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7563A -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ment of digital image quality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ment of digital image qua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7563A
KR20040017563A KR1020020049699A KR20020049699A KR20040017563A KR 20040017563 A KR20040017563 A KR 20040017563A KR 1020020049699 A KR1020020049699 A KR 1020020049699A KR 20020049699 A KR20020049699 A KR 20020049699A KR 20040017563 A KR20040017563 A KR 20040017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interest
type
area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6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14734B1 (en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9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4734B1/en
Priority to EP03255194.7A priority patent/EP1392047B1/en
Priority to CNB031255477A priority patent/CN1239014C/en
Priority to US10/645,639 priority patent/US7411699B2/en
Publication of KR20040017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5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734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5Halftoning, i.e. converting the picture signal of a continuous-tone original into a corresponding signal showing only two lev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58Edge or detail enhancement; Noise or error suppression, e.g. colour misregistration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improving the digital image quality are provided to improve the whole image quality of printing by sorting the image of scanning document in character section, background section and image section and improving printing tone to be proper to the section types. CONSTITUTION: RGB(Red, Green, Blue) color data of an observed pixel are converted into color data having brightness, saturation, and color components(210). It is judged whether the observed pixel is a background pixel or a picture pixel(221). The first or second history information of the observed pixel is stored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judgment(222). A background block characteristic and a picture block characteristic are detected by using the first or second history information(230). A domain type of the observed pixel is decided according to a domain type of a left adjacent pixel of the observed pixel, a domain type of a pixel adjacent to the observed pixel in an upper line of the observed pixel, the pixel type of the observed pixel, and the block characteristic of the observed pixel(240). According to the decided domain type, image quality improvement is processed variably(250).

Description

디지털 화질 개선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ment of digital image quality}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digital image quality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ment of digital image quality}

본 발명은 디지털 화질 개선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문자와 그림이 혼재된 문서를 복사할 경우, 스캐닝된 문서영상을 문자영역, 배경영역, 하프톤 그림영역과 연속톤 그림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영역유형에 적합한 화질개선처리를 적용함으로써 출력물의 전체적인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디지털 화질 개선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digital image quality. In particular, when copying a document mixed with text and pictures, the scanned document image is divided into a text area, a background area, a halftone picture area, and a continuous tone picture are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mage quality impro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overall image quality of an output by applying an image quality improvement process suitable for each area type.

통상적으로 원본 문서를 흑백의 이치 정보만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은 복사기, 팩시밀리장치 또는 복합기기의 발전과 더불어 증가되어 왔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영상문서에 대해 공간적인 흑백의 분포를 이용해 실제 연속적인 밝기를 의사(pseudo) 밝기로 표현하는 디더링(dithering) 방법과 문자문서에 대해 문자의 판독이 용이하도록 문자와 배경을 적절히 분할하는 이치 분할법(Bi-level segmentation)으로 크게 분류되어진다.In general, the interest in the method of effectively representing the original document using only black and white binary information has been increased with the development of copiers, facsimile machines or multi-function devices. Dithering method is used to express actual continuous brightness as pseudo brightness, and Bi-level segmentation which properly divides text and background for easy reading of text for text documents. .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실제로 흔히 접하게 되는 문자와 영상이 혼재된 문서에 대해서는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없는데, 이는 즉 상기 이치 분할법의 적용경우에는 영상에서 오 경계(false contour)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상기 디더링 방법에서는 의사 밝기가 에지(edge)를 몽롱화(smoothing)시켜 문자 부분의 판독성을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혼재문서의 화질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However, these methods may not be an efficient method for a document having a mixture of characters and images, which are commonly encountered in practice. That is, in the case of applying the binary division method, a problem such as a false contour occurs in the image. In methods, pseudo-brightness tends to smooth the edges and degrade the readability of character part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mixed documents.

도 1은 종래의 혼재문서 화질 개선방법의 일예를 보여주는 흐름도로서, Ramin Khorram에게 발행된 U.S.P. 6,175,425(Document imaging system for autodiscrimination of text and images, Jan. 16, 2001)에 개시된 것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of mixed documents, and is a U.S.P. document issued to Ramin Khorram. 6,175,425 (Document imaging system for autodiscrimination of text and images, Jan. 16, 2001).

도 1을 참조하면, 혼재문서 화질 개선방법은 스캐너나 다른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문서 영상을 나타내는 다치신호를 수신하는 과정(100), 문서에서 하이 콘트라스트 영역을 정의하는 템플레이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고대역 통과필터를 적용하는 과정(102), 문자와 그림영역을 구분하는 과정(104), 문자영역에 고대역 통과필터를 적용하여 문자영역 영상을 개선하는 과정(106), 그림영역에 저대역 통과필터를 적용하여 그림영역 영상을 개선하는 과정(108), 처리된 문자영역 영상과 그림영역 영상을 연결하여 출력영상을 생성하는 과정(110), 출력영상에 대하여 하프톤 처리하는 과정(112), 및 하프톤 영상을 출력하는 과정(114)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 a method of improving mixed document image quality includes receiving a multi-valued signal representing a document image input from a scanner or another input device (100), and generating a template defining a high contrast region in a document. Applying a filter (102), separating the character and the picture area (104), applying a high pass filter to the text area to improve the image of the text area (106), applying a low pass filter to the picture area A process of improving an image region image (108), a process of generating an output image by connecting the processed character region image and the image region image (110), a process of halftone processing the output image (112), and a half A process 114 of outputting the tone image is performed.

상기 방법에서는 입력된 문서영상을 블럭 단위로 분할한 다음, 각 블럭에 대하여 고대역 통과필터를 적용하여 고대역 성분이 많은 문자영역과 고대역 성분이 적은 그림영역으로 구분한다. 따라서, 인접한 두 블럭이 각각 속하는 영역이 다를 경우 블로킹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블럭내에 포함된 모든 화소가 동일한 영역이 되기 위해서는 블럭의 크기가 매우 작아야 하는데, 블럭의 크기가 작을수록 주파수성분을 이용한 특징 추출이 어려워지므로 적절한 블럭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In the above method, the input document image is divided into blocks, and then a high pass filter is applied to each block, thereby dividing the input document image into a character area having many high band components and a picture region having few high band components. Therefore, when two adjacent block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blocking phenomenon may occur, and in order for all pixels included in the block to be the same area, the block size must be very small. Extraction becomes difficult, which makes it difficult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block size.

한편, Yee Seung Ng에게 발행된 U.S.P. 6,078,697(Method and apparatus for segmenting image data into contone, text and halftone classifications, Jun. 20, 2000)에서는 입력된 문서영상의 각 화소에 대하여, 각 화소를 중심으로 일정한 크기의 윈도우를 설정하고, 해당 윈도우 안에 있는 화소들에 대하여 그래디언트(gradient) 연산을 적용한다. 그 결과 얻어지는 그래디언트의 크기와 방향을 이용하여 중심 화소가 문자영역, 하프톤 영역, 연속톤 영역에 속할 가능성을 나타내는 값인 퍼지 확률들을 퍼지 규칙에 의해 계산한다. 세개의 퍼지 확률값을 비교하여 가장 큰 값을 갖는 영역으로 중심 화소의 클래스를 결정하고, 최종적으로 잘못 구분된 화소를 다시 구분하는 후처리 과정을 통해 중심 화소의 클래스를 확정한다. 이 방법에서는 넓지 않은 주변 정보만을 이용하여 중심 화소의 클래스를 결정하기 때문에 많은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웃한 화소간에도 서로 다른 클래스로 판단됨으로써 영상 개선시 이웃한 화소에 서로 다른 개선방법을 적용하게 되어 최종적인 출력물이 눈에 거슬리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Meanwhile, U.S.P. issued to Yee Seung Ng. 6,078,697 (Method and apparatus for segmenting image data into contone, text and halftone classifications, Jun. 20, 2000) sets a window of a constant size around each pixel of each input document image A gradient operation is applied to the pixels present. The fuzzy probabilities, which are values representing the likelihood that the center pixel belongs to the character region, the halftone region, and the continuous tone region, are calculated by using the size and direction of the resulting gradient. The class of the center pixel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ree fuzzy probabilities and determining the class of the center pixel as a region having the largest value, and finally, the class of the center pixel is determined through a post-processing process for re-dividing the misidentified pixels. In this method, many errors can be generated because the class of the center pixel is determined using only the non-wide information. Also, the neighboring pixels are judged to be different classes so that different improvement methods can be applied to neighboring pixels. This will result in unobtrusive results.

또한, Hakan Ancin에게 발행된 U.S.P. 5,956,468(Document segmentation system, Sep. 21, 1999)에서는 입력된 문서영상을 저해상도 영상으로 변환하여 저해상도 영상에서 큰 문자와 그림영역을 찾아내고, 그 이외의 영역에서 밝은 밝기의 배경위에 있는 어두운 밝기의 문자영역을 찾아내어 문자영역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화질 개선과정을 수행한다. 이 방법에서는 밝은 배경위에 작성된 어두운 문자영역만을 강조하고, 그림영역에 대해서는 거의 강조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U.S.P. issued to Hakan Ancin. 5,956,468 (Document segmentation system, Sep. 21, 1999) converts the input document image into a low resolution image to find large characters and picture areas in the low resolution image, and dark brightness characters on a bright background in other areas. It finds the area and performs the quality improvement process to improve the readability of the text area. This method has the disadvantage of emphasizing only dark text areas written on a light background and hardly emphasizing the picture area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문자와 그림이 혼재된 문서를 복사할 경우, 스캐닝된 문서영상을 문자영역, 배경영역, 하프톤 그림영역과 연속톤 그림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영역유형에 적합한 화질개선처리를 적용함으로써 출력물의 전체적인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디지탈 화질개선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py a document having mixed text and pictures, and divide the scanned document image into a text area, a background area, a halftone picture area, and a continuous tone picture area.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image quality improv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overall image quality of an output by applying a proper image quality improvement proces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디지탈 화질개선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digital image quality improving method.

