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867Y1 - Water bowl for using kitchen sink - Google Patents

Water bowl for using kitchen si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867Y1
KR200397867Y1 KR20-2005-0018990U KR20050018990U KR200397867Y1 KR 200397867 Y1 KR200397867 Y1 KR 200397867Y1 KR 20050018990 U KR20050018990 U KR 20050018990U KR 200397867 Y1 KR200397867 Y1 KR 2003978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ink
tank
water tan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99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돈
Original Assignee
김형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돈 filed Critical 김형돈
Priority to KR20-2005-0018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86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8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867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apparatus operated by power, including water power; for incorporating apparatus for cooking, cooling, or laundr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용 수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k tank.

본 고안은 싱크대에 장착되며 뚜껑에 의해 밀폐되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일정한 물이 저수되는 수조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바깥쪽 어느 일 측면 또는 바깥쪽 바닥 면에 장착되는 정수장치; 합성수지 또는 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비된 관체의 한쪽 끝단 부는 수돗물의 일부를 공급받도록 수도공급라인과 연결되고 다른 한 쪽은 상기 정수장치와 연결된 입수관; 및 합성수지 또는 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비된 관체의 한쪽 끝단 부는 상기 정수장치와 연결되고 다른 쪽 끝단 부는 상기 수조의 내부를 향하는 출수관으로 구비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sink and the drain is formed by the lid is formed in the water tank is a constant water storage, the water tank is a wate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any one side or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outside; One end of the pipe body made of any one material of synthetic resin or metal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line to receive a portion of the tap water, and the other side is an inlet pipe connected to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one end of the pipe body made of any one material of synthetic resin or metal is connected to the water purifying device,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as a discharge pipe facing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따라서, 싱크대용 수조 또는 초음파 세척기의 수조 구조를 개선하여 수도꼭지로부터 물을 공급받은 후 그 물을 자체적으로 정수하여 수조의 내부로 회수한 후 세척수로 사용한다.Therefore, the water tank structure of the sink or the ultrasonic cleaner is improved to receive water from the faucet, and the water is purified by itself, and then used as the washing water after the water is collected into the tank.

Description

싱크대용 수조{Water bowl for using kitchen sink}Water bowl for using kitchen sink

본 고안은 싱크대용 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용 수조 또는 초음파 세척기의 수조 구조를 개선하여 수도꼭지로부터 물을 공급받은 후 그 물을 자체적으로 정수하여 수조의 내부로 회수한 후 세척수로 사용할 수 있는 싱크대용 수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k tank,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sink tank or the ultrasonic cleaner to receive water from the faucet and to recover the water itself to the inside of the tank to use as wash water It relates to a sink for the sink.

일반적으로 주방 가구의 싱크대에는 야채 등의 찬거리와 과일 등을 세척하기 위한 수조(또는 볼:BOWL)가 구비된다.In general, the sink of the kitchen furniture is provided with a bath (or bowl: BOWL) for washing cold streets such as vegetables and fruits.

수조는 통상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되며 그 바닥면의 중앙부 또는 한 쪽에는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된다.The bath is usually made of stainless steel, and a drainage port for draining the wash water is formed at the center or one side of the bottom.

한편, 최근에는 수조의 저면에 별도의 초음파 진동장치를 장착하여 세척수에 진동을 부여하고 그에 따라 수조에 저수된 세척수에 진동을 유발시킴으로써 야채 등의 찬거리와 과일 등을 세척하는 초음파 세척기가 제안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by installing a separate ultrasonic vibrator on the bottom of the tank to give a vibration to the wash water and thereby causing vibration in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tank has been proposed an ultrasonic cleaner for washing cold streets and fruits, such as vegetables. .

상기와 같이 수조의 저면에 초음파 진동장치를 설치한 초음파 세척기를 통하여 야채 등의 찬거리와 과일 등을 세척하기 위한 초음파 세척기는 이미 다수 제안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many ultrasonic cleaners for washing cold streets and fruits such as vegetables and the like through ultrasonic cleaners having ultrasonic vibrators installed on the bottom of a water tank have been proposed.

대표적으로는 국내 등록실용신안번호 258377호와 258378호의 싱크대용 초음파 세척기가 알려지고 있다.Representatively, the ultrasonic cleaners for sinks of Korean Utility Model Nos. 258377 and 258378 are known.

상기한 국내 등록실용신안번호 258377호와 258378호의 초음파 세척기는 수조에 별도의 관통 홀을 형성하고 그 홀에 초음파 진동장치를 설치하여 수조에 담겨진 세척 수에 초음파에 의한 진동을 유발함으로써 피 세척 물을 세척하는 것이다.The ultrasonic cleaners of Korean Utility Model Nos. 258377 and 258378 mentioned above form a separate through hole in a water tank and install an ultrasonic vibration device in the hole to induce ultrasonic vibration in the wash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To wash.

