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2004A -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auto focus for digital camcoder - Google Patents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auto focus for digital camco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2004A
KR20040042004A KR1020020070122A KR20020070122A KR20040042004A KR 20040042004 A KR20040042004 A KR 20040042004A KR 1020020070122 A KR1020020070122 A KR 1020020070122A KR 20020070122 A KR20020070122 A KR 20020070122A KR 20040042004 A KR20040042004 A KR 20040042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data
spot light
relative ratio
focus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1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대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0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2004A/en
Publication of KR20040042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004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uto-focus of a digital camcorder are provided to allow a user to photograph an image even in a dark place. CONSTITUTION: A digital camcorder includes a lens unit(100), a charge coupled device (CCD)(110), an automatic gain controller(120), an analog-digital converter(130), a digital signal processor(140), a microcomputer(150), and a focus lens motor driver(160). The CCD converts an optical signal of a object, received through the lens unit, into a video signal. The automatic gain controller samples the video signal and controls the gain of the video signal. The analog-digital converter converts the video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encodes the digital signal and processes the digital signal into color and luminance signals. The focus motor driver drives a focus lens in response to a focusing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computer to bring an object to a focus.

Description

디지털 촬영기기의 오토 포커스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auto focus for digital camcoder}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auto focus for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auto focus for digital camcoder}

본 발명은 캠코더와 같은 촬영기기의 오토 포커스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도가 낮은 상태에서 스폿 라이트가 존재하는 경우와 같은 다양한 상황에서 노멀 오토 포커스 상태로 촬영하는 경우 정확히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한 오토 포커스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 focus control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a photographing apparatus such as a camcorder, particularly when shooting in a normal auto focus state in various situations, such as when there is a spot light in a low illuminance st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 focus control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일반적으로, 캠코더(CAMCORDER)는 영상 및 음성신호를 마련된 기록 매체상에기록하고, 그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영상 및 음성신호처리장치이다. 즉, 캠코더는 일반적인 카메라의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촬영된 피사체를 녹화할 수 있는 녹화기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캠코더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기록할 수 있고, 이후에 촬영된 피사체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In general, a camcorder (CAMCORDER) is a video and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recording video and audio signals on a provided recording medium and reproducing the recorded signals. In other words, the camcorder not only has the functions of a general camera but also has a function of a recorder capable of recording a photographed subject. By using such a camcorder, a user can photograph and record a desired subject, and then check the photographed subject again.

도 1은 노멀 오토 포커스(Normal Auto Focus) 상태에서 피사체 촬영시의 오토 포커스(Auto Focus) 데이터량 변화특성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스폿 라이트 촬영시의 오토 포커스 데이터량 변화특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과 2에서 횡축은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나타내며, 종축은 그에 따른 오토 포커스 데이터량(이하 AF데이터량이라 함)을 나타낸 것이다. 종래 캠코더에서는 노멀 오토 포커스 상태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AF데이터량이 가장 많은 위치(A)에서 초점이 맞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 이유는 노멀 상태에서 디포커스(defocus)가 되면 피사체의 형태는 뭉그러지면서 명암의 구분이 불분명해지므로 AF데이터량이 작아지기 때문이고, 초점이 맞아가면 피사체의 형태가 선명해지면서 명암의 구분이 명확해 지기 때문에 AF데이터량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많아지기 때문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racteristic change of auto focus data amount when a subject is photographed in a normal auto focus state,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racteristic change of auto focus data amount when spot light is photographed. It is. 1 and 2,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autofocus data amou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F data amount) accordingly. In the conventional camcorder, when photographing a subject in a normal autofocus state, it is recognized that focus is achieved at a position A where the amount of AF data is the largest as shown in FIG. 1. 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defocusing in the normal state, the shape of the subject becomes clumped and the distinction of contrast is unclear, so the amount of AF data decreases, and when the focus is achieved, the distinction of contrast is clear. 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AF data increases as shown in FIG.

