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4776A - 도어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4776A
KR20040004776A KR1020020038805A KR20020038805A KR20040004776A KR 20040004776 A KR20040004776 A KR 20040004776A KR 1020020038805 A KR1020020038805 A KR 1020020038805A KR 20020038805 A KR20020038805 A KR 20020038805A KR 20040004776 A KR20040004776 A KR 20040004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ration button
inner operation
switch member
un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국
김세진
Original Assignee
블루솔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솔텍(주) filed Critical 블루솔텍(주)
Priority to KR1020020038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4776A/ko
Publication of KR20040004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477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84Means to prevent forced opening by attack, tampering or jimm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96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 G07C2009/0097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c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 잠금 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외측에서 도어에 충격을 가하는 경우에도 도어 내측의 조작 스위치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잠금 장치는, 무선 카드로 전파를 송신하고 상기 무선 카드가 송신하는 전파를 수신하는 송수신 수단과, 상기 무선 카드와의 교신을 통하여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지령에 따라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도어 잠금/잠금해제부와, 도어의 내측에 제공되며 도어 잠금상태 해제를 위한 내측 조작 버튼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조작 버튼 조립체는 내측 조작 버튼과, 온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로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스위치 부재와, 상기 내측 조작 버튼과 상기 스위치 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 잠금 장치{Door Locking Device}
본 발명의 도어의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몸체부의 내측 조작 버튼의 오작동이 방지되는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독 주택의 현관 내지 아파트의 출입문의 도어 잠금 장치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도어 잠금 장치의 내측에는 내측에서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내측 조작 버튼이 제공된다. 특히, 카드 키 내지 무선 교신을 통해서 도어 잠금 해제 과정을 수행하는 도어 잠금 장치에서는, 내측 조작 버튼이 택트 스위치에 직접 연결되어, 사용자가 내측 조작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택트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고, 이에 따라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조작 버튼이 택트 스위치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종래의 구조에서는, 도어의 외측에서 도어를 반복해서 두드리는 경우에 그 충격으로 인해서 내측 조작 버튼이 택트 스위치를 누르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그로 인해서 도어가 개방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인해 정당한 출입자가 아닌 자가 도어를 개방하고 주택 내로 침입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내측 조작 버튼이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잠금 장치의 내부 프레임의 내부 단면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도어 잠금 장치의 내부 프레임의 내부 상세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도어 잠금/잠금해제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도어 잠금 장치의 외부 프레임의 단면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도어 잠금 장치의 시스템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도어 잠금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무선 카드의 내부 시스템도.
도 7은 상기 실시예의 도어 잠금 장치의 내측 조작 버튼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메인 마이크로 프로세서3: 초단파 수신기
4: 장파 송신기5: 마그네틱 센서
6: 메모리20: 비상 마이크로 프로세서
22: 릴레이33: 초단파 안테나
