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3266A - Cellular Phone equipped with a camera - Google Patents

Cellular Phone equipped with a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3266A
KR20040003266A KR1020020037921A KR20020037921A KR20040003266A KR 20040003266 A KR20040003266 A KR 20040003266A KR 1020020037921 A KR1020020037921 A KR 1020020037921A KR 20020037921 A KR20020037921 A KR 20020037921A KR 20040003266 A KR20040003266 A KR 20040003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riving unit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79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태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7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3266A/en
Publication of KR20040003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266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n external camer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drive a motor and a reduction instrument in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an operational signal of a switch, thereby automatically controlling a photographing angle by rotating the camera in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CONSTITUTION: A casing(30) rotatively receives a camera(70) thereinto, and is partially cut in order to expose a lens of the camera(70). Driving units are installed in the casing(30), generate a rotational force by receiving power, and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camera(70) connected with an output end. A controller applies a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units, and controls operations of the driving units. Connection terminals(60) input/output image signals and the power to the camera(70) and the driving units. The driving units comprise as follows. A motor(40) is fixed into a side of the camera(70), and generates forward/reverse rotational forces by receiving the power. A reduction instrument(45)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otor(40) increases torque as reducing the rotational forces.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카메라{Cellular Phone equipped with a camera}External camera equipped with a mobile phone {Cellular Phone equipped with a camera}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용 외장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기능 개선을 도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외장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camer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ternal camer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improve the function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shooting angle of the camera.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의 형태로는 이동체 상호간의 직접통신(무선송수신기), 하나의 기지국과 다수의 이동체 사이의 통신(MCA 무선), 복수의 기지국에서 근처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통신(자동차전화) 등이 있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휴대용 주변장치를 이용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컴퓨터 업무와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스마트폰, HPC(Hand Held PC:휴대용 PC) 등이 있다.In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includes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radios (radio receiver), communication between one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MCA radio), and communication for selecting a nearby base station from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car phone). In recent year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smartphones, and HPCs (Hand Held PCs) can freely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computer tasks and network connection using portable peripheral devices. Portable PC).

이러한, 이동통신은 그 사용 단말기의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상의 편리함으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소형화 및 다기능화 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Such mobile communication has exploded in demand due to the ease of portability and convenience of use of the mobile terminal, and is becoming smaller and more versatile to satisfy various needs of consumers.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형상에 따라 숫자(기능)버튼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 있는 바(BaR)타입과, 숫자(기능)버튼을 덮개로 차폐시킨 커버를 갖는 플립(Flip)타입과, 본체가 반으로 접혀지는 폴더(Folder)타입 등으로 분류되며, 소형화 추세에 따라 폴더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증가되고 있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bar (BaR) type in which the number (function) butt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its shape, a flip type having a cover shielding the number (function) button with a cover, The main body is classified into a folder type that is folded in half, and the spread of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s increasing according to the miniaturization trend.

한편, 근래 들어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송수화 기능에서 벗어나 초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짐에 따라 다양한 부가기능을 탑재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들중의 대표적인 것으로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apable of ultra-high speed data transmission beyond simple handset function, and thus, products with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have been released. Among these product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products. There is a terminal.

상기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사물을 찍어 저장하거나 email로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 통화하는 동영상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GPS 기능을 이용하여 사진이 찍힌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받아보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camera can basically take a picture, store it or send it by email, as well as enable a video call to talk while looking at the other party's face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GPS function may be used to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a place where a picture is taken.

이와 같이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며, 이를 크게 분류하면 카메라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몸체에 내장시키는 내장타입과, 카메라가 이동통신 단말기와는 별도로 구비되는 착탈식으로 구분된다.As described abov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quipped with cameras are provided in various forms, and when classified into large typ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classified into a built-in type for embedding the camera in the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etachable type in which the camera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여기서, 상기 내장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내부에 카메라를 내장한 것으로서, 외관 구성이 단순해지고 카메라를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으나, 카메라가 단말기에 내장되는 것에 의해 단말기의 전체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내장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신의 정면 모습 뿐만 아니라 주변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단말기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카메라를 복수개 구비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Here, the built-in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built-in camera in the terminal, the appearance configuration is simple and there is no need to carry the camera separately, but the disadvantage that the overall volume of the terminal is increased by the camera built in the terminal There is this. Such a built-in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ecessary to move the terminal or to provide a plurality of cameras in order to photograph not only the front view but also the surroundings thereof.