그러나, 상기한 등록실용신안번호 258377호와 258378호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registered utility model Nos. 258377 and 258378 have the following structural problems.

즉, 별도의 호스나 관체를 이용하여 수도꼭지로부터 공급받는 세척 수를 초음파 세척기의 수조에 저수한 상태에서 야채 등의 찬거리와 과일 등을 세척하게 되므로 수돗물에 함유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그대로 섭취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ther words, wash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faucet using a separate hose or tubular body in the water tank of the ultrasonic cleaner to wash cold streets and fruits such as vegetables, so it is necessary to ingest the harmful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tap water as it is. There was no problem.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부 사용자들은 별도로 비치된 정수기의 물을 공급받아 초음파 세척기의 수조에 저수한 상태에서 야채 등의 찬거리와 과일 등을 세척하게 되는 번거로운 사용상의 문제점도 있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some users have a troublesome use problem of washing cold streets and fruits such as vegetables while being stored in a tank of an ultrasonic cleaner by receiving water of a separately provided water purifier.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싱크대용 수조 또는 싱크대에 장착되는 초음파 세척기의 수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싱크대용 수조 또는 초음파 세척기의 수조 구조를 개선하여 수도꼭지로부터 물을 공급받은 후 그 물을 자체적으로 정수하여 수조의 내부로 회수한 후 세척수로 사용할 수 있는 싱크대용 수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for the sink of the sink or the tank of the ultrasonic cleaner mounted on the sink as in the prior art, the sink tank or the tank structure of the ultrasonic cleaner After improving the water from the faucet to improve the water itself to recover the inside of the tank to provide a sink for the sink can be used as wash water.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싱크대용 수조 또는 초음파 세척기의 수조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 폭을 확대함은 물론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싱크대용 수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sink tank or the ultrasonic cleaner to provide a sink tank that can be expanded as well as the convenience of u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싱크대에 장착되며 뚜껑에 의해 밀폐되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일정한 물이 저수되는 수조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바깥쪽 어느 일 측면 또는 바깥쪽 바닥 면에 장착되는 정수장치; 합성수지 또는 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비된 관체의 한쪽 끝단 부는 수돗물의 일부를 공급받도록 수도공급라인과 연결되고 다른 한 쪽은 상기 정수장치와 연결된 입수관; 및 합성수지 또는 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비된 관체의 한쪽 끝단 부는 상기 정수장치와 연결되고 다른 쪽 끝단 부는 상기 수조의 내부를 향하는 출수관으로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싱크대용 수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k is mounted to the sink is formed by a lid is formed in the drainage water tank in which constant water is stored, the water tank is installed on any one side or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Device; One end of the pipe body made of any one material of synthetic resin or metal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line to receive a portion of the tap water, and the other side is an inlet pipe connected to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one end portion of the tube body made of any one material of synthetic resin or metal is connected to the water purifying device,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ipe facing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본 고안의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구성 예는, 상기 정수장치는 피 고정체인 상기 수조에 대해 체결장치에 의해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first configuration example for effectively realizing the obj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purifying device is preferably mounted to be detachable and coupled to the water tank to be fixed by the fastening device.

본 고안의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구성 예는, 상기 수조의 바닥 면은 일부분이 관통되어 홀을 형성하며; 상기 홀에는 초음파 진동장치가 일부 노출되도록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A second configuration example for effectively realizing the obj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is a portion through which to form a hole; The hole is preferably mounted so that the ultrasonic vibration device is partially exposed.

본 고안의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3 구성 예는, 상기 출수관의 끝단 부에는 콕크가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 third configuration example for effectively realizing the obj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ck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outlet pipe.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싱크대(S)에 장착되는 수조(10)에 구비된다.As shown there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water tank 10 mounted on the sink (S).

상기 수조(10)는 도면 부호를 생략한 뚜껑 그리고 그 뚜껑에 의해 밀폐되는 배수구가 형성된다.The water tank 10 is formed with a lid omit the reference numeral and the drain is sealed by the lid.

여기서 본 고안의 특징부는 상기 수조(10)는 바깥쪽 어느 일 측면 또는 바깥쪽 바닥 면에 정수장치(20)가 구비되고 그 정수장치(2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비된 관체에 의해 수돗물의 일부를 공급받도록 수도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입수관(30)을 형성하고, 다른 한 쪽은 상기 수조(10)의 내부를 향하는 출수관(40)으로 구비된다.Th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water tank 10 is provided with a water purifying device 20 on any one side or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outside and the water purifying device 20 is made of a material of any one of synthetic resin or metal pipe It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line so as to receive a portion of the tap water to form an inlet pipe 30,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ipe 40 toward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10).

