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160A - 복합 필기구 - Google Patents

복합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160A
KR20040028160A KR1020020059279A KR20020059279A KR20040028160A KR 20040028160 A KR20040028160 A KR 20040028160A KR 1020020059279 A KR1020020059279 A KR 1020020059279A KR 20020059279 A KR20020059279 A KR 20020059279A KR 20040028160 A KR20040028160 A KR 20040028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ody
inclined surface
release
writing
inn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예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리스
Priority to KR1020020059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8160A/ko
Publication of KR20040028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16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 B43K24/1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2Combinations of pens and pencil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복합 필기구는 이종 또는 동종의 복수의 필기 수단을 케이스(10)에 장착하되, 상기 각각의 필기 수단의 단부를 팁 커버(11)의 외부로 조출 및 삽출 전환시키도록, 측면 방향에서 회동 가능케 케이스 몸체(12)에 결합된 제 1, 제 2누름버튼(20, 30)과, 상기 누름버튼(20, 30)과 각각 경사 미끌림 대우 관계로 상기 케이스 몸체(12)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케 상기 필기 수단의 사이에 결합된 제 1, 제 2경사면체(23, 33)와, 상기 경사면체(23, 33)가 각각 체결되어 함께 이동 가능한 상기 필기 수단의 일단부에 각각 체결되어 조출 및 삽출 전환의 상태를 유지 및 해제시키는 제 1, 제 2착탈구(60, 70)와, 상기 필기 수단을 원위치 시키도록 복원력이 작용되게, 상기 케이스 몸체(12)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단(16)에 지지되는 스프링(94, 95)과, 상기 착탈구(60, 70)의 걸림돌기(62, 72)에 체결되도록 상기 케이스 몸체(12)의 내표면에 형성된 제 1, 제 2걸림요홈(17, 18)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필기구{MULTIPLE WRITING INSTRUMENT}
본 발명은 복합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볼포인트 펜(ball-point pen, 이하 '볼펜'이라 함), 샤프 펜슬(mechanical pencil, 이하 '샤프'라 함) 등과 같은 필기구들을 하나의 케이스에 함께 수용한 복합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합 필기구는 각종 색상의 볼펜, 샤프, 화이트 등의 문구 수단을 케이스 내부에 장착한 것으로서, 슬라이드식, 회전식, 측면 노크식 등의 조작 방법에 의해 문구 수단을 케이스의 내부 및 외부로 안착 및 돌출시킬 수 있는 기능성 문구류의 일종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드식 복합 필기구는 분해 조립 가능한 케이스의 내부의 요철식 체결수단을 각각의 필기구에 체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필기구 골라 선택하도록 한 것으로서, 각종 색상 볼펜 등에 응용되어 사용되었다.
또한, 회전식 복합 필기구의 경우, 케이스의 소정 부위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볼펜심, 일체형 샤프 내통이 번갈아 가면서 조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에서, 볼펜심이란 볼펜용 잉크와 볼 팁을 구비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튜브를 뜻하며, 일체형 샤프 내통이란 통상의 샤프 펜슬의 작동 메커니즘을완전하게 구비하며 샤프 내통의 일측 선단을 반복적으로 누를 경우 흑연심이 샤프 팁에서 일정 길이만큼 조출되도록 한 통상적인 필기구 부품을 의미한다.
