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684Y1 -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 - Google Patents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8684Y1 KR200398684Y1 KR20-2005-0022091U KR20050022091U KR200398684Y1 KR 200398684 Y1 KR200398684 Y1 KR 200398684Y1 KR 20050022091 U KR20050022091 U KR 20050022091U KR 200398684 Y1 KR200398684 Y1 KR 20039868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self
- powered
- tube
- bushing pl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2—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auxiliary limited movement of stators, rotors or core parts, e.g. rotors axially movable for the purpose of clutching or braking
- H02K7/1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auxiliary limited movement of stators, rotors or core parts, e.g. rotors axially movable for the purpose of clutching or braking magnetically influenc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 charging set comprising a non-electric prime mover rotating at constant spe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전지의 규격에 만족하는 케이싱을 갖고 있고, 비교적 전류량이 작아도 작동되는 전자제품에 통상의 건전지와 같이 장착되어 휴대 및 반영구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는 케이싱(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1전극부(11)와 제2전극부(12)를 구비하되, 제1전극부(11)와 통전 가능케 접촉된 축부(13)와; 축부(13)의 상단을 고정시키게 결합된 제1부싱판(20)과; 제1부싱판(20)의 스프링 안착홈(22)에 안착된 제1스프링(30)과; 제1스프링(30)의 아래쪽에서 축부(13)에 삽입된 영구자석(50, 50')과; 제1부싱판(20)의 튜브 안착홈(23)에 안착된 튜브(40)와; 튜브(40)의 외주면에 결합된 단상 또는 삼상 결선의 유도코일(60)과; 영구자석(50, 50')의 아래쪽에 배치된 제2스프링(31)과; 축부(13)를 중심 구멍에 삽입시키고 제2스프링(31)과 튜브(40)의 하단을 안착시키게 결합된 제2부싱판(70)과; 제2부싱판(70)의 저부에서 유도코일(60)의 유도기전력을 공급받게 전기적으로 결합된 충전회로(80)와; 이런 충전회로(80)와 상기 제2전극부(12)의 사이에 배치된 축전지(90)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전류량이 작아도 작동되는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소형 자동 충전지와 같은 역할을 담당하는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가발전 전원장치는 전원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로 동작되는 휴대용 제품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외부 운동에너지를 발전수단을 통해 전기에너지로 발전시키고 이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충전수단을 통해 휴대용 제품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런 자가발전 전원장치는 휴대용 제품의 전원방전시 건전지의 교체나 충전기를 통한 충전없이 휴대용 제품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즉각적으로 얻을 수 있어 언제 어디서든 휴대용 제품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전지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폐건전지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와 노력이 수행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자가발전 전원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로 동작되는 휴대용 제품으로서, 외부 운동에너지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전시키는 발전수단(1)을 갖고 있으며, 상기 발전수단(1)을 통해 발전된 전기에너지를 정류수단(2)에 의해 정류시킨 후, 상기 휴대용 제품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게 구성된 충전수단(3)과 충전상태 표시수단(4)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자가발전 전원장치는 통상의 기본적인 자가발전 구성요소로서 저전력 소모형 전자제품에 맞게 구성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어려움을 갖고 있어서, 상용화 되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같은 맥락으로, 2001년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56806호에 개시된 전지가 필요 없는 자가발전식 리모컨은 별도의 건전지 및 충전지 등이 불필요한 에 관한 것으로, 건전지 또는 충전지를 제거하고 각각의 기능버튼에는 코일 및 자석에 의한 자가발전장치를 각각 장착하며, 코일에 의한 교류전원을 직류로 전환하는 정류회로를 내장하므로서,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기능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자가발전장치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해당버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전지가 필요 