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7175A -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에지라우터의 트래픽 처리 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에지라우터의 트래픽 처리 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7175A
KR20040027175A KR1020020058945A KR20020058945A KR20040027175A KR 20040027175 A KR20040027175 A KR 20040027175A KR 1020020058945 A KR1020020058945 A KR 1020020058945A KR 20020058945 A KR20020058945 A KR 20020058945A KR 20040027175 A KR20040027175 A KR 20040027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flow
input
transmission
dis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명
김세훈
김이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20058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7175A/ko
Publication of KR20040027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17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0Traffic poli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83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individual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2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discarding or delaying data units, e.g. packet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이하 TCP/IP라 함)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망에서 에지 라우터가 트래픽 흐름제어와 폭주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에지 라우터의 트래픽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지 라우터의 트래픽 처리방법은, 패킷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 패킷을 플로우별로 분류하고, 상기 입력 패킷이 새로운 플로우의 첫 번째 패킷이면 플로우 테이블에 상기 플로우에 대한 엔트리를 생성하는 플로우 테이블 생성단계와; 상기 플로우 테이블 생성단계 후, 상기 플로우의 서비스 종류와 서비스 등급을 기반으로 상기 플로우에 해당하는 패킷의 전송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한 메터 파라미터값을 설정하여 상기 플로우 테이블에 저장하는 파라미터 설정단계와; 상기 플로우에 해당하는 상기 첫 번째 패킷 내지 추후에 입력되는 패킷에 대해, 상기 플로우 테이블의 메터 파라미터값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 패킷의 전송 적합성을 판별하여, 상기 입력 패킷의 폭주시 폐기 여부를 결정하는 폐기 결정단계와; 상기 입력 패킷에 상기 폐기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폭주시 폐기 여부 결과를 표시하는 폐기 결과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코어 라우터가 네트워크 폭주 발생시, 폭주시 폐기하기로 결정된 패킷을 우선적으로 폐기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에지 라우터의 트래픽 처리방법 및 기록매체{Traffic processing method on a edge router in TCP/IP network}
본 발명은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이하 TCP/IP라 함)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망에서 에지 라우터가 트래픽 흐름제어와 폭주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에지 라우터에 트래픽 흐름제어와 폭주제어를 동시에 수행하는 트래픽 처리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인터넷은 전 세계의 정보매체를 연결하는 비영리적 성격의 정보통신망으로 출발하였으며, 최근 들어 PC 통신과 WWW(World Wide Web) 등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한 인터넷 트래픽의 폭발적인 증가에 따라 미래 정보사회의 핵심 인프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미래의 정보통신망으로 주목되던 비동기전송방식(ATM : Asynchronous Transfer Mode) 통신망은 Native ATM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이용한 응용서비스의 개발이 아직 전 세계적으로 매우 미미한 상태이며, 인터넷의 상업적 활용이 주요 이슈로 대두되고 있어 당분간 모든 응용서비스의 플랫폼은 TCP/IP 기반의 인터넷이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TCP/IP 프로토콜은 응용계층(Application Layer)과 전송계층(Transmission Layer)과 인터넷계층(Internet Layer) 및 물리계층(Physical Layer)으로 이루어진다. 현재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전송계층프로토콜에는 전송제어프로토콜(TCP)과 같이 네트워크의 상태를 고려하여 전송률을 조절하는 프로토콜과, 사용자 데이터그램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과 같이 네트워크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무조건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이 있다.
TCP는 네트워크 상태를 고려하여 전송률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프로토콜로서, TCP 단말들(클라이언트나 서버) 사이에 TCP 세션이 성립되어 데이터를전송할 때 TCP 윈도우 크기를 이용하여 한 번에 전송할 데이터 양을 결정한다. 데이터 정보원인 TCP 단말은 데이터를 전송한 후, 패킷의 왕복시간(Round Trip Time : 이하 RTT라 함)을 이용하여 계산된 재전송 타임아웃(Retransmission Time Out : 이하 RTO라 함) 동안에, 응답(ACK) 메시지가 도착되지 않으면 네트워크에 폭주가 발생한 것으로 생각하고 윈도우 크기를 줄인다. 결과적으로, 네트워크의 폭주로 인한 패킷의 손실은 RTO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윈도우의 크기와 한 번에 전송할 데이터 양이 감소한다.
