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8570A - 스윙 속도 연습용 골프 클럽 - Google Patents

스윙 속도 연습용 골프 클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8570A
KR20040018570A KR1020020049363A KR20020049363A KR20040018570A KR 20040018570 A KR20040018570 A KR 20040018570A KR 1020020049363 A KR1020020049363 A KR 1020020049363A KR 20020049363 A KR20020049363 A KR 20020049363A KR 20040018570 A KR20040018570 A KR 20040018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swing
head
swing speed
golf cl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국
Original Assignee
정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국 filed Critical 정종국
Priority to KR1020020049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8570A/ko
Publication of KR20040018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57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드의 상단에는 그립을 구비하고, 하단에는 골프공을 타격하는 헤드를 구비하는 실내외 연습용 골프 클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헤드에는 스윙 또는 퍼팅 동작시 헤드의 이송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 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그립에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속도 감지 수단과 디스플레이 수단을 스위칭하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속도 연습용 골프 클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윙 속도 연습용 골프 클럽{golf club for training of swing speed}
본 발명은 골퍼의 골프공 비거리 조정을 위한 스윙 속도 교정을 위한 것으로 특히, 골프 클럽의 헤드 부근에 속도센서를 구비시킨 후 골퍼의 스윙에 의해 클럽 헤드의 페이스면과 골프공의 임팩트 순간의 스윙 속도를 감지하도록 하고 이를 클럽의 그립 부근에 구비시킨 LED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골퍼가 즉각적으로 스윙 속도를 인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만족할만한 스윙 속도가 나올 수 있도록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윙 속도 연습용 골프 클럽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골프인구의 저변확산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골프를 익히고자 하는데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모든 스포츠들과 마찬가지로 골프도 기본적인 폼을 갖추어야만 기량이 향상되므로, 초보자들은 전문가의 교습과 반복적인 트레이닝에 의한 학습효과를 통하여 자신의 기량을 향상시키려 한다.
골프의 기본은 어드레스와 스윙시의 몸의 균형과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하고 또한 신체의 유연성과 그 역학관계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골퍼들은 그 기본기를 익히기 위해 전문가들로부터 어드레스 및 스윙자세의 진단과 교정을 받을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골퍼들은 자신의 안정된 어드레스 및 스윙자세가 부드럽고 훌륭한 샷을 연출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적, 경제적 투자를 필요로 한다.
첨부한 도 1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정상적인 상태의 골프 스윙 동작을 살펴보면, 도 1은 어드레스 자세이며, 도 2와 도 3은 백 스윙 자세이고, 도 4와 도 5는 다운 스윙 자세이며, 도 6은 골프 공과 클럽 헤드의 페이스 면이 임팩트 되는 순간의 자세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자세의 교정은 정확한 퍼팅이나 드라이빙 샷을 정확하게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며, 더욱이 골프는 그 운동경기의 특성상 골프 공을 적은 타수로 홀컵 안에 넣기 위한 것으로 타격에 의한 골프공의 비거리가 골퍼가 원하는 거리를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통상의 골프 클럽은 우드와 아이언 및 퍼터로 칭하는 3종류의 11개로 이루어진 클럽를 이용하며 그 각각이 특성을 달리하기 때문에 골퍼는 각각의 클럽을 이용하여 골퍼 자신의 골프스윙 혹은 스윙 속도에 따른 비 거리를 감각적으로 몸에 익히는 동작을 지속적으로 훈련해야 한다.
그 이유는 통상적으로 스윙이라는 것은 골퍼가 지닌 힘을 클럽을 통해 공에 전달하는 것을 칭하는 것인 데, 움직이는 물체(클럽)의 힘(운동량)은 물체의 질량(클럽헤드의 질량)X속도(헤드스피드)라는 물리법칙에 의해 이론적으로는 가능한 한 무거운 클럽으로 빨리 휘두를수록 공은 멀리 날아간다.
