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093Y1 -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 Google Patents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093Y1
KR200398093Y1 KR20-2005-0020706U KR20050020706U KR200398093Y1 KR 200398093 Y1 KR200398093 Y1 KR 200398093Y1 KR 20050020706 U KR20050020706 U KR 20050020706U KR 200398093 Y1 KR200398093 Y1 KR 2003980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ce
groove
magnet
vibration moto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7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용민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아텍
Priority to KR20-2005-00207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0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0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0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34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06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 H02K29/08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using 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plates, magneto-resis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고안은 비자성 재질로 이루어진 회전자 브라켓에 마그네트와 분동을 용이하게 안착시킨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의 회전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높이가 있는 테두리부(202)와, 상기 테두리부(202)의 하면에서 중앙으로 연장된 1개 이상의 가지부(207)와, 상기 가지부(207)의 단부와 연결되며 원형을 이루는 바닥부(206)와, 빈공간인 어펄츄어(204)와, 상기 바닥부(206)의 내경에서 높이를 가지며 베어링(217)이 삽입되는 보스부(208)와, 상기 테두리부(202)의 외경에서 일정한 원주 범위로 연장된 분동안착부(210)로 구성된 회전자 브라켓(200)과; 분동 안착부(2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분동(215)과; 상기 가지부(207)에 걸림되도록 홈(221)이 형성된 마그네트(220)으로 구성되어, 회전자브라켓(200)의 어펄츄어(204)의 폭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진 마그네트(220)를 어펄츄어(204)에 안착시키되, 마그네트(220)의 홈(221)이 가지부(207)에 걸림된다.

Description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ROTOR STRUCTURE OF BRUSHLESS FLAT TYPE VIBRATION MOTOR}
본 고안은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비자성 재질로 이루어진 회전자 브라켓에 마그네트와 분동을 용이하게 안착시킨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의 회전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에서는 요크에 분동 및 마그네트를 고정시켰다.
요크를 사용하는 경우 제조 단가가 많이 나간다는 문제점이 있고, 분동 및 마그네트를 안착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요크 대신에 비자성 재질로 이루어진 브라켓을 사용하여 분동 및 마그네트를 다양한 형태로 안착시킬 수 있는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의 일예로서,
높이가 있는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하면에서 중앙으로 연장된 1개 이상의 가지부와, 상기 가지부의 단부와 연결되며 원형을 이루는 바닥부와, 빈공간인 어펄츄어와, 상기 바닥부의 내경에서 높이를 가지며 베어링이 삽입되는 보스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외경에서 일정한 원주 범위로 연장된 분동안착부로 구성된 회전자 브라켓과,
분동 안착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분동과,
상기 가지부에 걸림되도록 홈이 형성된 마그네트
으로 구성되어,
회전자브라켓의 어펄츄어의 폭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진 마그네트를 어펄츄어에 안착시키되, 마그네트의 홈이 가지부에 걸림된다.
본 고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의 다른 일예로서,
높이가 있는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하부 내면으로 연장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내경에서 높이를 가지며 베어링이 삽입되는 보스부와, 상기 바닥부가 연장되며 외주에 높이를 가진 스톱퍼가 구비된 큰원주부와, 상기 큰원주부로부터 연장되며 원주 둘레가 작아지며 돌부가 구비된 작은 원주부로 구성된 분동안착부로 구성된 회전자 브라켓과,
큰원주부와 작은 원주부의 폭의 합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큰원주부의 원주 둘레와 같은 원주 둘레를 가지며, 하부에 상기 돌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가 삽입되는 홈이 양측면에 형성된 분동과,
마그네트
로 구성되어,
회전자브라켓의 바닥부의 폭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진 마그네트를 바닥부에 안착시키고, 상기 분동안착부의 스톱퍼에 분동의 홈이 삽입되고, 분동안착부의 돌부에 분동의 홈이 삽입된다.