그러나, 종래의 회전식 복합 필기구의 경우에는 필기 도중에 볼펜심, 샤프 내통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였던 손을 풀어 케이스의 회전 부위를 회전시키거나, 다른 쪽 손을 사용하여 회전 부위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러한 방법은 볼펜심과 샤프 내통을 번갈아 사용할 때마다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쾌속 필기를 요하는 경우에 매우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2001년 특허출원 제 38484호의 '측면 노크식 복합 필기구'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 특허출원의 대략적인 구성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한 각각의 볼펜심 및 샤프 내통과, 가이드 레일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을 가진 케이스 몸통과, 이런 케이스 몸통의 위쪽 개구부에 삽입 고정되어 볼펜심 및 샤프 내통을 관통시키고 하기 스프링을 한쪽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이런 지지부재를 관통한 볼펜심 및 샤프 내통의 단부에 각각 끼워지고 타단이 고정되는 스프링과, 케이스 몸통과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몸통의 위쪽 개구부를 덮는 케이스 뚜껑과, 상기 케이스 몸통의 슬롯에 끼워지며 자체 탄성을 가진 누름버튼과, 누름버튼과 접촉하는 경사면을 구비하여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 작동되는 제 1이송체와, 제 2이송체를 포함하여, 볼펜심과 샤프 내통의 조출(삽출) 전환을 누름버튼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 스프링의 탄성력에 지지받는 볼펜심과 샤프 내통은누름버튼의 양 끝단이 제 1이송체 또는 제 2이송체의 걸림턱에 각각 체결됨으로써, 조출(삽출) 전환시에 고정되었으나, 사용자의 누름버튼 이용시 누름버튼과 이송체에 과부하가 걸리고, 하중 배분 및 분담 문제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에 과다한 압박감 내지 하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감성적으로 편안하며 기계적으로 부드럽게 작동가능하며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할 수 있는 필기구에 대한 계속된 연구 및 노력을 통해서 하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출원한 측면 노크식 복합 필기구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더욱 안정적으로 볼펜심과 샤프 내통을 고정시키거나 정확하게 조출 및 삽출 전환을 수행할 수 있으며, 누름버튼에 가해지는 하중을 배분시켜 더욱더 사용이 편리한 복합 필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기구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합 필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케이스 몸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들,
도 4는 샤프 내통용 제 1착탈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볼펜심용 제 2착탈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착탈구 관련 중요 부위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7은 제 2착탈구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8은 제 1착탈구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9는 샤프 흑연심 조출을 위한 선단 누름부를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스11 ... 팁 커버
12 ... 케이스 몸체13 ... 선단 커버
14 ... 클립16 ... 지지단
17, 18 ... 걸림요홈20, 30 ... 누름버튼
23, 33 ... 경사면체60, 70 ... 착탈구
62, 72 ... 걸림돌기94, 95 ... 스프링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 또는 동종의 복수의 필기 수단을 케이스에 장착한 복합 필기구에 있어서, 각각의 필기 수단의 단부를 팁 커버의 외부로 조출 및 삽출 전환시키도록, 측면 방향에서 회동 가능케 케이스 몸체에 결합된 제 1, 제 2누름버튼과, 이런 누름버튼과 각각 경사 미끌림 대우 관계로 케이스 몸체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케 필기 수단의 사이에 결합된 제 1, 제 2경사면체와, 이런 경사면체가 각각 체결되어 함께 이동 가능한 필기 수단의 일단부에 각각 체결되어 조출 및 삽출 전환의 상태를 유지 및 해제시키는 제 1, 제 2착탈구와, 필기 수단을 원위치 시키도록 복원력이 작용되게, 케이스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단에 지지되는 스프링과, 착탈구의 걸림돌기에 체결되도록 케이스 몸체의 내표면에 형성된 제 1, 제 2걸림요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도 1은 복합 필기구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합 필기구의 내부 구성과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케이스 몸통의 다양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들이다. 또한, 도 4와 도 5는 제 1착탈구와 제 2착탈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착탈구 관련 중요 부위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그리고, 도 7은 제 2착탈구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며, 도 8은 제 1착탈구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고, 도 9는 샤프 흑연심 조출을 위한 선단 누름부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해 조립가능한 팁 커버(11)와, 팁 커버를 일단에 나사조립으로 결합하고 있는 케이스 몸체(12)와, 케이스 몸체의 타단에 결합되며 걸이용 클립(14)을 갖는 선단 커버(13)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적으로 볼 때, 단일의 케이스(10) 내에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필기수단을 장착할 수 있다.
