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6270A -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동화상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동화상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6270A
KR20040016270A KR1020020048540A KR20020048540A KR20040016270A KR 20040016270 A KR20040016270 A KR 20040016270A KR 1020020048540 A KR1020020048540 A KR 1020020048540A KR 20020048540 A KR20020048540 A KR 20020048540A KR 20040016270 A KR20040016270 A KR 20040016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roducing
program
video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8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6270A/ko
Publication of KR20040016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27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5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xternal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22Interfacing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영상신호 기록/재생장치 및 그 동영상 재생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영상 기록/재생장치에서 지원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외부입력장치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본체 상에 설치된 인터페이스부; 및 외부입력장치로부터 기억장치에 저장된 영상신호의 프로그램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그램에 대해 일부를 발췌하여 선택적으로 재생처리하는 부분 발췌 재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 전체 분량에 대해 소정간격마다 소정 분량을 부분 발췌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도록 기억장치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구비하는 영상 기록/재생 장치와 그 동영상 재생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저장된 프로그램의 소정 부분을 발췌 재생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프로그램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동화상 재생방법{A/V program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of reproducing A/V program}
본 발명은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동영상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기록된 프로그램의 소정 부분을 발췌 재생함으로써 프로그램의 내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동화상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 및 기록된 방송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영상 기록/재생 장치는 방송신호의 디지털화 및 압축기술의 발전에 따라 그 기능이 다양하게 확장되고 있다.
최근에 출시되는 영상 기록/재생장치는 대용량의 기억장치인 하드디스크 드라이버가 채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영상 기록/재생장치는 위성방송신호, 케이블 방송, 인터넷을 통한 네트워크 방송 등 다양한 영상소스의 이용을 지원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영상 기록/재생장치의 이용가능한 영상소스의 증가 및 그에 따른 이용 기능이 확장됨에 따라, 원하는 채널의 선택 및 기억장치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이용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가 이용하는 과정의 복잡도도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영상 기록/재생장치는 많은 프로그램이 기억장치에 기록되므로 사용자가 기억장치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내용을 짧은 시간동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 고속탐색기능(High Speed Search)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고속탐색기능은 빠른 속도로 화면을 재생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화면이 너무 빨리 지나가서 제대로 스토리를 이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고속탐색기능을 수행하면 동영상의 오디오가 뮤트(Mute)되어 들을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기억장치에 기록된 동영상 프로그램의 소정 부분만 연속적으로 재생되어 짧은 시간동안 사용자가 용이하게 기록된 프로그램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영상 기록/재생장치 및 그 동영상 재생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재생 장치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도 1의 원격제어기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메뉴키가 선택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메뉴 가이드 리스트 화면,
도 5는 도 4의 프로그램 리스트 메뉴가 선택되었을 때 후속으로 표시되는 프로그램 리스트 화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부분 발췌 재생 기능의 개념 설명을 위한 개략도,
도 7은 도 2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에 저장된 파일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그리고,
