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0285A - Repeater extension unit - Google Patents

Repeater extension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0285A
KR20040020285A KR1020020051855A KR20020051855A KR20040020285A KR 20040020285 A KR20040020285 A KR 20040020285A KR 1020020051855 A KR1020020051855 A KR 1020020051855A KR 20020051855 A KR20020051855 A KR 20020051855A KR 20040020285 A KR20040020285 A KR 20040020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signal
coupling unit
divid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8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95356B1 (en
Inventor
조한신
조형식
신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2-0051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5356B1/en
Priority to AU2003256129A priority patent/AU2003256129A1/en
Priority to PCT/KR2003/001769 priority patent/WO2004021606A1/en
Publication of KR20040020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2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35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expanding a repeater is provided to offer diversity to a PRU(Pico BTS(Base Transceiver Subsystem) Remote Unit) and the repeater irrespective of the number of PRUs and the type of the repeater. CONSTITUTION: The first DC(Directional Coupler) combining unit(100) attenuates a forward transmission signal inputted from the first PRU by a uniform level, and outputs the attenuated forward transmission signal. The first DC combining unit(100) attenuates an inputted reverse reception signal by the uniform level, and outputs the attenuated reverse reception signal to the first PRU. The second DC combining unit(110) attenuates a forward transmission signal inputted from the second PRU by a uniform level, and outputs the attenuated forward transmission signal. The second DC combining unit(110) attenuates an inputted reverse reception signal by the uniform level, and outputs the attenuated reverse reception signal to the second PRU. The third DC combining unit(120) outputs a forward transmission signal inputted from the third PRU, and outputs one among inputted reverse reception signals to the third PRU. The first repeater combining unit(130) divides the forward transmission signal inputted from one among the first to third DC combining units(100,110,120), and outputs the divided forward transmission signals to at least one repeater. The second repeater combining unit(140) attenuates a reverse reception signal inputted from one among repeaters by a uniform level, divides the attenuated reverse reception signal, and outputs the divided reverse reception signals to the second and third DC combining units(110,120). The third repeater combining unit(150) attenuates a reverse reception signal inputted from one among the repeaters by a uniform level, divides the attenuated reverse reception signal, and outputs the divided reverse reception signals to the first and second DC combining units(100,110).

Description

중계기 확장 장치{Repeater extension unit}Repeater extension uni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확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자세하게는, 기지국과 중계기 사이에 연결되어 기지국 및 중계기 모두에 다이버시티 기능을 제공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eater expansion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eater extension device connected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repeater to provide a diversity function to both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현재 기지국에는 표준 기지국(BTS)의 용량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저 용량 지역을 커버하기 위해 저렴하고 컴팩트한 디자인의 초소형 기지국(PICO BTS; 이하에서는 부 중계 장치 라 함)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부 중계 장치는 저렴하고 컴팩트한 반면 용량이 한정되어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적절한 지역에 배치하면 매우 효과적인 셀 기획(Cell Plan)이 가능하다. 부 중계 장치는 FA의 수에 따라 동일 장소에 1 개 내지 3개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지향되어 설치되며, 각 부 중계 장치 간의 결선에 따라 다이버시티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음영 지역에 대한 통화 품질 향상을 위해 중계기를 사용하여 기지국의 하향 RF 신호를 주중계기(Master)를 통해 부중계기(Slave)로 전송한 후 송출하고, 중계기로 수신된 상향 RF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함으로써, 음영 지역에서의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RF 신호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기지국 자체에 포함된 입출력 단자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기지국의 안테나단에 방향성 결합기를 설치하여 RF 신호를 추출하기도 한다. 중계기는 기지국과 마찬가지로 다이버시티 기능을 제공한다.Currently, many base stations use PICO B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ary relay device) of low cost and compact design to cover a low capacity area that does not require the capacity of a standard base station (BTS). Secondary relays have the disadvantage of being inexpensive and compact while having limited capacity, but can be very effective in cell planning when placed in the appropriate area. One to three secondary relays are installed in the same place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FAs, and provide diversity functions according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ary relays. Meanwhile, in order to improve the call quality for the shadow area, the downlink RF signal of the base station is transmitted to the slave repeater through the master repeater (Master) and then transmitted using the repeater, and the uplink RF signal received by the repeater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By transmitting, the call quality in the shadow area is improved. In order to extract an RF signal from a base station, an input / output terminal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itself may be used, but an RF signal may be extracted by installing a directional coupler at an antenna terminal of the base station. Repeaters, like base stations, provide diversity.

그러나, 실제로 부 중계 장치와 중계기간의 결선 방법에 따라 부 중계 장치의 다이버시티 기능이 상실되거나 또는 중계기의 다이버시티 기능이 상실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도 1a 내지 도 1b는 중계기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 중계 장치의 다이버시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부 중계 장치의 수에 따른 바람직한 결선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b는 부 중계 장치가 2개 일 때, 부 중계 장치 또는 중계기의 다이버시티가 상실된 결선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However, there is a situation in which the diversity function of the secondary relay device is lost or the diversity function of the repeater is lost depending on the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secondary relay device and the relay period. 1A to 1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preferred wiring metho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condary relay devices for implementing the diversity function of the secondary relay device when the relays are not coupled, and FIGS. 2A to 2B are secondary relay devices. 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wiring method in which the diversity of the secondary repeater or repeater is lost.

도 1a는 부 중계 장치가 2개일 때의 바람직한 결선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FA1 부 중계 장치(PRU; PICO BTS Remote Unit)의 DUP(Duplexer) 단자는 FA2 부 중계 장치의 DIV(Diversity) 단자와 결선되어 있으며, FA1 부 중계 장치의 DIV 단자는 FA2 부 중계 장치의 DUP 단자와 각각 결선되어 있다. FA1 부 중계 장치의 Tx 신호는 듀플렉서(10)로부터 안테나를 통해 출력되고, FA2 부 중계 장치의 Tx 신호는 듀플렉서(20)로부터 안테나를 통해 출력된다. Rx1(11, 21)의 입력단은 연결되지 않으며(Not-Connected; 도면에서는 (N.C)로 표시함), 2-접점 스위치(13, 23)는 PLD에 의해 자동으로 스위칭된다. 상술한 부 중계 장치의 단자간 결선에 따라, FA1 부 중계 장치의 다이버시티는 FA2 부 중계 장치의 2:1 분배기(12)로부터 제공되고, FA2 부 중계 장치의 다이버시티는 FA1 부 중계 장치의 2:1 분배기(22)로부터 제공된다.Fig. 1A shows a preferred wiring method when there are two secondary relay devices. The DUP (Duplexer) terminal of FA1 PRU (PICO BTS Remote Unit) is connected to the DIV (Diversity) terminal of FA2 sub repeater, and the DIV terminal of FA1 sub repeater is connected to the DUP terminal of FA2 sub repeater. Each is wired. The Tx signal of the FA1 secondary relay is output from the duplexer 10 through the antenna, and the Tx signal of the FA2 secondary relay is output from the duplexer 20 through the antenna. The input terminals of Rx1 (11, 21) are not connected (Not-Connected; denoted as (N.C) in the figure), and the two-contact switches 13, 23 are automatically switched by the PLD. In accordance with the terminal-to-terminal connection of the secondary relay described above, the diversity of the FA1 secondary relay is provided from the 2: 1 distributor 12 of the FA2 secondary relay, and the diversity of the FA2 secondary relay is 2 of the FA1 secondary relay. 1 is provided from the dispenser 22.

