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645Y1 - The riding apparatus of crane boom for work - Google Patents

The riding apparatus of crane boom for 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645Y1
KR200397645Y1 KR20-2005-0019570U KR20050019570U KR200397645Y1 KR 200397645 Y1 KR200397645 Y1 KR 200397645Y1 KR 20050019570 U KR20050019570 U KR 20050019570U KR 200397645 Y1 KR200397645 Y1 KR 2003976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boom
worker
chair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57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창덕
Original Assignee
최창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덕 filed Critical 최창덕
Priority to KR20-2005-00195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64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6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645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2Luff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4Slew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식 크레인에 매달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동식 크레인의 붐에 설치되는 탑승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that is installed on the boom of the mobile crane to perform the work hanging on the mobile crane.

본 고안의 탑승장치는, 이동식 크레인의 붐에 연결되는 크레인연결부와; 크레인연결부를 크레인의 붐에 연결시켜 붐과 함께 움직이도록 하는 설치수단과; 작업자가 등을 기대고 앉은 자세로 탑승하게 되는 의자부와; 의자부에 탑승한 작업자의 전방과 좌, 우측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동시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고 작업자가 잡을 수 있도록 된 난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rid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ne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boom of the mobile crane; Installation means for connecting the crane connection to the boom of the crane to move with the boom; A chair part in which a worker rides in a sitting position while leaning on his back; It is installed on the front and left and right of the worker boarding the chair portion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operator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fall of the worker and the handrail to be held by the worker; is configured to include.

본 고안의 크레인 붐에 설치되는 작업용 탑승장치는, 작업자가 의자부에 앉아야 탑승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가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탑승하게 되고, 작업할 때는 물론 붐의 이동시에도 자세의 흐트러짐 없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Working vehicle installed in the crane boo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is to sit in the chair seat to be carried out in a comfortable and stable posture, and maintain a stable posture without disturbing the posture during work as well as moving the boom Can be.

또, 작업자가 앉는 자세를 취함에 따라 탑승장치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협소한 작업공간으로도 탑승장치를 위치시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worker takes a sitting position, the size of the vehicle can be reduced, thereby enabling the operator to perform the work by placing the vehicle in a narrow work space.

Description

크레인의 붐에 설치되는 작업용 탑승장치{THE RIDING APPARATUS OF CRANE BOOM FOR WORK}Work Ride on Crane Boom {THE RIDING APPARATUS OF CRANE BOOM FOR WORK}

본 고안은 이동식 크레인에 매달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동식 크레인의 붐에 설치되는 탑승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that is installed on the boom of the mobile crane to perform the work hanging on the mobile crane.

건물의 외벽 공사 및 전봇대의 전선관련 공사 등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크레인의 붐에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In order to quickly and safely carry out the construc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electric wire-related construction of the power pole, the passenger rider is installed on the boom of the crane.

종래의 탑승장치는 실용신안출원 제20-2002-0002653호(이동크레인의 바스켓 구조, 2002. 01. 28.출원)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전, 후, 좌, 우와 밑면이 막혀있는 바스켓 형태의 것으로서 작업자가 그 내부에 위치되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Conventional vehicles are in the form of baskets with blocked front, rear, left, right and bottom, as presented i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2-0002653 (Basket structure of mobile crane, filed Jan. 28, 2002). Was located inside it so that it could do its job.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바스켓 구조의 탑승장치는 크레인의 붐이 전, 후진하거나 좌, 우로 회전할 때 탑승한 작업자가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By the way, the basket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the occupant can not take a stable posture when the boom of the crane forwards, backwards or rotates left and right.

즉, 종래의 바스켓 구조 탑승장치에 탑승한 작업자는 크레인의 붐이 움직일 때 선채로 바스켓을 잡고 있어야 한다. That is, the worker boarding the conventional basket structure vehicle must hold the basket while standing when the boom of the crane moves.

그런데 바스켓과 붐의 연결부는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작업자가 탑승장치의 무게중심에 정확히 서있지 않고서는 기울어짐이 발생될 수밖에 없어 작업자가 편하게 서있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By the way,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sket and the boom is made to rotate so that the operator was not able to stand comfortably because the inclination was generated without the operator standing exactly in the center of the weight of the vehicle.

이로 인하여, 크레인의 붐을 서서히 움직일 수밖에 없을 뿐 아니라 작업자의 불안감이 커지는 결과를 가져왔던 것이다. As a result, not only can you move slowly the boom of the crane, but also resulted in a greater anxiety of the operator.

