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3747A -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취득 시스템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취득 시스템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3747A
KR20040003747A KR1020020038525A KR20020038525A KR20040003747A KR 20040003747 A KR20040003747 A KR 20040003747A KR 1020020038525 A KR1020020038525 A KR 1020020038525A KR 20020038525 A KR20020038525 A KR 20020038525A KR 20040003747 A KR20040003747 A KR 20040003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data
information
user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권
Original Assignee
신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권 filed Critical 신권
Priority to KR1020020038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3747A/ko
Publication of KR20040003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747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미지(未知)의 정보를 취득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통한 정보검색 방법은 전용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정보검색 사이트에 접속하고, 검색어를 입력하면 검색엔진이 웹을 검색하여 해당 사이트를 리스트하고, 사용자는 그 사이트를 하나하나 방문하고, 정보를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원하는 정보를 얻는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취득방법은 다양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간단한 정보의 취득을 위해서도 여러 단계를 거치며 많은 데이터의 송수신을 하게 되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이러한 서핑(surfing)방식의 정보취득 방법은 특히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고가의 정보사용료로 인하여 정보취득 비용이 증가하고, 여러 단계를 거치며 입력과 출력을 반복해야 하는 기존의 검색 방식은 이동통신기기와 같은 열악한 입출력장치에서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단순한 질의어(質疑語, query language)를 정보제공서버(IP server, 16)에 전송하면 정보제공서버가 데이터베이스(Data Base, 17)를 검색하여 최종의 결과를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 한번에 사용자에게 전송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취득 시스템 및 방법{Data acqusition system and method using by short character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본 발명은 공중통신망과 연결된 퍼스널컴퓨터(PC)와 이동통신기기와 같은 장치가 제공하는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저비용으로 빠른 시간내에 쉽게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정보취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통신망에 연결하여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은 유선망의 경우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정보제공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식과, 무선망의 경우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이용하여 WAP 게이트웨이(Gateway)를 통하여 인터넷과 연결하여 정보제공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법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의사로 인터넷에 접속하여야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기 HTTP와 WAP과는 달리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으로는 유선망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퍼스널컴퓨터(PC)에서는 인스탄트메신저(IM, Instant Messenger)가 있고, 무선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단문메시지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가 있다.
단문메시지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는 이동전화 가입자의 통화중 여부에 관계없이 제한된 길이(80~100 Bytes, 한글 40~50자, 영문 80~100자 정도)의 문자메시지를 인터넷에서 이동전화로 또는 이동전화에서 이동전화로 전달하는 서비스를 말하며, 인스탄트메신저(IM:Instant Messanger)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되어 미리 자신이 만들어 놓은 목록에 등재되어 있는 친구가 네트워크에 로그온 하였을 때,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어떤 친구가 메시지를 보내오면 그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여 알려주는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이다.
상기 HTTP와 WAP를 이용한 정보취득 방법은 항상 연결을 설정해야 하고, 정보를 찾기 위하여 사용자가 이곳 저곳을 이동하거나 여러 단계를 거치는 서핑(surfing)이란 것이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즉,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되어 획득 정보의 양에 비하여 고가의 통신비와 정보사용료를 지불하여야 한다.