한편 연극무대에서 조명을 받는 배우를 촬영하거나 혹은 자동차 헤드라이트(Head Light)가 비춰지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즉 주변이 어두운 스폿 라이트 촬영을 하는 경우의 AF데이터량과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도 1과 도 2에서 초점이 맞는 위치(A,B)를 기준으로 하여 비교해 볼 때 노멀 상태에서의 오토 포커스 제어와 스폿 라이트에서 오토 포커스 제어시의 AF데이터량은 거의 반비례 관계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캠코더에서는 스폿 라이트 상태에서 노멀 오토 포커스를 수행하게 되면 AF데이터량이 가장 많은 위치에 초점을 맞추게 됨으로서 피사체가 디포커스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you are shooting an actor who is illuminated on a theater stage, or if you are shooting a subject with a car headlight, that is, if you are shooting a dark spot light in the surroundings, look at the AF data amount and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As shown in 2. That is, in comparison with reference to the focused positions A and B in FIGS. 1 and 2, the amount of AF data in autofocus control in a normal state and autofocus control in a spot light is almost in inverse relationship. can see.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camcorder, when the normal autofocus is performed in the spot light state, the subject is defocused by focus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amount of AF data is the highest.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 특허 1997-031236 은 스폿 라이트를 고려하여 노말 오토 포커스를 수행하는 기능을 개시하고 있다. 즉, 스폿 라이트가 존재하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는 정확히 초점이 맞은 상태보다 초점이 조금 틀어진 상태에 있을 때 오토 포커스 데이터 량이 더 커지지만 이때 임계치 이상의 휘도성분도 함께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사실을 이용하여, 스폿 라이트 촬영이라고 판단되면 휘도성분을 데이터화 한 클립 데이터의 양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를 구동시키고 최저치의 클립데이터 위치에 포커스 렌즈를 정지시켜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7-031236 discloses a function of performing normal autofocus in consideration of a spot light. That is, when photographing a subject in which a spot light exists, the amount of autofocus data becomes larger when the focus is slightly out of focus than in a precisely focused state, but the luminance component above the threshold is also increased. Using this fact, if it was determined that spot light photography was taken, the focus lens wa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clip data obtained by luminance data, and the focus lens was stopped at the clip data position of the lowest value to focus on the subject.

그런데, 아주 어두운 상황에서 밝은 색의 피사체를 비출 경우 오토 포커스 데이터 량은 스폿 라이트를 비추었을 때처럼 정확히 초점이 맞은 상태보다 초점이 조금 틀어진 상태에 있을 때 더 커지게 된다. 그러나 스폿 라이트가 있을 때와는 반대로 클립 데이터의 경우에는 감소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아주 어두운 상황에서 밝은 색의 피사체를 비출 경우에 스폿 라이트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최저치의 클립데이터 위치에 포커스 렌즈를 정지시켜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게 되면 초점이 정확히 맞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a brightly colored subject is projected in a very dark situation, the amount of autofocus data becomes larger when the focus is slightly out of focus than when the spot is lit. However, in the case of clip data, there is a tendency to decrease as opposed to when there is a spot light. Therefore, when the subject is a bright color in a very dark situ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spot light exists, and when the subject is focused by stopping the focus lens at the lowest clip data pos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ocus is not corre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말 오토 포커스 상태에서 어두운 곳을 촬영하거나, 스폿라이트가 존재하거나, 밝은 색의 피사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항상 정확히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어두운 곳에서의 촬영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오토 포커스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ways focus correctly even when shooting a dark place in the normal autofocus state, the spotlight is present, or a brightly colored subject It is to provide an auto focus control method so that the user can be adjusted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inconvenience in shooting in a dark place.

도 1은 노말 오토 포커스 상태에서 일반 피사체 촬영 시 AF 데이터량 변화 특성도,1 is a characteristic diagram of AF data amount change when photographing a general subject in normal autofocus;

도 2는 스폿 라이트 촬영 시 AF 데이터량 변화 특성도,2 is a characteristic diagram of AF data amount change during spot light shooting;

