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2165A -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에서의 과도 업로드 트래픽유발자 자동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에서의 과도 업로드 트래픽유발자 자동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2165A
KR20040032165A KR1020020059711A KR20020059711A KR20040032165A KR 20040032165 A KR20040032165 A KR 20040032165A KR 1020020059711 A KR1020020059711 A KR 1020020059711A KR 20020059711 A KR20020059711 A KR 20020059711A KR 20040032165 A KR20040032165 A KR 20040032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excessive
upload
detection
uplink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민모
서범석
Original Assignee
하나로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로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나로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9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2165A/ko
Publication of KR20040032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16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2Network monitoring pro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33Object-oriented techniques, for representation of network management data, e.g. 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COR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04L43/0894Packet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향 채널 폭주 및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에 대한 감시와 검출 기능을 24시간 연속적이고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향 채널 폭주 및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에 대한 감시 및 검출을 연계한 자동 검출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CMTS 장비당 수십개, 국사당 수백여개에 이르는 상향 채널마다의 악성 과도 트래픽 유발자를 감시, 추출하여 해당 리스트를 일괄 자동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안정적 품질 관리 및 신속한 품질 향상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전문적 관리인력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막대한 인력과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에서의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 자동 검출 방법{AUTOMATED DETECTION METHOD OF EXCESSIVE TRAFFIC UPLOADING SUBSCRIBERS IN CABLE BROADBAND INTERNET SERVICE}
본 발명은 케이블 방식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를 자동으로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업로드 트래픽 폭주에 대한 취약성을 고려하여 해당 서비스 가입자망 관리 유용시 전체 망품질에 악영향을 주는 과도 상향(업로드) 트래픽 유발자의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향 채널 폭주 및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에 대한 감시와 검출 기능을 24시간 연속적이고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방식은 케이블망, 즉 CATV용 광동축 혼합망(HFC; Hybrid Fiber and Coaxial) 선로를 이용하여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원래 케이블망은 적은 비용으로 많은 사용자에게 아날로그 비디오 채널을 전송하기 위하여 주로 다운로드 단방향 서비스를 중심으로 설계된 매체이다. 따라서, 종래의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용 케이블망은 다운스트림 전달에 많은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으며, 실제로 54MHz 내지 860MHz에 이르는 대량의 주파수대역은 하향(다운스트림) 전용으로 확보되어 있다.
하지만, 케이블망을 이용한 안정적인 품질의 양방향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적당량의 업스트림 전용 주파수대역폭이 요구되는데, 실제로는 불과 5 내지 42MHz의 작은 범위의 상향 주파수대역이 할당된 상태이며, 이 주파수대역을 통하여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업로드 트래픽이 전송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케이블망을 이용한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는 하향 주파수 자원은 풍족한 반면, 상향 주파수 자원은 부족한 태생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블망이 하향으로는 다방면, 상향으로는 일방면으로 흐르는 트리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동일 서비스 지역 단위라고 할 수 있는 셀(cell)에 속한 전 가입자의 가정내 및 선로상에 유입되는 전기적 잡음이 상방으로 집합하는 형태를 띠게 되어 상향 유입 잡음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향의 부족한 주파수 자원과 전기적 유입 잡음에 취약한 구조를 감안하여,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표준인 DOCSIS(Data Over Cable Service Interface Specification)는 이러한 환경에 알맞은 채널 대역폭과 변조방식 및 전기적 잡음 환경 권고안 등을 마련하고 있으며, 대개의 케이블 서비스는 상향 채널당 주파수 1.6MHz 대역폭 및 QPSK 변조방식을 이용하여 약 2.5Mbps의 업로드 처리량(스루풋)을 제공한다. 한편, 하향 채널당 6MHz 대역폭 및 64QAM 변조방식을 이용하여, 약 27Mbps의 다운로드 처리량(스루풋)을 제공한다.