반면, 착탈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카메라(200)를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한 구조로서, 카메라(200)의 방향은 수동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movabl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structure that can be selectively mounted or detach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s shown in Figure 1, the direction of the camera 200 to be manually adjusted It is composed.

이러한 착탈타입은 사용자가 카메라(200)를 별도로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는 하나 카메라(2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분리시키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피가 카메라(200) 내장타입에 비해 작은 크기로 제공될 수 있는 이점으로 현재 대부분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채용되고 있다.This detachable type has the inconvenience that the user has to carry the camera 200 separately, but separates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hen the camera 200 is not used, so that the volu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uilt in the camera 200. 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provided in a small size compared to the type is currently being adopted in mo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착탈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신의 정면 모습 뿐만 아니라 주변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수동으로 카메라(200)를 회전시켜야 하고, 그때마다 일일이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으로 소비자들의 불만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removabl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to rotate the camera 200 manually in order not only to photograph its surroundings but also to photograph the surroundings. There is thi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원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ternal camer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maximize the convenience of use by adjusting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camera using a drive source. hav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카메라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camer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카메라를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camer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카메라에서 카메라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mera in an external camer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카메라에서 제어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trol unit in an external camer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 : 케이싱 35 : 렌즈홀30 casing 35 lens hole

40 : 모터 45 : 감속기40: motor 45: reducer

50 : 위상 검출부 60 : 접속 단자부50: phase detector 60: connection terminal

70 : 카메라 75 : 렌즈70: camera 75: lens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카메라는, 렌즈를 구비한 카메라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것으로, 카메라의 렌즈부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부분 절개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출력단에 연결된 카메라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카메라 및 구동부에 영상신호 및 전원을 입출력하는 접속 단자부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An external camer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to accommodate a camera having a lens rotatably therein, and a casing partially cut to expose the lens portion of the camera to the outside. A driving unit installed in the casing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rotational force and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a camera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a control unit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unit to control operation, and an image signal to the camera and the driving unit And a connection terminal unit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pow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케이싱내에 구비되는 카메라의 측부에 고정 설치되며, 전원 공급을 받아 정·역 방향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력을 감속하면서 토크는 증대시키는 감속기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As a preferabl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unit is fixed to the side of the camera provided in the casing, the moto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to generate a forward and reverse rotational force,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otor to reduce the rotational force The torque i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reducer to increas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회동에 따른 위상을 검출하여 구동부의 전원이 단속되게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와 구동부의 상호 대향하는 면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호 선택적으로 통전되는 브러시와 정류자로 구성된 것에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etects a phas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amera and outputs a signal so that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is intermittently installed so as to correspond to mutually opposing surfaces of the camera and the driving unit. It consists of a brush and a commutator.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아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하도록 배선되는 스위치인 것에 있다.In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a switch that is wired to interrupt the power applied to the driving unit in response to a user's operation for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회전에 따른 위상을 검출하여 구동부의 전원을 단속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와 구동부의 상호 대향하는 면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자기센서인 것에 있다.In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a magnetic sensor which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surface facing the camera and the driving unit to output a signal to detect the phas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amera to control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ha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주연에 카메라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를 두고 한쌍의 스톱퍼를 돌출시키고, 이 스톱퍼에 의해 카메라가 강제 정지되게 하면서 동시에 카메라의 강제 정지시 발생하는 과전류를 검출하여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하도록 구성된 것에 있다.As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protrudes a pair of stoppers at an angle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amera at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sing, forcing the camera to be forced by the stopper and forcibly stopping the camera at the same time. 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overcurrent generated during the time to interrupt the power applied to the driv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접속 단자부는 상기 카메라 및 구동부에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일단이 케이싱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잭인 것에 특징이 있다.As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jack is connected to the camera and the drive circuit and one end protruding out of the cas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카메라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external camer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 카메라가 장착된 폴더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카메라에서 카메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카메라에서 제어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external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in the external camer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troller in an external camer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외장 카메라는 사용자의 스위치(sw) 조작에 의해 그 촬영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구성이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external camera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adjust the photographing angle by a user's switch sw.

이때, 상기 카메라(70)는 통상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신호를 상대방에게 송출하거나 또는 이미지 형태로 저장하기 위한 입력장치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마련된 메인보드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것에 의해 전원과 영상 및 제어신호를 입력 및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camera 70 is an input device for transmitting a video signal photographing a normal subject to the other party or storing the image signal in the form of an image. The camera 70 is connected to a main board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Input and output images and control signals.

