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6166A - Korean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of cellular phone - Google Patents

Korean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of cellular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6166A
KR20040046166A KR1020020074003A KR20020074003A KR20040046166A KR 20040046166 A KR20040046166 A KR 20040046166A KR 1020020074003 A KR1020020074003 A KR 1020020074003A KR 20020074003 A KR20020074003 A KR 20020074003A KR 20040046166 A KR20040046166 A KR 20040046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assigned
phonemes
syllable
candi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0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57291B1 (en
Inventor
이상주
Original Assignee
(주)엔엘피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엘피솔루션 filed Critical (주)엔엘피솔루션
Priority to KR10-2002-0074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291B1/en
Publication of KR20040046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1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29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non-deterministic Hangul input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model and a table-based parsing are provided to considerably reduce the number of times of manipulating buttons to input characters in a mobile terminal. CONSTITUTION: A contract type Hangul key board unit(10) generates a code assigned to a button when the button is manipulated. A button stream parsing unit(20) processes inputted buttons and generates available candidates and order of the candidates. A button stream/syllable corresponding table(30) is data used for effectively searching syllables.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data(40) are used to calculate the order of candidates according to probability. A parsing table(50) is used to store candidate syllable streams and erase re-calculation when a button is additionally inputted. A candidate selecting/processing unit(60) determines a syllable stream or changes a page of a candidate list. A screen output unit(70) outputs suitable content on an LCD with reference to the parsing table(50).

Description

음절 문맥 확률 모형과 테이블 기반 파싱을 이용한 비결정적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Korean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of cellular phone}Nondeterministic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model and table-based parsing

본 발명은 음절 문맥 확률 모형과 테이블 기반 파싱을 이용한 비결정적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deterministic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a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model and table-based parsing.

본 발명은 특히, 축소형 한글 자판을 사용하는 한글 입력 환경에서 종래의 비결정적 한글 입력 방식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단추 조작 회수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number of button manipulation by applying a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non-deterministic Hangul input method in a Hangul input environment using a reduced Hangul keyboard.

최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보급의 확대와 더불어 다양한 기능 및 서비스의 제공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단순한 음성통신용 기기의 범주를 벗어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적인 기능 및 서비스 가운데 자주 사용되는 단문 메시지의 전송, 전자 수첩 관리, 일정 관리, 채팅 등은 문자의 입출력 및 전송에 기반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문자의 입력이 필요한 소형 전자기기에서는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축소형 한글 자판을 사용한다.Recently, with the expans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the provision of various functions and services, the function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moved beyond the scope of simple voice communication devices. Among the additional functions and servic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transmission of short messages, electronic notebook management, schedule management, and chat, which are frequently used, are based on input and output of text. In a small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iring text input, a reduced Hangul keyboard is used due to space constraints.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늘어나고 한글 입력의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축소형 한글 자판을 사용하는 한글 입력 방법이 다양하게 고안되고 있다. 이들 가운데 대표적인 축소형 한글 자판을 사용하는 한글 입력 방법의 선출원으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997-0002558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997-0072848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999-0067835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0-0049346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0-0050253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2-0001918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2-0053689호 등이 있다.As the popular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reases and the need for Hangul input increases, various Hangul input methods using a reduced Hangul keyboard have been devised. Among them,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7-0002558,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7-0072848,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9-0067835,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0-0049346,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0-0050253,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2-0001918,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2-0053689.

상기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997-0002558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2-0001918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0-0050253호 및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999-0067835호에서는 다중 타자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각 음절의 경계에서 기능 단추를 누르는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 2000-0050253호를 제외한 나머지 방법에서는 동일 단추 모호성이 발생하기 때문에 입력 시간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997-0002558,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2-0001918,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0-0050253 and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999-0067835 have adopted a multiple typing method, each Except for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0-0050253, which presses a function button at the boundary of a syllable, the same button ambiguity is generated, which increases the input time.

동일 단추 모호성에 대해 상기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997-0002558호의 경우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상기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997-0002558호에 기재된 기술 내용에 대한 자판 배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기술 내용에서 자판 배열만으로 보았을 때에는 음절열 "국가"와 "구까" 모두 입력 단추 '4', '3', '2', '4', '4', '1', '2'를 순차적으로 누르도록 정의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 "국가"를 입력하기 위해 입력 단추 '4', '3', '2', '4', '4', '1', '2'를 순서대로 누르면 "구까"로 잘못 인식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4', '3', '2', '4'를 누른 후에 별도의 음절 확정 단추를 부가적으로 누르거나 지정된 시간 이상 동안 대기하여야 한다.For example, th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7-0002558 for the same button ambiguity is as follows. Figure 2 schematically shows the keyboard layout for the technical content describ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997-0002558. In this technical description, the syllable sequence "Country" and "Kukka" both enter buttons '4', '3', '2', '4', '4', '1', and '2' sequentially. It is defined to press. However, if you press the input buttons '4', '3', '2', '4', '4', '1', and '2' in order to actually enter "Country", it will be incorrectly recognized as "Kuk". Therefore, to solve this problem, after pressing '4', '3', '2', or '4', an additional syllable confirmation button is additionally pressed or waited for a specified time or more.

한편, 종래의 축소형 한글 자판을 사용하는 한글 입력 방법들은 모호성의 처리 방법에 따라 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과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은 모호성 해소를 위한 처리가 불필요하여 단추 입력에 대한 처리 속도가 빠르고 요구 저장 공간이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종속 자소의 개수가 많고, 종속 자소들에 대해서는 2회 이상의 단추 조작이 필요하므로 입력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다. 반면에, 모호성 해소율이 100%인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은 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에 비해 적은 단추 조작만을 이용하여 한글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비결정적 입력 방식에서 모호성 해소율이 100%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모호성 해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보정하기 위해 부가적인 단추 조작이 필요하며, 모호성 해소율이 낮을 경우에는 오류 보정을 위한 단추 조작 회수로 인해 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보다 많은 단추 조작이필요할 수도 있다.Meanwhile, conventional Hangul input methods using the reduced Hangul keyboard may be classified into a 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and a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ambiguity processing method. The 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has the advantage of fast processing for button input and less required storage space because no processing for ambiguity is required, but there are a large number of dependent phonemes and two or more button operations are required for dependent phonemes. Therefore, the input speed is slow. On the other hand, the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having a ambiguity resolution rate of 100% has an advantage of inputting Korean text using only a few button operations compared to the 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However, in reality, since the ambiguity resolution rate is less than 100% in the non-deterministic input method, an additional button operation is required to correct an error occurring during the ambiguity resolution process, and when the ambiguity resolution rate is low, The number of button manipulations may require more button manipulations than the 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상기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997-0002558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0-0049346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2-0001918호 및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2-0053689호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들이며, 상기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997-0072848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999-0067835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0-0050253호는 현재까지 실용화 되어 있는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들이다. 이 방법들을 단추 조작 회수 측면에서 비교 실험한 결과가 표 1에 나타나 있다. 표 1은 총 62,098,517개의 한글 음절을 포함하고 있는 21,062,496개의 한글 어절로 구성된 문서 집합을 입력하기 위해 필요한 단추 조작 회수를 개인용 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는 퀄티(QWERTY) 2벌식 한글 자판에서의 단추 조작 회수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997-0002558,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0-0049346,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2-0001918 and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2-0053689 are widely used 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s,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997-0072848,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999-0067835,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0-0050253 are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s that have been put to practical use. Table 1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se methods in terms of the number of button manipulations. Table 1 compares the number of button operations required to enter a document set consisting of 21,062,496 Korean words containing a total of 62,098,517 Hangul syllables compared to the number of button operations on a QWERTY 2 keyboard Hangul keyboard commonly used on personal computers. It is shown.

특허공개번호Patent Publication Number 단추조작회수Button operation count 음절당 평균 단추조작회수Average number of button operations per syllable 퀄티 자판 대비증가율Growth rate of quality keyboard 1997-00025581997-0002558 265,268,567265,268,567 4.2724.272 46.35%46.35% 2000-00493462000-0049346 253,458,691253,458,691 4.0824.082 39.84%39.84% 2002-00536892002-0053689 232,937,763232,937,763 3.7513.751 28.50%28.50% 1997-0072848(a)1997-0072848 (a) 211,335,984211,335,984 3.4033.403 16.58%16.58% 1997-0072848(b)1997-0072848 (b) 234,261,741234,261,741 3.7733.773 29.26%29.26% 1999-00678351999-0067835 224,258,283224,258,283 3.6113.611 23.71%23.71% 2000-00502532000-0050253 256,520,316256,520,316 4.1314.131 41.52%41.52% 퀄티 2벌식 자판Quality two bee type keyboard 181,254,776181,254,776 2.9192.919 0.00%0.00%

표 1에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2-0053689호는 단추의 동시 누름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서 실험을 수행한 것이다. 그 이유는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대부분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두 개 이상의 단추가 동시에 눌러져 있는 상태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며, 다른 이유는 단추의 동시 누름을 지원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입력 속도는 빠를 수 있지만 단추 조작 회수는 거의 동일하기 때문이다.In Table 1,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2-0053689 was performed under the assumption that it does not support simultaneous pressing of button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most mobile terminals that are currently commercialized do not recognize that two or more buttons are pressed at the same time. Another reason is that the input speed may be faster than when the buttons are simultaneously pressed.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button operations is almost the same.

표 1에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997-0072848호의 방법이 1997-0072848(a)와 1997-0072848(b) 두 가지 결과를 가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도 3은 상기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997-0072848호에 기재된 기술 내용에 대한 자판 배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방법에서는 한글 제자 원리에 따른 제약, 초성 단독 어절이나 완전 음절만 입력 가능하다는 제약, 음절 경계 모호성이나 자소 구분 모호성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무종성 음절 뒤에서 음절 구분 단추를 눌러야 한다는 제약 및 종속 자소나 연속된 모음을 입력할 때에는 이를 나타내는 기능 단추를 눌러야 한다는 제약으로 자소 구분 모호성을 해소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모호성이 발생하지 않는 상황에서 무종성 한글 음절을 포함하는 음절열을 입력하려면 음절 구분 단추를 누를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가감"이라는 문자열을 입력할 때에는 음절 경계 모호성이 발생하기 때문에 음절 "가"에 해당하는 단추열 '1', '3'과 음절 "감"에 해당하는 단추열 '1', '3', '5' 사이에 음절 구분 단추 '*'를 눌러주어야 한다. 그러나, "괴수"를 입력할 때에는 상기의 제약 조건들에 의해 모호성이 해소되어 단 하나의 후보 문자열이 존재하기 때문에 음절 구분 단추 '*'를 누를 필요가 없다. 하지만, 사용자측에서는 현재 상황이 모호성이 발생하는 상황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실제로는 대부분의 무종성 한글 음절을 입력한 후에 음절 구분 단추를 누르게 된다. 표 1에서 1997-0072848(a)는 사용자가 모호성이 발생하는 상황을 모두 알고 있어서 꼭 필요한 경우에만 음절 구분 단추를누른다고 가정했을 경우의 실험 결과이며, 1997-0072848(b)는 사용자가 모든 무종성 한글 음절 뒤에서 음절 구분 단추를 누른다고 가정했을 경우의 실험 결과이다.In Table 1, the method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7-0072848 has two results, 1997-0072848 (a) and 1997-0072848 (b), as follows.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keyboard layout for the technical content describ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997-0072848. In the above method, the constraints according to the Hangul discipleship principle, the constraint that only the first syllable or complete syllable can be input, the constraint that the syllable boundary ambiguity or the phoneme classification ambiguity are generated, and the syllable division button after the syllable boundary ambiguity are generated When you enter a vowel, you eliminate the phonetic ambiguity by restricting you to press a function button that indicates it.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it is not necessary to press the syllable separator button to input a syllable string including the non-spoken Hangul syllable in a situation where ambiguity does not occur. For example, if you enter a string called "addition or decrement", because the syllable boundary ambiguity occurs, the button string "1" for syllable "A", "3" and the button string "1" for syllable "sen", You should press the syllable separator button '*' between '3' and '5'. However, when inputting "monster", it is not necessary to press the syllable separator button "*" because ambiguity is resolved by the above constraints and only one candidate string exists.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situation is a ambiguity situation or not, in reality, most symptom-free Hangul syllables are input, and then the syllable division button is pressed. In Table 1, 1997-0072848 (a) is an experiment result in assuming that the user knows all the ambiguities and presses the syllable division button only when it is absolutely necessary. This is the result of assuming that the syllable division button is pressed after the final Hangul syllable.

표 1에서 제1999-0067835호는 상기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999-0067835호에서 창안한 방식 가운데 음절 단위 모호성 해결 방식에 대한 실험 결과만 보여준 것이다. 그 이유는 상기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999-0067835호에서는 음절 단위 모호성 해결 방식과 단어 단위 모호성 해결 방식 두 가지를 제안하고 있지만, 단어의 활용형태가 비교적 적은 영어에서와는 달리 조사나 어미 등과 같은 형식 형태소에 의한 활용이 다양한 한글에 대해서는 단어 단위 모호성 해결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In Table 1, 1999-0067835 shows only experimental results for a syllable unit ambiguity resolution method among methods creat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9-0067835. The reason is that th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9-0067835 proposes a syllable unit ambiguity resolution method and a word unit ambiguity resolution method. This i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apply the word unit ambiguity resolution method as it is for various Korean characters.

표 1에서 나타나듯이 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을 사용하는 제1997-0002558호, 제2000-0049346호 및 제2002-0053689호는 퀄티 자판에 비해 음절당 약 1 회씩 단추 조작이 더 필요하며, 이는 단추 조작 회수만을 고려했을 때 입력 시간이 평균 38% 더 소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하는 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의 구조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자판 배열 방식을 변경한다고 하더라도 단추 조작 회수를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As shown in Table 1, 1997-0002558, 2000-0049346, and 2002-0053689, which use the 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require about one more button operation per syllable compared to the quality keyboard, which is the number of button operations. Considering this alone, it means that the input time is 38% longer on average. Since this is a structural problem of the 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using the reduced Hangul keyboard, even if the keyboard layout method is changed, there is a limit in reducing the number of button manipulations.

표 1에서 제2000-0050253호는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에 비해 단추 조작 회수 측면에서 잇점이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상기 방법이 음절 단위 모호성 해소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다 모든 음절의 끝에 음절 구분 단추 '#'을 누르도록 정의되어 있어 자소 입력을 위한 단추 조작 회수는 적은데 비해 모호성 해소를 위한 단추 조작 회수가 비교적 많기때문이다. 또한 모호성 해소를 위해 사용하는 자료가 적은 대신 모호성 해소율이 낮아 모호성 해소 과정에서 후보 선택 단추 '*'을 누르는 회수가 많은 것도 단추 조작 회수가 늘어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In Table 1, although 2000-0050253 is a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little advantage in terms of the number of button manipulations compared to the 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The reason is that the method adopts syllable unit ambiguity resolution method and it is defined to press syllable separator button '#' at the end of every syllable, so the number of button manipulations for phoneme input is small, but the number of button manipulations for ambiguity resolution is relatively small. Because there are many. In addition, the number of buttons used to resolve ambiguities is low, but the ambiguity resolution rate is low, and the number of times the candidate selection button '*' is pressed during the ambiguity resolution process also increases the number of button manipulations.

표 1에서 제1997-0072848호는 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 보다는 비교적 좋은 성능을 나타내지만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사용자가 무종성 한글 음절을 입력한 다음에 모호성 발생 여부를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음절 구분 단추를 눌러야만 한다. 둘째, 복모음을 입력할 때 사용자가 모호성이 발생하지 않음을 판단할 수 없으면 연속된 모음 입력을 알리는 단추 '#'를 눌러야 한다. 셋째, 뒤 음절의 초성이 앞 음절의 종성과 결합해서 앞 음절의 종성이 복자음이 될 수 있는 경우에는 음절 구분 단추를 눌러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의 방법에서 음절열 "발과"를 입력하려면 "발"에 해당하는 단추열 '6', '3', '4'를 입력한 후에 음절 구분 단추 '*'를 누른 다음 "과"에 해당하는 단추열 '1', '5', '3'을 눌러야 한다. 만약 '6', '3', '4', '1', '5', '3'을 누르면 음절 경계 모호성이 발생하여 "밝마"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의 방법에서는 모호성의 발생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혼동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화면 참조(확인) 회수가 늘어나는 문제가 발생하여 결정적 입력 방식에 비해 단추 조작 회수는 적지만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많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In Table 1, although 1997-0072848 shows a relatively better performance than the 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it has some problems as follows. First, when a user inputs an agnostic Hangul syllable and cannot determine whether ambiguity occurs, the user must press a syllable classification button. Second, if the user cannot determine that ambiguity does not occur when entering the vowel vowel, the button '#' indicating the continuous vowel input should be pressed. Third, if the last syllable can be combined with the previous syllable's finality and the previous syllable's finality can be a double consonant, the syllable distinction button should be pressed. For example, in the above method, to input the syllable string "foot", enter the button strings "6", "3", and "4" corresponding to "foot", then press the syllable separator button "*" and then " And press "1", "5", and "3". If you press '6', '3', '4', '1', '5', or '3', syllable boundary ambiguity occurs and it is recognized as "bright". As described above, the above method may cause confusion of the user depending on whether ambiguity occurs or not, so that the number of screen references (confirmation) increases, resulting in a smaller number of button manipulations compared to a deterministic input method, but the time required for input is reduced. There are disadvantages that can be more.

표 1에서 제1999-0067835호는 비교적 단추 조작 회수가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모호성 해소율이 떨어지고 음절 단위로 모호성을 해소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각 음절을 입력할 때마다 화면 참조를 통해 음절 입력 결과를 확인해야하는 단점이 있다.In Table 1, 1999-0067835 has the advantage of relatively low number of button operations. However, since the ambiguity resolution rate is lowered and the ambiguity is resolved in units of syllables, the user has to check the syllable input result through the screen reference for each syllable input.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은 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에 비해 단추 조작 회수를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모호성 해소율이 낮으면 오히려 단추 조작 회수가 늘어날 수도 있으며, 음절 단위 모호성 해소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빈번하게 화면을 참조해야 하기 때문에 입력 시간이 늘어나는 단점을 지닌다. 따라서, 단추 조작 회수와 화면 참조 회수를 동시에 줄이기 위해서는 모호성 해소 단위를 늘이고 모호성 해소율을 높여야 한다.As shown in Table 1, the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has a feature of reducing the number of button manipulations compared to the 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However, if the ambiguity resolution rate is low, the number of button manipulations may be increased. In the case of using the syllable unit ambiguity resolution method, the input time is increased because the user frequently needs to refer to the screen.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button operations and the number of screen references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mbiguity resolution unit and to increase the ambiguity resolution rate.

모호성 해소 단위를 늘이고 모호성 해소율을 높인다면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이 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에 비해 단추 조작 회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 두 가지 과제를 풀기 위해서는 몇 가지 현실적인 문제들을 해결해야 한다.Increasing the ambiguity resolution unit and increasing the ambiguity resolution rate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number of button manipulations compared to the 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However, some practical problems must be solved in order to solve these two tasks.

