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1002A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Voice At Inputting Key In Mobil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Voice At Inputting Key In 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1002A
KR20040001002A KR1020020036054A KR20020036054A KR20040001002A KR 20040001002 A KR20040001002 A KR 20040001002A KR 1020020036054 A KR1020020036054 A KR 1020020036054A KR 20020036054 A KR20020036054 A KR 20020036054A KR 20040001002 A KR20040001002 A KR 20040001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input key
key
input
vo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60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20036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1002A/en
Publication of KR20040001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1002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53Generation of additional signals, e.g. additional pulses
    • H04M1/54Arrangements wherein a dial or the like generates identifying signals, e.g. in party-line systems

Abstract

PURPOSE: A system and a method for generating a voice in a terminal when a key is inputted are provided to generate the voice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ted by a user. CONSTITUTION: A signal processing block(200) converts an inputted signal into a signal corresponding to an inputted key, and controls the corresponding sig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a terminal. A voice processing block(100) processes voice data with respect to the inputted key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signal processing block(200), and generates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key. The signal processing block(200) has a signal converting unit(220), a mode storing unit(230) and a signal control unit(210). The signal converting unit(220) recognizes the key inputted in a key input unit(20), and converts the inputted signal into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key. The mode storing unit(230) stores the state of the terminal. The signal control unit(210) receives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key from the signal converting unit(220), reads the state of the terminal, and transmits a voice process control signal to the voice processing block(100) according to the read state of the terminal.

Description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Voice At Inputting Key In Mobile}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Voice At Inputting Key In Mobile}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키(Key)를 입력할 때 해당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이 발생하도록 한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when a key is input in a terminal, and in particular, a voice generation system when a key is input in a terminal such that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is generated when a user inputs a key in the terminal. And to a method.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키를 입력할 때 해당 입력된 키가 표시되는 화면을 눈으로 봄으로써 시각적으로 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와 어떤 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고, 또한 해당 키를 입력할 때 발생하는 키음(Key Tone)을 귀로 들음으로써 청각적으로 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In general, when a user inputs a key on the terminal, the user may visually recognize whether the key is input and what key is input by visually viewing a screen on which the input key is displayed. By listening to the key tones (Key Tone) that occurs when the ear can tell whether the key has been entered.

사용자가 종래의 단말기에서 키를 입력할 때 해당 종래의 단말기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또는 싱글톤(Single Tone) 등에 의한 비교적 단순한 키음을 발생시킨다.When a user inputs a key in a conventional terminal, the conventional terminal generates a relatively simple key sound by dual tone multi frequency (DTMF) or single tone.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DTMF에 의한 키음 발생을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1, key sound generation by DTMF when a key is input in a conventional terminal will be described.

도 1은 종래의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DTMF에 의한 키음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generation of the key tone by the DTMF when the key input in the conventional terminal.

상기 DTMF에 의한 키음 발생의 경우에는, 사람이 흉내 낼 수 없도록 즉, 사람의 목소리와 구분이 가도록 낮은 주파수의 소리와 높은 주파수의 소리 둘을 합쳐서 키음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 "1"을 입력할 때 낮은 주파수(697Hz)의 소리와 높은 주파수(1209Hz)의 소리가 합쳐 져서 입력된 키 "1"에 대응하는 키음이 발생한다. 즉, 각각의 키에 대한 낮은 주파수(697Hz, 770Hz, 852Hz, 941Hz)의 소리와 높은 주파수(1209Hz, 1336Hz, 1477Hz)의 소리가 합쳐저서 각각의 키에 대응하는 키음이 발생한다.In the case of the generation of the key sound by the DTMF, the low frequency sound and the high frequency sound are combined to generate the key sound so that a person cannot imitate, that is, distinguish from the human voic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when the user inputs the key "1", the sound of the low frequency (697 Hz) and the sound of the high frequency (1209 Hz) are combined to correspond to the input key "1". This happens. That is, the sound of the low frequency (697 Hz, 770 Hz, 852 Hz, 941 Hz) for each key and the sound of the high frequency (1209 Hz, 1336 Hz, 1477 Hz) are combined to generate a key sound corresponding to each key.