도 1b는 부 중계 장치가 3개일 때의 바람직한 결선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FA1 부 중계 장치의 DUP 단자는 FA2 부 중계 장치의 DIV 단자와 결선되어 있으며, FA1 부 중계 장치의 DIV 단자는 FA3 부 중계 장치의 DUP 단자와 각각 결선되어 있다. 그리고, FA2 부 중계 장치의 DUP 단자는 FA3 부 중계 장치의 DIV 단자에 결선되어 있다. 따라서, FA1 부 중계 장치의 다이버시티는 FA3 부 중계 장치로부터, FA2 부 중계 장치의 다이버시티는 FA1 부 중계 장치로부터 그리고, FA3 부 중계 장치의 다이버시티는 FA2 부 중계 장치로부터 각각 제공된다.Fig. 1B shows a preferred wiring method when there are three secondary repeaters. DUP terminal of FA1 subsidiary relay device is connected with DIV terminal of FA2 subsidiary relay device, and DIV terminal of FA1 subsidiary relay device is connected with DUP terminal of FA3 subsidiary relay device, respectively. The DUP terminal of the FA2 secondary relay is connected to the DIV terminal of the FA3 secondary relay. Accordingly, the diversity of the FA1 subsidiary relay device is provided from the FA3 subsidiary relay device, the diversity of the FA2 subsidiary relay device from the FA1 subsidiary relay device, and the diversity of the FA3 subsidiary relay device from the FA2 subsidiary relay device.

도 2a를 참조하면, 부 중계 장치의 Rx1 입력 단자에 중계기(30)의 Rx1 출력 단자를 연결함으로써, 중계기(30)의 다이버시티가 상실되도록 결선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중계기(30)는 Tx/Rx0 일체형의 중계기이다. 즉, FA1, 2 부 중계 장치의 Rx1(11, 21)의 각 입력 단자에 중계기(30)의 Rx1 출력 단자가 결선되어 있으나, FA1 부 중계 장치와 FA2 부 중계 장치간의 결선에 의해 2-접점 스위치가 off(즉, DIV 단자에 연결)되므로, 중계기(30)의 Rx1 신호는 FA1, 2 부 중계 장치에 입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중계기의 다이버시티 기능은 구현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2A, a state in which the diversity of the repeater 30 is lost by connecting the Rx1 output terminal of the repeater 30 to the Rx1 input terminal of the secondary repeater is illustrated. Here, the repeater 30 is a Tx / Rx0 integrated repeater. That is, although the Rx1 output terminal of the repeater 30 is connected to each input terminal of the Rx1 (11, 21) of the FA1, 2 part repeater, the 2-contact switch is connected by the connection between the FA1 part repeater and the FA2 part repeater. Is off (ie, connected to the DIV terminal), the Rx1 signal of the repeater 30 is not input to the FA1, secondary relay. Thus, the diversity function of the repeater is not implemented.

반대의 경우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30)의 다이버시티 구현을 위해 FA1, 2 부 중계 장치가 도 1a에 도시된 결선을 하지 않은 상태이며, FA1, 2 부 중계 장치의 다이버시티가 약해진다. 즉, FA1, 2 부 중계 장치의 2:1 분배기의 분배 신호를 출력하는 DUP 단자가 절연(isolated)된 2:1 분배기(34, 35)에 연결됨으로써, FA1, 2 부 중계 장치의 다이버시티 기능이 약해지거나 상실된다.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2B, in order to implement diversity of the repeater 30, the FA1 and the 2 part relay devices do not have the wiring shown in FIG. 1A, and the diversity of the FA1 and 2 part relay devices. Weakens. That is, the diversity function of the FA1, 2 part repeater is connected to the 2: 1 divider 34, 35 in which the DUP terminal which outputs the distribution signal of the 2: 1 divider of the FA1, 2 part repeater is insulated. This weakens or is lost.

도 2a 내지 도 2b에서 설명한 부 중계 장치 또는 중계기의 다이버시티 상실을 초래하는 결선은 부 중계 장치가 3개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생한다.Wiring resulting in the diversity loss of the sub-relay device or repeater described in FIGS. 2A to 2B occurs in the case of three sub-relay devices.

상술한 부 중계 장치 또는 중계기의 다이버시티 상실은 양 장치간 올바른 결선으로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상술한 부 중계 장치 및 중계기의 다이버시티를 유지하는 결선은 매우 복잡하며, 부 중계 장치의 수 및 중계기의 유형에 따라 수 십 가지의 결선 조합이 발생한다. 따라서, 기지국을 설치 및 운용하는 기술자가 각 상황에 맞는 수 십 가지의 결선 조합을 일일이 설치하고 유지 보수하는 것은 실제적으로 불가능하다.The above-mentioned loss of diversity of the secondary repeater or repeater can be solved by correct wiring between the two devices. In practice, however, the wiring for maintaining the diversity of the above-described secondary relays and repeaters is very complicated, and dozens of combinations of combinations occur depending on the number of secondary relays and the type of repeaters. Therefore,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for a technician who installs and operates a base station to install and maintain dozens of connection combinations for each situation.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부 중계 장치의 수와 중계기의 유형에 상관없이 부 중계 장치와 중계기 사이에 연결되어 부 중계 장치 및 중계기 모두에 다이버시티를 제공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versity device connected to a repeater and a repeater regardless of the number of repeaters and the type of repeater to provide diversity to both the repeater and the repeater. It is to provide an expansion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용자가 부 중계 장치의 수와 중계기의 수 및 유형에 상관없이 미리 정해진 간단한 결선 방법에 따라 부 중계 장치와 중계기를 연결하면 적어도 하나의 부 중계 장치에 최대 8개의 중계기를 연결할 수 있는 중계기 확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ximum of eight repeaters to at least one secondary relay device when the operator connects the secondary relay device and the repeater according to a simple simple connection method regardless of the number of secondary relay devices and the number and type of repeaters. It is to provide a repeater expansion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도 1a 내지 도 1b는 부 중계 장치의 다이버시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PICO BTS의 수에 따른 바람직한 결선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1A to 1B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a preferred wiring metho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ICO BTSs for implementing the diversity function of the secondary relay device.

도 2a 내지 도 2b는 부 중계 장치 또는 중계기의 다이버시티 기능이 상실된 결선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2A to 2B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wiring method in which the diversity function of a subsidiary repeater or repeater is lost.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확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peater expa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중계기 확장 장치의 실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ctual configuration of the repeater expansion device shown in FIG.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확장 장치의 내부 구성과 부 중계 장치간의 결선 관계를 도시한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repeater expansion device and an auxiliary re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확장 장치의 연결 단자가 배열된 예시도.6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connection terminals of the repeater expa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부 중계 장치로 구성된 기지국과 n 개의 중계기 사이에 연결되어 기지국 및 중계기 모두에 다이버시티 기능을 제공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에 있어서, 제1 부 중계 장치로부터 입력된 순방향 Tx 신호를 일정 크기만큼 감쇄하여 출력하고, 입력된 역방향 Rx 신호를 일정 크기 만큼 감쇄하여 상기 제1 부 중계 장치로 출력하는 제1 DC 결합부, 제2 부 중계 장치로부터 입력된 순방향 Tx 신호를 일정 크기만큼 감쇄하여 출력하고, 입력된 역방향 Rx 신호를 일정 크기 만큼 감쇄하여 상기 제2 부 중계 장치로 출력하는 제2 DC 결합부, 제 3 부 중계 장치로부터 입력된 순방향 Tx 신호를출력하고, 입력된 역방향 Rx 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3 부 중계 장치로 출력하는 제3 DC 결합부, 상기 제1 DC 결합부, 상기 제2 DC 결합부 및 상기 제3 DC 결합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순방향 Tx 신호를 분기하여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로 출력하는 제1 중계기 결합부, 상기 중계기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Rx 신호를 일정 크기 만큼 감쇄한 후 분기하여 상기 제2 DC 결합부 및 상기 제3 DC 결합부로 출력하는 제2 중계기 결합부 및 상기 중계기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Rx 신호를 일정 크기 만큼 감쇄한 후 분기하여 상기 제1 DC 결합부 및 상기 제2 DC 결합부로 출력하는 제3 중계기 결합부를 포함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peater expansion device that is connected between the base station consisting of at least one secondary relay device and n repeaters to provide a diversity function to both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the first From the first DC coupling unit, the second sub-relay device to attenuate the forward Tx signal inputted from the secondary relay device by a predetermined amount, and to attenuate the input reverse Rx signal by a predetermined magnitude and output the same to the first secondary relay device. A second DC coupling unit which attenuates the input forward Tx signal by a predetermined magnitude and outputs the attenuated reverse Rx signal by a predetermined magnitude, and outputs it to the second secondary relay; and a forward Tx input from the third secondary relay A third DC coupling unit which outputs a signal and outputs one of the input reverse Rx signals to the third secondary relay device, the first DC A first repeater coupling unit for branching the forward Tx signal inputted from any one of the summation unit, the second DC coupling unit and the third DC coupling unit, and outputting it to at least one repeater; a reverse direction input from any one of the repeaters After attenuating the Rx signal by a predetermined magnitude, branching and attenuating the reverse Rx signal input from any one of the repeater and the second repeater coupling unit and the repeater outputting the second DC coupling unit and the third DC coupling unit A repeater expansion device including a third repeater coupling unit which branches after being output to the first DC coupling unit and the second DC coupling unit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m 개의 부 중계 장치를 구비한 기지국과 n 개의 중계기 사이에 연결되어 기지국 및 중계기 모두에 다이버시티 기능을 제공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m 개의 부 중계 장치의 안테나에 설치된 방향성 결합기에 결합하고, 상기 방향성 결합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Tx 신호를 입력 받는 제1 m:1 디바이더, 상기 m:1 디바이더로부터 출력된 Tx 신호를 분기하여 n개의 중계기로 인가하는 제1 1:n 디바이더, 상기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Rx 신호를 입력 받는 제2 1:n 디바이더, 상기 제1 1:n 디바이더로부터 출력된 Rx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m 개의 부 중계 장치의 안테나에 설치된 방향성 결합기에 인가하는 제2 m:1 디바이더, 상기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Rx 신호를 입력 받는 제3 1:n 디바이더 및 상기 제3 1:n 디바이더로부터 출력된 Rx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m 개의 부 중계 장치의 DIV(Diversity) 단에 설치된 방향성 결합기에 인가하는 제3 m:1 디바이더를 포함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peater extension device connected between a base station having m secondary repeaters and n repeaters to provide a diversity function to both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the antennas of the m secondary relays A first m: 1 divider coupled to a directional coupler provided at the first directional coupler, and receiving a Tx signal from one of the directional couplers, and branching the Tx signal output from the m: 1 divider to n repeaters; An n divider, a second 1: n divider receiving an Rx signal from one of the repeaters, and an Rx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1: n divider are branched and applied to a directional coupler installed in the antennas of the m sub-relay devices. A second m: 1 divider, a third 1: n divider receiving an Rx signal from one of the repeaters, and a third 1: n divider A repeater expansion device including a third m: 1 divider for branching the output Rx signals and applying them to a directional coupler installed at the DIV (Diversity) stages of the m sub-relay devices is provid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첨부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s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it i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an Exampl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확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중계기 확장 장치의 실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peater expa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ctual configuration of the repeater expansion device shown in FIG.