기존의 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에서 주로 음절 단위 모호성 해소 방식을 쓰고 있는 이유는 모호성 해소 단위가 늘어나면 모호성 해소를 위해 필요한 자료의 양이 많아져서 축소형 한글 자판이 사용되는 전자 기기에 이식시키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확률을 이용하는 음절 단위 모호성 해소 방식에서는 KSC 5601 문자 집합에 포함된 2,350개의 한글 음절에 대한 확률 자료만 유지하면 된다. 그러나, 동일한 방식에서 모호성 해소 단위를 두 음절로 확장하게 되면 2,350개의 제곱에 해당하는 5,522,500개의 음절 조합에 대한 확률 자료가 필요하게 되어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문자 입력 기능만을 위해 이 자료를 저장하기는 불가능하게 된다. 물론 5,522,500 개의 음절 조합에 대한 확률을 사용하지 않고, 이 확률의 부분 집합을 사용하거나 더 간략화된 자료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그 경우 모호성 해소율이 저하되고, 결국 단추 조작 회수가 늘어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적은 양의 자료를 이용하여 모호성 해소율의 저하가 없이 모호성 해소 단위를 늘일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The reason for using the syllable unit ambiguity resolution method in the conventional 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is that as the ambiguity resolution unit increases, the amount of data required for ambiguity resolution increases, making it difficult to transplant to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reduced Hangul keyboard. Because. For example, in the syllable unit ambiguity resolution method using probability, only the probability data of 2,350 Korean syllables included in the KSC 5601 character set need to be maintained. However, if the ambiguity resolution unit is extended to two syllables in the same way, probability data for 5,522,500 syllable combinations corresponding to 2,350 squares will be needed. It becomes impossible. Of course, instead of using the probabilities for 5,522,500 syllable combinations, you can use a subset of these probabilities or use more simplified data, but in that case, the ambiguity resolution will be lowered and the number of button manipulations will increas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ambiguity resolution unit without reducing the ambiguity resolution rate using a small amount of data.

일반적으로 모호성 해소 기법이 언어 현상을 잘 반영할수록 모호성 해소율이 높아진다. 그러나, 언어 현상을 잘 반영하기 위해 모호성 해소 모형을 정교하게 만들수록 계산 복잡도가 늘어나므로 사용자가 단추를 눌렀을 때 액정표시장치에 그 결과가 반영되는 반응 시간이 느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general, the more ambiguity resolution techniques reflect linguistic phenomena, the higher the ambiguity resolution rate. However, the more complicated the ambiguity resolution model is, the more complicated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is to reflect the linguistic phenomenon. 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a button, the response time of reflecting the result on the LCD may be slow.

상기에 설명한 바를 종합하면 계산 복잡도가 낮고 적은 양의 자료를 이용하면서도 높은 모호성 해소율을 나타내는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을 이용하는 한글 입력 방식이 고안되면 종래의 기법들에 비해 단추 조작 회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In summary, if a Korean input method using a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that has low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a small amount of data but exhibits a high ambiguity resolution rate is devised, the number of button manipulations can be drastically reduced compared to conventional technique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본 발명은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의 한글 입력 방법의 과제인 모호성을 자소들의 연접 분포를 고려한 자판 배열과 음절 문맥 확률 모형으로 해소하고, 계산의 복잡도 감소 및 자료 저장 공간의 절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한 음절 문맥 확률 모형과 테이블 기반 파싱을 이용한 비결정적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mbiguity of the Hangul input method of the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with the keyboard layout and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model considering the contiguous distribution of the phonemes,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complexity of calculation and save the data storage spa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non-deterministic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a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model and table-based pars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처리 과정에서는 내부적인 코드 변환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단추열/음절 대응표를 사용하며, 확률 재계산 작업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테이블 기반 파싱을 사용하여 계산 복잡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button sequence / syllable correspondence table in order to reduce internal code conversion time, and to reduce computational complexity by using table-based parsing to eliminate probabiliti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축소형 자판을 가진 기기에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user to input Korean characters on a device having a reduced size keyboard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한글 자소가 자모 혼재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자소 단추, 종속 자소를 입력하기 위해 누르는 기능단추, 현재 액정표시장치에 출력된 후보 음절열이 입력하려는 음절열임을 확정하는 확정하는 확정단추, 차순위 후보를 액정표시장치에 출력하는 변경단추, 후보선택모드로 이동하는 후보선택단추 및 가장 최근에 입력했던 자소단추조작을 취소하는 삭제단추를 포함하는 축소형 한글자판부 및 상기 축소형 한글자판부로부터 입력된 미결정 단추열에 대응되는 후보 음절열들을 음절 문맥 확률 모형을 이용하여 순위화하는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의 한글입력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honeme button in which one or more Hangul phonemes are arranged in a Jamo mixture, a function button that is pressed to input dependent phonemes, and a candidate syllable string currently outpu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is a syllable string to be input. A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including a confirming button for confirming, a change button for outputting a next-order candidate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a candidate selecting button for moving to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and a delete button for canceling the most recently inputted phoneme button; and Provided is a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of a Hangul input device that ranks candidate syllable sequences corresponding to an undetermined button sequence inputted from the reduced Korean keyboard unit using a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model.

상기 축소형 한글자판부는 빈도가 높은 10개의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을 서로 다른 단추에 배정하고 나머지 자음 'ㄲ'은 'ㄱ'과, 'ㄸ'은 'ㄷ'과, 'ㅃ'은 'ㅂ'과, 'ㅆ'은 'ㅅ'과, 'ㅉ'은 'ㅈ'과, 'ㅊ'은 'ㅇ'과, 'ㅋ'은 'ㄹ'과, 'ㅌ'은 'ㄴ'과. 'ㅍ'은 'ㅁ'과 같은 단추에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densed Hangul keyboard part has 10 high frequency consonants 'ㄱ', 'ㄴ', 'ㄷ', 'ㄹ', 'ㅁ', 'ㅂ', 'ㅅ' and 'ㅇ'. 'ㅈ'. Assign 'ㅎ' to different buttons, and the other consonants 'ㄲ' for 'ㄱ', 'ㄸ' for 'ㄷ', 'ㅃ' for 'ㅂ', 'ㅆ' for 'ㅅ', 'ㅉ' 'J' and 'ㅊ' are 'ㅇ', 'ㅋ' is 'ㄹ' and 'ㅌ' is 'b'. 'Ct' is characterized by assigning to a button such as 'ㅁ'.

상기 축소형 한글자판부의 다른 실시예는 대표 모음을 'ㅏ', 'ㅓ', 'ㅗ', 'ㅜ', 'ㅡ', 'ㅣ'의 6개로 한정하고, 이 대표 모음들은 'ㄱ', 'ㄴ', 'ㄹ', 'ㅇ'과 같은 단추를 공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reduced Hangul keyboard part is limited to the representative vowels 'ㅏ', 'ㅓ', 'ㅗ', 'TT', 'ㅡ', 'ㅣ', and the representative vowels are 'ㄱ', It does not share buttons such as 'ㄴ', 'ㄹ' and 'ㅇ'.

상기 축소형 한글자판부의 다른 실시예는 (가) 자소 'ㄱ', 'ㄲ'은 단추 '1'에 배정되고, (나) 자소 'ㄴ', 'ㅌ'은 단추 '2'에 배정되고, (다) 자소 'ㄷ', 'ㄸ', 'ㅓ', 'ㅕ'는 단추 '3'에 배정되고, (라) 자소 'ㄹ', 'ㅋ'은 단추 '4'에 배정되고, (마) 자소 'ㅁ', 'ㅍ', 'ㅡ'는 단추 '5'에 배정되고, (바) 자소 'ㅂ', 'ㅃ', 'ㅗ', 'ㅛ'는 단추 '6'에 배정되고, (사) 자소 'ㅅ', 'ㅆ', 'ㅜ'. 'ㅠ'는 단추 '7'에 배정되고, (아) 자소 'ㅇ', 'ㅊ'은 단추 '8'에 배정되고, (자) 자소 'ㅈ', 'ㅉ', 'ㅣ'는 단추 '9'에 배정되고, (차) 자소 'ㅎ', 'ㅏ', 'ㅑ'는 단추 '0'에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is (a) the phoneme 'a', 'ㄲ' is assigned to the button '1', (b) the phoneme 'b', 'ㅌ' is assigned to the button '2', (C) Phonemes 'ㄷ', 'ㄸ', 'ㅓ', 'ㅕ' are assigned to button '3', (d) Phonemes 'ㄹ', 'ㅋ' are assigned to button '4', ) Phonemes' ㅁ ',' '', 'ㅡ' are assigned to button '5', (f) Phonemes' ㅂ ',' ㅃ ',' ㅗ ',' ㅛ 'are assigned to button' 6 ', (G) Phonemes 'ㅅ', 'ㅆ', 'ㅜ'. 'ㅠ' is assigned to button '7', (h) phoneme 'ㅇ', 'ㅊ' is assigned to button '8', and (i) phoneme 'ㅈ', 'ㅉ', 'ㅣ' means 'button' 9 ', and (tea) the phonemes' ㅎ', 'ㅏ' and 'ㅑ' are assigned to the button '0'.

상기 축소형 한글자판부의 다른 실시예는 (가) 자소 'ㄱ', 'ㄲ'은 단추 '1'에 배정되고, (나) 자소 'ㄴ', 'ㅌ'은 단추 '2'에 배정되고, (다) 자소 'ㄷ', 'ㄸ', 'ㅓ', 'ㅕ'는 단추 '3'에 배정되고, (라) 자소 'ㄹ', 'ㅋ'은 단추 '4'에 배정되고, (마) 자소 'ㅁ', 'ㅍ', 'ㅡ'는 단추 '5'에 배정되고, (바) 자소 'ㅂ', 'ㅃ', 'ㅏ', 'ㅑ'는 단추 '6'에 배정되고, (사) 자소 'ㅅ', 'ㅆ', 'ㅗ'. 'ㅛ'는 단추 '7'에 배정되고, (아) 자소 'ㅇ', 'ㅊ'은 단추 '8'에 배정되고, (자) 자소 'ㅈ', 'ㅉ', 'ㅣ'는 단추 '9'에 배정되고, (차) 자소 'ㅎ', 'ㅜ', 'ㅠ'는 단추 '0'에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is (a) the phoneme 'a', 'ㄲ' is assigned to the button '1', (b) the phoneme 'b', 'ㅌ' is assigned to the button '2', (C) Phonemes 'ㄷ', 'ㄸ', 'ㅓ', 'ㅕ' are assigned to button '3', (d) Phonemes 'ㄹ', 'ㅋ' are assigned to button '4', ) Phonemes' ㅁ ',' '', 'ㅡ' are assigned to button '5', (f) Phonemes' ㅂ ',' ㅃ ',' ㅏ ',' ㅑ 'are assigned to button' 6 ', (G) Phonemes 'ㅅ', 'ㅆ', 'ㅗ'. 'ㅛ' is assigned to button '7', (h) phoneme 'ㅇ', 'ㅊ' is assigned to button '8', and (i) phoneme 'ㅈ', 'ㅉ', 'ㅣ' means 'button' 9 ', and (tea) the phonemes' ㅎ', 'TT', and 'ㅠ' are assigned to the button '0'.

상기 축소형 한글자판부의 다른 실시예는 (가) 자소 'ㄱ', 'ㄲ'은 단추 '1'에 배정되고, (나) 자소 'ㄴ', 'ㅌ'은 단추 '2'에 배정되고, (다) 자소 'ㄷ', 'ㄸ', 'ㅏ', 'ㅑ'는 단추 '3'에 배정되고, (라) 자소 'ㄹ', 'ㅋ'은 단추 '4'에 배정되고, (마) 자소 'ㅁ', 'ㅍ', 'ㅡ'는 단추 '5'에 배정되고, (바) 자소 'ㅂ', 'ㅃ', 'ㅗ', 'ㅛ'는 단추 '6'에 배정되고, (사) 자소 'ㅅ', 'ㅆ', 'ㅜ'. 'ㅠ'는 단추 '7'에 배정되고, (아) 자소 'ㅇ', 'ㅊ'은 단추 '8'에 배정되고, (자) 자소 'ㅈ', 'ㅉ', 'ㅣ'는 단추 '9'에 배정되고, (차) 자소 'ㅎ', 'ㅓ', 'ㅕ'는 단추 '0'에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is (a) the phoneme 'a', 'ㄲ' is assigned to the button '1', (b) the phoneme 'b', 'ㅌ' is assigned to the button '2', (C) Phonemes 'ㄷ', 'ㄸ', 'ㅏ', 'ㅑ' are assigned to button '3', (d) Phonemes 'ㄹ', 'ㅋ' are assigned to button '4', ) Phonemes' ㅁ ',' '', 'ㅡ' are assigned to button '5', (f) Phonemes' ㅂ ',' ㅃ ',' ㅗ ',' ㅛ 'are assigned to button' 6 ', (G) Phonemes 'ㅅ', 'ㅆ', 'ㅜ'. 'ㅠ' is assigned to button '7', (h) phoneme 'ㅇ', 'ㅊ' is assigned to button '8', and (i) phoneme 'ㅈ', 'ㅉ', 'ㅣ' means 'button' 9 ', and (tea) the phonemes' ㅎ', 'ㅓ' and 'ㅕ' are assigned to the button '0'.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의 다른 실시예는 (가) 자소 'ㄱ', 'ㄲ', 'ㅑ'는 단추 '1'에 배정되고, (나) 자소 'ㄴ', 'ㅌ', 'ㅡ'는 단추 '2'에 배정되고, (다) 자소 'ㄷ', 'ㄸ', 'ㅓ'는 단추 '3'에 배정되고, (라) 자소 'ㄹ', 'ㅋ', 'ㅛ'는 단추 '4'에 배정되고, (마) 자소 'ㅁ', 'ㅍ', 'ㅗ'는 단추 '5'에 배정되고, (바) 자소 'ㅂ', 'ㅃ', 'ㅏ'는 단추 '6'에 배정되고, (사) 자소 'ㅅ', 'ㅆ', 'ㅕ'는 단추 '7'에 배정되고, (아) 자소 'ㅇ', 'ㅊ', 'ㅠ'는 단추 '8'에 배정되고, (자) 자소 'ㅈ', 'ㅉ', 'ㅣ'는 단추 '9'에 배정되고, (차) 자소 'ㅎ', 'ㅜ'는 단추 '0'에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is (a) phoneme 'a', 'ㄲ', 'ㅑ' is assigned to the button '1', (b) phoneme 'b', 'ㅌ', 'ㅡ' is Is assigned to button '2', (c) the phonemes' ㄷ ',' ㄸ ',' ㅓ 'are assigned to button' 3 ', and (d) the letters' ㄹ', 'ㅋ', 'ㅛ' are buttons' 4 ', (e) Phonemes' ㅁ ',' '', 'ㅗ' are assigned to button '5', and (f) Phonemes 'ㅂ', 'ㅃ', 'ㅃ' are assigned to '6' And (i) the phonemes 'ㅅ', 'ㅆ' and 'ㅕ' are assigned to button '7', and (h) the phonemes 'ㅇ', 'ㅊ' and 'ㅠ' are assigned to button '8'. And (i) the phonemes 'ㅈ', 'ㅉ', and 'ㅣ' are assigned to the button '9', and (car) phonemes 'ㅎ' and 'TT' are assigned to the button '0'.

상기 축소형 한글자판부의 다른 실시예는 (가) 자소 'ㄱ', 'ㄲ', 'ㅕ'는 단추 '1'에 배정되고, (나) 자소 'ㄴ', 'ㅌ', 'ㅑ'는 단추 '2'에 배정되고, (다) 자소 'ㄷ', 'ㄸ', 'ㅓ'는 단추 '3'에 배정되고, (라) 자소 'ㄹ', 'ㅋ', 'ㅛ'는 단추 '4'에 배정되고, (마) 자소 'ㅁ', 'ㅍ', 'ㅡ'는 단추 '5'에 배정되고, (바) 자소 'ㅂ', 'ㅃ', 'ㅏ'는 단추 '6'에 배정되고, (사) 자소 'ㅅ', 'ㅆ', 'ㅗ'는 단추 '7'에 배정되고, (아) 자소 'ㅇ', 'ㅊ', 'ㅠ'는 단추 '8'에 배정되고, (자) 자소 'ㅈ', 'ㅉ', 'ㅣ'는 단추 '9'에 배정되고, (차) 자소 'ㅎ', 'ㅜ'는 단추 '0'에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is (a) the phoneme 'a', 'ㄲ', 'ㅕ' is assigned to the button '1', (b) the phoneme 'b', 'ㅌ', 'ㅑ' Is assigned to button '2', (c) the phonemes' ㄷ ',' ㄸ ',' ㅓ 'are assigned to button' 3 ', and (d) the letters' ㄹ', 'ㅋ', 'ㅛ' are buttons' 4 ', (e) Phonemes' ㅁ ',' '', 'ㅡ' are assigned to button '5', and (f) Phonemes 'ㅂ', 'ㅃ', 'ㅏ' are '6' And (i) the phonemes 'ㅅ', 'ㅆ' and 'ㅗ' are assigned to button '7', and (h) the phonemes 'ㅇ', 'ㅊ' and 'ㅠ' are assigned to button '8'. And (i) the phonemes 'ㅈ', 'ㅉ', and 'ㅣ' are assigned to the button '9', and (car) phonemes 'ㅎ' and 'TT' are assigned to the button '0'.

상기 축소형 한글자판부의 다른 실시예는 (가) 자소 'ㄱ', 'ㄲ', 'ㅕ'는 단추 '1'에 배정되고, (나) 자소 'ㄴ', 'ㅌ', 'ㅑ'는 단추 '2'에 배정되고, (다) 자소 'ㄷ', 'ㄸ', 'ㅓ'는 단추 '3'에 배정되고, (라) 자소 'ㄹ', 'ㅋ', 'ㅛ'는 단추 '4'에 배정되고, (마) 자소 'ㅁ', 'ㅍ', 'ㅜ'는 단추 '5'에 배정되고, (바) 자소 'ㅂ', 'ㅃ', 'ㅗ'는 단추 '6'에 배정되고, (사) 자소 'ㅅ', 'ㅆ', 'ㅡ'는 단추 '7'에 배정되고, (아) 자소 'ㅇ', 'ㅊ', 'ㅠ'는 단추 '8'에 배정되고, (자) 자소 'ㅈ', 'ㅉ', 'ㅏ'는 단추 '9'에 배정되고, (차) 자소 'ㅎ', 'ㅣ'는 단추 '0'에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is (a) the phoneme 'a', 'ㄲ', 'ㅕ' is assigned to the button '1', (b) the phoneme 'b', 'ㅌ', 'ㅑ' Is assigned to button '2', (c) the phonemes' ㄷ ',' ㄸ ',' ㅓ 'are assigned to button' 3 ', and (d) the letters' ㄹ', 'ㅋ', 'ㅛ' are buttons' 4 ', (e) Phonemes' ㅁ ',' '', 'TT' are assigned to button '5', and (f) Phonemes 'ㅂ', 'ㅃ', ',' are buttons '6' 'G', 'ㅆ', 'ㅡ' are assigned to button '7', and (h) the phonemes 'ㅇ', 'ㅊ' and 'ㅠ' are assigned to button '8' And (i) the phonemes 'ㅈ', 'ㅉ', and 'ㅏ' are assigned to the button '9', and (car) phonemes 'ㅎ' and 'ㅣ' are assigned to the button '0'.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들에서 모든 자소를 대표 자소로 배치하고 기능 단추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reduced Hangul keyboard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all the phonemes are arranged as representative phonemes and the function buttons are removed in the above embodiments.

