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840Y1 - 물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기 - Google Patents

물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840Y1
KR200398840Y1 KR20-2005-0021204U KR20050021204U KR200398840Y1 KR 200398840 Y1 KR200398840 Y1 KR 200398840Y1 KR 20050021204 U KR20050021204 U KR 20050021204U KR 200398840 Y1 KR200398840 Y1 KR 200398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e water
storage unit
culture solution
cultur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2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영
박덕재
Original Assignee
최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영 filed Critical 최진영
Priority to KR20-2005-00212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8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8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2031/006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개의 분무장치를 통하여 배양액과 순수한 물을 교대로 분무하도록 하여 물을 분무하는 분무장치에서 가습 효과 외에 배양액을 분무하였던 분무장치를 순수한 물로 세척하여 배양액에 의해 진동자가 손상을 입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식물을 지지층과 여과층에서 2중으로 지지하여 안정된 성장이 가능하도록 한 물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은,
본체의 하단에는 순수한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부를 형성하면서 그 일측 상단에는 배양액 저장부를 형성하고, 타측 상단에는 재배실을 형성하되,
상기 재배실의 상단과 하단에는 활성탄소, 제올라이트, 토르말린, 맥반석 등의 활성 암석을 소정의 두께로 적층한 지지층과 여과층의 2중으로 형성하여 식물을 지지하는 동시에 식물의 뿌리에 흡수되지 않은 잉여 배양액이 상기의 여과층을 통과하는 중에 여과되어 배양액에서 순수한 물에 가까운 상태로 물 저장부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의 배양액 저장부와 물 저장부에서 펌프와 삼방밸브에 의해 제1 분무장치와 제2 분무장치에 순수한 물과 배양액을 교대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의 제1 분무장치와 제2 분무장치의 하단에는 진동자를 설치하여 소량씩 공급되는 순수한 물이나 배양액을 분무시켜 안개와 같은 상태로 상향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분무장치와 제2 분무장치에 하단이 각각 결합된 제1 공급관과 제2 공급관의 상단은 상기의 여과층을 거쳐 재배실의 공간까지 연장하여 분무되는 순수한 물이나 배양액이 계속 공급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기{culture}
본 고안은 물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2개의 분무장치를 통하여 배양액과 순수한 물을 교대로 분무하도록 하여 순수한 물을 분무하는 분무장치에 의한 실내의 가습 효과를 하면서 배양액을 분무하였던 분무장치를 순수한 물로 세척하여 배양액에 의해 진동자가 손상을 입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식물을 지지층과 여과층에서 2중으로 지지하여 안정된 성장이 가능하도록 한 물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무화는 자연적 상태에서 발생하는 안개나 고산지대에 발생하는 구름과 같은 형태를 말하는 것이며, 물(액체)이 미립자화 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서, 소량의 경우에는 기화되고 다량이 접촉할 경우에는 물로 변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무화는 실내 습도 조절을 위하여 초음파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통상적인 기술구성의 가습기를 통하여 배출되는 형태의 것이 자연적인 현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운무와 동일한 것이다.
종래에도 이러한 가습기 원리를 이용하여 관상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종래의 기술적인 내용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경우에는 초음파에 의하여 발생한 운무를 단순히 관체를 통하여 이동시키고, 상기 관체에는 재배하고자 하는 관상식물이 심어진 화분을 여러 곳에 배열하여 걸어둔다.
상기 화분이 위치한 관체에는 운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토출공을 형성하여 초음파에 의하여 발생된 운무가 관상식물이 심어진 화분이나 그 주위에 확산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이미 성장 완료된 관상식물에 수분만을 공급하는 형태에 지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관상식물에 수분 공급을 위하여 제공되는 운무가 실내에도 비산됨으로써 가습이 되는 형태가 된다.
그러므로, 완전하게 식물을 재배하거나 실내 가습을 위한 목적을 충분하게 달성할 수 없게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004년 12월 27일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4-0036915호(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가 제안되었는 바,
이는 박스타입으로 구비되는 케이스의 일측에는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재배실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의 다른 측에는 재배실과 식물재배장치의 외부(실내)로 운무를 공급하기 위한 운무공급기를 구비하였다.
상기 재배실은 케이스에 다단으로 선반을 설치하고, 상기 선반에는 재배할 식물의 씨앗을 발아시켜 어느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싹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채반을 안치하였다.