중계기 확장 장치는 제1 DC(Directional coupler; 방향성 결합기) 결합부(100), 제2 DC 결합부(110), 제3 DC 결합부(120), 제1 중계기 결합부(130), 제2 중계기 결합부(140) 및 제3 중계기 결합부(150)를 포함한다.The repeater expansion device includes a first DC coupler 100, a second DC coupler 110, a third DC coupler 120, a first repeater coupler 130, and a second repeater. Coupling unit 140 and the third repeater coupling unit 150 is included.

제1 DC 결합부(100), 제2 DC 결합부(110) 및 제3 DC 결합부(120)는 기지국(이하에서는 부 중계 장치 라 함)과 안테나 사이에 연결된 방향성 결합기로부터 Tx 신호를 입력 받거나 또는 방향성 결합기로 Rx0 신호/Rx1 신호(이하에서는 Rx 신호 라 총칭함)를 입력한다. 이하에서는, 제n DC 결합부에 결합된 방향성 결합기를 제n 방향성 결합기라 한다. 또한, 복수의 부 중계 장치들은 다이버시티를 지원하기 위해 도 1a 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선 되어야 한다. 도 4에서는 3개의 부중계 장치가 중계기 확장 장치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이며, 실제로는 1개 또는 2개의 부 중계 장치가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n 개의 좌측 단자와 m 의 우측 단자를 갖는 디바이더를 n:m 디바이더라고 표기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1:n 디바이더 또는 n:1 디바이더 일측의 n개 단자들은 상호 절연(isolated)되어 있으며, 따라서 n 개의 단자 중 어느 하나로 입력된 신호는 n 개의 다른 단자로는 출력되지 않는다.The first DC coupling unit 100, the second DC coupling unit 110, and the third DC coupling unit 120 may receive a Tx signal from a directional coupler connected between a base st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ary relay device) and an antenna, or Alternatively, the Rx0 signal / Rx1 signal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Rx signal) is input to the directional coupler. Hereinafter, the directional coupler coupled to the nth DC coupler is referred to as an nth directional coupler.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ary relay devices should be connected as shown in FIG. 1A or 1B to support diversity. In FIG. 4, three sub-relay devices are illustrated as being coupled to the repeater expansion device, but this is an example, and in practice, one or two sub-relay devices may be connec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ivider having n left terminals and m right terminals is referred to as an n: m divider based on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n terminals on one side of the 1: n divider or the n: 1 divid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solated from each other, so a signal input to any one of the n terminals is not output to the n other terminals. .

제1 DC 결합부(100)는 DC 연결 단자, 제1 중계기 결합부 연결 단자 및 제3중계기 결합부 연결 단자를 구비하며, 이를 통해 부 중계 장치의 안테나에 설치된 제1 방향성 결합기, 제1 중계기 결합부(130) 및 제3 중계기 결합부(150)에 각각 결합한다. 제1 DC 결합부(100)는 감쇄기(102) 및 이에 직렬로 결합된 1:2 디바이더(104)로 구성된다. 감쇄기(102)는 DC 연결 단자를 통해 제1 방향성 결합기로부터 입력된 Tx 신호를 3dB만큼 감쇄한 후 1:2 디바이더(104)로 출력하고, 반대로 1:2 디바이더(104)로부터 입력된 Rx 신호를 3dB 만큼 감쇄한 후 DC 연결 단자를 통해 제1 방향성 결합기로 출력한다.The first DC coupling unit 100 includes a DC connection terminal, a first repeater coupling unit connecting terminal, and a third repeater coupling unit connecting terminal, through which the first directional coupler and the first repeater coupling are installed in the antenna of the secondary relay device. Couple to the unit 130 and the third repeater coupling unit 150, respectively. The first DC coupling unit 100 is composed of an attenuator 102 and a 1: 2 divider 104 coupled in series thereto. The attenuator 102 attenuates the Tx signal input from the first directional coupler by 3 dB through the DC connection terminal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1: 2 divider 104 and, conversely, the Rx signal input from the 1: 2 divider 104. Attenuate by 3dB and output to the first directional coupler through the DC connection terminal.

제2 DC 결합부(110)는 DC 연결 단자, 제1 중계기 결합부 연결 단자 및 제2 중계기 연결 단자를 구비하며, 이를 통해 부 중계 장치의 안테나에 설치된 제2 방향성 결합기, 제1 중계기 결합부(130) 및 제2 중계기 결합부(140)에 각각 결합한다. 제2 DC 결합부(110)는 감쇄기(112) 및 이에 직렬로 결합된 1:2 디바이더(114)로 구성된다. 감쇄기(112)는 DC 연결 단자를 통해 제2 방향성 결합기로부터 입력된 Tx 신호를 3dB만큼 감쇄한 후 1:2 디바이더(114)로 출력하고, 반대로 1:2디바이더(114)로부터 입력된 Rx 신호를 3dB 만큼 감쇄한 후 DC 연결 단자를 통해 제2 방향성 결합기로 출력한다.The second DC coupling unit 110 includes a DC connecting terminal, a first repeater coupling unit connecting terminal, and a second repeater connecting terminal, through which the second directional coupler and the first repeater coupling unit ( 130 and the second repeater coupling unit 140, respectively. The second DC coupler 110 is composed of an attenuator 112 and a 1: 2 divider 114 coupled in series thereto. The attenuator 112 attenuates the Tx signal input from the second directional coupler by 3 dB through the DC connection terminal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1: 2 divider 114 and, conversely, the Rx signal input from the 1: 2 divider 114. Attenuate by 3dB and output to the second directional coupler through the DC connection terminal.

