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304A - Camera lens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 Google Patents

Camera lens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304A
KR20040028304A KR1020020059453A KR20020059453A KR20040028304A KR 20040028304 A KR20040028304 A KR 20040028304A KR 1020020059453 A KR1020020059453 A KR 1020020059453A KR 20020059453 A KR20020059453 A KR 20020059453A KR 20040028304 A KR20040028304 A KR 20040028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lens
housing
wireless terminal
portable wireless
len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4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9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8304A/en
Publication of KR20040028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304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camera lens modul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is provided to firmly install a camera lens assembly on a terminal body, and to make an image of a subject incident on a camera lens through a prism as an exposure window rotates, thereby prevent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from being damaged by abrasion. CONSTITUTION: A housing(410) has an exposure window(411) on an outer circumference, and is rotatively coupled with a side hinge arm(130) of a terminal body(101). A rib(131) for coupling the housing(410) is extended in an outer section of the side hinge arm(130). The housing(410) is combined with the rib(131), and rotates on a rotational axis(A). A prism(421) is combined with an inner side of the housing(410), rotates along the exposure window(411), and refracts an image of a subject incident through the exposure window(411) in an open sectional direction of the housing(410). A camera lens assembly(430) consists of a camera lens(431)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433) extended from the camera lens(431). The camera lens(431) converts the incident imag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electrical signal through the flexible printed circuit(433).

Description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CAMERA LENS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Camera lens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CAMERA LENS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mera lens module mounted on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통상적으로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 바형(bar type) 단말기, 플립 커버(flip cover)를 구비한 플립형(flip type) 단말기, 본체 상에서 소정의 각도로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폴더를 구비한 폴더형(folder type) 단말기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폴더형 단말기는 송수화부간 거리 확보가 용이하면서 단말기의 소형화에 유리하여 점차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주종을 이루고 있다.In general,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is a bar type terminal having a bar type terminal, a flip type terminal having a flip cover, and a folder type having a folder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main body. folder type) such as a terminal. In particular, the folding type terminal is easy to secure the distance between the handset and is advantageous in miniaturization of the terminal is gradually becoming the main slav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상기 단말기들은 상대방과 음성으로 송수신하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는데, 예를 들어 이메일이나 데이터의 송수신, 인터넷 게임, 문자 전송과 같은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CDMA 1x EVDO 등 새로운 방식의 통신 기술이 도입되면서 단말기 사용자간의 화상통신, 동영상 서비스 등 그 서비스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단말기는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화상 통신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가 확대되고,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 렌즈 모듈이 장착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with the other party, the terminals have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functions such as sending and receiving e-mail or data, internet games, and text transmission. In addition, with the recent introduction of new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CDMA 1x EVDO, service areas such as video communication and video service between terminal users are gradually expanding. Accordingly, the terminal is enlarged in size and easily equipped with various types of camera lens modules so as to conveniently use video communication as well as voice service.

도 1은 통상적인 카메라 렌즈 모듈(200)이 장착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 특히 폴더형 단말기는 키패드(111) 등이 설치된 본체(101)와, 디스플레이 장치(121) 등이 설치된 폴더(102)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101)와 폴더(102)는 도시되지 않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200)은 상기 본체(101)의 사이드 힌지 암(13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다양한 각도의 촬영이 가능하게 된 구성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camera lens module 200. As shown in FIG. 1, a typical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in particular, a clamshell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101 provided with a keypad 111 and the like, and a folder 102 provided with a display device 121. The main body 101 and the folder 102 are rotatably coupled by a hinge device (not shown). On the other hand, the camera lens module 20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ide hinge arm 130 of the main body 101 is configured to allow the shooting of various angles.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200)을 설명하면, 도 2는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의 카메라 렌즈 모듈(200)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모듈(2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camera lens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amera lens module 200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amera lens module 200 illustrated in FIG. 2.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의 카메라 렌즈 모듈(200)은 렌즈 하우징(210),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20), 하우징 커버(230) 및 힌지 샤프트(240)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230)와 힌지 샤프트(240)를 이용하여 단말기 본체(101)의 사이드 힌지 암(130)에 설치된 구성이다.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camera lens module 200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lens housing 210, a camera lens assembly 220, and a housing cover 230. And a hinge shaft 240, which is installed at the side hinge arm 130 of the terminal body 101 using the housing cover 230 and the hinge shaft 240.