그러나, 하지만 두 가지를 동시에 늘릴 수 없는 것이 인간의 한계이므로, 클럽 헤드를 무겁게 한 탓에 헤드스피드가 감소한다면 의미가 없다. 때문에 세계정상급 프로들은 자신의 근력과 기량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클럽을 통해 골프공과 클럽헤드의 임펙트 순간의 스윙 속도를 늘리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실험적으로 관찰한 결과 헤드스피드를 4.5%만 증가시키면 클럽헤드의 무게를 2배로 만든 것과 똑같은 효과가 나타났다.
한편 개인차는 있지만 공이 클럽페이스에 머무는 시간은 불과 2000분의 1초. 골프가 어려운 이유는 바로 ‘찰나’에 공의 방향과 거리가 결정되는 예민한 운동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미 프로급 골퍼의 실력을 쌓기 위해서는 통상 3년 내지 5년 이상의 시간동안 꾸준히 골프스윙 혹은 스윙 속도에 따른 비 거리를 감각적으로 몸에 익히는 동작을 지속적으로 훈련해야 하는 것이다.
즉,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면서도 스윙 속도를 조절하여 비 거리를 조절하여야 하기 때문에 골퍼는 통상적으로 공의 비 거리를 기준으로 자신의 스윙 속도를 유추한 후 이를 몸에 감각적으로 익히도록 노력해야 하는 것이므로 오랜 시간동안의 연습과 경비의 지출이 골프를 배우는 사람에게 많은 장애를 일으키는 문제점으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시되어 있는 각종의 연습 도구들은 스윙 자세를 교정하고 이에 따른 학습의 효과는 기대할 수 있으나, 비 거리 조정을 위한 스윙 속도의 학습을 위한 적합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스윙 속도를 알 수 있는 장비들은 개인이 독단적으로 구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퍼의 골프공 비 거리 조정을 위한 스윙 속도 교정을 위한 것으로 특히, 골프 클럽의 헤드 부근에 속도센서를 구비시킨 후 골퍼의 스윙에 의해 클럽 헤드의 페이스 면과 골프공의 임팩트 순간의 스윙 속도를 감지하도록 하고 이를 클럽의 그립 부근에 구비시킨 LED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골퍼가 즉각적으로 스윙 속도를 인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만족할만한 스윙 속도가 나올 수 있도록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윙 속도 연습용 골프 클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골프 클럽 중 우드를 이용한 스윙 자세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속도의 자가 학습을 위한 골프 클럽의 외관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속도 감지 및 표시를 위한 회로 구성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속도 감지 및 표시를 위한 회로 구성의 다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속도의 자가 학습을 위한 골프 클럽의 다른 외관 예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로드의 상단에는 그립을 구비하고, 하단에는 골프공을 타격하는 헤드를 구비하는 실내외 연습용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는 스윙 또는 퍼팅 동작시 헤드의 이송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 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그립에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속도 감지 수단과 디스플레이 수단을 스위칭하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속도의 자가 학습을 위한 골프 클럽의 외관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속도 감지 및 표시를 위한 회로 구성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골프 클럽(100)은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며 이는 통상의 로드(105)와 그립(102) 및 헤드(10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그립(102)의 내부에는 배터리(B+)가 내장되고, 외측으로는 스위치(104)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104)는 배터리(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후술하는 스윙 속도 감지 및 표시를 위한 회로 구성들에 구동전압으로 제공하며, 상기 헤드(103)내부에는 참조번호 103b 내지 103d로 지칭되는 구성요소를 갖는 스윙속도 감지부(103a)가 내장되어 있다.
첨부한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상기 헤드(103)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스윙속도 감지부(103a)를 도시한 것으로 실제적으로는 외부에서 상기 스윙속도 감지부(103a)를 관찰할 수는 없음을 미리 밝혀 둔다.