도 8은 도 6의 프로그램 부분 발췌 재생 기능의 동작 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신호 생성 소스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기억장치에 저장 및 저장된 영상신호를 재생하여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할 수 있는 영상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영상 기록/재생장치에서 지원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외부입력장치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본체상에 설치된 인터페이스부와; 외부 입력장치로부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기억장치에 기록된 프로그램 중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그램에 대해 일부를 선택적으로 재생 처리하는 부분 발췌 재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선택된 프로그램 전체 분량에 대해 소정 간격마다 소정분량을 부분 발췌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도록 기억장치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분발췌 부분에 해당하는 분량은 소정시간 연속재생할 수 있는 복수의 연속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발췌 재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설정된 제 1분량에 해당하는 부분을 재생하는 재생구간, 설정된 제 2분량에 해당하는 부분을 스킵하는 스킵구간을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 전체 분량에 대해 재생순서에 따라 교번적으로 적용하여 부분 발췌 재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신호 생성 소스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기억장치에 저장 및 저장된 영상신호를 재생하여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할 수 있는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저장된 상기 영상신호의 프로그램 리스트 표시방법에 있어서, 영상기록/재생장치에서 지원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외부입력장치로부터 기억장치에 기록된 프로그램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해 일부를 선택적으로 재생 처리하는 부분 발췌 재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 전체 분량에 대해 재생 순서에 따라 소정 간격 마다 소정시간 연속 재생할 수 있게 설정된 분량씩을 부분 발췌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기록/재생 장치의 동화상 재생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록/재생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재생장치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 기록/재생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인 텔레비젼(300)과 전송케이블(35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영상 기록/재생 장치(100)는 외부 입력장치인 원격제어기(2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고, 표시정보를 텔레비젼(3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외부입력장치는 적외선과 같은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원격제어기(200) 뿐만 아니라 유선방식의 키보드와 같은 타 입력장치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영상 기록/재생 장치(100)는 여러 개의 영상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신할 수 있도록 구축된다. 영상소스의 예로서는 지상파 텔레비젼 방송, 위성방송, 케이블 인입선, 컴퓨터선 또는 모뎀선과 같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케이블, 위성 접시형 안테나(satellite dish), 로컬케이블(local cable), 디지털 방송소스(DBS: Digital Broadcast Source), 일반적인 안테나, 인터넷, 다른 컴퓨터 소스, 캠코더, 디스크 플레이어, 셋톱박스 등과 같은 영상소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축된 영상 기록/재생장치에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이 적용된다.
또한, 영상 기록/재생 장치(100)는 영상신호 등의 저장을 위하여 대용량 기억장치를 구비한다. 대용량 기억장치로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버(HDD)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기록/재생 장치(100)는 입/출력 단자부(110), 튜너(121), 스위칭부(123), 입/출력 제어부(125), 엠펙 인코더(141), 하드디스크 드라이버(HDD)(151), 디스크 플레이어(155), 메인제어부(160)를 구비한다.
입/출력 단자부(110)는 다양한 영상신호 소스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수신 및수신된 신호 또는 대용량 기억장치로 적용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버(151)부터 재생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입/출력 단자부(110)는 슈퍼비디오 입력단자(S-V IN)(111) 및 출력 단자(S-ViDEO)(112), RF입력 단자(RF IN)(113) 및 출력단자(RF OUT)(114), 라인 비디오/오디어 입력단자(LINE V_IN, LINE A_IN)(115) 및 출력단자(LINE V_OUT, LINE A_OUT)(116), 디지털 오디오신호 출력단자(SPDIF;Serial Parallel Digital interface)(117)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입/출력 관계만 다르고 신호의 형식이 동일한 요소에 대해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슈퍼비디오 입력단자(111)는 디지털 형태의 상호 분리된 휘도 신호(Y)와 색차신호(Cr, Cb)를 수신하는 단자로서, 디지털 캠코더, DVD플레이어, 셋톱박스 등과 연결되어 이용된다.
RF 입력단자(113)는 공중파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자로서, 통상 안테나와 접속된다.
라인 비디오/오디오 입력단자(115)는 휘도신호(Y)와 색신호가 혼합된 아날로그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자로서,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출력을 지원하는 캠코더, DVD플레이어, 셋톱박스 등과 연결되어 이용된다.
디지털 오디오 출력단자(117)는 메인제어부(160)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단자이다.
튜너(121)는 메인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되는 입/출력 제어부(125)에서 요청하는 채널의 방송신호가 RF입력단자(113)를 통해 수신될 수 있도록 수신 채널을 조정한다.
스위칭부(123)는 입/출력제어부(125)에 제어되어 스위칭부(123)에 접속된 입/출력 단자들 상호간에 대해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비디오 디코더(131)는 메인제어부(160)에 제어되어 슈퍼 비디오 입력단자(111) 또는 스위칭부(123)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오디어 A/D 변환부(133)는 스위칭부(123)를 거쳐 입력되는 아날로그상의 오디오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엠펙 인코더(141)로 출력한다.
