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5421A - 광픽업 및 이를 채용한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 Google Patents

광픽업 및 이를 채용한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5421A
KR20040015421A KR1020020047511A KR20020047511A KR20040015421A KR 20040015421 A KR20040015421 A KR 20040015421A KR 1020020047511 A KR1020020047511 A KR 1020020047511A KR 20020047511 A KR20020047511 A KR 20020047511A KR 20040015421 A KR20040015421 A KR 20040015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light
light source
optical pickup
collimat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4427B1 (ko
Inventor
이동렬
이주형
성평용
윤영국
김건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7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427B1/ko
Priority to US10/617,855 priority patent/US20040027970A1/en
Priority to CNB031436633A priority patent/CN1321413C/zh
Priority to JP2003292366A priority patent/JP2004079163A/ja
Publication of KR20040015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4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 G11B7/1275Two or more lasers having different wavelength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6Double or multiple prisms, i.e. having two or more prisms in co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9Single pris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6Collimator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8Means for shaping the cross-section of the beam, e.g. into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6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adapted for scanning different types of carrier, e.g. CD & DV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기록매체에 정보를 기록 및/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하기위하여,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대물렌즈로 집속시켜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광픽업 및 이를 채용한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광픽업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대물렌즈쪽으로 진행하는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하도록 광학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광픽업은, 별도의 광학소자를 이용하여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하므로, 조립 공정이 간단하고,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의 관리가 용이하다.

Description

광픽업 및 이를 채용한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Optical pickup and optic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employing it}
본 발명은 광픽업 및 이를 채용한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광픽업 및 이를 채용한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원(1) 예컨대,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발산광 형태로 출사된 광은 콜리메이팅렌즈(3)에 의해 평행광으로 바뀔 수 있다.
광원(1)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콜리메이팅렌즈(3)를 지나면서 평행광으로 되려면, 광원(1)인 반도체 레이저의 발광점과 콜리메이팅렌즈(3) 간의 거리가 콜리메이팅렌즈(3)의 플랜지 백 거리(Flange Back length)가 되어야 한다. 여기서, 두꺼운 렌즈의 경우 초점거리가 렌즈 중간까지의 거리가 되므로, 초점거리를 정의하기 어렵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기구적인 거리를 칭할 때는 플랜지 백이란 용어를 사용한다. 콜리메이팅렌즈(3)의 플랜지 백 거리란 광학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광원의 발광점과 콜리메이팅렌즈 사이 중간에 광학부품이 없을 경우의 뒤 초점거리(Back focal length)에 해당하는 것이다. 광원의 발광점과 콜리메이팅렌즈(3) 사이에 광학부품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에 모두 플랜지 백 거리란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광원(1)의 발광점과 콜리메이팅렌즈(3) 간의 거리가 콜리메이팅렌즈(3)의 플랜지 백 거리보다 길어지게 되면, 콜리메이팅렌즈(3)를 지난 광은 수렴하게 된다. 광원(1)의 발광점과 콜리메이팅렌즈(3) 간의 거리가 콜리메이팅렌즈(3)의 플랜지 백 거리보다 짧아지면, 콜리메이팅렌즈(3)를 지난 광은 발산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광원(1)의 발광점과 콜리메이팅렌즈(3) 간의 거리는 광의 수렴 및 발산에 영향을 준다.
광픽업은 여러 광학부품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광학부품들을 광학적으로 정렬하여 조립할 때, 광학부품들 자체의 제조 공차 및 광학부품들간의 조립 공차가 존재하며, 이러한 공차들은 광픽업 광학계 전체에 걸쳐 누적되어 광학수차로 나타난다.
긴 초점거리를 갖는 콜리메이팅렌즈를 적용하는 광픽업 조립시에는, 광학부품들의 조립을 위해 기구적인 구조물 위의 정해진 위치에 광학부품들을 배치하고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광학부품들을 조립해도, 평행도가 허용 가능한 범위내의 값이 되는 조립 공차 한계를 만족시키므로, 광원과 콜리메이팅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과정이 불필요하다.
