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990Y1 - 좌변기용 비데기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비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990Y1
KR200399990Y1 KR20-2005-0018992U KR20050018992U KR200399990Y1 KR 200399990 Y1 KR200399990 Y1 KR 200399990Y1 KR 20050018992 U KR20050018992 U KR 20050018992U KR 200399990 Y1 KR200399990 Y1 KR 200399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et
water
main body
internal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9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국
Original Assignee
오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국 filed Critical 오영국
Priority to KR20-2005-00189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9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9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3/001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using granular carriers or supports for the microorganisms
    • C02F2003/003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using granular carriers or supports for the microorganisms using activated carbon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변기에 설치되어 항문 세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장 또는 질 내부에 대한 내부세정이 가능하도록 한 좌변기용 비데기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컨트롤부(C)가 구비되고 좌변기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본체(10)와, 세정부로 작용하는 상기 본체(10)의 중앙 돌출부(11) 하측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메인비데(15)와, 장 내부 또는 질 내부중 어느 하나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비데(30)(40)와, 상기 메인비데(15) 또는 내부비데(30)(40)를 통해 토출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부(20)와, 상기 컨트롤부(C)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비데(15) 혹은 내부비데(30)(40)에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출수조절부(14)를 포함한다.
따라서, 필터 및 살균을 통해 정화된 물을 내부비데(30)(40)를 이용하여 장 또는 질 내부로 분사하여 내부 세정이 가능하게 되므로 여성의 청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좌변기용 비데기{Bidet for Toilet Pan}
본 고안은 좌변기에 설치되어 항문 세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좌변기용 비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비데를 이용하여 장 또는 질 내부에 대한 내부세정이 가능하도록 한 좌변기용 비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용 비데기는 좌변기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항문 세정 또는 비데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며, 청결을 중요시하는 근래에 이르러 여성 사용자는 물론 남성 사용자도 증가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좌변기용 비데기는 좌변기의 후방에서 물을 세게 분사하거나 천천히 분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겉으로 드러난 부분만 세정할 수 있고, 실제적인 청결이 요구되는 장 또는 질 내부로는 물이 공급되지 않아 이들에 대한 내부 세정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장 또는 질 내부로 항균 실리콘 호스를 삽입하여 내부 세정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정수를 통하여 더욱 깨끗한 물로 내부 세정을 할 수 있도록 한 좌변기용 비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장 또는 질 내부의 세정을 위한 내부비데의 위치 및 설치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한 좌변기용 비데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일측에 컨트롤부가 구비되고 좌변기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본체와, 세정부로 작용하는 상기 본체의 중앙 돌출부 하측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메인비데와, 장 내부 또는 질 내부중 어느 하나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비데와, 상기 메인비데 또는 내부비데를 통해 토출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부와, 상기 컨트롤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비데 혹은 내부비데에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출수조절부를 포함한다.
또,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상기 정수부는 상기 컨트롤부의 온도조절부와 수압조절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온도조절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1차적으로 필터링 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필터링된 물의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활성탄 필터로 이루어진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상측에 설치되고 살균기가 구비되어 살균한 후 상기 수압조절부로 물을 유출시키는 살균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상기 출수조절부는, 내부가 복수의 권역으로 구분되고 각 권역마다 별도의 출수구가 구비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측에서 패킹을 개재하여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각 권역에 대응되는 구멍이 복수개 형성된 분배판과, 상기 분배판의 상측에 위치되어 회전되고 상기 분배판의 구멍에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된 회전판과, 입수구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에 나사 결합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상단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단은 조작노브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하측에 끼워져 상기 회전판을 상기 분배판에 밀착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연결구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시트를 포함한다.
또,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상기 출수조절부의 출수구에 연통되는 출수관을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출수구 및 출수관의 수는 실제 비데의 수보다 많게 형성되고, 사용되지 않는 출수관은 출수관 캡에 의해 닫혀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상기 내부비데는 필요에 따라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상기 내부비데를 상기 본체의 하부로 감추거나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내부비데를 전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내부비데는 상기 위치조절부재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상기 내부비데는 상기 본체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위치조절부재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 비데 본체와, 상기 비데 본체로부터 인출되어 장 또는 질 내부로 삽입되는 항균 실리콘 호스와, 상기 항균 실리콘 호스의 외주에 결합된 실링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비데 본체의 끝단에 결합되고 항균 실리콘 호스를 지지하는 출수구 캡과, 상기 항균 실리콘 호스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출수구 캡 외부로 항균 실리콘 호스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항균 실리콘 호스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고정 링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비데는 상기 항균 실리콘 호스의 외측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항균 실리콘 호스를 초기 위치로 환원시키는 스프링이나, 상기 비데 본체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항균 실리콘 호스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비데 캡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상기 내부비데는 상기 본체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위치조절부재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 비데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나사 결합되고 내부에 진동기가 구비되는 진동기 캡과, 상기 진동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진동기의 진동을 흡수하는 스프링과, 상기 비데 본체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장 또는 질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진동기의 진동을 이용하여 물에 파동을 발생시킨 후 물을 분사하는 진동 삽입기와, 상기 진동 삽입기의 외측에서 삽입되고 상기 바디 본체에 결합되어 진동 삽입기를 지지하는 출수구 캡과, 상기 진동기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 삽입기로 진동을 전달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 삽입기는, 상기 비데 본체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끝단 부분에 돌출부가 구비되는 항균 실리콘 호스와, 상기 항균 실리콘 호스 내부에 위치되고 끝단 부분이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물에 파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바와, 상기 비데 본체에 결합되고 항균 실리콘 호스의 돌출부를 이용하여 상기 항균 실리콘 호스가 비데 본체 내부로 진입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 삽입기는 상기 비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진동 삽입기가 이탈되었을 때 상기 비데 본체에 비데 캡이 결합된다.
또,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상기 내부비데는 상기 본체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1개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된 위치조절부재는 상기 내부비데에 연결되어 내부비데를 전후로 이동시키고 일정 범위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비데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내부비데는 상기 위치조절부재에 대하여 소정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상기 내부비데는 항균 실리콘 호스가 장 또는 질 중 어느 하나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비데와, 항균 실리콘 호스가 장 또는 질 중 다른 하나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비데로 구분되고, 상기 제1비데의 위치조절을 위한 제1위치조절부재와, 상기 제2비데의 위치조절을 위한 제2위치조절부재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위치조절부재는, 항균 실리콘 호스를 구비한 비데 본체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도수관이 구비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되어 수압에 의해 전후 이동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피스톤부재와, 상기 피스톤부재에 삽입되어 수압이 약해지면 상기 피스톤부재를 초기 위치로 환원시키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실린더의 후방에서 결합되고 물 유입구가 구비된 실린더 캡을 포함한다.
상기 제2위치조절부재는, 상기 제2비데가 제1비데에 비해 전방에 위치되도록 제1위치조절부재에 비해 다단 구조로 이루어지며, 항균 실리콘 호스를 구비한 비데 본체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도수관이 구비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되어 수압에 의해 전후 이동되는 피스톤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되어 수압에 의해 전후 이동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피스톤부재와, 상기 피스톤 실린더 및 피스톤부재에 각각 삽입되어 수압이 약해지면 상기 피스톤 실린더 및 피스톤부재를 초기 위치로 환원시키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실린더의 후방에서 결합되고 물 유입구가 구비된 실린더 캡을 포함한다.