본 고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의 또 다른 일예로서,
테두리부가 원형 전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하부 내면으로 연장된 바닥부가 어펄츄어를 형성하여 빈공간이 되고 가지부가 1개 이상 형성되어 바닥부에 연결되고, 바닥부 내경에는 베어링이 삽입되는 보스부가 구비되며, 분동안착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에 높이를 가진 스톱퍼가 구비된 큰원주부와, 상기 큰원주부로부터 연장되며 원주 둘레가 작아지며 돌부가 구비된 작은 원주부로 구성된 회전자 브라켓과,
상기 가지부에 걸림되도록 홈이 형성된 마그네트와,
큰원주부와 작은 원주부의 폭의 합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큰원주부의 원주 둘레와 같은 원주 둘레를 가지며, 하부에 상기 돌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가 삽입되는 홈이 양측면에 형성된 분동으로 구성되어,
마그네트는 어펄츄어에 위치하며 그 홈이 가지부에 삽입되고, 상기 분동안착부의 스톱퍼에 분동의 홈이 삽입되고, 분동안착부의 돌부에 분동의 홈이 삽입된다.
본 고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의 일예로서,
회전자 브라켓은 마그네트가 하부로 고정되는 상층부와, 상층부에서 계단식으로 층이된 하층부와, 상기 상층부의 일부에서 상기 하층부와 같은 레벨로 연장된 분동안착부로 구성되어, 베어링이 삽입된 후, 베어링과 하층부 상에 사출물이 충진되어 베어링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분동안착부에는 분동이 안착된다.
본 고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의 일예로서,
높이가 있는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하부 내면으로 연장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내경에서 높이를 가진 상층부와, 상기 상층부 상에서 높이로 연장된 보스부와, 상기 바닥부가 연장되며 외주에 높이를 가진 스톱퍼가 구비된 큰원주부와, 상기 큰원주부로부터 연장되며 원주 둘레가 작아지진 작은 원주부로 구성된 분동안착부로 구성된 회전자 브라켓과,
큰원주부와 작은 원주부의 폭의 합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큰원주부의 원주 둘레와 같은 원주 둘레를 가지며, 하부에 상기 돌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가 삽입되는 홈이 양측면에 형성된 분동과,
마그네트로 구성되어,
회전자브라켓의 바닥부의 폭 보다 작은 폭을 가진 마그네트를 바닥부에 안착시키고, 상기 분동안착부의 스톱퍼에 분동의 홈이 삽입된다.
먼저 본고안이 적용될 수 있는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일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중앙에 원형의 리브(152)가 구비된 하부 케이스(52)상에 연성회로기판(56)이 안착된다.
상기 연성회로기판(56)상에는 마그네트(88)의 자극과 자극 위치를 검출하는 홀센서 및 구동 드라이버가 내장된 구동IC(58)와, 회전계자를 발생시켜 마그네트(88)을 회전시키는 코일(60)이 안착된다.
상부케이스(54)는 하부케이스(52)와 결합된다.
상기 상부케이스(54)의 상부에는 커버 브라켓(72)이 결합된다.
샤트프(62)는 상기 하부케이스(52)의 리브(152)에 그 하부가, 상기 상부케이스(54)의 리브(55)에 그 상부가 장착되고, 상기 리브(152)의 상부에는 와셔(64)가 그리고 상기 와셔(64) 상부에는 베어링(66)이 그리고 상기 베어링(66) 상부에는 베어링의 고속 장기 회전에 따른 리브(155)의 열변형 및 마모 방지를 위하여 피크(PEEK) 재질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시트(68)가 장착된다.
상기 베어링(66)의 외측에는 중앙에 리브가 형성되어 베어링(66)이 압입되는 회전자 브라켓(82)이 장착되고, 상기 회전자 브라켓(82)에는 다극 착자된 마그네트(88)과, 상기 마그네트(88) 외측에 편심력을 일으키는 분동(78)이 장착된다.
이하,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브라켓(200)은 높이가 있는 테두리부(202)와, 상기 테두리부(202)의 하면에서 중앙으로 연장된 1개 이상의 가지부(207)와, 상기 가지부(207)의 단부와 연결되며 원형을 이루는 바닥부(206)와, 상기 바닥부(206)의 내경에서 높이를 가지며 베어링(217)이 삽입되는 보스부(208)와, 상기 테두리부(202)의 외경에서 일정한 원주 범위로 연장된 분동안착부(210)로 구성된다.