도 1은 종래의 혼재문서 화질 개선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ventional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of mixed document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질 개선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igital image quality impro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있어서 히스토리정보 갱신단계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history information updating step of FIG. 2;

도 4는 도 2의 화소유형 결정단계에 있어서 하프톤 화소 결정을 위한 연결성분값 획득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obtaining a connection component value for halftone pixel determination in the pixel type determination step of FIG. 2;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주목화소의 이진값에 따른 연결성분값 획득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obtaining a connected component value according to a binary value of a pixel of interest in FIG. 4;

도 6은 도 4에 있어서 주목화소의 이진값에 따른 연결성분값 획득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6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obtaining a connection component value according to a binary value of a pixel of interest in FIG. 4;

도 7은 도 2에 있어서 영역유형 결정단계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상태도, 및7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gion type determining step in FIG. 2, an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질 개선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digital image quality impr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810 ... 라인별 화소입력부820 ... 히스토리정보 갱신부810 ... pixel input unit per line 820 ... history information update unit

830 ... 배경블럭특징 검출부840 ... 그림블럭특징 검출부830 ... background block feature detection unit 840 ... picture block feature detection unit

850 ... 하프톤블럭특징 검출부860 ... 상측라인 영역정보 저장부850 ... halftone block feature detection unit 860 ... upper line region information storage unit

870 ... 영역유형 결정부880 ... 화질개선처리부870 ... area type determination unit 880 ... image quality improvement processing unit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질개선방법은 (a) 주목화소의 색상데이터로부터 명도성분, 채도성분 및 색상성분을 얻기 위하여 소정의 색상공간으로 변환하는 색상데이터 변환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획득한 명도성분, 채도성분 및 색상성분과, 상기 주목화소 주변의 연결성분으로부터 결정된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에 따른 히스토리정보를 상기 주목화소 이전의 히스토리정보를 이용하여 갱신하는 히스토리정보 갱신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결정된 주목화소의 화소유형과 갱신된 주목화소의 히스토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목화소의 블럭특징 유형을 검출하는 블럭특징 유형 검출단계; (d) 상기 주목화소의 이전화소가 속하는 영역유형, 상기 주목화소의 상측라인에서 상기 주목화소에인접한 화소의 영역유형, 상기 (b)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 및 상기 (c) 단계에서 검출된 상기 주목화소의 블럭특징 유형에 따라서 상기 주목화소가 속하는 영역유형을 결정하는 영역유형 결정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결정된 영역유형에 따라서 서로 다른 화질개선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digital image quality impro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a color data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a color component of a pixel of interest into a predetermined color space to obtain a brightness component, a saturation component and a color component; (b) history information prior to the pixel of interest is used for the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determined from the lightness component, the saturation component and the color component obtained in the step (a), and the connection component around the pixel of interest; Updating history information by updating; (c) a block feature type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 block feature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by using the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and the updated history informa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determined in step (b); (d) a region type to which the previous pixel of the pixel of interest belongs, a region type of a pixel adjacent to the pixel of interest in an upper line of the pixel of interest, a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determined in step (b), and (c) An area type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an area type to which the pixel of interest belongs according to the block feature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detected in the step; And (e) performing different image quality improving processes according to the area type determined in step (d).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질개선장치는 소정 색상공간으로 변환된 화소들의 색상데이터를 라인별로 입력받고, 주목화소의 색상데이타로부터 주목화소의 명도성분, 채도성분 및 색상성분을 획득하는 라인별 화소입력부; 상기 라인별 화소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주목화소의 명도성분, 채도성분 및 색상성분과, 상기 주목화소 주변의 연결성분으로부터 결정된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에 따른 히스토리정보를 상기 주목화소 이전의 히스토리정보를 이용하여 갱신하는 히스토리정보 갱신부; 상기 히스토리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주목화소의 좌측방향과 상측방향으로 제1 크기의 블럭이 배경화소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주목화소를 배경블럭 특징을 갖는 화소로 구분하는 배경블럭특징 검출부; 상기 히스토리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주목화소의 좌측방향과 상측방향으로 제2 크기의 블럭이 그림화소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주목화소를 그림블럭 특징을 갖는 화소로 구분하는 그림블럭특징 검출부;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 상기 주목화소의 좌측방향에 존재하는 화소들의 화소유형 및 상기 주목화소의 상측방향의 인접화소의 영역유형을 이용하여 상기 주목화소를 하프톤블럭 특징을 갖는 화소로 구분하는 하프톤블럭특징 검출부; 상기 주목화소의 좌측방향의 인접화소가 속하는 영역유형, 상기히스토리정보 갱신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 및 상기 주목화소의 상측라인에서 상기 주목화소에 인접한 화소의 영역유형, 상기 각 블럭특징 검출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주목화소의 블럭특징유형에 따라서 상기 주목화소가 속하는 영역유형을 결정하는 영역유형 결정부; 및 상기 영역유형 결정부에서 결정된 영역유형에 따라서 개선정도를 달리하여 화질개선처리를 행하는 화질개선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digital image quality impr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color data of pixels converted into a predetermined color space on a line-by-line basis, and receives brightness, saturation, and color components of the pixel of interest from the color data of the pixel of interest. A pixel input unit for each line; The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determined from the brightness component, the saturation component and the color component of the pixel of interest provided from the pixel input unit for each line, and the connection component around the pixel of interest is used for the history information before the pixel of interest. A history information updating unit for updating by updating; A background block feature detection unit for dividing the pixel of interest into pixels having a background block feature when a block having a first size includes a background pixel in a left direction and an upward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with reference to the history information; A picture block feature detection unit for dividing the pixel of interest into pixels having a picture block feature when a block having a second size is formed of a picture pixel in a left direction and an upward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with reference to the history information; The pixel of interest is divided into pixels having a halftone block by using a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a pixel type of pixels existing in a left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and an area type of an adjacent pixel in an upper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A halftone block feature detector; A region type to which a neighboring pixel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belongs, a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provided from the history information updater, and an area type of a pixel adjacent to the pixel of interest in an upper line of the pixel of interest, and each block An area typ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n area type to which the pixel of interest belongs according to the block feature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provided from a feature detection unit; And an image quality improvement processing unit which performs image quality improvement processing by varying the degree of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area type determined by the area type determination unit.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배경, 문자 및 그림이 혼재된 원고를 스캐닝하여 획득한 소정의 해상도를 갖는 화소들로 구성된 문서영상의 화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주목화소의 색상데이터로부터 명도성분, 채도성분 및 색상성분을 얻기 위하여 소정의 색상공간으로 변환하는 제1 프로그램; 상기 제1 프로그램을 통해 획득한 주목화소의 명도성분, 채도성분 및 색상성분과, 상기 주목화소 주변의 연결성분으로부터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에 따른 히스토리정보를 상기 주목화소 이전의 히스토리정보를 이용하여 갱신하는 제2 프로그램; 상기 제2 프로그램을 통해 획득한 히스토리정보,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 상기 주목화소의 좌측방향에 존재하는 화소들의 화소유형 및 상기 주목화소의 상측방향의 인접화소의 영역유형을 이용하여 상기 주목화소의 블럭특징유형을 검출하는 제3 프로그램; 상기 제2 프로그램을 통해 획득한 상기 주목화소의 좌측방향의 인접화소가 속하는 영역유형,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 및 상기 주목화소의 상측라인에서 상기 주목화소에 인접한 화소의 영역유형, 상기제3 프로그램을 통해 검출된 상기 주목화소의 블럭특징유형에 따라서 상기 주목화소가 속하는 영역유형을 결정하는 제4 프로그램; 및 상기 제4 프로그램을 통해 결정된 상기 주목화소의 영역유형에 따라서 개선정도를 달리하여 화질개선처리를 행하는 제5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mproving the image quality of a document image composed of pixels having a predetermined resolution obtained by scanning an original mixed with a background, a character, and a picture. A first program for converting into a predetermined color space to obtain a brightness component, a saturation component and a color component from the color data of the pixel of interest for executing the method on a computer; The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is determined from the lightness, saturation, and color components of the pixel of interest acquired through the first program, and the connection components around the pixel of interest, and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is determined. A second program for updating the data using history information prior to the pixel of interest; The pixel of interest using the history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econd program, the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the pixel type of pixels existing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and the region type of the adjacent pixel of the pixel of interest; A third program for detecting a block feature type of a; A region type to which a neighboring pixel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acquired through the second program belongs, a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and an area type of a pixel adjacent to the pixel of interest in an upper line of the pixel of interest; A fourth program for determining a region type to which the pixel of interest belongs according to the block feature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detected through a program; And a fifth program for performing image quality improvement processing by varying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accordance with the area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determined through the fourth program.

이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질 개선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주목화소의 색상데이타 변환단계(210), 주목화소의 화소유형에 따른 히스토리정보 갱신단계(210), 주목화소의 블럭특징유형 결정단계(230), 주목화소의 영역유형 결정(240), 및 영역유형별 화질개선처리단계(250)로 이루어진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improving digital image qu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 data conversion step 210 of the pixel of interest 210, history information update step 210 of the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and A block feature type determination step 230, a region type determination 240 of the pixel of interest, and an image quality improvement processing step 250 for each region type are performed.

색상데이타 변환단계(210)에서는 주목화소의 RGB 색상데이타를 명도성분, 채도성분, 색상성분을 갖는 색상데이타로 변환한다. 이때 사용되는 색상모델로는 YIQ 또는 YCbCr 등을 들 수 있다.In the color data conversion step 210, RGB color data of the pixel of interest is converted into color data having a brightness component, a saturation component, and a color component. At this time, the color model used may include YIQ or YCbCr.

YIQ 색상모델에 있어서 Y는 명도, I와 Q는 색상성분을 나타내며, RGB 값이 주어졌을 경우, YIQ 값은 다음 수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In the YIQ color model, Y denotes brightness, I and Q denote color components, and when an RGB value is given, the YIQ value may be expressed by Equation 1 below.

Y = 0.29900R + 0.58700G + 0.11400BY = 0.29900R + 0.58700G + 0.11400B

I = 0.59600R - 0.27500G - 0.32100BI = 0.59600R-0.27500G-0.32100B

Q = 0.21200R - 0.52300G + 0.31100BQ = 0.21200R-0.52300G + 0.31100B

RGB 색상데이타를 YIQ 색상모델을 이용하여 변환한 경우, 명도성분은 Y 성분으로 채택되고, 채도성분은 I 성분의 절대값과 Q 성분의 절대값의 합 또는 I 성분과 Q 성분의 제곱평균제곱근(Root Mean Square)으로 구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색상성분은로 구해질 수 있다.When RGB color data is converted using the YIQ color model, the brightness component is adopted as the Y component, and the saturation component is the sum of the absolute values of the I and Q components or the root mean square of the I and Q components ( Root Mean Square) is preferably obtained. Color component Can be obtained as

한편, YCbCr 색상모델에 있어서 Y는 명도, Cb와 Cr은 청색정도와 적색정도를 나타내며, RGB 값이 주어졌을 경우, YCbCr 값은 다음 수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YCbCr color model, Y represents lightness, Cb and Cr represent blue and red degrees, and when an RGB value is given, the YCbCr value may be represented by Equation 2 below.