도 3은 스폿 라이트 촬영 시 AF 데이터의 상대비의 변화 특성도,3 is a characteristic diagram of change in relative ratio of AF data during spot light shooting;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오토 포커스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그리고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uto focu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오토 포커스 제어장치에 의한 오토 포커스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o focus control method by the auto focus control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4.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기기는, 디지털화된 촬상영상신호를 인코딩 처리하며, 촬상영상신호에서 콘트라스트를 데이터화한 AF 데이터를 출력하는 DSP,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도록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는 포커스 모터 구동부, AF 데이터를 구성하는 상이한 주파수를 가진 출력신호의 상대비를 연산하고, 상기 상대비가 피크가 되는 위치에 포커스 렌즈가 위치하도록 포커싱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SP for encoding a digitized captured image signal, outputting the AF data obtained by converting the contrast data from the captured image signal,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to focus the subject And a microcomputer for calculating a relative ratio of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constituting AF data, and outputting a focusing control signal so that the focus lens is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relative ratio becomes a peak. It is done.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촬영기기의 디지털화된 촬상영상신호 중에서 콘트라스트를 데이터화하여 출력되는 AF 데이터를 읽어오는 단계, 상기 AF 데이터를 구성하는 상이한 주파수를 가진 출력신호의 상대비를 연산하는 단계, 스폿 라이트 촬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스폿 라이트 촬영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대비가 피크가 되는 위치에 포커스 렌즈가 위치하도록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기기의 오토 포커스 제어방법이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ading the AF data output by converting the contrast data from the digitized captured image signal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device, calculating the relative ratio of the output signal having a different frequency constituting the AF data, spot Determining whether to take light or not; and if the spot light is determined in the determining step,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so that the focus lens is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relative ratio becomes a peak. A focus control method is provided.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 상기 AF 데이터가 증가할 때 상기 상대비가 감소하면 스폿 라이트 촬영이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termining may include determining spot light imaging when the relative ratio decreases when the AF data increases.

상기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는, 스폿 라이트 촬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상대비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고, 상기 상대비의 감소가 시작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감소 시작점 이전 위치에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djusting of the position may include moving the focus len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lative ratio increase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pot light is photographed, and stopping the focus lens at a position before the decrease start poi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lative ratio starts to decrease. It is characterized by.

이에 의해, 스폿 라이트 촬영시에도 촬상되는 피사체의 초점이 정확히 맞춰질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even when the spot light is photographed,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can be accurately focused.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디지털 촬영기기인 캠코더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촬영기기는 렌즈부(100), CCD(110), AGC(Auto Gain Controller; 120), ADC(Analog-to-Digital Converter; 130), DSP(Digital Signal Processor)(140), 마이컴(150), 그리고, 포커스 렌즈 모터 구동부(160)를 포함한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amcorder which is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s illustrated,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es a lens unit 100, a CCD 110, an auto gain controller (AGC) 120,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130,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140, The microcomputer 150 and the focus lens motor driver 160 are included.

렌즈부(100)는 광축방향으로 전/후퇴하면서 피사체를 확대 및 축소하고 아울러 피사체의 상을 입력받는 포커스렌즈 및 줌렌즈와 광량을 제어하는 조리개로 구성된다.The lens unit 100 includes a focus lens, a zoom lens and an aperture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light while zooming in and out of a subject while moving forward and backwar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receiving an image of the subject.

CCD(110)는 상기 렌즈부(100)를 통해 확대, 축소되어 입력되는 피사체의 광신호를 타이밍 발생부(도면중 미도시)에서 발생된 수평, 수직 촬상구동펄스에 따라 동작하여 1필드분에 대해 촬상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AGC(Auto GainControl)는 상기 CCD(110)로부터 촬상된 영상신호를 샘플링하고 이득 제어하여 출력한다. ADC(Analog-to-Digital Converter)(130)는 AGC(120)에서 이득조절된 1필드분의 촬상영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 출력한다.The CCD 110 operates an optical signal of a subject that is enlarged and reduced through the lens unit 100 according to horizontal and vertical imaging driving pulses generated by a timing generator (not shown). Is converted into a captured image signal and output. AGC (Auto Gain Control) samples the image signal captured by the CCD 110, and gains and outputs it.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130 converts the captured image signal of one field, which is gain-adjusted by the AGC 120, into a digital signal.