예컨대, 케이스(10)는 2개의 필기수단, 즉 일체형 샤프 내통(40)과 볼펜심(50)을 장착하여 볼펜으로서의 기능과 샤프로서의 기능을 전환하여 사용하며, 사용자의 손가락을 노크하듯이 누를 경우 기능을 전환 조작시키도록, 케이스 몸체(12)의 장착홈(15)에 2개의 측면 방향 누름버튼(20, 30)(이하 '누름버튼'이라 함)을 체결시키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버튼(20, 30)의 인접하는 각각의 일단은 장착홈(15)의 중앙 양측면의 힌지축(21, 31)에 힌지 결합되어,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새의 날개와 같은 형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누름버튼(20, 30)의 각각의 중앙 부위는 볼록하여 장착홈(15)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힌지축(21, 31)의 반대쪽 단부(22, 32)들은 힌지축을 기준으로 각각 유한한 회전각만큼 회전할 때, 케이스 몸체(12)의 내부로만 힌지 작동할 수 있도록 턱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턱을 형성하지 않고 힌지축(21, 31)을 약간 안쪽에 설치한 후 외부로의 힌지 작동을 제한하는 고정면(도시 안됨)을 제공할 경우, 상기 누름버튼(20, 30)의 단부(22, 32)는 케이스 몸체(12)의 내부로만 힌지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제 1누름버튼(20)은 샤프 내통(40)용 제 1경사면체(23)와, 그리고 제 2누름버튼(30)은 볼펜심(50)용 제 2경사면체(33)와 각각 경사 미끌림 대우 관계이다.
즉, 누름버튼(20, 30)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해서 스프링의 탄성력과 조립 구조의 마찰력을 이겨낼 수 있는 하중을 받는 경우, 케이스 몸체(12)의 내부로 힌지 작동한다. 각각의 누름버튼(20, 30)의 단부(22, 32)는 제 1경사면체(23)의 경사면(24)과 제 2경사면체(33)의 경사면(34)을 따라 미끄럼 작동하고, 이에 따라 경사면체(23, 33)를 직선 방향으로 밀어낸다. 누름버튼(20, 30)에 가해졌던 하중이 없어진 경우,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결과적으로, 제 1경사면체(23)와 제 2경사면체(33)는 가이드 홈 또는 레일(도시 안됨)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을 한다.
이때, 제 1경사면체(23)의 경사면(24)은 제 2경사면체(33)의 경사면(34)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연장된 길이와 완만한 경사각을 갖고, 직선 이동길이가 상대적으로 제 2경사면체(23)의 것보다 더 길다. 왜냐하면, 조립될 때의 원래 위치를 기준으로 제 1걸림요홈(17)이 제 2걸림요홈(18)보다 더 먼 곳에 떨어져 있기 때문에, 먼 곳에 있는 제 1걸림요홈(17)까지 제 1착탈구(60)를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도 2의 도면상에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구성 요소만을 표시하고 있을 뿐, 정확한 결합관계를 도시하고 못하고 있지만, 통상의 경사 미끌림 대우 관계이므로 상세한 도식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경사면체(23, 33)들은 케이스 몸체(12)의 내원주면에서 축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 또는 레일을 따라 직선 운동만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경사면체(23)와 제 2경사면체(33)는 각각 링형상, 말굽 형상의 체결단(25, 35)을 일측면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으며, 이런 체결단(25, 35)은 각각 샤프 내통(40)과 볼펜심(50)의 원주면에 형성된 돌출턱 또는 홈(도시 안됨)에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샤프 내통(40)과 볼펜심(50)은 제 1경사면체(23)와 제 2경사면체(33)에 구속되기 때문에, 앞서와 같이 직선 왕복이동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히, 샤프 내통(40)과 볼펜심(50)은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끝단부에 스프링(94, 95)을 각각 장착하고 있다. 즉, 샤프 내통(40)과 볼펜심(50)의 끝단부는 케이스 몸체(12)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단(16)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스프링(94, 95)은 상기 끝단부를 감싸게 각각 삽입된 후, 고정구(41, 51)에 의해 축방향으로 구속된다. 어떠한 이유에서라도, 샤프 내통(40)과 볼펜심(50)이 상향으로 이동될 경우, 스프링(94, 95)은 압축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샤프 내통(40)과 볼펜심(50)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려는 탄성력에 대응한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샤프 내통(40)은 볼펜심(50)에 비해 길이가 짧고, 결과적으로 샤프 내통(40)의 팁 부위는 볼펜심(50)의 끝단보다 뒤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관계는 샤프 내통(40)의 팁 부위로 하여금 완만하게 휘어져서 팁 커버(11)의 구멍을 통해 조출 및 삽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볼펜심(50)의 경우에는 재질의 특성상 상대적으로 유연하기 때문에 샤프 내통(40)보다 더욱 휘어져서 팁 부위가 조출 및 삽출되더라도 구조적으로 무리가 덜 가기 때문이다.
