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7928A -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내,외장재 및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내,외장재 및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7928A
KR20040007928A KR1020020040551A KR20020040551A KR20040007928A KR 20040007928 A KR20040007928 A KR 20040007928A KR 1020020040551 A KR1020020040551 A KR 1020020040551A KR 20020040551 A KR20020040551 A KR 20020040551A KR 20040007928 A KR20040007928 A KR 20040007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abrasive
building
partition member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0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인
Original Assignee
이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인 filed Critical 이두인
Priority to KR1020020040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7928A/ko
Publication of KR20040007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92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7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with connections using a special adhe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 내,외장재 및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 그려진 밑그림의 선을 따라 칸막이부재를 굴곡하여 고정시키고, 자연석을 소정크기로 파쇄하고 연마하여 에폭시 접착제와 혼합한 연마석을 상기 칸막이부재로 분할된 구역에 따라 밑그림의 색깔에 맞춰 채우고 미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색깔로 구비되고 자연석을 소정크기로 파쇄하여 표면을 연마 가공한 연마석과; 상기 연마석과 혼합하여 상기 연마석을 상호 접착하는 에폭시 접착제와; 접착제와 혼합된 연마석이 소정 무늬를 형성하여 미장되도록 건축물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 그려진 밑그림의 선을 따라 굴곡하여 소정형태의 틀을 형성함으로 바닥면 또는 벽면의 영역을 분할하는 칸막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마석은 옥자갈, 유리구슬, 맥반석, 게르마늄석을 포함하며, 인위적인 색 발현을 위하여 페인트로 표면을 착색한 착색자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칸막이부재는 굴곡이 가능한 동선이나 로프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 내,외장재 및 형성 방법{A Construction Materials For Design With Grinding Stone And Parti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 그려진 밑그림의 선을 따라 칸막이부재를 굴곡하여 고정시키고, 자연석을 소정크기로 파쇄하고 연마하여 에폭시 접착제와 혼합한 연마석을 상기 칸막이부재로 분할된 구역에 따라 밑그림의 색깔에 맞춰 채우고 미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 내,외장재 및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자재에 있어서, 현재 대부분의 욕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이나 벽체 마감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내,외장재로는 도기나 자기로 된 타일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타일의 몇 가지 단점을 지적하면 상기 타일을 깔아서 시공되어진 바닥면은 타일의 표면에 형성되어진 유약층에 의하여 물이 닿게 되면 미끄러워 위험성이 있었다.
그리고, 타일의 재질적 특성에 의하여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충격에 의하여쉽게 깨지거나 금이 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이러한 경우 타일의 일부분이 떨어져 나가게 되나 부분 보수가 어렵기 때문에 재시공이 필요하게 된다.
더구나, 욕실이나 베란다 등에서 사용된 오염된 물이 깨지거나 금이간 부분에 스며들게 됨으로서 부식을 초래할 뿐 아니라 이물질 등의 때가 끼게 됨으로서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까지 있게 되었다.
따라서, 실용적인 기능과 미적인 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건축자재의 개발이 끊임없이 시도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연석을 이용한 벽돌 또는 타일 블럭의 사시도이다.
근래에 들어 자연과 친근감을 느낄 수 있는 소재인 자연석을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져 왔다. 자연석을 이용한 건강지압보도블럭포장과 같이 기능성과 미적효과를 위한 건축시공이 이루어지거나, 타일이나 벽돌의 측면에 자연자갈이 돌출되게 하여 미적인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제품의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종래의 자갈을 이용한 건축시공은 미적인 효과와 견고성 및 원가절감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시공방법의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타일이나 벽돌과 같은 블럭을 제조시에 한쪽면에 자갈과 같은 자연석을 붙이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사각 형태로 이루어진 거푸집에 시멘트 몰타르나 에폭시 몰타르 등을 소정량 채운 후에 개방된 상부로 자연석을 임으로 배열하여 붙임으로서 이루어진다. 즉, 한쪽면에 자연석을 이용한 무늬가 형성된 벽돌이나 타일이 완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몰타르와 자연석의 부착력이 약하여 상기 자연석이 중간중간 쉽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블럭을 개별적으로 제작해야하므로 제작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새로운 자연석을 이용한 시멘트 블록이 제조되었던 바, 이는 자연석에 시멘트, 물 등을 혼합하여, 공극이 없는 일반의 콘크리트로 된 블록을 성형한 후, 그 상부에 강력 스프레이 살수기로 분사하여 표면층을 깍아냄으로 상기 자연석이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자연석과 시멘트 등을 혼합함에 있어서 표면층과 하부층을 분리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처리하여 성형하기 때문에 공극이 없었다. 또 이러한 성형상태에서 자연석을 돌출시키게 되므로 그 표면에 자연석 뿐만 아니라 시멘트 부위도 그대로 노출되게 되어 자연석의 돌출율이 50%이하로 되어 자연미를 최대로 살릴 수가 없었다.
