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85Y1 - Wooden trussed roof by fastener in opposition to a disaster - Google Patents

Wooden trussed roof by fastener in opposition to a disa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85Y1
KR200400185Y1 KR20-2005-0024166U KR20050024166U KR200400185Y1 KR 200400185 Y1 KR200400185 Y1 KR 200400185Y1 KR 20050024166 U KR20050024166 U KR 20050024166U KR 200400185 Y1 KR200400185 Y1 KR 200400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cord
fastener
fasteners
de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16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주 목조주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주 목조주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주 목조주택
Priority to KR20-2005-0024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8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5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6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triangular-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86Truss like structures composed of separate truss elements
    • E04C2003/0491Truss like structures composed of separate truss elements the truss elements being located in one single surface or in several paralle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목구조 건축물의 트러스 루프(Truss-Roof)에서 재료의 변형이 슬립면에서 발생되어 재료의 변형과 루프의 변형을 주도하는 전단응력(shear stress)성분을 분해하기위해 다수개의 수직으로 돌출된 스파이크들이 복수의 열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인장력(duration of load)의 유형별로 선택되어지는 패스너는 스파이크 수와 각도를 달리하는 접합위치에 의해 목재면의 양면을 고정 접합시킨다. In the truss-roof of wooden structures, a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ccurs at the slip surface, and a plurality of vertically protruding spikes are generated to resolve the shear stress component that leads to the deformation of the material and the loop. Fasteners formed by being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selected by the type of duration of load are fixedly bonded to both sides of the wood surface by joining positions having different spike numbers and angles.

즉 슬립계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응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응력이 패스너와 목재간 상이한 접합각도에 의해 분해된 두힘중 전단응력이 재료의 변형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 패스너와 접합각도와 종류는 건축물의 루프형상마다 요구되어지는 강도,밀집도,접합부위의 두께, 표면장력 등을 총체적으로 계산하여 상이한 각도를 두고 만들어진다. In other words, the shear stress in the two stresses decomposed by the different bonding angles between the fastener and the wood is applied to control the deformation of the material. The fasteners and joint angles and types are made at different angles by totally calculating the strength, density, thickness of the joints, and surface tension required for each roof shape of the building.

이로써 접합된 목재는 인장응력을 축의 방향으로 가하게 되면 그 응력(stress)은 슬립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개되어 재료의 변형을 막고, 전단방향으로 힘의 벡터 분해를 할 수 있다. Thus, when the joined wood is subjected to the tensile stress in the axial direction, the stress is develop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ip plan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material and to perform vector decomposition of the force in the shear direction.

또한 분해된 두 힘이 철물 패스너의 도움을 받아 재료의 변형을 제어하게 되고 외력에 의한 응력계산을 합리적으로 분산시키며, 풍압력, 설하중, 지진력에 의한 피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구조물의 층밀리기, 휨, 비틀림과 같은 영구변형을 감소시키는 외에 풍향의 방향에 의한 양압으로 인해 발생하는 건축물의 진동불쾌감, 트러스 루프의 파손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wo disassembled forces help to control the deformation of materials with the help of hardware fasteners, rationally dissipate the stress calculation by external forces, and can effectively cope with damage caused by wind pressure, snow load, and seismic force. In addition to reducing permanent deformations such as bending, torsion, etc., it also reduces vibration discomfort and damage of truss loops caused by positive pressure in the direction of the wind direction.