한편, 노트북 컴퓨터용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에서와 같이 슬림형 광픽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슬림형의 기구적 거리를 만족시키기 위해, 통상 초점거리가 짧은 렌즈를 콜리메이팅렌즈로 이용한다. 이와 같이, 짧은 초점거리를 갖는 콜리메이팅렌즈를 적용하는 광픽업에서는, 광원의 발광점과 콜리메이팅렌즈 사이의 간격이 콜리메이팅렌즈의 플랜지 백 거리로부터 약간만 벗어나도 평행도가 크게 나빠지게 되므로, 조립 공차의 보다 엄격한 관리를 필요로 한다. 즉, 슬림형 광픽업과 같이, 짧은 초점거리를 갖는 콜리메이팅렌즈를 적용한 광픽업은 수렴 및/또는 발산 관리 예컨대, 평행광 관리가 필요하다.
한편,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빔의 모양을 정형하기 위한 빔정형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광픽업의 경우에도, 평행광이 아닌 수렴 또는 발산광이 빔정형 소자로 들어갈 경우 광학 수차가 크게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빔정형 디바이스를 적용한 광픽업의 경우에도,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 관리 즉, 평행광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짧은 초점거리를 갖는 콜리메이팅렌즈를 적용하거나, 빔정형 소자를 적용하여 수렴 및 발산에 의한 수차 발생 영향도가 큰 광학계의 경우와 같이 특별한 수차 특성 관리를 필요로 하는 광픽업에서는 광학 수차가 허용 가능한 범위내의 값이 되는 조립 공차 한계를 만족하도록 광픽업을 조립하기 위해, 조립 단계에서 콜리메이팅렌즈를 통과한 광이 평행광 또는 보다 평행광에 가까운 광이 되도록 관리한다.
이러한 평행광 관리는, 기구적인 구조물 위의 정해진 위치에 광학부품들을 배치하고, 예를 들어, 광원은 위치 고정시킨 상태에서 콜리메이팅렌즈의 위치를 광축을 따라 조절하여, 광원의 발광점과 콜리메이팅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평행광 관리를 위해, 콜리메이팅렌즈를 광축을 따라 조절하는 것은, 광픽업의 조립 공정을 복잡하게 한다. 이는 콜리메이팅렌즈의 광축을 따른 위치 조절이, 콜리메이팅렌즈의 중심축이 상기 광축과 나란하면서, 상기 광축과 일치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행해져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렌즈를 축이 틀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이동시키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다. 따라서, 콜리메이팅렌즈의 위치를 조절하여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 하는 것은 광픽업 조립 공정을 복잡하게 하고, 제조단가의 상승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 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광픽업 및 이를 채용한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광원의 발광점과 콜리메이팅렌즈 사이의 거리에 따라 광의 수렴, 발산이 조절되는 것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광학소자로 사용되는 홀로그램소자의 홀로그램 패턴을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의 광학적 구성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의 광학적 구성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의 광학적 구성을 보인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에 적용 가능한 빔정형 디바스의 실시예들을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광디스크 11,31a,31b...광원
13,33a,33b...광학소자 15...콜리메이팅렌즈
19...대물렌즈 21...빔정형 디바이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정보를 기록 및/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하기 위하여,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대물렌즈로 집속시켜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광픽업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대물렌즈쪽으로 진행하는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하기 위한 광학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대물렌즈로 집속시켜 기록매체에 조사하도록 된 광픽업을 이용하여, 기록매체에 정보를 기록 및/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하는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대물렌즈쪽으로 진행하는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하기 위한 광학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광학소자는 입사되는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홀로그램소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광픽업은 콜리메이팅렌즈;를 더 구비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콜리메이팅렌즈와 상기 광학소자를 경유한 광이 평행광이 되도록 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콜리메이팅렌즈는 14mm 이하의 초점거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픽업은 슬림형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소자는 상기 광원과 상기 콜리메이팅렌즈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픽업은 상기 콜리메이팅렌즈와 대물렌즈 사이에 광빔 모양을 정형하기 위한 빔정형 디바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픽업은, 상기 광원은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소자는 상기 복수의 광원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광학소자를 구비하여, 포맷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를 호환 채용할 수 있도록 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및 이를 채용한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는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대물렌즈로 집속시켜 기록매체에 조사하여, 기록매체에 정보를 기록 및/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하기 위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픽업을 이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은 광원(11)과, 상기 광원(11)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집속시켜 광디스크(10)에 조사하기 위한 대물렌즈(19)와, 광원(11)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평행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콜리메이팅렌즈(15)와,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하기 위한 광학소자(13)를 포함하며, 광디스크(10)에 정보를 기록 및/또는 광디스크(10)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참조번호 17은 반사 미러이다.