상기 정수장치(20)는 별도로 제작된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가정용 정수기의 내부에서 사용되는 활성탄 필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water purifier 20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but may also use an activated carbon filter or the like used in a general household water purifier.

물론, 입수관(30)과 출수관(40)은 상기 정수장치(20)에 대해 너트 구조 등에 의해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출수관(40)의 끝단 부에는 통상적인 별도의 콕크(50)가 구비되는데 구비되지 않아도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무관하다.Of course, the water inlet pipe 30 and the water outlet pipe 40 is installed to be separated and coupled to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20 by a nut structure or the like, the end of the water outlet pipe 40 is a conventional separate cock ( It is irrelevant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it is not provided with 50).

그러나, 콕크(50)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에는 출수관(40)을 통하여 배수되는 물은 별도의 수도꼭지를 통하여 제어될 것이다.However, when the cock 50 is not provided, the water drained through the outlet pipe 40 will be controlled through a separate faucet.

또 상기 정수장치(20)는 피 고정체인 상기 수조(10)에 대해 볼트와 고정쇠 등의 체결장치(60)에 의해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ater purifying device 20 is preferably mounted so as to be detachable and coupled to the water tank 10, which is a fixed body, by a fastening device 60 such as a bolt and a fastener.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의 목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조(10)의 바닥 면은 일부분이 관통되어 홀(11)이 형성되고, 상기 홀(11)에는 세라믹 압전소자 등으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초음파 진동장치(70)가 일부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lement the purpos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effectively,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10 is a portion of the hole 11 is formed, the hole 11 is a conventional ultrasonic wave made of a ceramic piezoelectric element, etc. It is preferable that the vibration device 70 is mounted to partially expose the vibration device 70.

상기와 같이 초음파 진동장치(70)가 설치되면 상기한 싱크대용 수조(10)는 별도의 초음파 세척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ultrasonic vibration device 70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sink 10 for the sink can perform the function of a separate ultrasonic clean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처음 본 고안이 도 2와 같이 설치된 상태는 입수관(30)의 내부에는 수돗물 공급라인을 통하여 공급받은 정수되지 않은 수돗물이 채워져 있고, 출수관(40)의 내부에는 정수장치(30)를 통과하여 정수된 수돗물이 채워져 있는 상태가 된다.2 is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2, the tap water supplied through the tap water supply line is filled in the inlet pipe 30, and the inside of the outlet pipe 40 passes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30. The purified tap water is filled.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출수관(40)과 연결된 콕크(50)를 동작시키면 입수관(30)과 정수장치(20) 그리고 출수관(40)과 콕크(50)로 이어지는 관로를 통하여 수조(10)의 내부에는 정수된 수돗물이 급수된다.When the cock 50 is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pipe 40 in the above state, the water tank 10 is connected to the water inlet pipe 30 and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20 and the water pipe 40 and the cock 50 connected to the cock 50. The inside of the water is purified tap water.

따라서, 사용자는 정수된 수돗물을 통하여 야채 또는 과일을 세척하거나 식기를 세척 또는 헹굼하게 된다.Thus, the user may wash the vegetables or fruits through the purified tap water or wash or rinse the dishes.

한편, 이때 본 고안의 지배적인 특징부는 상기와 같이 수조(10)의 내부에 정수된 수돗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별도의 초음파 진동장치(70)를 동작시키면 초음파 진동장치(70)의 동작에 의해 수조(10)의 내부에 담겨진 정수된 수돗물에는 초음파 진동이 발생된다.On the other hand, the dominan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rate the separate ultrasonic vibrator 70 in a state where the purified tap water is filled in the water tank 10 as described above by the operation of the ultrasonic vibrator 70 10) Ultrasonic vibration is generated in the purified tap water contained inside.

따라서 수조(10)에 담겨진 야채와 과일은 초음파 진동에 의해 세척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vegetables and fruits contained in the water tank 10 can be washed by the ultrasonic vibration.

한편 이때에는 별도로 고가의 초음파 세척기를 구입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와 저렴한 가격에 의해 초음파 세척기의 기능을 병행할 수 있게된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ultrasonic cleaner by simple structure and low price without purchasing an expensive ultrasonic cleaner separately.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aspects.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by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싱크대용 수조 또는 초음파 세척기의 수조 구조를 개선하여 수도꼭지로부터 물을 공급받은 후 그 물을 자체적으로 정수하여 수조의 내부로 회수한 후 세척수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receiving water from the faucet by improving the water tank structure of the sink tank or the ultrasonic cleaner, the water can be purified by itself and recovered into the inside of the tank, and then used as washing water. There is.