없으면서도 태엽과 같이 별도의 충전작업이 불필요하므로 그 사용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반영구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그러나, 제56806호의 기술도 역시, 자가 발전을 위해서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해당 전원을 요구하는 해당 전자제품을 변형 설계해야 하는 단독 제품이므로 범용성이 떨어지고, 해당 전자제품의 사용 편의성이 매우 현격하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즉, 기존의 자가발전형 제품들은 기 제작된 전자제품 자체를 자가발전형 레이아웃으로 새로이 제작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자가발전을 위해 외형적으로나 기능적 저하를 가져오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지 못하는 단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소형전지의 규격에 만족하는 케이싱을 갖고 있고, 리모콘(리모트 콘트롤러)과 같이 비교적 전류량이 작아도 작동되는 전자제품에 통상의 건전지와 같이 장착되어 휴대 및 반영구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소형전지규격의 외형을 갖는 케이싱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를 구비시킨 충전형 소형전지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와 통전 가능케 접촉된 축부와; 상기 제1전극부의 저부에 밀착되어 상기 축부의 상단을 고정시키게 결합된 제1부싱판과; 상기 제1부싱판의 스프링 안착홈에 안착된 제1스프링과; 상기 제1스프링의 아래쪽에서 상기 축부에 삽입된 링형상의 영구자석과; 상기 제1부싱판의 튜브 안착홈에 안착된 튜브와; 상기 튜브의 외주면에 감겨져 고정되고 상기 영구자석의 움직임에 대응하게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단상 또는 삼상 결선의 유도코일과; 상기 영구자석의 아래쪽에 배치된 제2스프링과; 상기 축부를 중심 구멍에 삽입시키고 상기 제2스프링과 상기 튜브의 하단을 안착시키게 결합된 제2부싱판과; 상기 제2부싱판의 저부에서 상기 유도코일의 유도기전력을 공급받게 전기적으로 결합된 충전회로와; 상기 충전회로와 상기 제2전극부의 사이에 배치된 축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축전지는 축전가능한 밧데리거나 콘덴서이다.
이하 첨부 도면 도 2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에 도시된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적인 소형전지규격(예 : AAA규격 또는 AA규격)의 레이아웃(외형)을 갖는 범용적인 케이싱(10)을 갖는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이다.
케이싱(10)의 상단에는 양극의 역할을 하는 갓 형상의 돌기형 제1전극부(11)가 통상의 배터리 조립 방법으로 결합되고, 하단에도 음극의 역할을 하는 함몰형 제2전극부(12)가 역시 동일 배터리 조립 방법으로 결합되어 있다.
축부(13)는 구리 재질의 도전성 막대로서 전류 전달 역할과 함께 가이드축 역할을 겸한 부품이다.
축부(13)의 상단은 제1전극부(1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통전되게 결합되어 있고, 축부(13)의 하단은 충전용 소형 축전지(90)의 양극과 역시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통전되게 결합되어 있다.
제1부싱판(20)은 제1전극부(11)의 저부에 밀착되어 축부(13)의 상단을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이런 제1부싱판(20)은 상기 축부(13)에 끼워질 수 있게 중심 구멍을 갖는 중공 원형의 디스크로서, 중심 구멍의 주위에서 상향으로 갓 형상을 갖게 돌출된 보스부(21)와, 디스크의 외측 저면에 복수개의 나이테 돌기에 의해 형성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스프링 안착홈(22)과,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튜브 안착홈(23)을 갖는다.
제1부싱판(20)은 통상의 절연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스프링(30)은 제1부싱판(20)의 스프링 안착홈(22)에 안착되고, 영구자석(50)의 직선 왕복 이동시의 충격을 감쇄하는 역할을 하는 코일 스프링이다.
튜브(40)는 통상의 도전성 플라스틱 재질로서 파이프 형상을 갖는다. 튜브(40)의 상단은 제1부싱판의 튜브 안착홈(23)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런 튜브(40)는 영구자석(50)의 직선 왕복 이동을 가이드함과 함께, 외주면에 감겨지고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유도코일(60)을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영구자석(50)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40)의 내부에서 축부(13)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영구자석(50)은 패라이트계 단일 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
제2스프링(31)은 영구자석(50)의 직선 왕복 이동시 충격을 감쇄하는 역할을 하는 코일 스프링이다.
유도코일(60)은 영구자석(50)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게 튜브(40)의 외주면과 케이싱(10)의 사이에 고정된다. 유도코일(60)은 유도기전력을 연결 전선을 통해서 충전회로(80)에 전달할 수 있게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제2부싱판(70)은 상기 축부(13)에 끼워질 수 있게 중심 구멍을 갖는 중공 원형의 디스크로서, 중심 구멍의 주위에서 하향으로 부싱 형상을 갖게 돌출된 보스부(71)와, 디스크의 외측 상면에 복수개의 나이테 돌기에 의해 형성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스프링 안착홈(72)과,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튜브 안착홈(73) 및, 디스크의 외측 저면에 형성된 충전회로 고정벽(74)을 갖는다.
