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3090A - Display case for cultural assets - Google Patents

Display case for cultural asse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3090A
KR20040033090A KR1020020061980A KR20020061980A KR20040033090A KR 20040033090 A KR20040033090 A KR 20040033090A KR 1020020061980 A KR1020020061980 A KR 1020020061980A KR 20020061980 A KR20020061980 A KR 20020061980A KR 20040033090 A KR20040033090 A KR 20040033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ing
pulley
showcase
double
glass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9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67158B1 (en
Inventor
유상재
박정수
유문정
정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스에스
Priority to KR10-2002-0061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158B1/en
Publication of KR20040033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0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158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12Clamps or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fastening, or connecting glass plates, panels or the like
    • A47F3/125Doors for show c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Landscapes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PURPOSE: A wall embedded display window for cultural properties is provided to preserve invaluable cultural properties more effectively and to more easily replace the displayed cultural properties without opening the entire front glass window. CONSTITUTION: The wall embedded display window(1) for cultural properties includes opaque glasses for the top, bottom, right, left and rear surfaces; a transparent front glass panel; a fixed glass door; a slidable glass door(14); a pulley driving shaft disposed in parallel to front, rear bearing housings(7a,7b); a timing driving pulley; four timing double pulleys; geared timing belts; front, rear operational screw axes; upper, lower rectangular bars(92b); and many upper, lower supporting wheels(95).

Description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Display case for cultural assets}Display case for cultural assets

본 발명은 글씨, 회화, 그림 등의 문화재를 보관 및 전시하는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mounted display case for displaying cultural assets for storing and displaying cultural assets such as letters, paintings, and paintings.

일반적으로 국가의 문화재는 박물관 등에서 보관하고 있으며, 박물관에서는내부가 투명하게 잘보이는 진열장에 문화재를 보관 및 전시하므로서 관람객들이 전시되고 있는 문화재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national cultural assets are kept in museums, and the museum keeps and displays cultural assets in the showcase where the interior is transparent so that visitors can easily observe the cultural assets on display.

대개의 문화재는 온도와 습도의 변동이 없는 환경에서 보존되어야 하며, 또 공기중에는 문화재를 부식시키는 성분의 위험인자가 있으므로 이러한 위험인자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시설에서 보존하여야 하며, 또한 문화재가 보관되고 있는 진열장의 내부는 공기가 극히 완만하게 유동하는 여건을 만들어주어 진열장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항시 일정하게 유지시켜야만 문화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Most cultural properties should be preserved in an environment where there is no fluctuation in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in the air, there are risk factors of components that corrode cultural properties. Therefore, they should be stored in a facility that can prevent these risk factors from penetrating. The interior of the showcase is being created with a very gentle flow of air, so tha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howcase must be kept constant so that the cultural property can be safely protected.

또한 문화재를 보관하는 박물관에서는 상기와 같이 문화재를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는 각종 시설물과 함께 문화재를 보관 및 전시하는 진열장을 구비하고 있는데, 문화재를 보관 및 전시하는 진열장에 있어 글씨나 그림 또는 회화와 같은 문화재를 보관 및 전시하는 진열장의 경우는 그 내부에 글씨, 그림, 회화를 걸어놓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스크린패널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museum that keeps cultural assets has a showcase for storing and displaying cultural assets along with various facilities for safe preservation of cultural assets as described above.In the display case for storing and displaying cultural assets, cultural assets such as letters, pictures or paintings In the case of showcases that store and display the screens, screen panels are installed in the interiors, where the size of the letters, pictures, and paintings can be hung.

그러나 종래 문화재를 전시 및 보관하는 진열장은 전면의 유리문 전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관계로 진열장 내부의 스크린패널에 문화재를 설치하거나 또는 교체하고자 할 때 전면의 유리문 전체를 열어야 하기 때문에 진열장의 내부가 유리문 전체가 열린 만큼 공기중에 더 많이 노출될 수밖에 없어 문화재를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위험인자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However, the showcase that displays and keeps the conventional cultural assets can open and close the entire glass door, so when you want to install or replace the cultural property on the screen panel inside the showcase, you need to open the entire glass door.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as the entire glass door is opened, it can only be exposed to the air, so that the cultural property cannot be protected from the risk factors contained in the ai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단점을 해결하고 나아가 진열장에 보관된 문화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진열장에 전시된 문화재를 보관 또는 교체하고자 할 때 전면 유리문 전체를 열지 않고 일측 유리문만을 열고 문화재를 설치 또는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문화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억제하여 문화재를 보다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further manage the cultural properties stored in the showcase more efficiently, when the entire front glass door is to be stored or replaced in the showcase. By opening only one glass door without opening it, the cultural property can be installed or replaced, and the invention is invent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cultural assets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managing cultural properties more safe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박물관의 벽면에 매입되게 설치되는 상,하,좌,우면 및 배면은 불투명한 상태로 제작되고, 벽면으로부터 노출되게 설치되는 전면은 내부가 투시되는 유리문으로 형성하여 내부에 진열된 문화재를 관람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진열장에 있어서,The upper, lower, left, right and back surfaces installed to be embedded on the wall of the museum are manufactured in an opaque state, and the front surface exposed to the walls is formed of glass doors that are exposed to the inside so that visitors can view the cultural assets displayed inside. In the configured showcase,

상기 진열장의 전면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유리문과;A fixed glass door fixed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ront of the showcase;

상기 진열장의 전면 타측에 미닫이식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유리문과;An opening / closing glass door installed on the other front side of the showcase in a sliding manner;

상기 진열장의 하부틀체 내부의 하측에 전,후방에 서로 마주하게 고정설치된 전,후측 베어링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설치되며, 전단에는 수동핸들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피회전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풀리구동축과;Pulley driving shaft is installed horizontally rotatably in the front and rear bearing housing fixed to the front and rear facing each other i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frame of the showcase, the front end is formed to be rotated by a manual handle and;

상기 풀리구동축에 설치되어 있는 타이밍 구동풀리와;A timing driving pulley installed on the pulley driving shaft;

상기 타이밍 구동풀리의 직상방에 고정설치된 풀리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채 구동타이밍벨트에 의하여 타이밍 구동풀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자리에서 회전작동하는 제1 타이밍 더블풀리와;A first timing double pulley which receives rotational force from a timing driving pulley by a driving timing belt while being rotatably installed in a pulley housing fixedly installed above the timing driving pulley to rotate in place;