또,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상기 내부비데를 상기 본체의 하부로 감추거나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수단은 사용자가 손잡이를 이용하여 직접 내부비데의 위치를 조절하는 수동방식과, 물의 공급에 따라 내부비데의 위치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자동방식 및 상기 수동방식과 자동방식이 혼용되어 사용되는 혼용구조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상기 내부비데는 항균 실리콘 호스가 장 또는 질 내부중 어느 하나로 삽입되는 제1비데와 항균 실리콘 호스가 질 내부중 다른 하나로 삽입되는 제2비데로 구분되고, 상기 제1비데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수단과 상기 제2비데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수단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회전수단은, 항균 실리콘 호스를 구비하는 제2비데로 물을 공급하고 제2비데에 힌지 고정되는 도수관로와, 상기 도수관로에 연통되고 손잡이에 연결되어 전후 이동되는 분배관과, 상기 본체에 고정된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되고 도수 파이프를 통해 공급된 분배관의 물에 의해 전후 이동되면서 분배관을 이동시키는 피스톤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2회전수단은, 항균 실리콘 호스를 구비하는 제1비데로 물을 공급하고 제1비데에 힌지 고정되는 도수관로와, 물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도수관로가 결합되는 분배관과, 실린더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되고 상기 분배관에 연통된 피스톤 캡이 결합되는 피스톤부재와, 상기 실린더와 손잡이를 연결하는 로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 부재의 외주에는 스프링이 삽입되어 물이 공급되지 않으면 초기 위치로 환원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일측에 컨트롤부가 구비되고 좌변기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컨트롤부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좌변기의 전방으로 일정 정도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돌출부 끝부분에 설치되어 돌출부를 좌변기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세정부로 작용하는 상기 본체의 중앙 돌출부 하측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메인비데와, 장 내부 또는 질 내부중 어느 하나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비데와, 상기 본체의 돌출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비데의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내부비데로 물을 공급하는 위치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일단이 상기 돌출부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내부비데에 연결되며 내부비데와 연통되는 도수관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수차례 굴곡된 형태의 손잡이와, 상기 본체의 돌출부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의 돌출부에 좌변기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 내부에서 전후 이동되고 상기 손잡이가 관통되는 슬롯 홀이 구비된 가이드 블록으로 구성된다.
또,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상기 내부비데는 일정 거리 이격되는 제1비데와 제2비데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에 형성되는 도수관로 역시 2중으로 이루어져 하나는 제1비데에 연통되고 다른 하나는 제2비데에 연통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내부비데로 물이 공급됨에 따라 작동되는 실린더 부재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홈 내부에서 전후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일측에 컨트롤부가 구비되고 좌변기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본체와, 세정부로 작용하는 상기 본체의 중앙 돌출부 하측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메인비데와, 장 내부 또는 질 내부중 어느 하나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비데와, 상기 본체를 따라 좌우 이동되고 내부에 도수로가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내부비데를 연통시키는 송수관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본체를 따라 직선 이동되는 직선이동부와, 상기 직선이동부에 결합되어 소정 범위 내에서 회동되고 상기 송수관이 연결되는 회동부와, 상기 직선이동부와 회동부 사이에 설치되어 둘 사이를 연통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직선이동부의 선단을 개재하여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가이드 캡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 캡이 결합되어 상기 직선이동부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 및 상기 회동부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회동부가 일정 범위 내에서만 회동되도록 제한하는 제1스토퍼와, 상기 제1스토퍼에 비해 본체의 중앙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스토퍼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는 제2스토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내부비데는 상기 메인비데의 측면에 위치된 제1비데와 그에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제2비데로 이루어지고, 제1비데와 제2비데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비데 또는 제2비데로 물이 공급될 때 상기 손잡이부를 각각 전후 이동시키는 실린더 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일측에 컨트롤부가 구비되고 좌변기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좌변기의 측부를 따라 전방으로 일정 정도 돌출되는 2개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돌출부 끝부분에 설치되어 돌출부를 좌변기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세정부로 작용하는 상기 본체의 중앙 돌출부 하측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메인비데와, 장 내부 또는 질 내부중 어느 하나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비데와, 상기 내부비데의 위치 및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좌변기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본체의 돌출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도수로가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돌출부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전후 이동되고 상기 손잡이가 관통되는 한쌍의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물의 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가이드 블록을 전후 이동시키는 한쌍의 실린더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 부재는, 상기 본체의 돌출부 후방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 위치되고 선단이 상기 가이드 블록에 결합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외삽되어 물의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피스톤을 후퇴시켜 상기 가이드 블록을 초기 위치로 환원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실린더의 후방측에 결합되고 입수구 및 출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의 후방측에 나사 결합되는 실린더 캡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캡은 도수관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도수관이 연결되지 않은 입수구 및 출수구에는 역수 방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역수방지부는, 상기 실린더 캡의 입수구 및 출수구에 나사 결합되고 중앙에 구멍이 구비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구멍을 막아 물의 흐름을 차단하고 외경이 상기 입수구 및 출수구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가이드 홀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끝 부분이 구부러진 형태의 가이드 바,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차단판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내부비데가 좌변기의 상단에 비해 일정 정도 하측에 위치되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을 관통하여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양단 부분에 소정 길이의 직선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비데는 상기 메인비데를 중심으로하여 상호 대칭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비데와 제2비데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에 형성되는 도수로 역시 2중으로 이루어져 하나는 제1비데에 연통되고 다른 하나는 제2비데에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비데와 제2비데 사이에 메인비데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에는 도수로가 3중으로 형성되어 각각 메인비데와 제1비데 및 제2비데에 연통되도록 할 수 있으며, 좌변기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연결호스를 통해 공급된 물을 분사하는 전방비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비데 및 상기 전방비데는, 물이 분사되는 노즐과, 내측에 가이드 홈이 구비된 실린더와, 상기 노즐에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구비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을 초기 위치로 환원시키는 스프링과, 입수구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는 실린더 캡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정수부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정수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출수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출수조절부의 다른 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기는, 일측에 컨트롤부(C)가 구비되고 좌변기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본체(10)와, 세정부로 작용하는 상기 본체(10)의 중앙 돌출부(11) 하측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메인비데(15)와, 장 내부 또는 질 내부중 어느 하나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비데(30)(40)와, 