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1195A - 이동통신망에서의 불법단말 사용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에서의 불법단말 사용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1195A
KR20040041195A KR1020020069142A KR20020069142A KR20040041195A KR 20040041195 A KR20040041195 A KR 20040041195A KR 1020020069142 A KR1020020069142 A KR 1020020069142A KR 20020069142 A KR20020069142 A KR 20020069142A KR 20040041195 A KR20040041195 A KR 20040041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egal
terminal
uim
mobil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9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1195A/ko
Publication of KR20040041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195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의 불법단말 사용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HLR에서 불법 단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해당 불법 단말을 통한 서비스를 제한하며, 해당 불법 단말에 대한 정보를 고객 센터로 전송하여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객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불법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HLR에서 해당 불법 단말에 대한 정보를 DB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과정과; 이동 단말의 UIM 등록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교환기가 해당 UIM의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DB를 검색하여 해당 이동 단말이 불법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이 불법 단말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DB를 갱신한 후, 이동통신 교환기에 접근 불가를 통지하여 해당 이동통신 교환기가 상기 UIM 등록을 거부하게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제나 도난된 불법 ME을 통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이용을 제한할 수 있고 AUC의 부하를 감소시킬수 있으며 ME의 정당성 검증을 위한 별도의 EIR 시스템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의 불법단말 사용 방지 방법{Method for Prevention of Using Illegal Mobile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의 불법단말 사용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HLR에서 불법 단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해당 불법 단말을 통한 서비스를 제한하며, 해당 불법 단말에 대한 정보를 고객 센터로 전송하여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는 해당 가입자 정보 및 보안 관련 변수들을 내장하고 있는 UIM(User Identity Module)을 이용하여 예컨대, 원거리를 이동하는 경우에 자신의 이동 단말(Mobile Equipment: ME)을 가지고 이동할 필요가 없이, 단지 UIM을 사용 가능한 단말에 장착하여 해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입자의 MS(Mobile Station) 정보를 가지고 있는 HLR/AUC는 UIM의 이동성에 따라 변경되는 MS의 위치정보를 갱신하면서 UIM을 등록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UIM 등록시 HLR/AUC는 정당한 가입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정한 인증 과정을 통해 UIM 등록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데, 해당 인증 과정이 실패할 경우에는 등록이 거부되었음을 MS에 통지하여 서비스 제공을 거부하고, 인증 과정이 성공할 경우에는 가입자의 MS 정보를 갱신함과 동시에 해당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HLR/AUC이 인정 과정을 통해 UIM의 등록을 거부하는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해당 가입자의 UIM이 장착된 ME는 해당 MSC/VLR로부터 인증을 위한 RAND(RANDOM NUMBER)와 Auth(Authentication) 값(Auth=1)을 수신하고(S1), 해당 인증 절차의 수행을 위해 수신된 RAND와 해당 ME의 ESN(Electronic Serial Number)을 UIM으로 전송한다(S2).
UIM은 수신된 ESN과 저장하고 있던 MSID, SSD(Shared Secret Data) 등을 이용하여 인증 알고리즘을 실행하고, 해당 인증 알고리즘의 실행을 통해 생성된 AUTHR(Authentication Response)를 ME로 전송한다(S3).
이에, ME는 전달받은 AUTHR와 함께 RAND 및 ESN을 MSC/VLR로 전송하여 위치 등록을 요청(Registration Request: REGREQ)하고(S4), 해당 MSC/VLR은 RAND의 소정 상위 비트인 RANDC를 검증한 다음 HLR을 통해 AUC(Authentication Center)에 해당 UIM의 인증을 요청(Authentication Request: AUTHREQ)한다(S5,S6)).
