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898Y1 - The cup of luminous device - Google Patents

The cup of luminous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898Y1
KR200397898Y1 KR20-2005-0020008U KR20050020008U KR200397898Y1 KR 200397898 Y1 KR200397898 Y1 KR 200397898Y1 KR 20050020008 U KR20050020008 U KR 20050020008U KR 200397898 Y1 KR200397898 Y1 KR 2003978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contents
cup
switch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00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효식
김창곤
Original Assignee
정효식
김창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효식, 김창곤 filed Critical 정효식
Priority to KR20-2005-0020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89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8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898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47G2019/2238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with illumin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용물을 담아 마시는데 사용되는 컵에 발광체가 설치되어 내용물이 있을때 발광되고 혹은 내용물의 양에 따라 다른발광이 이루어져 내용물의 양을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발광체가 내설된 컵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하중을 분산시키고 내용물을 받치는 바닥판를 토대로 하여 이 바닥판의 외연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방으로 이어지는 벽체로 이루어져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는 컵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외연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닥판과 이격되면서 하단을 감싸 기밀을 유지시키는 저장단의 형성으로 이 저장단의 내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저장부에, 상기 바닥판을 관통하여 돌출된 스위치가 내용물의 저장으로 연결에 의해 전원부의 동력을 받아 발광하는 발광체가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발광체의 다양한 패턴으로 발광이 이루어져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컵의 내용물을 음용하는데 있어 다양한 흥미를 제공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in which a light emitter is installed in a cup used to contain the contents and emits light when the contents are present or emits light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contents to visually inform the amount of the contents. A cup having an accommodating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contents, wherein the cup extends along the outer edge of the bottom plate and distributes the load on the basis of the bottom plate which distributes the load, and extends downwar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bottom plate. The storage unit is formed in an empty space inside the storage end by forming a storage end to surround the bottom plat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the switch protruding through the bottom plate connected to the storage of the power supp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tting body for emitting light under the power of As a result, light is emitted in various patterns of the light emitter to produce various atmospheres, and to provide various interests in drinking the contents of the cup.

Description

발광체가 내설된 컵{The cup of luminous device}Cup with luminous device

본 고안은 발광체가 내설된 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담아 마시는데 사용되는 컵에 발광체가 설치되어 내용물이 있을때 발광되고 혹은 내용물의 양에 따라 다른발광이 이루어져 내용물의 양을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발광체가 내설된 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in which a light emitting body is built, and more particularly, a light emitting body is installed in a cup used to drink the contents, and when the contents are present, the light is emitted or different light emission is made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contents to visually inform the amount of the contents. Relates to a cup in which a luminous body is built.

일반적으로 유리, 광물,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는 그 투명성 또는 반투명성 및 색체성으로 인해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거나 성형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투명제품들은 대부분 완전 투명한 상태로 제조되거나 형성되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색상을 띠게 하거나 디자인 면에서 다양한 연구와 시도가 이루어져 사용자 또는 구매자의 흥미 및 구매 의욕을 높이고 있다. In general, materials such as glass, minerals and plastics are used to make or mold a variety of products because of their transparency or translucency and colorimetry. In addition, although these various kinds of transparent products are mostly manufactured or formed in a completely transparent state, recently, various researches and attempts have been made in various colors or in design to increase the interest and purchase motivation of users or buyers.

