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8102A - 화장실 용수 재활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화장실 용수 재활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8102A
KR20040018102A KR1020030012544A KR20030012544A KR20040018102A KR 20040018102 A KR20040018102 A KR 20040018102A KR 1020030012544 A KR1020030012544 A KR 1020030012544A KR 20030012544 A KR20030012544 A KR 20030012544A KR 20040018102 A KR20040018102 A KR 20040018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tewater
chamber
air supply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전수
Original Assignee
김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0/226,768 external-priority patent/US6523186B2/en
Application filed by 김전수 filed Critical 김전수
Publication of KR20040018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10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물처리 및 재활용 시스템이 공기공급챔버, 반응챔버, 물탱크 및 복수개의 펌프를 갖도록 제공된다.
물탱크는 처리된 물을 수용하고 다른 물을 필요로 하는 곳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원으로 활용하게 된다. 제1펌프는 예를 들면 화장실과 같은 폐수원으로부터 폐수를 공급받아 공기공급챔버로 급송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처음에 공기공급챔버는 물을 처리하고 제2펌프를 경유하여 반응챔버의 내부로 내용물을 급송시키게 된다. 2차적으로 물은 반응챔버내에서 처리가 이루어지게 되며 그 다음엔 물탱크로 급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펌프는 물탱크로부터 처리된 물을 연속적으로 공급받게 된다. 공기공급챔버와 반응챔버는 특별하게 처리된 복수개의 나무칩을 내부에 함유하게 되고, 다른 형태의 미생물과 박테리아로 구성되는 생물학적인 집합체가 나무칩에 유입되게 된다.

Description

화장실 용수 재활용 방법 및 장치{TOILET WATER RECYCLING SYSTEM}
본 발명은 화장실 용수 재활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장실로부터 버려지는 물을 수용하면서 처리하여 다시 이들 화장실에 공급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재활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로부터 버려지는 물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처리하는 수처리시스템에 대하여 종래에도 몇가지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몇몇 시스템은 여과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여과기와 화학약품을 병용하여 행하는 형태가 알려져 있다. 다른 시스템으로서는 박테리아나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인 처리방법이 응용되기도 한다. 또한, 몇몇 시스템에 있어서는 단일의 혐기성 생물학적 처리용 챔버를 채택하거나 아니면 다른 시스템에 있어서는 분리된 형태로서 혐기성 및 호기성 생물학적 처리용 챔버를 모두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기도 한다.
그 이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식은 찌꺼기를 함유한 버려지는 물을 위한 여과사이클에 의하여 수반되는 침전 및/또는 분리과정을 포함하기도 한다. 그때엔 고형분과 액상의 물질에 대한 분리가 발생하는 장소에서 찌꺼기의 유입이 남아 있게 된다. 그리고 고형분이 모아져서 매년 정기적으로 별도로 폐기가 이루어지고 혐기성 상태에서 남아 있게 되는 액상의 물질들은 별도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의 단점은 대체로 수처리 효율이 낮고, 게다가 주변 환경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지하수에 악영항을 끼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 이러한 과정에서 얻어지게 되는 액상의 물질 및 고형물은 주변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아주 주의해서 페기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이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 및/또는 동물의 폐수, 미생물로 분해되는 고형물 또는 액상의 부산물을 물과 이산화탄소 형태로 완전하게 분해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순수한 물의 형태로 생성시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장실 시스템에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폐수의 처리분야에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재활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실 용수 재활용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 전체를 보여주는 계통도,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공급챔버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일부 절결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반응챔버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
도3A는 본발명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분배기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일부 생략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설명>
5: 화장실, 7: 세척수탱크, 10: 변기, 12: 제1 펌프스테이션,
15: 공기공급챔버, 19: 에어펌프, 20:제2펌프, 22: 반응챔버,
25: 컨테이너, 38: 제3펌프, 40: 탈색챔버, 50: 물탱크,
60: 제2배관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하면, 공기공급챔버, 반응챔버 및 복수개의 펌프를 포함하고, 공기공급챔버 및 반응챔버의 내부엔 특수하게 처리된 붉은 삼나무 칩과 붉은 삼나무 칩에 흡착된 16개의 다른 미생물과 박테리아로 구성되는 생물집합체를 함유하고 있으며, 제1펌프는 폐기물로부터 폐수를 받아 들여 공기공급챔버로 급송시키고, 초기에 공기공급챔버는 물을 처리하고 제2펌프를 경유 반응챔버에 내용물을 통과시키고, 물은 반응챔버에 의하여 처리된 다음 제3펌프를 경유 탈색챔버를 거쳐 물탱크로 급송되고, 물탱크는 처리된 물을 보관하였다가 물을 필요로 하는 다른 곳에 급수를 위한 급수원으로 활용하게 되며, 화장실시스템에 활용하는 경우, 화장실 변기의 물저장탱크로 물을 공급하고, 삼목칩에 흡착된 박테리아는 호기성, 혐기성 및 이와 관계없는(호기성 및혐기성 모두) 균 들이 미리 균형이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형태를 갖게 된다.