AUC는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SSD와 상기 인증 요청(AUTHREQ)시 전달받은 MSID, ESN, RAND 등을 이용하여 인증 알고리즘을 통해 AUTHR을 생성하고, 생성된 AUTHR를 ME로부터 받은 AUTHR과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AUTHR가 불일치하는 경우, 즉 UIM 인증 과정이 실패한 경우 액세스가 거부되었음을 상기 인증을 요청한 HLR을 통해 MSC/VLR로 응답하고(S7,S8), 해당 MSC/VLR은 등록이 거부되었음을 ME에 응답함으로써(S9), 불법 UIM의 서비스 이용을 차단한다.
한편, 상기 AUTHR이 일치하는 경우, UIM 인증 과정이 성공했음을 HLR에 통지하고, HLR은 해당 가입자의 ESN을 갱신한 후 상기 통지를 MSC/VLR에 전달한다.
이에, MSC/VLR은 자신의 MSCID가 포함된 등록 통지 메시지를 HLR로 전송하고, 등록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HLR은 해당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갱신한 후 가입자의 프로파일을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MSC/VLR로 전송하여 ME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가입자가 UIM을 사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경우 AUC는 UIM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복제 등 불법적인 UIM에 대하여 인증실패를 통보하고 망 접근을 차단하여 서비스 제공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 이동통신망은 가입자의 UIM에 대한 정당성 여부만 검사하므로 정당한 UIM에 의한 불법 ME의 사용은 방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불법 ME를 통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함에 따라 단말기의 유통질서를 어지럽히고 이동통신 가입자 혹은 서비스 사업자에게 막대한 피해를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UIM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HLR에서 불법 단말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관리하고, UIM 인증 수행시 불법 ME 여부를 확인하여 불법 단말을 통한 서비스 이용을 제한하도록 하며, 불법 단말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고객센터로 통보함으로써 이동통신 사업자가 불법 단말 사용에 대한 조치를 취하거나 단말기의 불법 복제 및 도난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망에서 UIM 인증을 통해 불법 UIM의 서비스 이용을 제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불법 단말 사용 방지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불법 단말 사용 방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4는 도 3에 있어, HLR에 불법 단말을 등록하는 절차도.
도 5는 도 3에 있어, HLR에서 불법 단말의 서비스 이용을 제한하는 절차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MS 22 : MSC/VLR
23 : HLR 24 : AUC
25 : CSBS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에서의 불법 단말 사용 방지 방법은, 불법 단말에 대한 정보를 HLR내 DB에 저장하는 과정과; 이동단말의 UIM 등록 요청시 상기 DB를 검색하여 해당 이동 단말의 불법 단말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불법 단말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DB를 갱신한 후, 이동통신 교환기에 접근 불가를 통지하여 해당 이동통신 교환기가 상기 UIM 등록을 거부하게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HLR의 DB에는 해당 단말의 ESN 정보, 최초 등록 시간, 최종 접근 시간, 최종 접근 이동통신 교환기 식별정보, 최종 접근 가입자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이동 단말이 불법 단말인지 여부의 확인은,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의 UIM 인증 요청시 전달받은 이동 단말의 ESN이 불법 단말의 ESN으로 DB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검색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에서의 불법 단말 사용 방지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이 불법 단말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불법 단말에 대한 정보를 고객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고객 관리 시스템에서 대응하는 조치를 취하게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불법 단말 사용 방지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의 구성은 첨부한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M이 사용 가능한 ME에 장착된 이동국(Mobile Station: MS)(21)과 이동통신 교환 시스템(Mobile Switching Center/Visiter Location Register: MSC/VLR)(22), HLR(Home Location Register)(23), 인증 센터(Authentication Center: AUC)(24) 및 고객 관리 시스템(Customer Service Billing System: CSBS)(25)으로 이루어진다.
MSC/VLR(22)은 MS(21)로부터 UIM의 등록을 요청받은 경우 HLR(23)에 해당 UIM의 인증을 요청하고, HLR(23)로부터 그 결과를 응답받아 UIM을 등록한 후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UIM 등록을 거부하여 해당 서비스 제공을 차단한다.