엠펙 인코더(141)는 메인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되어 오디오 A/D 변환부(133)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디코더(131)에서 출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설정된 압축포맷방식에 의해 인코딩하고, 기록대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대용량 기억장치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51)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엠펙 인코더(141)는 엠펙-2(MPEG-2) 압축방식에 의해 인코딩한다.
참조부호 143은 엠펙 인코더(141)에서 인코딩처리 시 이용하는 메모리로서 적용된 에쓰디램(SDRAM)이다.
데이터 관리부(157)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51) 및/또는 디스크 플레이어(155)에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 및 기록에 대한 관리를 수행한다. 즉, 데이터 관리부(157)는 디스크 플레이어(155)에 기록된 데이터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버(151)로의 저장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버(151)에 기록된 데이터의 디스크 플레이어(155)로의 저장 및 엠펙 인코더(141)에서 인코딩된 데이터의 하드디스크드라이버(151)로의 저장을 메인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되어 관리한다.
디스크 플레이어(155)는 영상 기록/재생 장치에 내장되어 있다. 디스크 플레이어(155)는 기록매체 예를 들면 DVD(Digital Video Disk) 및/또는 CD(Compact Disk)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DVD플레이어가 적용될 수 있다.
디스크 플레이어(155)는 메인제어부(160)에 제어되어 기록/재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다.
수광부(171)는 외부입력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부로 적용된 것이다. 수광부(171)는 외부 입력장치인 원격제어기(200)에서 송출된 사용자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메인제어부(160)에 출력한다.
메인제어부(160)는 수광부(171)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조작신호를 처리하고, 각 요소를 제어한다.
메인제어부(160)는 중앙처리장치(CPU)(161)와 엠펙방식으로 압축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엠펙 디코더(163)와 중앙처리장치(CPU)가 복합되어 단일 칩형태의 IC로 되어 있다. 엠펙 디코더(163)는 별도의 칩으로 분리되어 메인제어부(160)와 접속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플레쉬 메모리(Flash Memory)(165)에는 메인제어부(160)의 기능 수행과 관련된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플레쉬 메모리(165)에는 후술하는 동영상 파일로 저장된 프로그램의 부분 발췌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참조부호 167은 메인제어부(160)가 일시적 기억장소로 이용하는 에스디램(SDRAM)이다.
오디오 D/A 변환부(135)는 메인제어부(160)의 엠펙 디코더(163)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칭부(123)로 출력한다.
비디오 인코더(137)는 비디어 디코더(131) 또는 엠펙 디코더(163)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스위칭부(123)로 출력한다.
입/출력제어부(125)는 메인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되어 튜너(121), 스위칭부(123)를 제어한다.
이러한 영상 기록/재생 장치에서 메인제어부(160)는 기동시 플레쉬 메모리(165)에 탑재된 운영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지원되는 각종 기능을 원격제어기(200)로부터 수광부(171)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여 처리한다.
이러한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버(151)에 기록된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상 기록/재생장치(100)의 대용량 기억장치인 하드디스크 드라이버(151)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로그램이 엠펙 인코더(141)에서 인코딩되어 기록된다. 엠펙-2 압축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엠펙파일(MPEG 152)로 인코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엠펙파일(152)은 타임맵(TMAP, 152a) 부분과 화상데이터 즉, GOP(Group of Pictures, 152b) 부분으로 구성된다. 타임맵(152a)은 저장된 소스패킷의ATS(Arrival Time Stamp)와 디스크 패킷의 위치를 연결시켜주는 표로써, GOP 기록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는 헤더(152c)와 프로그램의 타이틀, 시간, 길이, 파일 네임 등의 정보 목록과 같은 사용자 데이터(152d)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저장된 엠펙파일(152)의 관리를 위해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버(151)에 엠펙파일(152)의 헤더(152c)와 사용자 데이터(152b)의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된 파일에 관한 사용자 D/B(153)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버(151)에 구축한다. 사용자 D/B(153)에는 프로그램의 타이틀, 파일네임, 파일 재생길이,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년/월/일/시/분/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부분 발췌 재생 기능의 개념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분 발췌 재생 기능은 다음과 같다. 즉, 부분 발췌 재생 기능은 전체 동영상 파일에서 설정 분량의 GOP는 재생하고, 설정 분량의 GOP의 재생은 스킵하는 것을 전체 분량에 대하여 교번적으로 적용하여 설정 분량의 GOP가 발췌되어 연속적으로 재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부분 발췌 재생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재생 구간에 해당하는 GOP를 재생하는 것과 스킵 구간에 해당하는 GOP를 스킵하는 것을 연속적으로 수행도록 메인제어부(160)가 데이터 관리부(157)를 제어한다.