어펄츄어(204)는 빈공간이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분동안착부(210)에 안착되는 분동(215)은 분동 안착부(2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마그네트(220)는 상기 가지부(207)에 걸림되도록 홈(221)이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회전자브라켓(200)의 어펄츄어(204)의 폭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진 마그네트(220)를 어펄츄어(204)에 안착시키되, 마그네트(220)의 홈(221)이 가지부(207)에 걸림된다. 분동안착부(210)에 분동(215)이 접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이하,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브라켓(240)은 높이가 있는 테두리부(242)와, 상기 테두리부(242)의 하부 내면으로 연장된 바닥부(246)와, 상기 바닥부(246)의 내경에서 높이를 가지며 베어링(269)이 삽입되는 보스부(248)와, 상기 바닥부(246)가 연장되며 외주에 높이를 가진 스톱퍼(254)가 구비된 큰원주부(257)와, 상기 큰원주부(257)로부터 연장되며 원주 둘레가 작아지며 돌부(252)가 구비된 작은 원주부(258)로 구성된 분동안착부(250)로 구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분동안착부(250)에 안착되는 분동(265)은 큰원주부(257)와 작은 원주부(258)의 폭의 합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큰원주부(257)의 원주 둘레와 같은 원주 둘레를 가지며, 하부에 상기 돌부(252)가 삽입되는 홈(268)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254)가 삽입되는 홈(266)이 양측면에 형성된다.
마그네트(220)는 제1실시예에서의 홈(221)이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회전자브라켓(240)의 바닥부(246)의 폭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진 마그네트(265)를 바닥부(246)에 안착시킨다. 상기 분동안착부(250)의 스톱퍼(254)에 분동의 홈(266)이 삽입되고, 분동안착부(240)의 돌부(252)에 분동의 홈(268)이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동에 홈이 저면과 측면에 형성되나, 어느 한 곳에만 있어도 무방하다.
대안적으로는 분동안착부(240)의 돌부(252)가 홈이 되고, 분동의 홈(268)이 돌기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브라켓(240')은 제2실시예의 회전자브라켓(240)과 거의 동일한 형상이나, 테두리부(242)가 원형 전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242)의 하부 내면으로 연장된 바닥부(256)가 어펄츄어(256)를 형성하여 빈공간이 되고 가지부(257)가 1개 이상 형성되어 바닥부(248)에 연결되고, 바닥부 내경에는 베어링(269)이 삽입되는 보스부(248)가 구비된다. 분동안착부(250)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테두리부(242)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에 높이를 가진 스톱퍼(254)가 구비된 큰원주부(257)와, 상기 큰원주부(257)로부터 연장되며 원주 둘레가 작아지며 돌부(252)가 구비된 작은 원주부(258)로 구성된다.
마그네트는 도 5 및 도 6의 마그네트(220)가 사용되고, 분동은 도 9의 분동(265)이 사용된다.
이로써, 도 12를 참조하면, 마그네트(220)는 어펄츄어(256)에 위치하며 그 홈(221)이 가지부(257)에 삽입되고, 상기 분동안착부(250)의 스톱퍼(254)에 분동(265)의 홈(266)이 삽입되고, 분동안착부(240)의 돌부(252)에 분동의 홈(268)이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동에 홈이 저면과 측면에 형성되나, 어느 한 곳에만 있어도 무방하다.
대안적으로는 분동안착부(240)의 돌부(252)가 홈이 되고, 분동의 홈(268)이 돌기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베어링의 구조를 변경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279)은 상부에 턱(280)이 구비되어 베어링이 안정적인 위치를 가지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제5실시예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베어링의 구조를 변경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289)은 하부에 턱(290)이 구비되어 회전자 브라켓이 안정적인 위치를 가지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제6실시예를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브라켓(310)은 마그네트(220')가 하부로 고정되는 상층부(314)와, 상층부(314)에서 계단식으로 층이된 하층부(316)와, 상기 상층부(314)의 일부에서 상기 하층부(316)와 같은 레벨로 연장된 분동안착부(312)로 구성되어, 베어링(289)이 삽입된 후, 베어링(289)과 하층부(316) 상에 사출물(319)이 충진되어 베어링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분동안착부(312)에는 분동(215)이 안착된다.