HLR(23)은 CSBS(25)로부터 통지받은 불법 ME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로 관리하고, MSC/VLR(22)의 UIM 인증 요청시 상기 DB의 검색을 통해 해당 UIM가 장착된 ME가 불법 ME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불법 ME인 경우 DB의 불법 단말 정보를 갱신한 후 MSC/VLR(22)에 AUC(24) 접근 불가를 통지하는 한편, 해당 불법 ME의 사용 정보를 CSBS(25)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DB 검색 결과 해당 ME가 불법 ME가 아닌 경우에는 종래와 동일하게 AUC(24)에 UIM 인증을 요청하고 그 결과에 따른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HLR(23)에서 관리하는 DB는 아래와 같은 정보 테이블로 구성된다.
ESN 최초 등록 시간 최종 접근 시간 최종 접근 위치 최종 접근 가입자 정보
상기 ESN은 불법 ME의 ESN, 최초 등록 시간은 해당 ME가 DB에 최초로 등록된 시간, 최종 접근 시간은 해당 ME을 가지고 불법 접근한 최종 시간, 최종 접근 위치는 해당 ME을 가지고 불법 접근한 MSC의 식별정보, 최종 접근 가입자 정보는 해당 ME을 가지고 불법 접근한 가입자 식별정보를 의미한다.
CSBS(25)는 불법 ME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HLR(23)에 등록하고 HLR(23)로부터 해당 불법 ME의 사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망에서의 불법 단말 사용 방지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CSBS(25)로부터 불법 ME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HLR(23)은 불법 ME에 대한 정보를 DB에 저장하여 등록한다(S31).
그 후, ME로부터 UIM 등록을 요청받은 MSC/VLR(22)이 해당 UIM의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S32), HLR(23)은 상기 인증 요청시 전달받은 ESN을 키로하여 DB를 검색하여 동일 ESN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3,S34).
상기 확인 결과, 동일 ESN이 존재하는 경우, 즉 UIM 인증을 요청하는 ME가 CSBS(25)에 분실 신고되어 불법 ME로 HLR(23)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DB의 정보 테이블을 갱신하고, MSC/VLR(22)에 AUC(24) 접근 불가를 통지함과 동시에 해당 불법 ME 사용에 대한 정보를 CSBS(25)로 전송하여 이동통신 사업자가 불법 ME에 대한 조치를 취하게 한다(S35).
이에, 상기 AUC(24) 접근 불가 통지를 받은 MSC/VLR(22)은 해당 ME에 UIM 등록을 거부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을 차단한다(S36).
그리고, 상기 DB 검색 결과 해당 ME가 불법 ME가 아닌 경우 HLR(23)은 AUC(24)에 UIM 인증을 요청하고(S37) 그 결과를 응답받아 처리하는데(S38), 그 동작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HLR(23)의 불법 ME 등록 과정(S31)을 첨부한 도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가입자로부터 ME의 도난, 분실 또는 복제에 대한 신고를 접수한 CSBS(25)는 신고된 ME를 포함한 갱신된 불법 ME 리스트(BLACK_LIST_UPDATE)를 망 내 모든 HLR(23)에 방송(Broadcasting)하여 불법 ME를 등록한다.
즉, CSBS(25)는 해당 불법 ME 리스트를 망 내 HLR(23)에 방송한다(S41). 그러면, 상기 방송된 불법 ME 리스트를 수신한 HLR(23)은 응답 메시지(ACK)를 CSBS(25)로 전송하여 정상적으로 정보를 수신하였음을 통지한다(S42).
한편, CSBS(25)는 HLR(23)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HLR(23)에 상기 불법 ME 리스트를 재전송하고(S43), 해당 HLR(23)은 불법 ME 리스트를 수신한 경우 응답 메시지를 CSBS(25)로 전송한다(S44).