제3 DC 결합부(120)는 하나의 1:3 디바이더로서, DC 연결 단자인 좌측 단자와, 제1 포트 연결 단자, 제2 포트 연결 단자 및 제3 중계기 결합부 연결 단자인 3개의 우측 단자를 구비하며, 이를 통해 제3 방향성 결합기, 제1 포트(160), 제2 포트(170) 및 제3 중계기 결합부(150)에 각각 결합한다. 제3 DC 결합부(120)는 제3 방향성 결합기로부터 입력된 Tx 신호를 제1 포트 연결 단자로 출력하고, 출력된 Tx 신호는 제1 포트(160)를 통해 제1 중계기 결합부(130)로 인가된다. 그리고, 제3 DC 결합부(120)는 제2 포트 연결 단자 및 제 3 중계기 결합부 연결 단자를 통해 입력된 Rx 신호를 제3 방향성 결합기로 출력한다.The third DC coupling unit 120 is a 1: 3 divider, and includes a left terminal which is a DC connection terminal, and three right terminals that are a first port connecting terminal, a second port connecting terminal, and a third repeater connecting unit connecting terminal. And coupled to the third directional coupler, the first port 160, the second port 170, and the third repeater coupler 150, respectively. The third DC coupling unit 120 outputs the Tx signal input from the third directional coupler to the first por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output Tx signal is output to the first repeater coupling unit 130 through the first port 160. Is approved. In addition, the third DC coupling unit 120 outputs the Rx signal input through the second por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third repeater coupling unit connection terminal to the third directional coupler.

제1 포트(160)는 제1 중계기 결합부 연결 단자 및 제3 DC 결합부 연결 단자를 구비하며, 제3 DC 결합부(120) 및 제1 중계기 결합부(130) 사이에 결합된다. 제1 포트(160)의 제1 중계기 결합부 연결 단자 및 제3 DC 결합부 연결 단자를 연결/연결 해제함으로써, 제3 DC 결합부(120) 및 제1 중계기 결합부(130)를 상호 연결 하거나 또는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The first port 160 includes a first repeater coupling part connecting terminal and a third DC coupling part connecting terminal, and is coupled between the third DC coupling part 120 and the first repeater coupling part 130. By connecting / disconnecting the first relay coupler connection terminal and the third DC coupler connection terminal of the first port 160, the third DC coupler 120 and the first repeater coupler 130 are interconnected, or Or you can disconnect.

제2 포트(170)는 제2 중계기 결합부 연결 단자 및 제3 DC 결합부 연결 단자를 구비하며, 제3 DC 결합부(120)와 제2 중계기 결합부(140) 사이에 결합된다. 제2 포트(170)의 제2 중계기 결합부 연결 단자 및 제3 DC 결합부 연결 단자를 연결/연결 해제함으로써, 제3 DC 결합부(120)와 제2 중계기 결합부(140)를 상호 연결하거나 또는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The second port 170 includes a second repeater coupling part connecting terminal and a third DC coupling part connecting terminal, and is coupled between the third DC coupling part 120 and the second repeater coupling part 140. By connecting / disconnecting the second relay coupler connection terminal and the third DC coupler connection terminal of the second port 170, the third DC coupler 120 and the second repeater coupler 140 may be interconnected. Or you can disconnect.

제1 중계기 결합부(130)는 제1 DC 결합부 연결 단자, 제2 DC 결합부 연결 단자, 제1 포트 연결 단자 및 n 개의 중계기 연결 단자를 구비하며, 이를 통해 제1 DC 결합부(100), 제2 DC 결합부(110), 제3 DC 결합부(120) 및 n 개의 중계기에 각각 결합한다. 제1 중계기 결합부(130)는 제1 DC 결합부(100), 제2 DC 결합부(110), 제3 DC 결합부(1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Tx 신호를 출력하는 3:1 디바이더(132) 및 3:1 디바이더(132)로부터 출력된 Tx 신호를 n 개의 중계기로 분기하여 출력하는 1:n 디바이더(1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계기 확장 장치에 결합된 중계기의 유형이 Tx/Rx0 일체형인 경우에, 1:n 디바이더(134)는 n개의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Rx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3:1 디바이더(132)는 출력된 Rx 신호를 분기하여 제1 DC 결합부(100), 제2 DC 결합부(110) 및 제3 DC 결합부(120)로 출력한다.The first repeater coupling unit 130 includes a first DC coupling unit connecting terminal, a second DC coupling unit connecting terminal, a first port connecting terminal, and n repeater connecting terminals, and thus, the first DC coupling unit 100. , The second DC coupler 110, the third DC coupler 120, and the n repeaters, respectively. The first repeater coupling unit 130 is a 3: 1 divider that outputs a Tx signal input from any one of the first DC coupling unit 100, the second DC coupling unit 110, and the third DC coupling unit 120. And a 1: n divider 134 for branching and outputting the Tx signal output from the 132 and the 3: 1 divider 132 to n repeaters. Here, in the case where the type of repeater coupled to the repeater expansion device is a Tx / Rx0 integrated type, the 1: n divider 134 receives and outputs an Rx signal input from any one of the n repeaters, and the 3: 1 divider ( 132 branches and outputs the output Rx signal to the first DC coupling unit 100, the second DC coupling unit 110, and the third DC coupling unit 120.

제2 중계기 결합부(140)는 제2 DC 결합부 연결 단자, 제2 포트 연결 단자 및 n 개의 중계기 연결 단자를 구비하며, 이를 통해 제2 DC 결합부(110), 제3 DC 결합부(120) 및 n 개의 중계기에 각각 결합한다. 제2 중계기 결합부(140)는 n 개의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Rx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1:8 디바이더(146)와, 1:8 디바이더(146)로부터 출력된 Rx 신호를 3dB 만큼 감쇄하는 감쇄기(144) 및 감쇄기(144)로부터 출력된 Rx 신호를 분기하여 제2 DC 결합부(110) 및 제3 DC 결합부(120)로 출력하는 2:1 디바이더(142)를 포함한다.The second repeater coupling part 140 includes a second DC coupling part connecting terminal, a second port connecting terminal, and n repeater connecting terminals, and thus, the second DC coupling part 110 and the third DC coupling part 120. ) And n repeaters, respectively. The second repeater coupling unit 140 attenuates the Rx signal output from the 1: 8 divider 146 and the 1: 8 divider 146 and receives the Rx signal input from any one of the n repeaters by 3 dB. And a 2: 1 divider 142 for branching the attenuator 144 and the Rx signal outputted from the attenuator 144 to the second DC coupling unit 110 and the third DC coupling unit 120.

제3 중계기 결합부(150) 제1 DC 결합부 연결 단자, 제3 DC 결합부 연결 단자 및 n 개의 중계기 연결 단자를 구비하며, 이를 통해 제1 DC 결합부(100), 제3 DC결합부(120) 및 n 개의 중계기에 각각 결합한다. 제3 중계기 결합부(150)는 n 개의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Rx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1:8 디바이더(156)와, 1:8 디바이더(156)로부터 출력된 Rx 신호를 3dB 만큼 감쇄하는 감쇄기(154) 및 감쇄기(154)로부터 출력된 Rx 신호를 분기하여 제1 DC 결합부(100) 및 제3 DC 결합부(120)로 출력하는 2:1 디바이더(152)를 포함한다.The third repeater coupling part 150 includes a first DC coupling part connecting terminal, a third DC coupling part connecting terminal, and n repeater connecting terminals, and thus, the first DC coupling part 100 and the third DC coupling part ( 120) and n repeaters, respectively. The third repeater coupling unit 150 attenuates the Rx signal output from the 1: 8 divider 156 and the 1: 8 divider 156 and the Rx signal received from any one of the n repeaters by 3 dB. And a 2: 1 divider 152 for branching the Rx signal output from the attenuator 154 and the attenuator 154 to the first DC coupling unit 100 and the third DC coupling unit 120.