상기 메인비데(15) 또는 내부비데(30)(40)를 통해 토출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부(20)와, 상기 컨트롤부(C)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비데(15) 혹은 내부비데(30)(40)에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출수조절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수부(20)는 상기 컨트롤부(C)의 온도조절부(12)와 수압조절부(13)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온도조절부(12)로부터 유입된 물을 1차적으로 필터링 하는 필터(21a) 및 상기 필터(21a)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필터링된 물의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활성탄 필터(21b)로 이루어진 필터부(21)와, 상기 필터부(21)의 상측에 설치되고 살균기(22')가 구비되어 살균후 상기 수압조절부(13)로 물을 유출시키는 살균부(2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출수조절부(14)는 내부가 복수의 권역으로 구분되고 각 권역마다 별도의 출수구(14j)가 구비된 바디(14a)와, 상기 바디(14a)의 상측에서 패킹(14e)을 개재하여 상기 바디(14a)에 결합되고 각 권역에 대응되는 구멍이 복수개 형성된 분배판(14d)과, 상기 분배판(14d)의 상측에 위치되어 회전되고 상기 분배판(14d)의 구멍에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된 회전판(14g)과, 입수구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14a)에 나사 결합되는 뚜껑(14b)과, 상기 뚜껑(14b)의 상단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단은 조작노브(14c)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회전판(14g)에 결합되는 연결구(14f)와, 상기 연결구(14f)의 하측에 끼워져 상기 회전판(14g)을 상기 분배판(14d)에 밀착시키는 스프링(14h)과, 상기 연결구(14f)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14h)을 지지하는 스프링 시트(14i)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출수조절부(14)의 출수구(14j)에 연통되는 출수관(16)을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출수구(14j) 및 출수관(16)의 수는 실제 비데의 수보다 많게 형성되고, 사용되지 않는 출수관(16)은 출수관 캡(17)에 의해 닫혀 있도록 한다. 즉, 도 4와 같이 바디(14a)의 내부를 4개의 권역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바디(14a)의 내부를 5개의 권역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부비데(30)(40)는 필요에 따라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조절부재(50)(60)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조절부재(50)(60)는 상기 내부비데(30)(40)를 상기 본체(10)의 하부로 감추거나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비데(30)(40)를 전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부비데(30)(40)는 상기 위치조절부재(50)(60)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는정수부에 의해 정화된 물을 메인비데 및 내부비데를 통해 분사하여 비데 기능 및 내부 세정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은 온도조절부(12)에서 온도가 조절된 후 정수부(2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즉, 필터(21a)와 활성탄 필터(21b)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물이 살균기(22')에 의해 살균되므로, 정화가 완료된 물이 수압조절부(13)에서 수압이 조절된 후 출수조절부(14)를 통과하면서 출수방향이 결정된다. 상기 출수조절부(14)는 조작노브(14c)의 회전에 따라 회전판(14g)이 회전되어 분배판(14d)의 구멍과 회전판(14g)의 구멍이 일치되었을 때 하나의 출수구(14j)를 통해 물이 배출된다.
상기 출수구(14j)를 통해 배출된 물은 출수구(14j)에 연결된 메인비데(15) 또는 내부비데(30)(40)를 통해 분출되며, 본체(10)의 출수관(16)을 통해 샤워기(S) 등의 외부장치로 공급되기도 한다. 상기 메인비데(15)는 사용자의 후방 아래쪽에서 물을 분사하여 항문 등을 씻어 내게 되며, 상기 내부비데(30)(40)는 사용자의 장 또는 질 내부로 삽입되는 항균 실리콘 호스(32)(42)를 이용하여 내부 세정을 실시한다. 이러한 구성은 하기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된다.
이때, 상기 내부비데(30)(40)는 평상시에는 본체(10)의 하부에 위치되고, 사용시에만 좌변기의 중앙측으로 이동된다. 이를 위하여 본체(10)에 설치된 위치조절부재(50)(60)는 내부비데(30)(40)를 회전시키거나 전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부비데(10)는 상기 위치조절부재(50)(60)에 대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바, 상기 내부비데(30)(40)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위치조절부재(50)(6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제1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제1위치조절부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9는 제2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제2위치조절부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비데(30)는 상기 본체(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1개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위치조절부재(50)는 상기 내부비데(30)에 연결되어 내부비데(30)를 전후로 이동시키고 일정 범위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비데(30)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내부비데(30)는 상기 위치조절부재(50)에 대하여 소정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의 제2실시예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내부비데 및 위치조절부재가 2중으로 설치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비데는 항균 실리콘 호스(32)가 장 또는 질 중 어느 하나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비데(30)와, 항균 실리콘 호스(42)가 장 또는 질 중 다른 하나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비데(40)로 구분되고, 상기 제1비데(30)의 위치조절을 위한 제1위치조절부재(50)와, 상기 제2비데(40)의 위치조절을 위한 제2위치조절부재(6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위치조절부재(50)는, 항균 실리콘 호스(32)를 구비한 비데 본체(31)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도수관(52)이 구비되는 지지부재(51)와, 상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53)와, 상기 실린더(53)의 내부에 위치되어 수압에 의해 전후 이동되고 상기 지지부재(51)에 결합되는 피스톤부재(54)와, 상기 피스톤부재(54)에 삽입되어 수압이 약해지면 상기 피스톤부재(54)를 초기 위치로 환원시키는 스프링부재(55)와, 상기 실린더(53)의 후방에서 결합되고 물 유입구가 구비된 실린더 캡(56)을 포함한다.
상기 제2위치조절부재(60)는 상기 제2비데(40)가 제1비데(30)에 비해 전방에 위치되도록 제1위치조절부재(50)에 비해 다단 구조로 이루어지며, 항균 실리콘 호스(42)를 구비한 비데 본체(41)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도수관(62)이 구비되는 지지부재(61)와, 상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63)와, 상기 실린더(63)의 내부에 위치되어 수압에 의해 전후 이동되는 피스톤 실린더(64)와, 상기 피스톤 실린더(64)의 내부에 위치되어 수압에 의해 전후 이동되고 상기 지지부재(61)에 결합되는 피스톤부재(65)와, 상기 피스톤 실린더(64) 및 피스톤부재(65)에 각각 삽입되어 수압이 약해지면 상기 피스톤 실린더(64) 및 피스톤부재(65)를 초기 위치로 환원시키는 스프링부재(66)와, 상기 실린더(63)의 후방에서 결합되고 물 유입구가 구비된 실린더 캡(67)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르면, 내부비데(30)(40)로 물이 공급될 때 내부비데(30)(40)를 좌변기의 중앙 부분에 위치시키고 필요한 각도로 내부비데(30)(4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출수조절부(14)로부터 내부비데(30)(40)로 물이 공급되면 내부비데(30)(40)가 전진되고, 이 상태에서 내부비데(30)(40)를 적절한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내부비데(30)(40)를 좌변기의 중앙 부분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위치조절부재(50)(60)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내부비데(30)(40)를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필요한 각도로 내부비데(30)(40)를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면에서 후방측에 위치된 제1비데(30)는 제1위치조절부재(50)에 의해 전후 이동되거나 회전될 수 있다. 제1비데(30)로 물이 공급되려면 먼저 실린더(53)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어 피스톤부재(54)를 전진시키게 되고, 상기 피스톤부재(54)의 전진에 따라 제1비데(30) 역시 전진하여 좌변기의 중앙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53)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제1비데(3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비데(30)의 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지지부재(51)에 대하여 제1비데(30)를 소정 각도로 회동시켜 제1비데(30)의 설치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53)로 공급된 물은 피스톤부재(54)의 내부 및 상기 지지부재(51)에 구비된 도수관(52)을 통해 제1비데(30)의 내부로 공급되며, 외부로 인출되어 장 또는 질 내부로 삽입된 제1비데(30)의 항균 실리콘 호스(32)를 통해 장 또는 질 내부로 분출되어 내부세정을 실시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서 전방측에 위치된 제2비데(40)는 제2위치조절부재(60)에 의해 전후 이동되거나 회전될 수 있다. 제2비데(40)로 물이 공급되려면 먼저 실린더(63)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어 피스톤 실린더(64)와 피스톤부재(65)를 순차적으로 전진시키게 되고, 상기 피스톤 실린더(64)와 피스톤부재(65)의 전진에 따라 제2비데(40) 역시 전진하여 좌변기의 중앙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64)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제2비데(4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2비데(40)의 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지지부재에 대하여 제2부재(40)를 소정 각도로 회동시켜 제2비데(40)의 설치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비데(30)와 제2비데(40)는 상기 메인비데(15)를 중심으로 대향되어 있으므로, 그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 된다.