한편, 종래와 같이 바스켓 구조의 탑승장치는 안전을 위하여 작업자의 전, 후, 좌, 우에 위치되는 벽(다수 개의 철재를 연결하여 만든 것도 있음)의 높이가 적어도 작업자의 허리에 대응된 위치 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크기가 클 수밖에 없고, 이로 이하여 작업공간이 작은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On the other hand, as in the prior art, the basket structure of the ride device for safety, the height of the walls (some mad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steel) located at the front, rear, left, right of the operator is at leas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ist of the operator It must be large because it has to be, and this has caused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in a small workspace.

본 고안은 크레인의 붐이 이동할 때 탑승자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크레인의 붐에 매달려 작업을 수행할 때에도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편안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크레인의 붐에 설치되는 작업용 탑승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occupant to maintain a stable posture when the crane's boom moves, and can be comfortably performed while maintaining a stable posture even when the crane is hanging on the boom.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또, 탑승한 작업자가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면서도 크기가 작아 협소한 작업공간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려는 목적도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lso an object to allow the occupant to take a stable posture, but also to be able to work in a small work space due to its small size.

본 고안은 크레인의 붐에 설치되는 작업용 탑승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ing vehicle installed in the boom of the crane.

본 고안에서는 탑승장치에 의자부를 형성하여 탑승자가 의자부에 등을 기대고 앉은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를 취함으로써 작업 중에는 물론 붐의 이동시에도 자세의 흐트러짐이 없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chair unit in the boarding device, the occupant takes a comfortable and stable posture leaning on the chair unit to maintain a stable posture without disturbing the posture during work as well as during the movement of the boom.

또, 작업자가 앉는 자세를 취하도록 함에 따른 탑승장치의 크기 축소를 통해 작업공간이 협소한 조건에서도 크레인을 사용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rough the reduction in the siz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worker to take a sitting position, it is possible to work using a crane even in a narrow working space.

따라서 본 고안의 탑승장치는, Therefore,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식 크레인의 붐에 연결되는 크레인연결부와; A crane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boom of the mobile crane;

크레인연결부를 크레인의 붐에 연결시켜 붐과 함께 움직이도록 하는 설치수단과; Installation means for connecting the crane connection to the boom of the crane to move with the boom;

작업자가 탑승하여 등을 기대고 앉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의자부;를 갖는다. It has a chair portion that allows the operator to sit on the back to lean on.

또, 의자부에 탑승한 작업자의 전방과 좌, 우측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동시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고 작업자가 잡을 수 있도록 된 난간;을 갖는다. In addition, it is installed on the front and left and right of the worker boarding the chair portion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operator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fall of the worker and the handrail to allow the worker to hold.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examples to illustr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u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이동식 크레인에 매달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동식 크레인의 붐에 설치되는 탑승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that is installed on the boom of the mobile crane to perform the work hanging on the mobile crane.

따라서 본 고안의 탑승장치도 통상의 탑승장치와 같이 이동식 크레인의 붐에 연결되는 크레인연결부(10)를 갖는다. Therefore, the rid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 crane connection portion 10 connected to the boom of a mobile crane like a conventional ride device.

또, 크레인연결부(10)를 크레인의 붐(1)에 연결시켜 (1)붐과 함께 움직이도록 하는 설치수단(20)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crane connecting portion 10 is connected to the boom 1 of the crane (1) has an installation means 20 to move together with the boom.

이러한 설치수단(20)은 종래의 탑승장치를 크레인의 붐에 설치하기 위한 것과 동일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The installation means 20 can be implemented in the same form as for installing a conventional vehicle to the boom of the crane.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0-0028862호(회전운동과 경사운동이 가능한 크레인용 바스켓, 2000, 10. 17.출원) 및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2-0002653호(이동크레인의 바스켓 구조, 2002, 1. 28.출원) 등에는 다양한 형태의 설치수단이 설명되어 있다.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0-0028862 (Basket for Crane with Rotating and Slope Movement, 2000, Oct. 17) and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2-0002653 (Basket Structure of Mobile Crane, The application of various types of installation is described in the application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그러나 설치수단(20)은 분리, 결합이 용이한 볼팅방식이나 핀결합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the installation means 20 is preferably implemented by a bolting method or a pin coupling method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coupled.