DSP(Digital Signal Processor)(140)는 상기 디지털화된 1필드분의 촬상영상신호를 인코딩처리하여 NTSC 또는 PAL포맷의 칼라, 휘도신호로 처리하여 VCR(도시하지 않았음)로 출력한다. 그리고 DSP(140)는 촬상영상신호의 콘트라스트(Contrast)를 데이터화한 AF(Auto Focus) 데이터를 마이컴(150)으로 출력한다. 상기 AF 데이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f1, f2와 같이 주파수가 상이한 2개의 신호로 출력된다.The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140 encodes the digitized captured image signal for one field, processes it as a color or luminance signal in NTSC or PAL format, and outputs it to a VCR (not shown). The DSP 140 outputs AF (Auto Focus) data obtained by converting contrast of the captured image signal to the microcomputer 150. The AF data is output as two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such as f1 and f2 shown in FIGS. 1 and 2.

마이컴(15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를 내장함으로서 캠코더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마이컴(150)은 DSP(140)에서 입력되는 AF 데이터 f1, f2 의 상대비(f2/f1)를 연산하고, 상대비(f2/f1)에 따라 포커싱 제어신호를 출력한다.The microcomputer 1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amcorder by embedding a memory in which a control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150 calculates a relative ratio f2 / f1 of the AF data f1 and f2 input from the DSP 140 and outputs a focus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relative ratio f2 / f1.

포커스 모터 구동부(160)는 마이컴(150)으로부터 입력되는 포커싱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포커스 렌즈를 구동시킴으로서 피사체의 초점을 맞춘다.The focus motor driver 160 drives the focus lens in response to the focusing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microcomputer 150 to focus the subject.

이와 같이 구성된 캠코더를 이용하여 노멀 오토 포커스 상태에서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면 도 1과 같은 AF 데이터 량 변화 특성을 나타낸다. 스폿 라이트 촬영 시에는 도 2와 같은 AF 데이터 량 변화 특성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2에서 횡축은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나타내며, 종축은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AF 데이터 량을 나타낸 것이다. 출력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f1, f2 두 개의 신호가 출력된다.When a general subject is photographed in the normal autofocus state using the camcord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AF data amount change characteristic as shown in FIG. 1 is shown. In spot light imaging, the AF data amount change characteristic as shown in FIG. 2 is shown. 1 and 2,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amount of AF data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Two signals f1 and f2 are output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output signal.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폿 라이트를 고려하지 않는 노멀 상태에서 디포커스가 되면 피사체의 형태가 뭉그러지면서 명암 구분이 불분명해지므로 AF 데이터량이 작아진다. 그리고, 초점이 맞아가면서 피사체의 형태가 선명해지면서 명암의 구분이 명확해진다. 이와 같은 AF 데이터 량의 변화특성에 따라 노멀 오토 포커스의 경우에는 AF 데이터량이 피크가 되는 위치에서 포커스 렌즈를 정지시킨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defocus is performed in the normal state without considering the spot light, the shape of the subject becomes clumped and the contrast is unclear, so the amount of AF data is reduced. As the focus is focused, the shape of the subject becomes clearer, and the distinction of the contrast becomes clear. According to such a change characteristic of the amount of AF data, in the case of normal autofocus, the focus lens is stopped at a position where the AF data amount becomes a peak.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폿 라이트 촬영 시에는 AF 데이터량의 변화특성이 노멀 상태일 경우와 거의 반비례가 된다. 그런데, 도 3은 스폿 라이트 촬영 시 AF 데이터 f1, f2의 상대비(f2/f1)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폿 라이트 촬영 시에도 상대비는 피사체의 포커스가 맞아 갈수록 증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 during spot light imaging, the change characteristic of the AF data amount is almost inversely proportional to that in the normal state. However,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ve ratios f2 / f1 of the AF data f1 and f2 during spot light photographing. As shown in FIG. 3, the relative ratio increases as the subject is focused even when spot light photographing is performed.

본 발명은 이러한 상대비의 변화 특성을 이용하여 오토 포커스를 제어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autofocus by using the change characteristic of the relative ratio.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폿 라이트 촬영시의 오토 포커스 제어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autofocus control process for spot light photograph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우선 마이컴(150)은 200단계에서 현재 캠코더의 모드가 카메라 모드인가를 검사하여 카메라 모드이면 210단계로 진행한다. 210단계에서 마이컴(150)은 DSP(140)를 통해 입력되는 AF데이터를 리드하고, f1, f2 두개의 주파수로 입력되는 AF데이터의 상대비(f2/f1)를 연산한다.First, the microcomputer 150 checks whether the current camcorder mode is the camera mode in step 200 and proceeds to step 210 in the camera mode. In operation 210, the microcomputer 150 reads AF data input through the DSP 140 and calculates a relative ratio f2 / f1 of AF data input at two frequencies f1 and f2.