전술한 바 있는 목적 이외의 부가적인 목적이나 다른 장점들에 대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수반되는 도면들과 함께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후술되는 장치, 조합 및 배치 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대한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폐수 처리 및 재활용 시스템을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시스템은 통상적인 단일 형태의 변기와 연결연결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는 형태를 보여준다. 이러한 재활용 시스템은 입식 소변기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종래 변기와 적합하게 채택하여 활용할 수 있다. 더우기, 이러한 재활용 시스템은 여러 변기와 적합하게 채택하여 활용할 수 있다. 사실은 변기 자체는 본 발명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은 변기에 사용될 수 있는 폐수에 대한 재활용시스템 자체에 관한 것이다.
도1에 도시한 화장실 용수 재활용 시스템은 세척용 물탱크(7)와 소변기(10)를 갖춘 화장실(5)을 포함한다. 일단 화장실(5)의 미도시된 세척용 버튼 손잡이를 작동시키면 미도시되고 35Psi의 압력으로 작동하는 보조펌프는 고형물 및 액상의 물 형태인 폐수를 소변기로부터 폐수처리시스템으로 급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폐수처리시스템은 제1펌핑스테이션(12), 공기공급챔버(15) 및 반응챔버(22)를 포함한다.
처음, 제1펌핑스테이션(12)은 화장실(5)로부터 고형물을 받아 들이고, 미도시되고 내부에 포함된 여과기는 미생물로 분해가 되지 않는 잘못 유입된 물건들,예를 들면 펜, 링, 다른 유형의 물품들을 걸르게 된다. 처음 여과기를 거친 다음에 작은 조각 형태로 고형폐기물을 마쇄시키기 위하여 제1펌핑시스템 내부에 위치하고 미도시된 기계식 마쇄기구가 위치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들 마쇄된 고형분은 50mg/Liter 정도 된다.
소정 부피의 물이 제1펌핑스테이션(12)에 축적되게 되면, 그때 폐수는 공기공급챔버(15) 속으로 급송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그 공기공급챔버(15)는 304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공급챔버(15)는 16가지의 다른 미생물과 박테리아의 조합 형태로 제공되며 특수하게 처리가 이루어진 붉은 삼나무칩(23)을 함유하고 있다. 미생물과 박테리아의 이상적인 서식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상적인 다공성 품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삼나부칩(23)은 바람직하기로는 붉은 삼나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펌프(19)는 챔버(15)의 내부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공기공급챔버(15)에 부착 설치되어 있다. 궁극적으로 공기공급챔버(15) 내부의 미생물과 박테리아는 함유된 고형물을 세포수준으로 보다 작은 입자 형태로 분해하는데 크게 공헌하게 된다. 에어펌프(19)가 분당 0.8 내지 2.2 리터의 량으로 공기를 공기공급챔버(15)로 불어 넣게 되면 폐기물의 분해가 이상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분당 1.8 리터의 공기를 공기공급챔버(15)에 불어 넣게 되면 최대로 폐기물의 분해가 이루어지게 된다. 공기공급챔버(15)는 반응챔버(22)와 제2펌프(20)에 의하여 서로 연결 구성되어 있다.