이렇게 본 발명의 복합 필기구에서 샤프 내통(40)과 볼펜심(50)은, 통상의 측면 노크식 메커니즘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누름버튼(20, 30)을 각각 누를 경우에 직선 왕복이동하여 팁 커버(11)의 구멍을 통해 조출 및 삽출 전환이 가능하게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누름버튼(20, 30)을 반복적으로 누를 경우, 샤프 내통(40) 또는 볼펜심(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안정되게 팁 커버(11)의 구멍을 통해 돌출되어 나온 후, 샤프 내지 볼펜으로서의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하도록 둘 중 어느 하나가 안정되게 고정되며, 이후 매끄럽게 전환되는 기계적 삽착 및 탈착 메커니즘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기계적 삽착 및 탈착 메커니즘은 샤프 내통(40)과 체결되어서 제 1누름버튼(20)을 누를 경우에 샤프 내통(40)과 함께 안내트랙(도시 안됨)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하는 제 1착탈구(60)와, 볼펜심(50)과 체결되어서 제 2누름버튼(30)을 누를 경우에 볼펜심(50)과 함께 안내트랙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하는 제 2착탈구(70)와, 각각의 착탈구(60, 70)의 걸림돌기에 체결될 수 있게 걸림요홈(17, 18)에 의해 구현된다.
또한, 경사직선 가이드홈(19a)은 선단 커버(13)의 내원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지우개 캡(85)에 의해 지우개(86)를 수납하고 있는 선단 누름부(80)는 경사직선 가이드홈(19a)에 체결되어 있다. 이때 선단 누름부(80)의 갈고리 형상의 연장 단부(87)는 샤프 내통(40)과 볼펜심(50)의 끝단부 주위에 놓여 있다. 이하 선단 누름부(80)와 경사직선 가이드홈(19a)의 관계는 하기 도 9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계속해서,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걸림요홈(17, 18)은 케이스 몸통(12)의 전방 부위(12a)의 내원주면에 배치되며, 전방 부위(12a)의 두께절반 정도의 깊이로 파여 있으며, 대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제 1걸림요홈(17)은 흑연심 조출시 여유 이동 길이를 주기 위한 직사각 장공으로서 샤프 내통에 체결된 제 1착탈구(60)를 결합(삽착 및 탈착)시키기 위한 것이며, 제 2걸림요홈은 단순 삽착 및 탈착을 위한 직사각 단공으로서 볼펜심에 체결된 제 2착탈구(7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팁 커버(11)쪽으로 가까운 케이스 몸체(12)의 내표면에 장공의 제 1걸림요홈(17)이 형성되며, 약간의 간격을 두고 케이스 몸체(12)의 반대편 내표면에 단공의 제 2걸림요홈(18)이 형성되어 있다.
(b)에 보이듯이, 케이스 몸통의 전방 부위(12a)는 상기 걸림요홈(17, 18)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약간 두꺼운 두께를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c), (d) 등과 같은 변형예가 가능할 것이다.
즉, (c)에 보이듯이 케이스 몸통의 전방 부위(12b)는 걸림요홈(17, 18)을 형성한 쪽 부위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하고, 홈이 없는 부위를 얇게 형성하고, 따라서, 외형적으로는 원형이나 내형적으로는 타원형에 가깝게 형성한다. 이런 경우 케이스 몸통의 중량을 (a)와 (b)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재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d)에 보이듯이 케이스 몸통의 전방 부위(12c)는 케이스 몸통의 중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도록 홈을 형성하지 않고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얇은 두께를 갖는다. 걸림요홈(17, 18)을 갖는 부싱(12d)은 별도로 제작된 후 전방 부위(12c)의 내부에 부착 또는 접착된다.