상기 광원(11)으로는 소정 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측 발광 레이저(Edge emitting laser)나 표면 발광 레이저(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와 같은 반도체 레이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상기 광원(11)으로 반도체 레이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광원(11)으로부터는 발산광이 출사된다.
상기 콜리메이팅렌즈(15)는 광원(11)에서 발산광 형태로 출사되어 입사되는 광을 집속시켜 평행광으로 바꾸어주기 위한 것으로, 광원(11)과 광로변환 디바이스 사이에 배치되거나 광로변환 디바이스와 대물렌즈(19)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콜리메이팅렌즈(15)는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이 슬림형이 될 수 있도록, 짧은 초점거리 예컨대, 14mm 이하의 초점거리를 갖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에 있어서,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 조절은 별도의 광학소자(13)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기 콜리메이팅렌즈(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을 이루는 광학부품들을 조립하는 단계에서, 기구적인 구조물 위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광학소자(13)는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하여 콜리메이팅렌즈(15)를 경유하여 대물렌즈(19)쪽으로 진행하는 광이 평행광 또는 평행광에 가까운 광으로 되어 평행도가 허용범위내의 값이 되도록 한다. 이 광학소자(13)는 광원(11)과 콜리메이팅렌즈(15)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소자(13)로는 입사되는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홀로그램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학소자(13)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홀로그램 패턴 구조를 가지는 홀로그램소자를 구비하면, 이러한 패턴 구조의 홀로그램소자는 렌즈로서 역할을 하여 홀로그램소자의 위치를 광축을 따라 움직여서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광학소자(13)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에서는, 광픽업을 이루는 광학부품들을 조립하는 단계에서 콜리메이팅렌즈(15)를 기구적인 구조물 위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고, 광학소자(13)를 광축을 따라 조절하여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한다.
콜리메이팅렌즈(15)를 조절하여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하는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에서와 같이 광학소자(13)로 홀로그램소자를 구비하여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하면, 광픽업의 조립 공정이 콜리메이팅렌즈(15)를 조절하는 경우에 비해 훨씬 간단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의 광학소자(13)로 사용되는 홀로그램소자가 일반적인 광학렌즈에 비해 광학적인 정렬 오차에 훨씬 둔감하게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광학소자(13)를 광축을 따른 위치를 조절하여 평행광을 관리하는 것이 콜리메이팅렌즈(15)를 광축을 따라 움직이는 것에 비해 쉽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은 광의 진행 경로를 변환하기 위한 광로변환 디바이스(미도시) 및 광디스크(10)의 기록면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 광학계(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이 예를 들어, 14mm 이하의 짧은 초점거리를 갖는 콜리메이팅렌즈(15)를 구비하여, 슬림형에 적합한 구조임을 보이기 위하여, 편의상 광로변환 디바이스 및 수광 광학계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에 적용되는 광로변환 디바이스 및 수광 광학계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3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의 광로변환 디바이스 및 수광 광학계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광로변환 디바이스 및 수광 광학계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한편, 광원(11)의 출사 광 파장, 광원(11)의 개수 및 대물렌즈(19)의 개구수 등은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이 적용되는 광기록 및/또는 재생기기에 따라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은 단일 광원과 적정 개구수의 대물렌즈를 구비하여, 어느 한 계열의 광디스크 또는 포맷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광디스크즉, 복수 계열의 광디스크를 호환 채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은 예컨대, 655nm 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단일 광원(11)과, 0.6 또는 0.65의 개구수를 가지는 대물렌즈(19)를 구비하여, DVD 계열의 광디스크 또는 DVD 계열의 광디스크 및 CD 계열의 광디스크 호환 채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도 2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하는 부재는 도 2에서와 동일 참조부호로 표시하고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의 광학적 구성을 보인 것으로, 광학소자(13) 및 콜리메이팅렌즈(15)가 광원(11)과 광로변환 디바이스인 플레이트형 빔스프리터(23) 사이에 배치되고, 광빔 모양을 정형하기 위한 빔정형 디바이스(21)를 구비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빔정형 디바이스(21)는 상기 광학소자(13) 및 콜리메이팅렌즈(15)에 의해 평행광으로 변환된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리메이팅렌즈(15) 및 빔정형 디바이스(21)가 광원(11)과 광로변환 디바이스 사이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광디스크(10)에서 