Description

패스너를 적용한 제진구조형 루프 트러스{Wooden trussed roof by fastener in opposition to a disaster}Wood trussed roof by fastener in opposition to a disaster}

본 고안은 트러스 루프를 제작을 위한 패스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구조설계에 있어서 비교적 외력에 대해서도 안전한 응력계산을 하여 외력을 합리적으로 지반에 전하도록 하는 트러스 루프식 건물 구조체에 대한 것으로, 목재를 구조재로 이용하는 목구조 건축물의 트러스 루프 제작시 연직하중과 전단응력의 강도에 따라 목재간의 접합각도를 달리하여 상기 목재가 휘지 않도록 접합위치에 스파이크의 수와 강재 패스너의 강도를 달리하여 접합 제작함으로써, 일차적인 조건인 자연의 파괴력에 대한 건축구조의 안전성을 확보하며, 자중, 적재하중과 같은 연직하중을 최소화 시킴과 동시에 수축, 팽창 등에 대한 내부응력의 변화에 대하여도 여력을 가지게 되고, 풍압력과 지진력 같은 수평하중에도 여력을 가지게 되는 내진구조체를 위한 트러스 루프를 제작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ening method for fabricating a truss loop,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uss roof type building structure that calculates a safe stress against external forces in a structural design of a building so that the external force can be reasonably transmitted to the ground. In the construction of truss loops of wooden structures using wood as a structural material, the number of spikes and the strength of steel fasteners are different at the joining positions so that the wood does not bend by varying the joint angle between woods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vertical load and shear stress.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afety of the construction structure against the natural destructive force, which is the primary condition by minimizing the vertical load such as self weight and loading load, and also have room for change of internal stress such as shrinkage and expansion. And have room in horizontal loads such as wind pressure and seismic force. Create a truss loop for the true structure.

종래에 있어서, 교량이나 루프처럼 넓은 공간에 걸치는 구조물의 형식으로서는 돌의 특징을 살린 아치 형식의 트러스, 철강재의 높은 인장강도를 이용한 현수 형식 및 보 형식의 트러스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주택, 연립, 상가, 극장이나 영화관, 공장 등 큰 스팬에 걸치는 지붕에는 평면 트러스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Conventionally, arch type trusses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stones, suspension type and beam type trusses using steel's high tensile strength are generally used as the form of a structure that spans a large space such as a bridge or a roof. Flat trusses are commonly used on roofs that span large spans such as malls, theaters, cinemas and factories.

보 형식에서는 하중이 걸리면 보의 윗부분은 서로 밀고 아랫부분은 서로 당겨서 보가 휘는데, 이때 보를 구부리는 힘은 상하단이 가장 크고 중간은 작게된다. 즉, 보의 중간에는 아직 여력이 있고 , 이 여력에 의한 낭비 부분을 빼는 것이 좋다. 또한, 보에 기둥을 세우고 보강하여 커다란 지간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트러스는 곧은 강재나 목재를 조합해서 만든 삼각형의 안정된 형태로서, 변형되기 쉬운 사각형의 보의 중간을 도려내어 생긴 형태인 삼각형의 형태를 이룬다.In the beam type, when a load is applied, the upper part of the beam is pushed together and the lower part is pulled together to bend the beam. At this time, the bending force of the beam is the highest and the lower and the middle is small. In other words, there is still room in the middle of the beam, it is good to subtract the waste caused by this room. In addition, the truss, which can be used as a large base by raising and reinforcing columns in the beam, is a stable form of triangle made of a combination of straight steel or wood, and forms a triangle shaped by cutting out the middle of a square beam that is easily deformed. .