또한, 본 발명의 음절 문맥 확률 모형과 테이블 기반 파싱을 이용한 비결정적 한글입력방법은, 축소형 한글자판부에 하나 이상의 한글 자소가 자모 혼재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자소단추, 종속자소를 입력하기 위해 누르는 기능단추, 미결정 단추열에 대해 현재 액정표시장치에 출력된 후보를 음절열로 확정하는 확정단추, 차순위 후보를 액정표시장치에 출력하는 변경단추, 후보선택모드로 이동하는 후보선택단추 및 가장 최근에 입력했던 자소단추 조작을 취소하는 삭제단추를 배정한 상태에서, 한글 입력을 위해 동작모드를 한글입력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축소형 한글자판의 단추를 선택하는 단추 조작을 인가 받음에 따라 해당 단추에 배정된 코드를 변환하는 단계; 상기 축소형 한글자판부로부터 자소단추코드를 입력받아 미결정 단추열에 단추코드를 첨가하고 미결정 단추열에 대응되는 후보 음절열들을 생성하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축소형 한글자판부로부터 기능단추코드를 입력받아 기능단추플래그를 토글 방식으로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단계; 상기 축소형 한글자판부로부터 확정단추코드를 입력받아 음절열을 확정하고 미결정 단추열과 분석에 사용되는 자료를 초기화하는 단계; 상기 축소형 한글자판부로부터 변경단추코드를 입력받아 후보가 세 개 이상이면 후보선택모드 플래그를 설정하고, 후보가 두 개이면 화면에 출력되는 후보를 교체하는 단계; 상기 축소형 한글자판부로부터 삭제단추코드를 입력받아 미결정 단추열의 마지막 자소를 삭제하는 단계; 후보선택모드 플래그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축소형 한글자판부로부터 단추코드를 입력받아 화면에 출력되는 후보를 선택하고 확정하는 단계; 후보선택모드 플래그가 설정된 상태에서 후보 음절열들의 목록을 화면에 제시하는 단계; 및 후보선택모드 플래그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1 순위 후보 음절열을 미결정 단추열에 대응되는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non-deterministic Hangul input method using the syllable context probabilistic model and table-based par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of pressing to input a phoneme button or a dependent phoneme in which one or more Hangul phonemes are arranged in a Jamo mixture on a scaled Hangul keyboard. A button for deciding the candidate currently output to the LCD display for the button, the undecided button sequence as a syllable sequence, a change button for outputting the next-order candidate to the LCD, a candidate selection button for moving to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and the most recently entered button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to the Hangul input mode for Hangul input while allocating a delete button for canceling the phoneme button operation; Converting a code assigned to the button in response to receiving a button operation for selecting a button of the reduced Hangul keyboard; Receiving a phoneme button code from the reduced Korean keyboard unit, adding a button code to an undecided button sequence, generating candidate syllable sequences corresponding to the undecided button sequence, and determining a ranking; Receiving a function button code from the reduced Korean keyboard unit and setting or releasing the function button flag in a toggle method; Determining a syllable string by initializing a definite button code from the reduced Hangul keyboard and initializing data to be used for an undetermined button string and analysis; Receiving a change button code from the reduced Korean keyboard unit and setting a candidate selection mode flag if there are three or more candidates and replacing candidates displayed on a screen when two candidates are present; Receiving a delete button code from the reduced Korean keyboard unit and deleting the last element of the pending button sequence; Selecting and confirming a candidate to be outputted on the screen by receiving a button code from the reduced Korean keyboard unit with a candidate selection mode flag set; Presenting a list of candidate syllable sequences on a screen with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flag set; And outputting the first-order candidate syllable sequence to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ndeterminate button sequence while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flag is not set.

상기 후보 음절열을 생성하기 위해 테이블 기반 파싱 기법을 이용하고, 기억 장소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분석 과정에서는 파싱 테이블에서 단음절 셀, 중간 결과셀 및 최종 결과셀을 유지하고, 분석이 끝난 뒤에는 파싱 테이블에서 중간 결과셀 및 최종 결과셀만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able-based parsing technique is used to generate the candidate syllable sequence, and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storage space, the analysis process maintains a single syllable cell, an intermediate result cell and a final result cell in the parsing table, and after the analysis is finished, Only the intermediate result cell and the end result cell are characterized.

상기 단음절 셀을 구성하기 위해 단추열에 대응되는 음절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단추열/음절 대응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tton string / syllable correspondence table may be used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 syllable corresponding to a button string to configure the single syllable cell.

상기 후보 음절열에 대해 음절 문맥 확률 모형에 기반하여 출현 확률을 계산하고, 이 확률을 후보 음절열들의 순위 결정을 위한 기준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the candidate syllable sequence is calculated based on a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model, and the probability is used as a criterion for ranking candidate syllable sequences.

상기 음절 문맥 확률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말뭉치로부터 띄어쓰기를 고려하는 음절 연접 빈도와 띄어쓰기를 고려하지 않은 음절 연접 빈도를 함께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syllable context probabilities, the syllable concatenation frequency considering spacing from the corpus and the syllable concatenation frequency without considering spacing are considered together.

상기 음절 문맥 확률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음절 문맥 확률 자료에 대해 음절 연접 빈도, 음절 연접 빈도의 순위 및 해당 음절 문맥 확률값 자체를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척도를 사용하여 확률 자료의 활용도를 측정하고, 활용도가 높은 확률 자료만을 선별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the utilization of the probability data is measured by using a scale that considers the syllable concatenation frequency, the rank of the syllable concatenation frequency, and the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value itself. Is characterized in that to use only high probability data.

상기 각각의 자소에 대해 자소 연접 분포 벡터를 구하고, 두 벡터에 대해 개개 벡터의 크기에 비례하고, 벡터의 코사인 값에 반비례하는 척도를 사용하여 모호성 해소 오류 발생 추정량을 계산하고, 모호성 해소 오류 발생 추정량이 최소인 자소의 배치를 선택함으로써 최적의 자판 배열을 자동으로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mpute a consonant distribution vector for each phoneme, calculate an ambiguity-resolved error occurrence estimator using a scale that is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individual vector for two vectors,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osine of the vector, and estimate an ambiguity-resolved error occurrence. It is characterized by automatically searching for the optimum keyboard layout by selecting the minimum arrangement of the phonemes.

도 1은 발명에 따른 비결정적 한글 입력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non-deterministic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2는 종래 천지인(상표명) 자판 배열의 예시도.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a conventional Cheonjiin (trademark) keyboard arrangement.

도 3은 종래 한돌(상표명) 자판 배열의 예시도.Figure 3 is an illustration of a conventional handol (trade name) keyboard arrangement.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 흐름도.4 is an overall flow 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축소형 한글 자판부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a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후보 음절열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싱 테이블의 예시도.6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parsing table used to generate candidate syllable seque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파싱 테이블의 확장과 축소의 원리를 그림으로 나타낸 개념도.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ars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본 발명의 단추열/음절 대응표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예시도.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art of a button string / syllable correspondenc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자소 단추 처리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9 is a flowchart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honeme button proces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단추열 "8339"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파싱 테이블의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10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hange of a parsing table in the process of inputting a button string "8339";

도 11은 본 발명의 기능 단추 처리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Fig. 11 is a flowchart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unction button proc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단추열 "1739#901"을 입력한 상태에서 파싱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Fig. 12 is an illustrat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arsing table in a state in which button string "1739 # 901" is entered.

도 13은 본 발명의 확정 단추 처리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13 is a flowchart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utton process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변경 단추 처리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Fig. 14 is a flowchart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hange button proc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단추열 "10896002"를 입력한 상태에서 파싱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Fig. 15 is an illustration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arsing table in a state in which button string " 10896002 " is entered.

도 16은 단추열 "209839"를 입력한 상태에서 파싱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Fig. 16 is an illustration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arsing table in a state in which button string " 209839 " is entered.

도 17은 본 발명의 삭제 단추 처리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Fig. 17 is a flowchart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elete button proc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단추열 "70405"를 입력한 상태에서 파싱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Fig. 18 is an illustrat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arsing table in a state in which button string "70405" is input.

도 19는 본 발명의 후보 선택 처리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Fig. 19 is a flowchart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andidate selection processing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후보 출력 화면 구성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방향 단추에 의한 화면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20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andidate output screen configuration and the screen change by the direction button.

도 21은 본 발명의 화면 출력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21 is a flowchart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creen outpu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의 축소형 한글 자판부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Figure 2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본 발명의 축소형 한글 자판부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Figure 2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는 본 발명의 축소형 한글 자판부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2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는 본 발명의 축소형 한글 자판부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2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a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은 본 발명의 축소형 한글 자판부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2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ixth preferred embodiment of a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축소형 한글 자판부20 : 단추열 파싱부10: reduced type Hangul keyboard portion 20: button string parsing portion

21 : 자소 단추 처리부22 : 기능 단추 처리부21: phone button processing unit 22: function button processing unit

23 : 확정 단추 처리부24 : 변경 단추 처리부23: confirmation button processing unit 24: change button processing unit

25 : 삭제 단추 처리부30 : 단추열/음절 대응표25: delete button processing unit 30: button string / syllable correspondence table

40 : 음절 문맥 확률 자료50 : 파싱 테이블40: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data 50: parsing table

60 : 후보 선택 처리부70 : 화면 출력부60: candidate selection processing unit 70: screen output uni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결정적 한글 입력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non-deterministic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한글 자소가 자모 혼재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자소단추, 종속 자소를 입력하기 위해 누르는 기능단추, 현재 액정표시장치에 출력된 후보 음절열이 입력하려는 음절열임을 확정하는 확정하는 확정단추, 차순위 후보를 액정표시장치에 출력하는 변경단추, 후보선택모드로 이동하는 후보선택단추 및 가장 최근에 입력했던 자소단추 조작을 취소하는 삭제단추를 포함하는 자판 배열에서 단추 조작이 발생함에 따라 해당 단추에 배정된 코드를 생성하는 축소형 한글자판부(10)와; 자소입력모드에서 상기 축소형 한글자판부(10)로부터 입력된 단추를 처리하여 가능한 후보들과 후보들의 순위를 생성하는 단추열 파싱부(20)와; 상기 단추열 파싱부(20)에서 부분 단추열에 대응되는 음절을 효율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료인 단추열/음절 대응표(30)와; 상기 단추열 파싱부(20)에서 후보들의 순위를 확률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음절 문맥 확률 자료(40)와; 상기 단추열 파싱부(20)에서 생성된 후보 음절열을 저장하고 추가의 단추 입력이 있을 때 재계산을 소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싱 테이블(50)과; 후보선택모드 플래그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축소형 한글자판부(10)로부터 입력된 단추에 따라 음절열을 확정하거나 액정표시장치에 출력될 후보 목록의 페이지를 변경하는 후보선택처리부(60)와; 상기 파싱 테이블(50)을 참조하여 액정표시장치에 적절한 내용을 출력해 주는 화면출력부(7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 phoneme button in which one or more Hangul phonemes are arranged in a Jamo mixture, a function button pressed to input a dependent phoneme, and a candidate currently output to the LCD device. Confirming button for confirming that syllable string is syllable string, Change button for outputting next-order candidate to LCD, Candidate selection button for moving to candidate selection mode, and Delete button for canceling the most recent phoneme button operation. A reduced Hangul keyboard unit 10 for generating a code assigned to the button as a button manipulation occurs in the keyboard layout including a; A button string parsing unit (20) for processing the buttons input from the reduced Hangul keyboard (10) in the phoneme input mode to generate possible candidates and ranking of candidates; A button string / syllable correspondence table 30 which is a material used by the button string parser 20 to efficiently search for a syllable corresponding to a partial button string;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data (40) used in the button string parsing unit (20) to probabilistically rank the candidates; A parsing table (50) for storing candidate syllable sequences generated by the button sequence parsing section (20) and for recalculating when there is additional button input; A candidate selection processing unit 60 for determining a syllable sequence or changing a page of a candidate list to be outpu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a button input from the reduced type Hangul keyboard unit 10 while a candidate selection mode flag is se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creen output unit 70 for outputting the appropriate contents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with reference to the parsing table 50.

상기 단추열 파싱부(20)에서는 입력된 단추의 유형에 따라 자소 단추 처리부(21), 기능 단추 처리부(22), 확정 단추 처리부(23), 변경 단추 처리부(24) 및 삭제 단추 처리부(25)에서 입력 단추의 처리를 담당한다.In the button string parsing unit 20, the phoneme button processing unit 21, the function button processing unit 22, the confirmation button processing unit 23, the change button processing unit 24, and the delete button processing unit 25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put button. Is responsible for handling input button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에서 축소형 한글 자판부(10), 단추열 파싱부(20), 후보 선택부(60) 및 화면출력부(7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괄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duced Hangul keyboard 10, the button sequence parser 20, the candidate selector 60 and the screen output unit 70 in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본 발명이 적용된 기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모드로 설정되면 동작 모드를 한글 입력 모드로 전환하고(S10) 축소형 한글 자판부(10)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단추들을 코드로 변환한다(S20). 단추열 파싱부(20)에서는 현재 상태가 여러 개의 후보가 제시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후보 선택 모드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이면(S30) 후보 선택 처리부(60)를 수행하며(S60), 그렇지 않으면 해당 입력 단추의 유형에 따라 각각 자소 단추 처리부(21), 기능 단추 처리부(22), 확정 단추 처리부(23), 변경 단추 처리부(24), 삭제 단추 처리부(25)를 각각 실행한다(S50~S140). 한편, 커서를 상하좌우로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방향 단추나 입력 모드를 한글, 영문, 숫자, 기호 등으로 전환하는데 사용되는 입력 모드 전환 단추 등이 들어왔을 때에는 미결정 단추열에 대해 현재 액정표시장치에 출력되어 있는 음절열로 확정(S150)한 다음 해당 입력 단추를 공통 단추 처리부에서 처리하도록 한다(S160). 방향 단추나 입력 모드 전환 단추에 대해 처리하는 공통 단추 처리부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추열 파싱부(20)와 후보 선택 처리부(60)에서 단추 입력에 대한 처리가 끝나면 화면출력부(70)에서는 현재 상태가 후보 선택 상태이면 액정표시장치에 후보 음절열을 순위에 따라 페이지 단위로 출력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순위가 출력 후보 번호에 해당하는 후보 음절열을 액정표시장치에서 미결정 단추열에 대응되는 영역에 출력한다(S180). 이때, 미결정 단추열에 대응되는 음절열에 대해서는 글자의 색상이나 농도를 달리하거나 특정 기호를 이용하여 해당 음절열을 구분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In the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mode for inputting Hangul by the user is switched to the operation mode into the Hangul input mode (S10), and the reduced type Korean keyboard portion 10 converts the buttons input by the user into codes ( S20). The button sequence parsing unit 20 performs the candidate selection processing unit 60 when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flag for selecting one of the multiple candidates is present (S30). The phoneme button processor 21, the function button processor 22, the confirmation button processor 23, the change button processor 24, and the delete button processor 25 are respectively execu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put button (S50 to S140). . On the other hand, when a direction button used to move the cursor up, down, left, or right, or an input mode switch button used to switch the input mode to Korean, English, numbers, symbols, etc. is inputted, the undetermined button string is output to the curren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fter determining the syllable string (S150), the input button is processed by the common button processor (S160). Since the common button processing unit processing the direction button or the input mode switching button is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the button string parsing unit 20 and the candidate selection processing unit 60 process the button input, the display output unit 70 displays the candidate syllable sequence in the page unit according to the rank if the current state is the candidate selection state. If not, the candidate syllable string whose rank corresponds to the output candidate number is output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undecided button string in the LCD (S180). In this case, the syllable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indeterminate button sequence may increase the user's recognition by changing the color or density of the letters or by classifying the syllable sequence using a specific symbol.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세부적인 흐름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축소형 한글 자판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하나 제시하고, 몇 가지 용어와 자료 구조를 정의하고 설명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detailed flow of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a reduced Hangul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and several terms and data structures are defined and explain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소형 한글 자판부의 바람직한 한 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굵고 큰 글씨로 표현된 한글 자소는 해당 단추의 대표 자소를 나타내며, 작고 가는 글씨로 표현된 한글 자소는 종속 자소를 의미한다. 도 5에서 변경이라고 표기된 단추는 변경 단추를, 기능이라고 표시된 단추는 기능 단추이다. 한글 자음들 가운데 출현 빈도가 높은 10개의 자소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및 'ㅎ'과 한글 모음들 가운데 출현 빈도가 높은 6개의 자소인 'ㅏ', 'ㅓ', 'ㅗ', 'ㅜ', 'ㅡ', 'ㅣ'는 대표 자소로 배정된다. 대표 자음을 제외한 나머지 자음은 모두 종속 자음으로 정의되고, 이 자소들은 기능 단추를 누른 후에 해당 단추를 누름으로써 입력된다. 대표 모음을 제외한 나머지 모음들 가운데 'ㅑ', 'ㅕ', 'ㅛ', 'ㅠ'는 종속 모음으로 정의되고, 이 자소들도 종속 자음에서와 마찬가지로 기능 단추와 해당 단추의 순차적 누름으로 입력된다. 하지만, 'ㅘ', 'ㅞ', 'ㅢ' 등과 같은 복합 모음은 대표 모음의 조합으로 입력되도록 구성된다.In FIG. 5, the Hangul phoneme expressed in bold and large letters indicates a representative phoneme of the corresponding button, and the Hangul phoneme expressed in small and thin letters means a dependent phoneme. In FIG. 5, the button labeled Change is a change button, and the button labeled Function is a function button. Among the Korean consonants, the ten most frequent occurrences are 'ㄱ', 'ㄴ', 'ㄷ', 'ㄹ' and 'ㅁ'. '자', 'ㅅ', 'ㅇ', 'ㅈ' and 'ㅎ' and 6 phonemes with high frequency among Korean vowels' ㅏ ',' ㅓ ',' ㅗ ',' ㅜ ',' ㅡ ',' ㅣ 'is assigned as the representative letter. All consonants except the representative consonants are defined as dependent consonants, which are input by pressing the function button after pressing the function button. Among the vowels except the representative vowels, 'ㅑ', 'ㅕ', 'ㅛ', and 'ㅠ' are defined as subordinate vowels, and these phonemes are entered as sequential presses of function buttons and corresponding buttons as in subordinate consonants. . However, complex vowels such as 'ㅘ', 'ㅞ', 'ㅢ', etc. are configured to be input as a combination of representative vowels.

