수 있다. 연속적인 패킷이 아닌 경우에는 0x0000의 값을 가진다.
상기 '패킷길이' 필드에는 메시지 헤더를 제외한 사용자 데이터의 길이(바이트 단위)가 기록된다.
상기 '원시코드' 필드에는 송신되는 메시지의 내용을 논리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정보가 기록된다. 즉, 수신측은 원시코드에 근거해서 자신이 행할 동작을 판단한다. 예를들어, 경로시험, 상태검색, 'shutdown', 형상추가와 같은 동작들이 원시코드로 정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위 1바이트와 하위 1바이트를 대기능, 소기능으로 구분하여 정의할 수 있다.
도 5는 제어패킷(control packet)의 구조를 보여주고, 도 6은 심플패킷(simple packet)의 구조를 보여주며, 도 7은 컴플렉스패킷(complex packet)의 구조를 보여준다.
상기와 같은 TCP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동작을 살펴보면, 우선 각 프로세서(processor)가 메시지 수신 및 분배를 담당하는 프로세스를 별도로 운용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이 프로세스를 TMRD(TCP Message Receiver & Distributor)로 명명한다. TCP소켓을 통해 메시지를 수신한 임의의 TMRD는 패킷타입, 길이, 연속성 여부를 해석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추출하고 구성한다. 사용자 데이터가 하나의 TCP패킷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마지막 패킷까지 수신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재구성한다. 그리고 TCP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원시코드를 해석하여 상기 재구성한 메시지를 실체 처리할 프로세스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원시코드와 수신 프로세스를 매핑한 테이블을 참조하여 메시지를 처리할 프로세스를 결정한다. 메시지를 처리할 프로세스가 결정되면, 상기 TMRD는 사용자 데이터와 원시코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결정된 프로세스로 전달한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프로세스는 원시코드 전체 또는 일부를 해석하여 세부적인 동작을 파악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최종 해석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웨이가 통합된 시스템에서 수신되는 SS7메시지를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로 변환하여 송신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신호메시지처리 프로세서(11)는 801단계에서 신호종단점(SEP)으로부터 SS7메시지(L3메시지)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SS7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신호메시지처리 프로세서(11)는 803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SS7메시지를 분석하고, 805단계에서 상기 SS7메시지가 차세대망으로 전송할 메시지인지 검사한다. 만일, 차세대망으로 전송할 메시지인 경우, 상기 신호메시지처리 프로세서(11)는 807단계에서 상기 SS7메시지를 IPC메시지로 변환하여 IPIP(21)으로 전달한다. 만일, 차세대망으로 전송할 메시지가 아니면 상기 신호메시지처리 프로세서(11)는 815단계에서 상기 SS7메시지를 헤더(header) 내용에 따라 다른 신호중계기로 전달하거나 혹은 신호망관리 프로세서(13)로 전달한후 종료한다.
이후, 상기 IPIP(21)은 909단계에서 상기 신호메시지처리 프로세서(11)로부터 수신한 IPC메시지를 TPC패킷으로 변환하여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1)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1)는 811단계에서 상기 IPIP(21)으로부터 수신한 TCP패킷을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로 변환한다. 상기 SS7 메시지가 IPC메시지로 변환되고 TCP패킷으로 변환되어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1)로 전달되기까지, 상기 SS7 메시지의 정보(information)들은 투명하게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1)로 전달된다.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1)는 상기 투명하게 전달된 SS7메시지의 정보들을 가지고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를 작성(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1)는 813단계에서 상기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를 차세대망(NGN)으로 전송한후 종료한다. 상기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를 작성하는 프로세스는 앞서 설명한 IWF(221)이 되고, 상기 작성된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를 전송하는 프로세스는 앞서 설명한 M3UA(220)이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웨이가 통합된 시스템에서 수신되는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를 SS7메시지로 변환하여 송신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1)는 901단계에서 차세대망으로부터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1)는 903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를 분석하고, 905단계에서 상기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가 일반전화망으로 전송할 메시지인지 검사한다. 만일, 일반전화망으로 전송할 메시지이면,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1)는 907단계에서 상기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의 정보들을 근거해서 SS7메시지에 작성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를 내용으로 하는 TCP패킷을 생성하여 IPIP(21)으로 전송한다. 만일, 일반전화망으로 전송할 메시지가 아니면,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1)는 915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를 헤더내용에 따라 신호게이트웨이운용 프로세서(32)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IPIP(21)은 909단계에서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31)로부터의 TCP패킷을 신호중계기 서브시스템(10)의 내부통신용 IPC 메시지로 변환하여 신호메시지처리 프로세서(11)로 전달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IPC메시지는 내부버스(HCIU)를 통해 상기 신호메시지처리 프로세서(11)에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신호메시지처리 프로세서(11)는 911단계에서 상기 내부버스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IPC메시지로부터 SS7메시지에 작성될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가지고 SS7메시지를 작성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메시지처리 프로세서(11)는 913단계에서 상기 작성된 SS7메시지를 해당 신호종단점(SEP)으로 전송한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 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세대통신망의 신호게이트웨이가 기존 운용중인 신호 중계기와 내부 버스로 연결되므로, 운용중인 일반전화망의 신호중계기를 재사용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신호중계기의 서비스 중단이나 소프트웨어 변경없이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웨이를 통합할수 있다. 또한,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웨이 사이에 SS7링크가 아닌 IP로 정합하게 되므로, 통신선로 구축 비용을 절감할수 있고, SS7 프로토콜의 제약을 받지 않고 신호게이트웨이를 구축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4)