제2부싱판(70)의 고정벽(74)의 하단은 충전회로(80)의 상면과 접촉하여 충전회로(80)를 제2전극부(12)의 테두리 상면쪽으로 압착시켜 결과적으로 충전회로(80)의 각종 소자들이 위치할 공간을 확보하면서 충전회로(8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부싱판(70)도 통상의 절연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부싱판(70)의 스프링 안착홈(72)에는 제2스프링(31)이 안착되고, 튜브 안착홈(73)에는 튜브(40)의 사단이 끼워져서 고정된다.
충전회로(80)는 제2부싱판(70)의 보스부(71)가 끼워질 수 있는 중심구멍을 갖는 디스크형 PCB로서, 유도코일(60)로부터 입력되는 유도기전력을 정류시키고 정전압을 유지하는 통상의 소형 정류소자 및 정전압소자들을 구비하며, 정전압소자의 출력단 전선을 축전지(9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음에 따라, 충전회로(80)의 출력 전류를 축전지(90)에 충전시킬 수 있도록 전자회로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축전지(90)는 직경이 통상의 건전지보다 작고 두께가 얇은 수은전지로서 단수로 사용되거나, 직렬 연결에 의해 복수개로 사용된다. 축전지(90)는 비교적 전류량이 작아도 작동되는 전자제품에 적합한 전압과 전류량의 용량을 갖는다. 이 축전지(90)는 충전용 밧데리 어느 것이나 가능하며, 충전콘덴서로 사용될 수 있다.
축전지(90)의 양극은 축부(13)의 하단과 밀착되고, 축전지(90)의 음극은 제2전극부(12)의 중심 돌기와 역시 밀착되어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렇게 결합된 본 고안의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가 단수 또는 복수개로 직렬 또는 병렬로 해당 전자제품(예 : 리모콘 등)에 배열 또는 장착될 때, 축전지(90)의 축전류를 제2전극부(12)와 축부(13) 및 제1전극부(11)를 통해 전자제품에게 공급한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전자제품이 사람의 손 또는 기타 외력에 의해 움직이거나 흔들어질 때, 축부(13)의 축방향과 일치하는 분력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영구자석(50)이 직선 왕복 이동을 함과 동시에 유도코일(60)로 감싸진 튜브 내부의 공간을 반복해서 통과하게 된다.
이런 경우, 유도코일(60)에는 영구자석(50)의 보자력에 상응한 단상 유도기전력이 발생된다.
여기서, 유도코일(60)은 통상의 단상 배선에 의해 충전회로(80)에 결합되어 있고, 단상 유도기전력은 충전회로(80)로 전달된다.
충전회로(80)는 전달받은 단상 유도기전력을 정류하고 정전압을 유지시켜 축전지(90)에 축전을 한다.
또한, 제1스프링(30)과 제2스프링(31)은 영구자석(50)의 왕복 이송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탄성 반발력을 영구자석(50)에게 전달하고, 영구자석(50)이 더욱 효율적으로 왕복 이동하게 함에 따라 더욱 효율적으로 발전을 수행할 수 있게 도와준다.
제2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는 복수개의 희토류자석 디스크의 사이사이에 강자성체 디스크를 개재한 것으로 영구자석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기술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2 내지 도 5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의 영구자석(50')은 네오디뮴 : Nd계 자석, 사마디움 : Sm계 자석, 세륨 : Ce계 자석 등과 같은 희토류자석 중 어느 하나이면서 디스크 형상을 갖고 복수개로 구비된 강자성체 디스크(52)를 각각 사이사이에 희토류자석 디스크(51)를 개재한 상태로 적층시킨 단체자석이다.
더욱 상세히 예를 들면, 네오디듐(또는 네오즘 이라 불리움)자석인 히토류자석 디스크(51)는 현존하는 자석 중에서 보자력(Hc)이 가장 큰 것으로서, 축부(13) 및 튜브(40)내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링형상으로 제작된다.
강자성체 디스크(52)도 희토류자석 디스크(51)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희토류자석 디스크(51)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의 링형상을 갖도록 제작된다.
희토류자석 디스크(51)들의 사이사이에 강자성체 디스크(52)가 통상의 자석 병합 또는 합체 방법에 의해 적층됨에 따라서, 단체자석으로서 상기 축부(13) 및 튜브(40) 내부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영구자석(50')이 된다.