아래에서는 상기 걸림요홈(17, 18)에 대응한 착탈구(60, 70)들의 형상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4의 (a) 좌측면도와 (b) 정면도와 (c) 우측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 내통용 제 1착탈구(60)는 전체적으로 볼 때 중앙의 지지단(61)을 기준으로 'ㄷ'자 형상을 갖는다. 제 1지지단(61)의 우측에는 수직하게 일체형으로 연장되고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제 1체결편(69)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체결편(69)의 끝단에서 우측으로 직각의 제 1걸림돌기(62)가 돌출되어 있다. 제 1지지단(61)의 좌측에는 수직하게 일체형으로 연장되고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 제 1해제편(68)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해제편(68)의 끝단에서 우측으로 반원형의 제 1해제돌기(63)가 돌출되어 있다.
제 1체결편(69)과 제 1해제편(68)은 제 1가로 탄성단(64)으로 연결되어 지지단(61)과 함께 삽착 및 탈착 체결에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 1체결편(69)에는 제 1가로 탄성단(64)과 제 1걸림돌기(62)가 인접하는 부위에서 반원형의 제 1피해제돌기(65)가 형성되어 있다. 제 1피해제돌기(65)는 제 1체결편(69)의 폭의 우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다. 왜냐하면, 샤프 내통용 제 1착탈구(60)는 하기의 볼펜심용 제 2착탈구(70)와 결합시 정면에서 볼 때 좌측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이다.
도 5의 (a) 좌측면도와 (b) 정면도와 (c) 우측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펜심용 제 2착탈구(70)는 전체적으로 볼 때 중앙의 지지단(71), 제 2체결편(79), 제 2해제편(78)에 의해 'ㄷ'자 형상을 갖는 바와 같이, 몇 가지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제 1착탈구(60)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즉, 제 2착탈구(70)는 제 2해제편(78)의 길이가 상기 제 1해제편(68)의 길이보다 짧다. 즉, 제 1해제편(68)은 제 2걸림요홈(18)보다 멀리 떨어져 있는 제 1걸림요홈(17)에서 삽착 및 탈착의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 제 2해제편(78)보다 길이가 긴 것이다.
또한, 제 2착탈구(70)는 제 1착탈구(60)와의 구별을 위해서 제 2지지단(71)과 제 2가로 탄성단(74)의 휨방향을 상향으로 향하게 형성하고 있다.
즉, 제 1착탈구(60)의 제 1지지단(61)과 제 1가로탄성단(64)의 휨방향은 하향으로 향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제 2착탈구(70)와의 구별이 확실하게 되며, 조립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제 2지지단(61, 71), 제 1, 제 2체결편(69, 79), 제 1, 제 2가로 탄성단(64, 74), 제 1, 제 2해제편(68, 78)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69a, 79a)은 하기에 설명할 샤프 내통의 체결부위가 삽입될 공간이다.
도 6의 (a) 정면도와 (b) 우측면도는 본 발명의 중요 부위인 착탈구(60, 70)들의 결합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a) 정면도에서 제 2걸림요홈(18)을 정면으로 바라볼 때, 좌측의 제 1착탈구(60)와 우측의 제 2착탈구(70)는 좌측의 샤프 내통(40)과 우측의 볼펜심(50)의 사이의 안내트랙(90)에 놓여 있다.
이때, 샤프 내통(40)의 체결부위(49)는 제 1착탈구(60)의 내부 공간(69a)에 삽입되며, 볼펜심(50)의 체결부위(59)는 제 2착탈구(70)의 내부 공간(79a)에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직선 왕복이동(m, n) 가능하게 된다.