상기 불법 ME에 대한 정보를 DB로 관리하는 HLR(23)에서 해당 불법 ME을 통한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을 차단하는 동작(S32~S36)을 첨부한 도면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해당 가입자의 UIM이 장착된 ME는 MSC/VLR(22)로부터 인증을 위한 RAND와 Auth 값(Auth=1)을 수신하고(S51), 해당 인증 절차의 수행을 위해 수신된 RAND와 자신의 ESN을 UIM으로 전송한다(S52).
UIM은 수신된 ESN과 저장하고 있던 MSID, SSD 등을 이용하여 인증 알고리즘을 실행하고, 해당 인증 알고리즘의 실행을 통해 생성된 AUTHR를 ME로 전송한다(S53).
이에, ME는 전달받은 AUTHR와 함께 RAND 및 ESN을 MSC/VLR(22)로 전송하여 UIM 등록을 요청하고(S54), 해당 MSC/VLR(22)은 RAND의 소정 상위 비트인 RANDC를 검증한 다음 HLR(23)에 해당 UIM의 인증을 요청한다(S55).
HLR(23)은 불법 ME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DB를 검색하여 인증 요청시 전달받은 ESN이 DB의 해당 테이블에 존재하는 경우(S56), 불법 ME로 간주하여 DB의 가입자의 식별정보, 최종 ME 사용(접근)시간, 최종 접근 MSC 식별정보 등을 갱신한다.
그리고, MSC/VLR(22)에 해당 ME는 불법 ME로서 AUC(24)에 접근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AUC(24) 접근 불가(DenyAccess) 통지를 한다(S57).
그러면, 해당 AUC(24) 접근 불가 통지를 받은 MSC/VLR(22)은 UIM 등록을 요청한 ME에 해당 UIM 등록을 거부한다(S58).
또한, HLR(23)은 상기 AUC(24) 접근 불가 통지시(S57), 운용관리 시스템(OMS)(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으로 관련 신호를 전송하여 알람을 발생시키고, 해당 불법 ME의 사용에 대한 정보를 CSBS(25)로 전송하여(S59), 불법 ME의 사용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UIM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HLR에서 불법 ME에 대한 정보를 DB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UIM 인증 수행시 상기 DB 검색을 통해 불법 ME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불법 ME인 경우 해당 MSC/VLR에 인증 실패를 통지함으로써, 복제나 도난된 불법 ME를 통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이용을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HLR에서 해당 ME의 정당성을 검증하여 불법 ME인 경우 AUC로의 UIM 인증 요청없이 MSC/VLR에 바로 인증 실패를 통지함으로써, AUC의 부하를 감소시킬수 있고, ME의 정당성 검증을 위한 별도의 EIR 시스템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Claims (4)

  1. 불법 단말에 대한 정보를 HLR내 DB에 저장하는 과정과;
    이동단말의 UIM 등록 요청시 상기 DB를 검색하여 해당 이동 단말의 불법 단말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불법 단말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DB를 갱신한 후, 이동통신 교환기에 접근 불가를 통지하여 해당 이동통신 교환기가 상기 UIM 등록을 거부하게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불법 단말 사용 방지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LR의 DB에는 해당 단말의 ESN 정보, 최초 등록 시간, 최종 접근 시간, 최종 접근 이동통신 교환기 식별정보, 최종 접근 가입자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불법 단말 사용 방지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불법 단말인지 여부의 확인은,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의 UIM 인증 요청시 전달받은 이동 단말의 ESN이 불법 단말의 ESN으로 DB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검색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불법 단말사용 방지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불법 단말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불법 단말에 대한 정보를 고객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고객 관리 시스템에서 대응하는 조치를 취하게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불법 단말 사용 방지 방법.