그러나, 상기의 대부분의 제품들은 투명 또는 색상이 제품에 표현되는 것으로서 변화가 없고 고정되어 있으므로 새로운 흥미를 유발할 수 없고 제품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most of the above products are transparent or color is expressed in the product, there is no change and fix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cause a new interest and give a variety of changes to the product.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데 있는 것으로, 내용물을 담아 마시는 컵에 발광체를 내설하여 내용물이 담기거나 혹은 내용물에 담기는 양에 따라 점멸 혹은 여러 가지 색의 발광이 이루어져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이를 통하여 새로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발광체가 내설된 컵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placing a light emitting body in a drinking cup containing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ents or the amount of the flashing or various colors of light is made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various atmospheres To provide a cup with a light emitting body that can produce a new interest through th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하중을 분산시키고 내용물을 받치는 바닥판를 토대로 하여 이 바닥판의 외연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방으로 이어지는 벽체로 이루어져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는 컵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외연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닥판과 이격되면서 하단을 감싸 기밀을 유지시키는 저장단의 형성으로 이 저장단의 내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저장부에, 상기 바닥판을 관통하여 돌출된 스위치가 내용물의 저장으로 연결에 의해 전원부의 동력을 받아 발광하는 발광체가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up having a receiving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contents consisting of a wall extending upward while extending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plate based on the bottom plate which distributes the load and supports the content. The storage plate extends downwar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plat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to surround the bottom to maintain airtightnes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ng switch is installed inside the light emitting body which emits light under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by the connection to the storage of the contents.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하중을 분산시키고 내용물을 받치는 바닥판를 토대로 하여 이 바닥판의 외연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방으로 이어지는 벽체로 이루어져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는 컵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외연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닥판과 이격되면서 하단을 감싸 기밀을 유지시키는 저장단의 형성으로 이 저장단의 내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저장부에, 상기 바닥판을 관통하여 돌출된 센서가 내용물의 저장으로 연결에 의해 전원부의 동력을 받아 발광하는 발광체가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p having an accommodating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contents consisting of a wall extending upward while extending along the outer edge of the bottom plate based on the bottom plate which distributes the load and supports the contents, the outer edge of the bottom plate. A storage unit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bottom plat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to maintain an airtightness, and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as an empty space inside the storage end, the sensor protruding through the bottom plate includ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tting body which emits light under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by the connection to the storage is installed therein.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은 하중을 분산시키고 내용물을 받치는 바닥판를 토대로 하여 이 바닥판의 외연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방으로 이어지는 벽체로 이루어져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는 컵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외연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닥판과 이격되면서 하단을 감싸 기밀을 유지시키는 저장단의 형성으로 이 저장단의 내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저장부에, 상기 바닥판을 관통하여 돌출된 스위치가 내용물의 저장으로 연결에 의해 전원부의 동력을 받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발광이 점멸하는 발광체가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p having a receiving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contents consisting of a wall extending upward while extending along the outer edge of the bottom plate based on the bottom plate which distributes the load and supports the contents of the bottom plate. The storage unit extends downward along the outer edg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to surround the bottom to maintain airtightness, and the storage part formed as an empty space inside the storage end has a switch protruding from the bottom pl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tting body which receives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by the connection to the storage of the flashing light emission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is installed therein.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치가 벽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위치가 하부에 제1스위치, 중간에 제2스위치 그리고 상부에 제3스위치로 높이에 차이가 두고 수용부로 돌출되어 수용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위치가 변함에 따라 상기 발광체의 발광색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witch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wall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switch in the lower portion, the second switch in the middle and the third switch in the upper portion with a difference in height and protrudes into the receiving portion is a position where the contents ar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The light emitting color of the light emitt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스위치가 바닥판에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switch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plat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내지 도 6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체가 내설된 컵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단면도이며, 도 2a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서 바닥판에 센서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발광장치가 구성된 블럭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또다른실시예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실시예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실시예인 발광장치가 구성된 블럭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1 to 6 show a cup in which the light emitt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nsor is attached to the bottom plate,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light emitting device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block diagram of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중 미설명 부호는 5은 발광체의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일부가 절개되고 컵의 하부를 깨끗하게 보이도록 덮는 덮개판이다.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 5 denotes a cover plate which is partially cut to emit light of the light emitting body and covers the lower part of the cup to look clean.

상기 도 1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체가 내설된 컵(4)은 바닥판(1), 벽체(2)로 구성되어 내용물을 담은 컵(4)에 상기 바닥판(1)의 하부에 내부에 빈 공간이 있는 저장부(11)를 가지는 저장단(10), 상기 저장부(11)에 설치되는 스위치(20), 전원부(30), 발광체(40), 그리고 제어부(5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S. 1 to 6, the cup 4 in which the light emitter is embedded is composed of the bottom plate 1 and the wall 2, and the cup 4 containing the contents is plac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1. It consists of a storage stage 10 having a storage unit 11 having an empty space therein, a switch 20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11, a power supply unit 30, a light emitter 40, and a controller 50. .

