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0417A - 도자기 수족관 - Google Patents

도자기 수족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0417A
KR20040010417A KR1020030061261A KR20030061261A KR20040010417A KR 20040010417 A KR20040010417 A KR 20040010417A KR 1020030061261 A KR1020030061261 A KR 1020030061261A KR 20030061261 A KR20030061261 A KR 20030061261A KR 20040010417 A KR20040010417 A KR 20040010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arium
water
biofilm
bio
pl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기해
Original Assignee
양기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기해 filed Critical 양기해
Priority to KR1020030061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0417A/ko
Publication of KR20040010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41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족관 및 수족관의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식물 및 생물막과 도자기의 bio기능을 이용하여 수족관의 물을 처리하는 정화장치와 그 정화장치를 사용하는 수족관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물, N 및 P 등을 생물막과 생물막의 상단에 위치한 식물을 이용하여 순환 정화함으로써 수족관의 물의 정화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키며 생물막 하부에 설치한 티타늄과 자외선등에 의한 강력한 산화작용을 이용하며 도자기의 bio의 기능을 이용하여 수처리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정화장치를 제공하며 수족관을 도자기로 제작하여 도자기의 bio기능을 확대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물과 생물막을 이용하여 수족관의 물을 정화하는 정화장치에 있어서, 생물막(3)과 생물막(3)의 상단에 위치한 식물접촉조의(1) 식물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물을 정화하며, 순환펌프(6)를 이용하여 제1,2순환배관(7,2)을 통해 생물막(3)으로 순환시키는 순환부(11)와; 정화수를 수족관으로 배출하는 하부유출배관(8)과; 산화작용을 하는 티타늄(4)과 자외선등(5)과 도자기수족관(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장치 및 수족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자기 수족관 {Ceramic aquarium}
수족관의 물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식물과 도자기와 생물막을 이용하여 수족관의 물의 처리효율을 증대시키고 식물을 이용하여 수족관 물속의 질소와 인을 처리하며 생물막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처리하는 정화장치와 그 정화장치를 설치한 도자기수족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족관 및 수족관의 수처리에 관한 것으로 물 속의 생물서식환경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대기에 노출된 생물막에 물을 살수하여 오염된 물을 미생물과 여과에 의해 정화하며, 또한 생물막 위에 물풀, 부레옥잠 등의 식물을 설치하여서 질소와 인을 처리하며 티타늄과 자외선등과 공기의 산화작용을 통하여 수처리 효율을 높이고 수족관의 재질을 도자기로 하여 bio기능을 향상시킨 장치이다. 기존의 수족관 정수장치로는 수중에 여재를 쌓아 여과에 의한 처리장치와 공기펌프를 이용한 산소공급과 여과재의 한 방법, 또는 여과 및 미생물에 의한 처리를 위해 수족관 내부 또는 상부에 생물막을 설치한것, 또는 생물막과 관련한 여과 및 수질개선의 부분을 수족관의 외부에 별도로 설치하거나 수족관의 일부에 설치하여 수족관의 물을 정화하는것, 또는 수족관정화장치를 도자기로 제작하여 bio기능을 강화시킨것들이 있으나 이것들은 일정간격으로 수족관의 물을 빼고 청소해 주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도자기를 이용하여 bio기능을 향상시킨 도자기수족관과 수족관 물 속의 유기물, 질소 및 인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생물막과 생물막의 상부에 위치하여 있는 식물접촉조의 식물을 이용하여 순환 정화함으로써 수족관 물의 정화효율을 증대시키고 유기물, N 및 P을 제거하면서 장치의 콤팩트화를 이루어 설치 부지를 최소화한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과 도자기와 생물막을 이용한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식물접촉조 2: 제2순환배관 3: 생물막 4: 티타늄 5: 자외선등 6: 순환펌프 7: 제1순환배관 8: 하부유출배관 9: 도자기수족관 10: 생물막반응조 11: 순환부 12: 자외선등고정장치
본 발명은 생물막법에 의한 수처리에 있어서 PP·PE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생물막과 식물접촉조에 있는 부레옥잠, 말풀 등의 식물을 이용하여 수족관의 물을 정화한 후, 하부유출배관을 통해 수족관으로 배출하며 도자기로 만들어서 bio기능을 가진 생물막반응조와;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수족관의 물을 제1,2순환배관을 통해생물막반응조로 순환시키는 순환부와; 생물막반응조 내부에서 강력한 산화작용을 하는 티타늄과 자외선등과 bio기능을 향상시킨 도자기수족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및 수족관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 및 수족관정화장치에서 도자기로 된 생물막반응조(10)에는 식물접촉조(1)와 생물막(3)으로 구성되며 식물은 생물막(3)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식물에는 부레옥잠, 말풀 등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생물막(3)에는 기존에 상용되고 있는 섬모형 유동상 접촉여재 즉, 가지처럼 늘어지게 형성된 섬모에 생물막을 형성시키게 된다. 또한 접촉재는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PE, PP, PVC 등의 접촉재와 활성탄, 규조토, 자갈 등을 사용 할 수도 있다.
특히, 식물접촉조(1)의 하부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데, 낙하되는 물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섬모의 생물막과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생물막반응조(10)하부에 티타늄(4)이 위치하여 있으며 티타늄(4)의 상부에는 자외선등(5)이 자외선등고정장치(12)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위치한다.
이 때 생물막반응조(10)는 도자기로 만들어서 bio기능을 향상시켜 처리효율을 증진시킨다.
그리고 생물막반응조(10)에서는 식물접촉조(1)의 물풀, 부레옥잠 등에 의해서 N, P이 제거되고 생물막(3)을 거치면서 유기물을 정화 처리하게 된다.
또한, 생물막반응조(10)에서는 식물접촉조(1)의 물풀, 부레옥잠 등의 식물과 생물막(3)을 거친 정화수가 낙하하여서 하부유출배관(8)을 통해 도자기수족관으로 배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유출배관을 통해 낙하한 물이 bio기능이 향상된 도자수족관(9)으로 모아지게 된다.
특히, 생물막반응조(10)를 거치면서 정화된 물이 하부유출배관(8)을 통해서 도자기수족관(9)으로 배출된 정화수와 도자기수족관(9)내의 물이 순환펌프(6)의 펌핑작용에 의해 제1,2순환배관(7,2)을 통해 식물접촉조(1)로 압송되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화장치는 생물막반응조(10)내의 물풀, 부레옥잠 등의 식물은 생물막(3)의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수족관 내에 있는 유기물, N 및 P을 제거하고 생물막(3) 하부에는 자외선등(5)과 티타늄(4)을 설치하여서 산화작용을 증진시켜 수족관 물의 정화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키며 수족관의 재질을 도자기로 하여 bio 기능을 향상시킨 도자기수족관(9)을 제공하게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정화장치는 물이 자연 낙하과정에서 정화함으로써 별도의 장치가 불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물풀, 부레옥잠 등의 식물을 이용하여 수족관의 물속에 있는 N 및 P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생물막, 자외선등과 티타늄을 이용하여 수족관 물속에 있는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생물막반응조를 도자기로 만들어서 bio기능을 향상시켜서 정화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키면서 콤팩트화를 이루어 설치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수족관의 재질을 도자기로 하여 수족관 자체의 bio기능을 향상시킨 도자기수족관을 제공하며 물이 자연 낙하과정에서 정화함으로써 별도의장치가 불필요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식물 과 생물막을 이용하여 물을 정화하는 수족관에 있어서,
    식물이 있는 식물접촉조(1)와 생물막(3)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수족관의 물을 정화한 후, 도자기수족관(9)으로 배출하는 생물막반응조(10)와;
    정화수가 낙하하여 도자기수족관으로 배출될 때 산화작용을 하여서 정화수 내의 유기물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는 티타늄(4)과 자외선등(5)과;
    순환펌프(6)를 이용하여 수족관(9)의 물을 제1,2순환배관(7,2)을 통해 생물막 반응조(10)로 순환시키는 순환부(11)와;
    재질을 도자기로 하여 bio기능을 향상시킨 도자기수족관(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2. 1항에 있어서 식물을 제외하고 유기물, 질소, 인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3. 1항에 있어서, 티타늄(4)과 자외선등(5)을 제외하고 유기물, 질소, 인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장치.
KR1020030061261A 2003-08-28 2003-08-28 도자기 수족관 KR20040010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261A KR20040010417A (ko) 2003-08-28 2003-08-28 도자기 수족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261A KR20040010417A (ko) 2003-08-28 2003-08-28 도자기 수족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417A true KR20040010417A (ko) 2004-01-31