따라서, 동일 셀에 속한 수십 내지 수백명에 이르는 전체 가입자가 단지 업로드 대역폭 2.5Mbps만을 공유하는 방식이므로, 업로드 트래픽 폭주는 상습적으로 일어날 수 밖에 없는 필연적인 결과이다. 특히, 인터넷 서비스는 주로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서비스 되는데, TCP/IP는 연결 확립(connection oriented) 방식으로서, 데이터 전송시 해당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 송신측이 수신측에서 잘 받았다는 표시로 전송된 ACK(acknowledge) 패킷을 받지 않는 한, 다음 패킷을 전송하지 않는 양방향 전송 확인 방식이므로, 만일 상향 채널에서의 업로드 트래픽 폭주 발생시에는 이러한 TCP/IP 특성상 다운로드 트래픽 전송량을 감소시키는 악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망품질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일부 사용자의 과도한 업로드 트래픽 발생 여부 및 상향 채널 트래픽 자원 상황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망품질에 악영향을 끼치는 경우에는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를 검출하여 별도의 관리를 함으로써 망부하를 줄이는 망관리 기법이 필수적이라하겠다.
종래의 케이블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운용 업무상 과도 업로드 트래픽 발생 가입자를 추출하기 위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한 시스템 운용자의 수작업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즉, telnet 프로토콜 및 그를 지원하는 터미널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MTS(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 등의 서비스 장비로의 접속 후, 자체 운용기준상의 과도 업로드 트래픽 발생 가입자의 고유번호라 할 수 있는 케이블 모뎀의 MAC address를 검출하기 위하여 여러 단계의 수동적인 명령어 입력작업과 그 결과물에 대한 갈무리를 행하는 등의 시스템 운용자의 수작업이 요망된다. 또한 해당 수작업 절차 및 시스템 장비 Vendor별 OS에 따른 관련 명령어를 숙지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Cisco CMTS uBR72XX 기종을 기준으로 할 때, 기존의 시스템 운용방식을 통해 과도 업로드 트래픽 발생 가입자의 CM MAC address를 검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MS-DOS 명령어창 또는 넷텀, 새롬데이터맨 등의 터미널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MTS로 telnet 수동 접속을 한다. 그런 다음, 상기 CMTS의 각 상향 인터페이스의 상향 포트 이용률(Up-Port Utilization)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작업으로 #show interface cable 명령어를 장비당 약 6 내지 24개의 각 상향 포트에 대하여 일일이 입력하여, 현 시점의 상향 포트 트래픽 이용률을 조회하여, 역시 수작업으로 갈무리한다.
그 후, 과도 업로드 트래픽 발생 가입자 추출을 위한 가입자별 트래픽 이용비율의 확인을 위하여, 현시점에서 주기적으로 CMTS 장비 메모리에 자동 입력되어 있는 가입자별 트래픽 이용량 정보를 이용한다. 이 때, #clear counter 명령어를 수동 입력하여 기존의 저장 정보를 삭제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show int cX/0 sid counter 명령어의 수동입력을 통하여 다시 조회함으로써, 가입자별 평균 트래픽 발생량을 파악한다.
최종적으로, 가입자당 단위시간당 평균 업로드 트래픽 발생량을 계산할 때는, 이상의 갈무리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역시 수작업 등을 통하여 input bytes*8/경과시간으로 계산하여 bps 단위로 환산한다.