반면에 저가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메시지서비스(SMS)를 이용한 현재의 정보취득은 부가과정(附加過程)을 거치지 않고 신속하게 저가로 정보를 취득할 수 있지만, 지정된 뉴스, 지정된 지역의 날씨, 지정된 교통정보와 같이 정보제공서버에 사전에 설정된 항목에 한해서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맞춤정보 제공서비스로서 일방적인 정보전달만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메시지서비스(SMS)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상의 인스탄트메신저(IM)는 일대다(一對多) 또는 사람대 기계형태의 정보제공으로는 사용되지 않고 일대일(一對一) 또는 사람대 사람의 형태로 정보의 전달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저렴한 단문메시지서비스(SMS)를 이용한 능동적 정보취득 방법이 시도되고 있는데 그 기술적인 내용과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I-SMS(Interactive SMS)는 I-SMS 서버와 사용자의 휴대폰이 서버/클라이언트 구조로 연결된 서비스로 서버에서 휴대폰으로 메뉴를 다운로드하고 메뉴에서 휴대폰의 입력키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에서 이를 처리해 해당정보를 전송한다. 이 방법은 무선통신에서 상시 접속을 요구하는 WAP보다 저비용으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필요정보에 접근하기 위하여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며 그에 따라 접속사용료가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둘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1998-0036787 "이동전화를 이용한 이용자 지정 정보 호출방법"은 사용자가 정보호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사전에 사용자가 사용할 단축명령과 그에 해당하는 올바른 명령을 '조회 프로파일'로 미리 생성하여 서버에 등록한 후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축명령을 서버로 전송하면 서버는 '조회 프로파일'를 참조하여 지정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송신하는 방법으로, 한번 등록된 명령이외의 어떠한 명령도 수행이 불가능하여 서버에 다른 종류의 정보가 등록되어도 사용자가 추가로 '조회 프로파일'을 수정하기 전까지는 정보의 접근이 불가능하다. 또한, 이 특허의 주 목적은 미지의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것이 아닌 사용자가 사전에 서버에 저장한 사용자만의 지정정보를 호출하기 위한 방법이다.
세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0-0023580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맞춤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개인 휴대단말기로 '맞춤정보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정보를 의뢰하면 '맞춤정보 제공서버'가 정보제공서버(IP server)에 정보를 요구하고 정보를 얻어 단문메시지서비스(SMS)와 이메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으로 '맞춤정보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정보를 요구하기 위하여 WAP과 같은 무선인터넷기술을 이용한 전용 브라우저가 필요하고, '맞춤정보 제공서버'는정보제공서버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단문메시지 데이터베이스(DB)로 변환후 전송을 하여야 하기때문에 데이터 가공을 위한 추가의 절차가 필요하여 사용자의 요청이 증가할 경우 정보요청후 응답이 되기까지 시간지연이 크게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간단한 질의어(質疑語, query language)만 정보제공서버(16)에 전송하면 정보제공서버(16)가 질의어를 해석하고 데이타베이스(17)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회신하도록 구성하여 쉽고 빠르게 필요한 정보를 저비용으로 획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
도 2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메시지서비스(SMS)기능을 이용한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인터넷에 연결된 인스탄트메신저(IM)를 이용한 시스템 구성도
도 4은 정보제공서버(IP sever)의 정보제공 서비스 흐름도 1
도 5은 정보제공서버(IP sever)의 정보제공 서비스 흐름도 2
도 6은 질의어(質疑語, query language) 구성예 1
도 7은 질의어(質疑語, query language) 구성예 2
도 8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메시지서비스(SMS)를 이용한 정보제공서비스 사용예 1
도 9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메시지서비스(SMS)를 이용한 정보제공서비스 사용예 2
도 10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메시지서비스(SMS)를 이용한 정보제공서비스 사용예 3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1:사용자 단말기12:공중통신망
13:단문메시지 처리장치14:공중데이터망(PSPDN)
15:단문메시지 프록시(proxy)16:정보제공서버(IP server)
17:데이터 베이스(Data Base)18:데이터베이스 관리자
19:자료공급자(Data Supplier)20:단문메시지 송수신장치
21:인터넷 연결장치22:인터넷(Internet)
30:기지국 무선장치(BTS, Base Station Tranceiver System)
31:기지국 관리센터(BSC, Base Station Controller)
32:이동통신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
33:방문가입자 위치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34:홈가입자 위치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35: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SMS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36:공중이동전화망(PLMN)37:공중전화망(PSTN)
38:단문메시지 게이트웨이39:이동통신단말기(Mobile Station)
40:IM 목록서버(IM list server)50:주석항
51:비밀번호항52:대분류항
53:소분류항54:검색어 및 데이터항
55:출력양식항56:복수명령어 연결자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취득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로서 공중통신망(12)과 연결된 단말기(1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얻고자 하는 정보에 대한 질의어(質疑語, query language)를 입력하여 전송하면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업체의 단문메시지 처리장치(13)가 단문메시지를 지정된 수신자에게 전달한다.