발췌 재생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즉, 전체 재생 시간이 15분인 동영상 파일을 재생 구간을 5초로 설정하고, 스킵 구간을 4분 55초로 설정할 경우, 부분 발췌 재생이 선택되면 0초에서 5초에 해당하는 GOP는 재생, 5초에서 5분 00초에 해당하는 GOP는 스킵, 5분 00초에서 5분 05초에 해당하는 GOP는 재생, 5분 05초에서10분00초에 해당하는 GOP는 스킵, 10분 00초에서 10분 05초에 해당하는 GOP는 재생, 그리고, 10분 05초에서 15분00초에 해당하는 GOP는 스킵하는 과정을 연속해서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원격제어기(200)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부분 발췌 재생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원격제어기(200)를 이용하여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텔레비젼(300)에 메뉴 가이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여 이를 통해 명령을 입력한다.
먼저,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외부 입력장치인 원격제어기(200)가 도시된 도 3을 참조하여 메뉴 안내 화면 조작과 관련된 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211은 메뉴 안내 리스트 화면의 로딩 및 클로싱을 지시할 때 이용되는 메뉴키이고, 213, 215, 217, 219로 표기된 부분은 후술하는 메뉴안내 리스트 화면에 분류되어 리스트된 메뉴에 대한 커서의 이동을 지시하는데 이용되는 좌, 우 상, 하 방향키이다. 또한 참조부호 221은 메뉴를 선택할 때 이용되는 엔터키이고, 223은 현재 화면에서 이전화면으로 되돌리고자 할 때 이용되는 리턴키이며, 225는 프로그램의 부분 발췌 재생 명령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하이라이트키이다. 프로그램의 부분 발췌 재생기능을 하이라이트 기능이라 칭하기도 하므로 부분 발췌 재생 명령 신호 입력키를 하이라이트키라 칭한다.
그 밖의 나머지 키들은 영상 기록/재생 장치(100) 및 텔레비젼(300) 등을 조작하기 위해 알려진 키 및 특정키들로서, 해당 키와 인접되게 표시된 문자를 통해 키의 기능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각 키의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도 본 발명을 이해하는 데에는 지장이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텔레비젼(300)에 메뉴 가이드 리스트를 표시하여 이를 이용하여 영상 기록/재생 장치(100)의 기능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부분 발췌 재생기능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메뉴 가이드 리스트 화면의 일 예가 도시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메뉴 가이드 리스트 초기화면(400)에는 메인메뉴가 표시된다. 제1블럭(431)에 표시된 메인메뉴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하면, 선택된 메인메뉴에 종속되는 서브메뉴를 메인메뉴가 위치하는 제1블럭(431) 우측에 위치하는 제2블럭(433)에 해당하는 영역내에 표시한다.
메인메뉴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버(151)에 저장된 데이터의 관리를 위한 디지털 리코더 메뉴(501), DVD 플레이어(155)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제어를 위한 DVD 플레이어 메뉴(502)가 있고, 그 밖에 "Juke Box" 메뉴(503), "Photo Album" 메뉴(504), "Set Up" 메뉴(505) 등의 메뉴가 포함된다.
하드디스크 드리이버(151)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관리를 위해 메인메뉴 중에서 디지털 리코더 메뉴(501)를 선택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블럭(433)에 선택된 디지털 리코더 메뉴(501)에 종속되는 서브메뉴가 수직 상으로 열을 지어 배열되게 메인메뉴와 함께 표시된다. 메뉴 리스트 안내 화면은 수직으로 상단 영역(410), 중단 영역(430), 하단 영역(450)으로 나뉘고, 수평으로는 각 단 별로좌측을 제1블럭(411, 431, 451), 우측을 제2블럭(413, 433, 453)으로 나뉜다.
