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355Y1 - Case for cellular - Google Patents

Case for cellul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355Y1
KR200398355Y1 KR20-2005-0022354U KR20050022354U KR200398355Y1 KR 200398355 Y1 KR200398355 Y1 KR 200398355Y1 KR 20050022354 U KR20050022354 U KR 20050022354U KR 200398355 Y1 KR200398355 Y1 KR 2003983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obile phone
protective layer
prese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35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용원
Original Assignee
이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원 filed Critical 이용원
Priority to KR20-2005-00223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35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3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355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마찰계수가 높은 연성인 투명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보호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는 휴대폰 본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에 안착부가 형성되고, 휴대폰의 디자인에 따라 측면이 만곡되며, 케이스의 말단부에는 마감부가 형성되되, 상기 연성재질의 케이스를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마감부는 말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는 마감구배가 형성되고 최말단부는 최소의 두께를 갖는 마감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마감부에는 휴대폰과 결합되지 않은 공간이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phone case consisting of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the case is made of a protective layer made of a flexible elastic elastic material having a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is inside so that the mobile phone body is seated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ide, the side is curv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mobile phone, the end portion of the case is formed with a finish, the finish gradient is reduced to the thickness toward the end portion so that the case of the flexible material can be easily removable The end portion is formed of a finish line having a minimum thickness and provides a mobile phone case in which the space is not coupled to the mobile phone.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CASE FOR CELLULAR}Mobile phone case {CASE FOR CELLULAR}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 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을 보호하고 이탈착이 용이하며 다양한 기능이 부가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phone case to protect the mobile phone from external shocks, easy detachable and added a variety of functions.

오늘날 무선통신은 유선통신을 대체할 만큼 기술적 진보와 시장수요가 확대된 상태이다. 이러한 무선통신의 수단인 단말기는 역시 통신기술의 진보와 함께 진화되어 다양한 디자인은 물론 다양한 기능이 부가된 최첨단 전자제품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소위 휴대폰, 휴대폰, 셀룰러 등으로 호칭되는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여야 하는 필수적 요소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부착케이스가 제안되고 있다. 한편 휴대폰은 최첨단 전자제품으로서 다양한 기능부가에 따른 전자적 요소로 인해 내충격성, 방수성이 동시에 요구되고 있다.Today's wireless communications have expanded technological advances and market demands to replace wired communications. The terminal, which is a means of wireless communication, has also evolved with the advance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has established itself as a cutting-edge electronic product with various designs as well as various functions. So-called mobile phones, mobile phones, cellular phones, and the like, various types of attachment cases have been proposed due to essential elements that a user must carry. On the other hand, the mobile phone is a high-tech electronic product, the impact resistance and waterproofness are required at the same time due to the electronic elements with various functional units.

이러한 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시판 중인 케이스 중에는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케이스가 상판과 하판으로 형성되어 휴대폰에 결착되는 플라스틱 케이스가 제안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plastic case in which a case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is formed of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and bound to a mobile phone has been proposed.

구체적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82006호에서는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상부 슬라이더를 씌우는 상부 케이스(100); 상기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하부 슬라이더를 씌우는 하부 케이스(200);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100)와 하부 케이스(200)를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하며, 상기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가 서로 미끄러질 때 상기 상부 케이스(100)와 하부 케이스(200)가 상호 미끄러지면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딩 체결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슬라이드형 휴대폰 케이스가 제안되었다.(도 9a 참조)Specifically,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82006 covers an upper case 100 covering an upper slider of a slide-type mobile phone; A lower case 200 covering the lower slider of the slide-type mobile phone; The upper case 100 and the lower case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upper case 100 and the lower case 200 are guided to move while sliding with each other when the upper slider and the lower slider slide together. A sliding cell phone case including a sliding fastening part 300 is proposed. (See FIG. 9A)