단문메시지 처리장치(13)는 송신자로부터 단문메시지를 받아 수신자를 구별하고 수신자가 누구인가에 따라서 서비스업체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공중통신망(12)에 연결된 다른 단말기의 사용자 또는 공중데이터망(14)을 통하여 연결된 정보제공자의 단문메시지프록시(15)에게 단문메시지를 보낸다.
다수의 사용자들의 정보요청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고속의 데이터의 송수신이 용이한 공중데이터망(14)를 통하여 단문메시지 처리장치(13)와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공중통신망(12)를 이용하여 단문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문메시지 송수신장치(20)를 통하여 단문메시지 처리장치(13)와 연결할 수도 있다.
단문메시지프록시(15)는 공중데이터망(PSPDN, 14) 또는 공중통신망(12)을 통하여 단문메시지 처리장치(13)와 연결되어 단문메시지 송수신에 관련된 통신환경을 지원한다.
단문메시지프록시(15)는 단문메시지 송수신장치(20)와 연결되어 공중데이터망(14)을 통하지 않고 공중통신망(12)를 통하여 단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문메시지프록시(15)로부터 사용자가 송신한 문자메시지 형태의 질의어를 수신하는 정보제공서버(16)는 사전에 규정된 질의어의 규칙에 맞추어 질의어를 해석하여 정보제공서버(16)의 내부작업을 수행한다. 해석된 작업내용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7)에서 정보를 검색하여 문자화하여 정보요청자에게 회신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이상상태를 출력하거나, 요청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17)에 없는 경우 데이터베이스 관리자(18)와 자료제공자(19)에게 보고하는 등 질의어의 내용에 따른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정보제공서버(16)는 인터넷을 통하여 인터넷 연결장치(21)인 퍼스널컴퓨터(PC)와 연결되어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정보취득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접속하여 사용자 등록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데이터베이스(17)는 정보제공서버(16)의 요청에 의하여 데이터를 검색하여 해당 데이터를 정보제공서버에 공급하거나, 데이터를 기록장치에 기록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7)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18)의 명령에 의하여 기록된 데이터를 통계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에게 보고한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다수의 자료제공자(18)과 연결되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데이터가 갱신되고 추가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자(18)는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데이터베이스의 전반적인 관리를 수행한다.
정보제공서버(16)에서 요청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17)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정보제공서버(16)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18)와 해당 자료공급자(19)에게 실시간으로 보고함으로써, 요청된 데이터를 확보하고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추가할 수 있게 한다.
도 2은 이동통신단말기(MS, Mobile Station, 39)의 단문메시지서비스(SMS)기능을 이용한 시스템 구성도로서 도 1의 구성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한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11)로 이동통신 단말기(39)를, 공중통신망(12)으로 공중이동전화망(PLMN, 36)을, 단문메시지 프록시(15)로 단문메시지 게이트웨이(38)를 사용한다.
공중이동전화망(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36)은 기지국 무선장치(BTS, Base Station Tranceiver System, 30), 기지국 관리센터(BSC, Base Station Controller, 31), 이동통신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 32), 방문가입자 위치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33), 홈가입자 위치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34) 그리고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SMS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35)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이동통신사의 공중이동전화망(PLMN, 36)의 일반적 시스템구성이다.