한편, 상기 싱글톤에 의한 키음 발생의 경우에는, 낮은 주파수의 소리와 높은 주파수의 소리를 합쳐서 키음을 발생시키는 상기 DTMF에 의한 키음 발생의 경우와 달리 한 주파수의 소리로 각각의 키에 대응하는 키음을 발생시킨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key tone generation by the singleton, the key tone corresponding to each key by the sound of one frequency is different from the case of the key tone generation by the DTMF which combines a low frequency sound and a high frequency sound to generate a key sound. Generates.

그런데,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을 볼 수 없는 시각 장애인이거나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을 볼 수 없는 상황에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키 입력할 때 종래의 단말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DTMF나 싱글톤 등에 의한 키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 키가 입력되었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지만, 어떤 키가 입력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는 없다.By the way, when the user is blind or unable to see the screen of the terminal or the user is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 can not see the screen of the terminal, when the user inputs the key in the conventional terminal as described above in the DTMF or single tone key tone By generat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that the current key has been entered, but cannot provide information about which key has been entered.

따라서, 종래의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키 입력시 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 및 어떤 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고 단지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밖에 없는 경우에, 종래의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발생되는 키음으로는 어떤 키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키를 오입력 했을 때에도 해당 키 오입력 사실을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terminal, when the user cannot visually recognize whether a key is input and what key is input when the user presses a key, and only have to recognize it in an audible manner, it is generated when the user inputs a key in the conventional terminal. Since a key tone does not recognize whether a key has been inp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user may not know a key misinformation even when a user misinforms a key.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키를 입력할 때 키음을 발생시키는 종래와 달리 사용자가 입력한 키에 대응하는 음성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키 오입력 사실을 알게 하고, 특히 청력이 양호한 시력 장애인이나 단말기의 화면을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는 사용자로 하여금 어떤 키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정확히 알게 하는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a voice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by a user,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of generating a key sound when a user inputs a key in a terminal, thereby allowing a user to generate a key. In order to know the input facts, and in particular, a user with a hearing impairment having a good hearing or a situation in which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screen of the terminal is to know exactly which key is input.

도 1은 종래의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DTMF에 의한 키음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key sound generation by DTMF when a key is input in a conventional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oice generation system when a key is input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3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generation method when a key is input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3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generation method when a key is input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음성 발생 시스템 20 : 키 입력부10: voice generation system 20: key input unit

30 : 음성 출력부 100 : 음성 처리 블록30: voice output unit 100: voice processing block

110 : 음성 관리 모듈 111 : 음성 관리부110: voice management module 111: voice management unit