희토류자석 디스크(51)는 1000℃ 이상의 고온에서 진공소결 용체화 및 시효처리에 의해 제작되어, 잔류자속밀도(Br)과 보자력(Hc) 모두가 큰 값을 갖고 있어 높은 자기특성이 요구되는 경우에 적합하며, 동일한 체적의 단체자석으로 비교 시 현재 상용화된 영구자석 중 가장 큰 흡착력을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므로, 더욱 강력한 발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희토류자석 디스크(51) 사이사이에 위치한 강자성체 디스크(52)의 배치적 특징에 의해서, 제2실시예에 따른 영구자석(50')은 그의 자화곡선(히스테리시스 커브)이 축부(13)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하고 균일하게 형성되어, 결국 기밀한 잔류자속밀도 내에서 발전이 수행되어 더욱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예컨대, 15초에서 30초 정도만 본 고안을 흔들 때 5분 정도 손전등의 램프를 켤 수 있는 전력이 발생됨).
제3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는 유도코일의 배열을 삼상 배열하고, 삼상 배열에 대응한 충전회로를 구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또는 제2실시예의 기술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2 내지 도 6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는 튜브(40)의 상, 중, 하 위치에 배열된 제1, 제2, 제3유도코일(61, 62, 63)로서 전체 유도코일(60)을 형성하고 있다.
제1, 제2, 제3유도코일(61, 62, 63)은 통상의 삼상 코일 결선 방법에 의해 결선된 후, 삼상 유도기전력을 충전전력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충전회로(80)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고 있다.
영구자석(50, 50')은 패라이트계 단일 자석이거나, 복수개로서 적층된 희토류자석 디스크와 고자성체 디스크로 이루어진 단체자석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는 비교적 전류량이 작아도 작동되는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자동 충전지로서 건전지를 교환하거나 장기 방치시 문제되는 건전지의 누액으로 인한 제품의 고장, 환경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소형화된 건전지와 동일한 레이아웃을 갖고 있음에 따라 기존의 건전지를 대체하여 사용되는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는 완충용 상부 및 제2스프링을 장착하여 소음이 적고, 스프링 탄성 반발력을 이용하여 더욱 효율적인 발전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는 튜브의 양단을 제1부싱판과 제2부싱판으로 막고, 유도코일이 감긴 튜브의 내부에서 영구자석을 왕복 이동시킴에 따라 내구성과 기밀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가발전 전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의 분해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에 도시된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싱 11 : 제1전극부
12 : 제2전극부 13 : 축부
20 : 제1부싱판 30, 31 : 스프링
50, 50' : 영구자석 40 : 튜브
60, 61, 62, 63 : 유도코일 70 : 제2부싱판
80 : 충전회로 90 : 축전지
Claims (8)
- 소형전지규격의 외형을 갖는 케이싱(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1전극부(11)와 제2전극부(12)를 구비시킨 충전형 소형전지에 있어서,상기 제1전극부(11)와 통전 가능케 접촉된 축부(13)와; 상기 제1전극부(11)의 저부에 밀착되어 상기 축부(13)의 상단을 고정시키게 결합된 제1부싱판(20)과; 상기 제1부싱판(20)의 스프링 안착홈(22)에 안착된 제1스프링(30)과; 상기 제1스프링(30)의 아래쪽에서 상기 축부(13)에 삽입된 링형상의 영구자석(50)과; 상기 제1부싱판(20)의 튜브 안착홈(23)에 안착된 튜브(40)와; 상기 튜브(40)의 외주면에 감겨져 고정되고 상기 영구자석(50)의 움직임에 대응하게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단상 결선의 유도코일(60)과; 상기 영구자석(50)의 아래쪽에 배치된 제2스프링(31)과; 상기 축부(13)를 중심 구멍에 삽입시키고 상기 제2스프링(31)과 상기 튜브(40)의 하단을 안착시키게 결합된 제2부싱판(70)과; 상기 제2부싱판(70)의 저부에서 상기 유도코일(60)의 유도기전력을 공급받게 전기적으로 결합된 충전회로(80)와; 상기 충전회로(80)와 상기 제2전극부(12)의 사이에 배치된 축전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부싱판(20)은 상기 축부(13)에 끼워질 수 있게 중심 구멍을 갖는 중공 원형의 디스크로서, 중심 구멍의 주위에서 상향으로 갓 형상을 갖게 돌출된 보스부(21)와, 디스크의 외측 저면에 복수개의 나이테 돌기에 의해 형성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상기 스프링 안착홈(22)과,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상기 튜브 안착홈(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부싱판(70)은 상기 축부(13)에 끼워질 수 있게 중심 구멍을 갖는 중공 원형의 디스크로서, 중심 