이와 같은 상기 외장 카메라(70)는 구동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바, 이때의 상기 구동장치는 크게 케이싱(30)과 구동부 및 제어부와 접속 단자부로 구성된다.The external camera 7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hotographing angle is automatically adjusted by the driving device. At this time, the driving device includes a casing 30, a driving part, a control part, and a connection terminal part.

케이싱(30)은 내부에 소정크기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외체로서, 이 케이싱(30)의 내부에는 상기 카메라(7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케이싱(30)은 상기 카메라(70)의 회전 방향으로 렌즈(75) 부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절개된 렌즈홀(35)이 형성되는 구성이다.The casing 30 is an outer body forming a space portion of a predetermined size therein, and the casing 30 is rotatably provided with the camera 70. In this case, the casing 3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lens hole 35 is partially cut out so that a portion of the lens 75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amera 70.

즉, 상기 케이싱(30)의 내부에는 상기 카메라(7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때 상기 카메라(70)는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도 렌즈(75)가 상기 케이싱(30)에 형성된 렌즈홀(35)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the camera 70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casing 30, and the lens 75 is formed on the casing 30 even when the camera 70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rough the lens hole 35 is maintained to the outside exposed state.

구동부는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기준으로 상기 카메라(70)를 회전시키는 장치로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소정의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이를카메라(70)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The driving unit is a device that rotates the camera 70 based on a subject to be photographed, and is configured to generate a predetermined rotational forc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 it to the camera 70.

이러한 구동부는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40)와, 이 모터(40)로부터 출력된 회전력을 감속시키면서 동시에 토크를 증대시키는 감속기(45)로 구성된다.Such a drive part is comprised by the motor 40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forward / reverse direction, and the reducer 45 which increases torque while reducing the rotational force output from this motor 40 at the same time.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구동부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모터(40)는, 상기 케이싱(30)의 내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 방향으로 회전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터(40)의 일측에 설치되는 감속기(45)는 상기 모터(40)에서 생성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감속하면서 토크를 증대시켜 출력단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감속기(45)의 출력단의 일단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70)의 측면에 연결되는 구성이다.In other words, the driving uni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motor 40 is fixedly installed at one inner side of the casing 30 and is configured to generate rotational force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The reducer 45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otor 40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40 to increase the torque while decelerating and rotates the output end. At this time, one end of the output end of the reducer 45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amera 70 as shown in the figur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모터(40)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력을 생성하게 되면, 이 회전력은 감속기(45)를 통해 감속 및 토크가 증대되어 출력단으로 출력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감속기(45)의 출력단과 연결된 카메라(70)가 모터(40)의 회전 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으로 회전을 이루게 된다.When the motor 40 generates the rotational forc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such a configuration, the rotational force is decelerated and the torque is increased through the speed reducer 45, and is output to the output end. As a result, the speed reduction of the speed reducer 45 The camera 70 connected to the output end is rotated in a direction coinciding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40.

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함으로써, 상기 카메라(70)의 촬영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스위치(sw)와 위상 검출부(50)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ler is to control the photographing position of the camera 70 by receiving a user's operation signal to control the power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it may be largely composed of a switch (sw) and the phase detector (50).

상기 스위치(sw)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조작력을 입력받는 입력장치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 일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을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스위치(sw)는 사용자의 조작력에 따라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직접적으로 단속할 수 있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마이콤(미도시)과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마이콤을 통해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The switch sw is an input device that receives a user's manipulation force substantially,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figured to receive the manipulation force of the user. The switch sw is provided to directly control the power applied to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force or is connected to a microcomputer (not shown) buil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as to control the driving unit through the microcomputer. It may be configured.

한편, 상기와 같은 스위치(sw)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0)의 측부에 구성되거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11) 상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witch (sw)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t a position that can be easily manipulated by the user, is configured on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 body 10 as in the present invention o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may be provided on the keypad 11.

상기 위상 검출부(50)는 상기 카메라(70)의 위치를 미리 셋팅된 각도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일종의 센싱수단으로서, 상술한 스위치(sw) 신호에 의해 작동되거나 또는 별도의 입력신호를 통해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70)의 위치를 검출하여 소정의 전기신호를 구동부에 인가하도록 구성된다.The phase detector 50 is a kind of sensing means for rotat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70 by a preset angle, and is operated by the above-described switch (sw) signal or by a separate input signal. 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camera 70 and apply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to the driver.

