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774Y1 - 링거투여안전시스템 - Google Patents

링거투여안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774Y1
KR200398774Y1 KR20-2005-0020494U KR20050020494U KR200398774Y1 KR 200398774 Y1 KR200398774 Y1 KR 200398774Y1 KR 20050020494 U KR20050020494 U KR 20050020494U KR 200398774 Y1 KR200398774 Y1 KR 200398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er
unit
patient
signa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4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환
Original Assignee
김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환 filed Critical 김용환
Priority to KR20-2005-00204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7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7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61M5/16854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monitoring lin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 A61M2205/3386Low level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46Range
    • A61M2205/3561Range local, e.g. within room or hospit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larm System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병원의 환자 입원 시 링거의 량을 감지하여 환자의 안전과 보호자의 편안을 제공하여 안전하게 주사약을 투여할 수 있도록 설치된 시스템으로서 환자와 보호자 모두가 주사에 대해 신경을 안쓰고 안심하고 병원생활을 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환자가 링거를 맞을 때 꼭 필요한 도구로서, 링거에 안전장치를 하여 링거에 남아있는 량이 어느 부분에 도달하였을 때, 음성과 멜로디로서 환자와 보호자, 간호사실에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낮에는 환자와 보호자가 잠을 자지 않고 깨어 있을 때가 많으므로, 음성과 멜로디로서도 가능하지만, 밤에는 환자와 보호자 모두가 잘 때가 많은데, 보호자가 수시로 깨어 확인을 해야 하고, 음성과 멜로디가 있다 하더라도 깊이 잠이 들었을 경우에는 확인이 불가능하여, 유선센서방식과 무선센서방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유선센서방식은 기존 설치되어 있는 호출기에 센서를 부착하여 링거량이 어느 부분에 도달하였을 때, 주의신호 발생부가 주의신호를 보내게 되어 경보 및 신호를 간호사실에 호출하는 방법이며, 무선센서방식은 입원실에 1개의 무선안테나를 설치하고, 간호사실 벽면에 LED표시램프를 부착하여 링거량이 다 되면 센서가 감지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간호사실에 경보 및 신호(LED점등)을 보내어 간호사가 램프를 보고 환자가 자고 있는 사이에도 안전하게 링거를 교체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다.

Description

링거투여안전시스템{Ringer thru about immediacy system}
본 고안은 병원의 환자 입원시 링거의 량을 감지하여 환자의 안전과 보호자의 편안을 제공하여 안전하게 주사약을 투여할수 있도록 설치된 시스템 으로서 환자와 보호자 모두가 주사에 대해 신경을 안쓰고 안심하고 병원생활을 할수 있게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환자가 링거를 맞을때 꼭 필요한 도구로서, 링거에 안전장치를 하여 링거에 남아있는량이 어느부분에 도달하였을때, 음성과 멜로디로서 환자와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낮에는 환자와 보호자가 잠을 자지 않고 깨어 있을때가 많으므로, 음성과 멜로디로서도 가능하지만, 밤에는 환자와 보호자 모두가 잘때가 많은데, 보호자가 수시로 깨어 확인을 해야하고, 음성과 멜로디가 있다 하더라도 깊이 잠이 들었을 경우에는 확인이 불가능하여, 유선센서방식과 무선센서방식으로 나눌수 있는데, 유선센서방식은 기존설치되어 있는 호출기에 센서를 부착하여 링거량이 어느부분에 도달하였을때, 센서가 감지를 하여 경보 및 신호를 간호사실에 호출하는 방법이며, 무선센서방식은 입원실에 1개의 무선안테나를 설치하고, 간호사실 벽면에 LED표시램프를 부착하여 링거량이 다 되면 센서가 감지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간호사실에 경보 및 신호(LED점등)을 보내어 간호사가 램프를 보고 환자가 자고 있는 사이에도 안전하게 링거를 교체할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환자가 입원을 하게 되면 무조건 링거를 달게 된다. 입원하는 첫날부터 시작하여 퇴원하는날까지 링거를 달아야 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그 링거를 달고부터 보통 신경이 쓰이는게 아니다. 환자가 챙기지 않으면, 보호자가 꼭 챙겨야 하는 것이다. 링거의 량이 다 되어 가면 입원실에 있는 호출기로 간호사를 호출을 하든지 아니면 간호사실에 쫓아가서 알려주어야 하는 실정이다.