Y = 0.29900R + 0.58700G + 0.11400BY = 0.29900R + 0.58700G + 0.11400B

Cb = -0.16874R - 0.33126G + 0.50000BCb = -0.16874R-0.33126G + 0.50000B

Cr = 0.50000R - 0.41869G - 0.08131BCr = 0.50000R-0.41869G-0.08131B

RGB 색상데이타를 YCbCr 색상모델을 이용하여 변환한 경우, 명도성분은 Y 성분으로 채택되고, 채도성분은 Cb 성분의 절대값과 Cr 성분의 절대값의 합 또는 Cb 성분과 Cr 성분의 제곱평균제곱근(Root Mean Square)으로 구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색상성분은로 구해질 수 있다.When RGB color data is converted using the YCbCr color model, the brightness component is adopted as the Y component, and the saturation component is the sum of the absolute values of the Cb and Cr components or the root mean square root of the Cb and Cr components ( Root Mean Square) is preferably obtained. Color component Can be obtained as

히스토리정보 갱신단계(220)는 화소유형 결정단계(221)와 제1 및 제2 히스토리정보 갱신/저장단계(222)로 이루어진다.The history information updating step 220 includes a pixel type determination step 221 and a first and second history information updating / storing step 222.

221 단계에서는 상기 210 단계에서 얻어진 현재 라인의 각 주목화소의 명도성분과 채도성분을 각각 밝기 기준치와 채도 기준치와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서 주목화소가 배경화소인지 그림화소인지 판단한다. 만약 주목화소의 채도성분이 채도기준치(S0)보다 낮고 명도성분이 높은 밝기 기준치(B1)보다 높을 경우 주목화소는 배경화소로 구분된다. 한편, 배경화소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화소는 모두 배경화소가 아닌 화소가 된다. 만약 주목화소가 배경화소가 아닌 화소인 경우, 주목화소의 채도성분이 채도기준치(S0)보다 높거나 명도성분이 낮은 밝기 기준치(B2)보다 높을 경우 주목화소는 그림화소로 구분된다. 여기서, 채도기준치(S0)는 바람직하게로는 15 정도이고, 높은 밝기 기준치(B1)는 화이트에 가까운 값으로서 바람직하게로는 250 정도이고, 낮은 밝기 기준치(B2)는 블랙에 가까운 값으로서 바람직하게로는 100 정도이다.In step 221, the brightness and saturation components of each pixel of interest of the current line obtained in step 210 are compared with the brightness and chroma reference values, respectively,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ixel of interest is a background pixel or a picture pixe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f the saturation component of the pixel of interest is lower than the saturation reference value S0 and the brightness component is higher than the high brightness reference value B1, the pixel of interest is divided into a background pixel. On the other hand, all pixels that do not satisfy the conditions of the background pixel become pixels instead of the background pixel. If the pixel of interest is a pixel other than the background pixel, the pixel of interest is divided into a picture pixel when the chroma component of the pixel of interest is higher than the chroma reference value S0 or the brightness component is higher than the low brightness reference value B2. Here, the saturation reference value S0 is preferably about 15, and the high brightness reference value B1 is preferably close to white, preferably about 250, and the low brightness reference value B2 is preferably close to black. It is about 100.

한편, 주목화소가 하프톤 화소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먼저 주목화소를 중심으로 하는 3×N (여기서 N은 3 이상) 윈도우, 예를 들면 3×3 윈도우 내에 존재하는 화소들의 4 방향 연결성분값이 2 내지 3, 바람직하게로는 2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4 방향 연결성분값이 2 이상인 경우, 주목화소를 중심으로 하는 3×3 윈도우 내에 존재하는 화소들의 명도성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밝기 차이 기준치, 바람직하게로는는 30 이상이거나, 색상성분의 차이값의 최대값이 색상 차이 기준치, 바람직하게로는는 1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색상성분의 차이값은 주목화소의 색상성분과 윈도우내의 나머지 화소들의 색상성분과의 차이값으로부터 얻어진다. 한편, 화소의 색상성분은 RGB 색상값을 YIQ나 YCrCb 색상모델의 색상성분으로 변환하여 계산하는데, 색상성분이 -π에서 +π사이의 값을 갖는 라디안 값이므로, 두 색상성분의 차이값은 라디안으로 표현된 두 색상값의 각도차로 나타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pixel of interest is a halftone pixel, first, the 4-way connection component values of the pixels existing in the 3 × N window (where N is 3 or more) centered on the pixel of interest, for example, 3 × 3 window It is judged whether it is 2-3, Preferably it is two or more. In addition, when the four-way connection component value is 2 or m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brightness components of the pixels existing in the 3 × 3 window centered on the pixel of interest is a brightness difference reference value, preferably 30 or more, or the color componen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maximum value of the difference value is a color difference reference value, preferably 1 or more. Here, the difference value of the color component is obtained from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color component of the pixel of interest and the color component of the remaining pixels in the window. On the other hand, the color component of the pixel is calculated by converting the RGB color value to the color component of the YIQ or YCrCb color model. Since the color component is a radian value between -π and + π,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lor components is in radians. It can be expressed as an angle difference between two color values.

222 단계에서는 상기 22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를 이용하여 주목화소의 제1또는 제2 히스토리정보를 갱신하고 저장한다. 여기서, 제1 히스토리정보는 배경블럭특징 유형을 결정하기 위하여, 중심화소에 대하여 상측방향으로 몇 개의 화소가 연속적으로 배경화소인지 나타내는 값을 가지며, 제2 히스토리정보는 그림블럭특징 유형을 결정하기 위하여, 중심화소에 대하여 상측방향으로 몇 개의 화소가 연속적으로 그림화소인지 나타내는 값을 가진다.In step 222, the first or second history informa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is updated and stored using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221. Here, the first history information has a value indicating how many pixels are continuously background pixels in an up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pixel in order to determine the background block feature type, and the second history information is used to determine the picture block feature type. For example, the pixel has a value indicating how many pixels are successively picture pixels in the up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pixel.

상기 22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주목화소가 배경화소로 구분된 경우, 주목화소를 포함하여 상측방향으로 연속된 배경화소의 갯수를 주목화소에 대하여 제1 히스토리정보로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주목화소를 포함하여 상측방향으로 연속된 배경화소의 갯수가 소정 m개 이상이면 m을 주목화소의 제1 히스토리정보로 저장하고, m개 이하이면 해당 갯수를 주목화소의 제1 히스토리정보로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로는 600 dpi(dor per inch) 해상도에서는 m은 3으로 지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히스토리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배경화소에 사용되는 메모리는 [](여기서, []은 가우스 기호이다) 비트로서, m이 3인 경우 2 비트를 필요로 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221, when the pixel of interest is divided into a background pixel, the number of background pixels consecutive in the upward direction including the pixel of interest is stored as the first history information for the pixel of interest. Preferably, m is stored as first history informa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when the number of background pixels continuous in the upward direction including the pixel of interest is m or more, and m or less is the first history of the pixel of interest. Save as information. Preferably, m may be designated as 3 at 600 dpi (dor per inch) resolution. In this case, the memory used for the background pixel for storing the first history information is [ ], Where [] is a Gaussian symbol, which requires two bits when m is three.

상기 22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주목화소가 그림화소로 구분된 경우, 주목화소를 포함하여 상측방향으로 연속된 그림화소의 갯수를 주목화소에 대하여 제2 히스토리정보로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주목화소를 포함하여 상측방향으로 연속된 그림화소의 갯수가 소정 p개 이상이면 p를 주목화소의 제2 히스토리정보로 저장하고, p개 이하이면 해당 갯수를 주목화소의 제2 히스토리정보로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로는 600 dpi(dor per inch) 해상도에서는 p는 7로 지정될 수 있다. 이러한경우, 제2 히스토리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그림화소에 사용되는 메모리는 [] 비트로서, p가 7인 경우 3 비트를 필요로 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221, when the pixel of interest is divided into picture pixels, the number of picture pixels consecutive in the upward direction including the pixel of interest is stored as the second history information for the pixel of interest. Preferably, p is stored as second history informa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when the number of consecutive picture pixels, including the pixel of interest, in the upward direc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p. Save as information. Preferably, p may be designated as 7 at 600 dpi (dor per inch) resolution. In this case, the memory used for the picture pixel for storing the second history information is [ ], 3 is required if p is 7.

따라서, 1 라인의 각 화소에 대하여 제1 및 제2 히스토리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총 메모리용량은 (1 라인당 화소수 ×5 비트)가 되어, 하드웨어 구현시 상당한 원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the total memory capacity used to store the first and second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pixel of one line becomes (number of pixels per line x 5 bits), so that a significant cost reduction in hardware implementation can be obtained.

블럭특징유형 검출단계(220)에서는 제1 또는 제2 히스토리정보를 이용하여 배경블럭 특징과 그림블럭 특징을 검출한다. 배경블럭 특징은 제1 히스토리정보를 참조하여 검출하는데, 배경화소인 주목화소를 포함하여 주목화소의 좌측방향으로 m이 저장된 배경화소가 연속적으로 n개 이상 나타날 때 검출된다. 바람직하게로는, 600 dpi 해상도에서는 m과 n은 각각 3과 5로 지정될 수 있다. 그림블럭 특징은 제2 히스토리정보를 참조하여 검출하는데, 그림화소인 주목화소를 포함하여 주목화소의 좌측방향으로 p가 저장된 그림화소가 연속적으로 q개 이상 나타날 때 검출된다. 바람직하게로는, 600 dpi 해상도에서는 p와 q는 각각 7과 20으로 지정될 수 있다.In the block feature type detection step 220, the background block feature and the picture block feature are detected using the first or second history information. The background block feature is detected with reference to the first history information, which is detected when n or more background pixels in which m is stored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including the pixel of interest of the background pixel, appear continuously. Preferably, m and n may be designated 3 and 5, respectively, at 600 dpi resolution. The picture block feature is detected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history information. The picture block feature is detected when more than q picture pixels in which p is stored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including the pixel of interest, are shown continuously. Preferably, at 600 dpi resolution, p and q may be designated as 7 and 20, respectively.

한편, 하프톤블럭 특징은 주목화소가 하프톤 화소이고, 주목화소를 포함하여 좌측방향으로 하프톤 거리 기준치, 바람직하게로는 11 이내에 하프톤 화소가 존재하거나, 상측 라인에서 주목화소에 인접한 화소가 하프톤 그림 영역에 속할 경우 하프톤블럭 특징이 검출된다.On the other hand, the halftone block feature is that the pixel of interest is a halftone pixel, and the halftone pixel exists within a halftone distance reference value, preferably 11, in the left direction including the pixel of interest, or a pixel adjacent to the pixel of interest in the upper line If it belongs to the halftone picture region, the halftone block feature is detected.

영역유형 결정단계(240)에서는 주목화소의 좌측방향에 존재하는 이전화소가 속하는 영역, 주목화소의 상측방향에 존재하는 주목화소에 인접한 화소가 속하는영역, 상기 221 단계에서의 화소유형, 및 상기 220 단계에서의 블럭특징유형 검출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주목화소가 속하는 영역을 결정한다.In the region type determining step 240, the region to which the previous pixel existing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belongs, the region belonging to a pixel adjacent to the pixel of interest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the pixel type in step 221, and 220 The area to which the pixel of interest belongs is determined based on the block feature type detection result in the step.