상기 트러스는 철이나 목재 등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는데, 삼각형을 기본으로 그물모양으로 짜서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방법으로, 이들 부재의 결합점은 사람의 관절처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또 하중도 절점에 작용하도록 공작되어 있기 때문에 트러스의 부재는 인장력의 작용 및 미는 힘의 작용외에 휘는 경우는 없다. 이러한 이유로 목조주택 및 목구조 건축물에서는 트러스 루프 형태로 널리 적용된다. 그러나 지진력과 풍압이 센 지역이나 설해와 태풍피해 상습지역 및 해안지역에서는 이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특별하게 설계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트러스 루프(roof)는 바람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트러스 루프를 이루는 트러스들이 상호 안정적으로 구조계산되어 결합하고 외력에 의한 응력을 합리적으로 분산함으로써 건축물의 변형을 최소화시키고 내진구조를 가지게 할 필요가 있다.The truss may be made of materials such as iron or wood, and is a structural method of supporting a load by weaving in a net shape based on a triangle, and the joining points of these members can rotate freely like a human joint, and the load is also a nodal point. Since the truss member is machined to act on, the truss member is not bent outside of the action of the tensile force and the action of the pushing force. For this reason, it is widely applied in the form of truss loops in wooden houses and wooden structures. However, in areas with high seismic forces and wind pressures, snowy areas, typhoons, and coastal area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y have to be specially designed in a structure that can sufficiently accommodate them. In particular, the truss roof is most affected by wind.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deformation of the building and have a seismic structure by combining the trusses forming the truss loop stably with each other and structurally distributing the stress due to external force.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트러스 루프에 있어서 연직하중과 전단응력의 강도에 따라 목재간의 접합각도를 달리하고 목재가 휘지 않도록 접합점에서 스파이크의 수를 달리하는 강재 패스너와 트러스 탑 코드와 바텀 코드간 접합 각도를 달리하여 접합 제작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응력계산을 합리적으로 분산시키며, 풍압력, 설하중, 지진력에 의한 피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구조물의 층밀리기, 휨, 비틀림과 같은 영구변형을 감소시키는 외에 풍향의 방향에 의한 양압으로 인해 발생하는 건축물의 진동 불쾌감, 트러스 루프의 파손정도를 감소시키는 내진 구조체를 위한 트러스 루프에 관한 것이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join the steel fasteners and truss top cords and bottom cords that vary the number of spikes at the joint so that the wood does not bend and the angle of joining depends on the strength of vertical load and shear stress in the truss loop. By making joints with different angles, the calculation of stress due to external force can be rationally distributed, and it can effectively cope with damages caused by wind pressure, snow load, and seismic force, and also reduce the permanent deformation such as layer shear, bending, and torsion of the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uss loop for an earthquake resistant structure that reduces vibration discomfort and damage to the truss loop caused by positive pressure in the direction of the wind direction.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파이크의 수를 달리하는 인장력이 강한 고항장력강 패스너에 의해 고정되는 트러스들이 동일성을 갖지 않는 접합각도로 상호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높은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trusses fixed by the high tension high-tensile steel fasteners varying the number of spikes are stably coupled to each other at a joint angle that does not have the same identity to ensure high reliability.

이로써 건축구조물에서 트러스 탑(top) 코드(chord)와 바텀(bottom) 코드(chord)간 응력의 효과적인 분산을 유도하여 트러스 건축구조에 요구되는 일차적인 조건인 자연의 파괴력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는 트러스 루프를 제공할 수 있다.This induces effective distribution of stress between the truss top cord and the bottom chord in the building structure, thereby ensuring safety against the natural destructive forces, which are the primary conditions required for the truss building structure. You can provide a loop.

본 고안의 다른 목적과 특징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plained more clearly from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고안에 따르면, 구조물의 지붕(roof)에서 측면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된 다수개의 트러스(truss)를 천공된 스파이크 형상의 패스너를 적용하여 상호 안정적으로 결합시키며, 엔드 트러스 탑(top) 코드(chord)와 바텀(bottom) 코드(chord)를 패스너 단부와 고정하고, 인장력의 유형별로 각기 다른 형상의 패스너와 접합각도를 통해 각각의 배열된 트러스의 탑 코드와 바텀 코드상에 패스너를 좌우로 접합되게 하여 트러스간을 고정하는 트러스 루프가 개시되며, 목재와 목재의 결합 부위 좌우 측면에 상기 패스너 본체와 목재사이에 다수개로 접합 형성하여 트러스를 영구고정시키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russe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roof of the structure by applying a perforated spike-shaped fastener to each other to stably combine, end truss top chord ) And bottom chords are fastened to the fastener ends, and fasteners are joined left and right on the top cord and bottom cord of each arranged truss through fasteners and joint angles of different shapes according to the type of tensile force. The truss loop for fixing between the truss is disclos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ermanently fix the truss by forming a plurality of joints between the fastener body and the woo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ood and the joining portion of the wood.