112 : 음성 DB 저장부 113 : 버퍼112: voice DB storage 113: buffer

120 : 음성 발생 모듈 121 : 음성 제어부120: voice generation module 121: voice control unit

122 : 임시 저장부 123 : 음성 발생부122: temporary storage unit 123: voice generation unit

200 : 신호 처리 블록 210 : 신호 제어부200: signal processing block 210: signal controller

220 : 신호 변환부 230 : 모드 기억부220: signal conversion unit 230: mode storage unit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시스템은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해당 신호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 블록과; 상기 신호 처리 블록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을 발생시키는 음성 처리 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object, the voice generation system at the time of key input 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ignal processing block for converting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to control the sig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erminal; And a voice processing block for processing voice data for the input key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signal processing block to generate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그리고, 본 발명의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방법은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신호로 변환한 후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음성 처리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처리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시킨 후 해당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 발생 요구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 발생 요구를 전송받아 상기 저장된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여 해당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을 발생시킨 후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지우고 다른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 전송 요구를 하는 과정과;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 전송 요구를 받아 해당 다른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generating a voice at the time of key input in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nver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and transmitting a voice process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erminal; Receiving the voice processing control signal, reading voice data for the input key, transmitting and storing voice data for one input key, and transmitting a voice generation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and; Receives a voice generation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reads voice data for the stored one input key, generates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and then generates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Deleting voice data for the voice data and requesting voice data transmission for the other input key; And receiving a voice data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other input key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voice data for the other input ke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시스템을 설명한다.First, a voice generation system when a key is input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oice generation system when a key is input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시 음성 발생 시스템이 적용되는 단말기는 키 입력부(20), 음성 발생 시스템(10) 및 음성 출력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키 입력부(20)는 숫자 키 (0,1,2...), 문자 키 (ㄱ,ㄴ,ㄷ...,ㅏ,ㅣ,ㅗ..,A,B,C..) 및 기능 키 (메뉴, 통화, 종료...)를 구비하여 키가 입력되고, 상기 음성 발생 시스템(10)은 상기 키 입력부(20)에서 입력된 키에대응하는 음성을 발생시키며, 상기 음성 출력부(30)는 상기 음성 발생 시스템(10)에서 발생된 상기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을 외부로 출력한다.The terminal to which the voice generation system is applied when a key is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key input unit 20, a voice generation system 10, and a voice output unit 30. The key input unit 20 is Numeric keys (0,1,2 ...), letter keys (ㄱ, ㄴ, ㄷ ..., ㅏ, ㅣ, ㅗ .., A, B, C ..) and function keys (menu, call, end) ...) and a key is input, the voice generation system 10 generates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20, the voice output unit 30 is the voice generation system The voice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generated at 10 is output to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음성 발생 시스템(10)은 신호 처리 블록과(200) 및 음성 처리 블록(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신호 처리 블록(200)은 상기 키 입력부(20)에서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해당 신호를 제어하고, 상기 음성 처리 블록(100)은 상기 신호 처리 블록(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을 발생시킨다.Here, the voice generation system 10 includes a signal processing block 200 and a voice processing block 100, wherein the signal processing block 200 corresponds to a key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20. Converts a signal into a signal to control a corresponding signal according to a state of the terminal, and the voice processing block 100 processes voice data for the input key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signal processing block 200 to input the input signal. Generates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key.

이때, 상기 신호 처리 블록(200)은 신호 변환부(220), 모드 기억부(230) 및 신호 제어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신호 변환부(220)는 상기 키 입력부(20)에서 입력된 키를 인지하여 해당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모드 기억부(230)는 단말기의 상태를 저장하며, 상기 신호 제어부(210)는 상기 신호 변환부(200)로부터 상기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모드 기억부(230)에 저장된 단말기의 상태를 판독하여 해당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음성 처리 제어 신호를 상기 음성 처리 블록(100)으로 전송한다.In this case, the signal processing block 200 includes a signal converter 220, a mode storage unit 230, and a signal controller 210. The signal converter 220 may be configured by the key input unit 20. Recognizes the input key and converts it into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the mode memory unit 230 stores the state of the terminal, and the signal controller 210 inputs the input from the signal converter 200. After receiving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key, the state of the terminal stored in the mode storage unit 230 is read, and the voice process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voice processing block 100.

그리고, 상기 음성 처리 블록(100)은 음성 관리 모듈(110) 및 음성 발생 모듈(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음성 관리 모듈(110)은 상기 신호 제어부(210)로부터 상기 음성 처리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해당 음성 처리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관리하고, 상기 음성 발생 모듈(120)은 상기 음성 관리 모듈(110)로부터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받아 상기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을 발생시킨다.The voice processing block 100 includes a voice management module 110 and a voice generation module 120. The voice management module 110 receives the voice processing control signal from the signal controller 210. Receives and manages the voice data for the input key according to the voice processing control signal, the voice generation module 120 receives the voice data for the input key from the voice management module 110 in sequence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is generated.

이때, 상기 음성 관리 모듈(110)은 음성 DB 저장부(112), 버퍼(113) 및 음성 관리부(1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음성 DB 저장부(112)는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DB(DataBase)로 저장하고 있고, 상기 버퍼(113)는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음성 관리부(111)는 상기 신호 제어부(210)로부터 상기 음성 처리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음성 DB 저장부(112)에서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여 상기 버퍼(113)에 저장한 후 해당 저장되어 있는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 중에서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상기 음성 발생 모듈(120)로 전송하고 해당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 발생 요구를 순차적으로 상기 음성 발생 모듈(120)로 한다.At this time, the voice management module 110 includes a voice DB storage unit 112, a buffer 113 and a voice management unit 111, the voice DB storage unit 112 to the key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erminal Is stored in the DB (DataBase), the buffer 113 stores the voice data for the input key, the voice manager 111 is the voice processing control signal from the signal controller 210 The voice DB storage unit 112 receives the received voice data for the input key and stores the voice data in the buffer 113, and then inputs one of the voice data for the input key. The voice data is transmitted to the voice generation module 120 in sequence and a voice generation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one input key is sequentially sent to the voice generation module 120.