(용어 정의)(Term Definition)

축소형 한글 자판: 한글 자소의 개수에 비해 자판을 구성하는 단추의 개수가 적은 한글 자판이다. 축소형 한글 자판에서는 모든 종류의 자소를 표현하기 위해.일반적으로 하나의 단추에 여러 개의 자소를 배정하거나 두 개 이상의 단추의 조합을 통해 하나의 자소를 나타낼 수 있도록 단추의 기능을 정의한다.Reduced Hangul Keyboard: A Hangul keyboard with fewer buttons that make up the keyboard than the number of Hangul characters. In miniature Korean keyboards, to represent all kinds of phonemes, you typically define the function of a button to assign multiple phonemes to a button or to represent a phoneme through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buttons.

대표 자소: 하나의 단추에 두 개 이상의 자소가 배정되어 있을 때, 그 단추를 단독으로 눌렀을 때 입력되는 자소를 의미한다. 대표 자소가 자음이면 대표 자음, 모음이면 대표 모음이라 한다.Representative Phoneme: When two or more phonemes are assigned to a button, it is the phoneme that is entered when the button is pressed alone. If the representative phoneme is a consonant, it is called a representative consonant.

종속 자소: 대표 자소를 제외한 나머지 자소를 의미하며, 종속 자소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추를 눌러야 한다. 종속 자소가 자음이면 종속 자음, 모음이면 종속 모음이라 한다.Dependent phoneme: means any other phone except the representative phoneme. At least one button must be pressed to enter dependent phoneme. If the dependent phoneme is a consonant, it is called a dependent consonant.

다중 타자 방식: 하나의 단추를 여러 번 눌러서 그 단추에 배정된 종속 자소를 입력하는 방식이다.Multi-type method: Pressing a button multiple times to enter the dependent phonemes assigned to that button.

기능 단추 방식: 종속 자소가 배정되어 있는 단추를 누르기 전 혹은 후에 하나 이상의 기능 단추를 눌러서 해당 종속 자소를 입력하는 방식이다.Function button method: A method of inputting a dependent phoneme by pressing one or more function buttons before or after pressing a button to which the dependent phoneme is assigned.

자모 배치 분리형 자판: 하나의 단추에 자음과 모음이 동시에 배정되지 않은 형태의 자판을 의미한다.Jamo Placement Detachable keyboard: A keyboard that has no consonants and vowels assigned to one button at the same time.

자모 배치 혼재형 자판: 하나의 단추에 자음과 모음이 동시에 배정될 수 있는 형태의 자판을 의미한다. 자모 배치 혼재형 자판에서는 하나의 단추에 대한 대표 자소로 자음과 모음을 각각 하나씩 배정할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대표 자소를 가지는 단추가 존재할 수 있다.Jamo arrangement Mixed keyboard: A type of keyboard that can be assigned consonants and vowels simultaneously to a single button. In a consonant arrangement mixed keyboard, one consonant and one vowel may be assigned as representative phonemes for one button, and thus a button having a plurality of representative phonemes may exist.

모호성: 축소형 한글 자판에서는 하나의 단추에 두 개 이상의 자소가 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하나의 단추를 눌렀을 때 그 단추에 배정되어 있는 여러개의 자소 가운데 어떤 자소의 입력을 의도하는지 결정적으로 판단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여러 개의 단추열이 연속적으로 눌러졌을 때 이에 대응되는 여러 개의 음절열 가운데 어떤 것이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음절열인지 판단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모호성이라고 한다.Ambiguity: In a reduced Hangul keyboard, more than one phoneme can be assigned to a button, so when a user presses a button, it is crucial to determine which phoneme the user intends to input among the phonemes assigned to that button. A situation may arise that cannot be done. Similarly, when a plurality of button sequences are consecutively pressed, there is a situation where it is impossible to determine which of the corresponding syllable sequences is the syllable sequence that the user wants to input. This phenomenon is called ambiguity.

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 하나의 단추 혹은 단추열에 대응되는 자소가 하나만 존재하도록 자판을 정의하여 모호성이 발생하지 않도록 자소를 입력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결정적인 자소 입력 방식에서는 한글을 입력할 때 사용자가 누른 단추열에 대응되는 음절열이 유일하며 입력시 사용자가 오류를 범하지 않는 이상 입력 의도에 부합하는 음절열이 입력된다.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A method of inputting a phoneme so that ambiguity does not occur by defining a keyboard such that only one phoneme corresponding to one button or button string exists. In the 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the syllable string corresponding to the button string pressed by the user when entering Hangul is unique, and the syllable string corresponding to the input intention is input unless the user makes an error.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 하나의 단추 혹은 단추열에 대응되는 자소가 여러 개인 경우를 허용하는 자소 입력 방식을 의미한다.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에서는 사용자가 누른 단추열에 되응되는 음절열이 여러 개가 존재하여 모호성이 발생하므로, 자동으로 모호성을 해결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거나, 사용자의 부가적인 단추 조작을 통해 음절열을 선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A phoneme input method that allows a case where there are multiple phonemes corresponding to one button or button string. In the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there are several syllable strings that correspond to the button strings pressed by the user, so that ambiguity occurs. The process is necessary.

미결정 단추열: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에서는 모호성이 발생하며, 전체 모호성을 자동으로 해결할 수는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부가적인 단추 조작을 통해 입력하고 있는 내용에 대한 확인을 받거나 수정을 거쳐야 한다. 이때 아직 사용자의 확인을 받지 못한 단추열을 미결정 단추열이라고 한다.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에서 단추가 눌러지면 전체 입력 텍스트 가운데 미결정 단추열에 대응되는 음절열 부분에서만 변화가 일어난다.Indeterminate button sequence: In the case of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ambiguity occurs, and the entire ambiguity cannot be solved automatically, so the user has to confirm or correct the input by additional button manipulation. At this time, the button sequence that has not been confirmed by the user is called an indeterminate button sequence. When the button is pressed in the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the change occurs only in the syllable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indeterminate button sequence of the entire input text.

후보 음절열: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에서는 미결정 단추열에 대응되는 음절열이 다수가 존재하는데, 이들 각각을 후보 음절열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서는 후보 음절열을 후보라고 축약해서 표현하기도 한다.Candidate syllable sequence: In the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there are a large number of syllable sequences corresponding to the undetermined button sequences, each of which is called a candidate syllable sequ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candidate syllable sequences may be abbreviated as candidates.

후보 순위화 기준: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에서 다수의 후보 음절열이 존재하면 이들의 순위를 결정하여 1 순위에 해당하는 후보 음절열을 액정 표시 장치에 출력한다. 이를 위해서는 후보 음절열의 순위를 결정하는 기준이 제공되어야 하는데 이를 후보 순위화 기준이라 한다.Candidate Ranking Criteria: In the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if there are a plurality of candidate syllable sequences, their ranks are determined and the candidate syllable sequenc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k are outpu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To this end,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rank of candidate syllable sequences should be provided, which is called a candidate ranking criterion.

음절 단위 모호성 해소 방식: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 중에서 각 음절을 입력할 때마다 모호성을 해소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음절 단위 모호성 해소 방식에서는 미결정 단추열에 대응되는 음절열 가운데 하나의 음절로 구성된 것들만이 후보 음절열에 포함된다. 이 방식에서는 하나의 음절에 대한 입력이 끝났을 때 다수 개의 후보 음절열이 존재하면 사용자에게 모호성을 해소하는 조작을 요구한다.Syllable unit ambiguity resolution method: A method of resolving ambiguity for each syllable input among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s. In the syllable unit ambiguity resolution method, only syllables composed of one syllable among the syllable sequences corresponding to the undecided button sequence are included in the candidate syllable sequence. In this method, when a plurality of candidate syllable strings exist when the input for one syllable is completed, the user is required to manipulate the ambiguity.

단어 단위 모호성 해소 방식: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 중에서 각 단어를 입력할 때마다 모호성을 해소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단어 단위 모호성 해소 방식에서는 단어 목록을 가지고 있어서 미결정 단추열에 대응되는 음절열 가운데 단어 목록에 포함된 음절열만이 후보 음절열에 포함된다. 이 방식에서는 하나의 단어에 대한 입력이 끝났을 때 모호성 해소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모호성을 해소하는 조작을 요구한다.Word unit ambiguity resolution method: A method of resolving ambiguity for each word input among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s. In the word unit ambiguity resolution method, only the syllable sequences included in the word list among the syllable sequences corresponding to the undecided button sequence are included in the candidate syllable sequence. In this method, if an error occurs in the process of resolving ambiguity when the input of one word is finished, the user is required to manipulate the ambiguity.

임의 단위 모호성 해소 방식: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 중에서 모호성을 해소하는 단위를 사용자가 임의로 결정할 수 있는 방식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는 임의의 시기에 모호성 해소를 위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임의 단위 모호성 해소 방식에서 후보음절열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어절 단위를 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축소형 한글 자판에서는 일반적으로 공백 문자가 한글 자소와 다른 단추에 배정되어 있어서 1 순위 후보 음절열에서 공백 문자보다 앞선 음절들은 이후의 단추 조작에 의해 바뀌지 않아 결정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이다.Arbitrary unit ambiguity resolution method: A method in which a user can arbitrarily determine a unit that resolves ambiguity among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s. That is, the user can perform an operation for ambiguity resolution at any time. In random unit ambiguity resolution, candidate syllable sequences generally do not exceed one word uni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n a reduced Hangul keyboard, a space character is generally assigned to a button different from the Hangul phoneme, so that the syllables preceding the space character in the first-order candidate syllable string are not changed by subsequent button manipulations and thus are processed decisively.

동일 단추 모호성: 다중 타자 방식에서 앞 음절의 종성과 다음 음절의 초성이 같은 단추에 배정되어 있는 음절열을 입력할 때 음절 경계에서 눌러진 단추가 앞 음절에 속하는 것인지 다음 음절에 속하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동일 단추 모호성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다중 타자 방식에서는 동일 단추 모호성을 해소하기 위해 음절의 경계를 나타내는 기능 단추를 누르도록 하거나 일정 시간 동안 단추를 누르지 않게 하여 음절 경계를 구분하는 방식을 취하는데, 이 두 가지 방법 모두 입력 속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Same-button ambiguity: In a multi-type method, when you enter a syllable sequence in which the last syllable's last syllable and the next syllable's initial are assigned to the same button, you can determine whether the button pressed at the syllable boundary belongs to the previous syllable or the next syllable. A number of things happen, called equal button ambiguity. In general, in multi-type method, in order to solve the same button ambiguity, a syllable boundary is distinguished by pressing a function button indicating a syllable boundary or by not pressing the butt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acts as a dropping factor.

자모 구분 모호성: 자모 배치 혼재형 자판에서 자음과 모음이 함께 배정되어 있는 단추를 누르면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자소가 자음인지 모음인지 구분할 수 없는 모호성이 발생하는데, 이를 자모 구분 모호성이라 한다. 자모 구분 모호성은 부가적인 단추 조작 없이는 완전히 해소될 수 없기 때문에 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에서는 일반적으로 자모 배치 혼재형 자판을 사용하지 않는다.Consonant ambiguity: When you press a button that has consonants and vowels assigned in a consonant layout mixed keyboard, you can't tell whether the phoneme you want to input is consonant or vowel. This is called consonant ambiguity. 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s generally do not use the Jamo batch mixed keyboard because the Jamo-division ambiguity cannot be completely eliminated without additional button manipulation.

음절 경계 모호성: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에서 눌러진 단추열을 음절 단위로 경계를 지을 수 없어 발생하는 모호성을 음절 경계 모호성이라고 한다.Syllable boundary ambiguity: In the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the ambiguity caused by not being able to boundary the pressed button sequence by syllable unit is called syllable boundary ambiguity.

모호성 해소율: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에서 발생하는 모호성에 대해 사용자의 부가적인 단추 조작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모호성을 해소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즉, 모호성 해소율은 1 순위 후보 문자열이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문자열에 부합되는 비율이다.Ambiguity Resolving Rate: A ratio of automatically eliminating ambiguity for the ambiguity generated by the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without requiring additional user button manipulation. In other words, the ambiguity resolution rate is the rate at which the first-order candidate string matches the string that the user wants to input.

한글 제자 원리: 한글에서 음절의 구성은 초성+중성 혹은 초성+중성+종성으로 이루어지고, 초성은 하나의 자음, 중성은 하나 이상의 모음, 종성은 하나 이상의 자음으로 구성되며, 결합 가능한 모음들과 결합 가능한 자음들은 제한되어 있다는 원리를 의미한다.Hangul Discipleship Principle: In syllables, syllables consist of consonants + neutral or consonants + neutral + jongseong, which consists of one consonant, one or more vowels, and one or more consonants. It means the principle that the possible consonants are limited.

완전 음절: KSC5601 문자 집합에 속하는 한글 음절을 의미한다. 물론 ??, ?? 등과 같이 한글 음절이면서도 KSC5061 문자 집합에 속하지 않는 음절이 존재하지만, 축소형 한글 자판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기기들이 KSC5601 문자 집합을 기준으로 한글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완전 음절의 정의는 이에 따르도록 한다.Complete syllable: Korean syllables belonging to KSC5601 character set. sure ??, ?? Although there are syllables such as Hangul syllables and not belonging to the KSC5061 character set, most devices that use the reduced Hangul keyboard determine whether or not they are Hangul based on the KSC5601 character set.

불가능 음절: ""과 "" 등과 같이 한글의 제자 원리에는 어긋나지 않으나 완전 음절에 해당되지 않는 한글 음절을 의미한다.Impossible syllable: " "And" Like ", it means Hangul syllable that does not contradict the Hangul disciple principle but does not correspond to a complete syllable.

불완전 음절: 한글 자소나 자소열로 이루어져 있으나 한글 제자 원리에 어긋나는 음절을 의미한다. 초성만으로 구성된 음절이나 초성이 없는 음절이 불완전 음절에 해당된다.Incomplete syllables: It means syllables that consist of Hangul phonemes or phoneme strings but are contrary to the principles of Hangul discipleship. Incomplete syllables are syllables that consist only of consonants or syllables without consonants.

초성 단독 음절: 초성만으로 구성된 불완전 음절을 의미한다.Primary syllables: Incomplete syllables consisting of only the first consonants.

중성 단독 음절: 중성만으로 구성된 불완전 음절을 의미한다.Neutral Syllable: An incomplete syllable consisting of only neutral.

테이블 기반 파싱: 삼각형 형태의 테이블을 이용하여 입력 토큰열의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테이블 기반 파싱은 중간 계산 과정을 파싱 테이블에 저장해두기 때문에 토큰이 추가되더라도 전체 입력 토큰열에 대해 파싱을 다시 하지 않고 새롭게 추가된 토큰과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만 파싱을 수행하면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테이블 기반 파싱은 중복 계산을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테이블 기반 파싱은 종래의 자연어 처리 연구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미결정 단추열을 입력 토큰열로 간주하여 테이블 기반 파싱을 적용한다.Table-based parsing: Analyze the structure of an input token sequence using a triangular table. Table-based parsing saves intermediate calculations in the parsing table, so even if tokens are added, the result of analysis can be obtained by parsing only the parts related to the newly added token without re-parsing the entire input token sequence. Thus, table-based parsing has the feature of eliminating duplicate calculations. Since table-based parsing is widely known in the conventional natural language processing research,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able-based parsing is applied by considering an undetermined button sequence as an input token sequence.

파싱 테이블: 테이블 기반 파싱에서 사용되는 자료 구조로 도 6과 같은 형태를 지닌다. 파싱 테이블의 행과 열의 개수는 입력 토큰열의 길이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파싱 테이블의 i번째 행, j번째 열에 있는 셀을 C(i,j)로 표현한다. 셀 C(i,j)는 입력 토큰열 가운데 i번째부터 j번째까지의 것으로 구성되는 부분 토큰열의 파싱 결과를 담고 있으며, 미결정 단추열의 길이가 j일 때 내용이 구성되고 그 이후에는 변하지 않는다.Parsing Table: A data structure used in table-based parsing, as shown in FIG. The number of rows and columns in the parsing table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input token colum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lls in the i th row and the j th column of the parsing table are expressed as C (i, j). Cell C (i, j) contains the parsing result of the partial token sequence consisting of the i th to j th of the input token sequences, and the contents are constructed when the length of the pending button sequence is j, and thereafter, it does not change.

파싱 테이블의 크기: 파싱 테이블을 구성하는 열 혹은 행의 수를 의미한다. 파싱 테이블의 크기는 입력 토큰열의 길이와 동일하다.Parsing table size: The number of columns or rows that make up a parsing table. The size of the parsing table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input token string.

파싱 테이블의 확장: 입력 토큰, 즉 미결정 단추열의 길이가 증가하면 파싱 테이블의 크기가 늘어나야 하는데 이를 파싱 테이블의 확장이라고 한다. 자소 단추가 입력되어 미결정 단추열이 늘어나면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싱 테이블의 열 및 행의 개수가 하나 늘어난다. 이때, 파싱 테이블에서 확장되는 부분은 맨 마지막 열 및 행이다.Expansion of the parsing table: As the length of the input token, i.e. the undetermined button row, increases, the size of the parsing table must increase, which is called the expansion of the parsing table. When the phoneme button is input and the pending button column is increased, as shown in FIG. 7, the number of columns and rows of the parsing table is increased by one. At this time, the extended part of the parsing table is the last column and row.

파싱 테이블의 축소: 삭제 단추가 눌러져서 미결정 단추열의 길이가 감소하면 파싱 테이블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맨 마지막 열과 행이 제거되어 크기가 줄어드는데 이를 파싱 테이블의 축소라고 한다.Reduction of parsing table: If the length of the pending button column is reduced because the delete button is pressed, the parsing table is reduced in size by removing the last column and row as shown in FIG.

부분 단추열: 미결정 단추열의 일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미결정 단추열 가운데 i번째 단추부터 j번째 단추로 이루어지는 부분 단추열을 I(i:j)로 표현한다.Partial button sequence: Refers to a part of the pending button sequence, and represents a partial button sequence consisting of the i th to j th buttons among the undecided button sequence as I (i: j).

단음절셀: 미결정 단추열의 길이가 n일 때 파싱 테이블에서 모든 C(i,n)에 해당하는 셀을 단음절셀이라고 한다. 단음절셀 C(i,n)에는 부분 단추열 I(i:n)에 대응되는 단독 음절들이 후보로 들어갈 수 있다. 단음절셀에 들어갈 수 있는 단독 음절들은 부분 단추열 I(i:n)에 대응되는 음절이 있는지 단추열/음절 대응표를 조회함으로써 알아낼 수 있다. 도 8은 도 5에서 제시된 축소형 한글 자판부를 채택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단추열/음절 대응표의 일부분을 나타낸다. 단추열/음절 대응표에는 단추열과 그에 대응되는 음절, 그리고 해당 음절이 비한글 문자 뒤에 나타날 확률 및 해당 음절이 한글 문자 뒤에 나타날 확률을 담고 있다. 단추열/음절 대응표에 들어가는 한글 음절에는 완성 음절과 초성 단독 음절이 포함된다. 단추열/음절 대응표의 단추열 가운데 원문자로 표시된 것은 해당 단추 코드에 뒤에서 설명될 기능 단추 비트가 설정된 단추임을 의미한다.Single-syllable cell: When the length of the undetermined button sequence is n, the cells corresponding to all C (i, n) in the parsing table are called single-syllable cells. In the single syllable cell C (i, n), single syllables corresponding to the partial button string I (i: n) may be candidates. Single syllables that can be included in a single syllable cell can be found by querying a button sequence / syllable correspondence table for syllables corresponding to the partial button sequence I (i: n). FIG. 8 shows a part of a button string / syllable correspondence table that can be used when adopting the reduced Hangul keyboard shown in FIG. The button sequence / syllable correspondence table contains the button sequence, the corresponding syllable, the probability that the syllable will appear after the non-Hangul characters, and the probability that the syllable will appear after the Hangul characters. Hangul syllables in the button / syllable correspondence table include complete syllables and consonant single syllables. The circled characters in the button column of the button string / syllable correspondence table indicate that the button has a function button bit set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corresponding button code.