34: 장파 안테나100: 내측 몸체부
105: 내측 프레임110: 메인 보드
130: 구동 기구 모듈131a, 131b: 베벨 기어
134a, 134b: 도어 잠금/잠금해제 검지 센서135: 구동 모터
160: 데드 볼트200: 외측 몸체부
205: 외측 프레임220: 안테나 보드
310: 내측 조작 버튼320: 스프링
330: 내측 조작 버튼 브라켓340: 택트 스위치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한 도어 잠금 장치는, 무선 카드로 전파를 송신하고 상기 무선 카드가 송신하는 전파를 수신하는 송수신 수단과, 상기 무선 카드와의 교신을 통하여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지령에 따라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도어 잠금/잠금해제부와, 도어의 내측에 제공되며 도어 잠금상태 해제를 위한 내측 조작 버튼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조작 버튼 조립체는 내측 조작 버튼과, 온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로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스위치 부재와, 상기 내측 조작 버튼과 상기 스위치 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이처럼 내측 조작 버튼과 스위치 부재 사이에 탄성 부재를 배치하면, 도어의 외측에서 도어에 충격을 가하더라도 내측 조작 버튼이 스위치 부재에 접촉하여 온 시킬 우려가 없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한 도어 잠금 장치는 상기 제1 형태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 조작 버튼은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탄성 부재로삽입되며, 상기 내측 조작 버튼이 눌리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위치 부재에 접촉하여 스위치 부재를 온 상태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의한 도어 잠금 장치는 상기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이며, 상기 스위치 부재는 택트 스위치이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의한 도어 잠금 장치는, 키 수단이 작용할 수 있는 작용부와, 도어의 내측에 제공되며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할 수 있는 내측 조작 버튼 조립체와, 상기 키 수단이 작용부에 작용하거나 상기 내측 조작 버튼 조립체가 작동되면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도어 잠금 해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조작 버튼 조립체는 내측 조작 버튼과, 온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로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스위치 부재와, 상기 내측 조작 버튼과 상기 스위치 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4 형태에 의한 도어 잠금 장치 역시도, 내측 조작 버튼과 스위치 부재 예를 들어 택트 스위치의 사이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 수단이 제공되므로 도어의 외측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내측 조작 버튼이 스위치 부재를 눌러서 온시킴으로써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가 없다. 제4 형태에 있어서 키 수단은 마그네틱 카드 또는 리모콘 키가 사용될 수 있으며, 리모콘 키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리모콘 키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키 작용부가 도어 내측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잠금 장치는 내측 몸체부(100)와 외측 몸체부(2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 몸체부(100)은 도어의 내측에 고정되고 외측 몸체부(200)은 도어의 외측에 고정된다. 내측 몸체부(100)와 외측 몸체부(200)를 용이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내측 몸체부(100)와 외측 몸체부(200) 사이에 브라켓(도시되지 않음)을 배치할 수도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잠금 장치의 내측 몸체부(100)의 내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몸체부(100)는 내측 프레임(105)과, 메인 보드(110)와, 비상 제어 보드(120)와, 구동 기구 모듈(130)과, 데드 볼트(160)와, 도어 잠김 감지 센서(170)를 포함한다. 그리고 내측 몸체부(100)의 일측면에는 상기 데드 볼트(160)가 진출하고 후퇴할 수 있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 보드(110) 및 비상 제어 보드(120)는 나사 등에 의해 내측 프레임(105)에 고정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어 잠금 장치의 제어 시스템도가 도시되어 있다. 메인 보드(110)는 메인 마이크로 프로세서(1)와 메모리(6)를 포함하고 있다. 비상 제어 보드(120)는 비상 마이크로 프로세서(20)와, 모터 드라이버(21)와, 릴레이(22)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내측 몸체부(110)는 사용자가 실내에서 수동으로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내측 조작 버튼(7)과, 도어의 닫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5)와, 사용자가 ID를 입력할 수 있는 ID 입력 버튼(8)과, 기록되어 있는 ID를 삭제할 수 있는 ID 삭제 버튼(9)과, 초단파 수신부(3)와, 장파 송신부(4)를 더 포함한다.