상기 제1 타이밍 더블풀리와 수평을 이룬 채 하부틀체의 일측 모서리부분 상단에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타이밍 더블풀리와;A second timing double pulley rotatably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one side edge portion of the lower frame body in parallel with the first timing double pulley;

상기 제2 타이밍 더블풀리의 직상방으로서 상기 진열장의 상부틀체 일측 모서리부분에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타이밍 더블풀리와;A third timing double pulley rotatably installed in place at one corner of the upper frame body of the showcase as directly above the second timing double pulley;

상기 제3 타이밍 더블풀리와 수평을 이룬 채 상부틀체의 중간부분에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 타이밍 더블풀리와;A fourth timing double pulley rotatably installed in a middle portion of the upper frame body in parallel with the third timing double pulley;

상기 타이밍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제1 내지 제4 타이밍 더블풀리 각각에 전달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각 더블풀리에 순차적으로 연결설치되는 제1 내지 제3 연동타이밍벨트와;First to third interlocking timing belts sequenti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double pulleys so as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of the timing driving pulleys to each of the first to fourth timing double pulleys;

상기 제1 내지 제4 타이밍 더블풀리 각각의 축중심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양단이 돌출된 상태로 나사조립되어 상기한 각 더블풀리의 정,역 회전에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다수의 전후진 작동나사축과;A plurality of forward and backward operating screws that are screwed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protrude into female thread holes formed at the shaft center of each of the first to fourth timing double pulleys and move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respective double pulleys. Axles;

상기 개폐유리문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지지틀과 제3, 제4 타이밍 더블풀리 사이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상부 사각봉과;An upper square bar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upper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glass door and the third and fourth timing double pulleys;

상기 개폐유리문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지지틀과 제1, 제2 타이밍 더블풀리 사이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하부 사각봉과;A lower square bar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lower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glass door and the first and second timing double pulleys;

상기 상,하부 사각봉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축들 각각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채 개폐유리문의 상,하부지지틀의 안내레일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개폐유리문의 상,하단을 지지하는 다수의 상,하부 지지용 바퀴;The rotatable glass doors are rotatably inserted into guide rails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frames of the open and close glass doors while being rotatably attached to the front ends of the plurality of fixed shaft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square bar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support wheels supporting upper and lower ends;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상기 다수의 전후진 작동나사축들 각각의 후단에는 전진이동을 제어하도록 각 더블풀리를 향해 돌출되는 후방스토퍼와, 상기 상,하부 사각봉 각각에는 후진이동을 제어하도록 각 더블풀리를 향해 돌출되는 전방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rear stopper protruding toward each double pulley to control forward movement at the rear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orward and backward operating screw shafts, and protruding toward each double pulley to control backward movement to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quare rods.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ront stopper.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1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정면도로 나타낸 내부구조도.Figure 2 is an internal structural view shown in front view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개폐유리문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전방으로 이동4 to 6 is moved forward to open the opening and closing glass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It also shows the working state.

도 7은 본 발명의 개폐유리문을 개방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정면도.Figure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the glass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2의 B-B선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도 9는 본 발명의 상부 점검도어를 열고 형광등을 점검하는 것을 나타내기Figure 9 shows opening the upper inspection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heck the fluorescent lamp

위한 확대도.Magnified view for.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 : 진열장 11 : 상부틀체1: showcase 11: upper frame

12 : 하부틀체 13 : 고정유리문12: lower frame 13: fixed glass door

14 : 개폐유리문 141,142 : 상,하부 지지틀14: opening and closing glass door 141,142: upper and lower support frame

143,144 : 안내레일 2 : 스크린패널143,144: guide rail 2: screen panel

2a,2b : 한쌍의 상,하부 가동브라켓 21 : 슬라이딩레일2a, 2b: A pair of upper and lower movable brackets 21: Sliding rail

22 : 이동행거 23 : 롤러22: moving hanger 23: roller

24 : 부착부재 25,31 : 수직장공24: attachment member 25, 31: vertical long hole

3a,3b : 한쌍의 상,하부 고정브라켓3a, 3b: A pair of upper and lower fixing bracket

4 : 중앙힌지축 4a : 한쌍의 전후진 메인프레임4: center hinge axis 4a: a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mainframe

4b : 한쌍의 전후진 보조프레임 5 : 작동지지대4b: A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auxiliary frames 5: Working support

6 : 수직회전축 6a,6b : 상,하부 베어링하우징6: vertical axis of rotation 6a, 6b: upper and lower bearing housing

61 : 수나사부 62 : 연동베벨기어61: male thread 62: interlocking bevel gear

7 : 구동축 7a,7b : 전,후방 베어링하우징7: drive shaft 7a, 7b: front and rear bearing housing

71 : 구동베벨기어 72,81 : 피회전단부71: Driving bevel gear 72,81: Rotating end

8 : 풀리구동축 8a,8b : 전,후측 베어링하우징8: Pulley drive shaft 8a, 8b: Front and rear bearing housing

82 : 타이밍 구동풀리 83 : 구동타이밍벨트82: timing drive pulley 83: drive timing belt

9a,9b,9c,9d : 제1 내지 제4 타이밍 더블풀리9a, 9b, 9c, 9d: first to fourth timing double pulleys

9 : 풀리하우징 91a,91b : 전후진 작동나사축9: pulley housing 91a, 91b: forward and backward working screw shaft

92a,92b : 상,하부 사각봉 93,94 : 전,후방스토퍼92a, 92b: Upper and lower square bars 93,94: Front and rear stoppers

95 : 지지용 바퀴 H : 수동핸들95: support wheel H: manual handle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정면도로 나타낸 내부구조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개폐유리문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개폐유리문을 개방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상부 점검도어를 열고 형광등을 점검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를 도시한 것으로,1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nternal structural view showing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2, Figures 4 to 6 is an opening and closing glass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glass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2, Figure 9 is a top inspection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n enlarged view to open and check the fluorescent lamp,

도면부호 1은 진열장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진열장(1)의 상,하,좌,우 및 배면은 불투명한 패널로 제작되어 있으며, 전면은 상,하부틀체(11)(12)와 내부가 투시되는 유리문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유리문은 고정유리문(13)과 개폐유리문(14)으로 분할 구성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showcase, and the upper, lower, left, right, and rear surfaces of the showcase 1 are made of opaque panels, and the front and bottom surfaces of the showcase body 11 and 12 are projected. It is formed of a glass door, the glass door is divided into a fixed glass door 13 and the opening and closing glass door (14).