그리고, 상기 음성 발생 모듈(120)은 임시 저장부(122), 음성 발생부(123) 및 음성 제어부(1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임시 저장부(122)는 상기 음성 관리부(111)로부터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 중에서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받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음성 발생부(123)는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발생 명령을 전송받아 상기 임시 저장부(122)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여 해당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을 발생하며, 상기 음성 제어부(121)는 상기 음성 관리부(111)로부터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발생 요구를 순차적으로 전송받아 상기 음성 발생부(123)로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 발생 명령을 하고 상기 음성 발생부(123)로부터 해당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 발생 완료를 보고받아 상기 임시 저장부(122)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지우고 상기 음성 관리부(111)로 다른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 전송 요구를 순차적으로 한다.The voice generation module 120 includes a temporary storage unit 122, a voice generation unit 123, and a voice control unit 121. The temporary storage unit 122 is provided from the voice management unit 111. The voice data for one input key is sequentially received from the voice data for the input key and temporarily stored therein, and the voice generator 123 receives the voice generation command for the one input key. The voice data of the one input key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122 is read to generate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and the voice controller 121 is the voice manager 111. Receiving a voice generation request for the one input key in sequence from the voice input unit to the voice generator 123 to generate a voic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Receiving the voice generation comple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one input key from the 123 to delete the voice data for the one input key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122 and the other to the voice management unit 111 The voice data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input key is sequentially performed.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음성 발생 시스템(10)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generating a voice upon key input in the voice generating system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will be described.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발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3A and 3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voice generation method when a key is input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가 단말기의 키 입력부(20)에서 원하는 키를 입력한다(S301). 즉, 사용자는 상기 키 입력부(20)에 구비되어 있는 숫자 키, 문자 키 및 기능 키를 사용하여 통화 시도를 위해 상대방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키를 입력하거나,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해 단말기의 서비스 메뉴에 해당하는 키를 입력한다.First, the user inputs a desired key in the key input unit 20 of the terminal (S301). That is, the user inputs a key corresponding to the other party's telephone number for a call attempt using a numeric key, a character key, and a function key included in the key input unit 20, or selects a service menu of the terminal to select a service. Enter the key corresponding to.

이에, 상기 신호 처리 블록(200)의 신호 변환부(220)는 상기 입력된 키를 인지한 후(S302), 해당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제어부(210)로 전송한다(S303).Accordingly, the signal converter 220 of the signal processing block 200 recognizes the input key (S302), converts it into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signal controller 210 (S303). ).

이에 따라, 상기 신호 제어부(210)는 상기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받아 모드 기억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기의 상태를 판독한 후, 해당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음성 처리 제어 신호를 음성 관리 모듈(110)의 음성 관리부(111)로 전송한다(S304). 여기서, 상기 모드 기억부(230)는 단말기의 상태를 저장하고 있는데, 단말기의 상태란 단말기에 키가 입력될 때 현재 단말기의 상태 모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당 단말기의 상태 모드로는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려고 하는 통화 시도 상태 모드, 사용자가 단말기의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려고 하는 메뉴 선택 상태 모드 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신호 제어부(210)는 상기 모드 기억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음성 처리 제어 신호를 상기 음성 관리부(111)로 전송한다.Accordingly, the signal controller 210 receiv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reads the state of the terminal stored in the mode storage unit 230, and then outputs a voice process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erminal. The voice manager 110 transmits the voice manager 111 to the voice manager module 110 (S304). Here, the mode storage unit 230 stores the state of the terminal. The state of the terminal refers to a state mode of the current terminal when a key is input to the terminal. There is a call attempt state mode for making a call, and a menu selection state mode in which a user tries to select a service menu of a terminal. Therefore, the signal controller 210 transmits a voice process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stored in the mode memory 230 to the voice manager 111.