이상의 종래 방법은, 표면층의 시멘트 부위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살수하여 자연석을 돌출시킴에 있어서 다량의 물이 소요되는데, 이 때 시멘트를 씻은 물은 일종의 공해물질이기 때문에 그 처리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이상의 방법 또한 시멘트 블록의 표면을 살수로 깍아내어 자연석을 무리하게 돌출시킴으로서, 상기 자연석 입자의 결착력이 약해져 표면층으로부터 탈락하는 문제점이 역시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블럭화된 타일이나 벽돌을 건축물 내,외장재로 사용시 블럭과 블럭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이물질이 침투되어 고인 후에 부패되어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블럭형태의 정형화된 모양만을 표현할 수 밖에 없었으며, 시공공간이 불규칙한 스플라인으로 이루어져 있거나 장애물이 많은 경우에는 시공하기가 어려웠다.
무엇보다도 무한한 형태로의 디자인 창작이 곤란하였다. 예를 들어 자연석의 색을 활용한 그림이나 다양한 무늬의 표현이 불가능하였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건축물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 그려진 밑그림의 선을 따라 영역을 분할하는 칸막이부재를 굴곡하여 설치하고, 연마된 자연석과 에폭시 접착제를 혼합하여 색깔별로 상기 칸막이부재로 분할된 영역에 채움으로서 그림이나 무늬를 형성하여 건축물의 내,외장을 할 수 있는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 내,외장재 및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자유롭게 굴곡이 가능한 칸막이부재와 에폭시 접착제가 혼합된 연마석을 이용하여 다양한 창작무늬를 형성할 수 있으며, 바닥면이나 벽면의 형상 또는 장애물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시공할 수 있는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 내,외장재 및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연마석에 페인트를 착색하여 건조시킴으로서 원하는 색을 만들어 시공할 수 있고, 시공후에는 지압효과 및 미끄럼 방지와 부분보수가 용이한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 내,외장재 및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다양한 종류의 색깔로 구비되고 자연석을 소정크기로 파쇄하여 표면을 연마 가공한 연마석과;
상기 연마석과 혼합하여 상기 연마석을 상호 접착하는 에폭시 접착제와;
접착제와 혼합된 연마석이 소정 무늬를 형성하여 미장되도록 건축물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 그려진 밑그림의 선을 따라 굴곡하여 소정형태의 틀을 형성함으로 바닥면 또는 벽면의 영역을 분할하는 칸막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 내,외장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마석은 옥자갈, 유리구슬, 맥반석, 게르마늄석, 인조석, 사문석, 규석, 칼라세라믹을 포함하며, 인위적인 색 발현을 위하여 페인트로 표면을 착색한 착색자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칸막이부재는 굴곡이 가능한 동선, 로프 또는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금속성의 형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필요한 색깔에 따라 자연석을 채취하는 단계;
채취된 자연석을 소정크기로 파쇄하는 단계;
파쇄된 자연석의 표면이 광을 띄도록 연마하는 단계;
표면이 연마되어진 연마석과 에폭시 접착제를 혼합하는 단계;
건축물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 그려진 밑그림의 선을 따라 굴곡하여 소정형태의 틀을 형성함으로서 바닥면 또는 벽면을 분할하는 칸막이부재 설치단계;
칸막이부재가 구비된 내,외장면에 상기 접착제와 혼합된 연마석을 분할된 구역 및 색깔별로 도포하는 단계;
도포된 연마석을 미장칼로 미장하는 단계: 및
상기 연마석이 미장된 접착제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 내,외장 방법에 의하여도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자연석을 채취하는 단계의 상기 자연석은 자연에서 연마된 소정크기의 자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마하는 단계는 상기 연마되어진 연마석의 표면에 색깔별로 페인트를 착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칸막이부재 설치단계는 굴곡이 가능한 동선이나 로프를 건축물의 내,외장 바닥면 또는 벽면에 접착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연석을 이용한 벽돌 또는 타일 블럭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라 자연석을 파쇄하고 연마하여 접착제와 혼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과정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라 자연석을 파쇄하고 연마하여 페인트로 인위적인 색깔을 착색하여 접착제와 혼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과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마석을 이용하여 무늬를 형성하도록 바닥면 또는 벽면에 그린 밑그림의 예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마석을 이용하여 무늬를 형성하도록 바닥면 또는 벽면에 그린 밑그림에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석을 이용하여 무늬가 형성된 건축물의 내,외장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석을 이용하여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 내,외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20 : 판재