상기한 고정유리문(13)은 도면상으로 볼 때 진열장(1)의 우측에 고정상태로 설치되는데 반해, 개폐유리문(14)은 진열장(1)의 좌측에 개폐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The fixed glass door 13 is installed in a fixed state on the right side of the showcase 1 as seen in the drawing, while the open / close glass door 14 is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left side of the showcase 1.

상기 진열장(1)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틀체(11)는 개폐가 가능한 상부 점검도어(111)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 조명등박스(112)와, 조명등박스에 설치되는 수개의 형광등(113)과, 그리고 상부틀체(11)의 내부와 진열장(1) 내부를 차단하면서 수개의 형광등(113)의 불빛이 진열장(1) 내부로 투시될 수 있게 하는 조명판(11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틀체(11)에 설치된 수개의 형광등(113)들을 교체 및 점검하고자 할 때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점검도어(11)를 열고 조명등박스(112)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교체및 점검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upper frame body 11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showcase 1 has an upper inspection door 111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 lamp box 112 slidably installed in front and rear, and several fluorescent lamps installed in the lamp box ( 113 and an illumination plate 114 which blocks the inside of the upper frame 11 and the inside of the display case 1 so that the lights of several fluorescent lamps 113 can be projected into the display case 1. When replacing and inspecting several fluorescent lamps 113 installed in the upper frame body 11, the upper inspection door 11 is opened and the lamp box 112 is moved forward to replace and inspect as shown in FIG. It is configured to do the job.

또한 상기한 상부틀체(11)는 도면(도 3 및 도 8 참조)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진열장(1) 상부의 전면에서부터 중간부분까지만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한 하부틀체(12)는 도면(도 3 참조)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진열장(1)의 하부 전,후면 전체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 진열장(1)을 받쳐줄 수 있는 강도를 가지는 프레임구조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frame body 11 is formed only from the front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showcase 1 as shown in the drawings (see FIGS. 3 and 8), while the lower frame body 12 is a view. As shown in Fig. 3,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lower part of the showcase 1 are formed, and a frame structure having strength capable of supporting the showcase 1 is formed.

그리고 상기한 하부틀체(12)에는 진열장(1)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수평을 이룰 수 있게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구(부호 생략)가 다수개 부착되어 있다.And the lower frame 12 is attached to a plurality of support (not shown) the height adjustmen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howcase (1) to achieve a horizontal.

상기 진열장(1)의 내부에는 글씨, 그림, 회화 등의 문화재 전시효과를 높여주기 위하여 전,후방으로 이동설치를 조정할 수 있는 스크린패널(2)이 설치되어 있다.The inside of the showcase (1) is provided with a screen panel (2) that can be adjust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order to enhance the display effect of cultural properties such as letters, pictures, paintings.

상기 스크린패널(2)을 전,후방으로 이동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도 3 및 도 7의 도시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FIG. 3 and FIG. 7, the screen panel 2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상기 진열장(1)의 내상부로서 상부틀체(11)의 후방측 좌,우 양측에 서로 마주한 상태로 평행하게 설치된 상부 슬라이딩레일(21)에는 이동행거(22)가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한 이동행거(22)에는 상부 슬라이딩레일(21)을 타고 구름이동하는 롤러(23)와 스크린패널(2)의 상단이 부착되는 부착부재(24)가 구비되어 있다.As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showcase (1), the movable hanger 22 is suspended from the upper sliding rail (21) installed in parallel in a state facing each other on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frame (11) to allow horizontal movement. Is installed, the movement hanger 22 is provided with an attachment member 24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roller 23 and the screen panel 2 to move on the upper sliding rail (21).

상기한 롤러(23)는 이동행거(22)가 상부 슬라이딩레일(21)에 안정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스크린패널(2)을 붙잡아 줄 수 있도록 양측의 이동행거 각각에 한쌍씩 형성되어 있다.The rollers 23 are formed in pairs on each of the moving hangers on both sides so as to hold the screen panel 2 in a state in which the moving hangers 22 are s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liding rail 21.

상기 진열장(1) 내측의 배면 상,하부에는 좌,우 양측에 대칭상으로 한쌍의 상부 고정브라켓(3a)과 한쌍의 하부 고정브라켓(3b)이 각각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한쌍의 하부 고정브라켓(3b)에는 수직상으로 길게 뚫어진 수직장공(31)이 형성되어 있다.A pair of upper fixing brackets 3a and a pair of lower fixing brackets 3b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rear surfaces of the showcase 1 in a symmetrical manner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The bracket 3b is formed with a vertical long hole 31 vertically drilled.

그리고 상기 스크린패널(2)의 이면 상,하부에도 좌,우 양측에 대칭을 이루는 한쌍의 상부 가동브라켓(2a)과 한쌍의 하부 가동브라켓(2b)이 각각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한쌍의 하부 가동브라켓(2b)에도 수직상으로 길게 뚫어진 수직장공(25)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air of upper movable brackets 2a and a pair of lower movable brackets 2b, which are symmetrical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fixedly attached to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creen panel 2, respectively. The movable bracket 2b is also formed with a vertical long hole 25 vertically long.

상기한 스크린패널(2)은 한쌍의 전후진 메인프레임(4a)과 한쌍의 전후진 보조프레임(4b)에 의하여 전후진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한쌍의 전후진 메인프레임(4a)과 한쌍의 전후진 보조프레임(4b)들은 서로 "X"자형으로 교차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그 교차되는 부분이 하나의 중앙힌지축(4)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으며, 한쌍의 전후진 메인프레임(4a)의 상단은 스크린패널(2)의 이면 상부 양측에 부착되어 있는 한쌍의 상부 가동브라켓(2a)에 힌지핀(부호 생략)으로 부착되어 제자리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 하단은 진열장(1)의 배면 하부 양측에 부착되어 있는 한쌍의 하부 고정브라켓(3b)에 힌지핀(부호 생략)으로 부착되어 수직장공(31)을 따라 상,하로 이동 및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The screen panel 2 is installed to enabl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by a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mainframes 4a and a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auxiliary frames 4b, and for this purpose, a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mainframes 4a and The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auxiliary frames 4b are install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crossing portions are rotatably connected to both ends of one central hinge shaft 4 while being installed to cross each other in an “X” shape. The upper end of the main main frame 4a is attached to a pair of upper movable brackets 2a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screen panel 2 by hinge pins (not shown) and is rotatably connected in place. The lower end is attached to a pair of lower fixing brackets 3b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rear side of the showcase 1 by hinge pins (not shown), and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long hole 31 so as to be moved upward and downward. .