결국, 상술한 바와 같이 업로드 과도 트래픽 발생 가입자 추출을 목적으로 기존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시스템 운용자의 수작업에 의존하게 되어 노동력과 작업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며, 해당 추출작업 및 악성 가입자에 대한 24시간 연속적인 감시는 사실상 불가능하여, 해당 감시추출 작업이 유휴 시스템 운용인력이 있는 일부 지역국사에 한정되므로, 서비스 지역별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현재로서는, 업로드용 대역폭이 부족한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취약성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악성 가입자 감시에 대한 필요성을 절감하면서도, 업로드 과도 트래픽 유발 가입자에 대한 자동적이고 연속적인 감시 및 추출을 수행하는 자동 시스템은 전무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서비스 운용상, 시스템 운용자의 비연속적이고 수동적인 서비스 장비에 대한 접속 및 명령어 입력, 그리고 출력 결과의 갈무리 등의 수작업 검출 방식을 수행할 필요없이, 별도의 장비를 설치하지 않고도 현재 구축되어 있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용 장비인 CMTS와 CM(케이블 모뎀)에서 제공하는 MIB (Management Information Base)과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이용하여,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를 감시 및 검출하는 성능을 나타내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망의 일반적인 트리(tree)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 검출 흐름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 검출을 위한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질의 순서 및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 검출 흐름도를 나타내고, 도 3은 상기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 검출을 위한 SNMP 질의 순서 및 MIB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2 및 도 3에 표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우선,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를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요구된다. SNMP를 이용하여,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용 장비인 CMTS 및 CM에 대한 질의(Query)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원하는 MIB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먼저 해당 서비스 장비가 SNMP 기능을 지원하여야 하고, 질의자측 특정 IP address 및 특정 SNMP community에 대한 SNMP 접속을 허용하여야 하며, 상기 질의자는 정상적인 SNMP 질의 및 획득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해당 서비스 장비의 IP address 및 SNMP community 그리고 획득하고자 하는 MIB에 대한 OID(Object IDentification) 번호를 인지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의 서비스 장비는 기본적으로 SNMP 및 RFC(Request For Comments) 표준 MIB를 지원하고 있으며, 자체적인 SNMP community와 SNMP 접속이 가능한 IP 대역을 규정함으로써 효율적인 망장비 관리가 가능하도록 설정해 놓고 있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SNMP 질의를 통하여 RFC가 규정한 표준 MIB를 획득함으로써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를 상시 감시하며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정상적인 SNMP 접속 및 질의를 위하여 해당 가입자망 서비스 장치(CMTS)의 IP address, SNMP community를 입력하고(S10), ISP 자체 운용기준에 따라 3가지 검출 기준값, 즉 1. 검출행위를 수행하는 단위시간(A 분), 2. 단위시간당 최대허용 평균 업로드 트래픽 발생량(B bps), 3. 트래픽 폭주로 간주될 수 있는 상향 채널의 트래픽 사용률(C %)를 입력한다(S20).
그런 다음, 본격적으로 해당 서비스 장비(CMTS) 및 이에 수용된 케이블 모뎀(CM)에 대한 SNMP 질의를 수행한다. 해당 CMTS에 연결된 모든 가입자 CM 전체에 대하여 MIB OID 번호 '1.3.6.1.2.1.10.127.1.3.4.1.6'에 대한 SNMP 순차적(GetNext) 질의를 통하여 전체 CM에 대한 IfIndex, SID 및 현재까지의 트래픽 이용량 InOctet값(비트 단위)을 얻고, 상기 3개의 정보를 하나의 배열(IfIndex, SID, InOctet1)에 저장한다(S21). 해당 과정을 전체 모뎀 각각에 대하여 수행하며, 전체 CM에 대한 질의가 한번씩 끝나고 다시 동일한 IfIndex, SID가 동일한 정보가 나오면 해당 프로세스를 중지하고 다음 과정으로 넘어간다.
그 후, 상기 검출 단위시간(A)의 경과를 확인하여(S22), 검출행위를 수행하는 시간간격(A 분)이 지난 후에, 다시 한번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또 다른 하나의 배열(IfIndex, SID, InOctet2)를 저장한다(S23). 이 때, InOctet2-InOctet1은 A 시간동안 해당 가입자가 사용한 업로드 트래픽 총 발생량과 같다. 그런 다음, 단위시간당 업로드 트래픽 발생량이 검출기준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4). 만일, 단위시간당 업로드 트래픽 발생량이 검출기준을 초과하였다면, 즉 서비스 운용기준인 단위시간당 최대허용 평균 업로드 트래픽 발생량 B보다 (InOctet2-InOctet1)/A 이 더 큰 경우, 해당 가입자는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로 일차적으로 분류된다.