특히, 단문 메시지 서비스센터(SMSC, 35)가 단문메시지서비스(SMS)의 처리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정보제공서버(16)는 단문메시지 게이트웨이(38)를 통하여 공중데이터망(14)과 연결된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SMSC, 35)와 연결되어 고속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단문메시지 게이트웨이(38)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데이터 송수신기능을 가진 단문메시지 송수신장치(20)와 연결되어 공중데이터망(PSPDN, 14)을 통하지 않고 이동통신사의 공중이동전화망(PLMN, 36)을 통하여 단문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의 정보제공서버(16), 데이터베이스 관리자(18)와 자료공급자(19)는 도 1의 장치들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인터넷에 연결된 인스탄트메신저(IM)를 이용한 시스템 구성도로서 도 1의 구성을 퍼스널컴퓨터의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서비스인 인스탄트메신저(IM)에 적용한 것이다. 인스탄트메신저(IM)가 설치된 인터넷 연결장치(21)인 퍼스널컴퓨터(PC)가 도 1의 사용자 단말기(11)로 사용되고, 공중통신망(12)은 인터넷망(22)을 이용한다. 단문메시지 처리장치(13)의 역활은 IM 목록서버(40)가 수행한다.
도 3의 정보제공서버(16), 데이터베이스 관리자(18)와 자료공급자(19)는 도 1의 장치들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4과 도 5는 정보제공서버(IP server, 16)의 정보제공 서비스 흐름도로서 정보를 요청한 사용자의 질의어에 따른 정보제공서버(16)의 동작을 흐름도로써 표현한 것이다. 단문메시지 프록시(15)로부터 단문메시지를 받아 규정된 질의어인가 확인(101)하고, 규정된 질의어가 아니면 문자메시지 송신자에게 구문오류를 회신(102)한다. 질의어를 해석(103)하고 발신자 정보데이터와 송신된 비밀번호로 사용자 인증(108)을 수행하고, 등록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오류메시지를 회신(105, 107)한다. 해석된 질의어가 데이터베이스(17)에 기록하여야 할 일이면 데이타베이스에 기록(110)하고, 검색이 필요한 일이면 검색을 수행(111)하여 데이터를 찾고, 문자화하여(114) 정보 요청자에게 회신(116)한다. 만약 일치하는 데이터를 발견하지 못하면 데이터베이스 관리자(18)과 자료공급자(19)에게 실시간으로 보고(113)하여 자료공급자가 추가로 데이터를 획득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게 하고, 찾지 못한 데이터에 대하여 정보 요청자에게 해당하는 데이터를 찾지 못했음을 회신(115)한다.
도 6와 도 7은 질의어(質疑語, query language) 구성예로서 주석항(50)은 주석식별자(#), 주석 그리고 주석식별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보제공서버(16)가 해석을 하지 않기 때문에 질의어에 대한 설명문으로 쓰인다.
비밀번호항(51)은 분리자(.) 그리고 비밀번호로 구성되어 있어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나 기타 추가의 보안이 필요한 데이터에 접근을 요할 경우 추가로 요구되어 지는 항으로 생략이 가능하다.
대분류항(52)은 분리자(.) 그리고 대분류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어 찾고자 하는 정보의 카테고리(category)를 나타내며, 추가로 분리자(,) 그리고 소분류항목으로 구성된 소분류항(53)을 추가로 가질 수 있으며 이 소분류항은 생략이 가능하다. 상기 소분류항은 카테고리를 세분화 할 수 있어 보다 적합한 데이터로 빠르게 접근할 수 있게 한다.
검색어 및 데이터항(54)은 분리자(.) 그리고 검색단어 및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어 찾고자하는 정보의 검색어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출력양식항(55)은 분리자(.) 그리고 출력형식 명령어로 구성되어 있어 문자출력장치의 한계를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어떻게 적절히 출력할 것인가를 표시하는 항으로 생략이 가능하다.
복수명령어 연결자(56)은 한번의 문자메시지 송신으로 다수의 정보요청을 할 경우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8, 도 9와 도 10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메시지서비스(SMS)를 이용한 정보제공서비스 사용예로서 도 8은 모르는 영어단어의 의미를 정보공급서버(16)에 요청하여 얻는 것을 나타낸다.