  1. 일반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의 신호중계기(STP : Signal Transfer Point)와 차세대망(NGN : Next Generation Network)의 신호게이트웨이(signaling gateway)를 통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신호종단점(SEP : Signaling End Point)으로부터의 SS7(Signaling System no.7)메시지를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메시지로 재작성하여 변환 서브시스템으로 출력하고, 상기 변환 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 IPC메시지를 SS7메시지로 재작성하여 상기 신호종단점으로 송신하는 신호중계기 서브시스템과,
    상기 신호중계기 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 IPC메시지를 IP패킷으로 재작성하여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으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 IP패킷을 IPC메시지로 재작성하여 상기 신호중계기 서브시스템으로 출력하는 상기 변환 서브시스템과,
    상기 변환 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 IP패킷을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로 재작성하여 차세대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차세대망으로부터 수신되는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를 IP패킷으로 재작성하여 상기 변환 서브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중계기 서브시스템은,
    상기 신호종단점으로부터의 SS7메시지를 IPC메시지로 재작성하여 버스로 출력하고, 상기 버스로부터 IPC메시지를 SS7메시지로 재작성하여 상기 신호종단점으로 전송하는 신호메시지처리 프로세서와,
    상기 신호메시지처리 프로세서로부터의 IPC메시지를 상기 변환 서브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상기 변환 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 IPC메시지를 상기 신호메시지처리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상기 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은,
    상기 변환 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 상기 IP패킷을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로 재작성하여 상기 차세대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차세대망으로부터의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를 IP패킷으로 재작성하여 상기 변환 서브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원격 SQL(structured query language)를 수행하는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와,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GUI : Graphic User Interface)에서 발생하는 이벤트(event)성 요구와 스트링(string)으로 입력되는 MMC(Man Machine Communication)을 신호게이트웨이 운용 프로세서로 전달하여 원격 SQL을 수행하는 운용자 단말기와,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와 상기 운용자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원격 SQL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게이트웨이 운용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프로세스와,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프로세서에서 구동되는 프로세스들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2프로세스와,
    상기 프로세스들의 구동을 담당하는 제3프로세스와,
    상기 프로세스들의 종료를 담당하는 제4프로세스와,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의 초기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제5프로세스와,
    레벨3에 해당하는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를 처리하기 위한 제6프로세스와,
    상기 SIGTRAN 프로토콜을 처리하기 위한 제7프로세스와,
    상기 SS7과 상기 SIGTRAN 사이의 변환을 담당하는 제8프로세서와,
    프로토콜 계층 관리를 담당하는 제9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게이트웨이운용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의 전체 프로세스를 총괄 제어하는 제10프로세스와,
    운영자 명령어(MMC)를 처리하기 위한 제11프로세스와,
    데이터베이스 억세스를 처리하기 위한 제12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서브시스템과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 사이에 허브(HU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P패킷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중계기 서브시스템, 상기 변환 서브시스템 및 상기 신호게이트웨이 서브시스템은 이중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일반전화망(PSTN)의 신호중계기(STP)내에 신호게이트웨이를 통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중계기의 내부버스에 연결되며, 상기 내부버스를 통해 입력되는 IPC메시지를 IP패킷으로 재작성하여 신호게이트웨이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게이트웨이로부터의 IP패킷을 IPC메시지로 재작성하여 상기 내부버스로 출력하는 변환모듈과,
    상기 변환모듈과 L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변환모듈로부터의 IP패킷을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로 재작성하여 차세대망으로 전송하고, 상기 차세대망으로부터의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를 IP패킷으로 재작성하여 상기 변환모듈로 전달하는 상기 신호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IP패킷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일반전화망(PSTN)의 신호중계기(STP)와 차세대망(NGN)의 신호게이트웨이(signaling gateway)가 통합된 시스템에서, 상기 일반전화망으로부터 수신되는 SS7메시지를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차세대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프로세서가, 상기 일반전화망의 신호종단점(SEP)으로부터 수신되는 SS7(Signaling System no.7)메시지를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메시지로 재작성하여 IPC버스를 통해 제2프로세서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제2프로세서가, 상기 버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IPC메시지를 IP패킷으로 재작성하여 LAN인터페이스를 통해 제3프로세서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제3프로세서가, 상기 L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IP패킷을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로 재작성하여 상기 차세대망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IP패킷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일반전화망(PSTN)의 신호중계기(STP)와 차세대망(NGN)의 신호게이트웨이(signaling gateway)가 통합된 시스템에서, 상기 차세대망으로부터 수신되는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를 SS7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일반전화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프로세서가, 상기 차세대망으로부터 수신되는 SIGTRAN 프로토콜 메시지를 IP패킷으로 재작성하여 LAN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프로세서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제2프로세서가, 