그 후, 상기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로 분류된 해당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 케이블 모뎀의 상향 채널 번호를 단순(Get) 질의를 통하여 추출하는데, 우선 해당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 CM의 관련 정보 획득을 위한 CMStatusIndex 번호를 추출하고(S25), 해당 CM의 상향 채널 번호를 추출한다(S25'). 그 다음, 해당 상향 채널의 트래픽 사용률을 상기 단순(Get) 질의를 통하여 추출한다(S26).
다음으로, 상향 채널 트래픽 사용률과 검출 기준(C)을 비교하여, 상향 채널의 폭주 여부를 판단한다(S27). 이는 해당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가 수용된 상향 채널에 트래픽 폭주가 발생하였을 경우, 동일 서비스 단위지역(셀)의 상하향 대역폭 자원을 공유하는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특성상, 동일한 상향 채널에 속한 전 가입자들의 전체 네트워크 품질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해당 상향 채널이 폭주 상태의 조건에 한하여,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를검출하는 프로세스가 요구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과정을 따른다.
일차적으로 검출된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 각각이 수용된 상향 채널의 트래픽 사용률에 있어서, SNMP를 이용하여 운용기준을 초과하는 폭주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는 SNMP 질의를 이용하여 상향 채널 포트의 IfDescr 및 상향 채널 트래픽 사용률을 알아내는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술된 바와 같이 파악된 해당 상향 채널의 트래픽 사용률이 입력된 트래픽 폭주로 간주될 수 있는 상향 채널의 트래픽 사용률(C %)을 초과하는 경우에 한하여, 최종적으로 과도 트래픽 유발자 리스트를 작성하게 된다. 즉, 상기 상향 채널의 폭주 여부를 판단하여, 폭주 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들의 CMStatus_Index와 MAC address를 단순(Get) 질의를 통하여 추출한다(S28).
상기와 같이 작성된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 리스트 및 해당 CM의 MAC address, 평균 업로드 트래픽 발생량, 상향 채널 번호 등은 로그 파일 형식으로 로컬 드라이브에 저장되며,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S29).
상기 과정을 입력된 검출시간간격 A마다 자동 반복 적용하며, 이를 통하여 24시간 내내 과도 트래픽 유발자에 대한 상시 감시와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S3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 자동 검출 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시스템 운용자의 비연속적이고 수동적인 서비스 장비에 대한 접속 및 명령어 입력, 그리고 출력 결과의 갈무리를 수행하던 수작업 검출 방식에서 탈피하여, 별도의 장비 설치 없이 현재 구축되어 있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용 장비인 CMTS와 CM에서 제공하는 MIB 및 SNMP를 이용하여, 과도업로드 트래픽 유발자를 감시 및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별도의 장비 구축 비용 및 노동력 투입 비용없이 24시간 연속적이고 자동적인 감시 및 추출이 가능하며, 아울러 해당 리스트의 로그파일 및 데이터베이스 자동 저장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서비스 운용기준에 맞춰 악성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를 상시 추출, 감시, 관리할 수 있게 되어, 업로드 트래픽용 대역폭 자원이 부족한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망의 안정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만 기술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향 채널 폭주 및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에 대한 감시 및 검출을 연계한 자동 검출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CMTS 장비당 수십개, 국사당 수백여개에 이르는 상향 채널마다의 악성 과도 트래픽 유발자를 감시, 추출하여 해당 리스트를 일괄 자동 작성해줌으로써, 기존 방식과 달리 전문적 관리인력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막대한 인력과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향 채널 폭주 상태를 연계하여 감시함으로써, 트래픽 폭주 다발 상향 채널을 실시간적으로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어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아울러, 과도 트래픽 유발자 리스트의 별도 관리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안정적인 망품질 관리가 가능하고 효율적인 상향 대역폭 자원의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각 서비스 사업자, 국사별로의 과도 트래픽 유발자 검출 기준을 유동적으로 