그리고 한쌍의 전후진 보조프레임(4b)의 상단은 진열장(1)의 배면 상부 양측에 부착되어 있는 한쌍의 상부 고정브라켓(3a)에 힌지핀으로 부착되어 제자리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 하단은 스크린패널(2)의 이면 하부 양측에 부착되어 있는 한쌍의 하부 가동브라켓(4b)에 힌지핀으로 부착되어 수직장공(25)을 따라 상,하로 이동 및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And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auxiliary frame (4b) is attached to the pair of upper fixing brackets (3a)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rear side of the showcase (1) by hinge pins are connected in a rotatable position. The hinge is attached to the pair of lower movable brackets 4b attached to both lower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screen panel 2 by hinge pins so as to be movable and rotated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long holes 25.

상기한 한쌍의 하부 고정브라켓(3b) 사이에는 수평상으로 작동지지대(5)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한 작동지지대(5)의 양단은 한쌍의 전후진 메인프레임(4a) 각각의 하단과 함께 한쌍의 하부 고정브라켓(3b)의 수직장공(31)을 관통하는 힌지핀에 의하여 부착되므로서 상기한 작동지지대(5)도 수직장공(31)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Between the pair of lower fixing brackets 3b, an operating support 5 is horizontally installed, and both ends of the operating support 5 are paired with the lower ends of each of the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mainframes 4a. It is attached by a hinge pin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long hole 31 of the lower fixing bracket (3b) of the operating support (5) is also installed in a structure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long hole (31).

상기 작동지지대(5)의 하측으로서 진열장(1)의 배면 하부측에 상,하로 고정 설치된 상,하부 베어링하우징(6a)(6b)에 회전가능하게 수직회전축(6)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수직회전축(6) 상단의 수나사부(61)는 작동지지대(5)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암나사공(도시 생략)을 관통하는 상태로 나사조립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수직회전축(6)의 하단에는 연동베벨기어(62)가 설치되어 있다.The vertical rotation shaft 6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bearing housings 6a and 6b installed up and down and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case 1 as the lower side of the operation support 5. The male screw portion 61 at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shaft 6 is screwed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a female screw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operating support 5, an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rotating shaft 6, an interlocking bevel. The gear 62 is provided.

상기 진열장(1)의 하부틀체(12) 중간부분에 전,후방을 향해 수평상으로 길게 설치되는 구동축(7)의 양측은 하부틀체(12)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전,후방 베어링 하우징(7a)(7b)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7)의 후단에는 상기한 연동베벨기어(62)와 직각상으로 치합되는 구동베벨기어(71)가 축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7)의 전단에는 수동핸들(H)의 결착봉 끝단에 끼움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4각형이나 6각형 등으로 된 피회전단부(72)가 형성되어 있다.Both sides of the drive shaft 7, which are horizontally elongated horizontally toward the front and rear in the middle of the lower frame body 12 of the showcase 1, are fix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frame body 12. A driving bevel gear 71 is rotatably supported at 7b, and at the rear end of the driving shaft 7 is engaged with the interlocking bevel gear 62 at right angles. The front end is formed with a rotating end portion 72 made of a quadrilateral or a hexagonal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binding rod of the manual handle (H)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한편, 상기 하부틀체(12)의 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하부 점검도어(121)이 경첩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하부 점검도어(121)에는 열쇠(Key)로 괘,해정할 수 있는 자물쇠뭉치(부호 생략)가 장착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inspection door 121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on the front of the lower frame body 12 is attached to the hinge, and the lower inspection door 121 is locked with a key (Key), It is equipped with a block of locks (not shown).

본 발명의 특징은, 진열장(1)의 일측(도면상 좌측)에 분할 형성된 개폐유리문(14)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있다.It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for moving forward and backward so as to open and close the open / close glass door 14 formed on one side (left side in the drawing) of the showcase 1.

상기 개폐유리문(14)을 개폐작동이 가능하도록 전,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시켜주기 위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It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device for moving the opening and closing the glass door 14 a certain distance to the front, rear to enabl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상기 하부틀체(12) 중간부분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 전,후측 베어링 하우징(8a)(8b)에는 풀리구동축(8)의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풀리구동축(8)의 전단에는 전측 베어링하우징(8a)의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수동핸들(H)의 결착봉 끝단에 착탈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각형의 피회전단부(81)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풀리구동축(8)의 중간부분에는 타이밍 구동풀리(82)가 축착되어 있다.Both sides of the pulley drive shaft 8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front and rear bearing housings 8a and 8b installed i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middle of the lower frame body 12, and the front side of the pulley drive shaft 8 is supported by the front side. Protruding to the front side of the bearing housing (8a)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binding rod of the manual handle (H) to form a rotational end portion 81 to receive a rotational force, and also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pulley drive shaft (8) The timing drive pulley 82 is condensed.