물론, 상기 제1비데(30) 또는 제2비데(40)로의 물 공급이 중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피스톤부재(54)(65) 또는 피스톤 실린더(64)에 설치된 스프링부재(55) (66)에 의해 제1비데(30)와 제2비데(40)가 초기 위치로 환원되고, 제1비데(30)와 제2비데(40)를 회전시켜 본체(10)의 하부로 감출 수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내부비데(30)(40)가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반적인 좌변기로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제1비데(30) 또는 제2비데(4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원하는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이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상기 내부비데(30)(40)의 구조는 다음과 같이 3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내부비데의 제1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내부비데의 제2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내부비데의 제3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에 사용되는 내부비데(30)(40)의 제1예는, 상기 본체(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위치조절부재(50)(60)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 비데 본체(31)(41)와, 상기 비데 본체(31)(41)로부터 인출되어 장 또는 질 내부로 삽입되는 항균 실리콘 호스(32)(42)와, 상기 항균 실리콘 호스(32)(42)의 외주에 결합된 실링부재(39)(49)를 개재하여 상기 비데 본체(31)(41)의 끝단에 결합되고 항균 실리콘 호스(32)(42)를 지지하는 출수구 캡(33)(43)과, 상기 항균 실리콘 호스(32)(42)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출수구 캡(33)(43) 외부로 항균 실리콘 호스(32)(42)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부재(34)(44)와, 상기 항균 실리콘 호스(32)(42)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부재(34)(44)에 결합되어 고정부재(34)(44)를 지지하는 고정 링(37)(47)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비데(30)(40)는, 상기 비데 본체(31)(41)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항균 실리콘 호스(32)(42)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비데 캡(35)(45)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내부비데는 물의 공급에 따라 항균 실리콘 호스가 인출되어 장 또는 질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항균 실리콘 호스(32)(42)가 인출될 때 그 하단의 고정부재(34)(44)와 출수구 캡(33)(43)에 의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되며, 상기 비데 본체(31)(41)에 비데 캡(35)(45)이 결합되어 상기 항균 실리콘 호스(32)(4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적용된 내부비데의 제2예는 상기한 제1예와 대체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항균 실리콘 호스(32)(42)의 외측에 스프링(36)(46)을 삽입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항균 실리콘 호스(32)(42) 외측의 스프링(36)(46)이 상기 고정부재(34)(44)에 의해 지지되며, 물이 공급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항균 실리콘 호스(32)(42)를 초기 위치로 환원시키게 된다.
또, 내부비데는 제3예와 같이 진동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진동형의 내부비데(30')는, 상기 본체(3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위치조절부재(50)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 비데 본체(31')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나사 결합되고 내부에 진동기(37")가 구비되는 진동기 캡(37')과, 상기 진동기(37")의 하부에 설치되어 진동기(37")의 진동을 흡수하는 스프링(38")과, 상기 비데 본체(31')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장 또는 질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진동기(37")의 진동을 이용하여 물에 파동을 발생시킨 후 물을 분사하는 진동 삽입기(38)와, 상기 진동 삽입기(38)의 외측에서 삽입되고 상기 비데 본체(31')에 결합되어 진동 삽입기(38)를 지지하는 출수구 캡(33')과, 상기 진동기(37")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 삽입기(38)로 진동을 전달하는 연결부재(3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 삽입기(38)는 상기 비데 본체(31')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끝단 부분에 돌출부(32")가 구비되는 항균 실리콘 호스(32')와, 상기 항균 실리콘 호스(32') 내부에 위치되고 끝단 부분이 상기 연결부재(39')에 결합되어 물에 파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바(38')와, 상기 비데 본체(31')에 결합되고 항균 실리콘 호스(32')의 돌출부(32")를 이용하여 상기 항균 실리콘 호스(32')가 비데 본체(31') 내부로 진입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부재(3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진동 삽입기(38)는 상기 비데 본체(31')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진동 삽입기(38)가 이탈되었을 때 상기 비데 본체(31')에 결합되는 비데 캡(35')을 더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동형 내부비데는 진동기의 진동을 이용하여 물에 파동을 발생시킴으로써 물의 결합을 초기화하여 정수 효과를 향상시키게 된다.
진동기(37")에서 발생된 진동이 연결부재(39')를 통하여 진동 바(38')로 전달되고, 상기 진동 바(38')는 항균 실리콘 호스(32') 내부에서 진동되어 물에 파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오염 등에 의하여 비정상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물 분자의 결합이 정상화된다. 따라서, 장 또는 질 내부로 분사되는 물의 세정 효과 등이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내부비데(30) (4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의 제3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4는 제3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제1회전수단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5는 제4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6은 제4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제2회전수단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는, 상기 내부비데(30)(40)를 상기 본체(10)의 하부로 감추거나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수단(80)(9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수단(80)(90)은, 사용자가 손잡이(81)(91)를 이용하여 직접 내부비데(30)(40)의 위치를 조절하는 수동방식과, 물의 공급에 따라 내부비데(30)(40)의 위치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자동방식 및 상기 수동방식과 자동방식이 혼용되어 사용되는 혼용구조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작동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혼용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내부비데(30)(40)는 항균 실리콘 호스가 장 또는 질 내부중 어느 하나로 삽입되는 제1비데(30)와, 항균 실리콘 호스가 질 내부중 다른 하나로 삽입되는 제2비데(40)로 구분되고, 상기 제1비데(30)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수단(90)과, 상기 제2비데(40)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수단(8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회전수단(80)은, 항균 실리콘 호스를 구비하는 제2비데(40)로 물을 공급하고 제2비데(40)에 힌지 고정되는 도수관로(83)와, 상기 도수관로(83)에 연통되고 손잡이(81)에 연결되어 전후 이동되는 분배관(82)과, 상기 본체(10)에 고정된 실린더(84)의 내부에 위치되고 도수 파이프(86)를 통해 공급된 분배관(82)의 물에 의해 전후 이동되면서 분배관(82)을 이동시키는 피스톤부재(85)를 포함한다.