이하에서는 3 개의 부 중계 장치가 결합된 중계기 확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Rx 신호는 Rx0 신호와 Rx1 신호로 구분하며, Tx/Rx 분리형 중계기가 결합된 경우의 중계기 확장 장치의 동작을 먼저 설명하고, 이후에 Tx/Rx 일체형 중계기가 결합된 경우의 중계기 확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repeater expansion device combined with three secondary repeating devices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Rx signal is divided into an Rx0 signal and an Rx1 signal, and the operation of the repeater extension device when the Tx / Rx split type repeater is combined is described first, and then the Tx / Rx integrated repeater is combined. The operation of the repeater expansion device will be described.

Tx/Rx 분리형 중계기의 Tx 단, Rx0 단 및 Rx1 단은 각각 제1 중계기 결합부(130), 제2 중계기 결합부(140) 및 제3 중계기 결합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중계기 확장 장치에는 최대 8 개의 Tx/Rx 분리형 중계기가 연결될 수 있다.The Tx, Rx0 and Rx1 stages of the Tx / Rx split type repeat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peater coupling unit 130, the second repeater coupling unit 140, and the third repeater coupling unit 150, respectively. Here, up to eight Tx / Rx split type repeaters may be connected to the repeater expansion device.

제1 부 중계 장치(40) 내지 제3 부 중계 장치(44)로부터 입력된 순방향 Tx 신호는 제1 DC 결합부(100) 내지 제3 DC 결합부(120)에 의해 제1 중계기 결합부(130)로 인가된다. 인가된 Tx 신호는 제1 중계기 결합부(130)에 의해 분기된 후 제1 중계기 내지 제8 중계기의 Tx 단에 입력된다.The forward Tx signal input from the first sub-relay device 40 to the third sub-relay device 44 is transmitted by the first relay coupling unit 130 by the first DC coupling unit 100 to the third DC coupling unit 120. Is applied. The applied Tx signal is branched by the first repeater coupling unit 130 and then input to the Tx terminal of the first to eighth repeaters.

제1 중계기 내지 제8 중계기의 Rx0 단으로부터 출력된 역방향 Rx0 신호 및 Rx1 단으로부터 출력된 역방향 Rx1 신호는 각각 제2 중계기 결합부(140) 및 제3 중계기 결합부(150)로 인가된다. 제2 중계기 결합부(140)는 인가된 역방향 Rx0 신호를 3dB 만큼 감쇄한 후 분기하여 제2 DC 결합부(110) 및 제3 DC 결합부(120)로 인가하며, 제3 중계기 결합부(150)는 인가된 역방향 Rx1 신호를 3dB 만큼 감쇄한 후 분기하여 제1 DC 결합부(100) 및 제3 DC 결합부(120)로 인가한다. 따라서, 제1 DC 결합부(100)는 제1 부 중계 장치(40)로 역방향 Rx1 신호를 직접 출력하고, 제2 DC 결합부(110)는 제2 부 중계 장치(42)로 역방향 Rx0 신호를 직접 출력하며, 제3 DC 결합부(120)는 제3 부 중계 장치(42)로 역방향 Rx0 신호 및 역방향 Rx1 신호를 직접 출력한다. 또한, 제1 부 중계 장치(40) 내지 제3 부 중계 장치(44)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결선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다른 부 중계 장치로부터 궤환된 Rx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reverse Rx0 signal output from the Rx0 end of the first to eighth repeaters and the reverse Rx1 signal output from the Rx1 end are applied to the second repeater coupling unit 140 and the third repeater coupling unit 150, respectively. The second repeater coupling unit 140 attenuates the applied reverse Rx0 signal by 3 dB and then branches and applies it to the second DC coupling unit 110 and the third DC coupling unit 120, and the third repeater coupling unit 150. ) Attenuates the applied reverse Rx1 signal by 3 dB and then branches and applies it to the first DC coupling unit 100 and the third DC coupling unit 120. Accordingly, the first DC coupling unit 100 directly outputs the reverse Rx1 signal to the first secondary relay 40, and the second DC coupling unit 110 outputs the reverse Rx0 signal to the second secondary relay 42. The third DC coupling unit 120 directly outputs the reverse Rx0 signal and the reverse Rx1 signal to the third secondary relay 42. In addition, the first sub-relay device 40 to the third sub-relay device 44 is preferably connected as shown in Figure 1b, which can receive the Rx signal fed back from the other sub-relay device.

Tx/Rx 일체형 중계기의 Tx/Rx0 단 및 Rx1 단은 각각 제1 중계기 결합부(130) 및 제3 중계기 결합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중계기 확장 장치에는 최대 8 개의 Tx/Rx 일체형 중계기가 연결될 수 있다.The Tx / Rx0 stage and the Rx1 stage of the Tx / Rx integrated repeat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peater coupling unit 130 and the third repeater coupling unit 150, respectively. Here, up to eight Tx / Rx integrated repeaters may be connected to the repeater expansion device.

제1 부 중계 장치(40) 내지 제3 부 중계 장치(44)로부터 입력된 순방향 Tx 신호는 제1 DC 결합부(100) 내지 제3 DC 결합부(120)에 의해 제1 중계기 결합부(130)로 인가된다. 인가된 Tx 신호는 제1 중계기 결합부(130)에 의해 분기된 후 제1 중계기 내지 제8 중계기의 Tx/Rx0 단에 입력된다.The forward Tx signal input from the first sub-relay device 40 to the third sub-relay device 44 is transmitted by the first relay coupling unit 130 by the first DC coupling unit 100 to the third DC coupling unit 120. Is applied. The applied Tx signal is branched by the first repeater coupling unit 130 and then input to the Tx / Rx0 stage of the first to eighth repeaters.

제1 중계기 내지 제8 중계기의 Tx/Rx0 단으로부터 출력된 역방향 Rx0 신호 및 Rx1 단으로부터 출력된 역방향 Rx1 신호는 각각 제1 중계기 결합부(130) 및 제3 중계기 결합부(150)로 인가된다. 제1 중계기 결합부(130)는 인가된 역방향 Rx0 신호를 분기하여 제1 DC 결합부(100) 내지 제3 DC 결합부(120)로 인가하며, 제3 중계기 결합부(150)는 인가된 역방향 Rx1 신호를 3dB 만큼 감쇄한 후 분기하여 제1 DC 결합부(100) 및 제3 DC 결합부(120)로 인가한다. 따라서, 제1 DC 결합부(100)는 제1 부 중계 장치(40)로 역방향 Rx0 신호 및 역방향 Rx1 신호를 직접 출력하고, 제2 DC 결합부(110)는 제2 부 중계 장치(42)로 역방향 Rx0 신호를 직접 출력하며, 제3 DC 결합부(120)는 제3 부 중계 장치(44)로 역방향 Rx0 신호 및 역방향 Rx1 신호를 직접 출력한다. 또한, 제1 부 중계 장치(40) 내지 제3 부 중계 장치(44)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결선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다른 부 중계 장치로부터 궤환된 Rx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reverse Rx0 signal output from the Tx / Rx0 stages of the first to eighth repeaters and the reverse Rx1 signal output from the Rx1 stage are applied to the first repeater coupling unit 130 and the third repeater coupling unit 150, respectively. The first repeater coupling unit 130 branches the applied reverse Rx0 signal to the first DC coupling unit 100 to the third DC coupling unit 120, and the third repeater coupling unit 150 is appli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Rx1 signal is attenuated by 3 dB and then branched and applied to the first DC coupling unit 100 and the third DC coupling unit 120. Accordingly, the first DC coupling unit 100 directly outputs a reverse Rx0 signal and a reverse Rx1 signal to the first secondary relay 40, and the second DC coupling unit 110 to the second secondary relay 42. The reverse Rx0 signal is directly output, and the third DC coupling unit 120 directly outputs the reverse Rx0 signal and the reverse Rx1 signal to the third secondary relay 44. In addition, the first sub-relay device 40 to the third sub-relay device 44 is preferably connected as shown in Figure 1b, which can receive the Rx signal fed back from the other sub-relay device.

부 중계 장치의 수에 따른 결선 방법 및 부 중계 장치의 수와 중계기의 유형에 따라 각 부 중계 장치로 입력되는 Rx 신호는 아래 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wiring metho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ub-relays, the number of sub-relays, and the Rx signal input to each sub-relay according to the type of repea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table below.