이 경우 접합되는 1개의 패스너에 돌출된 스파이크는 일반 못 50개 이상의 효율가치로 산정된다.In this case, spikes protruding from one fastener to be joined are estimated at an efficiency value of 50 or more ordinary nails.

바람직하게, 트러스 탑 코드는 배열된 바텀 코드에 대해 좌우를 달리해도 상관없는 30°∼ 40°각도로 접합된다.Preferably, the truss top cord is joined at an angle of 30 ° to 40 °, which may be left or right with respect to the arranged bottom cord.

또한, 패스너와 접합각도와 종류는 건축물의 루프형상마다 요구되어지는 강도, 밀집도, 접합부위의 두께, 전단장력, 표면장력 등을 총체적으로 계산하여 상이한 종류와 상이한 각도로 접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er and the joint angle and type may be formed by jointly calculating the strength, compactness, thickness of the joint, shear tension, surface tension, etc. required for each roof shape of the building and joining them at different angles and different angles.

트러스의 길이가 8m이하이고 최대하중이 800kg이하일 경우, 두께가 1.0mm, 가로 길이가 100mm이고, 세로 길이가 100mm로 이루어지며 스파이크의 수가 128개 이상으로 된 패스너를 사용하여 바텀 코드 및 탑 코드와 트러스 웹의 접합부위에 접합되고, 트러스의 길이가 8m이상이고 13m이하이고 최대하중이 1,000kg이상일 경우, 두께가 1.6mm, 가로 길이가 100mm이고, 세로 길이가 190mm로 이루어지며 스파이크의 수가 295개 이상으로 된 패스너를 사용하여 상기 접합부위에 접합되어 연장된다.If the length of the truss is less than 8m and the maximum load is less than 800kg, the bottom cord and the top cord are separated by a fastener with 1.0mm thickness, 100mm width and 100mm length, and the number of spikes is 128 or more. If the length of truss is more than 8m, less than 13m and maximum load is more than 1,000kg, the thickness is 1.6mm, the length is 100mm, the length is 190mm and the number of spikes is more than 295. It joins and extends to the said junction part using the fastener which consists of these.

트러스의 탑 코드와 바텀 코드가 만나는 접합부위에서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과 패스너의 접합각도는 90°로 탑 코드와 바텀 코드의 정면과 배면의 두 위치에서 각각 고정되며, 트러스 탑 코드와 패스너 사이에서 패스너는 직각을 유지한다.The direction in which load is applied at the junction where the truss top cord and the bottom cord meet and the joint angle of the fastener is 90 ° and are fixed at two positions, the front and the back of the top cord and the bottom cord, respectively, and the fastener between the truss top cord and the fastener Keeps right angle.

선택적으로, 패스너는 단부가 절곡되어 트러스 탑 코드와 바텀 코드의 좌우 양면의 두위치에 접합 고정된다.Optionally, the fastener is bent at an end and bonded to two positions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uss top cord and the bottom cord.

또한, 선택적으로, 벽체들이 거더 벽체(girder truss)와 거더 브라켓(girder bracket)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에서, 트러스의 탑 코드와 바텀 코드가 만나는 힐 위치(heel point)에서 패스너는 단부가 절곡되어 트러스 탑 코드와 바텀 코드의 좌우 양면의 두 위치에 접합 고정된다.Also optionally,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walls are fixed by girder truss and girder brackets, the fasteners are bent at the end at the heel point where the top and bottom cords of the truss meet The top cord and bottom cord are joined and fixed in two positions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패스너(1)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er 1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패스너(fastner)(1)는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특수 아연강판의 표면을 뚫어 그 끝부분에 경사면을 둔 스파이크(10)를 일정한 각도, 예를 들어, 45°로 절곡하여, 접합부위에 접합시 스파이크가 구부러지거나 부러짐이 없게 특수 연마처리되어 강도를 높여 제작한다.The fastener 1 drills the surface of a special zinc steel sheet having a constant width and thickness and bends the spike 10 having an inclined surface at an end thereof at an angle, for example, 45 °, to be joined to the joint portion. Specially polished to avoid spikes or breaks of spikes.

