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150Y1 - Computer keyboard with a receiving space for remote control - Google Patents

Computer keyboard with a receiving space for remote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150Y1
KR200397150Y1 KR20-2005-0020689U KR20050020689U KR200397150Y1 KR 200397150 Y1 KR200397150 Y1 KR 200397150Y1 KR 20050020689 U KR20050020689 U KR 20050020689U KR 200397150 Y1 KR200397150 Y1 KR 200397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remote control
computer keyboard
spring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68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광운
Original Assignee
화신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신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화신정보통신(주)
Priority to KR20-2005-0020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15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150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의 주변기기 중 하나인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보드의 하부면에 일정공간의 리모컨 수납부를 형성하고, 그 리모컨 수납부에는 슬라이딩 가능한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단부에는 스프링 및 푸쉬록잠금장치를 각각 형성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that is one of the peripheral devices of the computer, and in particular, to form a remote control housing of a certain spac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keyboard, the remote control housing is a sliding tray and the end of the tray and the spring and push lock locking device By forming each,

상기 리모컨 수납부에 의해 컴퓨터용 리모컨을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며, 리모컨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푸쉬록잠금장치 및 스프링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트레이로부터 그 리모컨의 간편한 인출을 가능케 하여, 리모컨의 분실에 따른 사용상의 어려움이나 수납 및 보관의 어려움을 극복한 리모컨 수납부를 갖는 컴퓨터용 키보드에 대한 것이다.The remote control storage unit to store the computer remote control more safely and easily, if you want to use the remote control to enable easy withdrawal of the remote control from the tray sliding by the push lock locking device and the spr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 keyboard having a remote controller housing that overcomes difficulties in use or storage and storage due to the loss of.

Description

리모컨 수납부를 갖는 컴퓨터용 키보드 {Computer keyboard with a receiving space for remote control}Computer keyboard with a receiving space for remote control

본 고안은 컴퓨터의 주변기기 중 하나인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보드의 하부 일측에 슬라이딩 트레이가 내장된 수납부를 형성하여, 상기한 수납부를 통해 컴퓨터를 제어하기 하기 위한 리모컨을 보관할 수 있게 하면서도, 슬라이딩 트레이에 의해 상기한 리모컨의 안전한 보관 및 용이한 인출 사용을 가능케 하는 리모컨 수납부를 갖는 컴퓨터용 키보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that is one of the peripheral devices of the computer, and in particular to form a storage unit with a built-in sliding tray on the lower side of the keyboard, while maintaining a remote control for controlling the computer through the storage, sliding tra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 keyboard having a remote control housing that enables safe storage and easy withdrawal of the remote control.

키보드(key board)는, 컴퓨터 입력장치의 하나로 타자기와 비슷하게 생긴 글자판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자판·글자판·글쇠판이라고도 한다.A keyboard is a type of computer input device, and refers to a letter board that looks like a typewriter, and is also called a keyboard, letter board, or letter board.

타자기처럼 생긴 입력장치로 한글, 영문자, 숫자, 특수문자(비문자)와 12개의 기능키로 이루어져 있다. 단독으로는 사용할 수 없고 영상표시장치(모니터)와 한 조를 이루어 입력된 내용을 확인하고 편집, 변형할 수 있다.It is a typewriter-type input device consisting of Korean, English letters, numbers, special characters (non-characters) and 12 function keys. It can not be used alone, and it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a video display device (monitor) to check, edit, and modify the input contents.

키보드의 작동 원리는 전류를 흐르게 하는 방법에 따라 전자식과 기계식으로 나뉜다. 전자식은 키를 누르면 키 안의 텐션 고무압지구가 압축되면서 회로에 흐르는 전하의 양이 줄어들고, 키 밑에 연결된 회로가 전하의 양을 측정하여 키의 눌림 상태를 파악하는 방식이다. 기계식은 키를 누름에 따라 키 밑에 있는 두 개의 금속이 붙었다 떨어졌다 하면서 전류가 흐르고, 회로는 전류의 흐름 여부로 키의 눌림 상태를 파악한다. 이러한 키보드에서 파악된 키의 위치는 바이오스를 통해 키보드 스캔코드로 변환되고, 버퍼에 기록된 다음 시스템으로 보내져 처리된다.The working principle of the keyboard is divided into electronic and mechanical depending on how the current flows. When the key is pressed, the tension rubber pressure strip inside the key is compressed to reduce the amount of charge flowing through the circuit, and the circuit connected under the key measures the amount of charge to determine the pressed state of the key. In mechanical mode, as the key is pressed, the two metals under the key stick and drop, while the current flows, and the circuit determines whether the key is pressed by the flow of current. The location of the keys found on these keyboards is converted into keyboard scancode by the BIOS, recorded in a buffer, and sent to the system for processing.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컴퓨터의 사양이 고사양화 및 고급화되어 감에 따라 보다 다양한 부가적 기능 및 성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고급사양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별개의 리모컨이 지급되므로, 사용자는 번거롭게 키보드를 조작하지 않고도 원거리에서 리모컨을 이용하여 볼륨이나 채널조정 및 멀티플레이어의 선택 또는 각종 기능버튼을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as the specifications of computers have become more advanced and advanced, they hav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and performances, and a separate remote controller is provided to implement these advanced specifications, so that users can operate the keyboard cumbersomely. You can use the remote control remotely to control volume, channel, multiplayer selection or various function buttons without the need for remote control.