반사되고 광로변환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수광부쪽으로 진행되는 광 또한 빔 정형된 상태이고 평행광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로변환 디바이스와 광검출기(29) 사이에는 평행광을 집속하기 위한 집속렌즈(25)와, 광검출기(29)에 적정 크기의 광스폿으 수광되도록 하는 오목렌즈(27) 일명, 요렌즈(Yo-lens)를 구비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 참조번호 22는 3빔법에 의한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기 가능하도록 광원(11)에서 출사된 광을 적어도 3개의 빔으로 분기시키는 그레이팅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의 광학적 구성을 보인 것으로, 광학소자(13)는 광원(11)과 광로변환 디바이스인 플레이트형 빔스프리터(23) 사이에 배치되고, 콜리메이팅렌즈(15) 및 빔정형 디바이스(21)는 광로변환 디바이스와 대물렌즈(19) 사이에 배치된 점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도 4에서와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리메이팅렌즈(15) 및 빔정형 디바이스(21)가 플레이트형 빔스프리터(23)와 대물렌즈(19)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광디스크(10)에서 반사되고 광로변환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수광부쪽으로 진행되는 광은 수렴광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형 빔스프리터(23)와 광검출기(29) 사이에 광검출기(29)에 적정 크기의 광스폿으 수광되도록 하는 오목렌즈(27) 일명, 요렌즈(Yo-lens)만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와 같은 광학적 배치를 가지며, 광로변환 디바이스로 플레이트형 빔스프리터(23)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광디스크(10)에서 반사되어 진행하는 광에 플레이트형 빔스프리터(23)를 투과하면서 발생된 코마수차를 소거할 수 있도록, 상기 오목렌즈(27)는 플레이트형 빔스프리터(23)와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은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광원과,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각각 출사된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광학소자를 구비하여, 포맷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광디스크 즉, 복수 계열의 광디스크를 호환 채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을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은,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제1 및 제2광원(31a)(31b)과, 하나의 광검출기(29) 및 하나의 대물렌즈(19)를 구비하여, DVD 계열의 광디스크 및 CD 계열의 광디스크를 호환 채용할 수 있으며, 콜리메이팅렌즈(15)와 빔정형 디바이스(21)가 후술하는 제1광로변환 디바이스와 대물렌즈(19)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재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및 제2광원(31a)(31b) 중 어느 하나는 예컨대, 655nm 파장의 광을 출사하며, 다른 하나는 예컨대, 785nm 파장의 광을 출사한다.
상기 제1 및 제2광원(31a)(31b)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각각 조절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광학소자(33a)(33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콜리메이팅렌즈(15)나 광원(31a)(31b)과 콜리메이팅렌즈(15) 사이에 위치된 다른 광학부품들은 파장의 따라 굴절율이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파장에 다른 굴절율 차이에 기인하여 제1 및 제2광원(31a)(31b)으로부터 출사된 서로 다른 파장의광의 광 경로 길이에 차이가 생기고, 이로 인해 광이 수렴되거나 발산될 수 있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2개의 광원(31a)(31b)과 하나의 콜리메이팅렌즈(15)를 구비하는 구조에서, 제1 및 제2광원(31a)(31b)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해야 할 경우, 콜리메이팅렌즈(15)를 움직일 수는 없으므로,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하기 위한 광학소자(33a)(33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6에는 제1 및 제2광원(31a)(31b)로부터 출사된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각각 조절하기 위하여 2개의 광학소자(33a)(33b)를 구비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제1 및 제2광원(31a)(31b)으로부터 출사된 광들 중 어느 한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하도록 하나의 광학소자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은 2개의 광원을 구비하여 CD 계열의 광디스크 중 적어도 일부 및 DVD 계열의 광디스크 중 적어도 일부를 호환 채용할 수 있으며, DVD용 광에 대해서는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하지 않는 고정형이고, CD용 광에 대해서는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하는 구조로 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는 그레이팅(22)과 광학소자(33a)가 별도로 된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그레이팅(22) 및 광학소자(33a)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은, 제1광원(33a)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기 위한 제1광로변환 디바이스와, 제2광원(33b)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기 위한 제2광로변환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도 6에서는 제1광로변환 디바이스로 큐빅형 빔스프리터(43)를 구비하고 제2광로변환 디바이스로 플레이트형 빔스프리터(45)를 구비한 예를 보여준다.