[표][table]

부 중계장치 수Number of repeaters 부 중계장치 구분Division repeater 직접 Rx 신호: Tx/Rx 일체형 중계기Direct Rx Signal: Tx / Rx Integral Repeater 괘환 Rx 신호: Tx/Rx 일체형 중계기Recurve Rx Signal: Tx / Rx Integrated Repeater 직접 Rx 신호: Tx/Rx 분리형 중계기Direct Rx Signal: Tx / Rx Isolated Repeater 괘환 Rx 신호: Tx/Rx 분리형 중계기Recall Rx Signal: Tx / Rx Detachable Repeater 1One 제1 FA 부중계 장치1st FA Sub Repeater Rx0Rx0 Rx1Rx1 Rx0Rx0 Rx1Rx1 22 제1 FA 부중계 장치1st FA Sub Repeater Rx0Rx0 Rx0, Rx1Rx0, Rx1 Rx0Rx0 Rx0, Rx1Rx0, Rx1 제2 FA 부중계 장치2nd FA Sub Repeater Rx0, Rx1Rx0, Rx1 Rx0Rx0 Rx0, Rx1Rx0, Rx1 Rx0Rx0 33 제1 FA 부중계 장치1st FA Sub Repeater Rx0, Rx1Rx0, Rx1 Rx0, Rx1Rx0, Rx1 Rx1Rx1 Rx0, Rx1Rx0, Rx1

제2 FA 부중계 장치2nd FA Sub Repeater Rx0Rx0 Rx0, Rx1Rx0, Rx1 Rx0Rx0 Rx1Rx1 제3 FA 부중계 장치3rd FA Sub Repeater Rx0, Rx1Rx0, Rx1 Rx0Rx0 Rx0, Rx1Rx0, Rx1 Rx0Rx0

부 중계 장치의 수가 1인 경우에, 듀플렉서와 Tx/Rx0 안테나 사이에 결합된 방향성 결합기는 제2 DC 결합부(110)에 연결되며, Rx1 수신기와 Rx1 안테나 사이에 결합된 방향성 결합기는 제3 DC 결합부(120)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 포트(160) 및 제2 포트(170)는 각각 개방된다. 부 중계 장치의 수가 1인 경우의 직접 Rx 신호는 제2 DC 결합부(110)로부터 출력되는 Rx 신호이고, 괘환 Rx 신호는 Rx1 수신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이다.When the number of secondary relays is 1, the directional coupler coupled between the duplexer and the Tx / Rx0 antenna is connected to the second DC coupling unit 110, and the directional coupler coupled between the Rx1 receiver and the Rx1 antenna is connected to the third DC. It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120. The first port 160 and the second port 170 are open, respectively. The direct Rx signal when the number of secondary relays is 1 is the Rx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DC coupling unit 110, and the feedback Rx signal is the signal output from the Rx1 receiver.

부 중계 장치의 수가 2인 경우, 제1 부 중계 장치의 듀플렉서와 Tx/Rx0 안테나 사이에 결합된 방향성 결합기는 제2 DC 결합부(110)에 연결되며, 제2 부 중계 장치의 듀플렉서와 Tx/Rx0 안테나 사이에 결합된 방향성 결합기는 제3 DC 결합부(120)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 포트(160) 및 제2 포트(170)는 각각 연결되어 제3 DC 결합부(120)와 제1 중계기 연결부(130) 및 제2 중계기 연결부(140)간을 연결한다. 부 중계 장치의 수가 2인 경우의 직접 Rx 신호는 제2 DC 결합부(110) 및 제3 DC 결합부(120)로부터 출력되는 Rx 신호이고, 제1 부 중계 장치의 괘환 Rx 신호는 제2 부 중계 장치의 직접 Rx 신호이고, 제2 부 중계 장치의 괘환 Rx 신호는 제1 부 중계 장치의 직접 Rx 신호이다.When the number of secondary relays is 2, the directional coupler coupled between the duplexer of the first secondary relay and the Tx / Rx0 antenna is connected to the second DC coupling unit 110, and the duplexer and Tx / of the secondary secondary relay are connected. The directional coupler coupled between the Rx0 antennas is connected to the third DC coupler 120. The first port 160 and the second port 17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nect the third DC coupling unit 120, the first repeater connection unit 130, and the second repeater connection unit 140. The direct Rx signal when the number of secondary relays is 2 is the Rx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DC coupling unit 110 and the third DC coupling unit 120, and the feedback Rx signal of the first secondary relay is the second secondary unit. The direct Rx signal of the relay device and the feedback Rx signal of the second secondary relay device are the direct Rx signals of the first secondary relay device.

부 중계 장치의 수가 3인 경우, 제1 부 중계 장치의 듀플렉서와 Tx/Rx0 안테나 사이에 결합된 방향성 결합기는 제1 DC 결합부(100)에 연결되고, 제2 부 중계 장치의 듀플렉서와 Tx/Rx0 안테나 사이에 결합된 방향성 결합기는 제2 DC 결합부(110)에 연결되며, 제3 부 중계 장치의 듀플렉서와 Tx/Rx0 안테나 사이에 결합된 방향성 결합기는 제3 DC 결합부(120)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 포트(160) 및제2 포트(170)는 각각 연결되어 제3 DC 결합부(120)와 제1 중계기 연결부(130) 및 제2 중계기 연결부(140)간을 연결한다. 부 중계 장치의 수가 3인 경우의 직접 Rx 신호는 제1 DC 결합부(100) 내지 제3 DC 결합부(120)로부터 출력되는 Rx 신호이고, 제1 부 중계 장치의 괘환 Rx 신호는 제3 부 중계 장치의 직접 Rx 신호이고, 제2 부 중계 장치의 괘환 Rx 신호는 제1 부 중계 장치의 직접 Rx 신호이며, 제3 부 중계 장치의 괘환 Rx 신호는 제2 부 중계 장치의 직접 Rx 신호이다.When the number of secondary relays is 3, the directional coupler coupled between the duplexer of the first secondary relay and the Tx / Rx0 antenna is connected to the first DC coupling unit 100 and the duplexer and Tx / of the secondary secondary relay are connected. The directional coupler coupled between the Rx0 antennas is connected to the second DC coupling unit 110, and the directional coupler coupled between the duplexer of the third secondary relay and the Tx / Rx0 antenna is connected to the third DC coupling unit 120. do. The first port 160 and the second port 17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nect the third DC coupling unit 120, the first repeater connection unit 130, and the second repeater connection unit 140. The direct Rx signal when the number of secondary relays is 3 is the Rx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DC coupling unit 100 to the third DC coupling unit 120, and the feedback Rx signal of the first secondary relay is the third unit. The direct Rx signal of the relay device, the feedback Rx signal of the second secondary relay device is the direct Rx signal of the first secondary relay device, and the feedback Rx signal of the third secondary relay device is the direct Rx signal of the second secondary relay devic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확장 장치의 내부 구성과 부 중계 장치간의 결선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3개의 부 중계 장치와 8개의 중계기가 결합된 중계기 확장 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repeater expansion device and an auxiliary re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repeater expansion device in which three secondary repeaters and eight repeaters are combin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3 개의 부 중계 장치(40, 42, 44)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선되어 있으며, Tx/Rx0 안테나단 및 DIV 단에 결합된 방향성 결합기(50, 52, 54, 60, 62, 64)를 포함하고 있다. 만일, 부 중계 장치의 수가 2인 경우에는 부 중계 장치들은 중계기 확장 장치의 하단에 3개의 단자로 구성된 연결 단자쌍이 4개가 배열되어 있다. 가장 좌측에 있는 부 중계 장치 연결 단자쌍은 부 중계 장치를 중계기 확장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대 3개의 부 중계 장치가 중계기 확장 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가장 좌측에 있는 부 중계 장치 연결 단자쌍을 제외한 나머지 중계기 연결 단자쌍은 중계기를 중계기 확장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중계기 연결 단자쌍이 하나의 중계기에 대응한다. 중계기 연결 단자쌍은 Tx, Rx0, Rx1 단자가 순서대로 배열되며, 모든 중계기 연결 단자쌍은동일한 구성과 동일한 배열을 갖는다. 따라서, 운용자는 가장 좌측에 위치한 부 중계 장치 단자쌍에 1개 내지 3개의 부 중계 장치를 연결하고, 부 중계 장치의 수에 따라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연결 혹은 차단하며, 나머지 중계기 연결 단자쌍에 중계기의 Tx, Rx0, Rx1 단을 지정된 순서대로만 연결함으로써, 부 중계 장치 및 중계기 모두에 다이버시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ree secondary relays 40, 42, 44 are wired as shown in FIG. 1B and directional couplers 50, 52, 54, 60, 62, 64 coupled to the Tx / Rx0 antenna stage and the DIV stage. It includes. If the number of secondary relays is 2, the secondary relays are arranged with four connection terminal pairs consisting of three terminals at the bottom of the repeater extension. The leftmost secondary relay connecting terminal pair i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condary relay to the repeater expansion device, and up to three secondary relay devices may be coupled to the repeater expansion device. The remaining relay connection terminal pairs except for the leftmost terminal repeater connection terminal pair ar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repeater to the repeater expansion device, and one repeater connection terminal pair corresponds to one repeater. Tx, Rx0 and Rx1 terminals are arranged in order, and all repeater connection terminal pairs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the same arrangement. Therefore, the operator connects one to three secondary relays to the leftmost pair of secondary relay terminals, connects or disconnects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condary relay devices, and the remaining relay connection terminals. By connecting the Tx, Rx0, and Rx1 stages of the repeaters to the pair only in the specified order, diversity can be provided to both the secondary repeater and the repeater.