이에, 상기 음성 관리부(111)는 상기 음성 처리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S305), 음성 DB 저장부(112)에서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여 버퍼(113)에 저장한다(S306). 즉, 상기 음성 관리부(111)는 단말기의 특정 상태에서 N 개의 키 입력이 있었다면, 해당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입력된 키에 대한 N 개의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음성 DB 저장부(112)로부터 읽어들여 상기 버퍼(113)에 저장한다. 예를 들면, 단말기의 통화 시도 상태 모드에서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기 위해 상대방의 전환 번호인 "012-345-6789"에 대응하는 숫자 키 "0, 1, 2, 3, 4, 5 ,6, 7, 8 ,9" 를 입력하였다면, 상기 음성 관리부(111)는 해당 통화 시도 상태에 따른 입력된 키(10개)에 대한 음성 데이터(10개)를 상기 음성 DB 저장부(112)로부터 읽어들여 상기 버퍼(113)에 저장한다.Accordingly, the voice manager 111 receives the voice processing control signal (S305), reads voice data of the input key from the voice DB storage 112, and stores the voice data in the buffer 113 (S306). . That is, if there are N key inputs in a specific state of the terminal, the voice manager 111 reads N voice data for the input key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erminal from the voice DB storage 112 and the buffer. Stored at (113). For example, in the call attempt state mode of the terminal, a number key "0, 1, 2, 3, 4, 5, 6" corresponding to the other party's switching number "012-345-6789" for the user to call the other party is called. , 7, 8, 9 ", the voice manager 111 reads voice data (10) of the input keys (10) according to the call attempt state from the voice DB storage 112. In the buffer 113.

그런 후, 상기 음성 관리부(111)는 상기 버퍼(113)에 저장되어 있는 입력된 키(상기 예에서 숫자 키 "0,1,2,3,4,5,6,7,8,9")에 대한 음성 데이터 중에서 하나의 입력된 키(상기 예에서 숫자 키 "0")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처리 모듈(120)의 임시 저장부(122)로 전송하여 저장시킨다(S307).Then, the voice manager 111 inputs an input key stored in the buffer 113 (in the example, the numeric keys “0, 1, 2, 3, 4, 5, 6, 7, 8, 9”). The voice data of one input key (the numeric key “0” in the above example) among the voice data is transmitted to the temporary storage unit 122 of the voice processing module 120 and stored (S307).

그리고, 상기 음성 관리부(111)는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상기 예에서 숫자키 "0")에 대응하는 음성 발생 요구를 상기 음성 처리 모듈(120)의 음성 제어부(121)로 전송한다(S308).The voice manager 111 transmits a voice generation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the numeric key “0” in the example) to the voice controller 121 of the voice processing module 120 (S308). ).

이에 따라, 상기 음성 제어부(121)는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 발생 요구를 전송받아(S309), 해당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 발생 명령을 음성 발생부(123)로 전송한다(S310).Accordingly, the voice controller 121 receives a voice generation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S309), and transmits a voice gen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to the voice generator 123. (S310).

이에, 상기 음성 발생부(123)는 상기 임시 저장부(122)에 저장되어 있는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여 해당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을 발생시키고 해당 발생된 음성을 음성 출력부(30)로 전송하여 외부로 출력시킨다(S311). 즉, 상기 예에서 하나의 입력된 키가 "0"일 때,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 시도 상태이면, 예를 들어 해당 하나의 입력된 키 "0"에 대응하는 음성 "영"이 출력되고, 반면에 단말기의 상태가 메뉴 선택 상태이면, 예를 들어 해당 하나의 입력된 키 "0"에 대응하는 음성 "영번을 선택하셨습니다"가 출력된다. 이때 음성은 상기한 사람의 목소리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다양한 효과음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voice generator 123 reads voice data of one input key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122 to generate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and generates the corresponding voice. To transmit to the voice output unit 30 to output to the outside (S311). That is, in the above example, when one input key is "0", if the state of the terminal is a call attempt state, for example, a voice "zero"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0" is output, whereas If the state of the terminal is in the menu selection state, for example, a voice " zero number has been selected "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one input key " 0 " is output. In this case, the voice does not mean only the voice of the person, but may be expressed by various sound effects as desired by the user.

그리고, 상기 음성 발생부(123)는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 발생 완료를 상기 음성 제어부(121)로 보고한다(S312).The voice generator 123 reports the voice generation completion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to the voice controller 121 (S312).