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81964호에서는 덮개 일부가 슬라이딩 개폐되는 휴대폰 단말기용 보호케이스는, 기능버튼부(10)와 화면표시창(11)에 대응되는 개구부(12,13)가 형성되는 제1상부 케이스(14)와, 제1상부 케이스(14)와 분할형성되는 제2상부 케이스(15)로 이루어진 상부 케이스(16)와, 로킹수단에 의해 제1상부 케이스(1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배터리(17)를 수용하는 공간부(18)가 형성되는 제1하부케이스(19)와, 제1하부 케이스(19)와 분할형성되고 카메라렌즈(20)에 대응되는 개구부(21)가 형성되며, 로킹수단에 의해 제2상부 케이스(15)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하부 케이스(22)로 이루어진 하부 케이스(2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전면의 화면표시창(11)과 이면의 카메라렌즈(20)를 동시에 보호할 수 있도록 덮개(24)가 본체(36)에 대해 일정구간 슬라이딩이동되어 개폐되는 휴대폰 단말기(25)에 상,하부 케이스(16,23)를 결합하되, 제1상,하부 케이스(14,19)가 결합된 본체(36)에 대해 제2상,하부 케이스(15,22)가 결합된 덮개(24)가 일정구간 슬라이딩이동되어 개폐되는 케이스가 제안되었다.(도 9b 참조)In addition, in 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81964,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phone terminal in which a part of a cover is slid open and closed, a first upper case having openings 12 and 13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button unit 10 and the screen display window 11 are formed. (14), an upper case (16) consisting of a second upper case (15) divided into a first upper case (14),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upper case (14) by locking means; A first lower case 19 having a space 18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17 is formed, and an opening 21 which is divided with the first lower case 19 and corresponding to the camera lens 20 is formed. And a lower case 23 made of a second lower case 22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upper case 15 by a locking means, wherein the front screen display window 11 and the rear camera lens are provided. The cover 24 is sliced with respect to the body 36 to protect the 20 at the same time. The upper and lower cases 16 and 23 are coupled to the mobile phone terminal 25 that is moved and opened and closed, but the second upper and lower cases (ie, the main body 36 to which the first upper and lower cases 14 and 19 are coupled). A case in which the cover 24 coupled with the lids 15 and 22 is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a predetermined section has been proposed (see FIG. 9B).

상기 제안들은 모두 상부와 하부케이스가 분리되어 결합되는 점은 동일하고 외부의 충격에서 휴대폰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이들을 결합시키거나 착탈시키기 위한 별도의 로킹수단이 필요하고 상기 로킹수단으로 인해 특히 슬라이드형 휴대폰에 있어서는 휴대폰의 상부 및 하부가 탈착동작시 함께 이격될 수 있어 빈번한 탈착동작은 결국 기구적 손상으로 까지 이어지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All of the above proposals are the same that the upper and lower cases are separated and combined,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protecting the mobile phone from external shocks, but a separate locking means for combining or detaching them is required, and the locking means In the slide type mobile phone,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mobile phone can be spaced together during the detachment operation, so a frequent detachment operation has been raised, which leads to mechanical damage.

한편 오늘날 휴대폰은 통신수단이라는 장치 이상의 문화적 컨텐츠로 발전하고 있어 휴대폰을 장식하거나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트렌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에 휴대폰 역시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으나 휴대폰의 외관은 최초 형태에서 변화시키기 어렵다는 점에서 휴대폰의 외관을 손쉽게 변화시킬 수 있는 수단이 요망되었다.On the other hand, today's mobile phones are developing into cultural contents beyond the device of communication means, and the trend is to decorate mobile phones or add various functions. In this trend, mobile phones are also evolving in various forms, but since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phone is difficult to change from the initial form, a means for easily changing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phone is desir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폰을 외부의 충격이나 액체성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case that can protect the mobile phone from external shocks or liquid components.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탈착이 용이하여 휴대폰의 기구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case that can be easily removable to prevent mechanical damage of the mobile phon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로서 다양한 형태 변형 및 기능부가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case that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functions as a ca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마찰계수가 높은 연성인 투명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보호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는 휴대폰 본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에 안착부가 형성되고, 휴대폰의 디자인에 따라 측면이 만곡되며, 케이스의 말단부에는 마감부가 형성되되, 상기 연성재질의 케이스를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마감부는 말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는 마감구배가 형성되고 최말단부는 최소의 두께를 갖는 마감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마감부에는 휴대폰과 결합되지 않은 공간이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phone case consisting of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the case is made of a protective layer made of a flexible elastic material of high friction coefficient,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 seating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body so that the mobile phone body can be seated, the side is curv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mobile phone, and a finish portion is formed at the end portion of the case, and the finish portion is distal to easily detach the case of the soft material. The finishing gradient is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in thickness and the end portion is made of a finish line having a minimum thickness to provide a mobile phone case formed with a space that is not combined with the mobile phone in the finish portion.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케이스의 결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마감부에 "ㄴ"형으로 내측으로 굽어진 마감절곡이 더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phone case formed with a finish bending bent inwardly in the form of "b"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of the case.