한편, TCP 단말은 피드백(feed back) 제어가 없는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서비스 타임, 수율(throughput)의 변화, 단대단(end to end, user to user) 지연, 패킷 손실 등으로부터 네트워크의 폭주를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네트워크 폭주는 폭주 상태인 라우터(Router)의 수, 연결의 트래픽 패턴, 라우팅의 변화, 큐잉 지연에 의한 전송지연 등과 같은 여러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TCP 단말이 네트워크의 폭주를 판단하거나 폭주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러한 네트워크 폭주의 감지 및 그 정도, 지속 기간 등에 대한 제어는 라우터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현재 인터넷 게이트웨이나 라우터에서 폭주 제어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알고리즘으로, 패킷 폐기 알고리즘인 RED(Random Early Detection)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 RED 알고리즘은 큐를 감시하다가 평균 큐 크기가 임계치를 넘으면 임의적으로 하나의 연결을 선택하여 그 연결에 속한 패킷을 폐기한다. 이때, 어떤 연결이 선택될 확률은 입력되는 연결의 트래픽 양에 비례한다.
이상과 같이 종래에는 TCP 단말에서 트래픽 흐름제어가 이루어졌고, 라우터에서 네트워크의 폭주제어가 이루어졌다. 즉, TCP 흐름제어와 네트워크의 폭주제어가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폭주에 적절하게 대처하거나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에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에지 라우터가 일반적인 TCP 흐름제어를 수행함과 아울러 패킷의 재전송 여부 및 윈도우 크기를 기반으로 폭주제어를 하도록 함으로써, 성능을 최적화하는 트래픽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TCP/IP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TCP/IP 네트워크에서 디프서브(DiffServ)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에지 라우터의 컨디션너(conditioner)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지 라우터의 트래픽 처리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분류기(classifier)22 : 메터(meter)
23 : 마커(marker)24 : 쉐이퍼(shap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에지 라우터의 트래픽 처리방법은, 상기 에지 라우터는 패킷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 패킷을 플로우별로 분류하고, 상기 입력 패킷이 새로운 플로우의 첫 번째 패킷이면 플로우 테이블에 상기 플로우에 대한 엔트리를 생성하는 플로우 테이블 생성단계와;
상기 플로우 테이블 생성단계 후, 상기 플로우의 서비스 종류와 서비스 등급을 기반으로 상기 플로우에 해당하는 패킷의 전송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한 메터 파라미터값을 설정하여 상기 플로우 테이블에 저장하는 파라미터 설정단계와;
상기 플로우에 해당하는 상기 첫 번째 패킷 내지 추후에 입력되는 패킷에 대해, 상기 플로우 테이블의 메터 파라미터값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 패킷의 전송 적합성을 판별하여, 상기 입력 패킷의 폭주시 폐기 여부를 결정하는 폐기 결정단계와;
상기 입력 패킷에 상기 폐기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폭주시 폐기 여부 결과를 표시하는 폐기 결과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코어 라우터가 네트워크 폭주 발생시, 폭주시 폐기하기로 결정된 패킷을 우선적으로 폐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에지 라우터에 상술한 바와 같은 트래픽 처리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에지 라우터의 트래픽 처리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TCP/IP 네트워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TCP/IP 네트워크는 도시되지 않은 TCP 단말과 연결되는 에지 라우터들(11, 13)과 에지 라우터들(11, 13)을 연결하는 코어 라우터(12)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에지 라우터(11, 13)에는 응용 서비스별로 트래픽 스펙이 제공되는데, 이는 도시되지 않은 중앙 집중식 정책 관리시스템을 통해 산출되어 에지 라우터(11, 13)에 제공된다.