화질개선 처리단계(250)에서는 상기 240 단계에서 주목화소가 속하는 영역유형이 결정되면, 영역유형별로 개선 정도를 달리하여 화질개선처리를 행한다. 이때 사용되는 강조기법의 일예로서 비선명화 마스킹(unsharpen masking) 처리를 들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강조될 화소의 명도는 다음 수학식 3에 의해 구해진다.In the image quality improvement process 250, when the region type to which the pixel of interest belongs is determined in step 240, the image quality improvement process is performed by varying the degree of improvement for each region type. An example of the highlighting technique used here is an unsharpen masking process, whereby the brightness of the pixel to be emphasized is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Le = L5 + k(L5 - Lavg)Le = L5 + k (L5-Lavg)

여기서, L5는 강조될 화소의 원래의 명도이고, Lavg는 설정된 윈도우 내의 명도의 평균값이며, Le는 강조된 명도값이고, k는 강조 계수이다.Where L5 is the original brightness of the pixel to be emphasized, Lavg is the average value of the brightness within the set window, Le is the highlighted brightness value, and k is the enhancement coefficient.

먼저, 주목화소가 문자영역으로 구분된 경우에는 배경영역과의 차이를 최대한으로 하기 위해 주목화소의 명도를 높은 등급, 중간 등급, 낮은 등급의 3 등급으로 구분하여, 높은 등급에 속하면 칼라 256 계조 출력시 RGB 값을 (255,255,255)로 지정하여 백처리하고, 낮은 등급에 속하면 (0,0,0)으로 지정하여 흑처리한다. 한편, 주목화소의 명도가 문자영역과 배경영역의 경계부분에서 많이 나타나는 중간 등급에 속하면 큰 강조계수, 바람직하게로는 6 이상의 비선명화 마스킹 처리를 적용하여 문자영역의 경계를 강조한다. 한편, 주목화소가 배경영역으로 구분된 경우에는 원 영상을 그대로 출력한다.First, when the pixel of interest is divided into character areas, the brightness of the pixel of interest is divided into three grades of high, middle, and low grades to maximize the difference with the background area. When outputting, the RGB value is designated as (255,255,255) and back processed. If it belongs to a lower level, it is designated as (0,0,0) and black processed. On the other hand, if the brightness of the pixel of interest belongs to the intermediate grade appearing at the boundary between the text area and the background area, a large emphasis coefficient, preferably six or more non-sharpening masking processes, is applied to emphasize the boundary of the text area. On the other hand, if the pixel of interest is divided into a background area, the original image is output as it is.

주목화소가 연속톤 그림영역으로 구분된 경우에는 작은 강조계수, 바람직하게로는 1 이상 6 이하의 비선명화 마스킹처리를 적용하여 경계를 강조한다. 한편,주목화소가 연속톤 그림영역으로 구분된 경우에는 원 영상을 그대로 출력하거나, 저대역 통과필터를 적용하여 눈에 거슬리는 패턴이 나타나타는 것을 방지하거나, 아주 작은 강조계수, 바람직하게로는 1 이하를 사용하는 비선명화 마스킹 처리를 적용한다.When the pixel of interest is divided into a continuous tone picture region, a small emphasis coefficient, preferably a non-sharpening masking process of 1 to 6 or less, is applied to emphasize the boundary. On the other hand, if the main pixel is divided into a continuous tone picture area, the original image is output as it is, or a low pass filter is applied to prevent annoying patterns from appearing, or a very small emphasis coefficient, preferably 1 or less Apply non-sharpening masking processing using.

도 3은 도 2에 있어서 히스토리정보 갱신단계(220)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화소선택단계(310), 화소유형 결정단계(320), 제1 히스토리정보 갱신단계(330), 제2 히스토리정보 갱신단계(340) 및 최종화소 판단단계(350)로 이루어진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history information updating step 220 of FIG. 2, wherein the pixel selection step 310, the pixel type determination step 320, the first history information updating step 330, and the first history information updating step 220 are performed. 2 history information update step 340 and the final pixel determination step 350.

화소선택단계(310)에 있어서, 현재 라인의 최초 화소에서부터 히스토리정보 갱신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311 단계에서는 화소의 초기 위치값(I)을 '0'으로 둔다. 312 단계에서는 화소의 위치값(I)을 '1'씩 증가시킨다.In the pixel selection step 310, since the history information update process is performed from the first pixel of the current line, in step 311, the initial position value I of the pixel is set to '0'. In step 312, the position value I of the pixel is increased by '1'.

화소유형 결정단계(320)에 있어서, 321 단계에서는 I 번째 화소의 채도성분이 채도기준치(S0)보다 낮고 명도성분이 높은 밝기 기준치(B1)보다 높은지를 판단하여, 해당하는 경우 I 번째 화소를 배경화소로 결정한다. 322 단계에서는 상기 321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배경화소가 아닌 화소로 결정된 경우, I 번째 화소의 화소유형이 그림화소인지를 판단하는데, 이때 I 번째 화소의 채도성분이 채도기준치(S0)보다 높거나 명도성분이 낮은 밝기 기준치(B2)보다 크고 높은 밝기 기준차(B1)보다는 작은 경우 I 번째 화소는 그림화소로 구분된다.In the pixel type determination step 320, in step 32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aturation component of the I-th pixel is lower than the saturation reference value S0 and the brightness component is higher than the high brightness reference value B1. Determined by pixel. In step 32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ixel is not a background pixel,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321 determines whether the pixel type of the I-th pixel is a picture pixel, wherein the saturation component of the I-th pixel is higher than the saturation reference value S0. When the brightness component is larger than the low brightness reference value B2 and smaller than the high brightness reference difference B1, the I-th pixel is divided into picture pixels.

배경히스토리 즉, 제1 히스토리 정보 갱신단계(330)에 있어서, 331 단계에서는 상기 321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I 번째 화소가 배경화소로 결정된 경우 I 번째화소의 그림히스토리를 '0'으로 설정하고, 332 단계에서는 이미 저장되어 있던 배경히스토리가 m, 예를 들면 '3'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 상기 332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배경히스토리가 m과 같거나 큰 경우에는 m인 배경히스토리를 그대로 유지하고, 배경히스토리가 m보다 작은 경우에는 배경히스토리를 '1'만큼 증가시킨다.In the background history, that is, the first history information update step 330, in step 331, when the I-th pixel is determined to be the background pixel, the picture history of the I-th pixel is set to '0' in step 321. In step 33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tored background history is smaller than m, for example, '3'.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332, if the background history is equal to or larger than m, the background history of m is maintained as it is, and if the background history is smaller than m, the background history is increased by '1'.

그림히스토리 즉, 제2 히스토리 정보 갱신단계(340)에 있어서, 341 단계에서는 상기 322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I 번째 화소가 배경화소도 아니고 그림화소도 아닌 화소로 결정된 경우, I 번째 화소의 배경히스토리를 '0'으로 설정한다. 342 단계에서는 상기 322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I 번째 화소가 그림화소로 결정된 경우 I 번째 화소의 배경히스토리를 '0'으로 설정하고, 343 단계에서는 이미 저장되어 있던 그림히스토리가 p, 예를 들면 '7'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 상기 343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그림히스토리가 p와 같거나 큰 경우에는 p인 그림히스토리를 그대로 유지하고, 그림히스토리가 p보다 작은 경우에는 그림히스토리를 '1'만큼 증가시킨다.In the picture history, that is, the second history information update step 340, in step 341, when the I-th pixel is determined to be a pixel that is neither a background pixel nor a picture pixel, the background history of the I-th pixel is determined to be ' Set to 0 '. In step 342, if the I-th pixel is determined to be a picture pixel in step 322, the background history of the I-th pixel is set to '0', and in step 343, the previously stored picture history is p, for example, Determine if it is less than 7 '.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343, if the picture history is equal to or larger than p, the picture history of p is maintained as it is, and if the picture history is smaller than p, the picture history is increased by '1'.

최종화소 판단단계(350)에서는 I 번째 화소가 현재 라인의 최종화소인지를 판단하여, 최종화소이면 본 흐름도를 종료하고, 최종화소가 아니면 상기 312 단계로 복귀하여 화소유형 결정단계(320), 제1 히스토리정보 갱신단계(330), 제2 히스토리정보 갱신단계(340) 및 최종화소 판단단계(350)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In the final pixel determination step 35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th pixel is the last pixel of the current line. If the final pixel is the final pixel, the flow is terminated. If the final pixel is not the final pixel, the flow returns to step 312 to determine the pixel type. The history information update step 330, the second history information update step 340, and the final pixel determination step 350 are repeatedly performed.

다음, 도 2에 있어서 화소유형 결정단계(211)에서 하프톤화소를 결정하기 위하여 3×3 윈도우 내에 존재하는 화소들의 연결성분값을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method of obtaining connection component values of pixels existing in a 3x3 window in order to determine halftone pixels in the pixel type determination step 21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do.

도 4를 참조하면, 연결성분값 획득방법은 윈도우 설정단계(411 단계), 명도성분의 평균값 산출단계(413 단계), 이진화단계(415 단계), 및 연결성분값 결정단계(417 단계)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4, the method for obtaining a connected component value includes a window setting step (step 411), an average value calculating step (413), a binarization step (step 415), and a connection component value determining step (step 417). .

411 단계에서는 주목화소를 중심으로 하는 3×3 윈도우를 설정하고, 413 단계에서는 3×3 윈도우 내에 존재하는 모든 화소들의 명도성분의 평균값을 산출한다.In step 411, a 3x3 window is set around the pixel of interest, and in step 413, an average value of brightness components of all pixels existing in the 3x3 window is calculated.

415 단계에서는 상기 411 단계에서 획득한 명도성분의 평균값과 3×3 윈도우 내에 존재하는 각 화소의 명도성분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1' 또는 '0'을 하당하여 이진화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해당 화소의 명도성분이 명도성분의 평균값보다 작으면 '1', 높으면 '0'을 할당한다.In step 415, the brightness value of each pixel present in the 3 × 3 window is compared with the average value of the brightness components obtained in step 411, and binarization is performed by assigning '1' or '0'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For example, if the brightness component of the pixel is smaller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brightness component, '1' is assigned, and '0' is assigned to the pixel.

417 단계에서는 소요되는 메모리용량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룩업테이블 대신 논리회로를 사용하면서, 주목화소의 이진값에 따라 서로 다른 산출방법으로 연결성분값(CC)을 결정한다. 이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step 417, the connection component value CC is determined using a different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binary value of the pixel of interest while using a logic circuit instead of a lookup table to minimize the required memory capacity.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에 있어서, 511 단계에서는 주목화소 즉, B5 화소의 이진값이 1인지를 판단한다.5, in step 51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inary value of the pixel of interest, that is, the B5 pixel, is one.