이와 같은 상기 위상 검출부(50)는 회전체인 상기 카메라(70)와 고정체인 상기 구동부의 각각 대향되는 면에 브러시(51)와 정류자(52)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상기 정류자(52)는 브러시(51)와의 접점시 통전을 이루는 정류패턴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브러시(51)가 정류자(52)의 정류패턴이 형성된 구간내에서만 통전이 이루어지므로 이 통전구간이 끝나는 시작과 끝부분에서의 전기신호를 검출하여 구동부의 전원이 단속되게 이루어진다.The phase detection unit 5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rush 51 and a commutator 52 on the surfaces of the camera 70 that is a rotating body and the driving unit which is a stationary body, respectively, and the commutator 52 at this time. ) Is a structure for forming a rectifying pattern for conducting electricity when the contact with the brush (51). In such a structure, since the brush 51 is energized only in a section in which the rectifier pattern of the commutator 52 is formed, the brush 51 detects an electric signal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energization section to interrupt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한편, 본 발명에서의 위상 검출부(50)는 상기 카메라(70)의 위치를 검출하여 구동부에 신호를 인가하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면, 상술한 기구적인 구성 즉, 브러시(51)와 정류자(52)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센싱수단으로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일예로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일종의 자계센서인 홀IC와 마그네트 또는 MR소자와 마그네트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phase detection uni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al feature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70 and applying a signal to the drive unit, the above-described mechanical configuration, that is, the brush 51 and the commutator 52 It may be proposed as a variety of sensing means, not limited to. As an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magnetic field sensor, a Hall IC and a magnet, or an MR element and a magnet may be used.

또한, 상기 제어부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으나, 사용자가 스위치(sw)를 한번 조작하게 되면, 이 조작신호에 의해 구동부 즉, 카메라(70)가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하되, 상기 카메라(70)의 회전 경로에 기구적인 스톱퍼(미도시)를 형성시켜 이 스톱퍼에 의해 카메라(70)의 회전이 강제 정지되도록 하고, 이때 상기 카메라(70)가 강제 정지될 때의 과전류를 검출하여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ler, when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sw once, the driving unit, that is, the camera 70 is configured to rotate by the operation signal, but the camera 70 By forming a mechanical stopper (not shown) in the rotation path of the drive) to stop the rotation of the camera 70 by this stopper, at this time detect the overcurrent when the camera 70 is forcibly stopped to operate the drive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즉, 상기 스톱퍼는 상기 케이싱(30)의 내주면에 소정 각도를 두고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서, 상기 카메라(70)의 회전 경로상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스톱퍼는 상기 카메라(70)의 회전을 강제 정지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카메라(70)는 강제 정지되는 것에 의해 과전류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의 과전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마이컴이 인식하여 구동부의 전원을 단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stopper is a structure that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ing 30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s provided on the rotation path of the camera 70. This stopper forcibly stops the rotation of the camera 70, and the camera 70 generates an overcurrent by forcibly stopping the camera 70. At this time, the overcurrent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the microcomputer buil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ontrol the power of the driver.

접속 단자부는 상술한 카메라(70) 및 구동부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회로와 연결하여 영상신호 및 전원을 입출력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몸체 일측에 마련된 단자홀(미도시)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잭(60)으로 제안하고 있다.The connection terminal unit connects the camera 70 and the driving unit with the main circu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input and output video signals and pow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terminal unit is inserted into a terminal hole (not show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roposed as a connection jack 60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연결잭(60)은 상기 케이싱(30)의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소 1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카메라(70)의 영상신호 및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는 용도와,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인가하는 용도로 분리하는 것이 회로적으로 안정되기 때문이다.The connection jack 60 is configur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30,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is provided as shown in the figure. This is because the separation of the video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of the camera 70 for the purpose of inputting and outputting the power to the drive unit is stable in the circuit.