적용,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역 상황 및 운용 기준에 맞는 효율적인 망자원및 가입자 관리가 가능하며, 과도 트래픽 유발자 리스트를 자동으로 로컬 드라이브에 업데이트 해주고, 데이터베이스에 연동해 줌으로써, 가입자 관리 및 객관적인 근거자료 확보를 용이하게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됨으로써, 확장성 측면에서 볼 때 기존의 수작업 업무체계보다도 훨씬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더 나아가,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와 상향 채널 폭주를 연계한 감시 및 검출 기능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고, 이를 통해 악성 유발자 및 폭주 다발 상향 채널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검출 결과의 신뢰성 및 객관성을 매우 높일 수가 있으며, 가입자별 업로드 트래픽 유발 패턴 또한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9)

  1.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에서의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 자동 검출 방법에 있어서,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가입자의 케이블 모뎀 정보를 SNMP 질의를 이용하여 수집하는 단계;
    서비스 운용 기준상의 검출 기준값들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케이블 모뎀 정보를 이용하여, 전 케이블 모뎀의 검출 단위 시간 직후의 트래픽 발생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 모뎀이 수용되어 있는 상향 채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 모뎀의 상향 채널의 트래픽 사용률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래픽 발생량과 상기 트래픽 사용률을 이용하여, 과도 트래픽 유발자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 자동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모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에서의 케이블 모뎀 정보는 케이블 인터넷 서비스 가입자의 케이블 모뎀의 트래픽 발생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 자동 검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모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에서의 케이블 모뎀 정보는 상향 채널 상태 정보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 자동 검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운용 기준상의 검출 기준값들을 입력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검출 기준값은 검출 수행 단위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 자동 검출 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운용 기준상의 검출 기준값들을 입력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검출 기준값은 가입자별 허용된 평균 업로드 트래픽 발생량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 자동 검출 방법.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운용 기준상의 검출 기준값들을 입력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검출 기준값은 상향 채널 폭주 여부를 판정하는 상향 채널 사용률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 자동 검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발생량과 상기 트래픽 사용률을 이용하여 과도 트래픽 유발자를 검출하는 단계는, 자체적 운용기준상 폭주 상태에 한하여 과도 트래픽 유발자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 자동 검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발생량과 상기 트래픽 사용률을 이용하여 과도 트래픽 유발자를 검출하는 단계 이후에, 해당 과도 트래픽 유발자 리스트와 검출 결과를 자동으로 작성 및 저장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업로드 트래픽 유발자 자동 검출 방법.
  9.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가입자별 업로드 트래픽 발생량 실측 방법에 있어서,
    해당 서비스 장비(CMTS)에 연결된 모든 가입자의 케이블 모뎀(CM) 전체에 대하여 MIB OID 번호에 대한 SNMP 순차적 질의를 하는 단계;
    상기 SNMP 순차적 질의를 통하여, 전체 CM별로 IfIndex, SID 및 현재까지의 트래픽 이용량 InOctet값을 얻는 단계;
    상기 정보를 동일 배열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및
    검출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단계들을 다시 반복하여, 단위 검출 시간 동안의 가입자별 업로드 트래픽 발생량을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가입자별 업로드 트래픽 발생량 실측 방법.