중간 결과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싱 테이블에서 모든 C(1,j)에 해당하는 셀을 중간 결과셀이라고 한다. 중간 결과셀 C(1,j)에는 부분 단추열 I(1:j)에 대응되는 후보 음절열이 들어있다.Intermediate result cell: As shown in FIG. 6, a cell corresponding to all C (1, j) in the parsing table is referred to as an intermediate result cell. The intermediate result cell C (1, j) contains candidate syllable strings corresponding to the partial button strings I (1: j).

최종 결과셀: 미결정 단추열의 길이가 n이라고 할 때, 열 C(1,n)을 최종 결과셀이라고 한다. 최종 결과셀은 미결정 단추열 전체에 대한 후보들을 담고 있기때문에 화면 출력부에서는 최종 결과셀에 있는 후보들을 이용하여 화면 출력을 수행한다.Final result cell: When the length of the undetermined button row is n, the column C (1, n) is called the final result cell. Since the final result cell contains candidates for the entire undecided button sequence, the screen output unit outputs the screen using the candidates in the final result cell.

후보 선택 모드 플래그: 본 발명에서는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미결정 단추열에 대응되는 음절열이 여러 개가 될 수 있다. 만약 1순위 후보가 사용자가 의도한 입력이 아닐 경우에는 후보 목록들이 화면에 제시된 상태에서 원하는 후보를 선택하도록 후보 선택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데, 후보 선택 모드 플래그는 현재 상태가 후보 선택 모드인지를 나타내는 부울린형 변수이다.Candidate Selection Mode Flag: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is adopted, the number of syllable strings corresponding to the indeterminate button sequence may be many. If the first-priority candidate is not the input intended by the user,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may be switched to select a desired candidate while the candidate list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flag indicates whether the current state is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Boolean variable.

현재 후보 페이지: 후보 선택 모드에서 현재 화면에 보여지는 후보 목록이 전체 후보 목록에서 몇 번째 페이지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변수이다.Current candidate page: In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a variable indicating how many pages the candidate list shown on the current screen corresponds to.

후보 개수: 최종 결과셀에 들어있는 후보 음절열의 개수를 의미한다.Candidate number: means the number of candidate syllable strings included in the final result cell.

기능 단추 플래그: 기능 단추가 눌러짐에 따라 토글(toggle)되는 변수를 의미한다. 기능 단추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소 단추가 눌러지면, 해당 단추의 코드에 기능 단추 비트가 부가적으로 설정되어 미결정 단추열에 추가된다. 자소 단추가 눌러지면 기능 단추 플래그는 초기화 된다.Function button flag: A variable that toggles as the function button is pressed. When the phoneme button is pressed while the function button flag is set, the function button bit is additionally set in the code of the button and added to the pending button string. When the phoneme button is pressed, the function button flag is reset.

현재 후보 번호: 미결정 단추열에 대응되어 액정 표시 장치에 출력되는 음절열의 후보 번호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는 1순위 후보가 액정 표시 장치에 출력되지만, 후보 개수가 2일 때에 변경 단추를 누르면 액정 표시 장치에 출력되어 있지 않은 후보의 순위가 현재 후보 번호로 설정된다.Current candidate number: Refers to a candidate number of syllable sequences that is outpu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determinate button sequence. Generally, the first-order candidate is outpu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but if the change button is pressed when the number of candidates is two, the rank of the candidate not outpu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is set to the current candidate number.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에서 자소 단추 처리부(2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자소 단추 처리부(21)가 호출되면 현재 기능 단추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 검사하여(S610) 기능 단추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자소 단추 코드에 기능 단추 비트를 설정하여 미결정 단추열에 첨가하고(S620), 그렇지 않으면 자소 단추 코드를 그대로 미결정 단추열에 추가한다(S630). 미결정 단추열에 자소 단추 코드가 추가되면 파싱 테이블(50)의 크기를 확장하고(S640) 확장된 셀 영역 가운데 단음절셀들에 대해 후보를 첨가하는 작업을 수행한다(S650). 단음절셀에 후보를 첨가하는 작업은, 해당 단음절셀이 의미하는 단추열에 대해 단추열/음절 대응표를 참조하여 대응되는 음절이 있으면 그 음절을 후보로 등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확장된 단음절셀의 구성이 끝나면 중간 결과셀들과 확장된 단음절셀에 있는 모든 후보들을 조합하여 최종 결과셀을 구성하는 작업을 수행한다(S660). 미결정 단추열의 길이가 n일 때, 최종 결과셀 C(1,n)에는 1부터 (n-1) 사이의 모든 i에 대해 중간 결과셀 C(1,i)와 단음절셀 C(i+1,n)에 들어있는 후보들의 조합이 추가될 수 있다. 이때 중간 결과셀에 있는 후보들 가운데 마지막 음절이 불완전 음절로 이루어진 후보들은 조합 고려 대상에서 제외한다. 또한, 최종 결과셀에 마지막 음절이 완전 음절로 이루어진 후보가 하나라도 있을 경우에는 마지막 음절이 불완전 음절로 이루어진 후보는 제거된다. 최종 결과셀에 들어갈 후보들이 결정되면 후보 순위화 기준에 따라 후보들의 순위를 결정한다(S670). 이후, 도 4의 단계(S180)로 가서 동작을 수행한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honeme button processing unit 21 in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honeme button processing unit 21 is called, it is checked whether the current function button flag is set (S610). If the function button flag is set, the function button bit is set in the phoneme button code and added to the pending button string (S620). The phoneme button code is added to the pending button string as it is (S630). When the phoneme button code is added to the pending button row, the size of the parsing table 50 is expanded (S640) and a candidate is added to single syllable cells in the expanded cell area (S650). The operation of adding a candidate to a single syllable cell is performed by registering a syllable as a candidate when there is a corresponding syllable for a button sequence that the single syllable cell means by referring to a button string / syllable correspondence table. 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extended single syllable cell is completed, the final result cell is performed by combining all the candidates in the intermediate result cells and the extended single syllable cell (S660). When the length of the pending button row is n, the final result cell C (1, n) includes the intermediate result cell C (1, i) and the single syllable cell C (i + 1,) for all i between 1 and (n-1). The combination of candidates in n) may be added. At this time, candidates whose last syllables are incomplete syllables among candidates in the intermediate result cell are excluded from the combination consideration. In addition, when there is at least one candidate in which the last syllable is a complete syllable in the final result cell, the candidate in which the last syllable is an incomplete syllable is removed. If candidates for the final result cell are determined, the candidates are ranked according to candidate ranking criteria (S670). Thereafter, the operation goes to step S180 of FIG. 4.

도 10은 본 발명에서 고안된 축소형 한글 자판부(10)에서 단추 '8', '3', '3'. '9'가 순차적으로 눌러질 때 자소 단추 처리부(21)의 처리 과정에 따른 파싱 테이블(50)의 변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서 파싱 테이블(50) 옆에 씌어진숫자는 해당 행 및 열에 대응되는 단추를 나타내며, 각 셀은 후보 음절열의 순위, 후보 음절열, 후보 음절열의 확률값이 들어있다.10 is a button '8', '3', '3' in the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10 design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9' is sequentially pressed, the changing process of the parsing table 50 according to the processing of the phoneme button processing unit 21 is shown. In FIG. 10, numbers written next to the parsing table 50 indicate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rows and columns, and each cell includes a rank of the candidate syllable sequence, a candidate syllable sequence, and a probability value of the candidate syllable sequence.

초기에는 파싱 테이블(50)의 크기가 0인 상태로 시작하여, 첫번째 단추 '8'이 눌러지면 파싱 테이블 T101이 생성된다. 단음절셀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도 8에 제시된 단추열/음절 대응표(30)에 의하면 부분 단추열 "8"이 단추열/음절 대응표에서 음절 "ㅇ"에 대응되므로 셀 C(1,1)에 "ㅇ"을 후보로 추가된다. 그 결과 화면 출력부(70)에서는 최종 결과셀 C(1,1)의 1순위 후보 음절열인 "ㅇ"을 액정표시장치에 출력한다.Initially, the size of the parsing table 50 starts with 0, and when the first button '8' is pressed, the parsing table T101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button string / syllable correspondence table 30 shown in FIG. 8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single syllable cell, since the partial button string "8" corresponds to the syllable "o" in the button string / syllable correspondence table, the cell C (1,1) is " O is added as a candidate. As a result, the screen output unit 70 outputs the first rank candidate syllable string "o" of the final result cell C (1,1)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두번째 단추 '3'이 눌러지면 파싱 테이블 T102가 생성된다. 단음절셀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부분 단추열 "3"이 음절 "ㄷ"에 대응되므로 셀 C(2,2)에 "ㄷ"이 후보로 추가되며, 부분 단추열 "83"이 음절 "어"에 대응되므로 셀 C(1,2)에 "어"가 후보로 추가된다. 한편, 중간 결과셀들과 단음절셀들을 조합하는 단계에서 최종 결과셀 C(1,2)는 중간 결과셀 C(1,1)과 단음절셀 C(2,2)의 조합으로 생성될 수 있지만, 단음절셀 C(1,2)에 들어 있는 후보들이 모두 불완전 음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추가되는 후보는 없게 된다. 그 결과 화면출력부(70)에서는 최종 결과셀 C(2,2)의 1순위 후보 음절열인 "어"를 액정표시장치에 출력한다.When the second button '3' is pressed, the parsing table T102 is creat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syllable cell, the partial button string "3" corresponds to the syllable "c", so "c" is added to cell C (2,2) as a candidate, and the partial button string "83" is assigned to the syllable "er". Correspondingly, "uh" is added as a candidate to cell C (1,2). Meanwhile, in the step of combining the intermediate result cells and the single syllable cells, the final result cell C (1,2) may be generated as a combination of the intermediate result cell C (1,1) and the single syllable cell C (2,2). Since candidates in the monosyllable cells C (1,2) are all composed of incomplete syllables, no candidates are added. As a result, the screen output unit 70 outputs,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er" which is the first-order candidate syllable sequence of the final result cell C (2,2).

세번째 단추 '3'이 눌러지면 파싱 테이블 T103이 생성된다. 단음절셀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부분 단추열 "3"이 음절 "ㄷ"에, 부분 단추열 "33"이 음절 "더"에, 부분 단추열 "833"이 음절 "얻"에 대응되므로 단음절셀 C(3,3)에 "ㄷ"을, 단음절셀 C(2,3)에 "더"를, 단음절셀 C(1,3)에 "얻"을 각각 후보로 첨가한다. 셀들의 조합에의해 최종 결과셀을 구성하는 과정에서는 최종 결과셀 C(1,3)에 셀 C(1,1)과 셀 C(2,3)의 조합 및 셀 C(1,2)와 셀 C(3,3)의 조합으로 후보가 추가될 수 있지만, 전자의 조합에서는 중간 결과셀 C(1,1)의 모든 후보가 불완전 음절이기 때문에 제거되며, 후자의 조합에서는 최종 결과셀에 "얻"이라는 완전 음절로만 구성된 후보가 존재하기 때문에 조합 결과로 만들어지는 음절열 "어ㄷ"는 후보로 첨가되지 않는다. 그 결과 화면출력부(70)에서는 최종 결과셀 C(3,3)의 1순위 후보 음절열인 "얻"을 액정표시장치에 출력한다.When the third button '3' is pressed, a parsing table T103 is creat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yllable cell, the partial button sequence "3" corresponds to the syllable "c", the partial button sequence "33" corresponds to the syllable "more", and the partial button sequence "833" corresponds to the syllable "get". "C" is added to (3,3), "more" is added to single-syllable cell C (2,3), and "get" is added to single-syllable cell C (1,3), respectively.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final result cell by the combination of cells, a combination of cell C (1,1) and cell C (2,3) and cell C (1,2) and cell are included in the final result cell C (1,3). Candidates can be added to the combination of C (3,3), but in the former combination all candidates in the intermediate result cell C (1,1) are removed because they are incomplete syllables, and in the latter combination, the " Because there is a candidate consisting only of "complete syllables", the syllable sequence "c" that is the result of the combination is not added as a candidate. As a result, the screen output unit 70 outputs,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get", which is the first-order candidate syllable sequence of the final result cell C (3,3).

네번째 단추 '9'가 눌러지면 파싱 테이블 T104가 생성된다. 단음절셀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부분 단추열 "9"가 음절 "ㅈ"에, 부분 단추열 "39"가 음절 "디"에, 부분 단추열 "339"가 음절 "데"에 대응되므로 단음절셀 C(4,4)에 "ㅈ"을, 단음절셀 C(3,4)에 "디"를, 단음절셀 C(2,4)에 "데"를 후보로 첨가한다. 한편, 최종 결과셀을 구성하는 과정에서는 셀 C(1,1)과 셀 C(2,4), 셀 C(1,2)와 셀 C(3,4), 셀 C(1,3)과 셀 C(4,4)을 조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는데, 첫번째 조합은 중간 결과셀 C(1,1)에 들어있는 모든 후보가 불완전 음절로 끝나기 때문에 조합이 불가능하고, 두번째 조합에서는 제한 조건을 모두 충족하므로 음절열 "어디"가 생성되어 최종 결과셀 C(4,4)에 후보로 추가된다. 그리고, 세번째 조합에서는 이미 최종 결과셀 C(4,4)에 완전 음절로만 구성된 후보가 존재하기 때문에 조합의 결과로 만들어지는 음절열 "얻ㅈ"는 후보로 첨가되지 않는다. 그 결과 화면출력부(70)에서는 최종 결과셀 C(4,4)의 1순위 후보 음절열인 "어디"를 액정표시장치에 출력한다.When the fourth button '9' is pressed, parsing table T104 is creat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syllable cell, the partial button sequence "9" corresponds to the syllable "ㅈ", the partial button sequence "39" corresponds to the syllable "D", and the partial button sequence "339" corresponds to the syllable "De". "J" is added to (4,4), "D" is added to single-syllable cell C (3,4), and "de" is added to single-syllable cell C (2,4) as a candidate. Meanwhil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final result cell, the cell C (1,1), the cell C (2,4), the cell C (1,2), the cell C (3,4), the cell C (1,3) and You can consider combining cells C (4,4), where the first combination cannot be combined because all candidates in the intermediate result cell C (1,1) end with incomplete syllables. Because it satisfies, the syllable sequence "where" is generated and added as a candidate to the final result cell C (4,4). In the third combination, since there is already a candidate consisting of only complete syllables in the final result cell C (4,4), the syllable sequence "get" produced as a result of the combination is not added as a candidate. As a result, the screen output unit 70 outputs "where", which is the first order candidate syllable sequence of the final result cell C (4,4),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상기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는 자소 단추가 눌러질 때마다 단음절 셀을 구성하는 과정과 최종 결과셀을 구성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한 음절을 구성할 수 있는 최대 단추열의 길이가 5이므로 단음절 셀을 구성할 때에는 최대 5회의 단추열/음절 대응표의 참조가 필요하며, 최종 결과셀을 구성할 때에도 셀의 조합을 최대 5번만 수행하면 되기 때문에 계산 복잡도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기본적인 테이블 기반 파싱을 사용할 경우에는 미결정 단추열의 길이가 n일 때 n(n+1)/2 만큼의 셀을 유지해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테이블 기반 파싱을 일부 수정하여 최종 결과셀의 구성을 마친 다음에는 중간 결과셀과 최종 결과셀을 제외한 나머지 셀들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미결정 단추열의 길이와 동일한 개수의 셀만을 유지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 테이블 T102의 구성이 끝난 다음에는 셀 C(1,1)과 C(1,2)만이, T103의 구성이 끝난 다음에는 셀 C(1,1), C(1,2) 및 C(1,3)만이, T104의 구성이 끝난 다음에는 셀 C(1,1), C(1,2), C(1,3) 및 C(1,4)만이 남게 되고 나머지 셀들은 제거된다.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예시 도면에서는 파싱 테이블을 표현할 때 제거되는 셀도 같이 표현하고 있는데, 이는 중간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다. 제거되는 셀들은 이후의 계산에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변형된 테이블 파싱은 본 발명에 대해 기존의 테이블 파싱과 동일한 결과를 낳는다. 변형된 테이블 파싱을 적용함에 따라 미결정 단추열의 길이가 n일 경우 파싱 과정에서는 최대 (n+5)개, 파싱이 끝난 후에는 n개의 셀만을 유지하면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실행시 요구되는 기억 장소의 크기가 매우 작은 특징이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example, each time the phoneme button is pressed, a single syllable cell is configured and a final result cell is constructed. Since the maximum button string length that can constitute one syllable is 5, the syllable is a single syllable. When configuring a cell, it is necessary to refer to a table of up to five button string / syllable correspondence tables, and the calculation complexity is very low because only five combinations of cells need to be performed when configuring the final result cell.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basic table-based parsing, n (n + 1) / 2 cells should be maintained when the length of the indeterminate button column is 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based parsing is partially modified to configure the final result cell. After finishing, remove the remaining cells except the intermediate result cell and the final result cell to keep only the same number of cells as the length of the pending button row. For example, in FIG. 10, 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table T102, only the cells C (1,1) and C (1,2), and 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T103 is completed, the cells C (1,1) and C (1, 2) and C (1,3) only, after the configuration of T104, only cells C (1,1), C (1,2), C (1,3) and C (1,4) remain and the rest The cells are removed. In the exemplary drawings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cells removed when the parsing table is represented are also represented, which is only to help understand the intermediate process. The modified table parsing produces the same results as the existing table parsing for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cells to be removed are not used in subsequent calculations. According to the modified table parsing, when the length of the undetermined button row is n, at most (n + 5) in the parsing process and only n cells after parsing are requir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toring the required storage location. It is very small in size.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에서 기능 단추 처리부(22)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기능 단추 처리부(22)는 기본적으로토글 방식으로 기능 단추 플래그를 변경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기능 단추 처리부(22)가 호출되면 현재 기능 단추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 검사하고(S810), 이미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플래그를 지우고(S820) 그렇지 않으면 플래그를 설정한다(S830).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unction button processing unit 22 in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button processing unit 22 basically serves to change the function button flag in a toggle manner. When the function button processing unit 22 is called, it is checked whether the current function button flag is set (S810). If the flag is already set, the flag is cleared (S820). Otherwise, the flag is set (S830).

