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6629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6629A
KR20040006629A KR1020020040960A KR20020040960A KR20040006629A KR 20040006629 A KR20040006629 A KR 20040006629A KR 1020020040960 A KR1020020040960 A KR 1020020040960A KR 20020040960 A KR20020040960 A KR 20020040960A KR 20040006629 A KR20040006629 A KR 20040006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guide plate
light guide
foreign matter
cryst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0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0520B1 (ko
Inventor
김창일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0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520B1/ko
Publication of KR20040006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6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1Environmental protection, e.g. against dust or humid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표시영역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액정패널 쪽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서포트메인과, 액정패널 아래에 설치되는 도광판과, 도광판의 측면에 부착되어 도광판과 서포트메인 사이의 갭을 차폐하여 액정패널 내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이물방지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표시영역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액정패널 쪽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구동방식의 액정표시장치는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라 함)를 이용하여 자연스러운 동화상을 표시하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브라운관에 비하여 소형화가 가능하여 휴대용 텔레비젼(Television)이나 랩탑(Lap-Top)형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등의 모니터로서 상품화되고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액정표시장치는 화소들이 게이트라인들과 데이터라인들의 교차부들 각각에 배열되어진 화소매트릭스(Picture Element Matrix 또는 Pixel Matrix)에 텔레비전 신호와 같은 비디오신호에 해당하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화소들 각각은 데이터라인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의 전압레벨에 따라 투과 광량을 조절하는 액정셀을 포함한다. TFT는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들의 교차부에 설치되어 게이트라인으로부터의 스캔신호(게이트펄스)에 응답하여 액정셀 쪽으로 전송될 데이터신호를 절환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서포트메인(Support Main, 30)과, 서포트메인(30)의 내부에 적층되는 백라이트 유닛(10) 및 액정패널(20)과, 서포트메인(30)의 일측 저면과 측면을 감싸는 커버버텀(Cover Bottom, 34)과, 액정패널(20)의 가장자리와 커버버텀(34)을 감싸는 탑케이스(Top Case, 32)를 구비한다.
서포트메인(30)의 내부에는 반사판(12), 도광판(14), 광학시트들(16)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10)이 적층되고, 백라이트 유닛(10) 상에 상판(24)과 하판(26) 바깥으로 상부 및 하부 편광판(22, 28)이 부착된 액정패널(20)이 적층된다.
백라이트 유닛(10)은 도시되지 않은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면광원으로 전환하기 위한 도광판(14)과, 도광판(14)의 배면에 위치하여 도광판(14) 후면으로 방출되는 광을 액정패널(20) 쪽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12)과, 도광판(14)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확산시키거나 집광시키기 위한 광학시트들(16)을 구비한다.
도광판(14)은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면광원으로 전환시킨다. 도광판(14)은 일반적으로 강도가 높아 쉽게 변형되거나 깨지지 않으며 투과율이 좋은 PMMA(Polymethylmethacrylate)로 형성된다. 반사판(12)은 도광판(14)의 배면을 통해 자신에게 입사되는 광을 도광판(14) 쪽으로 재반사시킴으로써 광손실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도광판(14)의 출사면을 경유하여 출사된 광은 광학시트들(16)에 의해 전영역으로 균일하게 확산됨과 아울러 액정패널(20)과 수직을 이루게끔 되어 액정패널(20)로 진행한다.
액정패널(20)은 기판 상에 블랙매트릭스를 포함한 컬러필터 어레이(Color filter array), 공통전극 및 배향막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상판(26)과, 기판 상에 형성된 TFT 어레이를 포함하는 화소전극, 및 배향막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하판(24)과, 상판(26) 상에 부착된 상부 편광판(28)과, 하판(24) 아래에 부착된 하부 편광판(22)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의 갭을 유지시키는 도시되지 않은 스페이서와, 상기 상판과 하판은 도시되지 않은 실런트(Sealant)에 의해 합착되며 그 상/하판 사이의 공간에 주입된 액정으로 구성된다.
탑케이스(32)는 액정패널(20)과 여러 광학시트들의 표면 가장자리 및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탑케이스(32)는 액정패널(20)의 가장자리를 감싸므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액정패널(20)을 보호하게 된다.