본 명세서에서는 부 중계 장치와 중계기 사이에 결합되어 부 중계 장치와 중계기 모두의 다이버시티 기능을 지원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해석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repeater extension device coupled between the secondary repeater and the repeater to support the diversity function of both the secondary repeater and the repeater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rpreted only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부 중계 장치의 수와 중계기의 유형에 상관없이 부 중계 장치와 중계기 사이에 연결되어 부 중계 장치 및 중계기 모두에 다이버시티를 제공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가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peater expansion device which is connected between a secondary repeater and a repeater regardless of the number of repeaters and the type of repeater to provide diversity to both the secondary repeater and the repeater.

따라서, 운용자가 부 중계 장치의 수와 중계기의 수 및 유형에 상관없이 미리 정해진 간단한 결선 방법에 따라 부 중계 장치와 중계기를 연결하면 적어도 하나의 부 중계 장치에 최대 8개의 중계기를 연결할 수 있게 되었다.Therefore, if the operator connects the secondary repeater and the repeater according to a simple simple connection method regardless of the number of repeaters and the number and type of repeaters, up to eight repeaters can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secondary repeater.

Claims (11)

적어도 하나 부 중계 장치로 구성된 기지국과 n 개의 중계기 사이에 연결되어 기지국 및 중계기 모두에 다이버시티 기능을 제공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에 있어서,A repeater extension device connected between a base station composed of at least one secondary relay device and n repeaters to provide a diversity function to both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제1 부 중계 장치로부터 입력된 순방향 Tx 신호를 일정 크기만큼 감쇄하여 출력하고, 입력된 역방향 Rx 신호를 일정 크기 만큼 감쇄하여 상기 제1 부 중계 장치로 출력하는 제1 DC 결합부;A first DC coupling unit which attenuates and outputs the forward Tx signal inputted from the first sub-relay device by a predetermined magnitude, and attenuates the input reverse Rx signal by a predetermined magnitude and outputs it to the first sub-relay device; 제2 부 중계 장치로부터 입력된 순방향 Tx 신호를 일정 크기만큼 감쇄하여 출력하고, 입력된 역방향 Rx 신호를 일정 크기 만큼 감쇄하여 상기 제2 부 중계 장치로 출력하는 제2 DC 결합부;A second DC coupling unit which attenuates and outputs the forward Tx signal inputted from the second sub-relay device by a predetermined magnitude, and attenuates the input reverse Rx signal by a predetermined magnitude and outputs it to the second sub-relay device; 제 3 부 중계 장치로부터 입력된 순방향 Tx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된 역방향 Rx 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3 부 중계 장치로 출력하는 제3 DC 결합부;A third DC coupling unit configured to output a forward Tx signal input from a third sub relay, and output one of the input reverse Rx signals to the third sub relay; 상기 제1 DC 결합부, 상기 제2 DC 결합부 및 상기 제3 DC 결합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순방향 Tx 신호를 분기하여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로 출력하는 제1 중계기 결합부;A first repeater coupling unit for branching a forward Tx signal input from any one of the first DC coupling unit, the second DC coupling unit, and the third DC coupling unit to be output to at least one repeater; 상기 중계기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Rx 신호를 일정 크기 만큼 감쇄한 후 분기하여 상기 제2 DC 결합부 및 상기 제3 DC 결합부로 출력하는 제2 중계기 결합부; 및A second repeater coupling unit which attenuates the reverse Rx signal input from any one of the repeaters by a predetermined magnitude and then branches and outputs the branched Rx signal to the second DC coupling unit and the third DC coupling unit; And 상기 중계기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Rx 신호를 일정 크기 만큼감쇄한 후 분기하여 상기 제1 DC 결합부 및 상기 제2 DC 결합부로 출력하는 제3 중계기 결합부를 포함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And a third repeater coupling unit configured to attenuate the reverse Rx signal inputted from any one of the repeaters by a predetermined magnitude and then branch and output the branched Rx signal to the first DC coupling unit and the second DC coupling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DC 결합부 및 상기 제2 DC 결합부는,The first DC coupler and the second DC coupler, 상기 제1 부 중계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순방향 Tx 신호 및 상기 역방향 Rx 신호를 -3dB 감쇄하는 감쇄기; 및An attenuator for attenuating the forward Tx signal and the reverse Rx signal by -3 dB input from the first secondary relay; And 상기 감쇄기에 직렬 결합하며, 상기 감쇄기로부터 출력된 순방향 Tx 신호를 상기 제1 중계기 결합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중계기 결합부 및 상기 제3 중계기 결합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Rx 신호를 상기 감쇄기의 입력으로 제공하는 1:2 디바이더를 포함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Serially coupled to the attenuator, outputting a forward Tx signal output from the attenuator to the first repeater coupling section, and a reverse Rx signal input from any one of the first repeater coupling section and the third repeater coupling section; Repeater expansion unit comprising a 1: 2 divider to provide as inpu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제1 중계기 결합부는,The first repeater coupling portion, 상기 중계기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Rx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제1 DC 결합부, 상기 제2 DC 결합부 및 상기 제3 DC 결합부로 출력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Repeater expansion device for branching the reverse Rx signal input from any one of the repeater and outputs to the first DC coupling unit, the second DC coupling unit and the third DC coupling uni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1 중계기 결합부는,The first repeater coupling portion, 상기 제1 DC 결합부 내지 상기 제3 DC 결합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순방향 Tx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된 역방향 Rx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제1 DC 결합부 내지 상기 제3 DC 결합부로 출력하는 3:1 디바이더; 및Outputting a forward Tx signal input from any one of the first DC coupling unit and the third DC coupling unit, and branching the input reverse Rx signal to output the first DC coupling unit to the third DC coupling unit 3 : 1 divider; And 상기 3:1 디바이더로부터 출력된 순방향 Tx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n 개의 중계기로 출력하고, 상기 n 개의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상기 역방향 Rx 신호를 상기 3:1 디바이더로 출력하는 1:n 디바이더를 포함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A 1: n divider for branching a forward Tx signal output from the 3: 1 divider to the n repeaters and outputting the reverse Rx signal input from any one of the n repeaters to the 3: 1 divider Repeater expansion device that includ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중계기 결합부 및 상기 제3 중계기 결합부는,The second repeater coupling portion and the third repeater coupling portion, 상기 n 개의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역방향 Rx 신호를 출력하는 1:n 디바이더;A 1: n divider for outputting a reverse Rx signal input from any one of the n repeaters; 상기 1:n 디바이더로부터 출력된 상기 역방향 Rx 신호를 ??3dB 감쇄하는 감쇄기; 및An attenuator for attenuating the reverse Rx signal output from the 1: n divider by 3 dB; And 상기 감쇄기로부터 출력된 상기 역방향 Rx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제1 DC 결합부 및 상기 제3 DC 결합부로 출력하는 2:1 디바이더를 포함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And a 2: 1 divider for branching the reverse Rx signal outputted from the attenuator and outputting the reversed Rx signal to the first DC coupling unit and the third DC coupling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중계기의 개수 n은 8인 중계기 확장 장치.Repeater expansion device wherein the number n of repeaters is eigh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2 개의 단자를 통해 상기 제3 DC 결합부와 상기 제1 중계기 결합부 사이에 결합되는 제1 포트; 및A first port coupled between the third DC coupling portion and the first repeater coupling portion through two terminals; And 2 개의 단자를 통해 상기 제3 DC 결합부와 상기 제2 중계기 결합부 사이에 결합되는 제2 포트를 더 포함하되,Further comprising a second port coupled between the third DC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repeater coupling portion through two terminals, 상기 중계기 확장 장치에 결합된 부 중계 장치의 수가 1 이면,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2 포트의 양 단자를 각각 개방하여 상기 제3 DC 결합부와 상기 제1 중계기 결합부 및 상기 제2 중계기 결합부와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는 중계기 확장 장치.When the number of sub-relay devices coupled to the repeater expansion device is 1, both terminals of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are opened to couple the third DC coupling part, the first repeater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repeater coupling. Repeater expansion unit that can block the connection to the department.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중계기 확장 장치에 결합된 부 중계 장치의 수가 2 이상이면, 상기 제1 포트 및 상기 제2 포트의 양 단자를 연결하여 상기 제3 DC 결합부와 상기 제1 중계기 결합부 및 상기 제2 중계기 결합부를 연결할 수 있는 중계기 확장 장치.When the number of sub-relay devices coupled to the repeater expansion device is 2 or more, the third DC coupling part, the first repeater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repeater coupling are connected by connecting both terminals of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port. Repeater expansion unit that can connect departments. m 개의 부 중계 장치를 구비한 기지국과 n 개의 중계기 사이에 연결되어 기지국 및 중계기 모두에 다이버시티 기능을 제공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에 있어서,A repeater extension device connected between a base station having m secondary repeaters and an n repeater to provide a diversity function to both the base station and the repeater, 상기 m 개의 부 중계 장치의 안테나에 설치된 방향성 결합기에 결합하고, 상기 방향성 결합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Tx 신호를 입력 받는 제1 m:1 디바이더;A first m: 1 divider coupled to the directional couplers installed on the antennas of the m sub-relays and receiving a Tx signal from any one of the directional couplers; 상기 m:1 디바이더로부터 출력된 Tx 신호를 분기하여 n개의 중계기로 인가하는 제1 1:n 디바이더;A first 1: n divider for branching the Tx signals output from the m: 1 divider and applying them to n repeaters; 상기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Rx 신호를 입력 받는 제2 1:n 디바이더;A second 1: n divider which receives an Rx signal from any one of the repeaters; 상기 제1 1:n 디바이더로부터 출력된 Rx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m 개의 부 중계 장치의 안테나에 설치된 방향성 결합기에 인가하는 제2 m:1 디바이더;A second m: 1 divider for branching the Rx signals outputted from the first 1: n divider and applying them to the directional couplers installed in the antennas of the m sub-relay devices; 상기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Rx 신호를 입력 받는 제3 1:n 디바이더; 및A third 1: n divider which receives an Rx signal from any one of the repeaters; And 상기 제3 1:n 디바이더로부터 출력된 Rx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m 개의 부 중계 장치의 DIV(Diversity) 단에 설치된 방향성 결합기에 인가하는 제3 m:1 디바이더를 포함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And a third m: 1 divider for branching the Rx signals outputted from the third 1: n dividers and applying them to the directional couplers installed at the DIV (Diversity) stages of the m sub-relay devices.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m은 1 내지 3이고, 상기 n은 1 내지 8인 중계기 확장 장치.M is 1 to 3, and n is 1 to 8.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1 1:n 디바이더는 상기 중계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Rx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제1 m:1 디바이더로 출력하고,The first 1: n divider receives an Rx signal from one of the repeaters and outputs the Rx signal to the first m: 1 divider, 상기 제1 m:1 디바이더는 상기 Rx 신호를 분기하여 상기 m 개의 부 중계 장치의 안테나에 설치된 방향성 결합기에 인가하는 중계기 확장 장치.And the first m: 1 divider branches the Rx signals and applies them to the directional couplers installed in the antennas of the m subsidiary repeaters.
KR10-2002-0051855A 2002-08-30 2002-08-30 Repeater extension unit KR1004953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855A KR100495356B1 (en) 2002-08-30 2002-08-30 Repeater extension unit
AU2003256129A AU2003256129A1 (en) 2002-08-30 2003-08-30 Repeater extension unit
PCT/KR2003/001769 WO2004021606A1 (en) 2002-08-30 2003-08-30 Repeater extension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855A KR100495356B1 (en) 2002-08-30 2002-08-30 Repeater extension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285A true KR20040020285A (en) 2004-03-09
KR100495356B1 KR100495356B1 (en) 2005-06-14