따라서, 근자에 들어서는 컴퓨터 본체의 입력수단으로 키보드와 리모컨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 keyboard and a remote controller are most commonly used as input means of a computer main body.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입력수단은 키보드와 리모컨으로 각기 분리되어 있으므로, 부피가 크면서도 본체와 통신선으로 연결되는 키보드의 경우에는 분실의 우려가 없으나, 부피가 작고 무선통신 방식으로 작동되게 하는 리모컨의 경우에는 빈번하게 분실하거나 위치를 파악할 수 없어 사용에 많은 불편함을 끼치게 되는 것이다.However, since the input means as described above is separated into the keyboard and the remote controller, there is no risk of loss in the case of the keyboard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with the main body, but the volume of the remote control to operate in a smal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the case of frequent loss or location can not determine the inconvenience to use.

즉, 본체와 이격된 거리에서 리모컨을 이용하여 본체를 제어하는 경우 리모컨을 일정한 장소에 잘 보관하여야 재사용시 불편함이 없는 것이나, 대부분의 사용자는 리모컨을 일정한 장소에 두지 아니하고 사용자의 임의대로 아무곳에나 방치시켜 놓는 것이 보편적이어서 리모컨을 재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리모컨을 찾기 위한 수고스러움을 감수하여야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controlling the main body by using the remote control at a distance away from the main body, the remote control should be kept well in a certain place so that it is not inconvenient to reuse. However, most users do not place the remote control in a certain place, If left unattended, and you want to reuse the remote control, you have to take the trouble to find it.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키보드의 하부면에 일정공간의 리모컨 수납부를 형성하고, 그 리모컨 수납부에는 슬라이딩 가능한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단부에는 스프링 및 푸쉬록잠금장치를 각각 형성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eliminat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forms a remote control housing of a predetermined spac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keyboard, the remote control housing has a sliding tray and a spring and push lock locking device at the end of the tray. By forming each,

상기 리모컨 수납부에 의해 컴퓨터용 리모컨을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며, 리모컨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푸쉬록잠금장치 및 스프링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트레이로부터 그 리모컨의 간편한 인출을 가능케 하여, 리모컨의 분실에 따른 사용상의 어려움이나 수납 및 보관의 어려움을 극복한 리모컨 수납부를 갖는 컴퓨터용 키보드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remote control storage unit to store the computer remote control more safely and easily, if you want to use the remote control to enable easy withdrawal of the remote control from the tray sliding by the push lock locking device and the spr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uter keyboard having a remote control housing that overcomes the difficulties of use or storage and storage due to the loss of.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키보드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키보드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키보드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키보드의 측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puter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computer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 computer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uter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복수개의 입력키(11)(11')를 갖는 상판(10)과, 그 상판(10)의 하측에 결합되어지는 하판(20)으로 구성된 공지의 컴퓨터용 키보드에 있어서,In a known computer keyboard composed of a top plate 10 having a plurality of input keys 11 and 11 'and a bottom plate 20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top plate 10,

상기한 하판(20)의 하부 일측에 삽탈공(21)을 형성하고, 그 삽탈공(21)의 내측에는 슬라이딩 가능한 트레이(30)를 갖는 수납공간(22)을 형성하되,The insertion hole 21 is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plate 20, and the storage space 22 having a slidable tray 30 is formed inside the insertion hole 21,

상기한 수납공간(22)의 내측단에는, 스프링지지대(23)와 안치턱(24)을 각각 돌출 형성하고,On the inner end of the storage space 22, the spring support 23 and the settling jaw 24 are formed to protrude, respectively,

상기한 트레이(30)의 내측단에는, 상기한 스프링지지대(23)와 동축상의 관체상 스프링포켓(31)과, 상기한 안치턱(24)과 동축상의 걸림구(32)를 각각 형성하며,On the inner end of the tray 30, a cylindrical spring pocket 31 coaxial with the spring support 23, and a settled hole 24 and a coaxial latch 32 are formed, respectively,

상기한 스프링지지대(23)와 스프링포켓(31)의 사이에는 스프링(1)을 삽입 형성하고, 상기 안치턱(24)에는 푸쉬록잠금장치(2)를 고정시켜 상기 걸림구(32)가 상기 푸쉬록잠금장치(2)에 체결 및 분리되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spring 1 is inserted between the spring support 23 and the spring pocket 31, and the push lock locking device 2 is fixed to the settlement 24 so that the locking hole 32 is It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and separated on the push lock locking device (2).