상기 내측 조작 버튼(7)과, 센서(5)와, ID 입력 버튼(8)과, ID 삭제 버튼(9)과, 초단파 수신부(3)와, 장파 송신부(4)들은 메인 마이크로 프로세서(1)와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측 조작 버튼 조립체(300)는, 하면에 돌출부(311)가 형성되어 있는 내측 조작 버튼(310)과, 상기 내측 조작 버튼(310)의 돌출부(311)가 삽입되는 스프링 부재(320)와, 상기 내측 조작 버튼(310)을 지지하는 내측 조작 버튼 브라켓(330)과, 상기 내측 조작 버튼 브라켓(330)에서 내측 조작 버튼(310)이 지지되는 면과 반대면에 제공되는 택트 스위치(340)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부재(320)의 탄성에 의해서 평상시에는 상기 내측 조작 버튼(310)의 돌출부(311)가 택트 스위치(340)에 접촉하지 않고 있으며, 사용자가 힘을 주어 내측 조작 버튼(310)을 누르게 되면, 상기 내측 조작 버튼(310)이 내측 조작 버튼 브라켓(330)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로 인해 돌출부(311)가 택트 스위치(340)에 접촉하여 택트 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며,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내측 조작 버튼(310)과 택트 스위치(340) 사이에 스프링 부재(320)를 제공함으로써, 내측 조작 버튼(310)이 택트 스위치(340)에 직접 연결되는 구성과 달리, 도어의 외측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내측 조작 버튼(310)이 택트 스위치(340)에 접촉하여 택트 스위치(340)를 온시킴으로써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구동 기구 모듈(130)은, 모터(135)와, 상기 모터(135)의 출력축에 연결되어있는 제1 차 베벨 기어(131a)와 상기 제1 차 베벨 기어(131a)에 제2 차 베벨 기어(131b)로 구성되는 베벨 기어와, 상기 제2 차 베벨 기어(131b)의 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회전 암(133)을 포함한다. 데드 볼트(160)에는 가이드 슬롯(1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암(133)의 일단측이 수용될 수 있는 "ㄷ"자 형상의 요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16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핀(166)이 관통하여, 데드 볼트(160)를 안내하게 된다.
외측 몸체부(200)는 외측 프레임(205)과, 안테나부(220)와, 외부 버튼(230)과, 비상 보드 전극(250)과, 비상 배터리(260)를 포함한다. 안테나부(220)는 초단파 안테나(33)와, 장파 안테나(34)를 포함한다. 초단파 안테나(33)는 상기 내측 몸체부(100)의 초단파 수신기(3)로 수신된 초단파를 전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장파 안테나(34)는 상기 내측 몸체부(100)의 장파 송신기(4)로부터 신호를 받아 장파를 송신한다. 한편, 외측 몸체부(200)의 아래쪽에는 비상시에 비상키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된다. 그리고 외측 몸체부(200)에는 외부에서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호출 버튼(32)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테나부(220)는 도어의 내측에 제공되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 의한 도어 잠금 장치에 사용되는 키 수단은, 본 도어 잠금 장치와 무선 교신이 가능한 휴대용 무선 카드이다. 상기 무선 카드(1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측 마이크로 프로세서(1201)와, 장파 수신기(1202)와, 장파 수신 안테나(1203)와, 초단파 송신기(1204)와, 초단파 송신 안테나(1205)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의한 도어 잠금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메인 마이크로 프로세서(1)는 무선 카드(120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별도의 제어가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모터(135)로 도어 잠금 지령을 송출하여, 데드 볼트(160)가 도어 외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데드 볼트(16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도어 프레임의 요홈에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도어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무선 카드(12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소정의 범위에 들어오면, 장파 안테나(34)를 통해 송신된 장파를 무선 카드(1200)의 장파 수신 안테나(1203)를 통해 장파 수신기(1202)가 수신하면, 무선 카드(1200)의 내부 전원이 켜지고 무선 카드의 ID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초단파 송신 안테나(1205)를 통해서 송신하게 된다. 초단파 수신 안테나(33)를 통하여 상기 신호를 수신하면, 이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ID 코드를 해독하고 저장되어 있는 ID 코드 중에 일치하는 것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사용자는 미리 인증받은 출입자의 ID를 ID 입력 버튼(8)을 통하여 입력하여 메모리(6)에 기록하여 둔다.
