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425Y1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화환 받침대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화환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425Y1
KR200397425Y1 KR20-2005-0020522U KR20050020522U KR200397425Y1 KR 200397425 Y1 KR200397425 Y1 KR 200397425Y1 KR 20050020522 U KR20050020522 U KR 20050020522U KR 200397425 Y1 KR200397425 Y1 KR 2003974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leg
wreath
leg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5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길선
Original Assignee
홍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길선 filed Critical 홍길선
Priority to KR20-2005-0020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4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4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4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4Mountings for wreaths, or the like; Racks or holders for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단으로 되는 화환 받침대에 있어서 상부 받침구의 상부지지다리가 중간 받침구의 중간 지지다리에 유지구에 의해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끼워진 채, 선택적으로 상·하 위치 조절 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부 받침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단 화환받침대의 전체적인 높낮이 조절이 보다 간편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화환의 크기를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다수의 하부 지지다리(31)가 끼움관(33)에 끼워져 받쳐지는 하부 받침구(3) 일측 상단에, 중간 받침구(2)가 홀더(32)에 의해 고정되는 중간 지지다리(21)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중간 지지다리(21)에는 상부 받침구(1)의 상부 지지다리(11)가 연결되게 한 다단 화환받침대(A)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다리(21)의 중간 받침구(2) 직하부에는, 일측에 걸림구(42a)가 돌출형성되어 상부 지지다리(11)가 끼워지는 안내관(42)과 일정거리를 두고 연결되는 유지구(4)의 고정관(41)을 끼워 설치하고, 상기 상부 지지다리(11)의 안내관(42)의 걸림구(42a) 대응부에는 다수의 걸림홈(11a)을 형성하며, 상기 중간 받침구(2) 일측에는 협지고정구(51)를 갖는 협지관(5)을 형성하여, 상부 지지다리(11)의 상·하 이동 위치를 고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화환받침대 이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화환 받침대{Adjustable multistage frame for a floral wreath}
본 고안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화환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으로 되는 화환 받침대에 있어서 상부 받침구의 상부지지다리가 중간 받침구의 중간 지지다리에 유지구에 의해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끼워진 채, 선택적으로 상·하 위치 조절 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부 받침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단 화환받침대의 전체적인 높낮이 조절이 보다 간편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화환의 크기를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행사에 사용되는 화환의 경우, 전면부에 보여지는 다수의 꽃송이들을 다단으로 장식하기 위하여, 받침구가 다단으로 구비된 다단 화환받침대가 사용되고 있는 것인 바, 이들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다단 화환받침대는, 다수의 하부 지지다리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 받침구 일측에 중간 받침구의 중간지지다리가 연결고정되고, 다시 이 중간 지지다리에 대해 상부 받침구의 상부 지지다리를 연결 고정하는 것에 의해, 다단 화환받침대를 이루도록 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종래의 다단 화환받침대는 하부, 중간 및 상부 받침구를 받치고 있는 각각의 지지다리가 그 간격 조절이 불가능한 상태로 연결·고정되어 있음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각각의 받침구 위치는 고정될 수밖에 없어 제작되는 화환의 키높이 크기에 대응하여, 그만큼 다양한 키높이 크기의 여러 다단 화환받침대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어서, 화환제작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와 함께 결과적으로 화환제작 단가가 상승 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다단 화환받침대를 이루는 각각의 받침구를 떠받치는 지지다리가, 서로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연결·고정되어 받침구의 위치가 불변인 상태로 되는 종래의 다단 화환받침대가 지진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단의 받침구중 상부 받침구를 받치고 있는 상부 지지다리가, 중간 지지다리에 대해 일정거리를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화환 제작시 그때그때 전체적인 화환크기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상부 받침구의 높낮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화환받침대의 전체적인 키 높이 조절이 용이하게 하는 것에 의해, 화환받침대의 사용성을 제고할 수 있게 하여, 하나의 화환받침대로 다양한 크기의 화환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화환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화환받침대는, 다수의 하부 지지다리(31)가 끼움관(33)에 끼워져 받쳐지는 하부 받침구(3) 일측 상단에 중간 받침구(2)가 홀더(32)에 의해 고정되는 중간 지지다리(21)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중간 지지다리(21)에는 상부 받침구(1)의 상부 지지다리(11)가 연결되게 한 다단 화환받침대(A)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다리(21)의 중간 받침구(2) 직하부에는, 일측에 걸림구(42a)가 돌출형성되어 상부 지지다리(11)가 끼워지는 안내관(42)과 일정거리를 두고 연결되는 유지구(4)의 고정관(41)을 끼워 설치하고, 상기 상부 지지다리(11)의 안내관(42)의 걸림구(42a) 대응부에는 다수의 걸림홈(11a)을 형성하며, 상기 중간 받침구(2) 일측에는 협지고정구(51)를 갖는 협지관(5)을 형성하여, 상부 지지다리(11)의 상·하 이동 위치를 고정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화환 받침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화환 받침대의 하부 받침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확대도이며, 도 3a 내지 3c는 본 고안에 의한 화환 받침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확대도 및 요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화환 받침대의 높낮이 조절예시도이다.