도 12는 본 발명에서 창안된 축소형 한글자판부(10)에서 '1'. '7', '3', '9', '#', '9', '0', '1'이 순차적으로 눌러졌을 때 파싱 테이블(50)의 구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다섯번째 단추 '#'이 눌러지면 도 11의 단계(S830) 부분의 처리에 따라 기능 단추 플래그가 설정되고, 이어서 여섯번째 단추 '9'가 눌러지면 도 9의 단계(S620) 부분의 처리에 따라 단추 '9'에 기능 단추 비트가 설정된 '⑨'가 미 결정 단추열에 추가된다.12 is '1' in the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10 cre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parsing table 50 is shown when '7', '3', '9', '#', '9', '0' and '1' are pressed in sequence. If the fifth button '#' is pressed, the function button flag is set according to the processing of the step S830 of FIG. 11, and if the sixth button '9' is pressed, the processing of the step S620 of FIG. Accordingly, '⑨' with the function button bit set to button '9' is added to the undecided button sequence.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에서 확정 단추 처리부(23)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확정 단추가 눌러지면 확정 단추 처리부(23)에서는 음절열 확정 작업을 수행한다(S1010). 음절열 확정 작업에서는 기능 단추 플래그를 지우고, 파싱 테이블을 초기화 하며, 미결정 단추열을 초기화 한다. 본 발명에서 음절열의 확정 작업은 확정 단추를 눌렀을 때(도 13의 S1010 부분), 한글 입력 도중에 모드 변환 단추나 방향 단추 등을 눌렀을 때(도 4의 S150 부분) 및 이후에 설명될 후보 선택 모드에서 후보를 선택했을 때(도 19의 S420 부분)에 발생한다. 이들 가운데 확정 단추를 눌러서 음절열을 확정하는 경우는 주로 입력하려는 어절의 길이가 매우 길어서 이를 분할하여 입력할 때이다. 입력하려는 어절이 길면 그만큼 생성 가능한 후보 음절열의 개수가 많아져서 모호성 해소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확정 단추를 이용하여 어절을 나누어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입력하려는 음절열이 1 순위에 존재하지 않아 후보 선택 과정을 거치는 번거로움을 줄인다.13 is a flowchart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utton processing unit 23 in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hen the confirmation button is pressed, the confirmation button processing unit 23 performs the syllable sequence determination operation (S1010). In the syllable sequence, the function button flag is cleared, the parsing table is initialized, and the pending button sequence is initializ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rmation operation of the syllable sequence is performed when the confirmation button is pressed (S1010 portion in FIG. 13), when a mode switch button or direction button is pressed during Hangul input (in S150 portion in FIG. 4), and in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to be described later. Occurs when a candidate is selected (part S420 in FIG. 19). If you decide the syllable sequence by pressing the confirm button among these, the length of the word to input is very long, so it is divided and input. If the word to be input is long, the number of candidate syllable sequences that can be generated increases, making it difficult to resolve the ambiguity.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words to be divided by using the confirm button, the syllable sequence to be input does not exist in the first rank, thereby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the candidate selection process.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에서 변경 단추 처리부(23)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변경 단추가 입력되면 후보의 개수가 세 개 이상인지 검사한다(S1210). 만약 후보 개수가 세 개 이상이면 후보 선택 모드 플래그를 설정하고 현재 후보 페이지를 1로 설정하며(S1220), 그렇지 않으면 현재 액정표시장치에 출력되어 있는 후보의 순위를 가리키는 현재 후보 번호가 후보 개수와 동일한지 검사한다(S1230). 만약 이 조건이 맞으면 현재 후보 번호를 1로 설정하고(S1240), 그렇지 않으면 현재 후보 번호를 1 증가시킨다(S1250).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hange button processing unit 23 in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ange button is input, it is checked whether the number of candidates is three or more (S1210). If the number of candidates is three or more,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flag is set and the current candidate page is set to 1 (S1220). Otherwise, the current candidate number indicating the rank of the candidate currently output on the LCD is equal to the number of candidates. (S1230). If this condition is met, the current candidate number is set to 1 (S1240), otherwise, the current candidate number is increased by 1 (S1250).

최종 결과셀에 후보가 두 개 있을 때 변경 단추를 처리하는 과정의 예를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서 창안된 축소형 한글자판부(10)에서 "강조한"이라는 음절열을 입력하기 위해 단추들을 눌렀을 때 생성되는 파싱 테이블이다. 도 15에 따르면 음절열 "강조한"을 입력하기 위해 단추 '1', '0', '8', '9', '6', '0', '0', '2'를 순차적으로 눌렀을 때 최종 결과셀에는 두 개의 후보 음절열 "가입한"과 "강조한"이 존재한다. 그런데, 1 순위 후보 음절열이 "가입한"이므로 액정표시장치에는 사용자가 의도한 강조한 대신에 "가입한"이라는 음절열이 나타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후보 변경을 위해 후보 변경 단추 '*'을 누르면, 현재 최종 결과셀에 있는 후보의 개수가 두 개이기 때문에 도 14의 단계(S1250) 부분의 처리 과정에 의해 현재 후보 번호가 2로 설정되어 화면출력부(70)의 처리를 거쳐 2순위 후보인 "강조한"이 화면에 출력되게 된다.An example of a process of processing a change button when there are two candidates in the final result cel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FIG. 15 is a parsing table generated when a button is pressed in order to input a syllable string "highlighted" in the reduced Hangul keyboard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15 when the buttons '1', '0', '8', '9', '6', '0', '0', and '2' are sequentially pressed to input syllable strings "highlight" There are two candidate syllable sequences "joined" and "highlighted" in the final result cell. However, since the ranking candidate syllable sequence is "subscribed", the syllable sequence "subscribed" appears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instead of the user intended. In this case, when the user presses the candidate change button '*' to change the candidate, since the number of candidates currently in the final result cell is two, the current candidate number is set to 2 by the process of step S1250 of FIG. 14. Through the processing of the screen output unit 70, " highlighted " the second-order candidate is output on the screen.

최종 결과셀에 후보가 세 개 이상 있을 때 변경 단추를 처리하는 과정의 예를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서 창안된 축소형 한글자판부(10)에서 "낮에"라는 음절열을 입력하기 위해 단추들을 눌렀을 때 생성되는 파싱 테이블이다. 도 16에 따르면 음절열 "낮에"를 입력하기 위해 단추 '2', '0', '9', '8', '3', '9'를 순차적으로 눌렀을 때 최종 결과셀에는 다섯 개의 후보 음절열 "내에", "낮에", "내엊", "냉디" 및 "낮엊" 이 존재한다. 그런데, 1 순위 후보 음절열이 "내에"이므로 액정표시장치에는 사용자가 의도한 "낮에" 대신에 "내에"라는 음절열이 나타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후보 변경을 위해 후보 변경 단추 '*'을 누르면, 현재 최종 결과셀에 있는 후보의 개수가 다섯 개이기 때문에 도 14의 단계(S1220) 부분의 처리 과정에 의해 후보 선택 모드 플래그가 설정되고, 뒤에서 설명될 화면출력부(70)의 처리를 통해 화면에는 다섯 개의 후보들이 제시되어 의도했던 "낮에"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An example of a process of processing a change button when there are three or more candidates in the final result cel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6. FIG. 16 is a parsing table generated when a button is pressed in order to input a syllable string of "daytime" in the reduced-size Korean keyboard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16, when the buttons '2', '0', '9', '8', '3', and '9' are sequentially pressed to input the syllable sequence "daytime", five candidates are displayed in the final result cell. There are syllable strings "in", "in the daytime", "inner", "coldness" and "daytime". However, since the first-order candidate syllable sequence is "in", the syllable sequence of "in" appears instead of "in the day" intended by the user. In this case, when the user presses the candidate change button '*' to change the candidate,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flag is set by the process of step S1220 of FIG. 14 because the number of candidates currently in the final result cell is five. Through the processing of the screen output unit 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ive candidates are presented on the screen to select the intended "day."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에서 삭제 단추 처리부(23)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삭제 단추가 입력되면 미결정 단추열의 길이가 0인지 검사한다(S1410). 미결정 단추열의 길이가 0이면 더이상 삭제할 자소가 없다는 의미이므로 처리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미결정 단추열의 마지막 단추를 제거하고(S1420), 파싱 테이블의 크기를 줄인 다음, 현재 후보 번호를 1로 설정한다(S1430).17 is a flowchart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elete button processing unit 23 in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lete button is input, it is checked whether the length of the pending button row is 0 (S1410). If the length of the pending button row is 0, it means that there are no more elements to delete, so the process ends. Otherwise, the last button of the pending button row is removed (S1420), the size of the parsing table is reduced, and the current candidate number is set to 1 ( S1430).

도 18은 본 발명에서 창안된 축소형 한글자판부(10)에서 단추 '7', '0','4', '0', '5'를 순차적으로 눌렀을 때 파싱 테이블의 상태(T181)와 그 상태에서 삭제 단추를 눌렀을 때의 파싱 테이블의 상태(T182)를 보여준 것이다. 단추 '7', '0', '4', '0', '5'가 눌러진 상태에서는 파싱 테이블 T181의 최종 결과셀 C(5,5)의 1순위 후보 음절열인 "사람"이 액정표시장치에 출력된다. 이 상태에서 삭제 단추가 눌러지면 미결정 단추열의 길이가 하나 줄어들고 파싱 테이블은 축소되어 T182와 같이 된다. 그 결과 액정표시장치에는 최종 결과셀 C(4,4)의 1순위 후보 음절열인 "사람"이 출력된다. 이 과정에서 파싱 테이블은 단지 축소만 될 뿐이고 재계산은 발생하지 않으므로 삭제 단추는 매우 빠르게 처리된다.18 illustrates a state (T181) of the parsing table when the buttons '7', '0', '4', '0', and '5' are sequentially pressed in the reduced-size Korean keyboard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shows the state of the parsing table (T182) when the delete button is pressed. When the buttons '7', '0', '4', '0', and '5' are pressed, the first person candidate syllable sequence of the final result cell C (5,5) of the parsing table T181 is liquid crystal. It is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In this state, if the delete button is pressed, the length of the pending button row is reduced by one, and the parsing table is reduced to become T182. As a result, "Person", which is the first order candidate syllable sequence of the final result cell C (4,4), is outpu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In this process, the parsing table is only reduced and no recalculation occurs, so the delete button is very fast.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에서 후보 선택 처리부(23)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후보 선택 처리부(23)에서는 먼저 입력 단추가 숫자에 해당하는 단추인지를 검사한다(S410). 이 조건이 맞으면 현재 후보 번호를 해당 숫자로 설정하고 후보 선택 모드 플래그를 해제한 다음 음절 확정 작업을 수행한다. 만약 단계(S410)에서 검사한 조건이 맞지 않으면 입력 단추가 삭제 단추인지 검사한다(S430). 입력 단추가 삭제 단추이면 후보 선택 모드 플래그를 해제한 다음 삭제 단추 처리부(23)를 실행하는 단계(S140)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으면 입력 단추가 방향 단추인지 검사한다(S440). 입력 단추가 방향 단추이면 액정표시장치에 출력되는 후보 페이지를 변경한다(S450).1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andidate selection processing unit 23 in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ndidate selection processor 23 first checks whether the input button corresponds to a number (S410). If this condition is correct, the current candidate number is set to the corresponding number,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flag is released, and the syllable confirmation operation is performed. If the condition checked in step S410 is not met, it is checked whether the input button is a delete button (S430). If the input button is the delete button,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flag is released and then the process moves to step S140 of executing the delete button processing unit 23. Otherwise, it is checked whether the input button is a direction button (S440). If the input button is a direction button, the candidate page outpu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is changed (S450).

도 20은 파싱 테이블의 상태가 도 16과 같고 한 화면에 표현될 수 있는 후보의 최대 개수가 세 개인 장치에서 후보가 출력되는 모습의 바람직한 예(L201 및 L202)와 방향 단추의 누름에 따라 출력되는 모습이 바뀌는 과정을 보여준 것이다.후보 선택 모드로 변환된 처음에는 화면출력부(70)에 의해 현재 후보 페이지가 1이므로 도 20의 L201이 화면에 제시된다. 이후에 우향 단추가 눌러지면 도 19의 S450 부분에 의해 후보 페이지의 번호가 증가하여 도 20의 L202가 화면출력부(70)에 의해 화면에 제시된다. 마찬가지로 이 상태에서 좌향 단추가 눌러지면 도 19의 단계(S450)에 의해 후보 페이지의 번호가 감소하여 도 20의 L201이 화면에 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 20의 L201이 화면에 제시된 상태에서 숫자 단추 '2'를 누르면 후보 선택 모드 플래그가 해제되고 액정표시장치의 미결정 단추열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2번 후보인 "낮에"가 출력된다.FIG. 20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state of a parsing table is the same as that of FIG. 16 and a candidate is output from a device having a maximum number of candidates that can be represented on one screen (L201 and L202) and the direction buttons are output. In the beginning of the conversion to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since the current candidate page is 1, L201 of FIG. 20 is presented on the screen. Subsequently, when the right button is pressed, the number of candidate pages is increased by the S450 portion of FIG. 19, and L202 of FIG. 20 is presented on the screen by the screen output unit 70. Similarly, if the left button is pressed in this state, the number of candidate pages is decreased by step S450 of FIG. 19, and L201 of FIG. 20 is presented on the screen. Then, when the user presses the number button '2' while L201 of FIG. 20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flag is released, and the second candidate "day" is output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ending button row of the LCD. .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에서 화면출력부(7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화면출력부(70)에서는 후보 선택 모드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 검사해서(S1810) 이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도 20의 L201 및 L202와 같이 화면의 액정표시장치에 후보 음절열의 목록을 출력하고(S1820), 그렇지 않으면 미결정 단추열에 해당하는 영역에 1순위 후보 음절열을 출력한다(S1830).21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creen output unit 70 in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output unit 70 checks whether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flag is set (S1810). If this flag is set, the list of candidate syllable strings is output to the LCD of the screen as shown in L201 and L202 of FIG. 20 (S1820). Otherwise, the first candidate candidate syllable string is output to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undecided button string (S1830).

한편, 본 발명에서 하나의 셀에 여러 개의 후보 음절열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들 사이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후보 순위화 기준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후보 순위화 기준으로 해당 음절열이 발생할 확률에 기반한 음절 문맥 확률 모형을 사용한다. 음절 문맥 확률 모형에서 길이가인 음절열이 주어졌을 때 해당 음절열이 발생할 확률을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에서 ''는 음절열 경계를 나타내는 기호이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are several candidate syllable sequences in one cell, candidate ranking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ranking between them are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model based on a probability of generating a corresponding syllable sequence is used as a candidate ranking criterion. In a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model, Being syllable Given is the probability that the syllable will occur The formula for calculating is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In Equation 1 'Is a symbol representing a syllable string boundary.

그러나, 수학식 1에서 사용되는 모든 확률 정보를 구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종래의 자연어 처리 연구에서는 각 음절에 대해 앞에 있는개의 음절이 선행할 때 주어진 음절이 나타나는 확률를 이용하여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된 근사치를 사용한다.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obtain all the probability information used in Equation 1, in the conventional natural language processing research, the preceding syllable for each syllable Probability of a given syllable when two syllables precede it By using the approximation defined as in the following equation (2).

본 발명에서는 수학식 2에 기반하여 음절열의 확률을 계산하는데, 현재 축소형 한글 자판을 사용하는 기기들의 기억 장소 용량을 감안하여 을 1로 설정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장래에 축소형 한글 자판을 사용하는 기기들의 기억 장소 용량이 증가됨에 따라값을 더 큰 값으로 증가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음 수학식 3은 이 1일 때의 음절 문맥 확률 모형을 나타낸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ability of the syllable sequence is calculated based on Equation 2. Set to 1 to use. However, as the storage capacity of devices using the reduced Hangul keyboard increases in the future,It is obvious that the value can be increased to a larger value. Equation 3 is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model at

수학식 3에 기반한 음절 문맥 확률 모형에 필요한 음절간 연접 확률는 대용량의 말뭉치에서 얻은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구한다. 이때, 음절간연접 확률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두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하나는 대용량의 말뭉치에서 얻은 통계 정보를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연접해서 나타나지 않는 음절쌍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 확률가 0이 되고 그 결과 음절열의 발생 확률또한 0이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종래의 자연어 처리 기법에서는 자료 부족 문제라고 말한다. 다른 한 가지의 문제는값을 1로 최소화 한다고 하더라도 확률 모형에 사용되는 확률 자료의 개수가 5,522,500(=2350*2350) 개로 많은 양의 기억 장소를 요구하게 된다는 것이다.Inter-syllable concatenation probability required for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model based on Equation 3 Is obtained using statistical information from large corpus. At this time There are two problems with using. One is that even if you use statistical information from large corpuses, there may be syllable pairs that do not appear in contiguous fashion. Probability in this case Becomes 0, and as a result,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syllable There is also a problem of being zero. This phenomenon is called data shortage problem in conventional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The other problem is Even if the value is minimized to 1, the number of probability data used in the probability model is 5,522,500 (= 2350 * 2350), which requires a large amount of storage.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 언급한 두 가지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해결한다. 먼저 자료 부족 문제는 평탄화(smoothing) 기법을 이용하여 해결한다. 평탄화 기법은 종래의 자연어 처리 기술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법이므로 본원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확률 자료의 크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확률 자료 선별 과정을 통해 개수를 줄인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two problems mentioned above as follows. First, the data shortage problem is solved using the smoothing technique. Since the planarization technique is a technique widely used in the conventional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 Nex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size of the probability data, the number is reduced through the probability data screening process.

확률 자료의 선별은 전체 확률 자료 가운데 일부분만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정보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고, 정보의 손실은 모호성 해소율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확률 자료 선별 과정에서 개개 확률 자료에 대해 활용도를 측정하고 활용도가 높은 확률 자료를 우선적으로 선별한다. 확률 자료의 활용도를 구하는 척도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 개개의 음절 문맥 확률자신과, 음절와 음절가 연접해서 나타나는 빈도및 모든가운데의 순위를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척도를 정의하여 사용한다.Since the screening of the probability data uses only a part of the entire probability data, it can lead to a loss of information, and the loss of the information can lead to a decrease in the ambiguity resolution rat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ability data is measured for individual probability data and the probability data with high utilization is preferentially selected. Although there are various measures for calculating the utilization of the probability data, in the present invention, individual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With yourself, syllable And syllable Frequency of occurrences And all middle Define and use a measure that considers the ranking of a compound.

한편, 음절 문맥 확률는 말뭉치에서를 획득한 다음 수학식 4를 이용하여 계산한다.On the other hand,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In the corpus Wow And then calculate using Equation 4.

그러나, 축소형 한글 자판이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한글 음절열을 입력하는 도중에 공백 문자를 넣기가 불편하기 때문에 띄어쓰기를 무시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를 다음 수학식 5와 같이 변형된 수학식을 이용하여 획득한다.Howe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reduced Hangul keyboard is typically used, it is often inconvenient to insert a space character while inputting a Hangul syllable string. In consideration of this phenomenon, Is obtained using a modified equation as shown in Equation 5 below.