50 : 자연석100 : 연마석
150 : 페인트200 : 에폭시 접착제
300 : 밑그림400 : 칸막이부재
본 발명은 자연석을 소정 크기로 파쇄하고 연마하여 광이 나는 연마석을 에폭시 접착제와 혼합하여 건축물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 붙임으로 그림이나 무늬를 형성하여 건축물의 내,외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때, 건축물의 바닥이나 벽면에는 원하는 모양의 밑그림을 그리고 상기 밑그림의 선을 따라 굴곡하여 부착하는 칸막이부재로 소정형태의 틀을 형성함으로서, 영역을 분할하고 영역에 따라 색깔별로 연마된 자연석을 채운 후 미장하여 그림이나 무늬를 형성하여 건축물의 내,외장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라 자연석을 파쇄하고 연마하여 접착제와 혼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과정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연석(50)을 이용하여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 내,외장재는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자연석(50)에 파쇄 및 연마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a, b, c 과정)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상기 자연석(50)은 형성 조건이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서로 다른 고유의 색깔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자연석(50)은 가공과정을 거쳐야 본 발명에서 필요한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사용이 가능하며,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부분이 필요한 크기로 파쇄하는 것이다.(b 과정)
상기 자연석(50)의 파쇄는 돌을 깨트리는 파쇄기(미도시)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파쇄기에서 파쇄된 자연석(50)은 체를 통하여 걸러진다. 상기 체를 통하여 파쇄된 자연석(50)을 크기별로 분류하여 선별한다.
이상과 같이 파쇄된 자연석(50)은 연마기에 넣어져 둥글둥글하게 연마를 한다. 상기 연마기는 일반적으로 회전하는 통의 형태로서, 통속에 파쇄된 자연석(50)을 넣고 회전시키면 서로 부딪히며 모난 부분이 떨어져 나가고 둥글둥글하게 된다.(c 과정)
상술한 바와 같이 연마시에는 많은 돌가루가 발생하게 되고, 이 때 돌가루가 연마된 연마석(100)의 표면에 붙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돌가루를 세척하여 씻어내고 건조함으로서 깨끗한 연마석(100)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연마된 연마석(100)은 표면에 광을 띄면서 고유의 색깔이 살아나게 되어 그림이나 무늬를 표현하기에 보다 적합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어낼 수 있는 상기 연마석(100)은 일반적인 돌을 비롯하여 옥자갈, 맥반석, 게르마늄석등과 같은 단단한 석재와 유리구슬등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연마석(100)은 에폭시 접착제(200)와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연석(50)을 이용하여 무늬를 형성하기 위한 내,외장 재료로 구비된다.(f 과정)
도 2b는 본 발명에 따라 자연석을 파쇄하고 연마하여 페인트로 인위적인 색깔을 착색하여 접착제와 혼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과정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석(50)을 파쇄하고 연마하여 페인트(150)로 인위적인 색깔을 입히는 것은 상기 자연석(50)에서 필요한 색을 얻어내지 못하였거나, 보다 독특한 색깔이 필요한 경우에 이루어진다.
연마석(100)을 얻어내기 까지는 도 2a에서 설명한 바의 a, b, c 과정과 동일하며, 상기 도 2a에서와 같은 과정으로 얻어진 연마석(100)을 페인트(150)에 넣어서 표면을 착색함으로 원하는 색깔을 얻어낸다.(d 과정)
상기 연마석(100)을 착색하는 페인트(150)는 유성 페인트, 수성 페인트 또는에나멜 페인트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페인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페인트(150)에 따라 서로 다른 질감이나 색감을 얻어낼 수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페인트(150)를 이용함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성 페인트를 이용함이 좋다.
즉, 페인트(150)를 희석재와 섞어 상기 연마석(100)과 함께 통에 담은 후 혼합시키면 상기 연마석(100)의 표면에 페인트(150)가 착색된다.