220단계에서 마이컴(150)은 스폿 라이트 촬영인가를 판단한다. 판단 방법은 상대비(f2/f1)가 증가할 때 AF 데이터가 감소하면 스폿 라이트 촬영이라고 판단하는 것이다. 만약 220단계에서 특정 피사체를 스폿 라이트로 촬영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마이컴(150)은 230단계로 진행하여 상대비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포커스 렌즈가 이동되도록 포커스 렌즈 모터 구동부(16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구동시키면서 피크가 되는 점을 240 단계에서 검사한다.In operation 220, the microcomputer 150 determines whether spot light is photographed. In the determination method, if the AF data decreases when the relative ratio f2 / f1 increases, it is determined that spot light imaging is performe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20 that the specific subject is being shot with the spot light, the microcomputer 150 proceeds to step 230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focus lens motor driver 160 to move the focus len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lative ratio increases. The peak point while driving is examined in step 240.

만약 240단계에서 AF 데이터(f1, f2)의 상대비(f2/f1)가 계속적으로 증가하다가 감소한다면 상대비의 피크라고 판단하고, 마이컴(150)은 250단계로 진행하여 상대비가 피크인 위치에 포커스렌즈를 정지시킨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폿 라이트 촬영시의 오토 포커스 제어과정을 종료한다. 그 결과 스폿 라이트 촬영시에도 촬상되는 피사체의 초점이 정확히 맞추어 질 수 있게 된다.If the relative ratio f2 / f1 of the AF data f1 and f2 continuously increases and decreases in step 240, it is determined that the peak of the relative ratio is determined, and the microcomputer 150 proceeds to step 250 in a position where the relative ratio is peaked. After stopping the focus lens, the auto focus control process at the time of spot light shoot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erminated. As a result,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can be accurately focused even during spot light shooting.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대비(f2/f1)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포커스렌즈를 구동시키면서 최고 상대비(f2/f1)를 갖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검색하였다. 그런데, 스폿 라이트 촬영임이 판단되면 포커스 렌즈가 구동될 수 있는 전 구간으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입력되는 AF 데이터(f1, f2)를 자동 저장하고, f1, f2의 상대비(f2/f1)를 연산한 후, 연산된 상대비(f2/f1) 중에서 최고값을 독출하여 그에 대응되는 위치에 포커스 렌즈를 정지시켜 피사체의 초점을 맞출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having the highest relative ratio f2 / f1 is searched while driving the focus len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lative ratio f2 / f1 increases.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pot light is photographed, the AF lens f1 and f2 are automatically stored by sequentially driving the focus lens to the entire region where the focus lens can be driven, and the relative ratio f2 / f1 of f1 and f2 is automatically stored. ), The subject may be focused by reading the highest value among the calculated relative ratios f2 / f1 and stopping the focus len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hereto.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AF 데이터의 상대비의 피크에서 스폿 라이트에서 촬상되는 피사체의 포커스가 맞아 가는 성질을 이용하여 AF 데이터의 상대비가 피크인 위치에 포커스렌즈를 정지시킴으로서 스폿 라이트 촬영 시에 피사체의 초점을 정확히 맞출 수 있고, 어두운 장소에서 밝은 색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도 초점을 정확히 맞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property that the subject imaged by the spot light is focused at the peak of the relative ratio of the AF data, thereby stopping the focus lens at a position where the relative ratio of the AF data is peak, thereby subjecting the subject to spot light shooting. It is possible to focus precisely and to focus accurately even when photographing a brightly colored subject in a dark place.