상기 선반에는 공급된 운무가 다단의 선반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운무유통공이 형성됨은 당연할 것이며, 상기 재배실과 운무공급기 중간에 형성되는 격벽에는 운무공급홀과 운무배출홀을 형성하였다.
상기 운무공급기는 중앙에 운무형성에 필요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물통이 안치될 수 있도록 물통안치구를 구비하고, 상기 물통안치구의 중앙에는 통상적인 초음파를 발생하여 운무를 발생시키기는 진동자와 연통되도록 수위조절밸브를 구비하였다.
상기 수위조절밸브의 상방으로는 원적외선을 방사시키기 위한 게르마늄원석을 안치구를 이용하여 안치하도록 구비하였다.
상기 진동자의 상부에는 진동자에 의하여 발생한 운무를 재배실과 실내로 선택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운무공급홀과 일치하는 운무공급관을 구비하고, 상기 운무배출홀의 위치에는 재배실을 경유한 운무를 배출하기 위한 운무배출관을 설치하였다.
상기 운무공급관은 진동자의 상부로 돌출되어 운무공급홀과 일치하는 공급홀과 상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을 가지는 하부관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관의 상부에서 케이스의 외부까지 연결되는 상부관으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에 의하여서는 배양액을 초음파식 분무기로 분무하거나 펌프를 이용하기 때문에 분무되어진 안개가 배양액 속에 수용된 각종 무기질 성분인 무기질소, 인, 칼륨 등의 금속 이온 성분으로 인해 실내의 가습과 공기청정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더구나 배양액 중에 무기 이온 등은 초음파 진동자에 스케일을 발생시켜 고장과 수명단축 등을 일으키게 되므로 일반 소비자가 장시간 이용할 수 없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2개의 분무장치를 통하여 배양액과 순수한 물을 교대로 분무하도록 하여 순수한 물을 분무하는 분무장치에 의한 실내의 가습 효과를 하면서 배양액을 분무하였던 분무장치를 순수한 물로 세척하여 배양액에 의해 진동자가 손상을 입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물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활성탄소, 제올라이트, 토르말린, 맥반석 등의 활석 암석을 소정의 두께로 적층하면서 지지층과 여과층의 2중으로 형성하여 식물을 2중으로 지지하여 안정된 성장이 가능하도록 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물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기는 본체의 하단에는 순수한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부를 형성하면서 그 일측 상단에는 배양액 저장부를 형성하고, 타측 상단에는 재배실을 형성하되,
상기 재배실의 상단과 하단에는 활성탄소, 제올라이트, 토르말린, 맥반석 등의 활성 암석을 소정의 두께로 적층한 지지층과 여과층의 2중으로 형성하여 식물을 지지하는 동시에 식물의 뿌리에 흡수되지 않은 잉여 배양액이 상기의 여과층을 통과하는 중에 여과되어 배양액에서 순수한 물에 가까운 상태로 물 저장부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의 배양액 저장부와 물 저장부에서 펌프와 삼방밸브에 의해 제1 분무장치와 제2 분무장치에 순수한 물과 배양액을 교대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의 제1 분무장치와 제2 분무장치의 하단에는 진동자를 설치하여 소량씩 공급되는 순수한 물이나 배양액을 분무시켜 안개와 같은 상태로 상향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분무장치와 제2 분무장치에 하단이 각각 결합된 제1 공급관과 제2 공급관의 상단은 상기의 여과층을 거쳐 재배실의 공간까지 연장하여 분무되는 순수한 물이나 배양액이 계속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그러므로 활성탄소, 제올라이트, 토르말린, 맥반석 등의 활성 암석을 소정의 두께로 적층한 지지층을 형성하면서 식물을 식재하여 작물이 안정감을 갖고 성장하도록 하고,
일반 순수한 물을 분무 공급하는 제1 분무장치와 배양액을 분무하는 제2 분무장치에 순수한 물과 배양액이 교대로 공급되도록 하여 진동자에 끼게 되는 배양액의 스케일을 순수한 물을 분무할 때 제거하므로 현저한 수명의 연장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의 순수한 물과 배양액이 분무되는 재배실의 상단과 하단에 활성탄소, 제올라이트, 토르말린, 맥반석 등의 활성 암석을 소정의 두께로 적층한 지지층과 여과층을 2중으로 형성하여 식물을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하고,