본 고안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화환받침대는, 상부 받침구(1)의 상부 지지다리(11)가 중간 받침구(2)와 중간 지지다리(21) 일측에, 유지구(4)를 개재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중간 받침구(2)는, 하부 받침구(3) 일측에 별도의 홀더(32)에 의해 직립상태로 고정되는 중간 지지다리(21)에 의해 받쳐지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홀더(32)의 일측에는 홀더(32)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으로 중간 지지다리(21)를 협지·고정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홀더(32)의 자체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복수의 보강편(32a)이 일체로 부착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 받침관(3)의 하면에는, 하부 지지다리(31)가 탈·부착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는 복수의 끼움관(33)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때 하부 지지다리(31)의 선단에는 돌기(31a)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끼움관(33) 내부에는 끼움홈(33a)을 형성하는것에 의해, 상기 돌기(31a)가 끼움홈(33a)을 통과하여 끼움관(33)의 상부 단턱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하부 지지다리(31)가 끼움관(33)에 대해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끼워져 설치된다.
이때, 상기 돌기(31a)와 끼움홈(33a)을 복수로 형성하여 하부 지지다리(31)와 끼움관(33a)의 고정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받침구(1)를 떠받치고 있는 상부 지지다리(11)를, 중간 지지다리(21) 후부에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이격된 상태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게 하는 유지구(4)는, 중간 지지다리(21)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관(41)과 이 고정관(41)과 일체로 연결되어 상부 지지다리(11)가 끼워지게 하여 상부 지지다리(11)로 하여금,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잡아주는 안내관(42)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때 안내관(42)의 일측에는 반구형의 걸림구(42a)가 돌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상부 지지다리(11)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홈(11a)을 형성하여, 걸림구(42a)가 임의 걸림홈(11a)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결합되게 하는 것에 의해, 상부 지지다리(11)의 상·하 조절된 위치를 보다 확실하고 간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걸림홈(11a)과 걸림구(42a)에 의해 상·하 높이가 조절된 위치는, 중간 받침구(2) 후부 일측에 설치된 협지관(5)과 협지고정구(51)에 의해, 다시 2차적으로 보다 확실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화환받침대의 상부 받침구(1)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부 지지다리(11)를 협지하고 있는 협지관(5)의 협지고정구(51)를 풀어 상부 지지다리(11)가 자유롭게 승·하강 가능한 상태로 둔 다음, 그대로 상부 지지다리(11)를 아래로 또는 위로 이동시키면서 임의 걸림홈(11a)이 다시 걸림구(42a)에 끼워지게 하여, 일차적으로 상부 지지다리(11)의 높이를 정하여 그 위치가 유지되게 한 상태에서, 풀었던 협지관(5)의 협지고정구(51)를 다시 회전시켜 조여주게 되면, 중간 지지다리(21)에 대한 상부 지지다리(11)의 높낮이 위치를 조절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상부 받침구(1)의 높이, 즉 화환받침대(A) 전체의 키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이 상태에서 각각의 받침구를 이용하여 다단의 화환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부 지지다리(11)가 중간 받침구(2) 일측에 승·하강 가능한 상태로 끼워지도록 한 협지고정구(51)를 갖는 협지관(5)을, 선택적으로 하부받침구(3) 일측에 설치하여 중간 지지다리(21) 역시 하부 받침구(3) 일측에서 승·하강 되어 그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그 조절된 높이를 협지고정구(51)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 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화환받침대에 의하면, 다단화환의 제작을 위한 다단화환 받침대를 이루는 상부 받침구의 상부 지지다리가, 별도의 협지관에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채, 중간 지지다리 일측에 일정거리 이격 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 지지다리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홈 중, 임의 걸림홈으로 하여금 안내관의 걸림구에 끼워져 결합되게 하는 것에 의해, 일차적으로 중간 지지다리에 대한 상부 지지다리의 위치를 조절 및 유지되게 함으로써, 다단 화환받침대의 전체적인 높낮이 조절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다단화환의 제작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하나의 다단 화환받침대를 이용하여 다양한 키 높이를 갖는 다단화환의 제작이 가능하게 되므로, 다단화환의 전체적인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화환 받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화환 받침대의 하부 받침구의 요부확대도