512 단계에서는, 상기 51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주목화소의 이진값이 '0'이면, B1 화소에서부터 시계방향(60)으로 연속된 '0'과 '1'의 블럭이 몇 개 존재하는지를 카운트하여 그 값을 연결성분값(CC)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목화소인 B5 화소를 포함하여, B1, B3, B4, B8 화소가 '0'인 경우연결성분값(CC)은 3이 된다.In step 512, if the binary value of the pixel of interest is '0' as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511, the number of blocks of '0' and '1' continuous from the B1 pixel in the clockwise direction 60 is counted. The value is determined as the connected component value (CC).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6, when the B1, B3, B4, and B8 pixels are '0' including the B5 pixel of interest, the connection component value CC is 3.

513 단계에서는, 상기 51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B5 화소의 이진값이 '1'이면, B2, B4, B6, B8 화소의 각 이진값의 합을 연결도로 정의하고, 연결도의 값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방법으로 연결성분값을 결정한다. 먼저, 514 단계에서는 연결도가 '0'인가를 판단하고, 연결도가 '0'인 경우 B1, B3, B7, B9 화소의 각 이진값의 합에 '1'을 더한 값을 연결성분값(CC)으로 결정한다(515 단계). 한편, 516 단계에서는 상기 514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연결도가 '0'이 아닌 경우, 연결도가 '1'인가를 판단하고, 연결도가 '1'인 경우 시계방향(60)으로 연속된 '1'이 몇 개 존재하는지를 카운트하여 그 값을 연결성분값(CC)으로 결정한다(517 단계).In operation 513, when the binary value of the B5 pixel is '1', the sum of the binary values of the B2, B4, B6, and B8 pixels is defined as the connection degree, and the valu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nnection value. The connection component value is determined by the method. First, in step 51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nection degree is '0', and when the connection degree is '0', the sum of the binary values of the B1, B3, B7, and B9 pixels plus '1' is added to the connection component value ( CC) (step 515). On the other hand, in step 516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514, if the connection degree is not '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nection degree is '1', and if the connection degree is '1' continuous 'in the clockwise direction 60' The number of 1's is counted and the value is determined as the connected component value CC (step 517).

518 단계에서는, 상기 516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연결도가 '1'이 아닌 경우, 연결도가 '3' 또는 '4'인가를 판단하고, 연결도가 '3' 또는 '4'인 경우 연결성분값(CC)을 '1'로 결정한다(519 단계). 한편, 520 단계에서는 상기 518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연결도가 '2'인 경우 B2 및 B8 화소의 이진값이 '1'이거나 B4 및 B6 화소의 이진값이 '1'인가를 판단하고, B2 및 B8 화소의 이진값이 '1'이거나 B4 및 B6 화소의 이진값이 '1'인 경우 연결성분값(CC)을 '1'로 결정한다(521 단계).In step 518, if the connection degree is not '1' in step 516,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nection degree is '3' or '4', and if the connection degree is '3' or '4' The value CC is determined as '1' (step 519). On the other hand, in step 520, when the connection degree is '2' in step 51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inary values of the B2 and B8 pixels are '1' or the binary values of the B4 and B6 pixels are '1'. If the binary value of the B8 pixel is '1' or the binary value of the B4 and B6 pixels is '1', the connection component value CC is determined as '1' (step 521).

522 단계에서는 상기 52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B2 또는 B8 화소의 이진값이 '1'이 아니고, B4 또는 B6 화소의 이진값이 '1'이 아닌 경우 B2 화소의 이진값이 '1'인가를 판단하고, B2 화소의 이진값이 '1'인 경우 B4 화소의 이진값이 '1'인가를 판단하고(523 단계), B4 화소의 이진값이 '1'인 경우 연결성분값(CC)을 B9 화소의 이진값에 '1'을 더한 값으로 결정한다(524 단계). 한편, 525 단계에서는 상기 523 단계에서 B4 화소의 이진값이 '1'이 아닌 경우 연결성분값(CC)을 B7 화소의 이진값에 '1'을 더한 값으로 결정한다.In operation 522, when the binary value of the B2 or B8 pixel is not '1' and the binary value of the B4 or B6 pixel is not '1', the binary value of the B2 pixel is '1'. If the binary value of the B2 pixel is '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inary value of the B4 pixel is '1' (step 523), and if the binary value of the B4 pixel is '1', the connection component value CC is set to B9. In operation 524, the binary value of the pixel is added to '1'. In step 525, when the binary value of the B4 pixel is not '1' in step 523, the connection component value CC is determined as the binary value of the B7 pixel plus '1'.

526 단계에서는 상기 52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B2 화소의 이진값이 '1'이 아닌 경우 B4 화소의 이진값이 '1'인가를 판단하고, B4 화소의 이진값이 '1'인 경우 연결성분값(CC)을 B3 화소의 이진값에 '1'을 더한 값으로 결정한다(527 단계). 한편, 528 단계에서는 상기 526 단계에서 B4 화소의 이진값이 '1'이 아닌 경우 연결성분값(CC)을 B1 화소의 이진값에 '1'을 더한 값으로 결정한다.In step 526, if the binary value of the B2 pixel is not '1',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522 determines whether the binary value of the B4 pixel is '1', and if the binary value of the B4 pixel is '1', the connection component value is determined. (CC) is determined as a value obtained by adding '1' to the binary value of the B3 pixel (step 527). In operation 528, when the binary value of the B4 pixel is not '1' in step 526, the connection component value CC is determined as a value obtained by adding '1' to the binary value of the B1 pixel.

도 7은 도 2에 있어서 영역유형 결정단계(250)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상태도이다.FIG. 7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region type determination step 250 of FIG. 2.

도 7을 참조하면, 스테이트 711에서 이전화소가 배경영역에 속하는 경우, 주목화소가 배경이 아닌 화소이면(713) 주목화소는 문자영역으로 구분되고, 주목화소가 배경화소이면(712) 주목화소는 배경영역으로 유지된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previous pixel belongs to the background area in state 711, if the pixel of interest is a pixel other than the background (713), the pixel of interest is divided into a character area, and if the pixel of interest is a background pixel (712), the pixel of interest is It is kept as the background area.

스테이트 714에서 이전화소가 문자영역에 속하는 경우, 주목화소에서 배경블럭 특징이 검출되면(716) 주목화소로부터 좌측방향으로 배경이 아닌 화소를 만날 때까지 모든 화소를 배경영역으로 구분한다. 한편, 주목화소에서 그림블럭 특징이 검출되면(717) 주목화소로부터 좌측방향으로 배경블럭 특징이 검출된 화소를 만날 때까지 모든 화소를 연속톤 그림영역으로 갱신한다. 또한, 상측 라인에서 주목화소와 인접한 화소가 연속톤 그림영역에 속하거나 하프톤 그림영역에 속하는 경우(717)에도 주목화소로부터 좌측방향으로 배경블럭 특징이 검출된 화소를 만날때까지 모든 화소를 연속톤 그림영역으로 갱신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715) 주목화소는 문자영역으로 유지된다.When the previous pixel belongs to the character area in state 714, when the background block feature is detected in the pixel of interest (716), all pixels are divided into the background area from the pixel of interest until a pixel other than the background is encountered in the left dire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picture block feature is detected in the pixel of interest (717), all pixels are updated to the continuous tone picture region until the pixel of the background block feature is detected from the pixel of interest in the left direction. Further, even when the pixel adjacent to the pixel of interest in the upper line belongs to the continuous tone picture area or the halftone picture area (717), all the pixels are continuously toned until they encounter the pixel whose background block feature is detected from the pixel of interest in the left direction. Update to the picture area. If this condition is not satisfied (715), the pixel of interest is kept in the character area.

스테이트 718에서 이전화소가 연속톤 그림영역에 속하는 경우, 주목화소에서 배경블럭 특징이 검출되면(720) 주목화소로부터 좌측방향으로 배경이 아닌 화소를 만날 때까지 모든 화소를 배경영역으로 갱신한다. 또한, 주목화소에서 하프톤 블럭특징이 검출되면(721) 주목화소로부터 주목화소로부터 좌측방향으로 하프톤 화소를 만날 때까지 모든 화소를 하프톤 그림영역으로 갱신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719) 주목화소는 연속톤 그림영역으로 유지된다.In the state 718, when the previous pixel belongs to the continuous tone picture area, when the background block feature is detected in the pixel of interest 720, all pixels are updated to the background area from the pixel of interest until it encounters a non-background pixel. In addition, when the halftone block feature is detected in the pixel of interest (721), all pixels are updated to the halftone picture area until the halftone pixel is encountered from the pixel of interest from the pixel of interest to the left. If this condition is not satisfied (719), the pixel of interest is maintained in the continuous tone picture area.

스테이트 722에서 이전화소가 하프톤 그림영역에 속하는 경우, 주목화소가 하프톤 화소이면(723) 주목화소를 하프톤 그림영역으로 결정하고, 하프톤 화소가 아니면(724) 연속톤 그림영역으로 결정한다.In the state 722, if the previous pixel belongs to the halftone picture area, if the pixel of interest is a halftone pixel (723), the pixel of interest is determined to be a halftone picture area, and if it is not a halftone pixel (724), it is determined to be a continuous tone picture area. .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예컨데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매체, 예컨데 씨디롬, 디브이디 등과 같은 광학적 판독매체, 및 예컨데 인터넷을 통한 전송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i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for example, magnetic storage media such as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optical read media such as CD-ROM, DVD, etc., and storage media such as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질개선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라인별 화소입력부(810), 히스토리정보 갱신부(820), 배경블럭특징 검출부(830), 그림블럭특징 검출부(840), 하프톤블럭특징 검출부(850), 상측라인정보저장부(860), 영역유형 결정부(870)와 화질개선 처리부(880)로 이루어진다.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digital image quality impr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xel input unit 810 for each line, the history information updater 820, the background block feature detector 830, and the picture block feature detector are shown in FIG. 840, a halftone block feature detection unit 850, an upper line information storage unit 860, an area type determination unit 870, and an image quality improvement processing unit 880.

라인별 화소입력부(810)는 YIQ 또는 YCrCb 색상공간으로 변환된 화소들의 색상데이터를 라인별로 입력하고, 주목화소의 색상데이터로부터 명도성분, 채도성분 및 색상성분을 얻는다.The line-by-line pixel input unit 810 inputs color data of pixels converted into a YIQ or YCrCb color space for each line, and obtains a brightness component, a saturation component, and a color component from the color data of the pixel of interest.