이하, 본 고안의 제7실시예를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 브라켓(350)은 높이가 있는 테두리부(362)와, 상기 테두리부(362)의 하부 내면으로 연장된 바닥부(356)와, 상기 바닥부(356)의 내경에서 높이를 가진 상층부(360)와, 상기 상층부(360) 상에서 높이로 연장된 보스부(358)와, 상기 바닥부(356)가 연장되며 외주에 높이를 가진 스톱퍼(354)가 구비된 큰원주부(357)와, 상기 큰원주부(357)로부터 연장되며 원주 둘레가 작아지진 작은 원주부(359)로 구성된 분동안착부(352)로 구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분동안착부(250)에 안착되는 분동(265)은 제2실시예의 분동(도 9)이다.
마그네트(220)는 제1실시예에서의 홈(221)이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된다.
이로써, 회전자브라켓(350)의 바닥부(356)의 폭 보다 작은 폭을 가진 마그네트(220')를 바닥부(356)에 안착시킨다. 상기 분동안착부(352)의 스톱퍼(354)에 분동의 홈(266)이 삽입된다.
이하, 본 고안의 제8실시예를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베어링의 구조를 변경한 제4실시예에 따른 베어링(279)은 상부에 턱(280)이 구비되어 베어링이 안정적인 위치를 가지게 되는데, 상기 베어링의 턱(280)에 맞게, 회전자 브라켓(240)의 보스부(248)에 계단부(248a)가 연장된 것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8실시예에서 마그네트의 상부에 연자성 플레이트(500)를 고정시켜, 마그네트의 자기 발생 효과에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는 요크 대신에 비자성 재질로 이루어진 브라켓을 사용하여 분동 및 마그네트를 다양한 형태로 안착시킬 수 있어서 제조 단가가 저렴하게 되고, 조립 공정이 쉽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의 회전자 브라켓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의 회전자 브라켓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의 분동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의 마그네트의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의 마그네트의 측면도
도 7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의 단면도
도 8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의 회전자 브라켓의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의 분동의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의 체결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의 회전자 브라켓의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의 체결단면도
도 13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의 체결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의 체결단면도
도 15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의 회전자 브라켓의 사시도
도 16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의 체결단면도
도 17은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의 회전자 브라켓의 사시도
도 18은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의 체결단면도
도 19는 본 고안의 제8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의 체결단면도
도 20은 본 고안에 따른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의 마그네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240, 310, 350 : 회전자 브라켓
202, 242, 362 : 테두리부 204 : 어펄츄어
206, 246, 248, 256, 356 : 바닥부 207, 257 : 가지부
208, 248, 358 : 보스부 210, 250, 312 : 분동안착부
215, 265 : 분동 217, 289 : 베어링
220, 265 : 마그네트 221, 266, 268 : 홈
252 : 돌부 254, 354 : 스톱퍼
257 : 큰원주부 258 : 작은 원주부
269 : 베어링 314, 360 : 상층부
316 : 하층부 319 : 사출물

Claims (17)

  1. 높이가 있는 테두리부(202)와, 상기 테두리부(202)의 하면에서 중앙으로 연장된 1개 이상의 가지부(207)와, 상기 가지부(207)의 단부와 연결되며 원형을 이루는 바닥부(206)와, 빈공간인 어펄츄어(204)와, 상기 바닥부(206)의 내경에서 높이를 가지며 베어링(217)이 삽입되는 보스부(208)와, 상기 테두리부(202)의 외경에서 일정한 원주 범위로 연장된 분동안착부(210)로 구성된 회전자 브라켓(200)과,
    분동 안착부(2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분동(215)과,
    상기 가지부(207)에 걸림되도록 홈(221)이 형성된 마그네트(220)
    으로 구성되어,