중앙 집중식 정책 관리시스템이 응용 서비스별로 트래픽 스펙을 산출하는 과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바, 여기서는 자세한 언급은 하지 않는다. 이 트래픽 스펙의 산출은 트래픽 모델링 및 분석부분으로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트래픽 모델링은 응용 서비스의 트래픽 발생에 대한 분석을 통해 수학적으로 모델을 만들 수 있는 전송율, 버스트 크기 등과 같은 파라미터값을 산출한다. 본 발명은 TCP를 이용하는 플로우의 패킷에만 적용되고, TCP를 이용하지 않은 플로우의 패킷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즉, TCP를 이용하지 않은 플로우의 패킷은 에지 라우터에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컨디션너를 통과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임의의 플로우의 첫 번째 패킷이 에지 라우터(11)에 도착하면, 에지 라우터(11)는 응용서비스의 플로우 정보 및 패킷 헤더정보를 이용하여 플로우 정보 테이블을 구성한다. 이 플로우 정보 테이블에는 아래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플로우별로 출발지 IP주소(SRC IP), 목적지 IP주소(DST IP), 출발지 포트번호(SRC Port), 목적지 포트번호(DST Port), 사용 프로토콜(Protocol), 최대패킷전송률(Peak Packet Rate), 가용패킷전송률(Sustainable Packet Rate), 최대버스트크기(MBS : Maximum Burst Size), 가용버스트크기(SBS : Sustainable Burst Size), 전송일련번호(TSN : Transfer Serial Number)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최대버스트크기와 가용버스트크기는 해당 에지 라우터의 토큰 수와 서비스율을 곱한 후 버켓크기를 더하여 구할 수 있다.
Flow ID SRC IP DST IP SRCPort DST Port Protocol PPR SPR MBS SBS TSN
1 x.x.x.x x.x.x.x xxxx xxxx x
2 x.x.x.x x.x.x.x xxxx xxxx x
... ... ... ... ... ...
... ... ... ... ... ...
n x.x.x.x x.x.x.x xxxx xxxx x
도 2는 TCP/IP 네트워크에서 디프서브(DiffServ) 아키텍처의 컨디션너(Conditioner)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디프서브(차등화 서비스) 아키텍처는 실시간 응용 서비스의 패킷 흐름들의 집합을 단위로 서비스 차별을 하여 대규모 망에서 확장성을 갖고 다양한 서비스를 간편히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말한다. 이 디프서브(DS) 아키텍처는 어떤 흐름(플로우)집합을 한 단위로 하여 집합별로 서로 다른 패킷 전달 품질을 제공하고, 흐름 식별을 필요로 하는 DS 바이트 기록 등 복잡한 트래픽 흐름제어기능은 모두 가장자리인 에지 라우터에서만 일어나도록 하고, 내부의 코어 라우터에서는 아주 간단한 패킷 전달기능만 수행되도록 하여 여러 인터넷 정보 제공자(ISP) 망이 연결된 큰 규모의 인터넷 망에 적용 가능하도록 확장성을 갖는다. 디프서브 아키텍처에서 트래픽 흐름 제어를 위해 에지 라우터는 컨디션너를 포함한다.
도 2는 컨디션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이는 분류기(classifier)(21)와, 메터(meter)(22)와, 마커(marker)(23), 및 쉐이퍼(shaper)(24)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이 컨디션너는 트래픽의 흐름제어를 위해 이용되어 왔으나, 본 발명은 이 컨디션너를 이용하여 폭주제어까지 이루어지도록 한다.
분류기(21)는 임의의 플로우(flow)의 첫 번째 패킷이 입력되면, 해당 패킷이 TCP 패킷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패킷 헤더내의 특정영역들을 참고로 하여 해당 플로우(flow)의 응용 서비스 종류를 파악하고 서비스 등급(class)을 분류한다. 그리고, 해당 패킷의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위의 표 1과 같은 플로우 테이블을 구성한다. 이 디프서브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는 TCP 패킷의 헤더에는 ToS(Type OfService) 필드가 포함되는데, 이 ToS 필드는 6비트의 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point)와, 2비트의 CU(Currently Unused)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2 비트의 CU 중 한 비트를 폐기 플래그로 지정하고, 패킷의 상태에 따라 폐기 플래그를 세팅한다.