상기 제2회전수단(90)은, 항균 실리콘 호스를 구비하는 제1비데(30)로 물을 공급하고 제1비데(30)에 힌지 고정되는 도수관로(93)와, 물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도수관로(93)가 결합되는 분배관(92)과, 실린더(94)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되고 상기 분배관(92)에 연통된 피스톤 캡(96)이 결합되는 피스톤부재(95)와, 상기 실린더(94)와 손잡이(91)를 연결하는 로드(97)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피스톤 부재(85)(95)의 외주에는 스프링(도시 생략)이 삽입되어 물이 공급되지 않으면 초기 위치로 환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는 손잡이를 조작하여 내부비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물의 공급에 따라 작동되는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손잡이(81)(91)를 전후로 이동시키면 본체(10)에 힌지 고정된 도수관로(83) (93)로 인해 도수관로(83)(93)의 끝 부분에 결합된 제1비데(30) 또는 제2비데(40)가 회전되어 좌변기의 중앙 부분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81)(91)를 움직이지 않더라도 분배관(82)(92)을 통해 실린더(84)(94)의 내부로 공급된 물에 의하여 피스톤부재(85)(95)가 전진되어 제1비데(30) 또는 제2비데(40)를 회전시키게 되며, 물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는 스프링에 의해 피스톤부재(85)(95)가 후퇴하게 되므로 제1비데(30) 또는 제2비데(40)가 초기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는 내부비데를 움직이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7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8은 제6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19는 제6실시예의 요부인 손잡이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는, 일측에 컨트롤부(C)가 구비되고 좌변기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컨트롤부(C)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좌변기의 전방으로 일정 정도 돌출된 돌출부(18)를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돌출부(18) 끝부분에 설치되어 돌출부(18)를 좌변기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9)와, 세정부로 작용하는 상기 본체(10)의 중앙 돌출부(11) 하측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메인비데(15)와, 장 내부 또는 질 내부중 어느 하나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비데(100)(105)와, 상기 본체(10)의 돌출부(18)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비데(100)(105)의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내부비데(100)(105)로 물을 공급하는 위치조절부재(110)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조절부재(110)는, 일단이 상기 돌출부(18)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내부비데(100)에 연결되며 내부비데(100)와 연통되는 도수관로(117)가 내부에 형성되는 수차례 굴곡된 형태의 손잡이(111)와, 상기 본체(10)의 돌출부(18)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1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10)의 돌출부(18)에 좌변기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112)과, 상기 가이드 홈(112) 내부에서 전후 이동되고 상기 손잡이(111)가 관통되는 슬롯 홀(113)이 구비된 가이드 블록(11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비데는 일정 거리 이격되는 제1비데(100)와 제2비데(105)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111)에 형성되는 도수관(117)로 역시 2중으로 이루어져 하나는 제1비데(100)에 연통되고 다른 하나는 제2비데(105)에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비데(100)는 상기 손잡이(111)에 티(Tee;115)로 연결되고, 상기 제2비데(105)는 상기 티(115)에 엘보우(Elbow;116)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는 손잡이의 조작을 통해 내부비데를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동시에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내부비데(100)(105)는 본체(10)의 하부에 위치되나 손잡이(111)를 이용하여 가이드 블록(113)을 가이드 홈(112)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좌변기의 중앙 부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111)를 가이드 블록(113)의 슬롯 홀(114)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내부비데(100)(105)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어, 상기 손잡이(111)를 잡고 상기 가이드 블록(113)의 슬롯 홀(114)을 중심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내부비데(100)(105)의 설치각도를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정한다. 이때, 손잡이의 내부에 있는 도수관(117)을 통해 제1비데(100) 또는 제2비데(105)로 물을 공급하여 장 또는 질 내부를 세정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세정이 가능한 내부비데(100)(105)의 위치 및 설치 각도를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제1비데(100) 또는 제2비데(105)로 물이 공급될 때 상기 가이드 블록(113)을 상기 가이드 홈(112) 내부에서 전후 이동시키는 실린더 부재(도시 생략)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111)를 이용하여 가이드 블록(113)을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물의 공급에 따라 자동으로 가이드 블록(113)이 이동되어 제1비데(100) 또는 제2비데(105)를 좌변기의 중앙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손잡이(111)만을 이용하는 수동방식과 실린더 부재만을 이용하는 자동방식 및 2가지 방식이 혼합되어 사용되는 혼용방식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도 20은 본 고안의 제7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1은 제8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일측에 컨트롤부(C)가 구비되고 좌변기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본체(10)와, 세정부로 작용하는 상기 본체(10)의 중앙 돌출부(11) 하측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메인비데(15)와, 장 내부 또는 질 내부중 어느 하나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비데와, 상기 본체(10)를 따라 좌우 이동되고 내부에 도수로가 형성된 손잡이부(120)와, 상기 손잡이부(120)와 상기 내부비데를 연통시키는 송수관(125)과,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부(1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120)는 상기 본체(10)를 따라 직선 이동되는 직선이동부(121)와, 상기 직선이동부(121)에 결합되어 소정 범위 내에서 회동되고 상기 송수관(125)이 연결되는 회동부(122)와, 상기 직선이동부(121)와 회동부(122) 사이에 설치되어 둘 사이를 연통시키는 연결부(123)와, 상기 직선이동부(121)의 선단을 개재하여 상기 연결부(123)의 상단에 결합되는 가이드 캡(124)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 캡(124)이 결합되어 상기 직선이동부(121)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록(126)과, 상기 가이드블록(126) 및 상기 회동부(122)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회동부(122)가 일정 범위 내에서만 회동되도록 제한하는 제1스토퍼(127)와, 상기 제1스토퍼(127)에 비해 본체의 중앙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스토퍼(127)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는 제2스토퍼(128)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는 손잡이를 이용하여 내부비데를 본체를 따라 직선이동시킨 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내부비데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즉, 손잡이부(120)를 본체를 따라 이동시키게 되면, 가이드블록(126)에 결합된 가이드 캡(124)에 의해 직선 이동하게 되며, 이후 내부비데(100)(105)를 잡아 회전시키게 되면 손잡이부(120)의 연결부(123)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부(122)가 회전된다. 이때, 가이드블록(126)은 상기 회동부(122)와 함께 회전되며, 제1스토퍼(127) 및 제2스토퍼(128)에 의해 상기 회동부(122)의 과다한 회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내부비데(100)(105)의 위치를 직접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상기 제1비데(100) 또는 제2비데(105)로 물이 공급될 때 상기 손잡이부를 각각 전후 이동시키는 실린더 부재(도시 생략)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120)를 수동으로 직접 작동시키지 않아도 실린더 부재에 의해 자동으로 손잡이부(120)가 전후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손잡이부(120)를 직접 움직이는 수동방식과 실린더 부재만을 이용하는 자동방식 및 2가지 방식이 혼합되어 사용되는 혼용방식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 상기 내부비데는 상기 메인비데(15)의 측면에 위치된 제1비데(100)와 그에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제2비데(105)로 이루어지고, 제1비데(100)와 제2비데(105)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비데(100)와 제2비데(105)를 움직이는 손잡이부(120)의 구성 및 작용은 거의 동일하며, 거리 차이로 인하여 직선 이동부(121)의 길이 및 형태가 달라진다.