본 고안에서는 탑승한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때는 물론 붐(1)의 전, 후진이나 회전시에도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탑승장치의 크기를 축소시켜 협소한 작업공간으로도 탑승장치를 위치시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ccupant is able to take a comfortable and stable posture not only when carrying out work but also when the boom 1 is moved forward, backward or rot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size of the vehicle is reduced so that the boarding device can be used in a narrow work space. Its purpose is to make it workable.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작업자가 등을 기대고 앉은 자세로 탑승하게 되는 의자부(30)를 형성한다.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er forms a chair part 30 to be in a sitting posture leaning on the back.

즉, 작업자가 탑승시 등을 기대고 앉음에 따라 붐(1)의 전, 후진이나 회전시에도 작업자는 편안하면서도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고, 탑승한 작업자가 앉은 자세를 취함에 따라 하단부에서 상단부까지의 거리를 종래 바스켓 구조의 탑승장치보다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operator can take a comfortable and stable posture even when the boom 1 is moved forward, backward or rotated as the worker sits on the back, and the lower part from the top to the upper part as the worker sits on the board. The distance can be greatly reduced than the conventional basket structure.

그러나 작업자가 착석하는 자세로 탑승한다고 하여 안전이 확보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just because the worker is sitting in a seated position does not ensure safety.

착석한 자세로 탑승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Means are needed to prevent the fall of a worker in a seated position.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적어도 의자부(30)에 앉은 자세로 탑승한 작업자의 전방과 좌, 우측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동시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40)을 설치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e handrail 40 is installed at the front, left, and right of the worker who sits in the sitting position in the chair part 30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worker and to install the handrail 40.

이러한 난간(40)은 의자부(30)에 앉은 작업자가 잡을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uch handrail 40 is preferably formed in a position that can be caught by the worker sitting on the chair portion (30).

이는 작업자가 난간(40)을 잡음으로써 붐(1)의 움직임에 따른 탑승장치의 흔들림 발생시에도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동시에 작업자의 불안감을 줄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 operator can take a comfortable position even when the vehicle is shaken due to the movement of the boom 1 by holding the handrail 40, and at the same time, it can reduce anxiety of the worker.

난간(40)은 공간이 없는 벽과 같은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도 1과 같이 철재를 용접하여 구현함으로써 공간이 형성되면서도 작업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The handrail 4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all without a space, but by welding the steel as shown in FIG. 1, the handrail 4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prevents a worker from leaving while a space is formed.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작업자가 의자부(30)에 착석하여야 본 고안의 탑승장치에 탑승이 완료됨에 따라 작업자는 편안한 자세로 탑승하게 된다. As the worker is seated in the chair unit 30, the boarding of the inventive device is completed, and the worker is boarded in a comfortable posture.

작업자가 탑승한 후 크레인의 붐(1)이 전, 후진하거나 회전될 때 탑승장치도 함께 움직인다. When the boom 1 of the crane is moved forward, backward or rotated after the operator boards, the vehicle also moves together.

도 1에서는 탑승장치가 붐(1)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없는 구조이어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지만 탑승장치의 좌, 우 회전 또는 상, 하 회전이 이루어지는 구조에서는 붐의 회전시 탑승장치의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다. In FIG. 1, the vehicle is not rotated based on the boom 1, so that shaking does not occur. However,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vehicle is rotated left, right, or up and down, the vehicle shakes when the boom is rotated. Can be.

(본 고안은 탑승자가 의자부(30)에 착석하는 구조이어서 탑승장치가 도 1과 같이 회전되지 않는 구조라 하더라도 크레인을 통한 공중에서의 작업이 가능하지만 종래의 바스켓 구조는 작업자가 선채로 작업을 하는 것이므로 반드시 회전이 가능한 구조이어야 함)(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the occupant is seated on the chair part 30, even if the vehicle is not rotated as shown in FIG. 1, but it is possible to work in the air through a crane, but the conventional basket structure allows the worker to work while standing. Must be able to rotate)

그러나 탑승장치의 흔들림이 발생되더라도 작업자가 앉은 자세로 탑승되어 있어 작업자는 편안한 탑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However, even if the shaking of the vehicle is occupied in a sitting position, the operator can maintain a comfortable riding state.

또, 본 고안의 탑승장치는 작업자가 앉은 자세로 탑승하는 것이므로 하단부에서 상단부까지의 거리를 짧게 구현할 수 있어 탑승장치의 크기를 비교적 작게 구현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협소한 작업공간으로도 탑승장치를 위치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ar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shorter distance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because the operator is sitting in a sitting postur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relatively small size of the vehicle, thereby positioning the vehicle in a narrow workspace You can.