메터(22)는 해당 패킷의 재전송 여부, 서비스 등급, 해당 플로우의 응용 서비스 종류, 및 윈도우 크기에 따라 ToS 필드의 폐기 플래그의 세팅 여부를 결정하는데, 코어 라우터는 네트워크에 폭주가 발생하였을 때 이 폐기 플래그가 세팅된 패킷을 우선적으로 폐기한다.
다음은 메터(22)가 폐기 플래그의 세팅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해당 패킷이 재전송 패킷이면 무조건 폐기 플래그를 리셋하여 해당 패킷이 폭주로 인하여 폐기되지 않도록 한다. 해당 패킷이 재전송패킷이 아니면 서비스 등급과 응용 서비스 종류, 및 윈도우의 크기에 따라 해당 패킷의 폐기 여부를 결정한다.
해당 플로우가 실시간 서비스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플로우의 윈도우 크기가 그 플로우의 서비스 등급과 응용 서비스 종류에 의해 설정된 가용버스트크기(SBS : sustainable burst size)와 최대버스트크기(MBS : maximum burst size) 사이에 있을 경우에는 ToS 필드의 폐기 플래그를 '1'로 세팅한다. 한편, 해당 플로우의 윈도우 크기가 가용버스트크기(SBS)보다 작은 경우에는 ToS 필드의 폐기 플래그를 리셋한다. 그리고, 해당 플로우의 윈도우 크기가 최대버스트크기(MBS)보다 큰 경우에는 해당 패킷은 바로 폐기한다.
한편, 해당 플로우가 실시간을 요하는 방송 서비스나 비디오 종류의 서비스인 경우에는, 최대패킷전송율(PPR)과 가용패킷전송율(SPR) 정보를 이용하여 폐기 플래그의 세팅 여부를 결정하여, 해당 응용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을 보장한다. 그리고, 텔넷(telnet)과 같은 작은 플로우를 형성하는 응용 서비스에 대해서는 폐기 플래그를 리셋한다.
이렇게 메터(22)가 해당 패킷의 폐기 플래그 세팅 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과를 마커(23)에 알려주면, 마커(23)는 해당 패킷의 헤더내의 ToS 필드의 폐기 플래그에 그 결과를 기록하고, 쉐이퍼(24)에게 전달한다.
쉐이퍼(24)는 트래픽 스트림을 트래픽 프로파일에 맞추기 위해 해당 플로우를 지연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에지 트래픽의 트래픽 처리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패킷이 입력되면(S301), 해당 패킷을 플로우별로 분류한다(S302). 해당 패킷이 TCP 패킷 즉, 해당 플로우가 TCP 플로우가 아니면(S303), 다른 절차를 수행한다(S304). 그러나 해당 플로우가 TCP 플로우이면(S303), 해당 패킷이 해당 플로우의 첫 번째 패킷인지 즉, 해당 플로우가 새로운 플로우인지를 감지한다. 해당 플로우가 새로운 플로우인지 여부는 플로우 테이블에 해당 플로우가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면 알 수 있다.
해당 플로우가 새로운 플로우이면(S305), 플로우 테이블에 새로운 엔트리를 생성하고(S306), 해당 패킷의 서비스 종류와 서비스 등급에 따라 메터 파라미터값을 설정하여 플로우 테이블에 저장한다(S307). 그러나, 해당 플로우가 새로운 플로우가 아니면(S305), 플로우 테이블의 TSN 필드를 검사하여 입력된 패킷이 재전송 패킷인 지를 검사한다(S308). 해당 입력 패킷이 재전송 패킷이면 해당 패킷의 헤더의 ToS 필드의 폐기 플래그를 '0'으로 마킹한다(S314).