이에 따라, 상기 음성 제어부(121)는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 발생 완료를 보고받은 후, 상기 임시 저장부(113)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지우고, 상기 음성 관리부(111)로 다른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 전송 요구를 한다(S313).Accordingly, after the voice controller 121 receives a report of completion of voice generation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the voice controller 121 erases the voice data for the one input key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113 and In operation S313, the voice manager 111 requests a voice data transmission for the other input key.

이에, 상기 음성 관리부(111)는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 전송 요구를 받아(S314), 상기 버퍼(113)에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315).Accordingly, the voice manager 111 receives a voice data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other input key (S314) and determines whether voice data for the other input key exists in the buffer 113. (S315).

이때,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음성 관리부(111)는 상기 음성 제어부(121)로의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발생 요구를 끝마친다(S316). 즉, 상기 버퍼(113)에 저장되어 있는 입력된 키(상기 예에서 숫자 키 "0,1,2,3,4,5,6,7,8,9")에 대한 음성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상기 임시 저장부(122)로 전송되어 더이상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가 해당 버퍼(113)에 남아 있지 않을 경우에, 상기 음성 관리부(111)는 상기 음성 제어부(121)로의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발생 요구를 끝마친다.At this time, when there is no voice data for the other input key, the voice manager 111 finishes the voice generation request for the one input key to the voice controller 121 (S316). ). In other words, the voice data of the input key (0, 1, 2, 3, 4, 5, 6, 7, 8, 9) stored in the buffer 113 is sequentially displayed. When the voice data for the input key is no longer left in the buffer 113 because it is transmitted to the temporary storage unit 122, the voice managing unit 111 is applied to the input key to the voice control unit 121. The voice generation needs to be completed.

반면에,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단계 S307로 회귀하여, 상기 음성 관리부(111)는 상기 버퍼(113)에 저장되어 있는 입력된 키(상기 예에서 숫자 키 "0"을 제외한 숫자 키 "1,2,3,4,5,6,7,8,9")에 대한 음성 데이터 중에서 다른 하나의 입력된 키(상기 예에서 숫자 키 "1")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처리 모듈(120)의 임시 저장부(122)로 전송하여 저장시킨다(S307).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voice data for the other input key,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307, where the voice manager 111 inputs the input key stored in the buffer 113 (in the above example). Another input key (number key "1" in the above example) among voice data for the numeric key "1,2,3,4,5,6,7,8,9" except the numeric key "0". The voice data is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122 of the voice processing module 120 (S307).

그리고, 상기 음성 관리부(111)는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된 키(상기 예에서 숫자 키 "1")에 대응하는 음성 발생 요구를 상기 음성 처리 모듈(120)의 음성 제어부(121)로 전송한다(S308). 이후의 단계(S309~S316)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가 상기 버퍼(113)에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상기단계(S307~S315)가 반복된다.In addition, the voice manager 111 transmits a voice generation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other input key (the numeric key “1” in the example) to the voice controller 121 of the voice processing module 120 ( S308). Subsequent steps S309 to S316 are as described above. The steps S307 to S315 are repeated until no voice data for the input key exists in the buffer 113.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and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the scop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키를 입력할 때 키음을 발생시키는 종래와 달리 사용자가 입력한 키에 대응하는 음성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키 오입력 사실을 알게 할 수 있고, 특히 청력이 양호한 시력 장애인이나 단말기의 화면을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는 사용자로 하여금 어떤 키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정확히 알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a voice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by the user,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of generating a key sound when the user inputs a key in the terminal,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know that the key is wrong. A user with a hearing impairment having good hearing or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screen of the terminal can know exactly which key is input.