서포트메인(30)은 액정표시장치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버텀(34)은 금속물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된다. 액정표시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커버버텀(34)과 액정패널(20)의 도시되지 않은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일측에 나사(36)를 설치한다. 나사(36)로 체결하기 위하여 커버버텀(34)과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는 나사(36)의 크기와 대응되게끔 체결구멍들이 형성되게 된다. 나사(36)는 인쇄회로기판의 체결구멍을 관통하여 커버 버텀(34)과 체결된다. 나사(36) 체결시 인쇄회로기판 또는 커버 버텀(34)으로부터 금속성의 이물질(42)이 발생되어 백라이트 유닛(10)과 액정패널(20)에 유입된다. 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42)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14) 상에 이물 방지 패드(40)를 설치한다. 그러나, 도광판(14) 상에 이물 방지 패드(4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광판의 크기가 커져야 된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화상표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므로 화상표시영역의 대면적화와 외각 비표시영역의 슬림화의 추세에 부응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표시영역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액정패널 쪽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를 선 "A-A'"을 따라 절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이물 방지 시트와 도광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이물방지 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백라이트 유닛20 : 액정패널
30 : 서포트메인32 : 탑케이스
34 : 커버버텀36 : 나사
50, 60 : 이물방지시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서포트메인과, 액정패널 아래에 설치되는 도광판과, 도광판의 측면에 부착되어 도광판과 서포트메인 사이의 갭을 차폐하여 액정패널 내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이물방지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방지시트는 반사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방지시트는 적어도 두번이상 절곡되어 단면이 삼각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방지시트는 도광판의 측면에 부착되는 직선면과, 도광판과 서포트메인 사이에 위치하고 직선면으로부터 구부러진 곡선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방지시트를 도광판에 접착시키는 양면 접착 테이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원으로부터 도광판을 경유한 광을 확산 및 집광시킴과 아울러 도광판 상에설치되는 다수의 광학시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서포트메인(30)과, 서포트메인(30)의 내부에 적층되는 백라이트 유닛(10) 및 액정패널(20)과, 서포트메인(30)의 일측 저면과 측면을 감싸는 커버버텀(34)과, 액정패널(20)의 가장자리와 커버버텀(34)을 감싸는 탑케이스(32)와, 도광판(14)의 측면에 부착된 이물방지시트(50)를 구비한다.
서포트메인(30)은 액정표시장치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백라이트 유닛(10)은 도시되지 않은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면광원으로 전환하기 위한 도광판(14)과, 도광판(14)의 배면에 위치하여 도광판(14) 후면으로 방출되는 광을 액정패널(20) 쪽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12)과, 도광판(14)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확산시키거나 집광시키기 위한 광학시트들(16)로 구성된다.
도광판(14)은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면광원으로 전환시킨다. 반사판(12)은 도광판(14)의 배면을 통해 자신에게 입사되는 광을 도광판(14) 쪽으로 재반사시킴으로써 광손실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도광판(14)의 출사면을 경유하여 출사된 광은 광학시트들(16)에 의해 전영역으로 균일하게 확산됨과 아울러 액정패널(20)과 수직을 이루게끔 되어 액정패널(20)로 진행한다.
액정패널(20)은 기판 상에 블랙매트릭스를 포함한 컬러필터 어레이(Color filter array), 공통전극 및 배향막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상판(26)과, 기판 상에 형성된 TFT 어레이를 포함하는 화소전극, 및 배향막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하판(24)과, 상판(26) 상에 부착된 상부 편광판(28)과, 하판(24) 아래에 부착된 하부 편광판(22)으로 구성된다.
탑케이스(32)는 액정패널(20)의 가장자리를 감싸므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액정패널(20)을 보호하게 된다.
커버버텀(34)은 금속물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된다. 액정표시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커버버텀(34)과 액정패널(20)의 도시되지 않은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일측에 나사(36)를 설치한다.
이물방지시트(50)는 반사판(12)과 동일한 반사재질로 형성되며 도광판(14)의 측면에 부착된다. 이물방지시트(50)를 도광판(14)의 일측에 부착하기 위하여 도광판(14) 측면에 양면 접착 테이프(52)를 설치한다. 이물방지시트(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번 이상 절곡되어 이물방지시트(50)의 내부 공간이 밀폐되는 삼각형 형태를 가지게 된다. 다시 말하면, 이물방지시트(50)는 도광판(14)의 측면에 부착되는 제1 시트면(50a)과, 제1 시트면(50a)과 소정각도로 절곡되는 제2 시트면(50b)과, 제1 시트면과(50a)과 제2 시트면(50b)으로 마련된 내부 공간을 향하여 내부가 밀폐되도록 제2 시트면(50b)과 소정 각도록 절곡되는 제3 시트면(50c)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이물방지시트(50)의 구조는 목형프레스로 제1 내지 제3 시트면(50a, 50b, 50c)의 경계선에 흠집을 내어 각 경계면이 접힐 수 있도록 한다.
이물방지시트(50)의 제1 시트면(50a)은 도광판(14)의 측면에 부착되고, 나머지 제2 및 제3 시트면(50b, 50c)은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졌을 때 완충되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원상태로 복원되며, 이 탄성력에 의해 도광판(14)의 측면과 서포트메인(30) 사이에 삽입될 때, 도광판(14)과 서포트메인(30) 및 이물방지시트(50)에 의해 내부가 완전히 외부와 차단될 수 있도록 형합된다. 이에 따라, 이물방지시트(50)에 의해 도광판(14)과 서포트메인(30) 사이의 내부공간을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어 외부에서 액정패널 쪽으로 어떠한 이물질(42)이 액정표시장치 내에 유입되더라도 도광판(14) 상의 액정정패널과 광학시트들 내부로 침투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이물방지시트(50)는 도광판(14)의 상측에 형성된 것이 아니라 도광판(50)의 측면에 형성된 것이므로 종래의 이물방지패드와 대비하여 비표시영역의 사이즈를 크게 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의 화상표시영역을 대면적화하면서 동시에 외각 비표시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이물방지시트(60)를 나타낸다. 도 6에서 이물방지시트(60)는 상기 실시 예에서와는 달리 도광판(14)에 부착되는 제1 시트면(60a)과, 제1 시트면(60a)의 끝단에서 절곡됨과 아울러 곡선형태를 가지는 제2 시트면(60b)을 구비한다.