히스토리정보 갱신부(820)는 상기 라인별 화소입력부(810)로부터 제공되는 주목화소의 명도성분, 채도성분 및 색상성분과, 상기 주목화소 주변의 연결성분으로부터 결정된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에 따른 히스토리정보를 상기 주목화소 이전의 히스토리정보를 이용하여 갱신한다.The history information updating unit 820 may include a history according to the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determined from the lightness, saturation, and color components of the pixel of interest provided from the pixel input unit 810 of each line, and the connection component around the pixel of interest. The information is updated using the history information before the pixel of interest.

배경블럭특징 검출부(830)는 상기 히스토리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주목화소의 좌측방향으로 배경블럭특징 판단을 위한 제1 기준인 m 이 저장된 화소가 상기 배경블럭특징 판단을 위한 제2 기준인 n 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상기 주목화소를 배경블럭 특징을 갖는 화소로 구분한다. 여기서는, m과 n이 각각 3과 5인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The background block feature detection unit 830 refers to the history information, and n pixels having m as the first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background block feature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are the second reference for the background block feature determination. In the case of continuous display, the pixel of interest is divided into pixels having a background block feature. Here, the case where m and n are 3 and 5 respectively is mentioned.

그림블럭특징 검출부(840)는 상기 히스토리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주목화소의 좌측방향으로 그림블럭특징 판단을 위한 제1 기준인 p가 저장된 화소가 상기 그림블럭특징 판단을 위한 제2 기준인 q 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상기 주목화소를 그림블럭 특징을 갖는 화소로 구분한다. 여기서는, p와 q가 각각 7과 20인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The picture block feature detection unit 840 refers to the history information so that the pixel in which p, which is the first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picture block feature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is the second reference for the picture block feature determination. In the case of continuous display, the pixel of interest is divided into pixels having a picture block feature. Here, the case where p and q are 7 and 20 respectively is an example.

하프톤블럭특징 검출부(850)는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 상기 주목화소의 좌측방향에 존재하는 화소들의 화소유형 및 상기 주목화소의 상측방향의 인접화소의 영역유형을 이용하여 상기 주목화소를 하프톤블럭 특징을 갖는 화소로 구분한다.The halftone block feature detection unit 850 halves the pixel of interest using the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the pixel type of pixels existing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and the region type of the adjacent pixel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It is divided into pixels having a tone block characteristic.

상측라인 영역정보 저장부(860)는 주목화소의 상측라인에 존재하는 주목화소에 인접한 화소가 속하는 영역유형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The upper line region information storage unit 860 stores information about an area type to which a pixel adjacent to the pixel of interest in the upper line of the pixel of interest belongs.

영역유형 결정부(870)는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기록된 주목화소의 좌측방향의 인접화소가 속하는 영역유형, 상기 히스토리정보 갱신부(82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 및 상측라인 영역정보 저장부(860)로부터 제공되는 상측라인 인접화소의 영역유형, 상기 각 블럭특징 검출부(830, 840, 85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주목화소의 블럭특징유형에 따라서 상기 주목화소가 속하는 영역유형을 결정한다.The region type determiner 870 includes a region type to which an adjacent pixel on the left side of a pixel of interest recorded in an internal memory (not shown) belongs, a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provided from the history information updater 820, and an upper side. The area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according to the area type of the upper line adjacent pixel provided from the line area information storage unit 860 and the block feature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provided from the respective block feature detection units 830, 840, and 850. Determine.

화질개선 처리부(880)는 영역유형 결정부(870)에서 결정된 영역유형에 따라서 개선정도를 달리하여 화질개선처리를 행하여 화질을 향상시킨다.The image quality improvement processing unit 880 improves the image quality by performing image quality improvement processing by varying the degree of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region type determined by the area type determination unit 87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문자와 그림이 혼재된 문서를 복사할 경우, 스캐닝된 문서영상을 문자영역, 배경영역, 하프톤 그림영역과 연속톤 그림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영역유형에 적합한 화질개선처리를 적용함으로써 출력물의 전체적인 화질을 대폭 개선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pying a document in which text and pictures are mixed, the scanned document image is divided into a text area, a background area, a halftone picture area, and a continuous tone picture area. By applying an appropriate image quality improvement process, the overall image quality of the output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주목화소에서 검출되는 블럭특징유형 또는 주목화소의 상측라인에서 주목화소에 인접한 화소가 속하는 영역유형에 따라서 주목화소의 좌측방향으로 일정한 거리에 이르는 화소들을 배경영역, 하프톤 그림영역 또는 연속톤 그림영역으로 갱신시킴으로써, 각 영역에서 발생가능한 돌연성을 미리 억제할 수 있다.Also, pixels reaching a certain distance to the left of the pixel of interest according to a block feature type detected in the pixel of interest or a region type to which a pixel adjacent to the pixel of interest belongs in the upper line of the pixel of interest are included in a background area, a halftone picture area, or a continuous tone. By updating to the picture area,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suddenness that can occur in each area in advance.

또한, 배경블럭특징 및 그림블럭특징을 검출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히스토리정보를 이용하고, 연결성분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논리회로를 이용함으로써 소요되는 메모리용량을 최소화시킴으로써 하드웨어 구현시 상당한 원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history information to detect the background block feature and the picture block feature, and minimizing the memory capacity required by using the logic circuit to determine the connection component value, significant cost saving effect is realized in hardware implementation.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 대해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21)