일치하는 ID 코드가 있는 경우에는 정당한 출입자로 판단하고 모터(135)로 도어 잠금 해제 지령을 송출한다. 모터(135)가 구동되면, 모터(135)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베벨 기어(131a)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베벨 기어(131a)의 축과 수직을 이루는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제1 베벨 기어(131a)에 맞물려 있는 제2 베벨 기어(131b)도 회전하게 된다. 제2 베벨 기어(131b)의 회전에 의해 제2 베벨기어(131b)의 축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 암(133)이 소정의 범위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회전 암(133)은 데드 볼트(160)의 요홈에 걸려 있으므로, 상기 회전 암(133)의 회전에 따라 데드 볼트(160)는 도어 내측으로 후퇴하게 된다. 데드 볼트(160)는 가이드 슬롯(161)을 관통하고 있는 가이드 핀(166)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드된다. 데드 볼트(160)가 도어 내측으로 후퇴함으로써, 도어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과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도어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한편, 무선 카드(1200)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개방한 도어를 닫고 나서 도어로부터 이격됨으로써, ID 코드를 포함하는 초단파를 송신하는 동작이 종료되면, 메인 마이크로 프로세서(1)는 도어 잠금 지령을 송출하고, 이 지령을 받아 모터(135)가 상기 도어 잠금 해제시 구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구동된다. 상기 모터(135)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있는 베벨 기어(131)는 전술한 도어 잠금 해제 과정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어 내측으로 후퇴되어 있던 데드 볼트(160)는 도어 외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구동 기구 모듈(130)은 데드 볼트(160)의 위치를 감지하여 도어 잠금 및 잠금 해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제1 센서(134a)와 제2 센서(134b)를 더 포함한다. 제1 센서(134a)는 도어가 잠금 상태임을 검지하고, 제2 센서(134b)는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임을 검지한다. 상기 센서들(134a, 134b)에 의해 검지된 결과는 메인 마이크로 프로세서(1)로 보고되어, 메인 마이크로 프로세서(1)가 도어의 상태를 파악한다. 도 2에는 데드 볼트의 위치로 도어의 잠금 상태 내지 잠금 해제 상태를 검지하지만, 베벨 기어(131a, 131b)의 위치를 검지하여 도어의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를 검지하도록 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 의한 도어 잠금 장치의 내측 프레임(170)에는 도어의 닫힘 상태를 검지하는 도어 닫힘 검지 센서(170)가 제공된다. 상기 도어 닫힘 검지 센서(170)로는 마그네틱 센서가 주로 사용된다. 도어 닫힘 검지 센서(17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도어 프레임에는 자석이 설치되어 상기 마그네틱 센서와 함께 도어가 닫힘 상태인지 아닌지를 검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을 무선 카드와 교신을 통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도어 잠금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무선 카드와의 교신이 아니라 도어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외측 프레임의 삽입구 내지 작용 패드에 마그네틱 카드키를 삽입하거나 접촉하여 도어를 개방하거나 키패드의 키를 통해 비밀 번호를 눌러서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 잠금 장치 등 모든 도어 잠금 장치이어도 좋다.
또한, 종래의 기계적 록킹 시스템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모든 형태의 도어 잠금 장치에 권리범위가 미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의 내측에서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내측 조작 버튼과 택트 스위치를 직접 연결하지 아니하고 스프링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도어 외측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내측 조작 버튼이 택트 스위치를 온시키는 경우가 없어지므로, 제3 자의 불법적인 침입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4)

  1.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 잠금 장치에 있어서,
    무선 카드로 전파를 송신하고 상기 무선 카드가 송신하는 전파를 수신하는 송수신 수단과,
    상기 무선 카드와의 교신을 통하여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지령에 따라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도어 잠금/잠금해제부와,
    도어의 내측에 제공되며 도어 잠금상태 해제를 위한 내측 조작 버튼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조작 버튼 조립체는 내측 조작 버튼과, 온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로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스위치 부재와, 상기 내측 조작 버튼과 상기 스위치 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도어 잠금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조작 버튼은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탄성 부재로 삽입되며, 상기 내측 조작 버튼이 눌리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위치 부재에 접촉하여 스위치 부재를 온 상태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이며, 상기 스위치부재는 택트 스위치인, 도어 잠금 장치.