또한, 상기 그립(102)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표시창(102a)은 통상의 LED를 사용하거나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그립(102) 내부에는 표시창(102a)를 구동하기 위한 표시창 구동부(102b)가 내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윙속도 감지부(103a)와 표시창 구동부(102b)는 로드(105)의 내부공간을 통해 유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진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들의 특성 및 동작을 부연 설명하며,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속도 연습용 골프 클럽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참조번호 103a로 지칭되는 스윙속도 감지부는 골퍼의 스윙 동작에 따라 헤드(103)가 일정 궤적을 따라 이송되어질 때 상기 헤드의 이송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103b)와, 상기 속도센서(103b)에서 감지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노이즈를 제거한 후 증폭하고 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신호 정합부(103c)와, 상기 신호 정합부(103c)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값을 입력받아 지연하며 이전의 출력 값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을 홀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속도센서(103b)에서 감지되어 출력되는 헤드 이송에 따른 속도 감지 신호들 중 항시 제일 큰 값을 홀딩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지연 및 비교부(103d)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연 및 비교부(103d)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로드(105)의 내부공간에 매설되어 있는 유선을 통해 표시창 구동부(102b)에 전달되어지며, 상기 표시창 구동부(102b)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LED 혹은 LCD로 구성되는 표시창(102a)에 현재 상기 지연 및 비교부(103d)에서 홀딩된 상태로 출력되는 데이터(최고속도)를 표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골퍼는 그립(102)을 쥐는 동작을 통해 참조번호 104로 지칭되는 스위치를 온 동작시켜 전술한 스윙 속도 감지 및 표시를 위한 회로를 온 동작시키고, 첨부한 도 1내지 도 6의 스윙 동작을 통해 골프 공을 타격(??)하게 된다.
이때, 골퍼의 스윙 동작에 따라 헤드(103)가 일정 궤적을 따라 이송되어질 때 속도센서(103b)는 상기 헤드(103)의 이송 속도를 감지하여 매 순간 순간마다 출력하며, 상기 속도센서(103b)에서 감지되어 출력되는 신호는 신호 정합부(103c)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이때, 상기 신호 정합부(103c)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노이즈 제거 필터와 증폭기 및 A/D 변환기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신호 정합부(103c)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값을 입력받은 지연 및 비교부(103d)는 입력신호를 홀딩한 상태로 이전에 입력되 홀딩되어진 값과 비교한다.
이러한 비교동작을 통해 종전의 값과 현재의 값 중 상대적으로 큰 값을 홀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속도센서(103b)에서 감지되어 출력되는 헤드 이송에 따른 속도 감지 신호들 중 항시 제일 큰 값을 홀딩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속도센서(103b)는 근래 들어 각광받고 있는 MEMS(METHOD MICRO ELECTRO-MECHANICAL)를 이용한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혹은 통상의 반도체 속도 감지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혹은 기계적인 구조의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동작상의 큰 관계는 없다. 그러나 그 부피상의 문제로 기계적인 구조의 센서보다는 MEMS를 이용한 센서 혹은 통상의 반도체 속도 감지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지연 및 비교부(103d)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로드(105)의 내부공간에 매설되어 있는 유선을 통해 표시창 구동부(102b)에 전달되어지며, 상기 표시창 구동부(102b)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LED 혹은 LCD로 구성되는 표시창(102a)에 현재 상기 지연 및 비교부(103d)에서 홀딩된 상태로 출력되는 데이터(최고속도)를 표시하게 됨에 따라 골퍼는 스윙동작 후 표시창(102a)에 디스플레이되는 스윙 최고속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물리 역학적으로 골퍼의 스윙동작에서 최고의 스윙 속도를 내는 구간은 첨부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임팩트 순간이므로, 상기 헤드(103)와 골프 공이 임팩트하는 순간 그 충격이 상기 헤드(103)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스윙속도 감지부(103a)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재(도시하지 않았음)가 상기 스윙속도 감지부(103a)를 보호하도록 한다.
따라서, 골퍼는 상술한 일련의 동작을 통해 자신의 스윙속도를 인식할 수 있으며, 타구의 비거리를 확인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비거리에 따른 자신의 스윙속도를 정확하게 인식 및 이를 기준으로 하는 훈련지표를 선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속도 감지 및 표시를 위한 회로를 구성하면,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첨부한 도 8에서 참조번호 103d로 지칭되는 지연 및 비교부와 참조번호 102b로 지칭되는 표시창 구동부의 기능을 마이컴(102c)으로 대치하는 경우를 감안할 수 있다.