페인트(150)가 착색된 연마석(100)은 판재(20)위에 펴서 건조시킴으로서 연마석(100)의 착색이 마무리된다.(e 과정)
이상과 같이 착색된 연마석(100)은 도 2a에서와 마찬가지로 에폭시 접착제(200)와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연석(50)을 이용하여 무늬를 형성하기 위한 내,외장 재료로 구비된다.(f 과정)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마석을 이용하여 무늬를 형성하도록 바닥면 또는 벽면에 그린 밑그림의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내,외장면인 바닥면이나 벽면에 연마석(100)을 붙여 그림이나 무늬를 형성하기 위한 밑그림(300)을 먼저 그려 넣는다.
상기 밑그림(300)은 나무, 꽃, 풍경등과 같은 그림이나 도형등을 주제로 그릴 수 있으며, 그 밖에도 인물화 동물등을 주제로 적절한 이미지를 선택하여 그릴 수 있다. 상기 밑그림(300)은 분필이나 펜등을 사용하여 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마석을 이용하여 무늬를 형성하도록 바닥면 또는벽면에 그린 밑그림에 칸막이부재를 설치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석을 이용하여 무늬가 형성된 건축물의 내,외장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밑그림(300)을 그린 후에는 밑그림(300)의 선을 따라 칸막이부재(400)를 설치한다. 상기 칸막이부재(400)는 굴곡이 가능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구부릴 수 있는 선재이면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구리로 만들어진 동선이나 로프등을 이용함이 좋다.
상기 칸막이부재(400)는 단단한 평면위에 부착되는 것으로 본드를 이용하여 부착이 가능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열을 가하면 녹고 식으면 굳어서 접착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재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녹여 붙일 수 있는 건 타입의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상기 칸막이부재(400)를 붙이게 됨은 밑그림(300)에 따라 상기 바닥면 또는 벽면의 영역을 분할하는 특징을 갖는다.
즉, 접착제(200)와 혼합된 연마석(100)이 소정 무늬를 형성하여 미장되도록 상기 건축물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 그려진 밑그림(300)이 선을 따라 굴곡하여 소정형태의 틀을 형성함으로 영역을 분할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부재(400)를 붙여 영역을 분할하면 상기 칸막이부재(400)의 두께만큼 바닥면 또는 벽면에 대하여 소정 높이를 갖게 되므로, 색깔을 달리하여 상기 에폭시 접착제(200)와 혼합된 연마석(100)을 붙이기가 용이하다. 상기 칸막이부재(400)는 색깔을 서로 달리하여 바닥면 또는 벽면에 부착되는 연마석(100)의 경계선을 이루는 한편, 상기 연마석(100)과 조화를 이루어 미적 효과를 나타내기도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처럼, 상기 칸막이부재(400)를 이용하여 나무의 줄기와 가지를 표현함으로 보다 선명한 나무의 형상을 표현할 수 있으며, 서로 색깔을 달리하여 연마석(100)을 붙이기가 용이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외장으로 실시되는 본 발명은 우선 내장재로서 욕실의 경우에는 지름이 1 ~ 3mm 정도의 연마석(100)이 바람직하고, 베란다의 경우는 3 ~ 10mm 정도의 연마석(100)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축물의 외장재로 이용시에는 10mm이상의 연마석(100)을 이용함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연마석(100)의 크기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일 뿐 장소마다 사용할 수 있는 연마석(100)의 크기는 시공자의 창작에 의하여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마석(100)은 돌덩이를 파쇄하고 연마하는 방법을 통하여 인위적으로 얻을 수 있지만, 자연의 강가나 바닷가등지에서 곧바로 채취하여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자연보호 및 환경보호를 위하여 강가나 바닷가에서 채취하는 방법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방법을 통하여 연마석(100)을 얻어냄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연석(50)을 이용하여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 내,외장재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내,외장을 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석을 이용하여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 내,외장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연마석(100) 및 칸막이부재(400)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 내,외장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외장 방법을 단계적으로 살펴보면, 자연석(50)을 채취하는 과정이 필요하다(S500). 