  4.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 잠금 장치에 있어서,
    키 수단이 작용할 수 있는 작용부와,
    도어의 내측에 제공되며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할 수 있는 내측 조작 버튼 조립체와,
    상기 키 수단이 작용부에 작용하거나 상기 내측 조작 버튼 조립체가 작동되면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도어 잠금 해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조작 버튼 조립체는 내측 조작 버튼과, 온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로 도어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스위치 부재와, 상기 내측 조작 버튼과 상기 스위치 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도어 잠금 장치.
KR1020020038805A 2002-07-05 2002-07-05 도어 잠금 장치 KR200400047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805A KR20040004776A (ko) 2002-07-05 2002-07-05 도어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805A KR20040004776A (ko) 2002-07-05 2002-07-05 도어 잠금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668U Division KR200292268Y1 (ko) 2002-07-20 2002-07-20 도어 잠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776A true KR20040004776A (ko) 2004-01-16

Family

ID=37315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805A KR20040004776A (ko) 2002-07-05 2002-07-05 도어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4776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036A (ja) * 1992-07-28 1994-02-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気錠
JPH08297962A (ja) * 1995-03-31 1996-11-12 Daewoo Electron Co Ltd 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の録画予約機能ボタンの露出及び閉鎖を選択的に行うためのドア開閉装置
KR19980068630A (ko) * 1997-02-21 1998-10-26 박지순 전자식 도어록의 무선원격 이중 잠금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25912U (ko) * 1997-12-19 1999-07-15 전주범 카오디오의 버튼 작용구조
KR20000012932U (ko) * 1998-12-22 2000-07-15 전주범 노브 가이드
KR20010026799A (ko) * 1999-09-09 2001-04-06 박원우 전자식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036A (ja) * 1992-07-28 1994-02-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気錠
JPH08297962A (ja) * 1995-03-31 1996-11-12 Daewoo Electron Co Ltd 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の録画予約機能ボタンの露出及び閉鎖を選択的に行うためのドア開閉装置
KR19980068630A (ko) * 1997-02-21 1998-10-26 박지순 전자식 도어록의 무선원격 이중 잠금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25912U (ko) * 1997-12-19 1999-07-15 전주범 카오디오의 버튼 작용구조
KR20000012932U (ko) * 1998-12-22 2000-07-15 전주범 노브 가이드
KR20010026799A (ko) * 1999-09-09 2001-04-06 박원우 전자식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7725B1 (en) Remotely-operated self-contained electronic lock security system assembly
US5712626A (en) Remotely-operated self-contained electronic lock security system assembly
US6351206B1 (en) Antitheft protection system for a motor vehicle
EP1543208B1 (en) Door locking device
JP2002503777A (ja) 車両の認証問い合わせ部をトリガする装置
MY120566A (en) Electromechanical cylinder lock
CA2196750C (en) Remotely-operated self-contained electronic lock security system assembly
CN101918661A (zh) 闩锁促动器和使用该闩锁促动器的闩锁
KR200292268Y1 (ko) 도어 잠금 장치
US20230125130A1 (en) Drive mechanism for electronic deadbolt
KR20040004776A (ko) 도어 잠금 장치
WO2007054728A2 (en) Improved locking system
KR200292270Y1 (ko) 도어 잠금 장치
KR20040004778A (ko) 도어 잠금 장치
KR200292267Y1 (ko) 주키 도어 잠금 장치
JP2004124401A (ja) ロックシステム
KR100449880B1 (ko) 간섭 신호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도어 잠금 장치
JP2004132132A (ja) 自動ドア装置
KR200301785Y1 (ko) 단일의 비밀 번호 입력 수단을 포함하는 도어 잠금 장치
KR200295628Y1 (ko) 리셋 수단을 포함하는 도어 잠금 장치
KR200292269Y1 (ko) 도어 잠금 장치
KR200300150Y1 (ko) 간섭 신호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도어 잠금 장치
KR20040004775A (ko) 주키 도어 잠금 장치
KR20040019156A (ko) 리셋 수단을 포함하는 도어 잠금 장치
KR100562053B1 (ko) 보조 자물쇠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