한편, 미설명 부호 (10)은 폴더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본체를 나타낸 것이며, 부호 (11)은 각종 기능 및 숫자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키패드이다. 그리고 부호 (20)은 폴더를 나타내고 있으며, 부호 (21)은 각종 송수화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창이고, (22)는 스피커이다.Meanwhile,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main body in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ference numeral 11 denotes a keypad composed of various functions and numeric buttons. 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 folder, reference numeral 21 denotes a display window indicating various handset information, and reference numeral 22 denotes a speake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카메라(7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camera 70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 일측에 마련된 스위치(sw)를 조작하게 되면, 이 스위치(sw)의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40) 및 감속기(45)가 정·역 방향으로 구동되어 결과적으로 카메라(70)가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촬영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된다.First, when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sw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tor 40 and the reducer 45 mov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the operation signal of the switch sw. As a result, the photographing angle is automatically adjusted by rotating the camera 70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이때, 상기 스위치(sw) 신호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동부 즉, 카메라(70)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일예로 사용자가 스위치(sw)를 조작하는 시간동안 구동부측에 전기신호를 인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카메라(70)가 스위치(sw)의 조작시간 동안 정·역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witch (sw) signal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rotation angle of the driving unit, that is, the camera 70 in a variety of ways, for example, to apply an electrical signal to the driving unit during the time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sw) As a result, the camera 70 may be configured to rotat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during the operation time of the switch sw.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스위치(sw) 신호에 의해 상술한 위상 검출부(50)가 카메라(70)의 위상을 검출하고 이에 따른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에 의해 상기 카메라(70)를 제조사측에서 임의로 설정한 각도만큼 정·역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hase detection unit 50 may detect the phase of the camera 70 by the switch (sw) signal and output an electric signal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amera 70. It may be configured to rotat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the set angle.

또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사용자가 스위치(sw)를 한번 조작하게 되면 이 조작신호에 의해 구동부 즉, 카메라(70)가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하되, 상기 카메라(70)의 회전 경로에 기구적인 스톱퍼를 형성시켜 이 스톱퍼에 의해 카메라(70)의 회전이 강제 정지되도록 하고, 이때 상기 카메라(70)가 강제 정지될 때의 과전류를 검출하여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sw once, the driving unit, that is, the camera 70 is configured to rotate by the operation signal, and a mechanical stopper is provided in the rotation path of the camera 70. The stopper may be forced to stop the rotation of the camera 7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by detecting an overcurrent when the camera 70 is forcibly stopped.

한편, 본 발명에서는 폴더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외장 카메라를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은 폴더타입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외장 카메라가 장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라면 그 형태는 바타입이거나 플립 타입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external camera mounted on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how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der type. In other words, if the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n external camera, its shape may be applied to a bar type or a flip type.

또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aid embodiment is only what demonstrated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e range of application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d can change suitably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For example, the shape and structure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카메라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을 통해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external camer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can easily adjust the shooting angle of the camera through a user's switch operation.

따라서,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크게 증대되는 것에 의한 제품의 기능 및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Therefore, since the shooting angle of the camera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it provides an advantage that can improve the function and quality of the product by greatly increasing the ease of use.

Claims (7)

카메라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카메라의 렌즈 부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부분 절개되는 케이싱과;A casing in which a lens portion of the camera is partially cut so as to form an outer body rotatably accommodating the camera therein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케이싱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출력단에 연결된 카메라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와;A driving unit installed in the casing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rotational force and transferring the rotational force to a camera connected to the output end; 상기 구동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by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unit; 상기 카메라 및 구동부에 영상신호 및 전원을 입출력하는 접속 단자부;A connection terminal unit configured to input and output image signals and power to the camera and the driver; 로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카메라.External camer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iving unit 상기 케이싱내에 구비되는 카메라의 측부에 고정 설치되며, 전원 공급을 받아 정·역 방향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A motor fixed to the side of the camera provided in the casing, and receiving a power supply to generate a rotational forc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력을 감속하면서 토크는 증대시키는 감속기;A reduce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otor and increasing torque while reducing rotational force;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카메라.External camer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카메라의 회동에 따른 위상을 검출하여 구동부의 전원이 단속되게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와 구동부의 상호 대향하는 면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호 선택적으로 통전되는 브러시와 정류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카메라.A movement of detecting a phas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amera and outputting a signal so that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is interrupted and installed to correspond to mutually opposing surfaces of the camera and the driving unit, the movement comprising a brush and a commutator selectively energizing each other External camera for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아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하도록 배선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카메라.The external camera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is a switch that is wired to interrupt a power applied to a driving unit in response to a user's manipulation for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카메라의 회전에 따른 위상을 검출하여 구동부의 전원을 단속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와 구동부의 상호 대향하는 면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자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카메라.An external camer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magnetic field sensor installed to correspond to surfaces facing the camera and the driving unit by detecting a phas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amera and outpu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케이싱의 내주연에 카메라의 회동 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를 두고 한쌍의 스톱퍼를 돌출시키고, 이 스톱퍼에 의해 카메라가 강제 정지되게 하면서 동시에 카메라의 강제 정지시 발생하는 과전류를 검출하여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카메라.A pair of stoppers protrude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cas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amera, and the stopper forces the camera to stop and at the same time detects the overcurrent generated during the forced stop of the camera and is applied to the driving unit. External camer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contro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상기 카메라 및 구동부에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일단이 케이싱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카메라.External camer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jack is connected to the camera and the driving circuit and one end protrudes out of the casing.
KR1020020037921A 2002-07-02 2002-07-02 Cellular Phone equipped with a camera KR200400032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921A KR20040003266A (en) 2002-07-02 2002-07-02 Cellular Phone equipped with a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921A KR20040003266A (en) 2002-07-02 2002-07-02 Cellular Phone equipped with a camer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266A true KR20040003266A (en) 2004-01-13