그러다가 다른데 신경을 쓰다가 그 순간을 놓쳐버리면 링거약이 다 들어가 버리고 링거주사줄에 공기가 들어간다. 그리고 더 오래 지체가 되면 환자의 몸에 있는 혈액이 역류하여 링거주사줄에 다시 나오게 된다.
링거주사줄에 공기가 들어가게 되면 다시 링거를 교체할 때 간호사들이 무척힘이 든다고 짜증을 내며 환자한테도 무척 해롭다.
그리고 환자의 혈액이 역류하여 링거주사줄에 나오게 되면, 그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 나온 피를 다시 몸에 넣을수가 없다고 한다.
위와 같은 현상이 낮에는 일어나는 경우가 적지만, 밤에는 환자와 보호자 모두가 자야하기 때문에, 보호자가 자다가 몇 번이나 일어나 링거량을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오랜 병마에 시달리는 보호자와 환자 모두에게 또 다른 고통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링거투여에 관하여 국내 실용신안 공고번호 20-0205330는 링거 수액세트에 있는 챔버에 링거액이 도달하였을 때 감지하는 것으로서 링거팩이나 링거병에서 액이 다 빠지면 그때부터는 공기가 들어가고, 링거액의 투여되는 속도가 빨라지므로 아무런 이득도 볼 수 없으며, 위와 같은 경우에 간호사실과 입원실의 거리가 멀 때는 시간이 지체되어 환자에게 불안을 고조시킬 수 있다.
또한 공개번호 10-2004-0107764 에는 링거의 무게를 측정하여 원격지로 전송하여 표시를 해 주는 시스템으로서 링거의 무게는 처음에는 일정하지만 환자의 상태에 따라 링거에 다른약을 투입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럴때는 링거의 무게가 수시로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도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개번호 10-1999-0037771에는 링거용기에 근접하여 링거주사액을 수시로 감시하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할 때 출력을 발생하는 검출단계를 거쳐 알람신호발생단계로 구성되는데, 그렇게 되면 기계자체가 복잡아 지면서 근접설치하면 정확성이 떨어지며, 확실한 데이터를 낼수가 없는 것이 문제점이다.
또한 공개번호 특2000-0063521는 챔버부분에 수감부를 장착한 집게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주사액이 챔버부분까지 오기 전에는 감지가 되지 않으며, 그 부분에 와서 감지가 되었을 경우에는 벌써 늦다. 링거병에서 링거액이 다 빠지고 공기가 들어 있기 때문에 감지했을 때는 이미 늦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병마에 시달리는 보호자와 환자에게 고통을 주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환자와 보호자에게 병 이외에 또 다른 고통을 해결하기 위해서 링거투여 안전시스템을 이용하여 환자와 보호자가 좀 더 편안하고 안전하게 병원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링거내부의 압력을 인지하는 압전소자가 내장된 압력감지부와, 상기 압력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소정의 감지압력이하이면 주의신호를 생성하는 주의신호 생성부로 구성되어 있는 링거압력인지부와;
또는, 링거내부의 링거액의 수위가 줄어들어 위치된 지점에서 링거액이 없음을 감지하는 수위감지부와 상기 수위감지부에서 감지된 내용에 대하여 주의신호를 생성하는 주의신호 생성부로 구성된 링거수위인지부와; 상기 링거압력인지부 또는 링거수위인지부에서 인지된 수치를 전기적, 전파적 신호로 송출하는 송출부와; 상기 송출부에서 송출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투여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송출부와 수신부는 유선센서방식 또는 무선센서방식을 사용하여 유무선으로 상기 링거압력인지부에서 인지한 압력을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투여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경고음, 멜로디, 음성, LED램프점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투여안전시스템
이하, 첨부된 도2, 도3, 도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도2, 도3,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링거병과 링거팩에 링거량에 따른 압력 또는 위치된 곳에서의 링거액이 없는 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삽입하여, 상기 감지부에 감지된 내용에 따라 주의신호를 생성하는 주의신호 생성부와 상기 주의신호 생성부에 생성된 수치를 전기적 신호로 송출하는 송출부와 상기 송출부에서 송출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되어 링거주사줄에 공기가 들어가거나, 링거액이 환자의 몸 안으로 다 들어가서 혈액이 다시 몸에서 나오기 전에 음성과 멜로디로 알려주고, 야간에는 유선센서와 무선센서를 이용하여 간호사실에 알려주어, 환자와 보호자가 안전하게 잠을 잘 수 있게 하는 안전시스템이다.