상기 자연석(50)은 자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바윗돌등을 얻을 수 있으며, 이 때 필요한 색깔별로 다양하게 상기 자연석(50)을 채취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채취된 자연석(50)은 파쇄기를 이용하여 소정크기로 파쇄하는 단계가 필요하다(S510). 파쇄된 자연석(50)은 표면이 광을 띄도록 연마기에 넣어져 연마하는 단계를 거친다(S520). 연마하는 단계를 거침으로서 모난 부분이 깍여 나가고 둥글둥글하게 연마된 연마석(100)으로 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마석(100)을 연마한 후에는 체를 이용하여 크기별로 분류함이 바람직하고, 돌가루등을 세척하여 깨끗하게 한 후 건조시켜야 한다. 이렇게 세척 및 건조과정을 거쳐야만 깨끗한 연마석(100)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연마석(100)은 페인트(150)로 표면을 착색시킬 수 있다(S530). 페인트(150)가 담겨진 용기(10)내에 상기 연마석(100)을 넣고 혼합시키면 상기 연마석(100)을 페인트(150)의 색깔대로 착색된다(S540). 페인트(150)가 착색된 연마석(100)은 판재(20)위에 펴서 건조시킴으로서 인위적인 색깔을 얻어낼 수 있다(S550).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상기 연마석(100)을 에폭시 접착제(200)와 함께 용기(10)내에 넣고 혼합한다(S560). 상기 연마석(100)을 에폭시 접착제(200)와 혼합하여 상기 연마석(100)들을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건축물의 바닥면이나 벽면에는 그림이나 도형으로 밑그림(300)을 그린 후, 그려진 상기 밑그림(300)의 선을 따라 칸막이부재(400)를 굴곡하여 붙임으로 소정형태의 틀을 형성한다(S570). 그러므로, 건축물의 바닥면 또는 벽면의 영역을 분할하여 상기 에폭시 접착제(200)에 혼합된 연마석(100)을 건축물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 미장하기 손쉽도록 구성한다.
상기 접착제(200)와 혼합된 자연석(50)을 칸막이부재(400)가 구비된 내,외장면에 분할된 구역 및 색깔별로 도포하게 되며(S580), 도포된 연마석(100)을 미장칼로 미장하여 표면을 평평하게 구성한다(S590).
미장이 끝나면 일정시간 사람들의 접근을 금지시킨채 연마석(100)이 미장된 접착제(200)를 건조하여 완성하게 된다(S600).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내,외장재는 액자와 같은 악세사리에도 응용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마석(100) 및 칸막이부재(400)를 이용한 무늬 형성을 건축물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부착하는 과정 그대로 일정한 틀을 가진 액자에 형성함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을 따라 건축물의 내,외장면을 시공후에는 수련한 미관 및 내구성을 지니게 되며 바닥면인 경우에는 지압효과 및 미끄럼 방지가 탁월하다. 그리고 간편한 시공 뿐만 아니라 부분보수가 용이한 특징이 있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 내,외장재 및 형성 방법에 의하면, 건축물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 그려진 밑그림의 선을 따라 칸막이부재를 굴곡 설치하여 영역을 분할하고, 연마된 자연석과 에폭시 접착제를 혼합하여 색깔별로 상기 칸막이부재로 분할된 영역에 채움으로서 그림이나 무늬를 형성하여 건축물의 내,외장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자유롭게 굴곡이 가능한 칸막이부재와 에폭시 접착제가 혼합된 연마석을 이용하여 다양한 창작무늬를 형성할 수 있게 되었으며, 바닥면이나 벽면의 형상 또는 장애물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연마석에 페인트를 착색하여 건조시킴으로서 원하는 색을 만들어 시공할 수 있게 되었고, 시공후에는 지압효과 및 미끄럼 방지와 부분보수가 용이하여 안전 및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7)

  1. 다양한 종류의 색깔로 구비되고 자연석(50)을 소정크기로 파쇄하여 표면을 연마 가공한 연마석(100)과;
    상기 연마석(100)과 혼합하여 상기 연마석(100)을 상호 접착하는 에폭시 접착제(200)와;
    접착제(200)와 혼합된 연마석(100)이 소정 무늬를 형성하여 미장되도록 건축물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 그려진 밑그림(300)의 선을 따라 굴곡하여 소정형태의 틀을 형성함으로 바닥면 또는 벽면의 영역을 분할하는 칸막이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 내,외장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석(100)은 옥자갈, 유리구슬, 맥반석, 게르마늄석, 인조석, 사문석, 규석, 칼라세라믹을 포함하며, 인위적인 색 발현을 위하여 페인트(150)로 표면을 착색한 착색자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 내,외장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400)는 굴곡이 가능한 동선, 로프 또는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금속성의 형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건축물 내,외장재.