상기 렌즈 하우징(210)은 일단이 개방된 실린더 형상으로 외주면에는 노출용 개구(221)가 형성되고, 상기 노출용 개구(221)에 노출창(223)이 설치된다.The lens housing 21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end open, and an exposure opening 221 is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n exposure window 223 is installed at the exposure opening 221.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20)는 카메라 렌즈(221)와 상기 카메라 렌즈(221)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인쇄회로(223)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21)는 상기 렌즈 하우징(210)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 상기 렌즈 하우징(210) 내에 설치되어, 상기 노출창(223)을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The camera lens assembly 220 includes a camera lens 221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223 extending from the camera lens 221. The camera lens assembly 221 is installed in the lens housing 210 through an open end of the lens housing 210 to capture an image of a subject incident through the exposure window 223.

상기 하우징 커버(230)는 스크류(239) 등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210)의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여 상기 렌즈 하우징(210) 내에 설치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20)를 보호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커버(230)의 일면에서는 소정의 샤프트(231)가 연장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200)의 회전축을 제공한다. 상기 샤프트(231)의 단부에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체결홈(233)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233)에는 이(E) 링(251)이 체결됨으로써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200)이 상기 본체(101)의 사이드 힌지 암(130)에 결합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The housing cover 230 is fastened by a screw 239 to close the open end of the lens housing 210 to protect the camera lens assembly 220 installed in the lens housing 210. In addition, a predetermined shaft 231 extends from one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230 to provide a rotation axis of the camera lens module 200. A fastening groove 233 is formed at an end of the shaft 231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E) ring 251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233 so that the camera lens module 200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groove 233. It provides a means that can be coupled to the side hinge arm 130 of the body 101.

상기 힌지 샤프트(240)는 상기 하우징 커버(230)의 샤프트(231)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200)의 안정된 회전을 제공하게 된다.The hinge shaft 240 is coupled to the shaft 231 of the housing cover 230 to provide stable rotation of the camera lens module 200.

상기 본체(101)의 사이드 힌지 암(130) 내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리브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리브의 관통홀을 통해 상기 샤프트(231)의 체결홈(233)이 상기 리브의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 링(251)이 체결된다. 또한, 상기 리브의 타측면에서는 상기 힌지 샤프트(240)의 단부가 위치하여 밀착되므로, 상기 이 링(251)과 힌지 샤프트(240)의 단부가 상기 리브의 양측에 각각 밀착되어 카메라 렌즈 모듈(200)의 안정된 회전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 through hole is formed in a rib (not shown) inside the side hinge arm 130 of the main body 101, and a fastening groove 233 of the shaft 231 passes through one side of the rib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rib. It protrudes and the ring 251 is fastened. In addition, since the end of the hinge shaft 2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rib, the end of the ring 251 and the hinge shaft 240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rib, respectively, the camera lens module 200 ) Will be able to maintain a stable rotation.