도1의 (가)와 (나)의 ①기존수액세트에 도5의 센서회로도를 이용하여 도2의 (가)와 (나)에 ②링거투여안전시스템을 부착하여 안전하게 링거가 투여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며,
도 3의 (가)와 (나)는 도1의 (가)와 (나)의 ① 기존수액세트에 도 2의 (가)와 (나)에 ②링거투여안전시스템을 결합(복합) 설치하는 방법③등이 있어 링거가 안전하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의 ④는 기존 보턴 S/W의 보턴을 누르는 방식이 아닌 환자의 긴급이나 편의를 감안하여 링거량이 감지지점에 내장된 압전소자에 위치하게 되거나 링거액이 빠져나가 수위감지부에서 링거액이 없을 시에는 주위신호 발생부에서 주위신호를 송출부로 보내게 되며 상기 송출부에서 전기적 신호로 송출된 내용을 수신하여 발신부에서 경보 및 신호(LED점등)을 간호사실에 호출하는 방식을 유선센서방식이라고 한다.
도 4의 ⑤는 링거량이 감지지점에 오면 링거량이 감지지점에 내장된 압전소자에 위치하게 되거나 링거액이 빠져나가 수위감지부에서 링거액이 없을 시에는 주위신호 발생부에서 주위신호를 송출부로 보내게 되며 상기 송출부에서 전파적 신호로 송출된 내용을 수신하여 발신부가 설치되어 있는 간호사실에 경보 및 신호(LED점등)을 보내는 방식을 무선센서방식이라고 한다.
도 4의 하부의 도면은 환자입원실에서 유,무선으로 보내온 신호가 간호사실의 LED표시 램프로 보내져 간호사실의 경보장치에 LED램프 및 소리(음성과 멜로디)가 울린다.
도 5의 ⑧은 3단 스위치로서 좋은 기능이라도 밤과 낮 아무 때나 소리가 울리면 피해가 될 수 있으니, 낮과 밤을 구분하여 스위치로서 작동하는 방법이다.
⑧의 스위치를 낮의 ON위치에 놓을 때는 도2, 도3, 도4의 모든 기능이 작동하여 보호자와 간호사실에 동시에 알려 주는 역할을 한다.
⑧의 스위치를 밤의 ON위치에 놓을 때는 도2, 도3의 기능의 음성과 멜로디 기능은 하지 않고, 도4의 간호사실에 LED램프점등과 음성 및 멜로디 기능만 작동을 하므로 환자와 보호자가 충분한 수면을 취할 수 있다.
도2는 도5의 센서회로도를 이용하여 도1의 (가)와 (나)에 ①기존수액세트와 별도로 제작하여 도2의 (가)와 (나)같이 ②링거투여안전시스템을 설치하여 링거주사줄을 꽂을 때 같이 꽂아 사용하는 방법이고, 도3의 (가)와 (나)는 도1의 ①기존수액세트내에 링거투여 안전시스템를 결합(복합)하여 ③수액세트 하나로서도 사용할수 있는 방법이다.
링거투여안전시스템은 도5의 회로도와 같이 3단스위치를 사용하여 링거를 설치할 때 스위치를 사용하여 낮에는 좌측에 있는 낮on 위치에 놓으면 링거액이 감지부에 도달하면 상기 감지부에서 인지된 압력이나 링거액이 없음을 인지하여 주의신호 생성부에가 송출부로 주의신호를 보내게 되며 송출부로 전류 내지 전파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발생된 전류 내지 전파를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내용을 표시부에 소리, 음성, 멜로디, LED램프점등으로 외부로 알리게 된다.