상기 타이밍 구동풀리(82)의 직상방으로서 상기 하부틀체(12)의 중간부분 상단에는 풀리하우징(9)이 고정설치되어 있는데, 상기한 풀리하우징(9)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틀체(12)의 좌측 상단 모서리부분과, 상부틀체(11)의 좌측 하단 모서리부분 그리고 상부틀체(11)의 하단 중간부분 각각에 하나씩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상,하부틀체(11)(12) 각각에 2개씩 설치된 풀리하우징(9)들의 설치갯수는 총 4개가 된다.A pulley housing 9 is fixedly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lower frame body 12 directly above the timing drive pulley 82, and the pulley housing 9 has a lower portion as shown in FIG.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frame body 12, the lower left corner of the upper frame body 11 and the lower middle portion of the upper frame body 11 is fixedly installed one by one, the upper, lower frame body 11 ( 12)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the pulley housings 9 installed in each of two is a total of four.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부틀체(12)와 상부틀체(11) 각각에 설치된 풀리하우징(9)들 각각에는 제1 내지 제4 타이밍 더블풀리(9a,9b,9c,9d)가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제1 내지 제4 타이밍 더블풀리 각각에는 그 축중심을 관통하는 암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암나사공에는 전후진 작동나사봉이 나사조립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구성을 도 3의 도시예로 설명한다. 도 3의 도시는 상,하부틀체(11)(12)의 중간부분을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하부틀체(12)에 설치된 풀리하우징(9)에는 제1 타이밍 더블풀리(9a)가 베어링(부호 생략)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타이밍 더블풀리(9a)의 축중심에 형성된 암나사공에는 전후진 작동나사축(91a)이 나사조립되어 있는데, 상기한 전후진 작동나사축(91a)의 양단은 풀리하우징(9)의 전,후 양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그 전단은 제1 타이밍 더블풀리(9a)에서부터 제2 타이밍 더블풀리(9b)까지 수평상으로 길게 설치되는 하부 사각봉(92a)의 일단(도 2를 기준하여 좌측)에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또 상기한 하부 사각봉(92a)의 일단에는 풀리하우징(9)을 향해 전방스토퍼(93)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전후진 작동나사축(91a)의 후단에는 풀리하우징(9)을 향해 후방스토퍼(94)가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한 전,후방스토퍼(93)(94)는 전후진 작동나사축(91a)의 전,후진 작동거리를 제어하는 작용을 담당한다.The first to fourth timing double pulleys 9a, 9b, 9c, and 9d are provided in each of the pulley housings 9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body 12 and the upper frame body 11, respectively.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to fourth timing double pulleys is formed with a female thread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haft, and the female screw hole is screw-assembled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configuration thereof is illustrated in FIG. Explai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iddle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frame bodies 11 and 12 in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pulley housing 9 provided in the lower frame body 12, a first timing double pulley 9a is bearing (symbol).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ng screw shaft 91a is screwed into the female threaded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timing double pulley 9a. Both ends of the lower part 91a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ulley housing 9, and the front end thereof is horizontally extended from the first timing double pulley 9a to the second timing double pulley 9b horizontally long. It is fixedly attached to one end (left side with reference to FIG. 2) of the rod 92a, and the front stopper 93 protrudes toward the pulley housing 9 at one end of the lower square bar 92a. In addition, the rear stopper 94 protrudes toward the pulley housing 9 at the rear end of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ng screw shaft 91a, and the front and rear stoppers 93 and 94 are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ng screw shaft ( It is responsible for controlling the forward and backward working distance of 91a).

그리고 상기 하부틀체(12)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된 풀리하우징(9)에 설치되는 제2 타이밍 더블풀리(9b)의 축중심에 형성된 암나사공에도 전후진 작동나사축(91b)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의 전후진 작동나사축(91b)의 전단에는 상기한 하부 사각봉(92a)의 타단(도 2를 기준하여 우측)에 고정부착되어 있고 또 하부 사각봉(92a)의 타단에도 전방스토퍼가 풀리하우징(9)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의 전후진 작동나사축(91b)의 후단에도 풀리하우징(9)을 향해 돌출된 후방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ng screw shaft 91b is also installed in the female thread hole formed in the shaft center of the second timing double pulley 9b installed at the pulley housing 9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lower frame body 12. The front end of the forward and backward working screw shaft 91b is fixedly attached to the other end (right side of FIG. 2) of the lower square bar 92a, and the front stopper is pulley housing on the other end of the lower square bar 92a. The rear stopper which protrudes toward (9) and protrudes toward the pulley housing 9 is provided also in the rear end of the said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screw shaft 91b.

도 3에 도시된 상부틀체(11)의 중간부분에 설치된 풀리하우징(9)에도 제4 타이밍 더블풀리(9d)가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의 제4 타이밍 더블풀리(9d)의 축중심에도 전후진 작동나사축(91d)가 나사조립되어 있으며, 상기의 전후진 작동나사축(91d)의 전단에도 상부 사각봉(92b)이 고정설치되는데, 상기한 상부 사각봉(92b)은 그 일단이 전후진 작동나사축(91d)의 전단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부틀체(11)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된 풀리하우징(9)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3 타이밍 더블풀리(9c)의 축중심에 나사조립되어 있는 전후진 작동나사축(91c)의 전단에 고정부착되는 구조로서 수평 설치되어 있다.A fourth timing double pulley 9d is rotatably installed by a bearing in the pulley housing 9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frame body 11 shown in FIG. 3, and the fourth timing double pulley 9d is described above. The forward and backward working screw shaft 91d is screw-assembled at the center of the shaft, and the upper square bar 92b is fixedly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forward and backward working screw shaft 91d. The center of shaft of the third timing double pulley 9c, which is freely rotatable in the pulley housing 9 provided at the corner of the upper frame 11, with one end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forward and backward working screw shaft 91d. It is installed horizontally as a structure fixedly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forward and backward working screw shaft 91c, which is screwed on.

그리고 상기한 상부 사각봉(92b)의 양단에도 풀리하우징(9)을 향해 전방스토퍼(93)가 돌출되어 있으며, 또 전후진 작동나사축(91c)(91d)의 후단에도 풀리하우징을 향해 돌출되는 후방스토퍼(94)가 형성되어 있다.The front stopper 93 protrudes toward the pulley housing 9 at both ends of the upper square bar 92b, and also protrudes toward the pulley housing at the rear end of the forward and backward working screw shafts 91c and 91d. The rear stopper 94 is formed.

상기한 상,하부 사각봉(92b)(92a) 각각에는 개폐유리문(14)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용 바퀴(95)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한 지지용 바퀴(95)들은 그들의 고정축(951)들이 상,하부 사각봉(92b)(92a)에 고정상태로 부착된 상태에서 상,하부지지틀(141)(142) 각각에 형성된 안내레일(143)(144)에 삽입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지지용 바퀴(95)들은 각 안내레일(143)(144)에 수평상으로 일정간격(150mm 정도)을 유지한 채 다수개씩 설치되어 있다.Each of the upper and lower square bars 92b and 92a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wheels 95 for supporting the opening and closing glass doors 14, respectively. 951 are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s 143, 144 formed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frames 141, 142 in a state where they are fixedly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quare bars 92b, 92a. In addition, the support wheels 95 are installed on the plurality of guide rails 143 and 144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about 150mm) horizontally.