도 9는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의 교통정보를 정보공급서버(16)에 요청하여 그지역의 교통정보를 얻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은 정보공급서버(16)가 서비스 등록자에게 질문메시지를 송신하고,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가 주석항의 메시지를 읽고, 검색어 및 데이터항의 내용을 수정하여 정보공급서버(16)에 회신을 함으로써 여론조사를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등록청구범위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한 정보의 획득에 있어서 기존의 여러 단계를 거치는 복잡한 서핑방법이 아닌 단순한 문자메시지 형태의 질의어(質疑語, query language)를 작성하여 정보제공서버(16)에 요청후 정보획득이라는 두단계로 간략화하였고, 또한 저가의 통신서비스를 이용하여 짧은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정보의 획득이 가능하다.
상기 기술을 이용하면 저 비용의 문자메시지 송수신서비스를 이용하여 교통상황, 전화번호, 아이템별 뉴스, 환율, 부동산 시세, 금리, 기타금융정보, 지역날씨, 각종 사전 서비스, 특정 상영관과 공연장의 공연상황등과 같은 정보를 능동적으로 원하는 때에 정보제공서버(16)에 요청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등록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내용을 문자메시지화 하여 보내고 회신을 받는 방법으로 빠르게 여론조사를 할 수 있고, 사용자는 자신만의 개인정보를 정보제공서버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17)에 저장하고,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기록된 개인 정보를 요청하여 열람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1)

  1.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취득 시스템에 있어서,
    (가) 공중통신망(12)에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의 단문메시지를 입력받아 공중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고 공중통신망을 통하여 단문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장치에 출력할 수 있는 단말기(11)와,
    (나) 공중통신망(12)과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송신된 단문메시지를 수신자에게 전달하는 단문메시지 처리장치(13)와,
    (다) 정보제공서버(IP server, 16)와 다수의 단문메시지 처리장치(13)와 연결되어 상호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단문메시지 프록시(15)와,
    (라) 사용자가 접속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있고, 수신된 단문메시지의 질의어(質疑語, query language)를 해석하여 정보저장 데이터베이스(17)에 자료를 요청하거나 저장하고, 얻어진 데이터를 정보를 요청한 사용자에게 회신하는 정보제공서버(IP server, 16)와,
    (마) 정보제공서버와 연결되고 단문메시지 형태의 데이터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17)와,
    (바)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정보를 단문메시지 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17)에 공급하는 다수의 자료공급자(Data Supplier, 19)와,
    (사)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1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취득 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가) 단말기(11)가 이동통신단말기(39)이고,
    (나)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가 이동통신사의 단문메시지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이고,
    (다) 공중통신망(12)이 공중이동통신망(PLMN, 36)이고,
    (라) 단문메시지 처리장치(13)가 각 이동통신사의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SMSC, Short Message Sevice Center, 35)이고,
    (마) 데이타베이스(17)의 데이터 구성이 이동통신단말기로 1회에 보내기에 적당한 크기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취득 시스템.
  3. 청구항 1에서,
    (가) 단말기(11)가 인스탄트메신저(IM, Instant Messeger) 프로그램이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PC, 21)이고,
    (나)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21)를 이용한 인스탄트메신저(IM)이고,
    (다) 공중통신망(12)이 인터넷(22)망이고,
    (라) 단문메시지 처리장치(13)가 IM 목록서버(IM list server, 40)이고,
    (마) 데이터베이스(17)의 데이터 구성이 퍼스널 컴퓨터(21)의 인스탄트메신저(IM) 프로그램창의 한 화면에서 읽을 수 있는 크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취득 시스템.