다음, 공기공급챔버(15)로부터 처리된 물은 제2펌프(20)로 급송되고 반응챔버(22)로 급송된다. 반응챔버(22)는 내부에 배치된 16가지 다른 미생물과 박테리아의 조합물을 함유하고 처리된 삼나무칩(23)의 여러층을 가지고 있는 컨테이너(25)를 포함한다. 이 컨테이너(25)는 그 측표면을 통과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다공성 구멍들을 가지고 있다. 이들 구멍들은 내부에 삼나무칩(23)을 보유하기에 충분한 지름의 소정의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고 이들 구멍은 컨테이너(25) 내부에서 대략 90% 호기성 조건과 10% 혐기성 조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소정의 큰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 컨테이너(25)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일 수 있다. 하나의 수집저장소(24)가 컨테이너(25)를 통과하는 처리된 물을 수집하고 제3펌프(38)에 물이 흐르게 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25)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반응챔버(22)는 분배기(3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펌프(20)로부터 반응챔버(22)로 인도하는 배관(33)은 컨테이너(25) 속으로 삽입된 하나 이상의 다공성 아암(35)을 갖는 분배기(30)에 부착 설치되어 있다. 다공성 아암(35)은 컨테이너(25) 내측에 유선형 형태로 물이 배출되고 이를 통하여 표면을 통과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들을 가지고 있다.
공기공급챔버(15)는 호기성 미생물의 기능을 번성시킬 수 있도록 호기적으로 기밀을 유지하는 유니트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반응챔버(22)내에서 폐기물은 호기성 미생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산소에 잘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다수의 박테리아와 미생물들이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폐기물 전체는 완전하게 분해가 가능하여 질 수 있다.
반응챔버(22)에 의하여 처리된 결과적인 처리수는 제3펌프(38)로 수집되어탈색챔버(40)로 급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탈색챔버(40)내에서 미도시된 카본필터(Carbon Filter)와 같은 종래기술로 알려진 탈색 및 탈취제가 사용되게 된다.
제4탱크(45)는 탈색챔버(40)와 물탱크(50)를 서로 열결시켜 주고, 물탱크(50)는 최종적으로 처리된 물을 저장하였다가 화장실(5)의 세척수탱크(7)에 재활용을 위하여 용수로 공급하기 위한 급송펌프와 열결되게 된다.
악취를 제거하면서 건강한 미생물 집단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2배관(60)이 물탱크(50)와 제1펌프스테이션(12)과 연결시키게 된다. 이러한 배관(60)을 통하여 물탱크(50)로부터 물의 일정한 공급은 제1 펌핑스테이션(12)과 일정한 소정의 비율로 이루어지게 된다. 저장용 물탱크(50)가 물을 수용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수압에 의하여 물탱크(50)로부터 제2배관(60)을 경유 제1펌핑스테이션(12)으로 물의 배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밸브가 제1펌핑스테이션(12)으로 배출되어지는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처리되거나 아니면 미처리된 폐수 소정량이 내부에 쌓이게 되면, 공기공급챔버(15) 내부로 폐수를 배출 급송이 이루어지도록 제1펌핑스테이션(12)의 내부엔 미도시된 센서를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화장실(5)이 정하여진 기간 이상 연장하여 사용하는 경우조차도, 재활용시스템은 모든 시스템을 통하여 물의 순환이 이루어져 물의 공급 정체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수하게 처리된 삼나무칩(23)은 공기공급챔버(15)에서 사용되고 반응챔버(22)는 다음과 같이 준비가 이루어지게 된다. 삼나무칩(23)은 자체가 높은 다공성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붉은 삼나무의 목질층으로부터 이러한 나무칩을 바람직하게 얻게 된다. 이러한 다공성 특징은 붉은 삼나무칩의 목질층으로부터의 이들 나무칩들이 박테리아 집합체의 건강한 생성과 유지를 촉진하도록 하는 이상적인 습성을 갖도록 하게 된다. 나무로부터의 이들 나무칩은 길이와 폭이 대략 3 내지 5mm의 크기로 절단되어진다. 붉은 삼목의 하부가 절단될 때, 트라차이드 세포(Tracheid Cell)는 그때까지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사용하기 위하여 위 트라차이드 세포(Tracheid Cell)를 인위적으로 개방시키고 이들 세포내부에 위치한 수분을 제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처리과정 중에 어떠한 형태의 세포가 꼬여지게 되면 이를 통한 수분의 배출을 막게 되기 때문에 트라차이드 세포가 꼬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이를 확실하게 이루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단계가 반드시 요구되게 된다. 나무칩을 절단하자마자 곧바로 우선 아세틸렌산리튬 또는 규산리튬 용액에 담갔다가 24시간이 경과한 후에 증류수에서 세척한다. 그 다음 나무칩들을 탈수기에 넣고 트라차이드 세포내부에 위치한 수분을 제거하고 건조시킨다. 