분무장치에서 생성된 물안개는 충진된 천연의 활성 암석에 의한 지지층을 통과하게 되어 폭포수의 작은 물 알갱이처럼 레너드 현상에 의한 효과로 다량의 음이온을 발생시켜 실내의 공기를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가습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기는
본체(1)의 하단에는 순수한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부(2)를 형성하면서 그 일측 상단에는 배양액 저장부(3)를 형성하고, 타측 상단에는 재배실(4)을 형성하되,
상기 재배실(4)의 상단과 하단에는 활성탄소, 제올라이트, 토르말린, 맥반석 등의 활성 암석을 소정의 두께로 적층한 지지층(41)과 여과층(42)의 2중으로 형성하여 식물을 지지하는 동시에 식물의 뿌리에 흡수되지 않은 공간(43)의 잉여 배양액이 상기의 여과층(42)을 통과하는 중에 여과되어 배양액에서 순수한 물에 가까운 상태로 물 저장부(2)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의 배양액 저장부(3)와 물 저장부(2)에서 제1 분무장치(5)와 제2 분무장치(6)에 순수한 물과 배양액을 교대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의 제1 분무장치(5)와 제2 분무장치(6)의 하단에는 각각 진동자(51)(61)를 설치하여 소량씩 공급되는 순수한 물이나 배양액을 분무시켜 안개와 같은 상태로 상향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분무장치(5)와 제2 분무장치(6)에 하단이 각각 결합된 제1 공급관(52)과 제2 공급관(62)의 상단은 상기의 여과층(42)을 거쳐 재배실(4)의 공간(43)까지 연장하여 분무되는 순수한 물이나 배양액이 계속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의 지지층(41)에는 비교적 입자가 고운 흙을 채운 화분(44)이 다수 관통되도록 설치하여 씨앗을 발아시키면서 성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의 재배실(4)은 전면을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거나 다수의 투시창(45)을 별도로 형성하여 내부에서 식물이 성장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배양액과 순수한 물을 교대로 공급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배양액 저장부(3)와 물 저장부(2)에 일측이 각각 연결된 제1 공급라인(71) 및 제2 공급라인(81)의 타측은 각각 제1 삼방밸브(72)와 제2 삼방밸브(82)의 입구(73)(83)에 연결하고,
상기 제1 삼방밸브(72)의 제1 출구(74)에서는 제3 공급라인(76)을 통해 상기 제1 분무장치(5)의 제1 흡입모터(53)에 연결하면서 제2 출구(75)에서는 제3 공급라인(77)을 통해 제2 분무장치(6)의 제2 흡입모터(63)에 연결하고,
상기 제2 삼방밸브(82)의 제1 출구(84)에서는 제5 공급라인(86)을 통해 상기 제1 분무장치(5)의 제1 흡입모터(53)에 연결하면서 제2 출구(85)에서는 제6 공급라인(87)을 통해 제2 분무장치(6)의 제2 흡입모터(63)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물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기는 본체(1)의 하단에는 순수한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부(2)를 형성하면서 그 일측 상단에는 배양액 저장부(3)를 형성하고, 타측 상단에는 재배실(4)을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재배실(4)의 상단과 하단에는 활성탄소, 제올라이트, 토르말린, 맥반석 등의 활성 암석을 소정의 두께로 적층한 지지층(41)과 여과층(42)을 사이에 공간(43)이 형성되도록 2중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의 지지층(41)에는 비교적 입자가 고운 흙에 씨앗이나 작은 식물을 심은 채운 화분(44)이 다수 관통되도록 설치한다.
상기의 배양액 저장부(3)와 물 저장부(2)에 일측이 각각 연결된 제1 공급라인(71) 및 제2 공급라인(81)의 타측은 각각 제1 삼방밸브(72)와 제2 삼방밸브(82)의 입구(73)(83)에 연결하고, 상기 제1 삼방밸브(72)의 제1 출구(74)에서는 제3 공급라인(76)을 통해 상기 제1 분무장치(5)의 제1 흡입모터(53)에 연결하면서 제2 출구(75)에서는 제3 공급라인(77)을 통해 제2 분무장치(6)의 제2 흡입모터(63)에 연결하며, 상기 제2 삼방밸브(82)의 제1 출구(84)에서는 제5 공급라인(86)을 통해 상기 제1 분무장치(5)의 제1 흡입모터(53)에 연결하면서 제2 출구(85)에서는 제6 공급라인(87)을 통해 제2 분무장치(6)의 제2 흡입모터(63)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1 빛 제2 삼방밸브(72)(82)의 열린 상태를 적절히 조절하면서 제1 분무장치(5)와 제2 분무장치(6)에 배양액과 순수한 물이 교대로 공급되어 물안개와 같은 상태로 분무되도록 한다.