Claims (10)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해당 신호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 블록과;A signal processing block converting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and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sig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erminal; 상기 신호 처리 블록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을 발생시키는 음성 처리 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시스템.And a voice processing block configured to generate voice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by processing voice data for the input key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signal processing block. .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신호 처리 블록은,The signal processing block, 키 입력부에서 입력된 키를 인지하여 해당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와;A signal converter for recognizing a key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and converting the signal into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단말기의 상태를 저장하는 모드 기억부와;A mod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tate of the terminal; 상기 신호 변환부로부터 상기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모드 기억부에 저장된 단말기의 상태를 판독하여 해당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음성 처리 제어 신호를 상기 음성 처리 블록으로 전송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시스템.A signal controller which receiv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from the signal converter and reads a state of a terminal stored in the mode storage unit and transmits a voice process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erminal to the voice processing block; Voice generation system at the time of key input in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a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성 처리 블록은,The voice processing block, 상기 신호 제어부로부터 상기 음성 처리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해당 음성 처리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관리하는 음성 관리 모듈과;A voice management module which receives the voice processing control signal from the signal controller and manages voice data for the input key according to the voice processing control signal; 상기 음성 관리 모듈로부터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받아 상기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을 발생시키는 음성 발생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시스템.And a voice generation module for receiving voice data on the input key sequentially from the voice management module and generating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음성 관리 모듈은,The voice management module,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DB로 저장하고 있는 음성 DB 저장부와;A voice DB storage unit for storing voice data of a key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erminal as a DB;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와;A buffer for storing voice data for the input key; 상기 신호 제어부로부터 상기 음성 처리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음성 DB 저장부에서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여 상기 버퍼에 저장한 후 해당 저장되어 있는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 중에서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상기 음성 발생 모듈로 전송하고 해당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 발생 요구를 순차적으로 상기 음성 발생 모듈로 하는음성 관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시스템.After receiving the voice processing control signal from the signal controller, the voice DB storage unit reads the voice data for the input key and stores the voice data in the buffer and then stores one of the voice data for the input key stored therein. In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oice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the voice data for the input key to the voice generation module in sequence and the voice generation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to the voice generation module sequentially Voice generation system on key input.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음성 발생 모듈은,The voice generation module, 상기 음성 관리부로부터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 중에서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받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임시 저장부와;A temporary storage unit for receiving and temporarily storing voice data for one input key among the voice data for the input key from the voice manager;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발생 명령을 전송받아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여 해당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을 발생하는 음성 발생부와;Voice generation for receiving a voice generation command for the one input key and reading voice data for the one input key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to generate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Wealth; 상기 음성 관리부로부터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발생 요구를 순차적으로 전송받아 상기 음성 발생부로 해당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 발생 명령을 하고 상기 음성 발생부로부터 해당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 발생 완료를 보고받아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지우고 상기 음성 관리부로 다른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 전송 요구를 순차적으로 하는 음성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시스템.Receives a voice generation request for the one input key sequentially from the voice management unit to give a voice gen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to the voice generation unit and from the voice generation unit to the one input key A voice controller for receiving a corresponding voice generation completion report and deleting voice data for the one input key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and sequentially making a voice data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other input key to the voice manager. Voice generation system at the time of key input in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ade.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신호로 변환한 후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음성 처리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Converting into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and transmitting a voice process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erminal; 상기 음성 처리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시킨 후 해당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 발생 요구를 전송하는 과정과;Receiving the voice processing control signal, reading voice data for the input key, transmitting and storing voice data for one input key, and transmitting a voice generation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and;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 발생 요구를 전송받아 상기 저장된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여 해당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을 발생시킨 후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지우고 다른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 전송 요구를 하는 과정과;Receives a voice generation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reads voice data for the stored one input key, generates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and then generates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Deleting voice data for the voice data and requesting voice data transmission for the other input key;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 전송 요구를 받아 해당 다른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방법.Receiving a voice data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other input key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voice data for the other input key and processing the voice input method; .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음성 처리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voice processing control signal is 키를 입력하는 단계와;Inputting a key; 상기 입력된 키를 인지한 후 해당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단계와;Recognizing the input key and converting the input key into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상기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받아 단말기의 상태를 판독한 후 해당 단말기의 상태에 따른 음성 처리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방법.And receiv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reading the state of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a voice process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erminal.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 발생 요구를 전송하는 과정은,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 voice generation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상기 음성 처리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여 저장하는 단계와;Receiving the voice processing control signal and reading and storing voice data of the input key; 상기 저장되어 있는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 중에서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단계와;Transmitting and storing voice data of one input key among the stored voice data of the input key;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 발생 요구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방법.And transmitting a voice generation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을 발생시키는 과정은,The process of generating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 발생 요구를 전송받아 해당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 발생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Receiving a voice generation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and transmitting a voice gener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상기 저장되어 있는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여 해당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을 발생시키고 해당 발생된 음성을 전송하여 외부로 출력시키는 단계와;Reading voice data of the stored one input key to generate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voice to the outside;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 발생 완료를 보고하는 단계와;Reporting completion of speech generation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 발생 완료를 보고받은 후 상기 저장되어 있는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지우고 다른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 전송 요구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방법.And after receiving a report of completion of voice generation corresponding to the one input key, erasing the voice data for the stored one input key and requesting voice data transmission for the other input key. Voice generation method when a key is input in the terminal.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처리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determining and processing whether there is voice data for the other input key includes: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 전송 요구를 받아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Receiving voice data transmission request for the other input key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voice data for the other input key;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발생 요구를 끝마치는 단계와;If there is no voice data for the other input key, ending a voice generation request for the one input key;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저장되어 있는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 중에서 다른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시킨 후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음성 발생 요구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 키 입력시 음성 발생 방법.When there is voice data for the other input key, the voice data for the other input key is transmitted and stored among the stored voice data for the input key and then the other input. And generating a voice generation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KR1020020036054A 2002-06-26 2002-06-26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Voice At Inputting Key In Mobile KR200400010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054A KR20040001002A (en) 2002-06-26 2002-06-26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Voice At Inputting Key In 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054A KR20040001002A (en) 2002-06-26 2002-06-26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Voice At Inputting Key In 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002A true KR20040001002A (en) 2004-01-07