수학식 5에서는 음절와 음절사이에 공백이나 비한글 문자가 나타나는 빈도를 의미하며,는 띄어쓰기를 어느 정도 고려할 것인가를 나타내는 상수로서 합이 1이 되며 경험적으로 결정되는 수치이다. 이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기의 특성과 그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습성에 따라 적절히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기에서 사용자들이 띄어쓰기를 철저히 지키는 편이라면값은 1에 가깝도록값은 0에 가깝도록 설정되는 것이 타당할 것이며, 반대로 사용자들이 띄어쓰기를 무시하는 편이라면값 및값 모두 0.5로 설정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In equation (5) The syllable And syllable The frequency at which spaces or non-Hangul characters appear in between, Wow Is a constant that indicates how much space is taken into account. The sum is 1, and is an empirically determined number. this Wow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the habit of the user who uses the device. For example, if a user thoroughly observes spacing on a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So that the value is close to 1. It would be reasonable to set the value to close to zero, and conversely if users ignore the spacing Value and It would be reasonable to set both values to 0.5.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에서는 자판에 자소를 어떤 순서로 배치하느냐에 따라 모호성이 발생하는 정도와 발생하는 모호성의 난이도가 달라진다. 그리고, 모호성 해소율은 모호성 발생량 및 모호성 난이도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에서는 모호성 해소율을 높일 수 있는 자판 배열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모든 자판 배열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를 통해 모호성 해소율이 가장 높은 자판 배열을 찾아내는 경험적인 방법을 선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10여 개의 단추에 19개의 자음 및 10개의 모음을 배치하는 방법의 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경험적인 방법을 통해 최적의 자판 배열을 찾아내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모호성 해소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자판 배열이라 할지라도 그것이 사용자에게 인지적으로 어렵게 느껴진다면 상품적인 가치를 오히려 떨어뜨리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에서 인지적으로 난해하지 않으면서도 모호성 해소율을 높일 수 있는 자판 배열을 자동으로 찾을 수 있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In the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the degree of ambiguity and the difficulty of ambiguity vary depending on the order in which the phonemes are arranged on the keyboard. In addition, the ambiguity resolution rat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ambiguity generation amount and the ambiguity difficulty. Therefore, in the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it is important to find a keyboard arrangement that can increase the ambiguity resolution rate. To do this, simulations of all keyboard layouts can be used to select an empirical method of finding the keyboard layout with the highest ambiguity resolution. However, because there are too many ways to place 19 consonants and 10 vowels on 10 buttons,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find an optimal keyboard layout through empirical methods. In addition, even if the keyboard layout can maximize the ambiguity resolution rate, if it seems cognitively difficult for the user, the product value is rather deteriorat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automatically finding a keyboard layout that can increase the ambiguity resolution rate without being cognitively difficult in the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본 발명에서는 최적의 자판 배열을 두 단계에 의해 생성한다. 첫번째 단계에서는 인지적인 특성을 고려하는 단계로 자소의 출현 빈도, 자소의 사전적 순서, 자음들 사이의 음성학적 관련성 등을 이용해 수작업으로 자음 혹은 모음을 자판에 먼저 배치한다. 두번째 단계에서는 이미 자판에 배치된 자소들과 나머지 자소들의 자소 연접 분포를 이용하여 모호성 발생량과 모호성 난이도를 낮출 수 있도록 자동으로 나머지 자소들을 자판에 배치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mum keyboard layout is generated in two steps. In the first step,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and the consonants or vowels are manually placed on the keyboard using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phonemes, the lexical order of the phonemes, and the phonetic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sonants. In the second step, the rest of the letters are automatically placed on the keyboard to reduce the ambiguity and the difficulty of ambiguity by using the consonant distributions of the already placed letters and the rest of the letters.

첫번째 단계의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판의 인지적 특성을 고려해자음 혹은 모음을 자판에 먼저 배치한다. 인지적인 특성을 고려해서 자음이나 모음을 먼저 배치하는 방법으로는 자소들의 사전적 순서를 따르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도 5는 자음을 사전적 순서에 따라 먼저 배치한 경우의 한 가지 예이다. 이때 한글 자음의 경우에는 그 개수가 19개로 단추의 개수에 비해 많으므로, 출현 빈도가 높은 자소 10개를 우선적으로 사전적 순서에 따라 대표 자소로 배치하고, 나머지 자소들 중에서 경음 자소들은 음성학적으로 유사한 대표 자소와 동일한 단추에, 격음 자소들은 나머지 단추들에 적절히 배치한다.The process of the first stage is as follows. First, the consonants or vowels are placed first on the keyboard, taking into account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keyboard. Considering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the method of arranging consonants or vowels first can be considered to follow the dictionary order of the phonemes. 5 is an example of a case where consonants are first arranged in a lexical order. In the case of Hangul consonants, the number is 19, which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buttons. Therefore, 10 phonemes with a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are first arranged as representative phonemes in a lexical order. On the same button as the similar representative phoneme, the phonemes are properly placed on the remaining buttons.

두번째 단계에서는 말뭉치로부터 추출한 자소 연접 분포가 사용된다. 자소 연접 분포는 각 자소에 대해 그 자소의 전후에 연접해서 나타나는 자소들의 빈도를 벡터 형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에서 모호성이 발생하는 이유는 하나의 단추에 대표 자소 혹은 종속 자소들이 복수개가 배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호성 발생량은 모호성이 발생하는 단추에 배정된 자소들의 빈도에 비례하며, 이는 모호성이 발생하는 단추에 배정된 자소들의 자소 연접 분포 벡터의 크기에 비례함을 의미한다. 반면에 모호성의 난이도는 모호성이 발생했을 때 수학식 3에 의해 계산된 후보 음절열들의 발생 확률이 서로 비슷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후보 음절열의 발생 확률은 음절 문맥 확률에 영향을 받으며 음절 문맥 확률은 자소들의 연접 확률과 상당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후보 음절열들의 발생 확률 유사성은 모호성이 발생하는 단추에 배정된 자소들의 자소 연접 분포의 유사성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원리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서는 자소 연접 분포 벡터가 각각,이고 두 벡터 사이의 각도가인 두 자소,의 모호성 해소 오류발생 추정량를 다음 수학식 6과 같이 정의한다. 수학식 6에서 함수,가 증가할 때는 단조 증가하고,가 증가할 때에는 단조 감소하는 함수이다.In the second step, the phoneme concatenation distribution from the corpus is used. The consonant concatenation distribution expresses the frequency of consonants that appear in concatenation before and after the consonant, in vector form, for each consonant. Ambiguity occurs in the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because a plurality of representative or dependent phonemes can be assigned to one button. Thus, the amount of ambiguity is proportional to the frequency of the phonemes assigned to the buttons where the ambiguity occurs, which means that it i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phoneme concatenation distribution vector of the phonemes assigned to the buttons where the ambiguity occurs. On the other hand, the difficulty of ambiguity means that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candidate syllable sequences calculated by Equation 3 is similar when ambiguity occurs.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 candidate syllable sequence is affected by the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and the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Since it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oncatenation probability of, it can be seen that the probability of similarity of occurrences of candidate syllable sequences is proportional to the similarity of the consonant distribution of the phonemes assigned to the buttons where ambiguity occurs. Based on this princi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neme concatenation distribution vector is , And the angle between the two vectors Pharyngeal phlegm , Ambiguity resolution error estimator Is defined as in Equation 6 below. Function in equation (6) Is , Increases when the monotonic increases, Is a monotonically decreasing function.

수학식 6을 기반으로 하여 자판 배열이 주어졌을 때 해당 자판 배열의 모호성 오류 발생 추정량은 모호성이 발생하는 모든 단추에 대해 계산된 수학식 6의 값의 합에 해당한다. 한편, 자판 배열 결정의 첫번째 단계에 의해 배치되지 않은 자소의 수가 줄어들었기 때문에 가능한 모든 자판 배열에 대해 모호성 오류 발생 추정량을 계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지 않은 일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 5의 자판 배열 외에 자판 배열의 첫번째 단계와 수학식 6의 함수를 변화시킴에 따라 구해진 축소형 한글 자판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 22 ~ 도 26에 제시한다.Given a keyboard layout based on Equation 6, the ambiguity error occurrence estimator of the corresponding keyboard layout corresponds to the sum of the values of Equation 6 calculated for all the buttons with ambiguity. On the other hand, it is not practical to calculate the ambiguity error occurrence estimator for all possible keyboard layouts because the number of unpositioned phonemes has been reduced by the first step of the keyboard layout determination.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keyboard arrangement of FIG. 5, the first stage of the keyboard arrangement and the function of Equation 6 22 to 26 show other embodiments of the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obtained by varying.

도 5, 도 22 및 도 23에 명시된 자판 배열은 먼저 자음들을 인지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배치한 다음, 빈도가 높은 6개의 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을 대표 모음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4개의 모음 'ㅑ', 'ㅕ', 'ㅛ', 'ㅠ'는 각각 'ㅏ', 'ㅓ', 'ㅗ', 'ㅜ'와 같은 단추에 종속 모음으로 배치한 것이다. 이때, 모호성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6개의 고빈도 모음은 4개의 고빈도 자음 'ㄱ', 'ㄴ', 'ㄹ', 'ㅇ'과는 배타적으로 배치한다. 이들 세 가지 자판 배열은 수학식 6에서 사용되는 함수를 무엇으로 선택하느냐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 것이다.5, 22, and 23, the keyboard arrangements are arranged sequentially in consideration of cognitive factors, and then six vowels 'ㅏ', 'ㅓ', 'ㅗ', 'TT', Set 'ㅡ', 'ㅣ' as representative vowels, and the remaining four vowels 'ㅑ', 'ㅕ', 'ㅛ', and 'ㅠ' are 'ㅏ', 'ㅓ', 'ㅗ', 'TT' and It is placed as a dependent collection on the same button. At this time, to reduce the amount of ambiguity, six high frequency vowels are arranged exclusively with four high frequency consonants 'ㄱ', 'b', 'ㄹ' and 'ㅇ'. These three keyboard layouts are the functions used in equation (6). The difference occurs depending on what you choose.

도 24, 도 25 및 도 26에 명시된 자판 배열은 먼저 자음들을 인지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배치한 다음, 10개의 모음 전체를 수학식 6을 이용하여 대표 모음으로 배치한 것이다. 이들 세 가지 자판 배열은 수학식 6에서 사용되는 함수를 무엇으로 선택하느냐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 것이다.24, 25, and 26, the arrangement of the consonants is sequentially arranged in consideration of cognitive factors, and then the entire ten vowels are arranged as representative vowels using Equation (6). These three keyboard layouts are the functions used in equation (6). The difference occurs depending on what you choose.

상기에 설명한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 음절 문맥 확률 모형, 테이블 기반 파싱,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 확률 자료의 선별, 모호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판 배열 등의 기술을 적용하여 300KB의 음절 문맥 확률 자료를 이용하는 상황에서 21,062,496 개의 한국어 어절에 대해 한글 입력을 시뮬레이션한 결과가 표 2에 나타나 있다.300KB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data is applied by applying the above-described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model, table-based parsing,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selection of probability data, keyboard layout to minimize ambiguity. Table 2 shows the simulation results of Hangul input for 21,062,496 Korean words.

상기 표 2에서 "도 26 + 기능 단추 제거"는 도 26의 자판 배열을 사용하되 기능 단추를 제거하고 모든 자소들이 대표 자소로 인식되는 방법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 2의 "음절당 평균 단추 조작 회수"는 모호성 해소에 실패했을 때 사용자가후보 변경 단추, 후보 확정 단추 등의 조작으로 의도한 어절을 제대로 입력하기 위해 필요한 단추 조작 회수까지 포함한 결과이다. 표 2의 결과를 토대로 예상할 때, 기능 단추를 사용하는 모든 방법이 약 98%의 모호성 해소율을 나타내어 사용자의 인지적 부담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반면에 "도 26 + 기능 단추 제거" 방법은 음절당 단추 조작 회수가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모호성 해소율이 상대적으로 많이 낮아 사용자가 인지적으로 불편함을 느낄 수가 있는 단점이 있다.In FIG. 2, "removing FIG. 26 + function button" refers to a method of using the keyboard layout of FIG. 26, but removing the function button and recognizing all phonemes as representative phonemes. The "average number of button manipulations per syllable" in FIG. 2 is a result including the number of button manipulations required for properly inputting a word intended by a user, such as a candidate change button or a candidate confirmation button, when the ambiguity is unsuccessful. Based on the results in Table 2, all the methods using the function buttons show an ambiguity resolution of about 98%, so there is little user's cognitive burden.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FIG. 26 + function button removal has a merit that the number of button manipulations per syllable is small, but the ambiguity resolution rate is relatively low, so that the user may feel cognitively uncomfortable.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 제안한 한글 입력 방법은 개인용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퀄티 2벌식 자판과 거의 비슷한 수준의 단추 조작 회수만으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어, 표 1에 나타난 기존의 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에 비해 한글 입력 속도가 빠름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시뮬레이션에서 사용된 음절 문맥 확률 자료의 크기도 300KB에 불과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나 다른 축소형 한글 자판을 사용하는 기기에 적용되기에 충분히 작은 용량이다.As can be seen in Table 2, the Hangul input metho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input Hangul with only a similar number of button manipulations as the quality 2 beol type keyboard used in a personal computer. It can be seen that the Hangul input speed is faster than. In addition, the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data used in this simulation is only 300KB, which is small enough to be applied to a mobile terminal or a device using another reduced Hangul keyboar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원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erminologi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practic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application. something to do.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인 난이도 측면에서 고려할 때, 당분야에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이면 용이하게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와 다른 변형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설명에서 사상을 인용한 실시예와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모두 귀속됨은 명백하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iew of the technical difficulty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change other embodiments and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added, it is apparent that all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cited in the above description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축소형 한글자판을 사용하는 기기에서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의 한글 입력 장치를 개발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창안한 음절 문맥 확률 모형과 모호성이 적게 발생하는 자판 배열을 찾는 기법을 적용하면 모호성 해소율을 높일 수 있고, 테이블 기반 파싱을 사용하면 자소 입력 및 삭제에 따른 재계산을 하지 않아 처리 속도가 빠르며, 확률 데이터의 선별 과정을 이용하면 요구되는 기억 장소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단추 조작 회수의 감소되는 이점을 유지하면서도 실용적으로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을 축소형 한글 자판을 이용하는 한글 입력에 적용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뛰어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n developing a Hangul input device having a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in a device using a reduced Hangul keyboard, a method for finding a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model and a keyboard arrangement with less ambiguity inv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increase the ambiguity resolution rate, and table-based parsing speeds up the process by eliminating the recalculation according to the input and deletion of the phoneme. Therefore, there are various outstanding effects, such as being able to apply a practically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to a Hangul input using a reduced Hangul keyboard while maintaining the reduced number of button manipulations.

Claims (17)