도 6에서와 같이 제2광로변환 디바이스로 플레이트형 빔스프리터(45)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광디스크(10)에서 반사되어 진행하는 광에 플레이트형 빔스프리터(45)를 투과하면서 발생되는 코마수차를 소거할 수 있도록, 오목렌즈(27)를 상기 플레이트형 빔스프리터(45)와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에서도 콜리메이팅렌즈(15)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짧은 초점거리를 갖는 렌즈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는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에 적용될 수 있는 빔정형 디바이스(21)의 제1 내지 제3실시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의 빔정형 디바이스(21)로는 도 7 내지 도 9에 보여진 빔정형 디바이스(51)(53)(55)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 7 내지 도 9에 보여진 구조 이외에도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구조의 빔정형 디바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빔정형 디바이스(53)는 반사 미러로서 기능을 하므로, 이를 적용한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은 빔정형 디바이스(53)를 반사 미러(17) 위치에 위치시키고, 반사 미러(17)를 제거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의 광학적 구성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의 광학적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이 콜리메이팅렌즈를 구비하는 유한 광학계로, 광학소자로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함으로써 평행광 관리가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은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하는 광학소자를 구비하는 유한 광학계 구조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소자를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하여, 필요에 따라 수렴이나 발산 또는 수차를 일부러 발생시키는데 사용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광학소자를 이용하여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하므로, 조립 공정이 간단하고,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 조절이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은 초점거리가 짧은 콜리메이팅렌즈를 가지는 슬림형 광픽업이나, 빔정형 디바이스와 같은 광학부품을 적용하여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에 의한 수차 발생 영향도가 커 특별한 수차 특성 관리를 필요로 하는 광픽업 및 이러한 광픽업을 채용한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용으로 적합하다.

Claims (18)

  1. 기록매체에 정보를 기록 및/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하기위하여,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대물렌즈로 집속시켜 기록매체에 조사하는 광픽업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대물렌즈쪽으로 진행하는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하기 위한 광학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소자는 입사되는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홀로그램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3. 제1항에 있어서, 콜리메이팅렌즈;를 더 구비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콜리메이팅렌즈와 상기 광학소자를 경유한 광이 평행광이 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이팅렌즈는 14mm 이하의 초점거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림형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소자는 상기 광원과 상기 콜리메이팅렌즈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이팅렌즈와 대물렌즈 사이에 광빔 모양을 정형하기 위한 빔정형 디바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이팅렌즈와 대물렌즈 사이에 광빔 모양을 정형하기 위한 빔정형 디바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소자는 상기 복수의 광원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광학소자를 구비하여, 포맷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를 호환 채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10.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대물렌즈로 집속시켜 기록매체에 조사하도록 된 광픽업을 이용하여, 기록매체에 정보를 기록 및/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하는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대물렌즈쪽으로 진행하는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하기 위한 광학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소자는 입사되는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홀로그램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은 콜리메이팅렌즈;를 더 구비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콜리메이팅렌즈와 상기 광학소자를 경유한 광이 평행광이 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이팅렌즈는 14mm 이하의 초점거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은 슬림형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소자는 상기 광원과 상기 콜리메이팅렌즈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은, 상기 콜리메이팅렌즈와 대물렌즈 사이에 광빔 모양을 정형하기 위한 빔정형 디바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광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17.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은, 상기 콜리메이팅렌즈와 대물렌즈 사이에 광빔 모양을 정형하기 위한 빔정형 디바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1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소자는 상기 복수의 광원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수렴 및/또는 발산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광학소자를 구비하여, 포맷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를 호환 채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KR10-2002-0047511A 2002-08-12 2002-08-12 광픽업 및 이를 채용한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KR100464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511A KR100464427B1 (ko) 2002-08-12 2002-08-12 광픽업 및 이를 채용한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US10/617,855 US20040027970A1 (en) 2002-08-12 2003-07-14 Optical pickup and optic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B031436633A CN1321413C (zh) 2002-08-12 2003-07-28 光拾取器和使用光拾取器的光记录和/或再现装置