상기에서 개폐유리문(14)의 상,하부 지지틀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용 바퀴(95)들은 캠프로와 베어링이 사용된다.The support wheels 95 for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support fram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glass door 14 are camp furnaces and bearings.

상기와 같이 하부틀체(12)에 설치된 타이밍 구동풀리(82)의 회전력을 하부틀체(12)와 상부틀체(11) 각각에 설치된 제1 내지 제4 타이밍 더블풀리(9a∼9d)에 전달하기 위하여 타이밍벨트가 사용되는데, 상기한 타이밍 구동풀리(82)와 제1 타이밍 더블풀리(9a)는 구동타이밍벨트(83)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타이밍 더블풀리(9a)(9b)는 제1 연동타이밍벨트(96a)에 의해 연결되고, 제2 및 제3 타이밍 더블풀리(9b)(9c)는 제2 연동타이밍벨트(96b)에 의해 연결되고, 제3 및 제4 타이밍 더블풀리(9c)(9d)는 제3 연동타이밍벨트(96c)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transfe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iming drive pulley 82 provided in the lower frame body 12 to the first to fourth timing double pulleys 9a to 9d provided in the lower frame body 12 and the upper frame body 11, respectively. The timing belt is used. The timing driving pulley 82 and the first timing double pulley 9a are connected to the driving timing belt 83, and the first and second timing double pulleys 9a and 9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ed by the first interlocking timing belt 96a, the second and third timing double pulleys 9b and 9c are connected by the second interlocking timing belt 96b, and the third and fourth timing double pulleys ( 9c) and 9d are connected by the third interlocking timing belt 96c.

그리고 상기 진열장(1)의 하부틀체(14)의 내부 좌,우측에는 진열장 내부의 습도를 조절해주는 조습제를 수납하는 조습제 박스(부호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And insid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frame 14 of the showcase (1) is provided a humectant box (not shown) for storing a humectant to control the humidity in the showcase.

한편, 상기에서는 스크린패널(2)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축(7)과, 개폐유리문(14)을 개폐시키기 위하여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풀리구동축(8)을 수동핸들(H)로 회전작동시키는 것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하부틀체(12) 내부에 별도로 모터(도시 생략)을 설치하고 그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축(7) 및 풀리구동축(8)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스크린패널(2) 및 개폐유리문(14)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의 모터를 원격조정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스크린패널(2) 및 개폐유리문(14)의 전,후 이동작동이 매우 쉽고 간편해진다.Meanwhile, in the above, the driving shaft 7 for moving the screen panel 2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pulley driving shaft 8 for moving forward and backward to open and close the open / close glass door 14 are manually operated (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shaft is operated by rotating the drive shaft 7 and the pulley driving shaft 8 by using a motor (not shown) separately and using the power of the motor. It is also possible to move the screen panel 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glass door 14 forward and backward by means of rotating in the direction, and the screen panel 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when the motor can be operated by remote control.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peration of the glass door 14 becomes very easy and simpl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진열장(1) 내부에 글씨, 그림, 회화 등의 문화재를 설치 및 전시하기 위해서는 진열장(1)의 전면 유리문을 열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진열장(1)의 전면 전체를 노출시키지 않고 일부에 해당하는 개폐유리문(14)만 개폐시키는 수단으로 문화재를 설치 및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order to install and display cultural properties such as letters, paintings, paintings, etc., the front glass doors of the showcase 1 must be ope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and closing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display case 1 are not exposed. It is configured to install and replace the cultural property as a means of opening and closing only the glass door (14).

상기 개폐유리문(14)을 열고자 할 때에는 먼저, 도 4의 도시에 보여주고 있는 바와 같이 하부틀체(14)의 전면을 커버하고 있는 하부 점검도어(121)에 장착된 자물쇠뭉치를 열쇠(Key)로 해정하여 도 5의 도시와 같이 하부 점검도어(121)를 열고 수동핸들(H)의 결착봉을 풀리구동축(8) 전단에 형성된 피회전단부(81)에 결합시킨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핸들(H)을 좌 또는 우로 수동회전시켜서 풀리구동축(8)을 회전시키게 되면 이에 따라 타이밍 구동풀리(82)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구동풀리(82)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구동타이밍벨트(83)에 의하여 제1 타이밍 더블풀리(9a)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제1 타이밍더블풀리(9a)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력이 제1 내지 제3 연동타이밍벨트(96a,96b,96c)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제3,제4 타이밍 더블풀리(9b,9c,9d)에 순차적으로 동일한 회전비로 전달되는 상태가 된다.When opening the opening and closing glass door 14, first, as shown in Figure 4, the lock assembly mounted on the lower inspection door 121 covering the front of the lower frame 14, the key (Key) As shown in FIG. 5, the lower inspection door 121 is opened and the binding rod of the manual handle H is coupled to the rotational end 81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pulley driving shaft 8, as shown in FIG. 5.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ulley driving shaft 8 is rotated by manually rotating the manual handle H left or right, the timing driving pulley 82 rotates accordingly, and the driving timing belt rotates when the driving pulley 82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first timing double pulley 9a also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by 83. When the first timing double pulley 9a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rotational force is first to third interlocking timing belts 96a. 96b, 96c) continuously connected Second, third and fourth is in a state to be transmitted to the same rotation rate in order to double the timing pulley (9b, 9c, 9d).

상기와 같이 제1 내지 제4 타이밍 더블풀리(9a,9b,9c,9d)들이 동일한 회전비로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되면 그들의 각 축중심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나사조립된 전후진 작동나사축(91a)(91b)들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수동핸들(H)의 회전방향은 전후진 작동나사축(91a)(91b)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켰기 때문에 상기의 제1 내지 제4 타이밍 더블풀리들 각각에 나사조립되어 있는 각 전후진 작동나사축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전후진 작동나사축들의 이동거리는 후방스토퍼(94)가 풀리하우징(9)에 닿을 때까지 이동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to fourth timing double pulleys 9a, 9b, 9c, and 9d are rotated in place at the same rotation ratio,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ng screw shafts 91a screwed to the female threads formed at their respective shaft centers ( 91b) are moved forward or backward, where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anual handle (H)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ng screw shaft (91a) (91b) moves forward, the first to fourth timing Each of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ng screw shafts, which are screwed to each of the double pulleys, moves forward as shown in FIG. 6, wherein the moving distance of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ng screw shafts is the rear stopper 94 by the pulley housing 9. Until it reaches).