배경, 문자 및 그림이 혼재된 원고를 스캐닝하여 획득한 소정의 해상도를 갖는 화소들로 구성된 문서영상의 화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improving the image quality of a document image composed of pixels having a predetermined resolution obtained by scanning an original mixed with a background, text, and picture, (a) 주목화소의 색상데이터로부터 명도성분, 채도성분 및 색상성분을 얻기 위하여 소정의 색상공간으로 변환하는 색상데이터 변환단계;(a) a color data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a color component of the pixel of interest to a predetermined color space to obtain a brightness component, a saturation component and a color component; (b) 상기 (a) 단계에서 획득한 명도성분, 채도성분 및 색상성분과, 상기 주목화소 주변의 연결성분으로부터 결정된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에 따른 히스토리정보를 상기 주목화소 이전의 히스토리정보를 이용하여 갱신하는 히스토리정보 갱신단계;(b) history information prior to the pixel of interest is used for the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determined from the lightness component, the saturation component and the color component obtained in the step (a), and the connection component around the pixel of interest; Updating history information by updating; (c) 상기 (b) 단계에서 결정된 주목화소의 화소유형과 갱신된 주목화소의 히스토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목화소의 블럭특징 유형을 검출하는 블럭특징 유형 검출단계;(c) a block feature type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 block feature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by using the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and the updated history informa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determined in step (b); (d) 상기 주목화소의 좌측방향의 인접화소가 속하는 영역유형, 상기 주목화소의 상측라인에서 상기 주목화소에 인접한 화소의 영역유형, 상기 (b)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 및 상기 (c) 단계에서 검출된 상기 주목화소의 블럭특징 유형에 따라서 상기 주목화소가 속하는 영역유형을 결정하는 영역유형 결정단계; 및(d) a region type to which an adjacent pixel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belongs, a region type of a pixel adjacent to the pixel of interest in an upper line of the pixel of interest, a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determined in step (b), and the a region type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a region type to which the pixel of interest belongs according to the block feature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detected in step (c); And (e) 상기 (d) 단계에서 결정된 영역유형에 따라서 서로 다른 화질개선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화질개선방법.and (e) performing different image quality improving processes according to the area type determined in step (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b) (b1) 상기 주목화소의 명도성분과 채도성분을 이용하여 상기 주목화소가 배경화소인지 그림화소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명도성분, 색상성분 및 연결성분을 이용하여 상기 주목화소가 하프톤화소인지를 결정하는 화소유형 결정단계;(b1) Determining whether the pixel of interest is a background pixel or a picture pixel using the brightness component and the chroma component of the pixel of interest, and whether the pixel of interest is a halftone pixel using the brightness component, the color component, and the connection component. Determining a pixel type; (b2) 상기 (b1) 단계에서 상기 주목화소가 배경화소로 결정되면, 상기 주목화소를 포함하여 상기 주목화소의 상측방향으로 연속된 배경화소의 갯수를 상기 주목화소의 제1 히스토리정보로 저장하여 갱신하는 제1 히스토리정보 갱신단계; 및(b2) when the pixel of interest is determined to be a background pixel in step (b1), the number of background pixels consecutive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including the pixel of interest is stored as first history informa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Updating first history information; And (b3) 상기 (b1) 단계에서 상기 주목화소가 그림화소로 결정되면, 상기 주목화소를 포함하여 상기 주목화소의 상측방향으로 연속된 그림화소의 갯수를 상기 주목화소의 제2 히스토리정보로 저장하여 갱신하는 제2 히스토리정보 갱신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화질개선방법.(b3) when the pixel of interest is determined as the picture pixel in step (b1), the number of picture pixels consecutively included in the image of the pixel of interest including the pixel of interest is stored as second history informa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And a second history information updating step of updating.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step (b1) (b11) 상기 주목화소의 명도성분이 높은 밝기 기준치보다 크고, 채도성분이 채도기준치보다 작을 경우, 상기 주목화소를 배경화소로 구분하는 단계;(b11) dividing the pixel of interest into a background pixel when the brightness component of the pixel of interest is larger than the high brightness reference value and the chroma component is smaller than the chroma reference value; (b12) 상기 주목화소의 명도성분이 낮은 밝기 기준치보다는 크고 높은 밝기 기준치보다는 작거나, 채도성분이 채도기준치보다 큰 경우, 상기 주목화소를 그림화소로 구분하는 단계; 및(b12) dividing the pixel of interest into a picture pixel when the brightness component of the pixel of interest is larger than the low brightness reference value and smaller than the high brightness reference value or the chroma component is larger than the chroma reference value; And (b13) 상기 주목화소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 크기의 윈도우내에 존재하는 연결성분, 명도성분의 차이값과 색상성분의 차이값을 구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상기 주목화소를 하프톤화소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화질개선방법.(b13) obtaining a difference value between a connection component, a brightness component, and a color component existing in a window having a predetermined size centering on the pixel of interest, and dividing the pixel of interest into halftone pixels using the same; How to improve digital image quality.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b13)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step (b13) (b131) 상기 윈도우내에 존재하는 화소들의 연결성분을 구하는 단계;(b131) obtaining a connection component of pixels existing in the window; (b132) 상기 윈도우내에 존재하는 화소들의 명도성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값과 밝기차이 기준치를 비교하고, 상기 화소들의 색상성분 차이값의 최대값을 색상차이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b132)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brightness components of the pixels existing in the window and the brightness difference reference value, and comparing the maximum value of the color component difference values of the pixels with the color difference reference value; And (b133) 상기 (b131) 단계에서 구한 연결성분이 소정 값 이상이고, 상기 (b132) 단계의 비교결과 상기 화소들의 명도성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값이 상기 밝기차이 기준치 이상이거나, 상기 화소들의 색상성분 차이값의 최대값이 상기 색상차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상기 주목화소를 하프톤화소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화질개선방법.(b133) The connection component obtained in the step (b131) is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the step (b132),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brightness component of the pixel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of the brightness difference, or And determining the pixel of interest as a halftone pixel when the maximum value of the color component dif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olor difference reference valu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b131)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step (b131) (b1311) 상기 명도성분을 이용하여 상기 윈도우내의 모든 화소들에 대하여 이진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b1311) performing binarization on all pixels in the window using the brightness component; And (b1312) 이진화 결과 상기 주목화소에 할당된 이진값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방법으로 연결성분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화질개선방법.(b1312) The result of binarization, wherein the method of obtaining the connected components is obtained by different methods according to the binary values assigned to the pixel of interest.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b1311) 단계에서는 상기 윈도우내의 모든 화소들의 명도성분의 평균값을 구하여, 각 화소들의 명도성분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각 화소들의 이진화를 행하는 디지털 화질개선방법.6. The digital image quality improv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in step (b1311), an average value of brightness components of all pixels in the window is obtained, compared with brightness components of respective pixels, and binarization of each pixel is performed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b1312) 단계에서는 상기 주목화소의 명도성분이 상기 평균값보다 큰 경우, 시계방향으로 연속된 상기 주목화소의 이진값과 다른 값을 갖는 화소들로 이루어진 블럭의 수를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값을 연결성분으로 결정하는 디지털 화질개선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in step (b1312), when the brightness component of the pixel of interest is greater than the average value, the number of blocks including pixels having a value different from the binary value of the pixel of interest consecutive in the clockwise direction is counted. And determining the count value as a connected component.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b1312) 단계에서는 상기 주목화소의 명도성분이 상기 평균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주목화소의 4 방향 화소들의 이진값을 합한 값의 크기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방법으로 연결성분을 결정하는 디지털 화질개선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the step (b1312), when the brightness component of the pixel of interest is smaller than the average value, the connection component is determined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sum of the binary values of the four-direction pixels of the pixel of interest. How to improve digital image quality.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b132) 단계에서 상기 화소들의 색상성분의 차이값은 상기 주목화소의 색상성분과 윈도우내의 나머지 화소들의 색상성분과의 차이값으로부터 얻어지는 디지털 화질개선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ifference value of the color components of the pixels in the step (b132) is obtained from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color component of the pixel of interest and the color components of the remaining pixels in the window.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에서는 배경블럭특징 판단을 위한 제1 기준인 m을 설정하여, 상기 주목화소의 상측방향으로 연속된 배경화소의 갯수가 상기 m 이상이면 m, 상기 m이하이면 해당 갯수를 상기 제1 히스토리정보로 저장하는 디지털 화질개선방법.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in step (b2), m is set as a first criterion for determining a background block feature, and m is less than or equal to m if the number of consecutive background pixels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m. If the number is stored as the first history informa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에서는 그림블럭특징 판단을 위한 제1 기준인 p를 설정하여, 상기 주목화소의 상측방향으로 연속된 그림화소의 갯수가 상기 p 이상이면 p, 상기 p이하이면 해당 갯수를 상기 제2 히스토리정보로 저장하는 디지털 화질개선방법.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in step (b3), p is set as a first criterion for determining a picture block feature, and if 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p, the number of consecutive drawing pixels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is equal to or less than p. If the number is stored as the second history inform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c) (c1) 상기 히스토리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주목화소의 좌측방향으로 배경블럭특징 판단을 위한 제1 기준인 m 이 저장된 화소가 상기 배경블럭특징 판단을 위한 제2 기준인 n 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상기 주목화소를 배경블럭 특징을 갖는 화소로 구분하는 단계;(c1) when the pixel in which m, the first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background block feature, is stored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with reference to the history information, n consecutively appears as the second criterion for the background block feature determination, Dividing the pixel of interest into pixels having a background block feature; (c2) 상기 히스토리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주목화소의 좌측방향으로 그림블럭특징 판단을 위한 제1 기준인 p가 저장된 화소가 상기 그림블럭특징 판단을 위한 제2 기준인 q 개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상기 주목화소를 그림블럭 특징을 갖는 화소로 구분하는 단계; 및(c2) when the pixel in which p, the first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picture block feature, is stored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with reference to the history information, appears q consecutively as the second criterion for the picture block feature determination, Dividing the pixel of interest into pixels having picture block characteristics; And (c3)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 상기 주목화소의 좌측방향에 존재하는 화소들의 화소유형 및 상기 주목화소의 상측방향의 인접화소의 영역유형을 이용하여 상기 주목화소를 하프톤블럭 특징을 갖는 화소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화질개선방법.(c3) In step (b), the pixel of interest is halved using the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the pixel type of pixels existing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and the region type of the adjacent pixel of the pixel of interest. And dividing the pixel into pixels having a tone block characteristic.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3)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c3) (c31) 상기 (b) 단계에서 결정된 주목화소의 화소유형이 하프톤화소인 경우, 상기 주목화소의 좌측방향으로 하프톤거리 기준치 이내에 하프톤화소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c31) if the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determined in the step (b) is a halftone pixel, determining whether the halftone pixel exists within a halftone distance reference value in a left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c32) 상기 (b) 단계에서 결정된 주목화소의 화소유형이 하프톤화소인 경우, 상기 주목화소의 상측방향의 인접화소의 영역유형이 하프톤 그림영역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c32) if the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determined in the step (b) is a halftone pixel, determining whether an area type of an adjacent pixel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is a halftone picture region; And (c33) 상기 (c31) 단계의 조건과 (c32) 단계의 조건 중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주목화소를 하프톤블럭 특징을 갖는 화소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화질개선방법.and (c33) dividing the pixel of interest into pixels having a halftone block characteristic when one of the conditions of (c31) and (c32) is satisfi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d) (d1) 상기 좌측방향의 인접화소의 영역유형이 배경영역인 경우,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에 따라서 상기 주목화소의 영역유형을 문자영역과 배경영역 중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d1) if the area type of the adjacent pixel in the left direction is the background area, determining the area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as one of a character area and a background area according to the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d2) 상기 좌측방향의 인접화소의 영역유형이 문자영역인 경우, 상기 주목화소의 블럭특징유형과 상기 주목화소의 상측방향의 인접화소의 영역유형에 따라서 상기 주목화소의 영역유형을 배경영역, 연속톤 그림영역과 문자영역 중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d2) When the area type of the adjacent pixel in the left direction is a character area, the area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is set as the background area according to the block feature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and the area type of the adjacent pixel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Determining one of a continuous tone picture area and a text area; (d3) 상기 좌측방향의 인접화소의 영역유형이 연속톤 그림영역인 경우, 상기 주목화소의 블럭특징유형에 따라서 상기 주목화소의 영역유형을 배경영역, 하프톤 그림영역과 연속톤 그림영역 중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 및(d3) If the area type of the adjacent pixel in the left direction is a continuous tone picture area, the area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is one of a background area, a halftone picture area and a continuous tone picture area according to the block feature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Determining; And (d4) 상기 좌측방향의 인접화소의 영역유형이 하프톤 그림영역인 경우,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에 따라서 상기 주목화소의 영역유형을 하프톤 그림영역과 연속톤 그림영역 중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화질개선방법.(d4) when the area type of the adjacent pixel in the left direction is a halftone picture area, determining the area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as one of the halftone picture area and the continuous tone picture area according to the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Digital quality improvement method including.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d1) 단계는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이 배경화소인가를 판단하여, 배경화소이면 상기 주목화소의 영역유형을 배경영역으로, 배경화소가 아니면 상기 주목화소의 영역유형을 문자영역으로 결정하는 디지털 화질개선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tep (d1) determines whether the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is the background pixel, and if the background pixel is the background type, the area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is the background area. Digital image quality improvement method to determine the character area.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d2)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step (d2) (d21) 상기 주목화소의 블럭특징유형이 배경블럭특징인 경우, 상기 주목화소로부터 좌측방향으로 화소유형이 배경화소가 아닌 화소를 만날 때까지 모든 화소의 영역유형을 배경영역으로 갱신하는 단계;(d21) if the block feature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is a background block feature, updating the area types of all pixels to the background area from the pixel of interest until the pixel type encounters a pixel other than the background pixel; (d22) 상기 주목화소의 블럭특징유형이 그림블럭특징인 경우, 상기 주목화소로부터 좌측방향으로 블럭특징유형이 배경블럭특징인 화소를 만날 때까지 모든 화소의 영역유형을 연속톤 그림영역으로 갱신하는 단계;(d22) When the block feature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is a picture block feature, the area type of all pixels is updated to the continuous tone picture area from the pixel of interest until a pixel of which the block feature type is a background block feature is encountered. step; (d23) 상기 주목화소의 상측방향의 인접화소의 영역유형이 연속톤 그림영역과 하프톤 그림영역 중 하나에 속하는 경우, 상기 주목화소로부터 좌측방향으로 블럭특징유형이 배경블럭특징인 화소를 만날 때까지 모든 화소의 영역유형을 연속톤 그림영역으로 갱신하는 단계; 및(d23) When the area type of the adjacent pixel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belongs to one of the continuous tone picture area and the halftone picture area, when a pixel having a block feature type of the background block feature is leftward from the pixel of interest; Updating the region type of all the pixels to the continuous tone picture region until now; And (d24) 상기 (d21) 단계의 조건, 상기 (d22) 단계의 조건 및 상기 (d23) 단계의 조건 중 어느 하나에도 해당하지 않은 경우 상기 주목화소의 영역유형을 문자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화질개선방법.(d24) if the condition of step (d21), the condition of step (d22), and the condition of step (d23) do not correspond, determining the area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as a character area; How to improve digital image quality.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d3)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step (d3) (d31) 상기 주목화소의 블럭특징유형이 배경블럭특징인 경우, 상기 주목화소로부터 좌측방향으로 화소유형이 배경화소가 아닌 화소를 만날 때까지 모든 화소의영역유형을 배경영역으로 갱신하는 단계;(d31) if the block feature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is a background block feature, updating the area types of all pixels to the background area from the pixel of interest until the pixel type encounters a pixel other than the background pixel; (d32) 상기 주목화소의 블럭특징유형이 하프톤블럭특징인 경우, 상기 주목화소로부터 좌측방향으로 화소유형이 하프톤화소인 화소를 만날 때까지 모든 화소의 영역유형을 하프톤 그림영역으로 갱신하는 단계; 및(d32) If the block feature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is a halftone block feature, the area type of all pixels is updated to the halftone picture area from the pixel of interest until it encounters a pixel whose pixel type is a halftone pixel in a leftward direction. step; And (d33) 상기 (d31) 단계의 조건 및 상기 (d32) 단계의 조건 중 어느 하나에도 해당하지 않은 경우 상기 주목화소의 영역유형을 연속톤 그림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화질개선방법.and (d33) determining a region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as a continuous tone picture region when none of the conditions of the step (d31) and the condition of the step (d32).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d4) 단계는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이 하프톤화소인가를 판단하여, 하프톤화소이면 상기 주목화소의 영역유형을 하프톤 그림영역으로, 하프톤화소가 아니면 상기 주목화소의 영역유형을 연속톤 그림영역으로 결정하는 디지털 화질개선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tep (d4) determines whether the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is a halftone pixel. If the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is a halftone pixel, the area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is a halftone picture area. A digital image quality improvement method for determining a region type of a pixel of interest as a continuous tone picture reg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e) (e1) 상기 (d) 단계에서 결정된 영역유형이 문자영역인 경우, 상기 주목화소의 명도성분의 크기에 따라서 백처리, 흑처리와 제1 강조계수 이상의 비선명화 마스킹처리 중 하나를 적용하는 단계;(e1) if the area type determined in step (d) is a character area, applying one of a back treatment, a black treatment, and a non-sharpening masking treatment having a first emphasis coefficient or mor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rightness component of the pixel of interest; (e2) 상기 (d) 단계에서 결정된 영역유형이 연속톤 그림영역인 경우, 제2 강조계수 이하의 비선명화 마스킹처리를 적용하는 단계;(e2) if the area type determined in step (d) is a continuous tone picture area, applying a non-sharpening masking process equal to or less than a second emphasis factor; (e3) 상기 (d) 단계에서 결정된 영역유형이 하프톤 그림영역인 경우, 상기주목화소에 대하여 무처리, 저역통과필터링 처리와 제3 강조계수 이하의 비선명화 마스킹처리 중 하나를 적용하는 단계; 및(e3) if the area type determined in step (d) is a halftone picture area, applying one of the unprocessed, lowpass filtering process, and non-sharpened masking process of less than or equal to a third emphasis factor to the main pixel; And (e4) 상기 (d) 단계에서 결정된 영역유형이 배경영역인 경우, 상기 주목화소를 그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화질개선방법.and (e4) if the area type determined in step (d) is a background area, outputting the pixel of interest as it is. 배경, 문자 및 그림이 혼재된 원고를 스캐닝하여 획득한 소정의 해상도를 갖는 화소들로 구성된 문서영상의 화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improving the image quality of a document image composed of pixels having a predetermined resolution obtained by scanning an original mixed with a background, text, and picture, 소정 색상공간으로 변환된 화소들의 색상데이터를 라인별로 입력받고, 주목화소의 색상데이타로부터 주목화소의 명도성분, 채도성분 및 색상성분을 획득하는 라인별 화소입력부;A line-by-line pixel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color data of pixels converted into a predetermined color space for each line and to obtain brightness, saturation and color components of the pixel of interest from the color data of the pixel of interest; 상기 라인별 화소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주목화소의 명도성분, 채도성분 및 색상성분과, 상기 주목화소 주변의 연결성분으로부터 결정된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에 따른 히스토리정보를 상기 주목화소 이전의 히스토리정보를 이용하여 갱신하는 히스토리정보 갱신부;The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determined from the brightness component, the saturation component and the color component of the pixel of interest provided from the pixel input unit for each line, and the connection component around the pixel of interest is used for the history information before the pixel of interest. A history information updating unit for updating by updating; 상기 히스토리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주목화소의 좌측방향과 상측방향으로 제1 크기의 블럭이 배경화소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주목화소를 배경블럭 특징을 갖는 화소로 구분하는 배경블럭특징 검출부;A background block feature detection unit for dividing the pixel of interest into pixels having a background block feature when a block having a first size includes a background pixel in a left direction and an upward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with reference to the history information; 상기 히스토리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주목화소의 좌측방향과 상측방향으로 제2 크기의 블럭이 그림화소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주목화소를 그림블럭 특징을 갖는 화소로 구분하는 그림블럭특징 검출부;A picture block feature detection unit for dividing the pixel of interest into pixels having a picture block feature when a block having a second size is formed of a picture pixel in a left direction and an upward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with reference to the history information;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 상기 주목화소의 좌측방향에 존재하는 화소들의 화소유형 및 상기 주목화소의 상측방향의 인접화소의 영역유형을 이용하여 상기 주목화소를 하프톤블럭 특징을 갖는 화소로 구분하는 하프톤블럭특징 검출부;The pixel of interest is divided into pixels having a halftone block by using a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a pixel type of pixels existing in a left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and an area type of an adjacent pixel in an upper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A halftone block feature detector; 상기 주목화소의 좌측방향의 인접화소가 속하는 영역유형, 상기 히스토리정보 갱신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 및 상기 주목화소의 상측라인에서 상기 주목화소에 인접한 화소의 영역유형, 상기 각 블럭특징 검출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주목화소의 블럭특징유형에 따라서 상기 주목화소가 속하는 영역유형을 결정하는 영역유형 결정부; 및A region type to which the adjacent pixel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belongs, a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provided from the history information updater, and an area type of a pixel adjacent to the pixel of interest in an upper line of the pixel of interest, and each block An area typ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n area type to which the pixel of interest belongs according to the block feature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provided from a feature detection unit; And 상기 영역유형 결정부에서 결정된 영역유형에 따라서 개선정도를 달리하여 화질개선처리를 행하는 화질개선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화질개선장치.And an image quality improvement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an image quality improvement process by varying the degree of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area type determined by the area type determination unit. 배경, 문자 및 그림이 혼재된 원고를 스캐닝하여 획득한 소정의 해상도를 갖는 화소들로 구성된 문서영상의 화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In order to execute a method on a computer for improving the image quality of a document image composed of pixels having a predetermined resolution obtained by scanning an original mixed with a background, text, and picture, 주목화소의 색상데이터로부터 명도성분, 채도성분 및 색상성분을 얻기 위하여 소정의 색상공간으로 변환하는 제1 프로그램;A first program for converting to a predetermined color space to obtain brightness components, saturation components, and color components from the color data of the pixel of interest; 상기 제1 프로그램을 통해 획득한 주목화소의 명도성분, 채도성분 및 색상성분과, 상기 주목화소 주변의 연결성분으로부터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에 따른 히스토리정보를 상기 주목화소 이전의 히스토리정보를 이용하여 갱신하는 제2 프로그램;The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is determined from the lightness, saturation, and color components of the pixel of interest acquired through the first program, and the connection components around the pixel of interest, and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is determined. A second program for updating the data using history information prior to the pixel of interest; 상기 제2 프로그램을 통해 획득한 히스토리정보,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 상기 주목화소의 좌측방향에 존재하는 화소들의 화소유형 및 상기 주목화소의 상측방향의 인접화소의 영역유형을 이용하여 상기 주목화소의 블럭특징유형을 검출하는 제3 프로그램;The pixel of interest using the history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econd program, the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the pixel type of pixels existing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and the region type of the adjacent pixel of the pixel of interest; A third program for detecting a block feature type of a; 상기 제2 프로그램을 통해 획득한 상기 주목화소의 좌측방향의 인접화소가 속하는 영역유형, 상기 주목화소의 화소유형, 및 상기 주목화소의 상측라인에서 상기 주목화소에 인접한 화소의 영역유형, 상기 제3 프로그램을 통해 검출된 상기 주목화소의 블럭특징유형에 따라서 상기 주목화소가 속하는 영역유형을 결정하는 제4 프로그램; 및A region type to which a neighboring pixel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pixel of interest acquired through the second program belongs, a pixel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and an area type of a pixel adjacent to the pixel of interest in an upper line of the pixel of interest; A fourth program for determining a region type to which the pixel of interest belongs according to the block feature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detected through a program; And 상기 제4 프로그램을 통해 결정된 상기 주목화소의 영역유형에 따라서 개선정도를 달리하여 화질개선처리를 행하는 제5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in a fifth program for performing image quality improvement processing by varying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accordance with the area type of the pixel of interest determined through the fourth program.
KR10-2002-0049699A 2002-08-22 2002-08-22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ment of digital image quality KR1005147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699A KR100514734B1 (en) 2002-08-22 2002-08-22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ment of digital image quality
EP03255194.7A EP1392047B1 (en) 2002-08-22 2003-08-21 Digital document processing for image enhancement
CNB031255477A CN1239014C (en) 2002-08-22 2003-08-22 Method and device for raising digital picture quality
US10/645,639 US7411699B2 (en) 2002-08-22 2003-08-22 Method and apparatus to enhance digital image qu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699A KR100514734B1 (en) 2002-08-22 2002-08-22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ment of digital image qua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563A true KR20040017563A (en) 2004-02-27
KR100514734B1 KR100514734B1 (en) 2005-09-14