또한, 상기 패스너(1)는 구조물의 형상 및 하중의 형태별로 상기 스파이크(10)의 수를 달리하여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트러스의 탑 코드(top chord)와 바텀 코드에(bottom chord)에 사용할 때 선택되는 두께와 스파이크(10)의 수가 정해진다.In addition, the fastener 1 may maintain a constant strength by varying the number of the spikes 1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tructure and the shape of the load, and as described later, the top chord and the bottom cord of the truss The thickness and number of spikes 10 selected when used for the bottom chord are determined.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트러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ru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100)는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양측면으로 배열된 탑 코드(top chord)(2)와, 각 측면의 탑 코드(2)를 패스너(1)와 연결하여 결합시키는 바텀 코드(bottom chord)(3)로 이루어진다. 또한, 다수개의 트러스 웹(4)은 상기 탑 코드(2)와 상기 바텀 코드(104)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탑 코드(2) 및 상기 바텀 코드(3)와 만나는 각각의 위치에서 정면과 배면(도시 생략)에서 상기 패스너(1)를 사용하여 결합된다.As shown, the truss 100 is a bottom chord (top chord) (2) arranged on both sides to form a constant angle, and the bottom cord that connects the top cord (2) of each side by connecting with the fastener (1) bottom chord) (3). Further, a plurality of truss webs 4 are located between the top cord 2 and the bottom cord 104, and face and back at respective positions that meet the top cord 2 and the bottom cord 3. (Not shown) in combination with the fastener (1).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트러스 구조를 사용한 트러스 루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트러스 루프(101)는,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트러스(100) 구조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3 is a view showing a truss loop using a truss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uss loop 101 of FIG. 3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truss 100 struct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상기 트러스 루프(101)에서, 좌우 탑 코드(2)는 각각의 접합부분을 패스너(1)로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좌우 탑 코드(2)는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탑 코드(2)의 양측면 하단부에 바텀 코드(3)를 배치하며, 상기 탑 코드(2)와 상기 바텀 코드(3)가 만나는 위치에 패스너(1)를 사용하여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좌우 탑 코드(2)와 다수개의 트러스 웹(4)은 상기 탑 코드(2)와 상기 바텀 코드(104)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탑 코드(2) 및 상기 바텀 코드(3)와 만나는 각각의 위치에서 정면과 배면(도시 생략)에서 상기 패스너(1)를 사용하여 결합된다.In the truss loop 101, the left and right top cords 2 join each joining portion with fasteners 1, and the combined left and right top cords 2 form a triangle shape of the top cord 2. The bottom cords 3 are disposed at lower ends of both sides, and the top cords 2 and the bottom cords 3 are coupled to each other using a fastener 1 at a position where the bottom cords 3 meet.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left and right top cords 2 and the plurality of truss webs 4 are located between the top cords 2 and the bottom cord 104, and the top cord 2 and the bottom cord 3 Are engaged using the fastener 1 at the front and back (not shown) at each location where

또한, 상기 트러스 루프(101)를 이루는 각 트러스 구조물(100)의 양측 하단의 지지부재(11)를 부착하여 상기 각 트러스 구조물(100)을 고정하고 있으며, 상기 각 트러스 구조물(100)의 상기 좌우 탑 코드(2, 3)에는 각각 언 본드 브레이스(12)를 접합함으로써, 각 트러스 구조물(10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고정한다.The truss structures 100 are fixed by attaching support members 11 at both lower ends of the truss structures 100 constituting the truss loop 101 to fix the truss structures 100. By bonding the unbonded braces 12 to the top cords 2 and 3, respectively, the distance between the truss structures 100 is kept constant and fixed.