도 3a 내지 3c는 본 고안에 의한 화환 받침대의 요부확대도 및 요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화환 받침대의 높낮이 조절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상부 받침구 2: 중간 받침구 3: 하부 받침구
4: 유지구 5: 협지관 11: 상부 지지다리
11a: 걸림홈 21: 중간 지지다리 22: 중간 받침구
31: 하부 지지다리 31a: 돌기 32: 홀더
32a: 보강편 33: 끼움관 33a: 끼움홈
41: 고정관 42: 안내관 42a: 걸림구

Claims (3)

  1. 다수의 하부 지지다리(31)가 끼움관(33)에 끼워져 받쳐지는 하부 받침구(3) 일측 상단에, 중간 받침구(2)가 홀더(32)에 의해 고정되는 중간 지지다리(21)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중간 지지다리(21)에는 상부 받침구(1)의 상부 지지다리(11)가 연결되게 한 다단 화환받침대(A)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다리(21)의 중간 받침구(2) 직하부에는, 일측에 걸림구(42a)가 돌출형성되어 상부 지지다리(11)가 끼워지는 안내관(42)과 일정거리를 두고 연결되는 유지구(4)의 고정관(41)을 끼워 설치하고, 상기 상부 지지다리(11)의 안내관(42)의 걸림구(42a) 대응부에는 다수의 걸림홈(11a)을 형성하며, 상기 중간 받침구(2) 일측에는 협지고정구(51)를 갖는 협지관(5)을 형성하여, 상부 지지다리(11)의 상·하 이동 위치를 고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화환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받침구(3) 일측의 홀더(32)에는 복수의 보강편(32a)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화환받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받침구(3)의 끼움관(33) 내에는 끼움홈(33a)을 형성하고, 이 끼움홈(33a)에 대응하는 하부 지지다리(31)의 선단부에는 돌기(31a)를 형성하여, 상기 하부 지지다리(31)가 끼움관(33)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화환받침대.
KR20-2005-0020522U 2005-07-14 2005-07-14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화환 받침대 KR2003974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522U KR200397425Y1 (ko) 2005-07-14 2005-07-14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화환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522U KR200397425Y1 (ko) 2005-07-14 2005-07-14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화환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425Y1 true KR200397425Y1 (ko) 2005-10-04

Family

ID=43698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522U KR200397425Y1 (ko) 2005-07-14 2005-07-14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화환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42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52Y1 (ko) 2008-12-10 2009-07-14 이천우 조립식 화환 받침대.
KR200484826Y1 (ko) * 2017-02-28 2017-10-30 김택수 화환받침대
KR20210135081A (ko) 2020-05-04 2021-11-12 주윤경 절첩식 화환 거치대
KR20220104339A (ko) * 2021-01-18 2022-07-26 진민지 경사지주형 조립식 화환 받침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52Y1 (ko) 2008-12-10 2009-07-14 이천우 조립식 화환 받침대.
KR200484826Y1 (ko) * 2017-02-28 2017-10-30 김택수 화환받침대
KR20210135081A (ko) 2020-05-04 2021-11-12 주윤경 절첩식 화환 거치대
KR20220104339A (ko) * 2021-01-18 2022-07-26 진민지 경사지주형 조립식 화환 받침대
KR102521437B1 (ko) 2021-01-18 2023-04-13 진민지 경사지주형 조립식 화환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7425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화환 받침대
US10524576B2 (en) Work chair
KR20090014451A (ko) 삼각대
KR200426550Y1 (ko) 낚시대 받침틀
KR101941887B1 (ko) 상하 슬라이드 운용 제어를 기반으로 한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US20050028443A1 (en) Potted plant hanger assembly
US20060214081A1 (en) Supporting framework for a swivel chair or swivel table
KR200391887Y1 (ko) 이동식 세탁물 건조대
KR20130138931A (ko) 상하이동형 화분 테이블
KR200430104Y1 (ko) 현수막 거치대
KR101749452B1 (ko) 3점식 지지바를 이용한 자동관수용 꽃기둥
CN213985061U (zh) 一种土建施工用水平测量仪
KR200381992Y1 (ko) 높이조절책상
KR200484826Y1 (ko) 화환받침대
KR101890474B1 (ko) 조립식 꽃기둥 및 이를 이용하여 다중연출가능한 꽃기둥 연결장치
JP2007151402A (ja) 支柱保持具
KR20090000735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작업대 및 이 작업대의 높이조절장치
US6042067A (en) Clamping holder for a lamp for a flowerpot
JP4530093B2 (ja) ブーツスタンド
CN219421760U (zh) 一种用于森林培育的育苗装置
KR200395111Y1 (ko) 낚시대 받침구
CN208355123U (zh) 一种高度可调节的插花架
JP2008531986A (ja) クロマトグラフィー装置における少なくとも一つの液体構成要素用固定システム
CN201278989Y (zh) 一种支架
JP2005224574A (ja) 花瓶に入れる支え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