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1052A - 휴대 단말기의 씸 커넥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씸 커넥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1052A
KR20040011052A KR1020020044385A KR20020044385A KR20040011052A KR 20040011052 A KR20040011052 A KR 20040011052A KR 1020020044385 A KR1020020044385 A KR 1020020044385A KR 20020044385 A KR20020044385 A KR 20020044385A KR 20040011052 A KR20040011052 A KR 20040011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source terminal
target terminal
s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세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4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1052A/ko
Publication of KR20040011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05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소스 단말기)에서 휴대 단말기(타겟 단말기)로의 데이터 통신 시, 상기 소스 단말기와 타겟 단말기의 SIM 커넥터에 데이터 케이블을 유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소스 단말기에서 타겟 단말기로 대용량의 데이터가 고속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SIM 커넥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씸 커넥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data communication using SIM connector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SIM 커넥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소스 단말기)에서 휴대 단말기(타겟 단말기)로의 데이터 통신 시, 상기 소스 단말기와 타겟 단말기의 SIM 커넥터에 데이터 케이블을 유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소스 단말기에서 타겟 단말기로 데이터가 고속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SIM 커넥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 중에서 현재 유럽 등지에서는 시분할 다중접속방식(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하 'GSM'이라 함)에 따른 단말기가 상용화되고 있다('유럽형 단말기'라 칭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휴대 단말기 업체에서도 GSM 단말기를 출시하고 있으며 점점 GSM 휴대 단말기의 이용이 증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GSM 단말기에는 가입자 식별모듈(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이하 'SIM'이라 함) 카드가 장착되는데, 상기 SIM 카드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모리 칩(chip)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칩에는 단말기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알고리즘 및 사용자의 개인정보, 전화번호 등의 데이터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SIM 카드가 GSM 단말기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GSM 단말기가 이용될 때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보가 음성신호와 함께 전송되어 전화기의 사용요금 등과 같은 사항이 사용자에 따라서 달리 처리된다.
이제는 휴대 단말기로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그 활용 범위가 넓어지면서 문자 메시지, 정지화상, 멜로디 등을 휴대 단말기간에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으며, 앞으로는 MP3, 동영상 등과 같은 대용량의 데이터도 휴대 단말기간에 전송하기를 원하는 사용자들의 요구가 발생할 것이다.
그러면, 현재 제공되고 있는 휴대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 방식 및 단점에 대해 이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1) 전송하고자 하는 이미지, 멜로디 또는 문장을 작성하고 상대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전송'을 위한 키를 누르면 망(network)을 통하여 상대방의 휴대 단말기로 상기 이미지, 멜로디 또는 문장이 전달된다.
이 방식은 위치와 거리의 제약이 없이 두 대의 휴대 단말기가 모두 망의 서비스 지역 내에 있으면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지만, 망 이용에 따른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2) 파일을 전송하고자 하는 휴대 단말기와 상대방의 휴대 단말기가 모두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을 지원하는 경우에,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을 IRDA 파일 전송 규격을 통하여 상대 휴대 단말기에 전달할 수 있지만, 이는 두 대의 단말기 모두가 IRDA를 지원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으며, IRDA의 데이터 최대 전송율이 115 kbps로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3) 파일을 전송하고자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파일을 PC로 전송하고, 상기 PC에서 상기 파일을 상대방의 휴대 단말기에 재전송한다. 이 방식은 중간에 PC라는 매개체가 있어야 하며 실시간(real time)으로는 데이터 공유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SIM 커넥터에 유선의 데이터 케이블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케이블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간에 대용량의 데이터가 고속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소스 단말기; 상기 소스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타겟 단말기; 상기 소스 단말기로부터 상기 타겟 단말기로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소스 단말기 및 타겟 단말기의 SIM 커넥터에 연결되는 유선의 데이터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SIM 커넥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된 소스 단말기로부터 타겟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스 단말기에서 SIM 커넥터를 통한 데이터 전송모드를 선택하는 데이터 전송모드 선택단계; 상기 소스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한 후 온하여, SIM 커넥터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대기하는 데이터 전송 대기단계; 상기 타겟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는 파일을 상기 타겟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SIM 커넥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SIM 커넥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구성 요소인 데이터 케이블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SIM 커넥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소스 단말기
200: 타겟 단말기
300: 데이터 케이블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SIM 커넥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개략도와 데이터 케이블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두 대의 휴대 단말기(100, 200)가 데이터 케이블(300)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 2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SIM 카드가 장착되는 GSM 단말기와 범용가입자식별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가 장착되는 CDMA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SIM 카드가 장착되는 GSM 단말기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면부호 100의 휴대 단말기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기로, 이하에서 소스(source) 단말기라 칭하며, 도면부호 200의 휴대 단말기는 상기 소스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타겟(target) 단말기라 칭하기로 하며, 상기 소스 단말기(100)와 타겟 단말기(200)는 데이터를 전송하는지 또는 수신하는지에 따라 그 명칭이 타겟 단말기(100)와 소스 단말기(200)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스 단말기(100) 및 타겟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양단이 SIM 카드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은 소스 단말기(100) 및 타겟 단말기(200)의 SIM 커넥터에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소스 단말기(100) 및 타겟 단말기(200)가 별도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서 단말기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 3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스 단말기(100)와 타겟 단말기(200)가 유선의 데이터 케이블(300)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소스 단말기(100)에 있는 데이터를 타겟 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소스 단말기(100)를 SIM 모드로 설정한다(S1).