상기와 같은 트러스 루프(101)의 구조에서, 상기 트러스 탑 코드(2, 3)의 전체 길이가 8m이하이고 최대하중이 800kg이하일 경우에, 패스너(1)는 두께가 1.0mm, 가로 길이가 100mm이고, 세로 길이는 100mm로 스파이크(도 1 참조)(10)의 수가 295개 이상인 패스너(1)를 사용하여 각각의 접합부분, 예를 들면, 상기 좌우 탑 코드(2, 3)와 상기 트러스 웹(6, 7)의 접합부, 상기 좌측 탑 코드(2)와 상기 트러스 웹(5)의 접합부, 상기 우측 탑 코드(3)와 상기 트러스 웹(8)의 접합부와 상기 바텀 코드(4)와 좌우측 탑 코드(2, 3)의 끝단과 상기 바텀 코드(4)와 각 트러스 웹(5, 6, 7, 8)의 접합부에 대해 90°각도로 접합된다. 또한, 선택되어지는 상기 패스너(1)의 수용범위(F)는, 상기 각 접합부분 양면 전단장력이 263 - 578N/mm이고, 접합부분 양면의 표면장력이 187-272N/mm이다.In the structure of the truss loop 101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otal length of the truss top cords 2 and 3 is 8 m or less and the maximum load is 800 kg or less, the fastener 1 has a thickness of 1.0 mm and a horizontal length of 100 mm. The length is 100 mm and the respective joints, for example, the left and right top cords 2 and 3 and the truss web, are fastened by using the fastener 1 having the number of spikes (see Fig. 1) 10 of 295 or more. (6, 7), the junction of the left top cord (2) and the truss web (5), the junction of the right top cord (3) and the truss web (8) and the bottom cord (4) left and right The ends of the top cords 2 and 3 and the joints of the bottom cords 4 and the truss webs 5, 6, 7 and 8 are joined at an angle of 90 °. In addition, the accommodation range F of the fastener 1 to be selected is 263-578 N / mm at both sides of the joint part, and surface tension at both sides of the joint part is 187-272 N / mm.

또한, 상기 트러스(2, 3)의 전체 길이가 8m이상이고 13m이하이고, 최대하중이 1,000kg이상일 경우, 상기 패스너(1)는 두께가 1.6mm, 가로의 길이가 100mm이고, 세로의 길이가 190mm로 스파이크(도 1 참조)(10)의 수가 442개 이상인 패스너(1)를 사용하여 상기 각 접합부분에 90°각도로 접합한다. 이 경우, 상기 패스너(1)의 수용범위(F)는, 상기 각 접합부분 양면 전단장력이 535N/mm이고, 접합부분 양면의 표면장력은 272N/mm이다.In addition, when the total length of the trusses (2, 3) is more than 8m and less than 13m, the maximum load is more than 1,000kg, the fastener 1 has a thickness of 1.6mm,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is 100mm, the length of the vertical The fastener 1 having the number of spikes (see Fig. 1) 10 of 442 or more at 190 mm is bonded to each of the joints at a 90 ° angle. In this case, the accommodating range F of the fastener 1 is 535 N / mm at both sides of the joint part, and surface tension at both sides of the joint part is 272 N / mm.

상기와 같이 패스너(1)를 사용하여 결합한 트러스 루프 구조물(101)은 상기 트러스 구조물(101)이 요구되어지는 강도, 밀집도, 접합부위의 패스너(1)의 두께, 표면장력 등을 총체적으로 계산하여 트러스의 길이와 폭에 따른 적절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고, 패스너의 종류별 수용범위, 접합기간,패스너의 스파이크 표면날과 접합방향사이의 각도, 접합부위와 스파이크 표면날 사이의 각도, 목재의 휨성의 표면 여부에 대한 총체적인 판단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The truss loop structure 101 coupled by using the fasteners 1 as described above collectively calculates the strength, denseness, thickness of the fasteners 1 and the surface tension at which the truss structure 101 is required. Proper design should be made according to the length and width of the truss, and the acceptance range of each type of fasteners, the joining period, the angle between the spike surface edge and the joint direction of the fastener, the angle between the joint surface and the spike surface edge, and the surface of the wood warp The overall judgment on this should be considered.