상기와 같이 전후진 작동나사축(91a)(91b)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에 따라 상,하부측의 전후진 작동나사축(91a)(91b) 각각의 전단에 수평상으로 부착되어 있는 상,하부 사각봉(92a)(92b)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또한 상,하부 사각봉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는 다수의 지지용 바퀴(95)들이 개폐유리문(14)으로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된 개폐유리문(14)은 고정유리문(13) 및 진열장(1)의 일측(도 1을 참조할 때 좌측) 측벽의 전단면에서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벗어나게 되므로서 측방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한 개폐유리문(14)은 다수의 지지용 바퀴(95)에 지지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개방되는 개폐유리문(14)에는지지용 바퀴(95)에 안전하게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폭만큼만 열릴 수 있게 하는 개방제어장치(도시 없음)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개폐유리문(1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부분이 수개의 지지용 바퀴(95)에 지지된 상태로 열리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ng screw shafts 91a and 91b move forward, the upper and lower forward and backward operating screw shafts 91a and 91b are horizontally attached to the front ends of the upper and lower operating screw shafts 91a and 91b. The lower square bars 92a and 92b are also moved forward, and the plurality of support wheels 95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quare bar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e moved forward to the opening and closing glass door 14. In this way, the front and rear glass door 14 is moved to the front side of the fixed glass door 13 and one side (left side when referring to Figure 1) side wall of the showcase 1 is moved to the front side to be released laterally The opening and closing glass door 14 is made to be smoothly sliding in a state supported by a plurality of support wheels 95, the support wheels 95 in the opening and closing glass doors 14 to be opened. To stay securely supported Since the opening control device (not shown) which can be opened only by the width of the opening is mounted, the opening / closing glass door 14 is opened with the right part supported by several supporting wheels 95 as shown in FIG. 7.

상기와 같이 개폐유리문(14)을 개방작동시킨 상태에서 문화재를 진열장(1) 내부에 설치된 스크린패널(2)의 전면에 설치하는데, 이때 스크린패널(2)은 전시하고자 하는 문화재의 크기에 따라 그 설치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즉, 문화재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스크린패널(2)을 전면에 멀어진 위치로 이동시켜서 설치해야만 관람객으로 하여금 한눈에 문화재 전체를 바라볼 수 있는 반면에, 문화재의 크기가 작으면 작을수록 전면에서 가까운 위치로 이동시켜서 설치해야 문화재를 뚜렷하게 관람할 수 있다.The cultural property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screen panel 2 installed inside the showcase 1 in the state of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glass door 14 as described above, wherein the screen panel 2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ultural property to be displayed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installation position. In other words, the larger the cultural assets, the larger the screen panel (2) to move away from the front to install the visitors can see the entire cultural assets at a glance, the smaller the cultural assets the smaller the position closer to the front Move to and install it so you can clearly see the cultural assets.

따라서 전시하고자 하는 문화재의 크기에 따라 스크린패널(2)의 설치위치를 조정하고자 할 때에는 하부틀체(12)의 하부 점검도어(121)를 열고 수동핸들(H)의 결착봉을 구동축(7)의 전단에 형성된 피회전단부(72)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수동핸들(H)을 좌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스크린패널(2)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서 스크린패널(2)의 설치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order to adjus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creen panel 2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ultural property to be displayed, open the lower inspection door 121 of the lower frame body 12 and open the binding rod of the manual handle H of the driving shaft 7. When the manual handle (H) is rotated to the left or right in a state in which it is coupled to the to-be-rotated end portion (72) formed at the front end, the screen panel (2) is moved forward or rearward and thu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creen panel (2) is changed. You can adjust i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글씨, 그림, 회화 등을 보관 및 전시하는 진열장의 전면 유리문을 고정유리문과 개폐유리문으로 분리 구성하여 일측 개폐유리문만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문화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전시하고자 하는 문화재의 크기에 따라 스크린패널의 설치위치를전면 유리문에 가까운 위치 또는 먼 위치에 설치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관람객으로 하여금 전시된 문화재를 편하고 정확하게 관람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져다주는 유용한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glass door of the showcase for storing and displaying letters, drawings, paintings, etc. can be separated into a fixed glass door and an open glass door to open and close only one side of the glass door can be managed cultural assets more efficientl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ultural property to be exhibite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creen panel can be adjusted to be located near or far away from the front glass door, which brings the effect of allowing visitors to easily and accurately view the exhibited cultural property. It is a useful invention.

Claims (3)