이런 제 1착탈구(60)의 제 1피해제돌기(65)는 제 2해제편(78)의 내표면(78a) 위에 놓이게 되며, 제 2착탈구(70)의 제 2피해제돌기(75)는 제 1해제편(68)의 내표면(68a) 위에 놓이게 된다. 이렇게 놓여있기 때문에, 각각의 제 1착탈구(60)와 제 2착탈구(70)가 안내트랙(90)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할 때, 제 1피해제돌기(65)는 2해제돌기(73)와만 접촉할 뿐 제 2걸림돌기(72)와 겹치거나 부딪치지 않게 되며, 이와 마찬가지로, 제 2피해제돌기(75)는 제 1해제돌기(63)와만 접촉할 뿐 제 1걸림돌기(62)와 겹치거나 부딪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 1착탈구(60)는 샤프 내통(40)과 함께 축방향으로 왕복이동(m)할 때, 제 1해제편(68)의 제 1해제돌기(63)가 내표면(68a) 위에 놓인 제 2착탈구(70)의 제 2피해제돌기(75)를 밀어 올리게 됨으로써, 이에 따라 제 2피해제돌기(75)를 비롯한 제 2걸림돌기(72)와 제 2체결편(79)을 유한한 회전각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위와 마찬가지로, 제 2착탈구(70)의 왕복이동(n)에 따라 제 1피해제돌기(65), 제 1걸림돌기(62), 제 1체결편(69)을 유한한 회전각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하, 본원발명의 중요부위 작동관계를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볼펜심(50)을 조출시켜 체결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제 2누름버튼(30)을 누른다. 제 2경사면체(33)는 경사 미끌림 대우 관계에 의해서 조출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런 경우, 제 2경사면체(33)에 체결된 볼펜심(50)은 제 2경사면체(33)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적당량 이동된 위치에서는 안내트랙을 따라온 제 2착탈구(70)의 제 2걸림돌기(72)가 제 2걸림요홈(18)에 걸쳐(체결)있게 된다. 손가락에 가했던 힘을 빼면, 사용자가 볼펜심(50)을 사용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볼펜의 사용이 끝나 볼펜심(50)의 체결(조출)상태를 해지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제 1누름버튼(20)을 약간 누른다. 제 1경사면체(23)는 경사 미끌림 대우 관계에 의해서 조출방향으로 약간 이동한다. 이런 경우, 제 1경사면체(23)에 체결된 샤프 내통(40)은 제 1경사면체(23)와 함께 약간 이동하게 된다. 적당량 이동된 위치에서는 안내트랙을 따라온 제 1착탈구(60)의 제 1해제돌기(63)가 제 2착탈구(70)의 제 2피해제돌기(75)를 밀어낸다. 이후, 제 2걸림요홈(18)에 걸쳐있던 제 2착탈구(70)의 제 2걸림돌기(72)는 제 2걸림요홈(18)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결과적으로, 볼펜심(50)은 조출상태가 해지됨에 따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제 2착탈구(70)와 함께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후, 샤프 내통(40)을 조출시켜 체결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사용자가 계속해서 손가락으로 제 1누름버튼(20)을 누른다. 제 1경사면체(23)는 경사 미끌림 대우 관계에 의해서 조출방향으로 계속 이동함으로써, 제 1경사면체(23)에 체결된 샤프 내통(40)은 제 1경사면체(23)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적당량 이동된 위치에서는 안내트랙을 따라온 제 1착탈구(60)의 제 1걸림돌기(62)가 제 1걸림요홈(17)에 걸쳐(체결)있게 된다. 손가락에 가했던 힘을 빼면, 사용자가 샤프 내통(40)을 사용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샤프의 사용이 끝나 샤프 내통(40)의 체결(조출)상태를 해지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제 2누름버튼(30)을 약간 누른다. 제 2경사면체(33)는 경사 미끌림 대우 관계에 의해서 조출방향으로 약간 이동한다. 이런 경우, 제 2경사면체(33)에 체결된 볼펜심(30)은 제 2경사면체(33)와 함께 약간 이동하게 된다. 적당량 이동된 위치에서는 안내트랙을 따라온 제 2착탈구(70)의 제 2해제돌기(73)가 제 1착탈구(60)의 제 1피해제돌기(65)를 밀어낸다. 이후, 제 1걸림요홈(17)에 걸쳐있던 제 1착탈구(60)의 제 1걸림돌기(62)는 제 1걸림요홈(17)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결과적으로, 샤프 내통(40)은 조출상태가 해지됨에 따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제 1착탈구(60)와 함께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하, 샤프 내통(40)이 체결된 상태에서 흑연심을 조출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 커버(13)의 내원주면에서 경사직선 가이드홈(19a)에는 선단 누름부(80)의 돌기(81)가 삽입되어 있다. 평상시 선단 누름부(80)의 하향으로 연장된 연장 단부(87)는 샤프 내통(40) 내지 볼펜심(50)의 끝단부와 접촉하지 않게 비켜진 위치에 놓여 있다.