도 22는 본 고안의 제9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3은 제10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24는 제10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실린더 부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의 제11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6은 제11실시예의 요부구성인 메인비데 및 전방비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의 제9실시예에 따르면, 일측에 컨트롤부(C)가 구비되고 좌변기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좌변기의 측부를 따라 전방으로 일정 정도 돌출되는 2개의 돌출부(18)를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돌출부(18) 끝부분에 설치되어 돌출부(18)를 좌변기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9)와, 세정부로 작용하는 상기 본체(10)의 중앙 돌출부(11) 하측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메인비데(15)와, 장 내부 또는 질 내부중 어느 하나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비데(100)와, 상기 내부비데(100)의 위치 및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조절부재(130)는, 좌변기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본체(10)의 돌출부(18)에 설치되고 내부에 도수로가 형성된 손잡이(131)와, 상기 돌출부(18)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홈(132)을 따라 전후 이동되고 상기 손잡이(131)가 관통되는 한쌍의 가이드 블록(133)과, 물의 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가이드 블록(133)을 전후 이동시키는 한쌍의 실린더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부재는, 상기 본체(10)의 돌출부(18) 후방에 설치되는 실린더(134)와, 상기 실린더(134) 내부에 위치되고 선단이 상기 가이드 블록(133)에 결합되는 피스톤(135)과, 상기 피스톤(135)에 외삽되어 물의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피스톤(135)을 후퇴시켜 상기 가이드 블록(133)을 초기 위치로 환원시키는 스프링(136)과, 상기 실린더(134)의 후방측에 결합되고 입수구 및 출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134)의 후방측에 나사 결합되는 실린더 캡(137)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 캡(137)은 도수관(138)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도수관(138)이 연결되지 않은 입수구 및 출수구에는 역수 방지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역수방지부(140)는, 상기 실린더 캡(137)의 입수구 및 출수구에 나사 결합되고 중앙에 구멍이 구비된 지지부재(141)와, 상기 지지부재(141)에 형성된 구멍을 막아 물의 흐름을 차단하고 외경이 상기 입수구 및 출수구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차단판(142)과, 상기 차단판(142)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141)에 형성된 가이드 홀(141')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재(14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끝 부분이 구부러진 형태의 가이드 바(144)와, 상기 지지부재(141)와 상기 차단판(142)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14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131)는, 상기 내부비데(100)가 좌변기의 상단에 비해 일정 정도 하측에 위치되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133)을 관통하여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양단 부분에 소정 길이의 직선부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는 손잡이를 이용하여 내부비데를 전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고, 동시에 내부비데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설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손잡이(131)를 잡고 가이드 블록(133)을 전후 이동시키게 되면 내부비데(100)를 본체(10)의 하부 또는 좌변기의 중앙 부분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131)를 회전시켜 내부비데(10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131)를 잡아 빼거나 밀어 넣음으로써 내부비데(100)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비데(100)의 좌우 이동량은 상기 손잡이(131)의 직선부 길이 및 가이드 블록(133)의 크기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131)를 이용하여 가이드 블록(131)을 전후 이동시키는 대신에 실린더부재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이용하여 가이드 블록(131)을 이동시킴으로써 내부비데(100)의 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실린더(134)의 내부로 유입된 물에 의하여 피스톤(135)이 전진되어 가이드 블록(133)을 전진시킬 수 있으며, 물의 공급이 차단되면 스프링(136)에 의해 피스톤(135)이 후퇴하게 되므로 가이드 블록(133) 역시 후퇴되어 내부비데(100)가 본체(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134) 내부의 물은 스프링(136)의 탄성력에 의해 천천히 빠져 나가게 되며, 역수 방지부(140)로 인해 출수조절부(14) 등으로 역류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체(10)에 형성된 다수의 출수관(16)은 이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출수관 캡(17)에 의해 닫혀 있게 되고, 샤워기(S) 등의 외부장치로 물을 공급하기도 한다. 이는 본 실시예 뿐만 아니라 모든 실시예에 동시에 적용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10실시예는 제9실시예와 대체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내부비데(100)(105)는 상기 메인비데(15)를 중심으로하여 상호 대칭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비데(100)와 제2비데(105)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131)에 형성되는 도수로 역시 2중으로 이루어져 하나는 제1비데(100)에 연통되고 다른 하나는 제2비데(105)에 연통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제10실시예는, 제9실시예와 동일하며 단지 비데의 숫자가 증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제11실시예는 제9실시예 및 제10실시예와 대체적으로 동일하지만, 메인비데가 본체에 설치되는 대신 손잡이에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제1비데(100)와 제2비데(105) 사이에 메인비데(106)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131)에는 도수로가 3중으로 형성되어 각각 메인비데(106)와 제1비데(100) 및 제2비데(105)에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좌변기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고정부재(107)에 의해 고정되고 연결호스(108)를 통해 공급된 물을 분사하는 전방비데(10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비데(106) 및 상기 전방비데(106')는, 물이 분사되는 노즐(106a)과, 내측에 가이드 홈이 구비된 실린더(106b)와, 상기 노즐(106a)에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106b)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106f)가 구비된 피스톤(106c)과, 상기 피스톤(106c)의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106c)을 초기 위치로 환원시키는 스프링(106d)과, 입수구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106b)에 결합되는 실린더 캡(106e)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1실시예에 따르면, 제9실시예와 대체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메인비데(106)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전방비데(106')를 이용하여 여성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메인비데(106) 또는 전방비데(106') 측으로 물이 공급되면, 손잡이(131) 또는 좌변기에 고정 설치된 실린더(106b) 내부의 피스톤(106c)이 전진하여 노즐(106a)을 좌변기의 아래 방향으로 밀어 내게 된다. 따라서, 노즐(106a)은 초기 위치보다 아래쪽에서 물을 분사하여 비데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106c)이 가이드 홈에 삽입된 돌출부(106f)로 인해 직선 이동되므로, 노즐(106a)이 회전되는 일은 발생되지 않는다.