한편, 본 고안의 탑승장치에 있어 의자부(30)에 착석한 작업자가 발을 디딜 수 있는 발판(50)을 구비하는 것이 탑승자가 보다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occupant can take a more stable posture having a footrest 50 that the operator seated on the chair part 30 can step in the rid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작업자가 앉은 자세를 교정하려 할 때 발을 디딜 수 있는 부분이 있어야 앉은 자세를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a worker tries to correct a sitting position, there must be a part to step on the foot so that the sitting position can be easily corrected.

본 고안에 있어서, 의자부(30)는 크레인의 붐(1)이 고정된 상태에서 탑승한 작업자에 의해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이 원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ir unit 30 may be implemented to smoothly work by allow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by the operator occupied in the fixed state of the crane boom (1).

이를 위해서 의자부(30)는 크레인의 붐(1)이 고정된 상태에서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 To this end, the chair part 30 should be capable of rotating left and right in a state where the boom 1 of the crane is fixed.

또, 의자부(30)의 좌, 우 회전을 탑승한 작업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된 회전제어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여야 한다. In addition, it should be provided with a rotation control means (not shown) to be controlled by the operator rid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chair unit 30.

의자부(30)의 회전이 가능한 구조 및 회전제어수단의 구조는 종래 바스켓 구조의 탑승장치를 좌, 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와 같은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The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the chair part 30 and the structure of the rotation control means can be implemented in the same form as the structure for rotating the vehicle of the conventional basket structure left, right.

즉, 종래의 탑승장치 구조에서 바스켓 몸체를 대신하여 본 고안의 의자부(30)를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chair uni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in place of the basket body in the conventional vehicle structur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2-0002653호에서는 동력에 의하여 모터가 회전됨에 따라 기어에 연결된 탑승장치의 바스켓 몸체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모터의 회전을 작업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More specifically, in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2-0002653, as the motor rotates by power, the basket body of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gear rotates, and the operator can control the rotation of the motor. have.

이와 같은 구조의 바스켓 몸체를 대신하여 본 고안의 의자부(30)를 설치함으로써 동력을 사용하여 의자부(3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Instead of the basket body of such a structure by installing the chair portion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chair portion 30 using power.

또,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0-0028862호에서는 작업자가 기어를 수동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바스켓 몸체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in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0-0028862, the basket body is rotated as the worker rotates the gear manually.

이러한 구조의 바스켓 몸체를 대신하여 본 고안의 의자부(30)를 설치함으로써 탑승한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의자부(30)가 회전하도록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By installing the chair par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lace of the basket body of such a structure it can be implemented to rotate the chair part 30 by the operation of the occupant.

또, 본 고안은 탑승자가 앉아 있는 안정적이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므로 도 2와 같이 사무용 의자의 회전 구조와 같은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a stable posture in which the occupant is sitting can also be implemented in the same form as the rotating structure of the office chair as shown in FIG.

도 2에서는 의자부(30)의 상, 하 이동을 위한 승강수단(70)으로서 사무용 의자에 사용되는 실린더(실린더축(72)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음)가 사용되고 있다. In FIG. 2, a cylinder (which allows the rotation of the cylinder shaft 72) to be used for an office chair is used as the lifting means 70 for moving the chair part 30 up and down.

따라서 작업자가 발판(50)을 디디고 몸을 틀어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operator can turn the footrest 50 and turn the body to change the direction.

본 고안의 탑승장치도 종래의 바스켓 구조 탑승장치와 같이 상, 하로 회전됨으로써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는 수평조절장치(6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ar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provided with a horizontal adjusting device 60 to maintain the horizontal by rotating up and down, as in the conventional basket structure.

이러한 수평조절장치(60)에 대하여는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0-0028862호 등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고 이미 다양한 기술 등이 제시되어 있으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horizontal adjustment device 60 is described in detail in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0-0028862 and the like, and various technologies are already presented,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고안에 있어서, 의자부(30)는 크레인의 붐(1)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 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탑승한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의자부(30)를 상, 하로 움직일 수 있는 승강수단(70)을 구비하여 탑승한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의자부(30)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ir part 30 is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in a state where the boom 1 of the crane is fixed, and can move the chair part 30 up and down by the operator of the occupant.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or having the lifting means 70 can selectively use the height of the chair part 30.

즉, 바스켓 구조의 탑승장치와 달리 본 고안의 탑승장치는 앉은 자세로 탑승하는 것이므로 작업자의 손이 닿는 작업반경이 작다. In other words, unlike the boarding device of the basket structure, since the boar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seated in a sitting position, the working radius of the worker's hand is small.