KR1020020059711A 2002-10-01 2002-10-01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에서의 과도 업로드 트래픽유발자 자동 검출 방법 KR20040032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711A KR20040032165A (ko) 2002-10-01 2002-10-01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에서의 과도 업로드 트래픽유발자 자동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711A KR20040032165A (ko) 2002-10-01 2002-10-01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에서의 과도 업로드 트래픽유발자 자동 검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165A true KR20040032165A (ko) 2004-04-17

Family

ID=37332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711A KR20040032165A (ko) 2002-10-01 2002-10-01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에서의 과도 업로드 트래픽유발자 자동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21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900B1 (ko) * 2006-12-07 2008-05-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동축 혼합망의 케이블 모뎀 종단 장치
KR100849389B1 (ko) * 2006-12-06 2008-07-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채널 결합 방식을 사용하는 케이블 망에서 상향 데이터서비스 플로우 분류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2752A (ja) * 1982-12-20 1984-06-29 Nec Corp 自動トラヒツク負荷制御方式
KR930015917A (ko) * 1991-12-30 1993-07-24 경상현 실시간으로 특정 출중계 루트의 트래픽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
KR20000018509A (ko) * 1998-09-02 2000-04-06 이계철 탑-다운(top-down)방식의 통신망 장애관리 방법
KR20000034472A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케이블모뎀의 하향 채널 과부하 제어방법
KR20030006094A (ko) * 2001-07-11 2003-01-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케이블 모뎀 종단 시스템에서의 장애발생 감시방법
KR20030068231A (ko) * 2002-02-14 2003-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 모뎀의 소프트웨어 자동 원격 업그레이드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2752A (ja) * 1982-12-20 1984-06-29 Nec Corp 自動トラヒツク負荷制御方式
KR930015917A (ko) * 1991-12-30 1993-07-24 경상현 실시간으로 특정 출중계 루트의 트래픽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
KR20000018509A (ko) * 1998-09-02 2000-04-06 이계철 탑-다운(top-down)방식의 통신망 장애관리 방법
KR20000034472A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케이블모뎀의 하향 채널 과부하 제어방법
KR20030006094A (ko) * 2001-07-11 2003-01-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케이블 모뎀 종단 시스템에서의 장애발생 감시방법
KR20030068231A (ko) * 2002-02-14 2003-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 모뎀의 소프트웨어 자동 원격 업그레이드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389B1 (ko) * 2006-12-06 2008-07-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채널 결합 방식을 사용하는 케이블 망에서 상향 데이터서비스 플로우 분류 방법
KR100831900B1 (ko) * 2006-12-07 2008-05-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동축 혼합망의 케이블 모뎀 종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9630B2 (en) Topology discovery in broadband networks
EP1021888B1 (en) Fault location and performance testing of communication networks
US8934349B2 (en) Multiple media fail-over to alternate media
US7986632B2 (en) Proactive network analysis system
US7126920B2 (en) Performance of lifetest using CMTS as a proxy
WO2002077808A2 (en) Broadband communications
CA2475472A1 (en) Simulating user activity in a broaband network
CN102138301A (zh) 合理使用管理方法和系统
CN105791004A (zh) 一种直接用oam管理光接收机的系统及方法
JP2012249138A (ja) パケット捕捉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40032165A (ko)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에서의 과도 업로드 트래픽유발자 자동 검출 방법
KR101338485B1 (ko) 대형 아이피망에서의 서비스 종류별 품질관리 방법 및시스템
KR100429160B1 (ko) 에스앤엠피브이 알엠오엔을 이용한 초고속망의 네트웍성능 및 표준 관리장치
KR101860464B1 (ko) 영상 및 방송 기반 이종 플랫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57599B1 (ko) 케이블 모뎀 종단 시스템의 자원 분산 방법과 이를 이용한케이블 모뎀의 데이터 전송량 확인 방법
KR20040058373A (ko) 케이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품질관리를 위한 네트웍스루풋 및 snmp를 이용한 hfc망 품질영향요소의동시 연동 측정 방법
CN106506222A (zh) 一种cmc网络中智能终端信息获取方法及装置
Cho et al. Efficient Upstream Management in Cable-Data System: Weaving OSS, NMS, and Authentication System
KR20090056628A (ko)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서비스를 위한 액세스 네트워크의정책 제어 대상 장비 인식과 계층적 정책 제어 방법 및장치
JP2003087253A (ja) イーサネット(登録商標)ワーク用スイッチボード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イーサネットワーク用スイッチボ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