화면의 하단 영역(450)에는 메뉴가이드 리스트 화면(400)의 이용에 대응되는 원격제어기(200)의 키조작 이용 정보가 표시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영역(450)은 상단 영역(410) 및 중단 영역(430)의 제1블럭(411)(431)과 수직상으로 나란하게 구획된 하단의 제1블럭(451)에 키조작 이용을 알리기 위한 문자인 "Instructions"가 표시되어 있고, 제1블럭(451) 우측의 제2블럭(453)에는 원격제어기(200)에 마련된 키 및 그 기능에 대응되는 안내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하단영역(450)에 표시된 마크 및 안내정보를 이하에서는 통칭하여 마크라고 하고, 그 기능에 대응되게 명명하면, 하단영역(450)에는 커서 이동 안내 마크(461), 리턴 안내 마크(463), 선택 안내 마크(465) 및 엑시트 안내 마크(467)가 표시되어 있다.
커서 이동 안내 마크(461)는 중단영역(430)내에 선택 가능하게 배열된 항목들에 대해 커서를 이동시키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원격제어기(200)에 마련된 방향키(213)(215)(217)(219)에 대응되는 방향키 마크 및 키조작 이용정보인 "Move"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커서는 원격제어기(200)의 방향키(213)(215)(217)(219)를 조작할 때 현재 커서가 위치된 항목에 대해 방향키(213)(215)(217)(219)의 조작 방향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된 다음 항목으로 이동됐음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처리하는 것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마크 또는 해당 항목에 대해 하이라이트 표시처리, 음영표시처리, 색상변환 처리 등 가능한 다양항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리턴 안내 마크(463)는 현재 화면에서 이전 화면으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 하고자 할 때 이용하는 것으로 원격제어기(200)에 마련된 리턴키(223)에 대응되는 마크 및 키조작 이용정보인 "Return"이 함께 표시되어 있다.
선택 안내 마크(465)는 커서가 위치하는 항목을 선택할 때 이용하는 것으로 원격제어기(200)에 마련된 엔터키(221)에 대응되는 마크 및 키조작 이용정보인 "Enter" 가 표시되어 있다.
엑시트 안내 마크(467)는 메뉴 가이드 리스트 화면(400) 표시 모드로부터 타 모드로 전환하고자 할 때 즉, 메뉴 가이드 리스트 화면을 닫고자 할 때 이용되는 것으로 원격제어기(200)에 있는 메뉴키(211)에 대응되는 마크 및 키조작 이용정보인 "Exit"가 함께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중단영역(430)내에 표시된 항목들에 대해 커서를 이동하고 할 때는 원격제어기(200)에 마련된 상, 하, 좌, 우 방향키(213)(215)(217)(219)를 이용하면 된다.
또한, 사용자는 커서가 위치한 메뉴를 선택하고자 할 때 원격 제어기(200)에 마련된 엔터키(221)를 조작하면 메인제어부(160)는 커서가 위치한 메뉴의 선택에 대응되는 후속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한다. 즉, 커서가 위치한 메뉴에 대해 종속되는 서브 메뉴가 있는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메뉴 표시방식에 의해 서브메뉴를 표시해주고, 서브메뉴가 없는 경우에는 선택된 메뉴의 실행화면을 중단영역(430)에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메인제어부(160)는 커서가 위치한 메뉴에 대해원격제어기(200)에 마련된 방향키(213)(215)(217)(219) 중 오른쪽 방향키(215)가 선택되었을 때, 커서가 위치한 메뉴에 대해 종속되는 서브 메뉴가 없는 경우에는 엔터키(221)의 조작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해당 실행화면을 중단영역(430)에 표시한다.