한편, 단계 S307에서 해당 플로우의 메터 파라미터값을 설정한 후, 또는 단계 S309에서 해당 패킷이 재전송 패킷이 아니면, 플로우의 윈도우 크기와 단계 S307에서 설정한 메터 파라미터값을 비교하여, 해당 패킷의 전송 적합성을 판별한다(S310). 즉, 현재 플로우의 윈도우 크기가 해당 패킷에 설정된 SBS 또는 SPR과 비교하여 플로우의 윈도우의 크기가 작으면 전송 적합한 것으로 판정하고, 플로우의 윈도우의 크기가 크면 전송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단계 S310의 판별 결과, 해당 패킷의 전송이 적합하면(S311) 단계 S314로 진행하여 해당 패킷의 ToS 필드의 폐기 플래그를 '0'으로 마킹하고, 해당 패킷의 전송이 적합하지 않으면(S311) 해당 패킷의 ToS 필드의 폐기 플래그를 '1'로 마킹한다(S312). 단계 S312와 단계 S314에서, 해당 패킷의 ToS 필드의 폐기 플래그를 마킹한 후, 다음 노드로 해당 패킷을 전송한다(S313).
본 발명은 디프서브(DiffServ)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컨디션너를 설정하고, 네트워크 폭주시 PHB(Per Hop Behavior)에 의해 패킷을 폐기한다.
위에서 양호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이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보호범위는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며, 위와 같은 변화예나 변경예 또는 조절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TCP/IP 네트워크에서 그 동안 단말의 TCP알고리즘에 의해 흐름 제어를 함으로써 발생하는 전송의 비효율성과 불공정성을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의 에지 라우터에서 디프서브(DiffServ)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TCP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각 플로우에 공정한 네트워크 자원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에지 라우터가 트래픽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지 라우터는 패킷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 패킷을 플로우별로 분류하고, 상기 입력 패킷이 새로운 플로우의 첫 번째 패킷이면 플로우 테이블에 상기 플로우에 대한 엔트리를 생성하는 플로우 테이블 생성단계와;
    상기 플로우 테이블 생성단계 후, 상기 플로우의 서비스 종류와 서비스 등급을 기반으로 상기 플로우에 해당하는 패킷의 전송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한 메터 파라미터값을 설정하여 상기 플로우 테이블에 저장하는 파라미터 설정단계와;
    상기 플로우에 해당하는 상기 첫 번째 패킷 내지 추후에 입력되는 패킷에 대해, 상기 플로우 테이블의 메터 파라미터값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 패킷의 전송 적합성을 판별하여, 상기 입력 패킷의 폭주시 폐기 여부를 결정하는 폐기 결정단계와;
    상기 입력 패킷에 상기 폐기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폭주시 폐기 여부 결과를 표시하는 폐기 결과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코어 라우터가 네트워크 폭주 발생시, 폭주시 폐기하기로 결정된 패킷을 우선적으로 폐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에지 라우터의 트래픽 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 결정단계는,
    상기 입력 패킷이 재전송 패킷이면 전송 적합한 것으로 판별하고, 폭주시 폐기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에지 라우터의 트래픽 처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터 파라미터값은 플로우의 가용버스트크기(SBS)와 최대버스트크기(MBS)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폐기 결정단계는 상기 입력 패킷의 크기가 상기 가용버스트크기보다 작으면 전송 적합하여 폭주시 폐기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입력 패킷의 크기가 상기 가용버스트크기보다 크면 전송 부적합하여 폭주시 폐기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에지 라우터의 트래픽 처리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 결정단계는 상기 입력 패킷의 크기가 상기 최대버스트크기보다도 크면 상기 입력 패킷을 바로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에지 라우터의 트래픽 처리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 결과 표시단계는, 상기 입력 패킷의 헤더의 ToS 필드에 설정된 폐기 플래그에 '0' 또는 '1'로 마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에지 라우터의 트래픽 처리방법.