Family

ID=37314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7921A KR20040003266A (en) 2002-07-02 2002-07-02 Cellular Phone equipped with a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3266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295B1 (en) * 2002-07-30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handset having camera apparatus
KR100701305B1 (en) * 2005-12-19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composition apparatus capable of communication with external camera and a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200464546Y1 (en) * 2012-05-17 2013-01-21 이승환 Sub-camera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101489788B1 (en) * 2012-03-02 2015-02-04 테라링크 커뮤니케이션스(주) blackbox with Attachable/detachable rear came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118A (en) * 1999-03-01 2000-09-14 Mitsubishi Electric Corp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20010028989A (en) * 1999-09-28 2001-04-06 윤종용 Camera lens mounting device of folder type mobile phone
KR20010067943A (en) * 2001-04-09 2001-07-13 고성욱 Removable camera device for the cellular phone
JP2002050978A (en) * 2000-02-29 2002-02-15 Kddi Corp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igital camera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digital camera for connecting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20030037286A (en) * 2001-11-01 2003-05-1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obile phone having camera lens
KR20030083426A (en) * 2002-04-23 2003-10-30 주식회사 엠투시스 Cover hinge mechanism of cellular phone
KR20030087157A (en) * 2002-05-07 2003-11-13 주식회사 엠투시스 Cover hinge mechanism of cellular phon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118A (en) * 1999-03-01 2000-09-14 Mitsubishi Electric Corp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20010028989A (en) * 1999-09-28 2001-04-06 윤종용 Camera lens mounting device of folder type mobile phone
JP2002050978A (en) * 2000-02-29 2002-02-15 Kddi Corp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igital camera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digital camera for connecting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20010067943A (en) * 2001-04-09 2001-07-13 고성욱 Removable camera device for the cellular phone
KR20030037286A (en) * 2001-11-01 2003-05-1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obile phone having camera lens
KR20030083426A (en) * 2002-04-23 2003-10-30 주식회사 엠투시스 Cover hinge mechanism of cellular phone
KR20030087157A (en) * 2002-05-07 2003-11-13 주식회사 엠투시스 Cover hinge mechanism of cellular pho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295B1 (en) * 2002-07-30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handset having camera apparatus
KR100701305B1 (en) * 2005-12-19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composition apparatus capable of communication with external camera and a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101489788B1 (en) * 2012-03-02 2015-02-04 테라링크 커뮤니케이션스(주) blackbox with Attachable/detachable rear camer
KR200464546Y1 (en) * 2012-05-17 2013-01-21 이승환 Sub-camera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1148B1 (en) Cellular Phone equipped with a camera
CN209787206U (en) Transmission mechanism, driving mechanism assembly, mounting driving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EP3525424B1 (en) Mobile terminal
US7496378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omprising a camera with a fixed and movable display
US6782273B2 (en) Portable wireless apparatus
JP4292795B2 (en) Mobile device with camera
WO2004066616A1 (en) Portable device with camera
JP388922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208522805U (en) Folding mobile terminal
KR20040064928A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hotographing angle in wireless terminal
CN112383689A (en) Camera unit and electronic equipment thereof
KR20040003266A (en) Cellular Phone equipped with a camera
JP3738195B2 (en) Mobile phone terminal
JP2010136388A (en) Digital camera for handheld terminal, and digital camera system
KR100983276B1 (en) Sliding Type Mobile Phone
KR20090077605A (en) Portable terminal
KR20060004427A (en) Apparatus for exchanging auto of mobile terminal display and method for exchanging auto using the same
JP3074054U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onnected digital camera device
KR101054614B1 (en)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with camera
CN112134977B (en) Mobile terminal
KR101621887B1 (en) Camera module
KR101649635B1 (en) Portable terminal
KR100451207B1 (en) Apparatus for display of mobile image phone
KR200374895Y1 (en) Three-dimension camera cellular phone
KR101413472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sig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