  4. 필요한 색깔에 따라 자연석(50)을 채취하는 단계(S500);
    채취된 자연석(50)을 소정크기로 파쇄하는 단계(S510);
    파쇄된 자연석(50)의 표면이 광을 띄도록 연마하는 단계(S520);
    표면이 연마되어진 연마석(100)과 에폭시 접착제(200)를 혼합하는 단계(S560);
    건축물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 그려진 밑그림(300)의 선을 따라 굴곡하여 소정형태의 틀을 형성함으로서 바닥면 또는 벽면을 분할하는 칸막이부재(400) 설치단계(S570);
    칸막이부재(400)가 구비된 내,외장면에 상기 접착제(200)와 혼합된 연마석(100)을 분할된 구역 및 색깔별로 도포하는 단계(S580);
    도포된 연마석(100)을 미장칼로 미장하는 단계(S590): 및
    상기 연마석(100)이 미장된 접착제(200)를 건조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 내,외장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석(50)을 채취하는 단계(S500)의 상기 자연석(50)은 자연에서 연마된 소정크기의 자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 내,외장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석(50)을 연마하는 단계(S520)는 상기 연마되어진 연마석(100)의 표면에 색깔별로 페인트(150)를 착색하는 단계(S5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 내,외장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400) 설치단계(S570)는 굴곡이 가능한 동선이나 로프를 건축물의 내,외장 바닥면 또는 벽면에 접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 내,외장 방법.
KR1020020040551A 2002-07-12 2002-07-12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내,외장재 및 형성 방법 KR20040007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551A KR20040007928A (ko) 2002-07-12 2002-07-12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내,외장재 및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551A KR20040007928A (ko) 2002-07-12 2002-07-12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내,외장재 및 형성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889U Division KR200290844Y1 (ko) 2002-07-12 2002-07-12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 내,외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928A true KR20040007928A (ko) 2004-01-28

Family

ID=37317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0551A KR20040007928A (ko) 2002-07-12 2002-07-12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내,외장재 및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79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074B1 (ko) * 2004-12-03 2007-03-09 안승한 천연석을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패널 및 건축물의 벽체시공방법
KR101243084B1 (ko) * 2010-12-24 2013-03-13 김숙자 맥반석 착색방법 및 착색 맥반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074B1 (ko) * 2004-12-03 2007-03-09 안승한 천연석을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패널 및 건축물의 벽체시공방법
KR101243084B1 (ko) * 2010-12-24 2013-03-13 김숙자 맥반석 착색방법 및 착색 맥반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3732B2 (en) Litho-mosaic
US5794401A (en) Durable architectural flooring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562360B2 (en) Concrete mosaic
US8936411B1 (en) Architectural concrete
WO2013138298A1 (en) Multi-layered cement compositions containing photocatalyst particles and method for creating multi-layered cement compositions containing photocatalyst particles
WO2017083415A1 (en) Simulated rock panels
CN106121188A (zh) 大面积无缝整体地面及其施工方法
JP2832424B2 (ja) 御影石調の多彩模様形成用の塗材とこれに用いる樹脂フレーク
CN105350775B (zh) 一种仿石材干挂效果的建筑外墙装饰的施工工艺
KR20040007928A (ko)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내,외장재 및 형성 방법
KR200290844Y1 (ko) 연마석 및 칸막이부재로 무늬를 형성하는 건축물 내,외장재
KR100502726B1 (ko) 에폭시수지 모르타르 블록 및 제조 방법
CN101333860A (zh) 涂覆于易湿滑光滑地板的防滑材料及其使用方法
GB2345269A (en) Painted and sealed rubber tiles
CN206016165U (zh) 大面积无缝整体地面
CN2688803Y (zh) 新型水磨石
CN1607304A (zh) 真石漆施工工艺
US2237288A (en) Spattling and spraying process
KR100198135B1 (ko) 장식돌이 취부된 시멘트판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325910Y1 (ko)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연마석
CN214941854U (zh) 一种用于建筑物外墙或者地面的新型材料板装置
KR200409327Y1 (ko) 석재를 이용한 포장구조
JP2009235789A (ja) 安くて強度が強く、汚れにくい樹脂表面材及びその形成方法。
Paládi-Kovács Decorative concrete surface design
CN201420328Y (zh) 单面彩色水泥空心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512

Effective date: 2005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