    회전자브라켓(200)의 어펄츄어(204)의 폭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진 마그네트(220)를 어펄츄어(204)에 안착시키되, 마그네트(220)의 홈(221)이 가지부(207)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부에 턱이 구비되어 베어링이 안정적인 위치를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하부에 턱이 구비되어 회전자 브라켓이 안정적인 위치를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상에는 연자성 플레이트(50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5. 높이가 있는 테두리부(242)와, 상기 테두리부(242)의 하부 내면으로 연장된 바닥부(246)와, 상기 바닥부(246)의 내경에서 높이를 가지며 베어링(269)이 삽입되는 보스부(248)와, 상기 바닥부(246)가 연장되며 외주에 높이를 가진 스톱퍼(254)가 구비된 큰원주부(257)와, 상기 큰원주부(257)로부터 연장되며 원주 둘레가 작아지며 돌부(252)가 구비된 작은 원주부(258)로 구성된 분동안착부(250)로 구성된 회전자 브라켓(240)과,
    큰원주부(257)와 작은 원주부(258)의 폭의 합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큰원주부(257)의 원주 둘레와 같은 원주 둘레를 가지며, 하부에 상기 돌부(252)가 삽입되는 홈(268)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254)가 삽입되는 홈(266)이 양측면에 형성된 분동(265)과,
    마그네트(220)
    로 구성되어,
    회전자브라켓(240)의 바닥부(246)의 폭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진 마그네트(265)를 바닥부(246)에 안착시키고, 상기 분동안착부(250)의 스톱퍼(254)에 분동의 홈(266)이 삽입되고, 분동안착부(240)의 돌부(252)에 분동의 홈(268)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부에 턱이 구비되어 베어링이 안정적인 위치를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하부에 턱이 구비되어 회전자 브라켓이 안정적인 위치를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상에는 연자성 플레이트(50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동안착부(240)의 돌부(252)가 홈이 되고, 분동의 홈(268)이 돌기로 대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10. 테두리부(242)가 원형 전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242)의 하부 내면으로 연장된 바닥부(256)가 어펄츄어(256)를 형성하여 빈공간이 되고 가지부(257)가 1개 이상 형성되어 바닥부(248)에 연결되고, 바닥부 내경에는 베어링(269)이 삽입되는 보스부(248)가 구비되며, 분동안착부(250)는 상기 테두리부(242)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에 높이를 가진 스톱퍼(254)가 구비된 큰원주부(257)와, 상기 큰원주부(257)로부터 연장되며 원주 둘레가 작아지며 돌부(252)가 구비된 작은 원주부(258)로 구성된 회전자 브라켓(240')과,
    상기 가지부(207)에 걸림되도록 홈(221)이 형성된 마그네트(220)와,
    큰원주부(257)와 작은 원주부(258)의 폭의 합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큰원주부(257)의 원주 둘레와 같은 원주 둘레를 가지며, 하부에 상기 돌부(252)가 삽입되는 홈(268)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254)가 삽입되는 홈(266)이 양측면에 형성된 분동(265)으로 구성되어,
    마그네트(220)는 어펄츄어(256)에 위치하며 그 홈(221)이 가지부(257)에 삽입되고, 상기 분동안착부(250)의 스톱퍼(254)에 분동(265)의 홈(266)이 삽입되고, 분동안착부(240)의 돌부(252)에 분동의 홈(268)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부에 턱이 구비되어 베어링이 안정적인 위치를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하부에 턱이 구비되어 회전자 브라켓이 안정적인 위치를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상에는 연자성 플레이트(50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동안착부(240)의 돌부(252)가 홈이 되고, 분동의 홈(268)이 돌기로 대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15. 회전자 브라켓(310)은 마그네트(220')가 하부로 고정되는 상층부(314)와, 상층부(314)에서 계단식으로 층이된 하층부(316)와, 상기 상층부(314)의 일부에서 상기 하층부(316)와 같은 레벨로 연장된 분동안착부(312)로 구성되어, 베어링(289)이 삽입된 후, 베어링(289)과 하층부(316) 상에 사출물(319)이 충진되어 베어링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분동안착부(312)에는 분동(215)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16. 높이가 있는 테두리부(362)와, 상기 테두리부(362)의 하부 내면으로 연장된 바닥부(356)와, 상기 바닥부(356)의 내경에서 높이를 가진 상층부(360)와, 상기 상층부(360) 상에서 높이로 연장된 보스부(358)와, 상기 바닥부(356)가 연장되며 외주에 높이를 가진 스톱퍼(354)가 구비된 큰원주부(257)와, 상기 큰원주부(357)로부터 연장되며 원주 둘레가 작아지진 작은 원주부(359)로 구성된 분동안착부(352)로 구성된 회전자 브라켓(350)과,