박물관의 벽면에 매입되게 설치되는 상,하,좌,우면 및 배면은 불투명한 상태로 제작되고, 벽면으로부터 노출되게 설치되는 전면은 내부가 투시되는 유리문으로 제작하여 내부에 진열된 문화재를 관람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진열장에 있어서,The top, bottom, left, right and back sides installed to be embedded on the wall of the museum are made opaque, and the front surface exposed to the walls is made of glass doors that allow the inside to be viewed so that visitors can view the cultural assets displayed inside. In the configured showcase, 상기 진열장의 전면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유리문과;A fixed glass door fixed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ront of the showcase; 상기 진열장의 전면 타측에 미닫이식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유리문과;An opening / closing glass door installed on the other front side of the showcase in a sliding manner; 상기 진열장의 하부틀체 내부의 하측에 전,후방에 서로 마주하게 고정설치된 전,후측 베어링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설치되며, 전단에는 수동핸들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피회전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풀리구동축과;Pulley driving shaft is installed horizontally rotatably in the front and rear bearing housing fixed to the front and rear facing each other i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frame of the showcase, the front end is formed to be rotated by a manual handle and; 상기 풀리구동축에 설치되어 있는 타이밍 구동풀리와;A timing driving pulley installed on the pulley driving shaft; 상기 타이밍 구동풀리의 직상방에 고정설치된 풀리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채 구동타이밍벨트에 의하여 타이밍 구동풀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자리에서 회전작동하는 제1 타이밍 더블풀리와;A first timing double pulley which receives rotational force from a timing driving pulley by a driving timing belt while being rotatably installed in a pulley housing fixedly installed above the timing driving pulley to rotate in place; 상기 제1 타이밍 더블풀리와 수평을 이룬 채 하부틀체의 일측 모서리부분 상단에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타이밍 더블풀리와;A second timing double pulley rotatably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one side edge portion of the lower frame body in parallel with the first timing double pulley; 상기 제2 타이밍 더블풀리의 직상방으로서 상기 진열장의 상부틀체 일측 모서리부분에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타이밍 더블풀리와;A third timing double pulley rotatably installed in place at one corner of the upper frame body of the showcase as directly above the second timing double pulley; 상기 제3 타이밍 더블풀리와 수평을 이룬 채 상부틀체의 중간부분에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 타이밍 더블풀리와;A fourth timing double pulley rotatably installed in a middle portion of the upper frame body in parallel with the third timing double pulley; 상기 타이밍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제1 내지 제4 타이밍 더블풀리 각각에 전달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각 더블풀리에 순차적으로 연결설치되는 제1 내지 제3 연동타이밍벨트와;First to third interlocking timing belts sequenti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double pulleys so as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of the timing driving pulleys to each of the first to fourth timing double pulleys; 상기 제1 내지 제4 타이밍 더블풀리 각각의 축중심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양단이 돌출된 상태로 나사조립되어 상기한 각 더블풀리의 정,역 회전에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다수의 전후진 작동나사축과;A plurality of forward and backward operating screws that are screwed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protrude into female thread holes formed at the shaft center of each of the first to fourth timing double pulleys and move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respective double pulleys. Axles; 상기 개폐유리문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지지틀과 제3, 제4 타이밍 더블풀리 사이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상부 사각봉과;An upper square bar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upper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glass door and the third and fourth timing double pulleys; 상기 개폐유리문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지지틀과 제1, 제2 타이밍 더블풀리 사이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하부 사각봉과;A lower square bar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lower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glass door and the first and second timing double pulleys; 상기 상,하부 사각봉 각각에 일정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축들 각각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채 개폐유리문의 상,하부지지틀의 안내레일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어 개폐유리문의 상,하단을 지지하는 다수의 상,하부 지지용 바퀴;The rotatable glass doors are rotatably inserted into guide rails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frames of the open and close glass doors while being rotatably attached to the front ends of the plurality of fixed shaft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square bar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support wheels supporting upper and lower ends;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Wall mounted display case for cultural property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is configured to inclu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수의 전후진 작동나사축들 각각의 후단에는 전진이동을 제어하도록각 더블풀리를 향해 돌출되는 후방스토퍼와, 상기 상,하부 사각봉 각각에는 후진이동을 제어하도록 각 더블풀리를 향해 돌출되는 전방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A rear stopper protrudes toward each double pulley to control forward movement at the rear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orward and backward operating screw shafts, and a front protrude toward each double pulley to control backward movement to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quare rods. A wall-mounted showcase for displaying cultural assets, comprising a stopp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개폐유리문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풀리구동축을 모터로 회전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재 전시용 벽부 매입형 진열장.Wall recessed display case for cultural property exhibi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rotating the pulley drive shaft for moving the opening and closing the glass door forward and backward by a motor.
KR10-2002-0061980A 2002-10-11 2002-10-11 Display case for cultural assets KR1004671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980A KR100467158B1 (en) 2002-10-11 2002-10-11 Display case for cultural asse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980A KR100467158B1 (en) 2002-10-11 2002-10-11 Display case for cultural asse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090A true KR20040033090A (en) 2004-04-21
KR100467158B1 KR100467158B1 (en) 2005-01-29

Family

ID=37332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980A KR100467158B1 (en) 2002-10-11 2002-10-11 Display case for cultural asse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15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159B1 (en) * 2002-10-11 2005-01-24 주식회사 시공테크 Display case for cultural asse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863Y1 (en) 2013-09-12 2013-11-11 홍석준 wall type showcas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5169B2 (en) * 1989-05-24 1995-06-14 コクヨ株式会社 Exhibition case
JP3150887B2 (en) * 1995-10-30 2001-03-26 株式会社インフニックス Display case
DE19755420A1 (en) * 1997-12-13 1999-06-17 Schwarzkopf Gmbh Hans Agents for treating keratin fibers
JP3353721B2 (en) * 1998-09-29 2002-12-03 コクヨ株式会社 Display case
KR100290573B1 (en) * 1998-12-05 2001-06-01 최종학 Showcase with see-through window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ystem
JP4414527B2 (en) * 1999-12-03 2010-02-10 株式会社岡村製作所 Display case
KR100395339B1 (en) * 2001-09-28 2003-08-27 주식회사 해성 Open and shut device a showcase for slide door
KR200259580Y1 (en) * 2001-10-16 2002-01-09 유재홍 Glass door automatic switchgea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159B1 (en) * 2002-10-11 2005-01-24 주식회사 시공테크 Display case for cultural ass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7158B1 (en) 200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7159B1 (en) Display case for cultural assets
KR100467158B1 (en) Display case for cultural assets
KR100187643B1 (en) An airtight showcase for the cultural assets display
KR20050030247A (en) Showcase with 5 sides glass for cultural assets
JP4008769B2 (en) Exhibition equipment
KR100616763B1 (en) Airtight showcase for exhibiting cultural assets
KR100395339B1 (en) Open and shut device a showcase for slide door
KR100469992B1 (en) Display case for cultural assets
KR100485693B1 (en) Showcase
KR100615012B1 (en) Apparatus for Open/Close of show window
KR100566716B1 (en) Showcase with 4 sides glass for cultural assets
KR100475195B1 (en) Airtight display case for cultural assets
CN215738137U (en) All-round perspective multilayer sample show cupboard
US11253084B2 (en) Museum showcase with a rack and pinion drive system for a sliding door
KR100463137B1 (en) Airtight display case for cultural assets
KR100616764B1 (en) Showcase locking apparatus for exhibiting cultural assets
KR100489699B1 (en) Showcase
KR200258193Y1 (en) Open and shut device a showcase for slide door
KR200197983Y1 (en) Revolving showcase
KR200308436Y1 (en) Front screen device of display case
CN219887248U (en) Exhibition partition
CN214711719U (en) Exhibition article suspension exhibition device
KR20040099017A (en) Airtight Showcase
KR200257097Y1 (en) Glass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0317838B1 (en) Lighting device for air-tight show case in cultural ass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