나무칩의 트라차이드세포와 표면영역은 미생물 집합체과 박테리아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을 촉진시키기에 적합한 이상적인 거주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붉은 삼나무칩은 미생물과 박테리아의 집합체을 위한 풍부한 셀룰로오스 소스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일단, 나무칩이 처리되고 각각의 챔버에 내장시키게 되면 16가지의 다른 미생물과 박테리아의 집합체가 나무칩 속에 유입되게 되고 그 미생물과 박테리아는 나무칩상에 또는 내부에서 번성하게 된다. 크게 집적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집합체는 반응챔버와 공기공급챔버에서 바람직하게 번성 유지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반응챔버는 나무칩으로 채워지고 미생물집합체의 생성에 최대의 효과를 유지하도록 떡갈나무로 만들어진 나무칩에 의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을 갖는 나무칩들이 붉은 삼나무칩으로 이루어진 층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비록 본 발명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에 보다 명확하게 예를 들어 설명과 함께 기술이 이루어졌을지라도,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의 일부 수정이나 대체 또는 교환 등의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경 사항이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한정되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적인 사상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이들 변경사항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미리 밝혀두고자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람 및/또는 동물의 폐수, 미생물로 분해되는 고형물 또는 액상의 부산물을 물과 이산화탄소 형태로 완전하게 분해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순수한 물의 형태로 생성시켜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며, 화장실 시스템에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폐수의 처리분야에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7)

  1. 폐수의 수용과 처리를 위한 처리시스템;
    상기 처리시스템으로부터 처리된 물을 수용할 수 있게 연결 설치되는 물탱크;
    물탱크로부터 폐수원으로 처리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물탱크를 상기 폐수원과 연결 설치하는 제1연결부재; 그리고
    처리된 물을 물탱크로부터 상기 처리시스템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물탱크를 상기 처리시스템과 연결 설치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처리된 폐수를 폐수원으로 재활용하고 폐수원으로부터 페수를 처리하기 위한 화장실 용수 재활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시스템이
    상기 폐수원으로부터 폐수를 처음 받아들이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1펌프 유니트;
    폐수의 생물학적인 처리를 위하여 상기 제1펌프 유니트와 연결 설치되는 처리용 챔버;
    소정의 수위에 내용물의 량이 도달하게 될 때마다 상기 처리용 챔버 내부로 내용물을 배출 급송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펌프 유니트에 설치되는 감지수단;
    상기 처리용 챔버로부터 상기 물탱크에 처리된 폐수를 급송시키기 위한 펌프; 그리고
    상기 제2 접속부재가 상기 물탱크와 상기 제1펌프 유니트를 접속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부재가 상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펌프유니트에 소정의 비율로 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시스템내에 붉은 삼나무칩이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시스템이 폐수의 생물학적인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박테리아와 미생물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챔버가
    상기 제1펌프 유니트로부터 폐수를 받아들이고 처음에 폐수의 생물학적인 처리가 제공되어지는 공기공급챔버;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상기 공기공급챔버와 연결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펌프;
    상기 공기공급챔버로부터 처리된 폐수를 공급받고 폐수에 대한 제2의 생물학적인 처리가 제공되어지는 반응챔버;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챔버로부터 상기 반응챔버에 폐수를 급송하기 위한 제2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매분당 0.8 내지 2.2리터의 공기가 일정하게 상기 공기공급챔버 속으로 급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장치.