  6.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에지 라우터에,
    패킷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 패킷을 플로우별로 분류하고, 상기 입력 패킷이 새로운 플로우의 첫 번째 패킷이면 플로우 테이블에 상기 플로우에 대한 엔트리를 생성하는 플로우 테이블 생성단계와;
    상기 플로우 테이블 생성단계 후, 상기 플로우의 서비스 종류와 서비스 등급을 기반으로 상기 플로우에 해당하는 패킷의 전송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한 메터 파라미터값을 설정하여 상기 플로우 테이블에 저장하는 파라미터 설정단계와;
    상기 플로우에 해당하는 상기 첫 번째 패킷 내지 추후에 입력되는 패킷에 대해, 상기 플로우 테이블의 메터 파라미터값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 패킷의 전송 적합성을 판별하여, 상기 입력 패킷의 폭주시 폐기 여부를 결정하는 폐기 결정단계와;
    상기 입력 패킷에 상기 폐기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폭주시 폐기 여부 결과를 표시하는 폐기 결과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트래픽 처리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20058945A 2002-09-27 2002-09-27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에지라우터의 트래픽 처리 방법 및 기록매체 KR20040027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945A KR20040027175A (ko) 2002-09-27 2002-09-27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에지라우터의 트래픽 처리 방법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945A KR20040027175A (ko) 2002-09-27 2002-09-27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에지라우터의 트래픽 처리 방법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175A true KR20040027175A (ko) 2004-04-01

Family

ID=37329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945A KR20040027175A (ko) 2002-09-27 2002-09-27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에지라우터의 트래픽 처리 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717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04450A1 (fr) * 2004-04-21 2005-11-03 Zte Corporation Procede de regulation du flux separe de signalisation et de media dans un reseau telephonique ip
KR100798920B1 (ko) * 2005-11-18 2008-0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D방식을 확장한 VoIP 네트워크의 폭주 제어 방법및 이를 위한 장치
US8582575B2 (en) 2009-12-10 2013-11-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ackbone edge switching apparatus and packet processing method of the backbone edge switching apparatus
KR101515581B1 (ko) * 2013-10-29 2015-05-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트래픽의 플로우 제어방법
KR20150104056A (ko) * 2014-03-04 2015-09-14 주식회사 케이티 큐 사이즈의 동적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04450A1 (fr) * 2004-04-21 2005-11-03 Zte Corporation Procede de regulation du flux separe de signalisation et de media dans un reseau telephonique ip
KR100798920B1 (ko) * 2005-11-18 2008-0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D방식을 확장한 VoIP 네트워크의 폭주 제어 방법및 이를 위한 장치
US8582575B2 (en) 2009-12-10 2013-11-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ackbone edge switching apparatus and packet processing method of the backbone edge switching apparatus
KR101515581B1 (ko) * 2013-10-29 2015-05-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트래픽의 플로우 제어방법
KR20150104056A (ko) * 2014-03-04 2015-09-14 주식회사 케이티 큐 사이즈의 동적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5892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queue and buffer control based on monitoring in a packet network switch
WO2006082443A1 (en) Policing networks
US6980549B1 (en) Policy enforcing switch
Chatranon et al. A survey of TCP-friendly router-based AQM schemes
US68393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consistent per-hop forwarding behavior in a network using network-wide per-hop behavior definitions
Taleb et al. An explicit and fair window adjustment method to enhance TCP efficiency and fairness over multihops satellite networks
Taleb et al. REFWA: An efficient and fair congestion control scheme for LEO satellite networks
EP3278500B1 (en) Processing data item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Durresi et al. Achieving QoS for TCP traffic in satellite networks with differentiated services
KR20040027175A (ko)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에지라우터의 트래픽 처리 방법 및 기록매체
WO2017132987A1 (zh) 识别可靠传输协议的数据传输中的丢包类型的方法及系统
JP2003258881A (ja) アダプティブ品質制御方式
KR101333083B1 (ko) 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 플로우별 패킷 데이터 분류 방법 및장치
EP1758313A1 (en) Policing networks
Cisco QC: Index
Kapadia et al. GREEN: a TCP equation-based approach to active queue management
Ito et al. A bandwidth allocation scheme to improve fairness and link utilization in data center networks
Azeem et al. TCP-Friendly traffic conditioners for differentiated services
US2004005743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ioritizing packets of data in a communications system
Nabeshima et al. Performance improvement of active queue management with per-flow scheduling
Jeong et al. CoopRED: Cooperative RED for software defined networks
Köhler et al. Performance comparison of different class-and-drop treatment of data and acknowledgements in diffserv ip networks
Shorfuzzaman et al. Characterizing end-to-end delay performance of randomized TCP using an analytical model
Lin et al. Scalable fair random early detection
Xiang et al. Some methods to improve efficiency of Diffser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