상기 저장단(10)은 상기 바닥판(1) 외연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닥판(1)과 이격되면서 하단을 감싸게 된다. 따라서, 이 저장단(10)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면서 기밀이 유지되는 저장부(11)가 형성된다.The storage end 10 extends downwar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plate 1 and surrounds the bottom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1. Therefore, the storage 11 is formed inside the storage end 10 while the empty space is formed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상기 스위치(20)은 상기 저장부(11)에서 바닥판(1)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때 이 돌출은 스위치(20)의 작은 일부이므로 외부에서 잘 파악되지 않는다. 따라서, 내용물에 채워지면 이 내용물이 전해액을 역활을 하여 스위치(20)를 연결시키게 된다.The switch 20 protrudes from the storage part 11 through the bottom plate 1. At this time, since this protrusion is a small part of the switch 20, it is not well understood from the outside. Therefore, when the contents are filled, the contents serve as the electrolyte to connect the switch 20.

또한, 이 스위치(20)는 위치를 달리하여 설치되기도 한다. 일예로 상기 저장부(11)에서 연결로 벽체(2)의 내부에 삽입시켜 하부에 제1스위치(22), 중간에 제2스위치(23), 그리고 상부에 제3스위치(24)가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위치(22)는 바닥판(1)에 돌출시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제1스위치(22), 제2스위치(23), 제3스위치(24)는 제어부(50)에 연결되어 이 제어부(50)의 신호에 의해 발광색을 달리하면서 점멸하게 된다. 일예로 컵의 수용부(3)에 내용물이 채워져 제1스위(22)가 연결되면 빨간색의 점멸이 이루어지고, 제2스위치(23)까지 내용물이 채워지면 파란색이 점멸되며, 제3스위치(24)까지 내용물이 채워지면 노란색이 점멸된다. 여기서 점멸색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스위치(20)의 위치도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스위치(20)의 갯수를 더 늘이거나 줄일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switch 20 may be installed in different positions. For example, the first switch 22 in the lower part, the second switch 23 in the middle, and the third switch 24 in the upper part may be installed by inserting the inside of the wall 2 from the storage part 11. have. In addition, the first switch 22 may be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bottom plate 1. Here, the first switch 22, the second switch 23, and the third switch 24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 to blink while changing the emission color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 unit 50. For example, when the contents of the cup 3 are filled and the first switch 22 is connected, the red flashing is made. When the contents are filled up to the second switch 23, the blue flashes, and the third switch 24 Yellow flashes when the contents are filled up. Here, the blinking color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the position of the switch 20 may be changed, and the number of the switches 20 may be further increased or decreased.

또한 상기 스위치(20)는 센서(21)로 교체되어 설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21)는 컵(4)의 수용부(3)에 내용물이 저장되면 그 무게가 있는데 이 무게를 감지하여 동작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switch 20 may be installed to be replaced with the sensor 21. The sensor 21 has a weight when the contents are stored in the receiving portion 3 of the cup 4, and operates by detecting the weight.

상기 전원부(30)는 스위치(20)가 연결되면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발광체(40)를 발광시키고 제어부(50)를 동작시키게 된다. The power supply unit 30 supplies power when the switch 20 is connected. The power supply unit 30 emits light to the light emitter 40 and operates the control unit 50.

상기 발광체(40)은 반도체의 p-n 접합구조를 이용하여 주입된 소수캐리어(전자 또는 양공)를 만들어내고, 이들의 재결합(再結合)에 의하여 발광시키는 것으로, 적색, 녹색, 청색 및 백광색 발광다이오드를 조합하거나 일부가 사용되고 상기 스위치(20)가 연결되면 전원부(30)의 전원을 받아 발광, 점멸 및 다양한 색의 점멸이 이루어진다. The light emitter 40 generates a small number of carriers (electrons or holes) injected using a pn junction structure of a semiconductor, and emits light by recombination thereof. The red, green, blue and white light emitting diodes When a combination or a part is used and the switch 20 is connected, light is emitt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30 and blinks and various colors are made.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스위치(20)가 수용부(3)에 내용물이 채워져 연결되면 전원부(30)의 동력을 받아 발광체(40)를 점멸시키는 제어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또한 위치를 달리하는 제1스위치(22), 제2스위치(23), 제3스위치(24)가 각각 연결되면 여기에 해당하는 발광체(40)와 연결하여 각기 다른 색를 발광시키게 된다.The control unit 50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blinking the light emitting unit 40 by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30 when the switch 20 is filled with the contents in the receiving unit 3. In addition, when the first switch 22, the second switch 23, and the third switch 24 having different posi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rresponding light emitters 40 are connected to emit different colors.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체가 내설된 컵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The cup with the light emitting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used as follows.