물론, 물의 공급이 차단되면 스프링(106d)에 의해 피스톤(106c)이 후퇴하게 되고, 그 결과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는 메인비데(106) 및 전방비데(106')의 크기를 작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필터 및 살균을 통해 정화된 물을 내부비데(30)(40)를 이용하여 장 또는 질 내부로 분사하여 내부 세정이 가능하게 되므로 여성의 청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출수조절부(14)를 통해 다수의 비데로 물을 공급하되 사용되지 않는 출수관(16)을 이용하여 외부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 용도가 증가되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내부비데(30)(40)의 항균 실리콘 호스(32)(42)를 장 또는 질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어 내부 세정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진동형 내부비데(30')를 사용할 경우 비정상적인 결합을 이루고 있는 물이라 하더라도 그 결합이 정상적으로 바뀌게 되어 인체에 더욱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고안의 좌변기용 비데기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의 위치조절부재를 이용하여 내부비데(30)(40)의 위치 및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정수부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정수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출수조절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출수조절부의 다른 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제1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제1위치조절부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9는, 제2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제2위치조절부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내부비데의 제1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내부비데의 제2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내부비데의 제3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의 제3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14는, 제3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제1회전수단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의 제4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16은, 제4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제2회전수단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의 제5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18은,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의 제6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19는, 제6실시예의 요부 구성인 손잡이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20은,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의 제7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21은,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의 제8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22는,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의 제9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23은,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의 제10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24는, 제10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실린더 부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25는,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용 비데기의 제11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26은, 제11실시예의 요부구성인 메인비데 및 전방비데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4: 출수조절부
15: 메인비데 18: 돌출부
19: 고정부재 C: 컨트롤부
20: 정수부 30,30',40: 내부비데
50,60: 위치조절부재 80,90: 회전수단
110: 위치조절부재 120: 손잡이부
130: 위치조절부재 140: 역수방지부

Claims (45)

  1. 일측에 컨트롤부(C)가 구비되고 좌변기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본체(10)와, 세정부로 작용하는 상기 본체(10)의 중앙 돌출부(11) 하측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메인비데(15)와, 장 내부 또는 질 내부중 어느 하나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비데(30)(40)와, 상기 메인비데(15) 또는 내부비데(30)(40)를 통해 토출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부(20)와, 상기 컨트롤부(C)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비데(15) 혹은 내부비데(30)(40)에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출수조절부(14)와, 상기 내부비데(30)(40)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조절부재(50)(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부(20)는, 상기 컨트롤부(C)의 온도조절부(12)와 수압조절부(13)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온도조절부(12)로부터 유입된 물을 1차적으로 필터링 하는 필터(21a) 및 상기 필터(21a)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필터링된 물의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활성탄 필터(21b)로 이루어진 필터부(21)와, 상기 필터부(21)의 상측에 설치되고 살균기(22')가 구비되어 살균후 상기 수압조절부(13)로 물을 유출시키는 살균부(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조절부(14)는, 내부가 복수의 권역으로 구분되고 각 권역마다 별도의 출수구(14j)가 구비된 바디(14a)와, 상기 바디(14a)의 상측에서 패킹(14e)을 개재하여 상기 바디(14a)에 결합되고 각 권역에 대응되는 구멍이 복수개 형성된 분배판(14d)과, 상기 분배판(14d)의 상측에 위치되어 회전되고 상기 분배판(14d)의 구멍에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된 회전판(14g)과, 입수구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14a)에 나사 결합되는 뚜껑(14b)과, 상기 뚜껑(14b)의 상단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단은 조작노브(14c)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회전판(14g)에 결합되는 연결구(14f)와, 상기 연결구(14f)의 하측에 끼워져 상기 회전판(14g)을 상기 분배판(14d)에 밀착시키는 스프링(14h)과, 상기 연결구(14f)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14h)을 지지하는 스프링 시트(14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출수조절부(14)의 출수구(14j)에 연통되는 출수관(16)을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출수구(14j) 및 출수관(16)의 수는 실제 비데의 수보다 많게 형성되고, 사용되지 않는 출수관(16)은 출수관 캡(17)에 의해 닫혀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비데(30)(40)는, 상기 본체(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위치조절부재(50)(60)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 비데 본체(31)(41)와, 상기 비데 본체(31)(41)로부터 인출되어 장 또는 질 내부로 삽입되는 항균 실리콘 호스(32)(42)와, 상기 항균 실리콘 호스(32)(42)의 외주에 결합된 실링부재(39)(49)를 개재하여 상기 비데 본체(31)(41)의 끝단에 결합되고 항균 실리콘 호스(32)(42)를 지지하는 출수구 캡(33)(43)과, 상기 항균 실리콘 호스(32)(42)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출수구 캡(33)(43) 외부로 항균 실리콘 호스(32)(42)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부재(34)(44)와, 상기 항균 실리콘 호스(32)(42)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부재(34)(44)에 결합되어 고정부재(34)(44)를 지지하는 고정 링(37)(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비데(30)(40)는, 상기 항균 실리콘 호스(32)(42)의 외측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재(34)(44)에 의해 지지되어 항균 실리콘 호스(32)(42)를 초기 위치로 환원시키는 스프링(36)(46)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비데는 진동형 내부비데(30')로서, 상기 본체(3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위치조절부재(50)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 비데 본체(31')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나사 결합되고 내부에 진동기(37")가 구비되는 진동기 캡(37')과, 상기 진동기(37")의 하부에 설치되어 진동기(37")의 진동을 흡수하는 스프링(38")과, 상기 비데 본체(31')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장 또는 질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진동기(37")의 진동을 이용하여 물에 파동을 발생시킨 후 물을 분사하는 진동 삽입기(38)와, 상기 진동 삽입기(38)의 외측에서 삽입되고 상기 비데 본체(31')에 결합되어 진동 삽입기(38)를 지지하는 출수구 캡(33')과, 상기 진동기(37")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 삽입기(38)로 진동을 전달하는 연결부재(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삽입기(38)는, 상기 비데 본체(31')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끝단 부분에 돌출부(32")가 구비되는 항균 실리콘 호스(32')와, 상기 항균 실리콘 호스(32') 내부에 위치되고 끝단 부분이 상기 연결부재(39')에 결합되어 물에 파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바(38')와, 상기 비데 본체(31')에 결합되고 항균 실리콘 호스(32')의 돌출부(32")를 이용하여 상기 항균 실리콘 호스(32')가 비데 본체(31') 내부로 진입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부재(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재(50)(60)는, 항균 실리콘 호스(32)(42)를 구비한 비데 본체(31)(41)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도수관(52)(62)이 구비되는 지지부재(51)(61)와, 상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53)(63)와, 상기 실린더(53)(63)의 내부에 위치되어 수압에 의해 전후 이동되고 상기 지지부재(51)(61)에 결합되는 피스톤부재(54)(65)와, 상기 피스톤부재(54)(65)에 삽입되어 수압이 약해지면 상기 피스톤부재(54)(65)를 초기 위치로 환원시키는 스프링부재(55)(66)와, 상기 실린더(53)(63)의 후방에서 결합되고 물 유입구가 구비된 실린더 캡(56)(6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19. 삭제