  8. 폐수를 수용하고 처음에 폐수를 생물학적인 처리가 제공되어지는 하나의 공기공급챔버;
    공기의 공급을 위하여 상기 공기공급챔버와 연결 설치되어지는 적어도 하난의 공기 펌프;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챔버로부터 처리된 폐수를 공급받고 두번째로 생물학적인 처리가 제공되어지는 하나의 반응챔버를 포함하고 폐수원으로부터 배출된 폐수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매분당 0.8 내지 2.2리터의 공기가 일정하게 상기 공기공급챔버 속으로 급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챔버와 상기 반응챔버내에 붉은 삼나무칩이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챔버와 상기 반응챔버가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박테리아와 미생물을 제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장치.
  12. 요구작동기, 화장실폐수가 침전되는 수용기, 상기 요구작동기의 작동시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 공급 탱크, 상기 화장실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처리하고 상기 공급탱크에 깨끗한 세척수로서 처리된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재활용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재활용시스템이
    제1펌프 유니트;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상기 제1펌프유니트와 연결 설치되는 처리챔버;
    상기 처리챔버로부터 폐수를 받아들여 저장하기 위하여 연결 설치되는 물탱크;
    요구작동기의 작동용 수용기로부터 폐수를 처음 받아들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1펌프;
    내부 내용물의 량이 소정의 수위에 도달할 때마다 상기 처리챔버 내부로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펌프에 설치되는 감지수단;
    상기 처리챔버로부터 상기 물탱크에 처리된 폐수를 급송하기 위한 펌프수단;
    상기 처리챔버로부터 처리된 폐수를 수용하고 저장하기 위한 상기 물탱크;
    상기 물탱크로부터 세척수공급탱크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연결수단; 그리고
    상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제1펌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2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수단이 소정의 일정한 비율로 상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제1펌프 유니트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챔버내에 붉은 삼나무칩이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챔버에는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박테리아와 미생물이 제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챔버가
    상기 제1펌프유니트로부터 폐수를 수용하고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를 처음에 제공하게 되는 공기공급챔버;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공급챔버와 연결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펌프;
    상기 공기공급챔버로부터 처리된 폐수를 수용하여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를 2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연결 설치되는 반응챔버;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챔버로부터 상기 반응챔버에 폐수를 급송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펌프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매분당 0.8 내지 2.2리터의 공기가 일정하게 상기 공기공급챔버 속으로 급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장치.
  18. 폐수를 수용하고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를 처음에 수행하게 되는 하나의 공기공급챔버;
    상기 공긱공급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나무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공급챔버와 연결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펌프;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챔버로부터 처리된 폐수를 수용하고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를 2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연결 설치되는 반응챔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반응챔버가 복수개의 구멍을 갖는 측표면과 상부 에지를 갖춘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하부에 위치하는 수집수용부; 및
    상기 컨테이너의 전체체적을 채워지는 복수개의 나무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챔버의 내부로 분당 0.8 내지 2.2리터를 계속적으로 불어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챔버가 상기 분배기는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 에지와 인접되게 설치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공성 아암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다공성 아암은 그 표면을 통과하여 한정되는 복수개의 구멍을 가지고 있어, 공기공급챔버로부터의 폐수가 분배기 속으로 급송이 이루어지되 폐수가 상기 컨테이너 속으로 배출되도록 하나 이상의 다공성 아암으로 분배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나무칩이 붉은 삼나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챔버의 상기 컨테이너가 붉은 삼나무로 이루어진 나무칩들의 사이에 떡갈나무로 이루어진 나무칩이 적어도 1개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장치.