식물을 지지하는 동시에 식물의 뿌리에 흡수되지 않은 공간(43)의 잉여 배양액이 상기의 여과층(42)을 통과하는 중에 여과되어 배양액에서 순수한 물에 가까운 상태로 물 저장부(2)로 이동하도록 하고,
즉, 제1 분무장치(5)와 제2 분무장치(6)는 상기의 배양액 저장부(3)와 물 저장부(2)로부터 배양액과 순수한 물을 교대로 공급받으면 하단에 각각 설치된 진동자(51)(61)가 작동하는 중에 순수한 물이나 배양액을 분무시켜 안개와 같은 상태로 상향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제1 분무장치(5)와 제2 분무장치(6)에서 발생되는 물안개 상태의 순수한 물이나 배양액의 분무는 이에 하단이 각각 결합된 제1 공급관(52)과 제2 공급관(62)을 통하여 재배실(4)의 공간(43)까지 공급된다.
상기의 재배실(4)의 공간(43)으로 공급된 순수한 물이나 배양액의 분무는 화분(44)에 심어진 식물에 공급되어 선장을 촉진시키게 된다.
상기의 제1 분무장치(5) 및 제2 분무장치(6)에서 생성된 물안개는 충진된 천연의 활성 암석에 의한 지지층(41)을 통과하게 되어 폭포수의 작은 물 알갱이처럼 레너드 현상에 의한 효과로 다량의 음이온을 발생시켜 실내의 공기를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가습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 분무장치(5)의 진동자(51)과 제2 분무장치(6)의 진동자(61)에 배양액과 순수한 물이 교대로 공급되면서 상기의 진동자(51)(61)에 끼게 되는 배양액의 스케일을 순수한 물을 분무할 때 제거하므로 현저한 수명의 연장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활성탄소, 제올라이트, 토르말린, 맥반석 등의 활성 암석을 소정의 두께로 적층한 여과층(42)에 의해 식물의 뿌리에 흡수되지 않은 잉여 배양액이 통과하는 중에 여과되어 배양액에서 순수한 물에 가까운 상태로 물 저장부로 이동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식물이 성장함에 따라 뿌리가 지지층(41)에서 공간(43)을 거쳐 여과층(42)까지 자라게 되며 이때에는 여과층(42)에 걸러진 배양액에 의한 성장효과도 가져올 수 있음은 물론, 많이 자란 식물의 뿌리를 상단의 지지층(41)과 하단의 여과층(42)에서 이중으로 지켜 주므로 작물이 안정감을 갖고 성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기에 의하여서는 활성탄소, 제올라이트, 토르말린, 맥반석 등의 지지층을 형성하면서 식물을 식재하여 작물이 안정감을 갖고 성장하도록 하고,
일반 순수한 물을 분무 공급하는 제1 분무장치와 배양액을 분무하는 제2 분무장치에 순수한 물과 배양액이 교대로 공급되도록 하여 진동자에 끼게 되는 배양액의 스케일을 순수한 물을 분무할 때 제거하므로 현저한 수명의 연장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의 순수한 물과 배양액이 분무되는 재배실의 상단과 하단에 활성탄소, 제올라이트, 토르말린, 맥반석 등의 활성 암석을 소정의 두께로 적층한 지지층과 여과층을 2중으로 형성하여 식물을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하고,
분무장치에서 생성된 물안개는 충진된 천연의 활성 암석에 의한 지지층을 통과하게 되어 폭포수의 작은 물 알갱이처럼 레너드 현상에 의한 효과로 다량의 음이온을 발생시켜 실내의 공기를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가습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순수한 물과 배양액을 공급하는 상태를 도시한 계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물 저장부
3 : 배양액 저장부 4 : 재배실
5 : 제1 분무장치 6 : 제2 분무장치
41 : 지지층 42 : 여과층
43 : 공간

Claims (3)

  1. 본체(1)의 하단에는 순수한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부(2)를 형성하면서 그 일측 상단에는 배양액 저장부(3)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1)의 타측 상단에 형성되는 재배실(4)에 사이에 공간(43)을 갖는 지지층(41)과 여과층(42)의 2중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물 저장부(2)에 제1 분무장치(5)와 제2 분무장치(6)를 설치하여 상기의 배양액 저장부(3)와 물 저장부(2)에서 순수한 물과 배양액을 교대로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실(4)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층(41)과 여과층(42)은 활성탄소, 제올라이트, 토르말린, 맥반석 등의 활성 암석을 소정의 두께로 적층하여 형성하고,