JP2003292366A JP2004079163A (ja) 2002-08-12 2003-08-12 光ピックアップ及びこれを採用した光記録及び/または再生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511A KR100464427B1 (ko) 2002-08-12 2002-08-12 광픽업 및 이를 채용한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421A true KR20040015421A (ko) 2004-02-19
KR100464427B1 KR100464427B1 (ko) 2005-01-03

Family

ID=3149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511A KR100464427B1 (ko) 2002-08-12 2002-08-12 광픽업 및 이를 채용한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40027970A1 (ko)
JP (1) JP2004079163A (ko)
KR (1) KR100464427B1 (ko)
CN (1) CN132141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0648A (ko) * 2010-02-04 201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픽업장치
KR20180093535A (ko) 2017-02-14 2018-08-22 강원 실사출력물 절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0212A (en) * 1987-08-17 1991-10-22 Ricoh Company, Ltd. Integrated optical pick-up device
US6072607A (en) * 1993-10-15 2000-06-06 Sanyo Electric Co., Ltd. Optical pickup device
KR100200878B1 (ko) * 1996-01-30 1999-06-15 윤종용 위상 개구를 이용한 광픽업장치
JPH09282699A (ja) * 1996-04-17 1997-10-31 Nec Corp 2焦点光ヘッド装置
JPH1031840A (ja) * 1996-07-16 1998-02-03 Fujitsu Ltd 光ディスク装置用光学ヘッド
MY114470A (en) * 1996-12-16 2002-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ight pickup
JP3642909B2 (ja) * 1997-01-29 2005-04-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ヘッド
JP3653923B2 (ja) * 1997-03-19 2005-06-0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H10269616A (ja) * 1997-03-19 1998-10-09 Fujitsu Ltd 光ピックアップ
US6252686B1 (en) * 1997-05-07 2001-06-26 Sony Corporation Optical pickup device
US6195315B1 (en) * 1997-07-11 2001-02-27 Ricoh Company, Ltd. Optical disk apparatus compatible with different types of mediums
KR19990057188A (ko) * 1997-12-29 1999-07-15 김영환 디지탈비디오디스크겸용 씨디플레이어의 광픽업 장치
KR19990066270A (ko) * 1998-01-23 1999-08-16 윤종용 호환형 광픽업장치
JPH11296893A (ja) * 1998-04-14 1999-10-29 Ricoh Co Ltd 光ピックアップ
US6584060B1 (en) * 1998-06-24 2003-06-24 Ricoh Company, Ltd. Optical pick-up device for recording/reading information on optical recording medium
CN1154985C (zh) * 1998-07-03 2004-06-23 株式会社日立制作所 光检测器、信号处理电路、及其光信息再现设备
JP2000123393A (ja) * 1998-10-20 2000-04-28 Ricoh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604788B1 (ko) * 1998-10-23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호환형 광픽업장치
KR100716938B1 (ko) * 1999-08-09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장치
KR100341335B1 (ko) * 2000-05-18 2002-06-22 윤종용 광디스크 플레이어 및 그 기록 또는 재생방법
KR100363172B1 (ko) * 2001-01-20 2002-12-05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검출기 밸런스 조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21413C (zh) 2007-06-13
JP2004079163A (ja) 2004-03-11
CN1475998A (zh) 2004-02-18
US20040027970A1 (en) 2004-02-12
KR100464427B1 (ko) 200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0612B1 (en) Optical head and recording reproduction method
KR100266223B1 (ko) 광픽업 장치
US6747939B2 (en) Semiconductor laser device and optical pickup device using the same
JP2000048386A (ja) 収差補正を有する波長感光ビ―ムコンバイナ
KR20020008795A (ko) 호환형 광픽업장치
CN1125447C (zh) 具有光学可变光阑的光学头
KR100480615B1 (ko) 2파장 광원 모듈을 채용한 광픽업
US6009066A (en) Optical pickup of two different wavelength laser sources with an objective lens having an annular shielding region
KR100234261B1 (ko) 호환형 광픽업장치
EP0766236B1 (en) Optical head device with optically variable aperture
US6510119B2 (en) Optical head device
KR19980064188A (ko) 광픽업
KR100464427B1 (ko) 광픽업 및 이를 채용한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KR20050053523A (ko) 광 픽업 및 디스크 드라이브장치
KR100363172B1 (ko) 광검출기 밸런스 조정방법
JP3619747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260704B1 (ko) 전반사프리즘을 사용한 슬림형 광픽업
KR100421011B1 (ko) 다각형의 프리즘을 구비한 광픽업장치 및 이를 이용한광축보정방법
JP3831689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光再生装置
JP2003151170A (ja) 光集積ユニット
WO2007108446A1 (ja) 光学ヘッド、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学ヘッドの製造方法
US20110188367A1 (en) Optical pickup device
KR100498472B1 (ko) 호환형 광픽업
KR100403596B1 (ko) 직각삼각형 모양의 빔스프리터를 구비한 광픽업장치와이를 이용한 광축보정방법
JPH1011794A (ja) 光ピックア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