Claims (4)

디지털 촬영기기에 있어서,In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디지털화된 촬상영상신호를 인코딩 처리하며, 상기 촬상영상신호에서 콘트라스트를 데이터화한 AF 데이터를 출력하는 DSP;A DSP for encoding the digitized captured image signal and outputting AF data obtained by converting contrast data from the captured image signal;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도록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는 포커스 모터 구동부;A focus motor driver for adjusting a position of the focus lens to focus on the subject; 상기 AF 데이터를 구성하는 상이한 주파수를 가진 출력신호의 상대비를 연산하고, 상기 상대비가 피크가 되는 위치에 포커스 렌즈가 위치하도록 포커싱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기기의 오토 포커스 제어장치.And a microcomputer that calculates a relative ratio of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constituting the AF data, and outputs a focusing control signal so that the focus lens is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relative ratio becomes a peak. Auto focus control. 디지털 촬영기기의 디지털화된 촬상영상신호 중에서 콘트라스트를 데이터화하여 출력되는 AF 데이터를 읽어오는 단계;Reading the AF data output by converting the contrast data from the digitized captured image signal of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상기 AF 데이터를 구성하는 상이한 주파수를 가진 출력신호의 상대비를 연산하는 단계;Calculating a relative ratio of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constituting the AF data; 스폿 라이트 촬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Determining whether to take a spot light; And 상기 스폿 라이트 촬영 판단 단계에서 스폿 라이트 촬영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대비가 피크가 되는 위치에 포커스 렌즈가 위치하도록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기기의 오토 포커스 제어방법.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such that the focus lens is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relative ratio becomes a peak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pot light is photographed in the spot light photographing determination step. Control method.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스폿 라이트 촬영 판단 단계에서, 상기 AF 데이터가 증가할 때 상기 상대비가 감소하면 스폿 라이트 촬영이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기기의 오토 포커스 제어방법.And in the spot light photographing determination step, determine that spot light photographing is performed when the relative ratio decreases when the AF data is increased.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는, 스폿 라이트 촬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상대비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고, 상기 상대비의 감소가 시작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감소 시작점 이전 위치에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기기의 오토 포커스 제어방법.In the adjusting of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pot light is photographed, the focus lens is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lative ratio increases,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crease of the relative ratio starts, the focus is at the position before the decrease start point. An auto focus control method for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stopping a lens.
KR1020020070122A 2002-11-12 2002-11-12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auto focus for digital camcoder KR200400420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122A KR20040042004A (en) 2002-11-12 2002-11-12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auto focus for digital camco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122A KR20040042004A (en) 2002-11-12 2002-11-12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auto focus for digital camco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004A true KR20040042004A (en) 2004-05-20

Family

ID=37338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122A KR20040042004A (en) 2002-11-12 2002-11-12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auto focus for digital camco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2004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1223A (en) * 1992-10-23 1994-05-20 Kyocera Corp Automatic focus detector
KR970048018U (en) * 1995-12-26 1997-07-31 Zooming control circuit of camcor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1223A (en) * 1992-10-23 1994-05-20 Kyocera Corp Automatic focus detector
KR970048018U (en) * 1995-12-26 1997-07-31 Zooming control circuit of camcor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7943B2 (en)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of
JP4466400B2 (en)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of
JP2008054177A (en) Imaging apparatus
JP4310309B2 (en) 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tical device
JPH08279954A (en) Image pickup device
JP5225065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JP3401847B2 (en) Imaging device and autofocus circuit
JP4573032B2 (en) Auto focus system
KR100228489B1 (en) Auto-focus control method in spot light photographing
KR20040042004A (en)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auto focus for digital camcoder
KR100844135B1 (en) Auto focus control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uto focus function
JPH06133204A (en) Automatic focus adjustment device
KR100358859B1 (en) Method for automatic focus control in a camera
JP2006243003A (en) Imaging apparatus
JPH09179014A (en) Autofocusing control method for video camera
JP4272717B2 (en) Video camera system
KR100213888B1 (en) Auto-focusing control method for video camera
JP4046830B2 (en) Video camera
KR100822474B1 (en) Auto focus method for using luminunce data ? ?? data and apparatus thereof
JP3014745B2 (en) Auto focus device
KR19990002933A (en) Auto Exposure Control in Spot Light Mode
JPH06233172A (en) Automatic focusing device
KR20060004252A (en)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uto focus control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273171B2 (en) Camera body and lens device
JPH1010413A (en) Image pickup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