샤프 내통(40)이 조출된 상태일 경우, 샤프 내통(40)의 끝단부에 체결된 고정구(41)의 위치는, 도면에서와 같이, 연장 단부(87)의 갈고리 부위(87a)의 아래쪽으로 대략 3㎜ 상향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흑연심이 나와있지 않은 것을 육안으로 확인한 후, 선단 누름부(80)를 누른다. 경사직선 가이드홈(19a)을 따라 미끄러지는 돌기(81)의 안내 유도 작용에 의해, 선단 누름부(80)는 30°가량 나선형으로 회전(t)되며 3㎜ 가량 하향으로 내려가고, 이와 동시에 연장 단부(87)의 갈고리 부위(87a)는 최초의 위치(87b)에서 이동하여 샤프 내통(40)의 끝단부인 고정단(41)에 일치하게 놓여진다.
따라서, 계속해서 사용자가 선단 누름부(80)를 누르면, 선단 누름부(80)의 갈고리 부위(87a)가 샤프 내통(40)을 가압하게 되고, 통상의 샤프 펜슬 메커니즘과 같이 흑연심이 나오게 된다.
조출된 상태의 샤프 내통(40)과 제 1착탈구(60)는 흑연심을 나오게 하려고 선단 누름부(80)를 누를 때마다 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하지만, 도 8의 (b)에서와 같이, 제 1착탈구(60)의 제 1걸림돌기(62)가 제 1걸림요홈(17)의 장공을 따라 왕복이동(f)을 할 뿐, 제 1착탈구(60)의 체결상태는 해지되지 않는다.
또한 조출된 상태에서 제 1누름버튼(20)을 반복적으로 누를 경우, 앞서 선단 누름부(80)를 반복적으로 누르는 효과와 동일하게 샤프 내통(40)을 반복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서, 흑연심의 조출을 제 1누름버튼(20)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개별적인 누름버튼을 번갈아 작동시켜 볼펜심과 샤프 내통을 조출 및 삽출시킬 수 있어서, 쾌속 필기를 요하는 필기 작업에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복합 필기구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필기구는 볼펜심과 샤프 내통 전용의 누름버튼을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누름버튼의 개별 조작을 통해서 신속한 조출 및 삽출 전환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필기구는 흑연심을 조출시킬 때 선단 누름부를 눌러 기존의 샤프와 동일한 방식대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샤프 내통용 누름버튼을 반복적으로 눌러 흑연심을 조출시킬 수 있어 편의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복합 필기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9)

  1. 이종 또는 동종의 복수의 필기 수단을 케이스(10)에 장착한 복합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필기 수단의 단부를 팁 커버(11)의 외부로 조출 및 삽출 전환시키도록, 측면 방향에서 회동 가능케 케이스 몸체(12)에 결합된 제 1, 제 2누름버튼(20, 30)과,
    상기 누름버튼(20, 30)과 각각 경사 미끌림 대우 관계로 상기 케이스 몸체(12)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케 상기 필기 수단의 사이에 결합된 제 1, 제 2경사면체(23, 33)와,
    상기 경사면체(23, 33)가 각각 체결되어 함께 이동 가능한 상기 필기 수단의 일단부에 각각 체결되어 조출 및 삽출 전환의 상태를 유지 및 해제시키는 제 1, 제 2착탈구(60, 70)와,
    상기 필기 수단을 원위치 시키도록 복원력이 작용되게, 상기 케이스 몸체(12)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단(16)에 지지되는 스프링(94, 95)과,
    상기 착탈구(60, 70)의 걸림돌기(62, 72)에 체결되도록 상기 케이스 몸체(12)의 내표면에 형성된 제 1, 제 2걸림요홈(17, 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구(60, 70)는 중앙의 지지단(61, 71)을 기준으로 'ㄷ'자 형상을 갖되, 상기 지지단(61, 71)의 우측에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체결편(69, 79)과, 상기 체결편(69, 79)의 끝단에서 우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62, 72)와, 상기 지지단(61, 71)의 좌측에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 해제편(68, 78)과, 상기 해제편(68, 78)의 끝단에서 우측으로 돌출된 반원형의 해제돌기(63, 73)와, 상기 체결편(69, 79)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피해제돌기(65, 75)를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69, 79)과 상기 해제편(68, 78)은 가로 탄성단(64, 74)으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단(61, 71)과 함께 삽착 및 탈착 체결에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경사면체(23)의 경사면(24)은 상기 제 2경사면체(33)의 경사면(34)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연장된 