곡선 형태를 가지는 이물방지시트(60)는 반사판(12)과 동일한 반사재질로 형성되며 도광판(14)의 측면에 부착된다. 이물방지시트(60)를 도광판(14)의 일측에부착하기 위하여 도광판(14) 측면에 양면 접착 테이프(52)를 설치한다. 이물방지시트(60)의 구조는 목형프레스로 제1 및 제2 시트면(60a, 60b)의 경계선에 흠집을 내어 경계면이 접힐 수 있도록 한다.
이물방지시트(60)의 제1 시트면(60a)은 도광판(14)의 측면에 부착되고, 제2 시트면(60b)은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졌을 때 완충되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원상태로 복원되며, 이 탄성력에 의해 도광판(14)의 측면과 서포트메인(30) 사이에 삽입될 때, 도광판(14)과 서포트메인(30) 및 이물방지시트(60)에 의해 내부가 완전히 외부와 차단될 수 있도록 형합된다. 이에 따라, 이물방지시트(60)에 의해 도광판(14)과 서포트메인(30) 사이의 내부공간을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어 외부에서 액정패널 쪽으로 어떠한 이물질(42)이 액정표시장치 내에 유입되더라도 도광판(14) 상의 액정정패널과 광학시트들 내부로 침투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이물방지시트(60)는 도광판(14)의 상측에 형성된 것이 아니라 도광판(50)의 측면에 형성된 것이므로 비표시영역의 사이즈를 크게 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의 화상표시영역을 대면적화하면서 동시에 외각 비표시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도광판과 서포트메인 사이의 소정 공간에 이물방지시트를 설치하여 액정표시장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여기서, 이물방지시트는 도광판의 측면에 설치됨으로써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와는 달리 이물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액정표시장치의 외각 비표시영역의 사이즈를 크게 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6)

  1.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서포트메인과,
    상기 액정패널 아래에 설치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도광판과 서포트메인 사이의 갭을 차폐하여 상기 액정패널 내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이물방지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방지시트는 반사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방지시트는 적어도 두번이상 절곡되어 단면이 삼각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방지시트는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부착되는 직선면과,
    상기 도광판과 서포트메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직선면으로부터 구부러진 곡선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방지시트를 상기 도광판에 접착시키는 양면 접착 테이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 상기 도광판을 경유한 광을 확산 및 집광시킴과 아울러 상기 도광판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광학시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20040960A 2002-07-13 2002-07-13 액정표시장치 KR100870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960A KR100870520B1 (ko) 2002-07-13 2002-07-13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960A KR100870520B1 (ko) 2002-07-13 2002-07-13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629A true KR20040006629A (ko) 2004-01-24
KR100870520B1 KR100870520B1 (ko) 2008-11-26

Family

ID=37316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0960A KR100870520B1 (ko) 2002-07-13 2002-07-13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5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812B1 (ko) * 2005-12-26 2008-09-01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의 방진 방법
KR20180072016A (ko) * 2016-12-20 2018-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043B1 (ko) * 1997-05-24 200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00056299A (ko) * 1999-02-19 2000-09-15 윤종용 액정표시장치
KR100659933B1 (ko) * 1999-12-01 2006-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직하방식의 액정표시장치
KR20010058185A (ko) * 1999-12-24 2001-07-05 박종섭 액정 표시 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812B1 (ko) * 2005-12-26 2008-09-01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의 방진 방법
KR20180072016A (ko) * 2016-12-20 2018-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0520B1 (ko) 200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6248B1 (ko) 액정 표시 장치
US9304344B2 (en) Display device
US6177971B1 (en) Slim type notebook personal computer
KR10162153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38656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91934B1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모듈
KR20020096960A (ko) 액정 표시 장치
EP2357512B1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10064210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731283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KR102174819B1 (ko) 표시장치
KR20170115223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0796487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094395A (ko) 표시장치
KR20180071614A (ko) 액정표시장치
KR100870520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737799B1 (ko) 차광테이프와 이를 적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0894639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015696A (ko) 탑 샤시와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1513159B1 (ko)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
KR102372343B1 (ko) 표시장치
KR20070034204A (ko) 표시 장치
KR100864983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KR20130032470A (ko) 액정표시장치
KR20040005173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