  23. 생물학적인 수처리 시스템내에서 폐수를 처리하고;
    물탱크 내에 상기 처리된 폐수를 저장하고;
    폐수원에서 사용하기 위한 상기 처리된 물 중에서 제1부분을 공급하며; 그리고
    폐수원을 통하여 경유하지 아니하고 상기 생물학적인 수처리 시스템에 상기 처리된 물 중에서 제2부분을 공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용수재활용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화장실로부터 폐수를 처음 받아들이기 위한 제1펌프 유니트;
    생물학적인 폐수 처리를 위한 상기 제1펌프유니트와 연결 설치되는 처리챔버;
    내용물의 체적이 소정의 수위에 이르게 되면 상기 처리챔버의 내측으로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상기 제1펌프에 설치되는 감지수단;
    상기 처리챔버로부터 상기 물탱크에 처리된 폐수를 급송하기 위한 펌프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제2접속부재가 상기 물탱크와 상기 제1펌프유니트를 연결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로부터의 처리된 물이 소정의 일정한 비율로 상기 제1펌프유니트로 급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붉은 삼나무로 이루어진 나무칩이 상기 처리시스템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하여 상기 처리시스템에 박테리아와 미생물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용수 재활용 방법.
KR1020030012544A 2002-08-23 2003-02-28 화장실 용수 재활용 방법 및 장치 KR200400181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26,768 2002-08-23
US10/226,768 US6523186B2 (en) 2001-02-01 2002-08-23 Toilet water recycling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931U Division KR200322946Y1 (ko) 2003-02-28 2003-02-28 화장실 용수 재활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102A true KR20040018102A (ko) 2004-03-02

Family

ID=37323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544A KR20040018102A (ko) 2002-08-23 2003-02-28 화장실 용수 재활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81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090B1 (ko) * 2011-08-12 2012-02-15 허명순 순환식 무 방류 분뇨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090B1 (ko) * 2011-08-12 2012-02-15 허명순 순환식 무 방류 분뇨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3369B2 (en) Waste and wastewater treatment and recycling system
US6519787B2 (en) Toilet water recycling system
KR101722059B1 (ko) 빗물을 이용하여 생성한 세정수의 순환사용이 가능한 순환수세 화장실처리시스템
EP1887078A1 (en) Bacteria inoculation system with earthworm humus, used as a treatment of contaminated water (inoculom)
KR101256956B1 (ko) 순환 수세형 이동식화장실의 오수 재활용 정화처리장치
KR20180008813A (ko) 튜브타입의 오·폐수 처리 전기 분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뇨 마쇄 소독 장치
KR200322946Y1 (ko) 화장실 용수 재활용 장치
KR20040018102A (ko) 화장실 용수 재활용 방법 및 장치
KR20000054588A (ko) 분뇨, 음식물쓰레기 및 생활하수 처리 장치 및 이를이용한 분뇨, 음식물쓰레기 및 생활하수 처리 방법
KR101112007B1 (ko) 배수 정화 장치 및 그의 세정 방법.
KR101671199B1 (ko) 선박의 분뇨처리 장치
KR101028516B1 (ko) 순환수세 발효식 화장실
KR20170132454A (ko) 튜브타입의 오·폐수 처리 전기 분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뇨 마쇄 소독 장치
KR100414557B1 (ko) 순환식 무 방류 화장실 분뇨처리장치
EP1834929B1 (fr) Dispositif mettant en oeuvre un procédé de traitement d&#39;effluents liquides ou visqueux
JP2003285088A (ja) 廃水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KR200211899Y1 (ko) 순환식 분뇨 처리 장치
KR200211900Y1 (ko) 분뇨, 음식물쓰레기 및 생활하수 처리 장치
KR100431222B1 (ko) 순환식 오폐수 처리장치
US200800993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oculating bacteria in contaminated water using earthworm humus
JP2011052426A (ja) 循環型バイオトイレ
KR101831703B1 (ko) 처리 용량 변경이 용이한 이동 결합식 무방류 순환수세식 화장실 시스템
JP2007319819A (ja) リンの回収方法
KR200251863Y1 (ko) 순환식 오폐수 처리시스템
KR200328692Y1 (ko) 순환식 무 방류 화장실 분뇨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