또한, 첨부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골프 클럽 중 우드인 경우는 헤드 내부에 공간이 확보될 수 있으나, 아이언 혹은 퍼터의 경우는 헤드 내부의 공간확보가 어려움에 의해 첨부한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헤드 부근 로드(105)의 외부에 상술한 스윙속도 감지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골프 클럽의 헤드 부근에 속도센서를 구비시킨 후 골퍼의 스윙에 의해 클럽 헤드의 페이스면과 골프공의 임팩트 순간의 스윙 속도를 감지하도록 하고 이를 클럽의 그립 부근에 구비시킨 LED를 통해표시함으로써 골퍼가 즉각적으로 스윙 속도를 인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만족할만한 스윙 속도가 나올 수 있도록 연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로드의 상단에는 그립을 구비하고, 하단에는 골프공을 타격하는 헤드를 구비하는 실내외 연습용 골프 클럽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는 스윙 또는 퍼팅 동작시 헤드의 이송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 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그립에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속도 감지 수단과 디스플레이 수단을 스위칭하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속도 연습용 골프 클럽.
KR1020020049363A 2002-08-21 2002-08-21 스윙 속도 연습용 골프 클럽 KR20040018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363A KR20040018570A (ko) 2002-08-21 2002-08-21 스윙 속도 연습용 골프 클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363A KR20040018570A (ko) 2002-08-21 2002-08-21 스윙 속도 연습용 골프 클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570A true KR20040018570A (ko) 2004-03-04

Family

ID=37323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363A KR20040018570A (ko) 2002-08-21 2002-08-21 스윙 속도 연습용 골프 클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85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376B1 (ko) * 2003-05-29 2006-03-16 황용태 골프퍼터
KR100777599B1 (ko) * 2007-02-12 2007-11-28 박성수 샤프트 장착형 골프 클럽 헤드 스피드 측정 장치
KR101018703B1 (ko) * 2008-09-30 2011-03-04 박광일 스윙연습용 골프클럽 및 이의 구동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376B1 (ko) * 2003-05-29 2006-03-16 황용태 골프퍼터
KR100777599B1 (ko) * 2007-02-12 2007-11-28 박성수 샤프트 장착형 골프 클럽 헤드 스피드 측정 장치
KR101018703B1 (ko) * 2008-09-30 2011-03-04 박광일 스윙연습용 골프클럽 및 이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4704A (en) Follow-through measuring device
US5577966A (en) Sport swing training aid
US6565449B2 (en) Athletic ball impact measurement and display device
US7896756B2 (en) Apparatus for training a golf swing
EP2195102A1 (en) A system for capturing tennis match data
WO2006062310A1 (en) Apparatus for putting correcting and training
US20160317896A1 (en) Electronic Personal Golf Training System
US5524892A (en) Dual purpose golf training device
US5080362A (en) Adjustable point of impact indicating device
GB2318982A (en) Golf club with sensors
KR20040018570A (ko) 스윙 속도 연습용 골프 클럽
KR20110008189U (ko) 휴대용 골프 연습 장치 및 세트
KR20190078898A (ko) 골프 퍼팅 연습 장치
KR0129095B1 (ko) 골프스윙분석기
US20040014531A1 (en) Device for training the correct swing for a club
WO2009034189A1 (en) Training apparatus
KR100885605B1 (ko) 퍼팅강도 표시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골프클럽
KR100502544B1 (ko) 골프채의 스윙연습장치
KR100977320B1 (ko) 골프용 다목적 운동기기
US20120034989A1 (en) Golf release training club
JP2006296462A (ja) スイング練習用具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ング練習機
US20080163697A1 (en) Swing speed indicator
US11338187B2 (en) Golf club for practicing swings
US11141640B2 (en) Eye gaze training device and method
JPH1147338A (ja) ラケット用スイートスポット・センサー装置およびセンサー単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