상기 LAN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IP패킷을 IPC메시지로 재작성하여 IPC버스를 통해 제3프로세서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제3프로세서가, 상기 IPC버스를 통해 수신되는 IPC메시지를 SS7메시지로 재작성하여 상기 일반전화망의 신호종단점(SEP)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IP패킷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2-0074248A 2002-11-27 2002-11-27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웨이를 통합하기 위한 장치 및그에 의한 신호처리 방법 KR100465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248A KR100465128B1 (ko) 2002-11-27 2002-11-27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웨이를 통합하기 위한 장치 및그에 의한 신호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248A KR100465128B1 (ko) 2002-11-27 2002-11-27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웨이를 통합하기 위한 장치 및그에 의한 신호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342A true KR20040046342A (ko) 2004-06-05
KR100465128B1 KR100465128B1 (ko) 2005-01-05

Family

ID=37341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248A KR100465128B1 (ko) 2002-11-27 2002-11-27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웨이를 통합하기 위한 장치 및그에 의한 신호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51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633B1 (ko) * 2005-03-30 2007-03-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신호 중계 교환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784252B1 (ko) * 2006-11-01 2007-12-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공통 신호점을 이용한 시그널링 게이트웨이 및 이의 신호처리 방법
KR100979379B1 (ko) * 2004-01-29 2010-08-31 주식회사 케이티 차세대망에서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소프트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0565A (en) * 1996-05-06 1999-02-0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elecommunications management network connected to a common channel signaling network
US6208642B1 (en) * 1997-12-19 2001-03-27 Ericsson Inc Architecture independent application invocation over a telephony network
KR100640455B1 (ko) * 1999-11-05 200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다른 이동통신 시스템 간 소프트 핸드오프 방법
KR100371495B1 (ko) * 2000-12-15 200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게이트웨이 시스템 내 라우터를 포함한 장치 및 방법
KR100768636B1 (ko) * 2001-09-29 2007-10-18 주식회사 케이티 신호중계교환기의 신호중계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379B1 (ko) * 2004-01-29 2010-08-31 주식회사 케이티 차세대망에서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소프트스위치
KR100692633B1 (ko) * 2005-03-30 2007-03-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신호 중계 교환기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784252B1 (ko) * 2006-11-01 2007-12-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공통 신호점을 이용한 시그널링 게이트웨이 및 이의 신호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5128B1 (ko) 200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2580B2 (en) Edge device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SS7 signaling points (SPs) using edge device
US66809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ckhaul of telecommunications signaling protocols over packet-switching networks
EP1410649B1 (en) Signal transfer point, method and system with internet protocol capability with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8131862B2 (en) Integration of SS7 with an application server
US200302065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messages
US6463056B1 (en) Arrangement for providing network protocol data independence in an expandable telecommunications system
JP2002509410A (ja) 通信システムアーキテクチャ及び管理制御エージェント及びそのための動作プロトコル
CN100438512C (zh) 混合网络体系结构中的负载分配功能
US7477646B1 (en) Arrangement for controlling congestion for multiple host groups sharing a single signaling point code in an IP-based network using respective group congestion levels
EP0979573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use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JP4907649B2 (ja) パケット・ベース網のためのメディア・ゲートウェイにおける公衆交換電話回線網シグナリング
EP1169817B1 (en) Edge device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ss7 signaling points (sps) using edge device
KR100465128B1 (ko) 신호중계기와 신호게이트웨이를 통합하기 위한 장치 및그에 의한 신호처리 방법
CN102098274A (zh) 外部终端远程登陆从设备的方法及系统
CN1620823B (zh) 将窄带应用与宽带传输组合的系统和方法
Francois et al. Some methods for providing OSI transport in SNA
US20200186625A1 (en) Protocol conversion apparatus, message relay method, and program
CN101116320B (zh) 借助于位于中间的协议控制网关的方法和执行该方法的网关
KR20070067013A (ko) Ip 도메인들 간의 상호연결을 구현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20040103663A (ko) Sigtran 프로토콜에서의 nif 장치
EP1197095B1 (en) Method and media controller for sending signalling messages over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two different transport networks
KR100440511B1 (ko) 관문국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신호 프로토콜 연동 방법
KR20040045082A (ko) 신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신호망 제원 운용 방법
KR100865992B1 (ko) 공중교환전화망과 ip 망간 연동시 장애 발생에 따른루팅 제어방법
KR100899205B1 (ko) 시그널링 게이트웨이에서 가상 신호 링크셋을 이용한 라우팅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시그널링 게이트웨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