    큰원주부(257)와 작은 원주부(258)의 폭의 합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큰원주부(257)의 원주 둘레와 같은 원주 둘레를 가지며, 하부에 상기 돌부(252)가 삽입되는 홈(268)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254)가 삽입되는 홈(266)이 양측면에 형성된 분동(265)과,
    마그네트(220)로 구성되어,
    회전자브라켓(350)의 바닥부(356)의 폭 보다 작은 폭을 가진 마그네트(220')를 바닥부(356)에 안착시키고, 상기 분동안착부(352)의 스톱퍼(354)에 분동의 홈(266)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17. 테두리부(242)가 원형 전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242)의 하부 내면으로 연장된 바닥부(256)가 어펄츄어(256)를 형성하여 빈공간이 되고 가지부(257)가 1개 이상 형성되어 바닥부(248)에 연결되고, 바닥부 내경에는 상부에 턱이 구비된 베어링이 삽입되도록 계단부(248a)가 연장되어 있는 보스부(248)가 구비되며, 분동안착부(250)는 상기 테두리부(242)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에 높이를 가진 스톱퍼(254)가 구비된 큰원주부(257)와, 상기 큰원주부(257)로부터 연장되며 원주 둘레가 작아지며 돌부(252)가 구비된 작은 원주부(258)로 구성된 회전자 브라켓(240')과,
    상기 가지부(207)에 걸림되도록 홈(221)이 형성된 마그네트(220)와,
    큰원주부(257)와 작은 원주부(258)의 폭의 합과 거의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큰원주부(257)의 원주 둘레와 같은 원주 둘레를 가지며, 하부에 상기 돌부(252)가 삽입되는 홈(268)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254)가 삽입되는 홈(266)이 양측면에 형성된 분동(265)으로 구성되어,
    마그네트(220)는 어펄츄어(256)에 위치하며 그 홈(221)이 가지부(257)에 삽입되고, 상기 분동안착부(250)의 스톱퍼(254)에 분동(265)의 홈(266)이 삽입되고, 분동안착부(240)의 돌부(252)에 분동의 홈(268)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KR20-2005-0020706U 2005-07-15 2005-07-15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KR2003980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706U KR200398093Y1 (ko) 2005-07-15 2005-07-15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706U KR200398093Y1 (ko) 2005-07-15 2005-07-15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093Y1 true KR200398093Y1 (ko) 2005-10-12

Family

ID=43699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706U KR200398093Y1 (ko) 2005-07-15 2005-07-15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0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2675B2 (en) Motor
JP6167434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そのモータを用いた送風機
CN104300712B (zh) 电机
JP5231790B2 (ja) モータ回転子及びモータ
CN102629812A (zh) 无刷直流马达
US20120235526A1 (en) Fan and motor thereof
CA2463149C (en) Arrangement with a plain bearing
KR100228504B1 (ko) 무브러시 모우터
KR101416185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100549881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200398093Y1 (ko)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US6291916B1 (en) Rotor balance structure
JP2001069738A (ja) 外周対向形モータ
JPH1132460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4004846B2 (ja) モータ
US20030062798A1 (en) Easy-to-start structure of a DC brushless motor
GB2417616A (en) A motor without bearing
KR100702711B1 (ko) 브러시리스 타입 편평형 진동모터
JP7065481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KR200409786Y1 (ko)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
KR100697395B1 (ko) 브러시리스 타입 진동모터
JP2006311665A (ja) モータ及びモータ用固定子
KR200398092Y1 (ko) 편평형 브러시리스 진동모터의 분동 구조
KR200398094Y1 (ko) 브러시리스 타입 편평형 진동모터의 기능성 커버
CN215009795U (zh) 外转子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