또한 본 고안은 케이스와 휴대폰의 결합력 및 충격흡수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호층의 하부는 요홈이 형성된 요철구조로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phone case consisting of a concave-convex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ective layer is formed in the groove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and the shock absorption of the case and the mobile phone.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보호층의 상부에 코팅층이 더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phone case formed with a coating layer on top of the protective layer.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보호층과 코팅층 사이에 인쇄층이 더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phone case formed with a printed layer between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coating layer.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보호층에 휴대폰의 화면표시부를 확대할 수 있는 화면기능층이 더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phone case formed with a screen function layer to enlarge the screen display of the mobile phone to the protective layer.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보호층에 기능부재가 더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phone case formed with a functional member on the protective layer.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denot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결합사시도와 부분확대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는 상부케이스(210)와 하부케이스(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케이스는 별도의 결착수단이 없이 형성되고 그 재질은 투명탄성부재로 이루어지며 재질특성상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실리콘이 단층 구조(보호층, 미도시)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케이스는 별도의 결착수단이 없더라도 재질특성으로 인해 휴대폰의 표면에 부착된다.1 and 2 show a combined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enlarged view of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phone case may be composed of an upper case 210 and a lower case 220.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out a separate binding means and the material is made of a transparent elastic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material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For example, silicon may be used as a single layer structure (protective layer, not shown). Therefore, th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due to the material properties even without a separate binding means.

상기 상부케이스(210)는 화면표시부가 외부로 바로 노출될 수 있도록 화면공(211)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화면공(211)이 형성된 상태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기타 휴대폰의 버튼을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버튼공(212)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내부구조는 후술할 하부케이스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The upper case 210 may be selectively formed with a screen hole 211 so that the screen display portion can be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1 show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screen hole 211 is formed. Meanwhile, a button hole 212 for exposing the button of the other mobile phone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together. Since the specific internal structure is the same as the lower case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omitted.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의 하부케이스(220)는 휴대폰 본체가 안착될 수 있는 케이스의 내측에는 안착부(222)가 형성되고, 휴대폰의 디자인에 따라 측면이 만곡되어 형성되고, 케이스의 말단부에는 마감부(223)가 형성된다. 마감부(223)는 말단부로 갈수로 두께가 작아지는 마감구배(223a)가 형성되고 최말단부는 최소의 두께를 갖는 마감선(223b)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의한 케이스에서 마감구배(223a)와 마감선(223b)이 형성됨으로서 마감부(223)에서는 휴대폰과 결합되지 않은 공간이 형성되어, 케이스를 휴대폰에서 탈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마감부(223)에서 형성된 공간으로부터 연성재질의 케이스를 벗겨냄으로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케이스를 탈착시킬 수 있다. 한편 하부케이스(220)에는 안테나를 삽입시키기 위한 안테나공(221)이 형성될 수 있고 기타 버튼을 노출시키기 이한 버튼공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충전단자를 노출시키기 위한 충전개구(2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공이나 버튼공은 휴대폰의 모델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것이어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해하지 않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The lower case 220 of th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ating portion 222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ase in which the mobile phone body can be seated, and the side surface is curv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mobile phone, and the end of the case is closed. The part 223 is formed. The finish portion 223 has a finish gradient 223a having a smaller thickness toward the distal end, and the end portion is formed of a finish line 223b having a minimum thickness. In th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sing gradient 223a and the closing line 223b are formed so that the finishing portion 223 has a space that is not coupled to the mobile phone, and the closing part 223 is to be detached from the mobile phone. The user can easily detach the case by peeling the case of the soft material from the space formed in the). Meanwhile, the lower case 220 may include an antenna hole 221 for inserting an antenna, a button hole for exposing other buttons may be additionally formed, and a charging opening 224 for exposing a charging terminal may be formed. have. The antenna hole or button hol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odel of the mobile phone,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예는 폴더형, 슬라이드형 등 모든 휴대폰 모델에 적용될 수 있는 예이다.  1 and 2 are examples that can be applied to all mobile phone models such as a folding type and a slide type.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케이스를 나타낸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상기 설명된 케이스와 동일하나 마감부(223)의 구조에 차이가 있다. 상기 마감부(223)는 "ㄴ"형으로 내측으로 굽어진 마감절곡(225)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절곡(225)은 휴대폰의 표면에 걸리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부 또는 하부케이스 각각은 " ㄴ"형으로 이루어진 구조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케이스의 결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조이다.Figure 3 shows a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the same as the case described above,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finish portion 223. The finish portion 223 is formed a finish bending 225 is bent inward in the "b" shape and the finish bending 225 is made of a structure that is caught on th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each of the upper or lower case is "b" type It can be a structure made. This embodiment is a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binding force of the case.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케이스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예들은 모두 케이스가 탄성재질의 단층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설명한 것이나 도 4에 도시된 구조는 상기 보호층(200)의 상부에 코팅층(300)이 적층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케이스에서 보호층(200)은 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코팅층(300)은 부가적인 기능을 더 하나는 것으로서 상기 코팅층(300)은 발수, 방오, 항균코팅은 물론 본 고안에 의한 보호층(200)이 마찰계수가 높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관계로 외부의 표면촉감이 뻣뻣하고 오염원이 쉽게 부착될 수 있을 수 있으므로 표면개질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폰과 결착되는 보호층(200)은 마찰계수가 높아 결착력이 높고, 코팅층은 마찰계수가 낮아 촉감이 부드러우면서 오염원이 부착되지 않게 된다. Figure 4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examples are all described that the case is made of a single-layer structure of elastic material, but the structure shown in Figure 4 is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ective layer 200 It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coating layer 300 is laminated. In th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layer 200 serves to protect the mobile phone from impact, and the coating layer 300 has an additional function as the coating layer 300 is water repellent, antifouling, antibacterial coating as well Since the protective lay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the external surface stiffness may be stiff and a contaminant may be easily attached. In this case, the protective layer 200 to be bound with the mobile phone has a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and a high binding force, and the coating layer has a low coefficient of friction, so that the touch is soft and the pollution source is not attached.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케이스의 단면도로서, 보호층(200)의 하부가 요철구조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보호층(200)의 하부(휴대폰에 부착되는 면)에 미세한 요홈(240)을 형성함으로서 케이스와 휴대폰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폰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요홈(240)의 공기는 충격을 흡수하여 휴대폰을 보호하는 완충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ective layer 200 has a concave-convex structure. By forming a fine groove 240 in the lower portion (surface to be attached to the mobile phone) of the protective layer 200 can increase the coupling force of the case and the mobile phone. In addition, the air of the groove 240 in the state attached to the mobile phone may act as a shock absorber to protect the mobile phone by absorbing the shock.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케이스의 단면도로서, 보호층(200)과 코팅층(300) 사이에 인쇄층(400)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인쇄층(400)은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이나 문구가 도안될 수 있어 본 고안에 의한 케이스의 심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케이스를 생산할 수 있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at the printing layer 400 is formed between the protective layer 200 and the coating layer 300. The print layer 400 may be designed or phrases of various forms can increase the aesthetics of th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produce a variety of cases.