사용자는 상기 S1 단계에서 SIM 모드로 설정된 소스 단말기(100)의 전원을 오프(off)한 후 다시 온(on)함으로써 상기 소스 단말기(100)가 SIM 커넥터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준비(대기) 상태가 되도록 한다(S2).
그 후 타겟 단말기(200)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소스 단말기(100)에서 상기 타겟 단말기(200)로 데이터가 전송된다(S3, S4).
상기 소스 단말기(100)가 SIM 모드가 아니거나(S1의 '아니오'인 경우), 타겟 단말기(200)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이 없는 경우(S3의 '아니오')에 상기 소스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S5).
상기 소스 단말기(100)로부터 타겟 단말기(200)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정지 화상, 멜로디는 물론 MP3, 동영상과 같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모두 포함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기 및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의 SIM 커넥터에 유선의 데이터 케이블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케이블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간에 대용량의 데이터가 고속으로 전송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SIM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는 GSM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SIM 커넥터를 이용하므로 단말기 제작 시에 별도의 비용이 추가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소스 단말기;
    상기 소스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타겟 단말기;
    상기 소스 단말기로부터 상기 타겟 단말기로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소스 단말기 및 타겟 단말기의 SIM 커넥터에 연결되는 유선의 데이터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SIM 커넥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케이블은
    상기 소스 단말기 또는 타겟 단말기의 SIM 커넥터에 연결할 수 있도록 케이블 양단이 SIM 카드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SIM 커넥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단말기의 제어부는
    사용자가 SIM 커넥터를 통한 데이터 전송모드를 선택하고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한 후 온하면, 상기 SIM 커넥터를 통한 데이터 전송 준비를 대기하고 타겟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는 파일을 상기 타겟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SIM 커넥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4.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된 소스 단말기로부터 타겟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스 단말기에서 SIM 커넥터를 통한 데이터 전송모드를 선택하는 데이터 전송모드 선택단계;
    상기 소스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한 후 온하여, SIM 커넥터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대기하는 데이터 전송 대기단계;
    상기 타겟 단말기로부터 요청되는 파일을 상기 타겟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SIM 커넥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KR1020020044385A 2002-07-27 2002-07-27 휴대 단말기의 씸 커넥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방법 KR200400110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385A KR20040011052A (ko) 2002-07-27 2002-07-27 휴대 단말기의 씸 커넥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385A KR20040011052A (ko) 2002-07-27 2002-07-27 휴대 단말기의 씸 커넥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052A true KR20040011052A (ko) 2004-02-05

Family

ID=37319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385A KR20040011052A (ko) 2002-07-27 2002-07-27 휴대 단말기의 씸 커넥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10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6544B1 (ko) 인히어런트리 마스터 슬레이브 인터페이스를 통한피어-투-피어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7822439B2 (en) System for sharing credentials
EP0542900A1 (en) Portable office cordless telephone
US8495173B2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connectivity status for the same
TW201330681A (zh) 能夠由電子設備的安全數位輸入/輸出終端容納的轉接裝置及無線通訊裝置的系統
CN113329381B (zh) 一种建立蓝牙连接的方法及电子设备
KR20050096930A (ko) 스마트카드와 서버 사이의 통신
FR2849315B1 (fr) Dispositif de traitement de donnees pour l&#39;etablissement de communications par selection de terminaux d&#39;utilisateurs en fonction de leur accessibilite
KR20100045870A (ko) 가입자 식별모듈을 이용한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577735B1 (ko) 업데이트 정보를 감지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백업서비스 시스템
CN102378400A (zh) 蓝牙服务的管理方法和装置
US20080039139A1 (en) Method For Sharing Credentials
KR100754651B1 (ko) 패킷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들 간의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566296B1 (ko) 복합단말기에서 가입자 인증 모듈 엑세스 방법
KR20040011052A (ko) 휴대 단말기의 씸 커넥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방법
KR10065120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0247709Y1 (ko) 휴대폰용 입력정보 이체장치
CN101518038A (zh) 共享存储在第一装置的凭证模块中的凭证的系统和方法
KR100551957B1 (ko) 아이에스엠에스를 이용한 개인정보 동기화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60022893A (ko) 인터넷을 이용한 휴대폰의 컨텐츠 다운로드 시스템 및 그방법
CN109639821B (zh) 文件传输装置以及文件接收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20080013112A (ko) Url을 포함하는 콜백 sms 메시지를 활용한 컨텐츠선물 방법
US20080165700A1 (en) Telephone with internet phone module
KR100682688B1 (ko) 이동통신망을 통한 파일 전송 서비스 제공방법
KR20040108136A (ko) 인포모바일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읽기/쓰기 동작을제한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