  4.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취득 방법에 있어서,
    (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인터넷에 연결된 정보제공서버(IP server, 16)에 접속하여 등록하는 단계,
    (나) 사용자가 공중통신망(12)에 연결된 단말기(11)에 원하는 정보에 대한 질의어(質疑語, query language)를 입력하는 단계,
    (다) 입력한 질의어를 단말기의 단문자 메시지 송신기능을 이용하여 정보제공서버(16)에 단문메시지를 보내는 단계,
    (라) 공중통신망에 연결된 정보제공서버(16)가 사용자의 단문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정보제공서버(16)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해석하는 단계,
    (마) 단말기(11)에서 송신하는 발신자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인증(認證, certificate)하는 단계,
    (바) (라)에서 해석된 질의어에 따라 정보제공서버(16)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17)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데이터를 구하는 단계,
    (사) 데이터베이스(17)에서 얻은 데이터를 문자화하는 단계,
    (아) 문자화한 데이터를 정보 요청자에게 공중통신망(12)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11)로 전송하는 단계,
    (자) 사용자는 정보제공서버(16)가 보내온 단문메시지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 취득 방법.
  5. 청구항 4에서,
    (가) 질의어(質疑語, query language)에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항목이 있어, 정보제공서버(16)가 단문메시지화된 질의어에서 비밀번호를 읽고 비밀번호의 일치를 확인하는 단계,
    (나) 발신자정보데이터와 질의어의 비밀번호로 확인된 사용자에 대하여, 추가의 보안을 요하는 데이터에 접근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취득 방법.
  6. 청구항 4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질의어에 대한 대응하는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17)에 없을 경우
    (가) 사용자가 요청한 질의어를 자료공급자(Data Supplier, 19)와 데이터베이스 관리자(18)에게 보고하는 단계,
    (나) 자료공급자와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가)에서 보고된 질의어를 확인후요청되었던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준비하여 데이터베이스(17)에 추가하고 갱신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 취득 방법.
  7. 청구항 4와 5에서 질의어(質疑語, query language)의 구성이
    (가) 주석식별자, 주석 그리고 주석식별자로 구성된 주석항(50)과,
    (나) 분리자 그리고 비밀번호로 구성된 비밀번호항(51)과,
    (다) 분리자 그리고 대분류 단어로 구성된 대분류항(52)과,
    (라) 분리자 그리고 소분류 단어로 구성된 소분류항(53)과,
    (마) 분리자 그리고 검색단어 및 데이터로 구성된 검색어 및 데이터항(54)과,
    (바) 분리자 그리고 출력형식 명령어로 구성된 출력양식항(55)과,
    (사) 복수개의 명령어를 구별하기 위한 복수 명령어 연결자(5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취득 방법.
  8. 청구항 7에서 질의어의 각 항이 상황에 따른 생략이 가능하여 생략시 기본값(default value)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취득 방법.
  9. 청구항 4에서, 사용자의 의견을 얻기 위하여 정보제공서버(16)에 등록된 사용자에게,
    (가) 정보제공서버(16)가 주석항(50)에는 설문내용을, 대분류항(52)과 소분류항(53)에는 사전에 설정된 내용을 그리고 검색 및 데이터항(54)에는 설문 선택단어를 넣어 사용자가 수정 및 삭제할 수 있게 한 단문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보내는 단계,
    (나) 정보제공서버(16)로부터 송신된 단문메시지를 사용자가 확인후 주석항(50)을 읽고 검색 및 데이터항(54)을 삭제하고 수정하는 방법으로 사용자의 의견을 표시한 후 정보제공서버(16)에게 회신하는 단계,
    (다) 정보제공서버(16)가 사용자가 회신한 단문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17)에 저장하는 단계,
    (라) 저장된 데이터를 해석하여 질문에 대한 회신을 통계분석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취득 방법.
  10. 청구항 4에서,
    (가) 단말기(11)가 이동통신단말기(39)이고,
    (나)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가 이동통신사의 단문메시지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이고,
    (다) 공중통신망(12)이 공중이동통신망(PLMN, 36)이고,
    (라) 발신자정보데이터가 발신자정보표시(CID, Calling Identification Display) 서비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취득 방법.