따라서 작업반경을 넓히기 위하여 붐(1)을 기준으로 의자부(30)의 상, 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nable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chair part 30 on the basis of the boom 1 to widen the working radius.

상기와 같은 승강수단(7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The lifting means 70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도 1의 A 및 도 2에서와 같이 사무용 책상의 승강수단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하여 의자부(30)의 하부에 있는 레버(71)를 당김으로써 승강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A and 2, the lifting and lowering may be implemented by pulling the lever 71 under the chair part 30 in the same manner as the lifting means of the office desk.

또, 도 1의 B와 같이 의자부의 하부에 유압잭(73)을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유압잭(73)의 레버(74)를 밟아 움직이거나 손으로 움직임으로써 의자부(30)의 상, 하 이동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hydraulic jack 73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hair portion as shown in FIG. 1B, the operator moves up and down the chair portion 30 by stepping on the lever 74 of the hydraulic jack 73 or by hand. It can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이러한 유압잭(74)은 주변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동차의 타이어 등을 교체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자체를 들어올릴 때 등에 사용되고 있다. Such a hydraulic jack 74 can be easily identified even in the vicinity, and is used when lifting the vehicle itself to replace the tire of the vehicle.

이와 같이 의자부(30)의 상, 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된 경우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난간(40)은 의자부(30)와 함께 상, 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hair part 30 moves up and down, the handrail 4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moved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chair part 30.

이는 난간(40)이 의자부(30)와 함께 이동되어야 난간(40)의 목적인 추락방지 역할을 온전히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 handrail 40 must be moved together with the chair part 30 to fully perform the fall prevention role of the purpose of the handrail 40.

이와 같은 형태의 난간(40)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Handrail 40 of this type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도 1의 A와 같이 의자부(30)에만 연결되어 있어 의자부(30)와 함께 움직이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도 1의 B와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하되 하부는 발판(50)에 고정되어 있고 상부는 의자부(30)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1 is connected only to the chair portion 30 as shown in Figure 1 A may be implemented to move with the chair portion 30, as shown in B of Figure 1 may be implemented to adjust the length but the lower portion is fixed to the footrest 50 And the upper portion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is connected to the chair portion (30).

본 고안에 있어서, 안전벨트를 구비하여 탑승한 작업자가 안전벨트를 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시하지 않음)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worker who is equipped with a seat belt fastens a seat belt. (Not shown)

본 고안에 있어서 첨부된 도면과 같이 한 명의 작업자만이 탑승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지만 여러 명이 탑승할 수 있도록 넓은 의자부(30)를 형성하거나 복수 개의 의자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only one worker may be implemented to board, but a wide chair portion 30 may be formed or a plurality of chair portions may be formed to allow several people to board.

본 고안의 크레인 붐에 설치되는 작업용 탑승장치는, 작업자가 의자부에 앉아야 탑승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가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탑승하게 되고, 작업할 때는 물론 붐의 이동시에도 자세의 흐트러짐 없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Working vehicle installed in the crane boo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is to sit in the chair seat to be carried out in a comfortable and stable posture, and maintain a stable posture without disturbing the posture during work as well as moving the boom Can be.

또, 작업자가 앉는 자세를 취함에 따라 탑승장치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협소한 작업공간으로도 탑승장치를 위치시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worker takes a sitting position, the size of the vehicle can be reduced, thereby enabling the operator to perform the work by placing the vehicle in a narrow work space.

도 1은 본 고안의 탑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 난간이 의자부에만 연결되어 있고 사무용 의자와 같은 방식의 승강수단을 갖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Schematic to explain that the handrail is connected only to the chair part and has lifting means in the same manner as an office chair

B : 난간의 하부가 발판에 고정되고 상부가 의자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유압잭 방식의 승강수단을 갖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B: Schematic for explaining that the lower part of the railing is fixed to the footrest and the upper part is connected to the chair part, and has a lifting means of hydraulic jack type.