한편, 상기 하우징 커버(230) 및 힌지 샤프트(240)는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의 가요성 인쇄회로(223)를 통과시키는 슬릿을 구비하여 상기 가요성 회로(233)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샤프트(240)의 측방향으로 연장된다.Meanwhile, the housing cover 230 and the hinge shaft 240 have slits for passing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223 of the camera lens assembly 200 so that the flexible circuit 233 is shown in FIG. 3. As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hinge shaft 240.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렌즈 하우징과 함께 회전하게 되어 가요성 인쇄회로는 지속적인 마찰 또는 인장력에 노출되어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손상되어 올바른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이 단말기의 정면을 촬영할 때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출력되는 영상이 정상적으로 보이지만, 렌즈 하우징을 회전시켜 단말기의 후면 또는 정면이 아닌 다른 방향을 촬영할 때에는 상하 반전된 영상 또는 경사진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amera lens modul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uses the camera lens assembly to rotate together with the lens housing so that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is exposed to continuous friction or tensile force and is damaged after prolonged use so that it cannot perform proper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In addition, when the camera lens module photographs the front side of the terminal, the image output on the display device is normally seen. However, when the lens lens is rotated to photograph a direction other than the rear or front side of the terminal, the inverted image or the inclined image is displayed. There is a problem that is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 렌즈 모듈이 회전하더라도 가요성 인쇄회로가 마찰 또는 인장력에 노출되지 않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lens modul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that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is not exposed to friction or tension even if the camera lens module rotates.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 렌즈 모듈의 회전과 무관하게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경사지거나 상하 반전되지 않은 정상적인 영상이 출력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lens modul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that outputs a normal image that is not inclined or vertically inverted to a display device regardless of the rotation of the camera lens modu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mera lens modul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고정 결합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A camera lens assembly fixedly coupled to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피사체의 영상이 입사되는 노출창이 구비된 하우징;A housing rotatably coupled to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having an exposure window through which an image of a subject is incident;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노출창으로 입사되는 영상을 상기 카메라렌즈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프리즘; 및A prism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refracting an image incident to the exposure window toward the camera lens; And

상기 노출창의 회전 각도를 독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고,A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read a rotation angle of the exposure window,

상기 검출부에서 독출된 노출창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회전시켜 영상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을 개시한다.Disclosed is a camera lens modul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for compensating for an inclination of an image by rotating an image output from the camera lens assembly according to a rotation angle of an exposure window read by the detection unit.

도 1은 통상적인 카메라 렌즈 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camera lens module,

도 2는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mera lens modul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amera lens module illustrated in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mera lens modul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모듈이 장착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일부 절개 단면도,FIG. 5 is a partial cutaway sectional view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lens module shown in FIG. 4;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mera lens module illustrated in FIG. 4.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410 : 하우징 421 : 프리즘410: housing 421: prism

430 :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430: Camera Lens Assembl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400)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모듈(400)이 장착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 본체(101)의 일부 절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모듈(40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mera lens module 400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main body 101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the camera lens module 400 of FIG. 4. Is a partial cutaway sectional view of FIG. 6,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amera lens module 400 of FIG. 4.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400)은 하우징(410), 프리즘(421),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430) 및 검출부를 구비한다.4 to 6, the camera lens module 400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410, a prism 421, a camera lens assembly 430, and a detector. do.

상기 하우징(410)은 일측이 개방된 실린더 형상으로서 외주면에 노출창(411)이 구비되고, 단말기 본체(101)의 사이드 힌지 암(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상기 사이드 힌지 암(130)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하우징(410)을 결합하기 위한 리브(131)가 연장된다. 상기 하우징(410)은 상기 리브(131)에 결합되며 회전축 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The housing 41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side open, and an exposed window 411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hinge arm 130 of the terminal body 101. The side hinge arm 130 At the outer end of the rib 131 for coupling the housing 410 is extended. The housing 410 is coupled to the rib 131 and is rotatable about the rotation axis A.

한편, 상기 리브(131)의 단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하우징(410)이 벗어 나지 않도록 외주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 또는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레일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410)의 단부 내측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돌기 또는 가이드 레일에 상응하는 가이드 홈을 설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end portion of the rib 131 may be provided with a projection projec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a guide rail projec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housing 410 does not escape. In addition, it is apparent that a guid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or the guide rail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end of the housing 4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프리즘(421)은 상기 하우징(4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410)의 노출창(411)을 따라 회전하게 되며, 상기 노출창(411)을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상기 하우징(410)의 개방된 단부 방향으로 굴절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노출창(411)이 어떠한 방향을 향하더라도 상기 노출창(411)을 통해 입사되는 영상은 상기 프리즘(421)을 통해 상기 하우징(410)의 개방된 단부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The prism 421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410 and rotates along the exposure window 411 of the housing 410, and the image of the subject incident through the exposure window 411 is transferred to the housing ( It is refracted toward the open end of 410. Therefore, no matter what direction the exposure window 411 faces, the image incident through the exposure window 411 travels toward the open end of the housing 410 through the prism 421.