또한 메인제어부(160)는 메뉴가이드 리스트 화면(400)을 텔레비젼(300)에 로딩한 상태에서 메뉴키(211)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메뉴가이드 리스트 화면이 디스플레이장치에 비표시되도록 메뉴가이드 리스트 화면을 언로딩 처리하여 메뉴 가이드 리스트 화면을 닫는다.
이하에서는 프로그램의 부분 발췌 기능을 선택하는 과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프로그램의 부분 발췌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행될 프로그램을 선택해야 한다. 프로그램의 선택은 프로그램 리스트 화면에서 이루어진다.
메뉴 리스트 화면의 표시된 메인메뉴에서 디지털 리코더 메뉴를 선택하고 그 디지털 리코더 메뉴의 서브 메뉴 중에서 프로그램 리스트를 선택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리스트 화면이 로딩된다. 프로그램 리스트 화면에 정지화면이 도시되면 정지화면과 타이틀을 보고 부분 발췌 재생 기능을 실행할 프로그램을 선택한다. 프로그램의 선택은 원격제어기(200)의 방향키(217,219)를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하여 수행한다.
리스트업된 프로그램 중에서 해당하는 프로그램에 커서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원격제어기의 하이라이트키(225)를 클릭하면 선택된 프로그램의 부분 발췌 재생 명령이 메인제어부()에 입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리스트 화면 표시방법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프로그램의 부분 발췌기능은 하이라이트 기능이라 불리기도 하므로 도 7에서는 하이라이트 기능이라 표시되어 있다.
먼저 부분 발췌 재생구간과 스킵구간을 설정한다(S10). S10단계의 재생구간과 스킵구간의 설정은 부분 발췌 재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플래시메모리(165)에 저장된 프로그램 구성 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재생구간과 스킵구간은 시간으로 설정하거나, GOP의 양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간으로 설정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프로그램 리스트 화면에서 소정의 프로그램을 선택한 후 부분 발췌 재생 기능 선택키를 조작하여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메인제어부(160)는 타이머(미도시)를 0초로 셋팅한 후 타이머를 온 하고, 프로그램의 첫 번째 GOP부터 재생을 시작한다(S30, S31). 설정된 재생시간의 경과 여부를 확인하여, 재생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타이머의 카운터를 계속하며(S32) 프로그램을 재생하고, 재생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그램의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S50). 프로그램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스킵 구간으로 설정된 시간을 스킵한 후(S60) 재생 단계로 리턴하여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까지 해당하는 GOP의 재생과 스킵을 반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의 부분 발췌 재생 기능을 이용하면 프로그램의 전체 분량 중에서 발췌된 일부가 연속적으로 재생되므로 사용자가 프로그램의내용을 짧은 시간 내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기록/재생장치의 기억장치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소정 부분을 발췌하여 재생함으로써 짧은 시간에 프로그램의 내용을 파악하여 용이하게 프로그램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6)

  1. 영상신호 생성 소스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기억장치에 저장 및 저장된 영상신호를 재생하여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할 수 있는 영상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기록/재생장치에서 지원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외부입력장치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본체 상에 설치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외부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상기 기억장치에 기록된 프로그램 중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그램에 대해 일부를 선택적으로 재생처리하는 부분 발췌 재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프로그램 전체 분량에 대해 소정 간격마다 소정분량을 부분 발췌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도록 상기 기억장치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분 발췌 부분에 해당하는 분량은 소정시간 연속 재생할 수 있는 복수의 연속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부분 발췌 재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설정된 제1 분량에 해당하는 부분을 재생하는 재생구간, 설정된 제2 분량에 해당하는 부분을 점프하는 점프구간을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 전체 분량에 대해 재생순서에 따라 교번적으로 적용하여 부분 발췌 재생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량은 수초 내지 수십초 분량에 해당하는 소정 개수의 픽쳐그룹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분량은 상기 제1분량 보다 수십 배 내지 수백배 크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장치는 다수의 키가 마련되어 있고, 키선택에 대응되는 적외선을 송출하는 원격 제어기이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원격제어기에서 송출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광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재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생성 소스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기록매체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외부입력단자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재생장치.