먼저, 일실시예로 컵(4)의 수용부(3)에 내용물을 붓게 된다. First, the contents are pour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3 of the cup 4 in one embodiment.

그러면, 바닥판(1)에 돌출된 스위치(20)에 내용물이 전해질 역활을 하여 스위치를 연결시키게 된다. 다음은 저장부(11)에 기밀을 유지하면서 설치된 발광체(40)가 전원부(30)의 동력을 받아 발광이 이루어진다. Then, the contents act as an electrolyte to the switch 20 protruding from the bottom plate 1 to connect the switches. Next, the light emitter 40 installed while maintaining airtightness in the storage unit 11 receives light from the power supply unit 30.

여기서, 상기 스위치(20) 대신으로 센서(21), 즉 상기 컵(4)의 내용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21)로 교체로 이루어져 사용될 수 있다. Here, the sensor 21 may be used instead of the switch 20, that is, the sensor 21 may be replaced with a sensor 21 that senses the weight of the contents of the cup 4.

다른실시예로 상기와 같이 컵(4)의 수용부(3)에 내용물이 채워지면 스위치(20)가 연결되고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의해 발광체(40)가 점멸이 이루어진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contents are filled in the receiving portion 3 of the cup 4 as described above, the switch 20 is connected, and the light emitter 40 blinks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50.

한편, 높이를 달리하여 하부에 제1스위치(22), 중간에 제2스위치(23), 상부에 제3스위치(24)와 같이 다수개로 이루어진 스위치(20)는 그 각 스위치(20)가 연결되는 것에 따라 제어부(50)가 다른 신호를 송신하여 발광체(40)가 다른 색를 발광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witch 2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witches 20, such as the first switch 22 in the lower portion, the second switch 23 in the middle, the third switch 24 in the upper portion with different heights are connected to each switch 20 As a result, the control unit 50 transmits a different signal so that the light emitter 40 emits a different color.

이와같은 본 고안은 고정적인 통상의 컵(4) 혹은 색상를 가미한 컵(4)에서 고정적으로 표현하는 것과는 달리 상기의 제품을 이용하면서 추가적으로 컵(4)에 내용물이 채워짐에 따라 발광 효과, 발광의 변화를 발생시킴으로서 다양한 변화와 새로운 흥미 유발를 불러 일으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fixed cup (4) or the cup (4) with the color added to the fixed design, the change of the luminous effect, light emission as the contents of the cup (4) is additionally filled using the above products. Can generate a variety of changes and new interests.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광체가 내설된 컵에 의하면, 발광체의 다양한 패턴으로 발광이 이루어져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컵의 내용물을 음용하는데 있어 다양한 흥미를 제공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up in which the light em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uilt, light is emitted in various patterns of the light emitter to produce various atmospheres, and to provide various interests in drinking the contents of the cup.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서 바닥판에 센서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nsor is attached to the bottom plat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발광장치가 구성된 블럭도.3 is a block diagram of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또다른실시예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실시예인 단면도.Figure 5 is a 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실시예인 발광장치가 구성된 블럭도.6 is a block diagram of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저정단 20. 스위치10. Low end 20. Switch

30. 전원부 40. 발광체30. Power supply part 40. Light emitter

50. 제어부50. Control

Claims (5)