또한, 상기의 패스너(1)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탑 코드(2, 3)나 바텀 코드(4) 이외에 캔틸레버(cantilever)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structure which uses the said fastener 1, of course, it is applicable to cantilever other than the said top cords 2 and 3 and the bottom cord 4, of course.

또한, 상기 트러스 루프는 상기의 패스너(1) 이외에, 다양한 고정도구, 예를 들어, 트러스 루프 바인딩(truss binder)이나 그립(grip), 태풍피해 결합구(typoon binder), 브라켓 등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truss loop is used in addition to the fastener (1), a variety of fasteners, for example, using a truss loop binding (gris) or grips (grip), typhoon binder, a bracket, etc. Can increase the structural strength.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트러스 루프 구조물에 있어서 인장력의 유형별로 패스너의 스파이크 수를 달리하여 접합하여 트러스 들을 상호 안정적으로 고정함으로써 풍압이 센 지역이나 설해와 태풍피해 상습지역 및 해안지역에서는 트러스에 가해지는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들보(cross beam), 기둥(pillar), 장선(under floor support beam)목재의 변형에 따른 목구조 건축물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russ loop structure, by fastening the trusses together by varying the number of spikes of the fasteners according to the type of tensile force, the truss is stably fixed to each other in the wind pressure area, the snowy sea, the typhoon damage area, and the coastal area.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truss can be effectively distributed to minimize the deformation of the wooden structure caused by the deformation of the cross beam, pillar, and under floor support beam.

특히, 트러스 루프는 바람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배열되어 고정되는 트러스들이 상호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외력에 의한 응력을 합리적으로 분산하여 건축물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층 밀리기, 휨, 비틀림과 같은 영구변형이 감소되고 풍향의 방향에 의한 건축물의 진동 불쾌감, 벽체가 파손되거나 벗겨지는 등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truss loop is most affected by the wind, the trusses arranged and fixed to solve this problem are stably combined with each other to reasonably disperse the stress caused by the external force, thereby minimizing the deformation of the building. Permanent deformation such as bending and torsion is reduced,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damage such as vibration discomfort of the building due to the direction of the wind and damage or peeling of the wall.

또한, 턴버클(turnbuckle)과 같은 보조장치 없이 단지 프레스 등과 같은 고정 조작물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트러스 루프 전체에 대하여 균일한 부하강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ssemble quickly and simply using a fixed operation such as a press without an auxiliary device such as a turnbuckle, and to maintain a uniform load strength for the entire truss loop.

도 1은 본 고안에 적용된 패스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트러스 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uss lo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트러스 루프를 이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using a truss lo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