한편, 반사경 등을 이용하여 상기 프리즘(421)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노출창(411)을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하우징(410) 내에 반사경을 설치하고, 상기 노출창(411)을 통해 입사되는 영상은 상기 반사경을 통해 상기 하우징(410)의 개방된 단부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것이다.Meanwhile, a function of the prism 421 may be performed using a reflector or the like. That is, a reflector is installed in the housing 410 to rotate along the exposure window 411, and the image incident through the exposure window 411 is directed toward the open end of the housing 410 through the reflector. To reflect.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430)는 카메라 렌즈(431)와 상기 카메라 렌즈(431)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인쇄회로(433)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렌즈(431)는 상기 프리즘(421)을 통해 입사되는 영상을 전기신호로 전환하여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433)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The camera lens assembly 430 includes a camera lens 431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433 extending from the camera lens 431. The camera lens 431 converts an image incident through the prism 421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electrical signal through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433.

상기 검출부는 상기 하우징(410)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The detector is a device for detecting a rotation angle of the housing 410.

도 5에 도시된 검출부의 예는 상기 하우징(410)의 외주면에 회전 각도를 나타낼 수 있는 척도를 색상 또는 눈금으로 표시(413)하여 이를 단말기 본체(101)에 설치된 센서(415)를 통해 독출하는 방법이고, 도 6에 도시된 검출부의 예는 상기 사이드 힌지 암(130)의 리브(131)와 상기 하우징(410) 내측이 접하는 면에 도전성 물질을 형성(133)하여 상기 하우징(410)의 회전에 따른 전기적 변화를 검출하는 방법이다.In the example of the detector illustrated in FIG. 5, the scale that indicates the rotation angl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410 is displayed in color or scale 413 to be read out through the sensor 415 installed in the terminal body 101. 6 is an example of the detector illustrated in FIG. 6, in which a conductive material is formed 133 on a surface where the rib 131 of the side hinge arm 130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4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a method of detecting electrical change due to rotation.

즉, 도 5에 도시된 예는, 상기 하우징(41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그 폭을 달리하는 색상의 회전각 표시부(413)를 형성하고, 단말기 본체(101)에 설치된 센서(415)를 통해 상기 표시부(413)의 폭을 독출하여 회전 각도를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5, the rotation angle display unit 413 having a color that varies in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410, and the sensor 415 installed in the terminal body 101 is formed. By reading the width of the display unit 413 to detect the rotation angle.

도 6에 도시된 예는, 상기 리브(131)와 하우징(410)이 도전성 물질을 통해 접촉하도록 구성하고, 회전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한 전기적 변화의 검출 또는 가변저항 등의 원리를 이용하여 구성하게 된 것이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the rib 131 and the housing 410 are configured to contact each other through a conductive material, and may be configured using a principle such as detection of electrical change or variable resistance due to friction generated during rotation. It is.