도 2는 수평조절장치를 갖는 본 고안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개략도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horizontal adjustment device

도 3은 크레인의 붐 위쪽에 위치된 본 고안의 또 다른 탑승장치 개략도 Figure 3 is another schematic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located above the boom of the cran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붐 10. 크레인연결부 1. Boom 10. Crane connection

20. 설치수단 30. 의자부 20. Installation means 30. Chair part

40. 난간 50. 발판 40. Handrail 50. Scaffold

60. 수평조절장치 70. 승강수단 60. Leveling device 70. Lifting means

71. 레버 72. 실린더축 71. Lever 72. Cylinder Shaft

73. 유압잭 74. 레버73. Hydraulic Jack 74. Lever

Claims (5)

작업자가 크레인에 매달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동식 크레인의 붐에 설치되는 탑승장치에 있어서, In a ride that is installed on the boom of a mobile crane so that the operator can work on the crane, 이동식 크레인의 붐에 연결되는 크레인연결부와; A crane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boom of the mobile crane; 상기 크레인연결부를 크레인의 붐에 연결시켜 붐과 함께 움직이도록 하는 설치수단과; Installation means for connecting the crane connector to the boom of the crane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boom; 작업자가 등을 기대고 앉은 자세로 탑승하게 되는 의자부와; A chair part in which a worker rides in a sitting position while leaning on his back; 상기 의자부에 탑승한 작업자의 전방과 좌, 우측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동시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고 작업자가 잡을 수 있도록 된 난간;을 포함하여 구성된, 크레인의 붐에 설치되는 작업용 탑승장치. It is installed on the front and left and right of the worker boarding the chair portion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operator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fall of the worker and handrails so that the worker can be caught;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의자부에 앉은 작업자가 발을 디딜 수 있는 발판;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붐에 설치되는 작업용 탑승장치. Footrest that can be stepped by the worker sitting on the chair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the work ride device installed on the boom of the cran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의자부는 크레인의 붐이 고정된 상태에서 좌, 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The chair unit is configured to rotate left and right in a state where the boom of the crane is fixed, 상기 의자부의 좌, 우 회전을 탑승한 작업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된 회전제어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붐에 설치되는 작업용 탑승장치. Rotation control means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operator riding the left, right rotation of the chair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the work ride device installed on the boom of the crane.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의자부는 크레인의 붐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 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The chair part is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a state where the crane boom is fixed, 탑승한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의자부를 상, 하로 움직일 수 있는 승강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어 탑승한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의자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붐에 설치되는 작업용 탑승장치. Elevating means for moving the chair portion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occupant;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occupant can be used to selectively adjust the height of the chair portion, the installation on the crane boom Work vehicle.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난간은 의자부가 상, 하로 이동될 때 함게 움직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붐에 설치되는 작업용 탑승장치. The rail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ir is moved together when moving up and down, the work ride device installed on the boom of the crane.
KR20-2005-0019570U 2005-07-06 2005-07-06 The riding apparatus of crane boom for work KR20039764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570U KR200397645Y1 (en) 2005-07-06 2005-07-06 The riding apparatus of crane boom for 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570U KR200397645Y1 (en) 2005-07-06 2005-07-06 The riding apparatus of crane boom for 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645Y1 true KR200397645Y1 (en) 2005-10-06

Family

ID=4369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570U KR200397645Y1 (en) 2005-07-06 2005-07-06 The riding apparatus of crane boom for 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645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4492B2 (en) Operator&#39;s station for a lift truck including three position seat assembly
KR101265745B1 (en) Mobile bod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235701B1 (en) Wheelchair with vehicle boarding function
CN217227348U (en) Control platform for construction machinery and construction machinery
US7686310B2 (en) Elevated work platform and multi-function tool
KR200397645Y1 (en) The riding apparatus of crane boom for work
KR101811173B1 (en) Low floor boardable high place operation car
KR101424048B1 (en) cab of excavator of having rotating step
KR20160053740A (en) Auxiliary device of folding wheelchair for ramp
KR101400104B1 (en) Multi function trolley
JP4937653B2 (en) Wheel crane
JPH0949318A (en) Working gondola
EP1527944A1 (en) Backrest assembly for standing ride
CN107199927B (en) Armrest adjusting device and engineering vehicle with same
JP5086032B2 (en) Boom automatic storage device for aerial work platforms
JPH1037242A (en) Hydraulic in hydraulic shovel
IT201600118993A1 (en) SEAT FOR VEHICLES WITH SEGMENTED BACKREST AND MOBILE LUMBAR PORTION
JP6649638B2 (en) Work machine
JPH06171429A (en) Walking footstep of industrial machinery
WO2019187406A1 (en) Walking aid
JP3062365B2 (en) Work vehicle
JP2010260698A (en) Operation control device of boom working vehicle
JP2006006721A (en) Operating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WO2019187292A1 (en) Work assistance machine
JPH10305998A (en) Boom operation control device of high altitude working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