Family

ID=37312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054A KR20040001002A (en) 2002-06-26 2002-06-26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Voice At Inputting Key In 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1002A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7849A (en) * 1990-03-16 1991-11-28 Fujitsu Ltd Telephone set
KR19990054366A (en) * 1997-12-26 1999-07-15 윤종용 How to Provide Voice Guidance Message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Private Exchange
KR20010018211A (en) * 1999-08-18 2001-03-05 윤종용 Displaying data voice output device of mobile phone and method thereof
KR20020050775A (en) * 2000-12-21 2002-06-27 구자홍 Button and menu voice output device for mobile telephone
KR20030004762A (en) * 2001-07-06 2003-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for output of voice in mobile phone and outputting method thereof
KR20030061091A (en) * 2002-01-10 200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for generating key soun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7849A (en) * 1990-03-16 1991-11-28 Fujitsu Ltd Telephone set
KR19990054366A (en) * 1997-12-26 1999-07-15 윤종용 How to Provide Voice Guidance Message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Private Exchange
KR20010018211A (en) * 1999-08-18 2001-03-05 윤종용 Displaying data voice output device of mobile phone and method thereof
KR20020050775A (en) * 2000-12-21 2002-06-27 구자홍 Button and menu voice output device for mobile telephone
KR20030004762A (en) * 2001-07-06 2003-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for output of voice in mobile phone and outputting method thereof
KR20030061091A (en) * 2002-01-10 200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for generating key soun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0343B2 (en) System and method of non-spoken telephone communication
KR100365860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mobile terminal
KR100389521B1 (en) Voice processing method, telephone using the same and relay station
EP0720338A2 (en) Telephone-computer terminal portable unit
US6674372B1 (en)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numeric keys and apparatus thereof
JP3507686B2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040015353A1 (en) Voice recognition key input wireless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JPS60196057A (en) Control system for tone designation of incoming terminal
KR20040001002A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Voice At Inputting Key In Mobile
KR100620229B1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file in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thereof
KR20040022286A (en) Method for finding the location of a lost mobile by short message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US86203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al input using voice in a mobile terminal
KR20030097347A (en)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service using voice in mobile telephone
KR20040015918A (en) Method for implementing remote control function through short message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KR100307028B1 (en) Method for managing speaker dependent type voice data in voice recognition telephone
CN1197337C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e-mail at remote end
KR100451898B1 (en) Automation dialing system using interactive voice response and method for service thereof
KR200424763Y1 (en) Receive terminal including voicetransformation device
KR20060035728A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electable voice message transmission
KR1010156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mobile telecommunication message
JP2515069Y2 (en) Tele controller
KR2004005113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use others/loss of mobile
JP2000125006A (en) Speech recognition device, speech recognition method, and automatic telephone answering device
KR20060034550A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short message of mobile phone
KR2002001772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telephone nu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