상기 표시부는 병실 내지 간호사실에 설치되어 보호자와 간호사실에 동시에 음성과 멜로디, LED램프점등으로 알려주며, 밤에는 도5의 5단 스위치의 우측에 있는 밤ON위치에 놓으면 링거주사약이 센서의 감지지점에 도달하면 환자 입원실에는 음성과 멜로디 기능이 정지되고 도 4의 ⑤무선센서방식으로 무선안테나를 통하여 간호사실에 LED램프점등과 음성과 멜로디를 알려주어 환자와 보호자가 자고 있어도 간호사가 알아서 링거를 교체해 주므로, 밤에 환자와 보호자가 충분한 수면을 취할수 있으며 여러사람이 입원해있는 병실에도 밤에는 조용하여 모두가 숙면을 취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감지부는 인체에 해롭지 않은 물질(금, 은 등), 수액과도 화학적인 반응이 없는 물질을 부착하여 감지기능만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4의 ④는 기존 보턴 S/W의 보턴을 누르는 방식이 아닌 환자의 긴급이나 편의를 감안하여 링거량을 감지부에서 감지하여 경보 및 신호(LED점등)을 간호사실에 호출하는 방식을 유선센서방식이라고 한다.
도 4의 ⑤는 링거량을 감지하여 무선으로 간호사실에 설치된 경보 및 신호(LED점등)을 보내는 방식에 따라 무선센서방식이라고 한다.
도 4의 하부의 도면은 환자입원실에서 유,무선으로 보내온 신호가 간호사실의 LED표시 램프로 보내져 간호사실의 경보장치 즉 각 환자실이 맞게 표기된 LED램프 및 소리(음성과 멜로디)가 울리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문제점을 개선한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환자와 보호자 모두에게 편안하게 치료에 전염할 수 있기 때문에 회복도 빠를 수 있으며, 환자, 보호자, 간호사 모두에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환자와 보호자가 충분한 수면을 취할 수 있기 때문에, 회복에도 도움이 되며, 간병하는 보호자도 신경 쓸 일이 줄여든다.
또한 본 고안은 낮과 밤에 작동하는 기능이 다르므로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입원실에서도 밤에 잠을 충분히 잘 수 있다. 간호사가 간호사실에서 전광판을 보고, 음성으로 듣고, 환자가 자는 동안에도 링거를 교체하여 편안한 병원생활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장기적인 입장에서 보면, 병원의 인력도 줄일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도 1의 위는 기존의 수액(링거팩)세트의 일실시예를 보인구성도
도 1의 아래는 기존의 수액(링거병)세트의 일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2의 위의 본 고안은 도 1에 별도 고안한 링거투여안전 시스템을 사용한 수액(링거팩)세트의 일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2의 아래의 본 고안은 도 1에 별도 고안한 링거투여안전 시스템을 사용한 수액(링거병)세트의 일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3의 위의 본 고안은 도 1의 수액(링거팩)세트에 고안한 링거투여안전시스템을 점목시킨 일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3의 아래의 본 고안은 도 1의 수액(링거병)세트에 고안한 링거투여안전시스템을 점목시킨 일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4의 본 고안은 환자입원실에서 링거투여안전시스템을 간호실에 알려주는 유선센서방식과 무선센서방식의 일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5의 본 고안은 링거투여안전시스템의 단면도를 보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도 1의 (가) : 링거(팩)대,소와 수액세트
도 1의 (나) : 링거(병)대,소와 수액세트
① : 수액세트
도 2의 (가) : 도1의 가와 링거투여안전시스템(분리)
도 2의 (나) : 도1의 나와 링거투여안전시스템(분리)
② : 링거투여안전시스템
도 3의 (가) : 도1의 가와 도2의 가를 결합(복합)
도 3의 (나) : 도1의 나와 도2의 나를 결합(복합)
③ : 기존수액세트에 링거투여안전시스템을 결합(복합)
도 4의 ④는 환자입원실 유선센서방식
도 4의 ⑤는 환자입원실 무선센서방식
도 5의 (가)의 ⑦은 링거투여안전시스템의 회로도
도 5의 (나)의 ⑧은 3단 스위치
: 감지부(감지지점)

Claims (6)

  1. 링거내부의 압력을 인지하는 압전소자가 내장된 압력감지부와, 상기 압력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소정의 감지압력이 하이면 주의신호를 생성하는 주의신호 생성부로 구성되어 있는 링거압력인지부와;
    또는, 링거내부의 링거액의 수위가 줄어들어 위치된 지점에서 링거액이 없음을 감지하는 수위감지부와 상기 수위감지부에서 감지된 내용에 대하여 주의신호를 생성하는 주의신호 생성부로 구성된 링거수위인지부와;
    상기 링거압력인지부 또는 링거수위인지부에서 인지된 수치를 전기적, 전파적 신호로 송출하는 송출부와;
    상기 송출부에서 송출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투여안전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 또는 수위감지부는 링거주사줄 내부로 삽입되어 있거나 분리되어 있으며, 링거 내부에 들어있는 링거액과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며, 인체에 무해한 은 또는 금으로 도금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투여안전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부와 수신부는 유선센서방식 또는 무선센서방식을 사용하여 유무선으로 상기 링거압력인지부에서 인지한 압력을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투여안전시스템.