길이와 완만한 경사각을 갖고, 상기 제 1경사면체(23)의 직선 이동길이가 상기 제 2경사면체(23)의 직선 이동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기 수단은 샤프 기능을 위한 샤프 내통(40)과 볼펜 기능을 위한 볼펜심(50)으로 이루어지며, 조출 및 삽출 전환시 발생하는 휨 변형이 샤프 내통(40)에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시키도록 상기 샤프 내통(40)의 축길이가 상기 볼펜심(50)의 축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걸림요홈(17)은 흑연심 조출시 여유 이동 길이를 주기 위해 직사각 장공의 형상을 갖고, 상기 제 2걸림요홈(18)은 단순 삽착 및 탈착을 위한 직사각 단공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기구.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걸림요홈(17)은 상기 제 2걸림요홈(18)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팁 커버(11)쪽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 2걸림요홈(18)은 상기 제 1걸림요홈(17)과 약간의 간격을 두고 상기 케이스 몸체(12)의 반대편 내표면에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기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몸체(12)의 전방 부위(12b)는 상기 제 1, 제 2걸림요홈(17, 18)을 형성한 쪽 부위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그 내표면이 대체로 타원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기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걸림요홈(17, 18)은 별도로 제작된 부싱(12d)의 내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부싱(12d)이 상기 케이스 몸체(12)의 전방 부위(12c)의 내부에 부착 또는 접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기구.
KR1020020059279A 2002-09-30 2002-09-30 복합 필기구 KR200400281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279A KR20040028160A (ko) 2002-09-30 2002-09-30 복합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279A KR20040028160A (ko) 2002-09-30 2002-09-30 복합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160A true KR20040028160A (ko) 2004-04-03

Family

ID=37330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279A KR20040028160A (ko) 2002-09-30 2002-09-30 복합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81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3629A (en) Writing implement including an input stylus
CN110014771B (zh) 一种扭转卡位笔
RU2358881C2 (ru) Штемпель и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штемпельной подушки
EP2060370B1 (en) Hand tool
CN112389114B (zh) 一种笔夹提拉摁压三操笔
EP1872968B1 (en) Slide pen
US9039316B2 (en) Writing instrument having a protective element for the retractable tip
EP1153767A3 (en) Safety knock-type writing utensil
US3652172A (en) Sliding clip actuated pen
KR20040028160A (ko) 복합 필기구
CN109311342B (zh) 带有可借助单个按钮伸缩的两个头部的手持装置
KR100370508B1 (ko) 측면 노크식 복합 필기구
CN110239260B (zh) 一种错位内旋笔
US20050130029A1 (en) Battery pack mount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20220219482A1 (en) Retractable Writing Implement
US6200050B1 (en) Automatic bounce device for a center stick in a pen
CN216331077U (zh) 按动式笔
KR200249674Y1 (ko) 측면 노크식 복합 필기구
US7494294B1 (en) Pen with dual extension/retraction cartridges
CN218228457U (zh) 按压式笔
CN218197660U (zh) 一种自动铅笔
CN216915314U (zh) 按动式书写笔
KR101246823B1 (ko) 필기구
US20230406030A1 (en) Pressing type writing instrument
CN210706545U (zh) 改良型印台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