Family

ID=37318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261A KR20040010417A (ko) 2003-08-28 2003-08-28 도자기 수족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04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996B1 (ko) * 2007-07-19 2008-03-11 이승용 정수장치를 구비한 어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996B1 (ko) * 2007-07-19 2008-03-11 이승용 정수장치를 구비한 어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7921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воды в аквакультурной системе
CN106554130A (zh) 一体化生物过滤污水处理装置
CN106554131A (zh) 一体化前置反硝化污水处理装置
CN101985380B (zh) 微污染水处理装置
CN111592174B (zh) 一种排放口净化系统及净化方法
CN208249977U (zh) 光强化节能污水处理装置
KR100619094B1 (ko) 하,폐수 처리장치
CN104045206A (zh) Uv/o3+baf组合式高级氧化污水处理设备
KR20040010417A (ko) 도자기 수족관
CN201092550Y (zh) 一种双膜式水处理工艺装置
CN210528675U (zh) 市政污水处理系统
CN204138425U (zh) 一种污水处理系统
CN203683315U (zh) 膜技术、斜板沉降一体化处理医疗废水系统
KR200295845Y1 (ko) 수족관 용수의 살균정화장치
CN207671873U (zh) 一种养殖污水净化装置
KR20040012455A (ko) 식물과 도자기와 생물막을 이용한 정화장치
JP2008141986A (ja) 魚類水槽水の処理装置及び魚類水槽水の処理方法
JPH0515885A (ja) 水槽のオゾンによる浄化方法とその装置
CN109809642A (zh) 一种多级好氧处理农村家庭污水的改型净化槽
CN207347347U (zh) 一种节能型污水处理设备
CN217202455U (zh) 一种竹笋加工用具有过滤结构的废水处理装置
CN108033628A (zh) 一种养殖污水循环净化方法
CN210287087U (zh) 一种新型地埋式废水处理器
CN211644977U (zh) 一种应用于工业污水处理用膜生物反应池
CN212610140U (zh) 一种医院废水深度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