상기 검출부를 통해 출력된 하우징(410)의 회전 각도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121; 도 1에 도시됨)로 출력되는 영상의 각도 보상에 이용되는 것이다.The rotation angle of the housing 410 output through the detection unit is used for angle compensation of an image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121 (shown in FIG. 1) of the terminal.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단말기의 본체에 고정 설치하고, 노출창이 회전함에 따라 피사체의 영상을 프리즘을 통해 카메라 렌즈로 입사시키므로, 가요성 인쇄회로가 마찰 또는 인장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었다. 또한, 노출창의 회전 각도 즉, 상기 노출창이 형성된 하우징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는 영상의 기울어짐 또는 상 반전 등을 보상할 수 있게 되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amera lens modul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camera lens assembly to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and as the exposure window rotates, the image of the subject is incident to the camera lens through the prism, the flexibilit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inted circuit from being damaged by friction or tensile force. In addition, by detec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exposure window, that is, the rotation angle of the housing in which the exposure window is formed,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inclination or phase inversion of the image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Claims (4)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에 있어서,In the camera lens modul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고정 결합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A camera lens assembly fixedly coupled to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피사체의 영상이 입사되는 노출창이 구비된 하우징;A housing rotatably coupled to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having an exposure window through which an image of a subject is incident;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노출창으로 입사되는 영상을 상기 카메라 렌즈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프리즘; 및A prism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refracting an image incident to the exposure window toward the camera lens; And 상기 노출창의 회전 각도를 독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고,A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read a rotation angle of the exposure window, 상기 검출부에서 독출된 노출창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회전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는 영상의 기울어짐을 보상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And rotating the image output from the camera lens assembly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exposure window read out by the detection unit to compensate for the inclination of the image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회전 각도를 나타내는 표시부;A display unit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to indicate a rotation angle of the camera lens module;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된 표시부가 지시하는 회전 각도를 독출하는 센서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And a sensor installed in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the sensor configured to read a rotation angle indicated by the display unit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제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표시부는 눈금으로 표기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The display unit is a camera lens modul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arked with a scale. 제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표시부는 회전 각도에 따라 그 폭을 달리하는 색상의 띠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The display unit is a camera lens modul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band of the color varying in width depending on the rotation angle.
KR1020020059453A 2002-09-30 2002-09-30 Camera lens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200400283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453A KR20040028304A (en) 2002-09-30 2002-09-30 Camera lens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453A KR20040028304A (en) 2002-09-30 2002-09-30 Camera lens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304A true KR20040028304A (en) 2004-04-03

Family

ID=37330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453A KR20040028304A (en) 2002-09-30 2002-09-30 Camera lens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830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831B1 (en) * 2005-09-29 2007-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Structure for preventing being taken Camera cap off cover camera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540A (en) * 1996-06-14 1998-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hs video phone
KR19980075232A (en) * 1997-03-29 1998-11-16 윤종용 A mobile phone with a camera unit
JP2002232546A (en) * 2000-11-10 2002-08-16 Nokia Corp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KR20020080566A (en) * 2001-04-16 200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phone having camera
KR100360269B1 (en) * 2000-12-20 2002-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versing the reverse image of a portable image pho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540A (en) * 1996-06-14 1998-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hs video phone
KR19980075232A (en) * 1997-03-29 1998-11-16 윤종용 A mobile phone with a camera unit
JP2002232546A (en) * 2000-11-10 2002-08-16 Nokia Corp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KR100360269B1 (en) * 2000-12-20 2002-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versing the reverse image of a portable image phone
KR20020080566A (en) * 2001-04-16 200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phone having camer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831B1 (en) * 2005-09-29 2007-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Structure for preventing being taken Camera cap off cover camera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9451B1 (en) Camera lens mounting device of folder type telephone
JP4454677B2 (en) Mobile device
KR100630139B1 (en) Portable terminal with dual axis hinge device
US8042231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KR100480434B1 (en) Camera lens assembly and portable wireless terminal therewith
KR100459543B1 (en) Camera lens module and portable wireless terminal therewith
US20050195322A1 (en) Camera lens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30057661A (en) Portable phone with camera lenz opening means in closed folder
KR20020094587A (en) Portable Telephone with Camera
US6975273B1 (en) Antenna with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radiotelephone
JP4241241B2 (en)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equipment
US7499101B2 (en) Inverse image reversing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ntegrated phot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040028304A (en) Camera lens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69079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table camera
EP1843589B1 (en)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s
KR20040077291A (en) Camera module for cellular phone
KR100557065B1 (en) Mobile phone with rotational camera lens housing
KR200342944Y1 (en) Camera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100849295B1 (en)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20050035721A (en)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KR20070066531A (en) Handheld terminal for photographing subject on either front or rear sight
KR101126428B1 (en) Dual axis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JP3938543B2 (en) Mobile terminal with close-up function
KR20040017269A (en) Radiotelephone for visual communication
KR20060012369A (en) A slide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olling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