구멍의 주위에서 하향으로 부싱 형상을 갖게 돌출된 보스부(71)와, 디스크의 외측 상면에 복수개의 나이테 돌기에 의해 형성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스프링 안착홈(72)과,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튜브 안착홈(73) 및, 디스크의 외측 저면에 형성된 충전회로 고정벽(74)을 갖는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충전회로(80)는 상기 제2부싱판(70)의 보스부(71)가 끼워질 수 있는 중심구멍을 갖는 디스크형 기판(PCB)으로서, 상기 유도코일(60)로부터 입력되는 유도기전력을 정류시키고 정전압을 유지하는 소형 정류소자 및 정전압소자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축전지(90)는 직경이 통상의 건전지보다 작고 두께가 얇은 전지로서 단수로 사용되거나, 직렬 연결에 의해 복수개로 사용되며, 상기 축전지(90)의 양극이 상기 축부(13)의 하단과 밀착되고, 상기 축전지(90)의 음극이 상기 제2전극부(12)와 밀착되어 통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영구자석(50)은 패라이트계 단일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영구자석(50')은 복수개로서 적층 합체된 희토류자석 디스크(51)와 고자성체 디스크(52)로 이루어진 단체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유도코일(60)은 상기 튜브(40)의 상, 중, 하 위치에 배열된 제1, 제2, 제3유도코일(61, 62, 63)을 삼상 결선에 의해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2091U KR200398684Y1 (ko) | 2005-07-29 | 2005-07-29 |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2091U KR200398684Y1 (ko) | 2005-07-29 | 2005-07-29 |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69404 Division | 2005-07-2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8684Y1 true KR200398684Y1 (ko) | 2005-10-14 |
Family
ID=43699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22091U KR200398684Y1 (ko) | 2005-07-29 | 2005-07-29 |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8684Y1 (ko) |
-
2005
- 2005-07-29 KR KR20-2005-0022091U patent/KR20039868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36086B2 (en) | Reciprocal vibration type power generator equipped with inner columnar and outer annular magnetic members, a power storage device, a rectifying circuit, and a charging circuit | |
US8237401B2 (en) | Recharg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 |
JP5251438B2 (ja) | 発電装置 | |
US7089043B2 (en) | Self-rechargeable portable telephone | |
US7333783B2 (en) | Mobile device with manually operated power source | |
WO2012065371A1 (zh) | 便携发电装置及智能终端 | |
US20130033131A1 (en) | Inductive Energy Converter | |
US20060214628A1 (en) | Induction charger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 |
CN110166907A (zh) | 发声装置 | |
KR101857611B1 (ko) | 선형진동모터 | |
JP2001045126A (ja) | 携帯電話機 | |
CN202475217U (zh) | 一种可振动发电的5号(aa)和7号(aaa)电池 | |
KR200398684Y1 (ko) | 자가발전 및 충전형 소형전지 | |
TWI294205B (en) | Self rechargeable portable telephone | |
RU2308643C1 (ru) | Автономный источник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с ручным механическим приводом | |
KR101125663B1 (ko) | 모듈화된 휴대용 발전기 | |
US20030048092A1 (en) | Electronic device with a power generator | |
JP2005137173A (ja) | 無接点充電式機器および充電器 | |
KR20130092852A (ko) | 자가발전장치 | |
KR20060107144A (ko) | 와이어리스 충전용 배터리 및 이를 충전할 수 있는유니버설 무선 충전기 | |
KR20120008634A (ko) | 개선된 구조의 무접점 전력 리시브 장치 및 무접점 충전 시스템 | |
CN2385460Y (zh) | 电池自动充电装置 | |
RU2390089C2 (ru) | Микрогенератор инерционный | |
KR200206552Y1 (ko) | 자가 충전가능한 배터리 | |
JP2002291228A (ja) | 電源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EXTG | Extingu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