  6. 영상신호 생성 소스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기억장치에 저장 및 저장된 영상신호를 재생하여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할 수 있는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동화상 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기록/재생장치에서 지원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외부입력장치로부터 상기 기억장치에 기록된 프로그램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해 일부를 선택적으로 재생처리하는 부분 발췌 재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 전체 분량에 대해 재생순서에 따라 소정 간격 마다 소정시간 연속 재생할 수 있게 설정된 분량씩을 부분 발췌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재생 장치의 동화상 재생방법.
KR1020020048540A 2002-08-16 2002-08-16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동화상 재생방법 KR200400162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540A KR20040016270A (ko) 2002-08-16 2002-08-16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동화상 재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540A KR20040016270A (ko) 2002-08-16 2002-08-16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동화상 재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270A true KR20040016270A (ko) 2004-02-21

Family

ID=37322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540A KR20040016270A (ko) 2002-08-16 2002-08-16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동화상 재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6270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751A (ko) * 1993-06-30 1995-01-03 김광호 프로그램 탐색방법
EP0724211A2 (en) * 1995-01-26 1996-07-31 NCR International, Inc. Computer system with decentralised storage of video sequences
JPH1040608A (ja) * 1996-07-23 1998-02-13 Sony Corp 映像信号再生装置及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2002010202A (ja) * 2000-06-23 2002-01-11 Aiwa Co Ltd データ記録再生装置
WO2002019700A1 (en) * 2000-08-28 2002-03-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producing arrangement having an overview reproducing mod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751A (ko) * 1993-06-30 1995-01-03 김광호 프로그램 탐색방법
EP0724211A2 (en) * 1995-01-26 1996-07-31 NCR International, Inc. Computer system with decentralised storage of video sequences
JPH1040608A (ja) * 1996-07-23 1998-02-13 Sony Corp 映像信号再生装置及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2002010202A (ja) * 2000-06-23 2002-01-11 Aiwa Co Ltd データ記録再生装置
WO2002019700A1 (en) * 2000-08-28 2002-03-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producing arrangement having an overview reproducing mo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4380B1 (ko)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메뉴안내 표시방법
KR100841436B1 (ko)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기억장치 제어방법
JP3621639B2 (ja) ライブラリ機能を有する画像記録再生装置
KR100806873B1 (ko)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저장된 프로그램 리스트표시방법
KR100961296B1 (ko) Pvr 시스템에서 녹화 목록 관리 방법
CN1984290B (zh) 用于在时间机器功能期间永久存储广播节目的方法和设备
CN100518273C (zh) 视频记录和再现设备及其方法
JP2010124073A (ja) 映像記録装置および映像記録方法
KR20040016270A (ko)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동화상 재생방법
KR20080078174A (ko) 녹화물 재생방법 및 장치
KR100546830B1 (ko)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저장된 파일 리스트 선택방법
JP2006066970A (ja) Avhdd及びハードディスクレコーダ
KR100767107B1 (ko) 영상 기록/재생장치 및 그의 기록매체 등록정보 표시방법
KR20070079270A (ko) 다채널 타임 시프트 지원 dvr 셋탑 박스 및 그 제어방법
KR100503474B1 (ko) 영상/음향/문자 기록/재생 장치 및 그 폴더명 표시 방법
KR20040016269A (ko)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300411A (ja) 自動録画機能付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情報整理方法
JP2005004959A (ja) ライブラリ機能を有する画像記録再生装置
KR100579839B1 (ko) 영상 및 음향 기록/재생 장치 및 그 파일 복사 방법
KR100542577B1 (ko) 저장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파일의 파일네임을 수정할수 있는 영상 저장/재생장치 및 파일네임 수정방법
KR20040066451A (ko) 부분삭제기능을 가지는 영상 기록/재생장치 및 그의부분삭제방법
KR100598070B1 (ko) 포토 앨범 작성 기능을 갖는 광 기록기기 및 그 방법
JP4381359B2 (ja) 記録再生装置
KR20040072758A (ko) 자동재생이 가능한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78965A (ko) 메뉴 안내 화면을 표시하는 영상 기록/재생 장치 및 그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