Family

ID=31973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855A KR100495356B1 (en) 2002-08-30 2002-08-30 Repeater extension unit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95356B1 (en)
AU (1) AU2003256129A1 (en)
WO (1) WO200402160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79764C1 (en) * 2005-07-27 2006-07-10 Юрий Алексеевич Громаков Cell communication system and nodes of sai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492A (en) * 1994-12-23 1996-07-22 권혁조 Relay method for digital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ellular
JP2715982B2 (en) * 1995-03-31 1998-02-18 日本電気株式会社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5918154A (en) * 1995-08-23 1999-06-29 Pcs Wireless, Inc. Communications systems employing antenna diversity
JPH09107319A (en) * 1995-10-12 1997-04-22 R C S:Kk Two-way relay amplifier
KR970060743A (en) * 1996-01-24 1997-08-12 정태기 Wireless signal relaying method
JPH11252616A (en) * 1998-03-04 1999-09-17 Kokusai Electric Co Ltd Optical conversion repeater
KR20030014894A (en) * 2001-08-13 2003-02-20 주식회사 네오텔레콤 A Transceiver For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Using Tx/Rx Diversity Method
KR20030071111A (en) * 2002-02-27 2003-09-03 삼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relay for duplication electron wave of the interior of a ro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5356B1 (en) 2005-06-14
WO2004021606A1 (en) 2004-03-11
AU2003256129A1 (en) 200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21560C (e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having device coupling distribution of antennas to plurality of transceivers
KR100216349B1 (en) Repeater of cdma system
EP0439939A2 (en) Radio network with switching arrangement for coupling radios to a selected antenna out of a plurality of antennas
EP1999856B1 (en) A radio base station system, a node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nd a splitter device
SE429280B (en) MULTI-CHANNEL SENDER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0772921A1 (en) Repeater
EP046868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s between remote locations
US3636452A (en) Radio relay system
EP4142046A1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9800301B2 (en) Antenna sharing device for wireless access node system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220271908A1 (en) Tdd (time division duplex) radio configuration for reduction in transmit and receive path resources
KR100495356B1 (en) Repeater extension unit
JP2784147B2 (en) Antenna shared circuit
EP0894372B1 (en) Channel-selective repeater for mobile telephony
US8099133B2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irecting a received signal in an antenna system
KR20060098505A (en) If repeat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0495355B1 (en) Repeater extension unit
EP1476970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carrier signals between first and second antenna networks
CN100464602C (en) Testing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CN110324064B (en) Low intermodulation multi-system combiner
KR200153043Y1 (en) Combiner using for high-q dielectric filter
US20220271907A1 (en) Multiband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radio configuration for reduction in transmit and receive path resources
KR20000051543A (en) Base station using switchable dual path receiver
KR20210001031A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Leaky Coaxial Cable
CN117896003A (en) Digital optical fiber repeater for GSM-R multi-carrier combined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