다수개의 패스너와 트러스로 이루어진 트러스 루프에 있어서,In a truss loo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asteners and trusses,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트러스 루프를 지지하는 트러스 바텀 코드와,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russ bottom cord for supporting the truss loop, 상기 트러스 바텀 코드의 상부에 위치하며, 측면이 삼각형을 이루고, 상기 트러스 바텀 코드와 만나는 위치에서 정면과 배면이 상기 패스너로 연결되어 있는 트러스 탑 코드와,A truss top cord positioned on an upper side of the truss bottom cord, the side of which forms a triangle, and the front and back of the truss bottom cord are connected to the fastener at a position meeting the truss bottom cord; 상기 트러스 바텀 코드와 상기 트러스 탑 코드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트러스 바텀 코드 및 트러스 탑 코드와 만나는 각각의 위치에서 정면과 배면이 패스너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트러스 웹을 포함하고,A plurality of truss webs positioned between the truss bottom cord and the truss top cord, the front and back being connected by fasteners at respective positions meeting the truss bottom cord and the truss top cord, 상기 패스너는 인장력 유형별로 스파이크의 수를 달리하는 고항장력 아연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루프.The fastener is a truss loop,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tensile tension zinc steel sheet varying the number of spikes for each tension typ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트러스 탑 코드의 전체 길이가 8m이하이고, 최대하중이 800kg이하일 경우에는 두께 1.0mm, 가로 100mm 및 세로 100mm로 스파이크가 295개 이상인 패스너를 사용하여 바텀 코드에 대해 90°각도로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If the total length of the truss top cord is less than 8m and the maximum load is less than 800kg, it is bonded at 90 ° angle to the bottom cord by using fasteners with 295 or more spikes with thickness of 1.0mm, width of 100mm and length of 100mm. and, 트러스 탑 코드의 전체길이가 8m이상 13m이하이고, 최대하중이 1,000kg이상일 경우에는 두께 1.6mm, 가로 100mm 및 세로 190mm로 스파이크가 442개 이상인 패스너를 사용하여 바텀 코드에 대해 90°각도로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루프.If the total length of the truss top cord is 8m or more and 13m or less and the maximum load is 1,000kg or more, it is bonded at 90 ° angle to the bottom cord by using fasteners with 442 or more spikes with thickness of 1.6mm, width of 100mm and height of 190mm. Truss loop, characterized in that.
KR20-2005-0024166U 2005-08-22 2005-08-22 Wooden trussed roof by fastener in opposition to a disaster KR20040018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166U KR200400185Y1 (en) 2005-08-22 2005-08-22 Wooden trussed roof by fastener in opposition to a disa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166U KR200400185Y1 (en) 2005-08-22 2005-08-22 Wooden trussed roof by fastener in opposition to a disas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5Y1 true KR200400185Y1 (en) 2005-11-02

Family

ID=43701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166U KR200400185Y1 (en) 2005-08-22 2005-08-22 Wooden trussed roof by fastener in opposition to a disa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8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2465A (en) * 2016-12-30 2017-03-22 南京林业大学 Multiple light wood trus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2465A (en) * 2016-12-30 2017-03-22 南京林业大学 Multiple light wood tru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09458C (en) Strap holding device
US5168681A (en) Prestressed wood floor system
JPH03500792A (en) Small roof and its beams
US11686083B2 (en) Laminated bamboo platform and concrete composite slab system
US10570614B2 (en) Shear transfer system
US20190376274A1 (en) Building with roof trusses directly connected to the foundation
US20040237465A1 (en) Plateformed building element comprising zigzag shaped lamellae
KR20180093174A (en) Truss girder rebar assembly with space coupl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deep deck using of the same
US20050284073A1 (en) Corrugated shearwall
KR200400185Y1 (en) Wooden trussed roof by fastener in opposition to a disaster
JP5468878B2 (en) Truss string beam
KR200400845Y1 (en) A double truss type binders for reduce floor noise sounds
KR200400846Y1 (en) Under floor support beam by V type multi-nail in opposition to a disaster
US10385583B2 (en) Shear transfer system
KR101249600B1 (en) Composite Beam Hanging Deck-plate on Steel Beam Using Fixing Member
JPH09195386A (en) Antiseismic construction method and reinforced brace used therefor
KR100558366B1 (en) Speed binding methode for Trussed roof
JPH10292490A (en) Reinforcing structure for wooden house
KR200351242Y1 (en) Fastener for jointing timbers of construction
RU41046U1 (en) BUILDING BEAM
JP2821546B2 (en) Truss composite beam structure
Gupta Flexure and Axially Loaded Wood Structures
JP3446576B2 (en) Bearing wall
WO2023285823A1 (en) A composite floor beam
RU2175369C2 (en) High-strength fix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