도 7a 및 7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케이스의 단면도 및 상부케이스의 사시도로서, 휴대폰의 화면표시부를 확대하여 보일 수 있는 화면기능층(500)이 더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노인 등을 위해 화면표시부를 확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화면기능층(500)은 볼록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보호층과 다른 재질(예, 에폭시)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상기 도 7에 의한 케이스에서 보호층(200) 및 화면기능층(500)의 상부에 코팅층(300)이 더 부가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case and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cas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at a screen function layer 500 which can be enlarged to be shown is enlarged. The screen function layer 500, which serves to enlarge the screen display unit for the elderly, may be formed in a convex shape, and may be formed as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protective layer (eg, epoxy). FIG. 8 illustrates a form in which the coating layer 300 is further added on the protective layer 200 and the screen function layer 500 in the case of FIG. 7.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케이스의 단면도로서, 보호층(200)에 기능부재(600)가 더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기능부재(600)는 다양한 기능성 부재가 부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휴대폰의 소모전력을 절감시키기 위해, 금, 은, 동 및 알루미늄 등의 금속성 물질의 박막일 수 있고, 전자파차폐부재나,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체크레벨(공지)이 형성될 수도 있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at the functional member 600 is further formed in the protective layer 200. The functional member 600 may be attached to a variety of functional members, for example, in order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bile phone, may be a thin film of a metallic material such as gold, silver, copper and aluminum, electromagnetic shielding member or A check level (notice) may be formed to check the health status of the patien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투명탄성재질로 형성된 보호층의 상부 및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져 외부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을 보호할 수 있고,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어 방수 및 방오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n upper and a lower case of a protective layer formed of a transparent elastic material to protect the mobile phone from an external shock, and a coating layer is formed to add waterproof and antifouling functions. Can be.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는 마감부에 휴대폰과 이격된 마감구배로 형성되어 있어 탈착이 용이하면서도 휴대폰의 기구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s a closing gradient spaced apart from the mobile phon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removable while minimizing mechanical damage of the mobile phone.