  4. 제 1항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경고음, 멜로디, 음성, LED램프점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투여안전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중앙은 (off), 좌측은 (on), 우측은 (on)으로 하는 3단 스위치가 부가되어 구성되며, 상기 수신부와 연결된 표시부는, 낮시간 때에는 병실에서 경고음, 멜로디, 음성, LED램프점등을 확신할 수 있으며, 밤시간 때에는 간호사실에서 연결되어 있는 표시부에 따라 경고음, 멜로디, 음성, LED램프점등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투여안전시스템.
  6. 제 1항 있에서 상기 수신부와 표시부는 간호사실의 경보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투여안전시스템.
KR20-2005-0020494U 2005-07-14 2005-07-14 링거투여안전시스템 KR2003987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494U KR200398774Y1 (ko) 2005-07-14 2005-07-14 링거투여안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494U KR200398774Y1 (ko) 2005-07-14 2005-07-14 링거투여안전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568A Division KR100634820B1 (ko) 2005-07-14 2005-07-14 링거투여안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774Y1 true KR200398774Y1 (ko) 2005-10-18

Family

ID=43699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494U KR200398774Y1 (ko) 2005-07-14 2005-07-14 링거투여안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77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994B1 (ko) * 2009-10-09 2011-05-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Rfid 태그 안테나 인식 시스템
CN105159218A (zh) * 2015-09-06 2015-12-16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儿童午睡安全监护系统
CN109045408A (zh) * 2018-09-27 2018-12-21 湖南工业大学 一种用于输液自动报警的压力传感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994B1 (ko) * 2009-10-09 2011-05-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Rfid 태그 안테나 인식 시스템
CN105159218A (zh) * 2015-09-06 2015-12-16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儿童午睡安全监护系统
CN109045408A (zh) * 2018-09-27 2018-12-21 湖南工业大学 一种用于输液自动报警的压力传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1820B2 (en) Wireless patient ambulation motion detector and second call system
US4651746A (en) Oral airway and endotrachial monitor
US7089932B2 (en) Respiration monitoring equipment
CN204765593U (zh) 一种生命体征在线监测系统
CN103203053B (zh) 多输液瓶液位的远程监控方法和报警系统
KR100634820B1 (ko) 링거투여안전시스템
CN209529110U (zh) 一种生命体征实时监测手环
CN212912011U (zh) 智能手环
KR101027994B1 (ko) 위급 상황을 통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CN205514557U (zh) 一种戒指型健康体征监护、报警仪
KR200398774Y1 (ko) 링거투여안전시스템
CN201735013U (zh) 病房智能监控装置
CN202933303U (zh) 医用点滴提醒器
US20020003478A1 (en) Infant monitoring system
CN106037636A (zh) 一种助老智能手环
CN202154798U (zh) 尿湿提醒器
CN103908709A (zh) 一种护理报警装置
CN214017892U (zh) 人体健康管理手环
CN211354129U (zh) 一种院内猝死报警戒指
CN204241911U (zh) 一种无线智能病人监护服
KR20020024083A (ko) 무선 건강체크기 및 무선 건강체크 방법
KR20020075846A (ko) 무선이동통신과 맥박감시장치를 이용한 돌연사경보 및건강정보제공 방법
CN205198491U (zh) 服务于中老年人的可配戴语音提示器
CN102198050A (zh) 一种带提醒功能的药瓶
CN111728327A (zh) 一种基于NB-loT的老人守护手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