KR1020020069142A 2002-11-08 2002-11-08 이동통신망에서의 불법단말 사용 방지 방법 KR20040041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142A KR20040041195A (ko) 2002-11-08 2002-11-08 이동통신망에서의 불법단말 사용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142A KR20040041195A (ko) 2002-11-08 2002-11-08 이동통신망에서의 불법단말 사용 방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195A true KR20040041195A (ko) 2004-05-17

Family

ID=3733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142A KR20040041195A (ko) 2002-11-08 2002-11-08 이동통신망에서의 불법단말 사용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119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558B1 (ko) * 2004-12-27 2006-09-21 주식회사 팬택 불법복제 단말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664110B1 (ko) * 2004-02-04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 방법
KR100775539B1 (ko) * 2006-08-09 2007-11-1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복제 단말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775558B1 (ko) * 2006-04-25 2007-11-1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단말의 부당 사용 관리 방법
KR100905072B1 (ko) * 2007-12-18 2009-06-3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강제 재위치 등록에 의한 도난 단말 사용 저지 방법 및시스템
US7574199B2 (en) 2005-10-14 2009-08-1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attacks in a power save mode for the same
KR100945138B1 (ko) * 2007-08-20 2010-03-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110B1 (ko) * 2004-02-04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제한 설정 방법
KR100627558B1 (ko) * 2004-12-27 2006-09-21 주식회사 팬택 불법복제 단말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7574199B2 (en) 2005-10-14 2009-08-1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attacks in a power save mode for the same
KR100775558B1 (ko) * 2006-04-25 2007-11-1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단말의 부당 사용 관리 방법
KR100775539B1 (ko) * 2006-08-09 2007-11-1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복제 단말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945138B1 (ko) * 2007-08-20 2010-03-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905072B1 (ko) * 2007-12-18 2009-06-3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강제 재위치 등록에 의한 도난 단말 사용 저지 방법 및시스템
WO2009078657A3 (en) * 2007-12-18 2009-10-22 Kt Freetel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use of stolen terminal through forced location re-registration
US8817700B2 (en) 2007-12-18 2014-08-26 K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use of stolen terminal through forced location re-regist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7073B1 (en) Preventing misuse of a copied subscriber identity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236852B1 (en) Authentication failure trigger method and apparatus
US5613214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uthenticating system
US11882442B2 (en) Handset identifier verification
KR101536489B1 (ko) 로밍 네트워크 내의 액세스 단말 아이덴티티의 인증
US78023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protection
US6285871B1 (en) Cellular fraud prevention using selective roaming
US9025769B2 (en) Method of registering smart phone when accessing security authentication device and method of granting access permission to registered smart phone
KR20060117319A (ko) 보안모듈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관리 방법
CN101212798B (zh) 支持快速切换的预认证方法
CN1219337A (zh) 发现复制的sim卡
KR10063168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도용 방지 방법 및 시스템
US20020180583A1 (en) Authentication of subscriber station
JPH05503816A (ja) 電話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加入者の真正証明および保護のための方法
KR20040041195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불법단말 사용 방지 방법
WO1999049688A1 (en) System and method of authenticating a mobile station's identity and handling authentication failures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250976B1 (ko) 이동통신서비스 단말기 복제의 검출 및 관리방법
KR100292289B1 (ko) 비인증단말기를 이용하여 인증단말기의 정보를 복제한 후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시스템
KR20110102282A (ko) 블랙리스트 인증 방식에 의한 단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0275447B1 (ko) 무선 통신망의 키 생성 함수 갱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비밀키 갱신 방법
JP3406992B2 (ja) 移動端末の接続制御システム
KR100281566B1 (ko) 이동통신에서의 호 이력 카운트를 이용한 불법 복제 단말기 검출 방법
KR100277916B1 (ko) 이동통신 가입자의 인증데이터 일치방법
KR100683807B1 (ko) 인증센터와 교환기간 직접 연동을 통한 휴대용단말기의인증 시스템 및 방법
WO2005020615A1 (fr) Procede de mise a jour de position non autoris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