또한 본 고안은 인쇄층, 화면기능층, 기능부재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변형 및 기능의 발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appearance of various forms of deformation and function due to the printing layer, the screen functional layer, the functional member.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결합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phone case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휴대폰 케이스의 부분확대도.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mobile phone case of FIG.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결합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단면도 및 사시도.7a to 7c is a 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및 9b는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9a and 9b are perspective views of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200 : 보호층 210 : 상부케이스200: protective layer 210: upper case

220 : 하부케이스 222 : 안착부220: lower case 222: seating portion

223 : 마감부 223a : 마감구배223: finish portion 223a: finish gradient

223b : 마감선 225 : 마감절곡223b: finish line 225: finish bending

240 : 요홈 300 : 코팅층 240: groove 300: coating layer

400 : 인쇄층 500 : 화면기능층400: printed layer 500: screen function layer

600 : 기능부재600: functional member

Claims (7)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In the mobile phone case consisting of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상기 케이스는 마찰계수가 높은 연성인 투명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보호층으로 이루어지고,The case is made of a protective layer made of a flexible transparent elastic material having a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는 휴대폰 본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에 안착부가 형성되고, 휴대폰의 디자인에 따라 측면이 만곡되며, 케이스의 말단부에는 마감부가 형성되되,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has a sea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inside so that the mobile phone main body is seated, the side is curv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mobile phone, the end of the case is formed with a closing portion, 상기 연성재질의 케이스를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마감부는 말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는 마감구배가 형성되고 최말단부는 최소의 두께를 갖는 마감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마감부에는 휴대폰과 결합되지 않은 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In order to easily detach the case of the flexible material, the finishing portion is formed with a closing gradient that becomes smaller as the thickness goes toward the distal end, and the end is made of a closing line having a minimum thickness, and the space is not coupled to the mobile phone. Cell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의 결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마감부에 "ㄴ"형으로 내측으로 굽어진 마감절곡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ish bending further bent inward in the form of "b"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of the cas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케이스와 휴대폰의 결합력 및 충격흡수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호층의 하부는 요홈이 형성된 요철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ective layer is made of a concave-convex structure formed with grooves in order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of the case and the mobile phon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보호층의 상부에 코팅층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ating layer is further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보호층과 코팅층 사이에 인쇄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nted layer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protective layer and the coating lay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보호층에 휴대폰의 화면표시부를 확대할 수 있는 화면기능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en layer further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to enlarge the screen display of the mobile phon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보호층에 기능부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al member is further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KR20-2005-0022354U 2005-08-01 2005-08-01 Case for cellular KR20039835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354U KR200398355Y1 (en) 2005-08-01 2005-08-01 Case for cellul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354U KR200398355Y1 (en) 2005-08-01 2005-08-01 Case for cellula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429A Division KR100709784B1 (en) 2005-08-01 2005-08-01 Case for cellul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355Y1 true KR200398355Y1 (en) 2005-10-12

Family

ID=43699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354U KR200398355Y1 (en) 2005-08-01 2005-08-01 Case for cellul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355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340B1 (en) Protection cover for personal digitalassistant
CN105302240B (en) Component assembling
US20060061950A1 (en) Protective membrane for touch screen device
CN104053328A (en) Case structur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WM270706U (en) Changeable mobile phone leather cover
US9684333B2 (en) Electronic device and case member
KR200423887Y1 (en) Cover case for cellular phone
KR101197173B1 (en) Protecting case for Bar-type handheld
KR200398355Y1 (en) Case for cellular
KR100709784B1 (en) Case for cellular
KR101085472B1 (en) Protecting skin for Bar-type handheld
KR200381942Y1 (en) Hard Cover for Mobile Phone Body
CN208849829U (en) Modified form electronic product protection sleeve
KR200454685Y1 (en) Cell phone case
KR100466167B1 (en) safety case for polder or slider type mobile phone
KR200390744Y1 (en) Protection Cover for Mobile Phone Keypad
KR200369597Y1 (en) Multirole portable phone case
KR200381189Y1 (en) Aluminum eye-glasses case structure
CN209517269U (en) A kind of structure improved mobile phone shell
KR200170103Y1 (en) Device for sticking for a handphone
KR101474960B1 (en) Mobilephone case
KR200310426Y1 (en) safety case for polder or slider type mobile phone
KR200387512Y1 (en) Cellular phone cover having a memo paper holder
CN216959943U (en) Flexible wear-resisting cell-phone sheath
KR100915985B1 (en) Eypad for personal port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