하중을 분산시키고 내용물을 받치는 바닥판를 토대로 하여 이 바닥판의 외연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방으로 이어지는 벽체로 이루어져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는 컵에 있어서, A cup having an accommodating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contents, comprising a wall extending upward while extending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plate based on the bottom plate which distributes the load and supports the contents. 상기 바닥판의 외연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닥판과 이격되면서 하단을 감싸 기밀을 유지시키는 저장단의 형성으로 이 저장단의 내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저장부에, A storage unit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pl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to form a storage end to keep the airtight, the storage unit formed as an empty space inside the storage end, 상기 바닥판을 관통하여 돌출된 스위치가 내용물의 저장으로 연결에 의해 전원부의 동력을 받아 발광하는 발광체가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가 내설된 컵.The light emitting body is built-in cup,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tting body which emits light under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by the switch protruding through the bottom plate is connected to the storage of the contents. 하중을 분산시키고 내용물을 받치는 바닥판를 토대로 하여 이 바닥판의 외연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방으로 이어지는 벽체로 이루어져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는 컵에 있어서, A cup having an accommodating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contents, comprising a wall extending upward while extending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plate based on the bottom plate which distributes the load and supports the contents. 상기 바닥판의 외연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닥판과 이격되면서 하단을 감싸 기밀을 유지시키는 저장단의 형성으로 이 저장단의 내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저장부에, A storage unit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pl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to form a storage end to keep the airtight, the storage unit formed as an empty space inside the storage end, 상기 바닥판을 관통하여 돌출된 센서가 내용물의 저장으로 연결에 의해 전원부의 동력을 받아 발광하는 발광체가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가 내설된 컵.The light emitting body is built-in cup,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tting body which is emitted by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by the sensor protruding through the bottom plate is connected to the storage of the contents installed therein. 하중을 분산시키고 내용물을 받치는 바닥판를 토대로 하여 이 바닥판의 외연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방으로 이어지는 벽체로 이루어져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는 컵에 있어서, A cup having an accommodating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contents, comprising a wall extending upward while extending along the outer edge of the sole plate based on the sole plate which distributes the load and supports the contents. 상기 바닥판의 외연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닥판과 이격되면서 하단을 감싸 기밀을 유지시키는 저장단의 형성으로 이 저장단의 내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저장부에, A storage unit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pl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to form a storage end to keep the airtight, the storage unit formed as an empty space inside the storage end, 상기 바닥판을 관통하여 돌출된 스위치가 내용물의 저장으로 연결에 의해 전원부의 동력을 받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발광이 점멸하는 발광체가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가 내설된 컵.And a light emitting body in which a switch projecting through the bottom plate receives power of a power supply unit by connection to storage of contents, and a light emitting body in which light emission flashes by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 unit is installed therein.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스위치가 벽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위치가 하부에 제1스위치, 중간에 제2스위치 그리고 상부에 제3스위치로 높이에 차이가 두고 수용부로 돌출되어 수용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위치가 변함에 따라 상기 발광체의 발광색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가 내설된 컵.As the switch is installed inside the wall and the position is different from the height of the first switch in the lower part, the second switch in the middle and the third switch in the upper part and protrudes into the receiving part so that the contents ar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The light-emitting body cup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ssion color of the light emitting body is different.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스위치가 바닥판에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체가 내설된 컵.The cup with the light-emitting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witch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bottom plate.
KR20-2005-0020008U 2005-07-09 2005-07-09 The cup of luminous device KR20039789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008U KR200397898Y1 (en) 2005-07-09 2005-07-09 The cup of luminous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008U KR200397898Y1 (en) 2005-07-09 2005-07-09 The cup of luminous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898Y1 true KR200397898Y1 (en) 2005-10-10

Family

ID=4369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008U KR200397898Y1 (en) 2005-07-09 2005-07-09 The cup of luminous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898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134B1 (en) * 2010-12-13 2013-07-11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Light emitting contai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134B1 (en) * 2010-12-13 2013-07-11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Light emitting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0798Y1 (en) Luminous cup
USD488672S1 (en) Beverage container with motion sensitive LED-containing base
US10001321B2 (en) Illuminated cooler with improved built-in illumination
US9134020B1 (en) Color changing container apparatus
US7700965B2 (en) Light emitting diode
CA2593253A1 (en) Color changing light object and user interface for same
EP3649854A1 (en)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20180310743A1 (en) Container illuminating device
US20080014384A1 (en) Spice bottle
KR200397898Y1 (en) The cup of luminous device
KR101133160B1 (en) COB type LED package for lamp
KR102040508B1 (en) Double lid container
KR101871162B1 (en) A tumbler having function of sterilization and mood lighting
KR200397913Y1 (en) The slant luminous cup
KR101090652B1 (en) Light emitting container
US20070279905A1 (en) Illuminable Container
US7311415B1 (en) Illuminated holiday treat carrier
KR200398645Y1 (en) The luminous cup in design
EP3614046B1 (en) Bottle provided with a releasable cap
JP3216988U (en) Container luminous decoration
KR20090007812U (en) A ring case having illumination function
KR20200042637A (en)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CN214861124U (en) Luminous dice cup
KR200312555Y1 (en) a drinking cup
CN215127827U (en) Hand sanitizer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