하나 이상의 한글 자소가 자모 혼재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자소 단추, 종속 자소를 입력하기 위해 누르는 기능 단추, 현재 액정 표시 장치에 출력된 후보 음절열이 입력하려는 음절열임을 확정하는 확정하는 확정 단추, 차순위 후보를 액정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변경 단추, 후보 선택 모드로 이동하는 후보 선택 단추 및 가장 최근에 입력했던 자소 단추 조작을 취소하는 삭제 단추를 포함하는 축소형 한글 자판부; 및Phoneme button in which one or more Hangul phonemes are arranged in a Jamo mixture, function button pressed to input dependent phonemes, confirm button confirming that the candidate syllable string currently output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is the syllable string to be input, the next candidate A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including a change button for outputting a to a liquid crystal display, a candidate select button for moving to a candidate selection mode, and a delete button for canceling a most recently inputted phoneme button operation; And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로부터 입력된 미결정 단추열에 대응되는 후보 음절열들을 음절 문맥 확률 모형을 이용하여 순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의 한글 입력 장치.And a candidate syllable sequence corresponding to an undetermined button sequence inputted from the reduced Korean keyboard unit is ranked using a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model. 제1항의 모든 자소를 대표 자소로 배정하고 기능 단추를 제거하는 변형을 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The Hangul input device of claim 1, wherein all the phonemes are assigned as representative phonemes and a modification is made to remove the function butt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는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빈도가 높은 10개의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을 서로 다른 단추에 배정하고, 나머지 자음 'ㄲ'은 'ㄱ'과, 'ㄸ'은 'ㄷ'과, 'ㅃ'은 'ㅂ'과, 'ㅆ'은 'ㅅ'과, 'ㅉ'은 'ㅈ'과, 'ㅊ'은 'ㅇ'과, 'ㅋ'은 'ㄹ'과, 'ㅌ'은 'ㄴ'과. 'ㅍ'은 'ㅁ'과 같은 단추에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장치.Ten high-frequency consonants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Assign 'ㅎ' to different buttons, and the remaining consonants' ㄲ 'for' ㄱ ',' ㄸ 'for' ㄷ ',' ㅃ 'for' ㅂ ',' ㅆ 'for' ㅅ ',' 'ㅉ' for 'ㅈ', 'ㅊ' for 'ㅇ', 'ㅋ' for 'ㄹ' and 'ㅌ' for 'ㄴ'. 'T' is a Korean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ssigned to the button such as 'ㅁ'.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는,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대표 모음을 'ㅏ', 'ㅓ', 'ㅗ', 'ㅜ', 'ㅡ', 'ㅣ'의 6개로 한정하고, 이 대표 모음들은 'ㄱ', 'ㄴ', 'ㄹ', 'ㅇ'과 같은 단추를 공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Representative vowels are limited to 6, 'ㅏ', 'ㅓ', 'ㅗ', 'TT', 'ㅡ', and 'ㅣ', and these representative collections are 'ㄱ', 'ㄴ', 'ㄹ', 'ㅇ' Hangu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oes not share the same butt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는,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가) 자소 'ㄱ', 'ㄲ'은 단추 '1'에 배정되고,(A) the phonemes 'ㄱ' and 'ㄲ' are assigned to button '1', (나) 자소 'ㄴ', 'ㅌ'은 단추 '2'에 배정되고,(B) the phonemes 'b' and 'ㅌ' are assigned to button '2', (다) 자소 'ㄷ', 'ㄸ', 'ㅓ', 'ㅕ'는 단추 '3'에 배정되고,(C) the phonemes 'ㄷ', 'ㄸ', 'ㅓ' and 'ㅕ' are assigned to button '3', (라) 자소 'ㄹ', 'ㅋ'은 단추 '4'에 배정되고,(D) Phonemes 'ㄹ' and 'ㅋ' are assigned to button '4', (마) 자소 'ㅁ', 'ㅍ', 'ㅡ'는 단추 '5'에 배정되고,(E) Phonemes 'ㅁ', 'ㄷ', 'ㅡ' are assigned to button '5', (바) 자소 'ㅂ', 'ㅃ', 'ㅗ', 'ㅛ'는 단추 '6'에 배정되고,(F) the phonemes 'ㅂ', 'ㅃ', 'ㅗ' and 'ㅛ' are assigned to button '6', (사) 자소 'ㅅ', 'ㅆ', 'ㅜ'. 'ㅠ'는 단추 '7'에 배정되고,(G) Phonemes 'ㅅ', 'ㅆ', 'ㅜ'. 'ㅠ' is assigned to button '7', (아) 자소 'ㅇ', 'ㅊ'은 단추 '8'에 배정되고,(H) The phonemes 'ㅇ' and 'ㅊ' are assigned to button '8', (자) 자소 'ㅈ', 'ㅉ', 'ㅣ'는 단추 '9'에 배정되고,(I) Phonemes 'ㅈ', 'ㅉ', 'ㅣ' are assigned to button '9', (차) 자소 'ㅎ', 'ㅏ', 'ㅑ'는 단추 '0'에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T) Korean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honemes 'ㅎ', 'ㅏ', 'ㅑ' are assigned to the button '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는,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가) 자소 'ㄱ', 'ㄲ'은 단추 '1'에 배정되고,(A) the phonemes 'ㄱ' and 'ㄲ' are assigned to button '1', (나) 자소 'ㄴ', 'ㅌ'은 단추 '2'에 배정되고,(B) the phonemes 'b' and 'ㅌ' are assigned to button '2', (다) 자소 'ㄷ', 'ㄸ', 'ㅓ', 'ㅕ'는 단추 '3'에 배정되고,(C) the phonemes 'ㄷ', 'ㄸ', 'ㅓ' and 'ㅕ' are assigned to button '3', (라) 자소 'ㄹ', 'ㅋ'은 단추 '4'에 배정되고,(D) Phonemes 'ㄹ' and 'ㅋ' are assigned to button '4', (마) 자소 'ㅁ', 'ㅍ', 'ㅡ'는 단추 '5'에 배정되고,(E) Phonemes 'ㅁ', 'ㄷ', 'ㅡ' are assigned to button '5', (바) 자소 'ㅂ', 'ㅃ', 'ㅏ', 'ㅑ'는 단추 '6'에 배정되고,(F) the phonemes 'ㅂ', 'ㅃ', 'ㅏ' and 'ㅑ' are assigned to button '6', (사) 자소 'ㅅ', 'ㅆ', 'ㅗ'. 'ㅛ'는 단추 '7'에 배정되고,(G) Phonemes 'ㅅ', 'ㅆ', 'ㅗ'. 'ㅛ' is assigned to button '7', (아) 자소 'ㅇ', 'ㅊ'은 단추 '8'에 배정되고,(H) The phonemes 'ㅇ' and 'ㅊ' are assigned to button '8', (자) 자소 'ㅈ', 'ㅉ', 'ㅣ'는 단추 '9'에 배정되고,(I) Phonemes 'ㅈ', 'ㅉ', 'ㅣ' are assigned to button '9', (차) 자소 'ㅎ', 'ㅜ', 'ㅠ'는 단추 '0'에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T) The Hangul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honemes 'ㅎ', 'TT', 'ㅠ' are assigned to the button '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는,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가) 자소 'ㄱ', 'ㄲ'은 단추 '1'에 배정되고,(A) the phonemes 'ㄱ' and 'ㄲ' are assigned to button '1', (나) 자소 'ㄴ', 'ㅌ'은 단추 '2'에 배정되고,(B) the phonemes 'b' and 'ㅌ' are assigned to button '2', (다) 자소 'ㄷ', 'ㄸ', 'ㅏ', 'ㅑ'는 단추 '3'에 배정되고,(C) the phonemes 'ㄷ', 'ㄸ', 'ㅏ' and 'ㅑ' are assigned to button '3', (라) 자소 'ㄹ', 'ㅋ'은 단추 '4'에 배정되고,(D) Phonemes 'ㄹ' and 'ㅋ' are assigned to button '4', (마) 자소 'ㅁ', 'ㅍ', 'ㅡ'는 단추 '5'에 배정되고,(E) Phonemes 'ㅁ', 'ㄷ', 'ㅡ' are assigned to button '5', (바) 자소 'ㅂ', 'ㅃ', 'ㅗ', 'ㅛ'는 단추 '6'에 배정되고,(F) the phonemes 'ㅂ', 'ㅃ', 'ㅗ' and 'ㅛ' are assigned to button '6', (사) 자소 'ㅅ', 'ㅆ', 'ㅜ'. 'ㅠ'는 단추 '7'에 배정되고,(G) Phonemes 'ㅅ', 'ㅆ', 'ㅜ'. 'ㅠ' is assigned to button '7', (아) 자소 'ㅇ', 'ㅊ'은 단추 '8'에 배정되고,(H) The phonemes 'ㅇ' and 'ㅊ' are assigned to button '8', (자) 자소 'ㅈ', 'ㅉ', 'ㅣ'는 단추 '9'에 배정되고,(I) Phonemes 'ㅈ', 'ㅉ', 'ㅣ' are assigned to button '9', (차) 자소 'ㅎ', 'ㅓ', 'ㅕ'는 단추 '0'에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T) Korean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honemes 'ㅎ', 'ㅓ', 'ㅕ' are assigned to the button '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는,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가) 자소 'ㄱ', 'ㄲ', 'ㅑ'는 단추 '1'에 배정되고,(A) Phonemes 'ㄱ', 'ㄲ' and 'ㅑ' are assigned to button '1', (나) 자소 'ㄴ', 'ㅌ', 'ㅡ'는 단추 '2'에 배정되고,(B) Phonemes 'b', 'ㅌ' and 'ㅡ' are assigned to button '2', (다) 자소 'ㄷ', 'ㄸ', 'ㅓ'는 단추 '3'에 배정되고,(C) the phonemes 'ㄷ', 'ㄸ' and 'ㅓ' are assigned to button '3', (라) 자소 'ㄹ', 'ㅋ', 'ㅛ'는 단추 '4'에 배정되고,(D) The phonemes 'ㄹ', 'ㅋ' and 'ㅛ' are assigned to button '4', (마) 자소 'ㅁ', 'ㅍ', 'ㅗ'는 단추 '5'에 배정되고,(E) Phonemes' ㅁ ',' '' and 'ㅗ' are assigned to button '5', (바) 자소 'ㅂ', 'ㅃ', 'ㅏ'는 단추 '6'에 배정되고,(F) the phonemes 'ㅂ', 'ㅃ' and 'ㅏ' are assigned to button '6', (사) 자소 'ㅅ', 'ㅆ', 'ㅕ'는 단추 '7'에 배정되고,(G) Phonemes 'ㅅ', 'ㅆ' and 'ㅕ' are assigned to button '7', (아) 자소 'ㅇ', 'ㅊ', 'ㅠ'는 단추 '8'에 배정되고,(H) The phonemes 'ㅇ', 'ㅊ' and 'ㅠ' are assigned to button '8', (자) 자소 'ㅈ', 'ㅉ', 'ㅣ'는 단추 '9'에 배정되고,(I) Phonemes 'ㅈ', 'ㅉ', 'ㅣ' are assigned to button '9', (차) 자소 'ㅎ', 'ㅜ'는 단추 '0'에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T) Korean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honeme 'ㅎ', 'TT' is assigned to the button '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는,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가) 자소 'ㄱ', 'ㄲ', 'ㅕ'는 단추 '1'에 배정되고,(A) Phonemes 'ㄱ', 'ㄲ' and 'ㅕ' are assigned to button '1', (나) 자소 'ㄴ', 'ㅌ', 'ㅑ'는 단추 '2'에 배정되고,(B) the phonemes 'b', 'ㅌ' and 'ㅑ' are assigned to button '2', (다) 자소 'ㄷ', 'ㄸ', 'ㅓ'는 단추 '3'에 배정되고,(C) the phonemes 'ㄷ', 'ㄸ' and 'ㅓ' are assigned to button '3', (라) 자소 'ㄹ', 'ㅋ', 'ㅛ'는 단추 '4'에 배정되고,(D) The phonemes 'ㄹ', 'ㅋ' and 'ㅛ' are assigned to button '4', (마) 자소 'ㅁ', 'ㅍ', 'ㅡ'는 단추 '5'에 배정되고,(E) Phonemes 'ㅁ', 'ㄷ', 'ㅡ' are assigned to button '5', (바) 자소 'ㅂ', 'ㅃ', 'ㅏ'는 단추 '6'에 배정되고,(F) the phonemes 'ㅂ', 'ㅃ' and 'ㅏ' are assigned to button '6', (사) 자소 'ㅅ', 'ㅆ', 'ㅗ'는 단추 '7'에 배정되고,(G) Phonemes 'ㅅ', 'ㅆ' and 'ㅗ' are assigned to button '7', (아) 자소 'ㅇ', 'ㅊ', 'ㅠ'는 단추 '8'에 배정되고,(H) The phonemes 'ㅇ', 'ㅊ' and 'ㅠ' are assigned to button '8', (자) 자소 'ㅈ', 'ㅉ', 'ㅣ'는 단추 '9'에 배정되고,(I) Phonemes 'ㅈ', 'ㅉ', 'ㅣ' are assigned to button '9', (차) 자소 'ㅎ', 'ㅜ'는 단추 '0'에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T) Korean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honeme 'ㅎ', 'TT' is assigned to the button '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는,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educed Hangul keyboard portion, (가) 자소 'ㄱ', 'ㄲ', 'ㅕ'는 단추 '1'에 배정되고,(A) Phonemes 'ㄱ', 'ㄲ' and 'ㅕ' are assigned to button '1', (나) 자소 'ㄴ', 'ㅌ', 'ㅑ'는 단추 '2'에 배정되고,(B) the phonemes 'b', 'ㅌ' and 'ㅑ' are assigned to button '2', (다) 자소 'ㄷ', 'ㄸ', 'ㅓ'는 단추 '3'에 배정되고,(C) the phonemes 'ㄷ', 'ㄸ' and 'ㅓ' are assigned to button '3', (라) 자소 'ㄹ', 'ㅋ', 'ㅛ'는 단추 '4'에 배정되고,(D) The phonemes 'ㄹ', 'ㅋ' and 'ㅛ' are assigned to button '4', (마) 자소 'ㅁ', 'ㅍ', 'ㅜ'는 단추 '5'에 배정되고,(E) Phonemes 'ㅁ', 't' and 'TT' are assigned to button '5', (바) 자소 'ㅂ', 'ㅃ', 'ㅗ'는 단추 '6'에 배정되고,(F) the phonemes 'ㅂ', 'ㅃ' and 'ㅗ' are assigned to button '6', (사) 자소 'ㅅ', 'ㅆ', 'ㅡ'는 단추 '7'에 배정되고,(G) Phonemes 'ㅅ', 'ㅆ' and 'ㅡ' are assigned to button '7', (아) 자소 'ㅇ', 'ㅊ', 'ㅠ'는 단추 '8'에 배정되고,(H) The phonemes 'ㅇ', 'ㅊ' and 'ㅠ' are assigned to button '8', (자) 자소 'ㅈ', 'ㅉ', 'ㅏ'는 단추 '9'에 배정되고,(I) phonemes 'ㅈ', 'ㅉ', 'ㅏ' are assigned to button '9', (차) 자소 'ㅎ', 'ㅣ'는 단추 '0'에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T) Korean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honeme 'ㅎ', 'ㅣ' is assigned to the button '0'. 축소형 한글 자판부에 하나 이상의 한글 자소가 자모 혼재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자소 단추, 종속 자소를 입력하기 위해 누르는 기능 단추, 미결정 단추열에 대해 현재 액정 표시 장치에 출력된 후보를 음절열로 확정하는 확정 단추, 차순위 후보를 액정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변경 단추, 후보 선택 모드로 이동하는 후보 선택 단추 및 가장 최근에 입력했던 자소 단추 조작을 취소하는 삭제 단추를 배정한 상태에서, 한글 입력을 위해 동작 모드를 한글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A phoneme button in which one or more Hangul phonemes are arranged in a consonant form in a reduced Hangul keyboard, a function button that is pressed to input dependent phonemes, and a determination that the candidate currently outpu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is determined as syllable strings for the undetermined button sequence. A button, a change button for outputting a next-order candidate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a candidate selection button for moving to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and a delete button for canceling the most recently inputted phoneme button operation are assigned, and the operation mode is input for Hangul input. Switching to an input mode;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의 단추를 선택하는 단추 조작을 인가 받음에 따라 해당 단추에 배정된 코드를 변환하는 단계;Converting a code assigned to the button in response to receiving a button operation for selecting a button of the reduced Hangul keyboard;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로부터 자소 단추 코드를 입력 받아 미결정 단추열에 단추 코드를 첨가하고 미결정 단추열에 대응되는 후보 음절열들을 생성하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Receiving a phoneme button code from the reduced Hangul keyboard and adding a button code to an indeterminate button sequence, generating candidate syllable sequences corresponding to the indeterminate button sequence, and determining a ranking;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로부터 기능 단추 코드를 입력 받아 기능 단추 플래그를 토글 방식으로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단계;Receiving a function button code from the reduced Korean keyboard unit and setting or releasing a function button flag in a toggle method;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로부터 확정 단추 코드를 입력 받아 음절열을 확정하고 미결정 단추열과 분석에 사용되는 자료를 초기화하는 단계;Determining a syllable sequence by receiving a definite button code from the reduced Hangul keyboard and initializing data used for the undetermined button sequence and analysis;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로부터 변경 단추 코드를 입력 받아 후보가 세 개 이상이면 후보 선택 모드 플래그를 설정하고, 후보가 두 개이면 화면에 출력되는 후보를 교체하는 단계;Receiving a change button code from the reduced Hangul keyboard and setting a candidate selection mode flag if there are three or more candidates, and replacing two candidates displayed on the screen if there are two candidates;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로부터 삭제 단추 코드를 입력 받아 미결정 단추열의 마지막 자소를 삭제하는 단계;Receiving a delete button code from the reduced Hangul keyboard to delete the last element of the pending button sequence; 후보 선택 모드 플래그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축소형 한글 자판부로부터 단추 코드를 입력 받아 화면에 출력되는 후보를 선택하고 확정하는 단계;Selecting and confirming a candidate to be outputted on the screen by receiving a button code from the reduced Hangul keyboard with a candidate selection mode flag set; 후보 선택 모드 플래그가 설정된 상태에서 후보 음절열들의 목록을 화면에 제시하는 단계; 및Presenting a list of candidate syllable sequences on the screen with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flag set; And 후보 선택 모드 플래그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1 순위 후보 음절열을 미결정 단추열에 대응되는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And outputting the first-order candidate syllable sequence to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ndeterminate button sequence while the candidate selection mode flag is not se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음절열은 테이블 기반 파싱 기법을 이용하여 생성되고, 기억 장소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분석 과정에서는 파싱 테이블에서 단음절 셀, 중간 결과셀 및 최종 결과셀을 유지하고, 분석이 끝난 뒤에는 파싱 테이블에서 중간 결과셀 및 최종 결과셀만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andidate syllable sequence is generated using a table-based parsing technique, and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storage space, the syllable cell maintains a single syllable cell, an intermediate result cell and a final result cell in the parsing table. Hangul input method based on a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only after the intermediate result cell and the final result cell is maintained in the parsing tab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음절 셀은 단추열에 대응되는 음절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단추열/음절 대응표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The Hangul input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ingle syllable cell is configured by using a button string / syllable correspondence table while searching for a syllable corresponding to a button strin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음절열에 대해 음절 문맥 확률 모형에 기반하여 출현 확률을 계산하고, 이 확률을 후보 음절열들의 순위 결정을 위한 기준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12. The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andidate syllable sequence is calculated based on a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model, and the probability is used as a criterion for ranking candidate syllable sequences. Hangul input metho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절 문맥 확률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말뭉치로부터 띄어쓰기를 고려하는 음절 연접 빈도와 띄어쓰기를 고려하지 않은 음절 연접 빈도를 함께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The Hangul input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yllable concatenation frequency considering the spacing from the corpus and the syllable concatenation frequency without the spacing are considered together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Wa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절 문맥 확률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음절 문맥 확률 자료에 대해 음절 연접 빈도, 음절 연접 빈도의 순위 및 해당 음절 문맥 확률값 자체를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척도를 사용하여 확률 자료의 활용도를 측정하고, 활용도가 높은 확률 자료만을 선별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결정적 자소 입력 방식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the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data is used to measure the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the rank of the syllable context frequency, and the syllable context probability value. A Hangul input method based on a nondeterministic phoneme input method, which measures utilization and selects and uses only high probability probability dat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자소에 대해 자소 연접 분포 벡터를 구하고, 두 벡터에 대해 개개 벡터의 크기에 비례하고, 벡터의 코사인 값에 반비례하는 척도를 사용하여 모호성 해소 오류 발생 추정량을 계산하고, 모호성 해소 오류 발생 추정량이 최소인 자소의 배치를 선택함으로써 최적의 자판 배열을 자동으로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결정 자소 입력 방식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 consensus concatenation distribution vector is obtained for each phoneme, a quantitative error occurrence estimator is calculated using a measure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individual vectors for the two vectors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osine of the vector. And an alphabetical input method based on an indeterminate phoneme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optimum keyboard layout is automatically searched by selecting the arrangement of the minimum ambiguity resolution error occurrence estimates.
KR10-2002-0074003A 2002-11-26 2002-11-26 Korean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of cellular phone KR1004572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003A KR100457291B1 (en) 2002-11-26 2002-11-26 Korean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of cellular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003A KR100457291B1 (en) 2002-11-26 2002-11-26 Korean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of cellular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166A true KR20040046166A (en) 2004-06-05
KR100457291B1 KR100457291B1 (en) 2004-11-17

Family

ID=37341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003A KR100457291B1 (en) 2002-11-26 2002-11-26 Korean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of cellular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29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361B1 (en) * 2011-04-25 2012-06-25 전덕규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hangul vowels in th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395B1 (en) * 1998-12-15 2001-12-28 박원영 Dial Button Code System
KR100397509B1 (en) * 1998-12-28 2003-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Korean input device with telephone keyboard and its method
KR100862585B1 (en) * 2000-12-23 2008-10-09 정창 Korean Inputt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Auto Distinguishing between consonant and vowel
KR100370970B1 (en) * 2001-03-07 2003-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ethod for making English word in data processing system
KR100428691B1 (en) * 2002-02-26 2004-04-28 (주)넷피아닷컴 korean language input system and meht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361B1 (en) * 2011-04-25 2012-06-25 전덕규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hangul vowels in th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7291B1 (en) 200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48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text into electronic devices
US114166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text into electronic devices
US20210073467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Entering Text on a Computing Device
US104024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text into electronic devices
JP55016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distinct characters from indeterminate text input
Masui An efficient text input method for pen-based computers
KR100766169B1 (en) Computer-implemented dictionary learning method and device using the same, input method and user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US7953692B2 (en) Predicting candidates using information sources
RU2377664C2 (en) Text input method
US6636162B1 (en) Reduced keyboard text input system for the Japanese language
JP4712201B2 (en) Method for predicting keystrokes in a keyboard and predictive keyboard
US7129932B1 (en) Keyboard for interacting on small devices
JP2001249754A (en) Method for arraying keys on keyboard and keyboard
JPH0896085A (en) Character recognition and character complementing method and computer system
US8782067B2 (en) Searching method, search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KR100457291B1 (en) Korean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of cellular phone
KR20020005709A (en)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JPH11312046A (en) Input system for generating input sequence of voice kana character
JP2002251390A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word string and program
JP3492981B2 (en) An input system for generating input sequence of phonetic kana characters
RU2344564C2 (en) Layouts of signs, methods of input and input device
JP2000057133A (en) Input prediction device, input predic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input prediction program thereon
KR20080085669A (en) Keyboard and characte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ing multi function key
CN114647839A (en) Password dictionary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05284865A (en) Cantonese input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