또 본 고안은 싱크대용 수조 또는 초음파 세척기의 수조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 폭을 확대함은 물론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sink of the sink or the ultrasonic cleaner of the water tank to expand the width of use, as well as to provide convenience in use.

도 1은 본 고안이 수조의 저면에 설치된 상태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tank

도 2는 본 고안이 싱크대에 장착된 상태의 일 예를 보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subject innovation is mounted on the sink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수조 11;홀10; aquarium 11; hole

20;정수장치 30;입수관20; water purifier 30; inlet pipe

40;출수관 50;콕크40; outlet pipe 50; cock

60;체결장치 70;초음파 진동장치60; fastening device 70; ultrasonic vibration device

Claims (4)

싱크대에 장착되며 뚜껑에 의해 밀폐되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일정한 물이 저수되는 수조에 있어서,In the water tank, which is mounted on the sink and is closed by a lid, and has a constant water reservoir, 상기 수조는 바깥쪽 어느 일 측면 또는 바깥쪽 바닥 면에 장착되는 정수장치; The water tank is a water purification device mounted on one side or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outside; 합성수지 또는 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비된 관체의 한쪽 끝단 부는 수돗물의 일부를 공급받도록 수도공급라인과 연결되고 다른 한 쪽은 상기 정수장치와 연결된 입수관; 및One end of the pipe body made of any one material of synthetic resin or metal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line to receive a portion of the tap water, and the other side is an inlet pipe connected to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합성수지 또는 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비된 관체의 한쪽 끝단 부는 상기 정수장치와 연결되고 다른 쪽 끝단 부는 상기 수조의 내부를 향하는 출수관으로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싱크대용 수조.One end of the tubular body provided with any one material of a synthetic resin or metal is connected to the water purifier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water discharge pipe facing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for sink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정수장치는 피 고정체인 상기 수조에 대해 체결장치에 의해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수조.The water purifying device is a sink for the sink,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to be detachable and coupled by a fastening device for the water tank to be fix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조의 바닥 면은 일부분이 관통되어 홀을 형성하며; 상기 홀에는 초음파 진동장치가 일부 노출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수조.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penetrates to form a hole; The hole of the sink, characterized in that the ultrasonic vibration device is mounted so as to partially expose the ho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출수관의 끝단 부에는 콕크가 연결된 것을 더 포함하는 싱크대용 수조.A sink for the sink further comprises that the cock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outlet pipe.
KR20-2005-0018990U 2005-06-30 2005-06-30 Water bowl for using kitchen sink KR20039786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990U KR200397867Y1 (en) 2005-06-30 2005-06-30 Water bowl for using kitchen s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990U KR200397867Y1 (en) 2005-06-30 2005-06-30 Water bowl for using kitchen si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867Y1 true KR200397867Y1 (en) 2005-10-10

Family

ID=43698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990U KR200397867Y1 (en) 2005-06-30 2005-06-30 Water bowl for using kitchen si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867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3195Y1 (en) Pop-up valve structure of washstand
KR200397867Y1 (en) Water bowl for using kitchen sink
CN109744973A (en) A kind of washing facility with assistant cleaning function
KR101259177B1 (en) A hygiencally cleanable for sink drainage device
CN209996241U (en) Water tank type dish washing machine with fruit and vegetable washing and dish washing functions
CN203676913U (en) Fruit and vegetable pesticide residue cleaner
CN104164906B (en) Ultrasonic waves for cleaning draining all-in-one
CN204139260U (en) Ultrasonic Cleaning draining all-in-one
JP3988558B2 (en) Dishwasher leftover collection equipment
CN105735433A (en) Water remover
KR101279286B1 (en) Drinage for sink
CN201074350Y (en) Domestic convenient water-saving equipment
CN201043287Y (en) Integral water saving device of washbowl and water storage tank
KR200306333Y1 (en) Sink having an ultrasonic wave cleansing device
CN102330461A (en) Water draining device for sanitary ware in kitchen
JP3098339U (en) Hand washing container
CN210827716U (en) Vegetable washing basin with ultrasonic cleaning function
KR950002705A (en) Drainer of dishwasher
CN216475396U (en) Environment-friendly sewage treatment plant with domestic sewage recycle function
CN2928980Y (en) Washing basin
CN2162484Y (en) Filter device of outlet for kitchen washing tank
KR940009441B1 (en) Multi-purposed sink cabinet
JP2000220191A (en) Holder ring for water dripping bag for drain outlet in kitchen sink
KR200265917Y1 (en) Sewage recycling sink
CN204626598U (en) Multifunctional efficient water-saving toilet p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