  11. 청구항 4에서,
    (가) 단말기(11)가 인스탄트메신저(IM, Instant Messeger) 프로그램이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PC, 21)이고,
    (나) 단문자 메세지 송수신 서비스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21)를 이용한 인스탄트메신저(IM)이고,
    (다) 공중통신망(12)이 인터넷(Internet, 22)망이고,
    (라) 발신자정보데이터가 인스탄트메신저(IM)의 사용자식별코드(ID, identification code)인 IP 어드레스(IP address)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 취득 방법.
KR1020020038525A 2002-07-04 2002-07-04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취득 시스템및 방법 KR20040003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525A KR20040003747A (ko) 2002-07-04 2002-07-04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취득 시스템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525A KR20040003747A (ko) 2002-07-04 2002-07-04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취득 시스템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747A true KR20040003747A (ko) 2004-01-13

Family

ID=3731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525A KR20040003747A (ko) 2002-07-04 2002-07-04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취득 시스템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37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795A (ko) * 2002-11-22 2004-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Sms를 이용한 사전 검색시스템 및 방법
KR100610883B1 (ko) * 2004-01-29 2006-08-0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 및 제공 방법과 그시스템
KR100910598B1 (ko) * 2008-12-01 2009-08-03 최웅철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789A (ko) * 1999-03-19 2000-10-16 조정남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주문형 정보서비스 방법
WO2001097536A2 (en) * 2000-06-15 2001-12-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hort message gateway,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 for mobile devices
KR20020067871A (ko) * 2001-02-17 2002-08-24 (주)나라인포테크 무선이동단말기를 위한 개인화된 맞춤형 정보의 실시간제공 기법
KR20020097456A (ko) * 2001-06-21 2002-12-31 주식회사 비에스텍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789A (ko) * 1999-03-19 2000-10-16 조정남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주문형 정보서비스 방법
WO2001097536A2 (en) * 2000-06-15 2001-12-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hort message gateway,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 for mobile devices
KR20020067871A (ko) * 2001-02-17 2002-08-24 (주)나라인포테크 무선이동단말기를 위한 개인화된 맞춤형 정보의 실시간제공 기법
KR20020097456A (ko) * 2001-06-21 2002-12-31 주식회사 비에스텍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795A (ko) * 2002-11-22 2004-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Sms를 이용한 사전 검색시스템 및 방법
KR100610883B1 (ko) * 2004-01-29 2006-08-0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 및 제공 방법과 그시스템
KR100910598B1 (ko) * 2008-12-01 2009-08-03 최웅철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8076B2 (en) System, computer product and method for interfacing with a private communication portal from a wireless device
KR100612709B1 (ko) 단문 서비스 게이트웨이,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7441016B2 (en) Service authorizer
US20030100321A1 (en) Instantaneous polling utilizing a message service mobile phone network
US20040006538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ort message service (SMS) transactions for wireless devices
KR20060086705A (ko)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US20040014468A1 (en) Mobile system for access to and visualisation of standard internet contents and services
US201001844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net communication by mobile phone
KR20010100475A (ko)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맞춤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080005226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one-to-one communication through proxy
WO2000076231A1 (en) A method for implementing a chatline or a noticeboard service in a mobile telephone network
KR19990060754A (ko) Pcs에서의 sms 부가 서비스 처리방법
KR20040003747A (ko) 단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취득 시스템및 방법
CN101860821A (zh) 一种获取多个即时信息的方法和系统
KR100586414B1 (ko) 모바일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에서의 위치 찾기 서비스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81161B1 (ko) 통화전 광고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100948690B1 (ko)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주문 서비스 중계 장치 및방법
KR20030073459A (ko) 엠엔에스 단말기와 난엠엔에스 단말기 사이의 호환성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112142A (ko) 스팸 호 수신 거부 시스템 및 방법
KR100495357B1 (ko) 특정 코드를 이용한 착신 확인 메시지 제공 방법 및 그방법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0434647B1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124843B1 (ko) 전화번호 비공개 메시지 송수신서비스를 지원하는 중계식별자를 이용한 메시지중계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78336B1 (ko) 지도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100396027B1 (ko) 장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846561B1 (ko)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sms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