    상기 제1 분무장치(5)와 제2 분무장치(6)에 하단이 각각 결합된 제1 공급관(52)과 제2 공급관(62)의 상단은 상기의 여과층(42)을 거쳐 재배실(4)의 공간(43)까지 연장하여 분무되는 순수한 물이나 배양액이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배양액 저장부(3)와 물 저장부(2)에 일측이 각각 연결된 제1 공급라인(71) 및 제2 공급라인(81)의 타측은 각각 제1 삼방밸브(72)와 제2 삼방밸브(82)의 입구(73)(83)에 연결하고,
    상기 제1 삼방밸브(72)의 제1 출구(74)에서는 제3 공급라인(76)을 통해 상기 제1 분무장치(5)의 제1 흡입모터(53)에 연결하면서 제2 출구(75)에서는 제3 공급라인(77)을 통해 제2 분무장치(6)의 제2 흡입모터(63)에 연결하고,
    상기 제2 삼방밸브(82)의 제1 출구(84)에서는 제5 공급라인(86)을 통해 상기 제1 분무장치(5)의 제1 흡입모터(53)에 연결하면서 제2 출구(85)에서는 제6 공급라인(87)을 통해 제2 분무장치(6)의 제2 흡입모터(63)에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기.
KR20-2005-0021204U 2005-07-21 2005-07-21 물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기 KR200398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204U KR200398840Y1 (ko) 2005-07-21 2005-07-21 물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204U KR200398840Y1 (ko) 2005-07-21 2005-07-21 물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085A Division KR20070011655A (ko) 2005-07-21 2005-07-21 물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840Y1 true KR200398840Y1 (ko) 2005-10-17

Family

ID=43699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204U KR200398840Y1 (ko) 2005-07-21 2005-07-21 물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8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205A (ko) 2015-06-12 2016-12-22 김성도 수경재배기 및 이를 이용한 물안개 공급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205A (ko) 2015-06-12 2016-12-22 김성도 수경재배기 및 이를 이용한 물안개 공급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7786B1 (en) Two-stage aeroponic growing system and method
US11206774B2 (en) Vertical hydroponic growing system and method
US8505238B2 (en) Vertical aeroponic plant growing system
EP3694306B1 (en) Aeroponics apparatus
US20180368346A1 (en) Fogponic plant growth system
US9357715B2 (en) Vertical planter
US7823328B2 (en) Aeroponic plant growing system
US20180295800A1 (en) Vertically oriented modular aerohydroponic systems and methods of planting and horticulture
EP3533319A1 (en) Verticle grow box module and module and system of vertical grow boxes that incorporates it
JP2010523129A (ja) 水栽培システム
KR20180040917A (ko) 분무 수경 재배 시스템
CA2892131A1 (en) Fogponic plant growth system
KR200398840Y1 (ko) 물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기
JP7067701B2 (ja) 超音波霧化栽培装置
KR200425845Y1 (ko) 물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기
KR101414557B1 (ko) 에브 앤드 플로우용 슬림형 재배 포트 어셈블리
KR20070011655A (ko) 물안개를 이용한 수경재배기
CN210275445U (zh) 水培育苗装置
RU2772711C1 (ru) Модульная аэроп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JP2003259747A (ja) 可給水植栽装置
CN220712411U (zh) 一种播种托盘及应用该播种托盘的种植盆
CN219555736U (zh) 一种立体植物墙的喷滴灌装置
KR102541690B1 (ko) 분무형 수경재배 장치
KR102612879B1 (ko) 미세먼지 저감용 플랜트 파티션
KR20190007621A (ko) 개량형 수경 재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