  20. 삭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비데(30)(40)를 상기 본체(10)의 하부로 감추거나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수단(80)(9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80)(90)은, 사용자가 손잡이(81)(91)를 이용하여 직접 내부비데(30)(40)의 위치를 조절하는 수동방식과, 물의 공급에 따라 내부비데(30)(40)의 위치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자동방식 및 상기 수동방식과 자동방식이 혼용되어 사용되는 혼용구조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80)(90)은, 항균 실리콘 호스(31)(41)를 구비하는 내부비데(30)(40)로 물을 공급하고 내부비데(30)(40)에 힌지 고정되는 도수관로(83)(93)와, 상기 도수관로(83)(93)에 연통되고 손잡이(81)(91)에 연결되어 전후 이동되는 분배관(82)(92)과, 상기 본체(10)에 고정된 실린더(84)(94)의 내부에 위치되고 도수 파이프(86)(96)를 통해 공급된 분배관(82)(92)의 물에 의해 전후 이동되면서 분배관(82)(92)을 이동시키는 피스톤부재(85)(9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일측에 컨트롤부(C)가 구비되고 좌변기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컨트롤부(C)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좌변기의 전방으로 일정 정도 돌출된 돌출부(18)를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돌출부(18) 끝부분에 설치되어 돌출부(18)를 좌변기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9)와, 세정부로 작용하는 상기 본체(10)의 중앙 돌출부(11) 하측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메인비데(15)와, 장 내부 또는 질 내부중 어느 하나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비데(100)(105)와, 상기 본체(10)의 돌출부(18)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비데(100)(105)의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내부비데(100)(105)로 물을 공급하는 위치조절부재(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재(110)는, 일단이 상기 돌출부(18)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내부비데(100)에 연결되며 내부비데(100)와 연통되는 도수관로(117)가 내부에 형성되는 수차례 굴곡된 형태의 손잡이(111)와, 상기 본체(10)의 돌출부(18)에 좌변기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112) 내부에서 전후 이동되어 상기 손잡이(11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블록(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29. 삭제
  30. 삭제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114)은, 상기 내부비데(100)(105)로 물이 공급됨에 따라 작동되는 실린더 부재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홈(112) 내부에서 전후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32. 일측에 컨트롤부(C)가 구비되고 좌변기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본체(10)와, 세정부로 작용하는 상기 본체(10)의 중앙 돌출부(11) 하측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메인비데(15)와, 장 내부 또는 질 내부중 어느 하나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비데와, 상기 본체(10)를 따라 좌우 이동되고 내부에 도수로가 형성된 손잡이부(120)와, 상기 손잡이부(120)와 상기 내부비데를 연통시키는 송수관(125)과,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부(1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33. 삭제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 캡(124)이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120)의 직선이동부(121)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록(126)과, 상기 가이드블록(126) 및 상기 손잡이부(120)의 회동부(122)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회동부(122)가 일정 범위 내에서만 회동되도록 제한하는 제1스토퍼(127)와, 상기 제1스토퍼(127)에 비해 본체의 중앙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스토퍼(127)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는 제2스토퍼(12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비데는 상기 메인비데(15)의 측면에 위치된 제1비데(100)와 그에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제2비데(105)로 이루어지고, 제1비데(100)와 제2비데(105)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비데(100) 또는 제2비데(105)로 물이 공급될 때 상기 손잡이부(120)를 각각 전후 이동시키는 실린더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36. 일측에 컨트롤부(C)가 구비되고 좌변기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좌변기의 측부를 따라 전방으로 일정 정도 돌출되는 2개의 돌출부(18)를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돌출부(18) 끝부분에 설치되어 돌출부(18)를 좌변기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9)와, 세정부로 작용하는 상기 본체(10)의 중앙 돌출부(11) 하측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메인비데(15)와, 장 내부 또는 질 내부중 어느 하나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비데(100)(105)와, 상기 내부비데(100) (105)의 위치 및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재(130)는, 좌변기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본체(10)의 돌출부(18)에 설치되고 내부에 도수로가 형성된 손잡이(131)와, 상기 돌출부(18)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홈(132)을 따라 전후 이동되고 상기 손잡이(131)가 관통되는 한쌍의 가이드 블록(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38. 제36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재(130)는, 물의 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가이드 블록(133)을 전후 이동시키는 한쌍의 실린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 부재는, 상기 본체(10)의 돌출부(18) 후방에 설치되는 실린더(134)와, 상기 실린더(134) 내부에 위치되고 선단이 상기 가이드 블록(133)에 결합되는 피스톤(135)과, 상기 피스톤(135)에 외삽되어 물의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피스톤(135)을 후퇴시켜 상기 가이드 블록(133)을 초기 위치로 환원시키는 스프링(136)과, 상기 실린더(134)의 후방측에 결합되고 입수구 및 출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134)의 후방측에 나사 결합되는 실린더 캡(1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39. 삭제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캡(137)은 도수관(138)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도수관(138)이 연결되지 않은 입수구 및 출수구에는 역수 방지부(140)가 구비되며;
    상기 역수방지부(140)는, 상기 실린더 캡(137)의 입수구 및 출수구에 나사 결합되고 중앙에 구멍이 구비된 지지부재(141)와, 상기 지지부재(141)에 형성된 구멍을 막아 물의 흐름을 차단하고 외경이 상기 입수구 및 출수구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차단판(142)과, 상기 차단판(142)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141)에 형성된 가이드 홀(141')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재(14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끝 부분이 구부러진 형태의 가이드 바(144)와, 상기 지지부재(141)와 상기 차단판(142)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비데(100)(105)는 좌변기의 중심에 대하여 상호 대칭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비데(100)와 제2비데(10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비데(100)와 제2비데(105) 사이에는 메인비데(106)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131)에는 도수로가 3중으로 형성되어 각각 메인비데(106)와 제1비데(100) 및 제2비데(105)에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45. 제38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좌변기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고정부재(107)에 의해 고정되고 연결호스(108)를 통해 공급된 물을 분사하는 전방비데(10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비데(106) 및 상기 전방비데(106')는, 물이 분사되는 노즐(106a)과, 내측에 가이드 홈이 구비된 실린더(106b)와, 상기 노즐(106a)에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106b)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106f)가 구비된 피스톤(106c)과, 상기 피스톤(106c)의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106c)을 초기 위치로 환원시키는 스프링(106d)과, 입수구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106b)에 결합되는 실린더 캡(106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기.
KR20-2005-0018992U 2005-06-30 2005-06-30 좌변기용 비데기 KR200399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992U KR200399990Y1 (ko) 2005-06-30 2005-06-30 좌변기용 비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992U KR200399990Y1 (ko) 2005-06-30 2005-06-30 좌변기용 비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7524A Division KR100734063B1 (ko) 2005-06-30 2005-06-30 좌변기용 비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990Y1 true KR200399990Y1 (ko) 2005-11-02

Family

ID=43701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992U KR200399990Y1 (ko) 2005-06-30 2005-06-30 좌변기용 비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9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506B1 (ko) * 2006-12-29 2008-05-26 임영균 퇴수기능이 부가된 비데의 온수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506B1 (ko) * 2006-12-29 2008-05-26 임영균 퇴수기능이 부가된 비데의 온수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2158A (ko) 좌변기용 비데기
US4510630A (en) Mini-bidet
JP3576131B2 (ja) ビデ
KR100217896B1 (ko) 여성세척기와 구강샤워기가 일체로 구비된 온냉수겸용 항문세척기
KR200398076Y1 (ko) 비데 장치
US11879243B2 (en) Bidet washing apparatus with disinfectant wash feature
KR200473266Y1 (ko) 수도직결식 관장기
KR100734066B1 (ko) 좌변기용 비데기
KR200399990Y1 (ko) 좌변기용 비데기
US5659901A (en) Water closet-mounted bidet kit
KR20090055296A (ko) 대장 세척용 의료기
KR100758688B1 (ko) 호스 연결형 비데 장치
KR100970874B1 (ko) 비데의 관장용 노즐
KR100734064B1 (ko) 좌변기용 비데기
KR100734065B1 (ko) 좌변기용 비데기
KR101829679B1 (ko) 여성청결 및 기능성 변비 치료기
TW201035420A (en) Water jet injector for sanitary self-cleaning toilet seat device
KR200473265Y1 (ko) 비데 기능을 갖는 관장기
KR200343784Y1 (ko) 치료제 분사 기능을 구비한 비데
KR20240000532U (ko) 질 세정 기능을 갖는 샤워기
KR20070056952A (ko) 정수기가 구비된 비데 장치
KR20070010396A (ko) 좌욕기
KR20240000973U (ko) 다용도 수동식 비데장치
KR200349287Y1 (ko) 위생세정기
KR100630420B1 (ko) 비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