Family

ID=37323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699A KR100514734B1 (en) 2002-08-22 2002-08-22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ment of digital image qua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473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5145A (en) * 2009-11-19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List searching method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1792A (en) * 1996-07-12 1998-04-10 Seiko Epson Corp Document segmentation method and device, color print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0206338B1 (en) * 1997-02-17 1999-07-01 윤종용 Binary coding method of letter image having both character and picture
US6043900A (en) * 1998-03-31 2000-03-28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 background type of a scanned document utilizing a leadedge histogram thereof
EP1117072A1 (en) * 2000-01-17 2001-07-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ext improvement
JP3426189B2 (en) * 2000-04-26 2003-07-1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Image processing method, relative density detection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0406944B1 (en) * 2001-01-08 200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printing quality of document in which a text and an image exist togeth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5145A (en) * 2009-11-19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List searching method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US9747864B2 (en) 2009-11-19 2017-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st searching method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4734B1 (en) 2005-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3298B2 (en) Text-like edge enhancement in digital images
US7411699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enhance digital image quality
US63891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image segmentation using template matching filters
KR1004776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ment of digital image quality
JP4396324B2 (en) Method for determining halftone area and computer program
US737959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detection of continuous-tone regions in document images
US787695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text in digital images
JP4170353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read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0524072B1 (en)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JP351260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US9948824B2 (en) Image compress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compr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477142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05147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ment of digital image quality
JP2672553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KR10048417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ment of digital image quality
JPH0654180A (en) Method and device for image area separation
US737921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03309725A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JP4035696B2 (en) Line segment detection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7377435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JPH05292312A (en) Dot area separator
JP2004228745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20040092564A (en) Method for the Separation of text and Image in Scanned Documents using the Distribution of Edges
JPH01173971A (en) Picture processor
JP2009033493A (en) Image processor,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