또한, 상기한 하판(20)의 수납공간(22) 양측에는, 가이드홈(25)을 갖는 경계리브(26)를 형성하고, 상기 트레이(30)의 양측 선단에는 상기 가이드홈(25)을 따라 이동되게 한 돌출구(33)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구(33)에 의해 트레이(30)의 슬라이딩 폭이 제한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며,In addition, boundary ribs 26 having guide grooves 25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torage space 22 of the lower plate 20, and at both ends of the tray 30 along the guide grooves 25. By forming the protrusions 33 to be moved, the sliding width of the tray 30 by the protrusions 33 can be configured to be limited,

상기한 트레이(30)의 선단 내부 양측에는 탄력돌기(34)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트레이(30)에 삽입되는 리모컨(3)의 선단 양측면에는 상기 탄력돌기(34)가 삽입 계지되게 한 요홈(4)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한 리모컨(3)이 탄력돌기(34) 및 요홈(4)에 의해 트레이(30)의 내측에서 삽입 고정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tray 30, respectively, and elastic protrusions 34 are formed on each side of the tray 30, and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remote controller 3 are inserted into the tray 30. 4) respectively formed, the remote controller 3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tray 30 by the resilient protrusion 34 and the groove (4).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 리모컨 수납부를 갖는 컴퓨터용 키보드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more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on of the computer keyboard having the subject innovation remote control housing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s follows.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컴퓨터용 키보드는 상부면으로 노출된 다수개의 입력키(11)(11')를 통해 명령어 및 각종 데이터 등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한 입력키(11)(11')를 갖는 상판(10)의 하측에는 별도의 하판(20)이 체결되어 있는 것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mputer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put a command and various data through a plurality of input keys 11 and 11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above-described input keys 11 and 11'.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10 having a separate lower plate 20 is fastened.

이때, 상기한 하판(20)의 하부에 별도의 수납공간(22)을 형성하고, 그 일측단에는 리모컨(3)을 수납할 수 있는 삽탈공(21)을 형성하여, 상기한 리모컨(3)을 그 삽탈공(21) 및 수납공간(22)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보관 및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인데,At this time, a separate storage space 22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late 20, and at one end thereof, an insertion hole 21 for accommodating the remote controller 3 is formed, and the remote controller 3 is formed. Using the insertion hole 21 and the storage space 22 to be stored and used easily,

상기한 수납공간(22)의 내측에는 상기한 리모컨(3)을 보다 용이하게 수납 및 인출할 수 있게 한 별도의 트레이(30)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Inside the storage space 22 is a separate tray 30 that allows the remote control 3 to be stored and withdrawn more easily.

상기한 트레이(30)는 상기 수납공간(22)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슬라이딩 되는 것으로서, 상기 트레이(30)의 내측단과 그 수납공간(22)의 내측단에는 각각 스프링포켓(31)과 스프링지지대(23)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사이에는 별도의 스프링(1)이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The tray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22 and slides, and the spring pocket 31 and the spring support on the inner end of the tray 30 and the inner end of the storage space 22, respectively. 23 is formed, and the other spring 1 is elastically inserted between them.

또한, 상기한 트레이(30)의 단부 양측에는 후크상의 걸림구(32)가 형성되어 있고, 이와 동축상의 수납공간(22) 내측단에는 안치턱(24)에 계지 결합되어진 푸쉬록잠금장치(2)가 위치하고 있게 된다.In addition, a hook-shaped locking hole 3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nd of the tray 30, and a push lock locking device 2 engaged with the settling 24 is provided at an inner end of the coaxial storage space 22. ) Will be located.

따라서, 트레이(30)를 밀어 넣게 되면 상기한 걸림구(32)가 푸쉬록잠금장치(2)에 맞물려 체결되는 것이며, 그 트레이(30)를 다시 한번 내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한 푸쉬록잠금장치(2)가 해제되면서 스프링(1)에 의해 트레이(30)가 수납공간(22)의 외측을 향하여 슬라이딩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tray 30 is pushed in, the latch 32 is engaged with the push lock locking device 2 and is fastened. When the tray 30 is pushed inward, the push lock locking device ( 2) the tray 30 is slid toward the outside of the storage space 22 by the spring (1) is released.

상기한 푸쉬록잠금장치(2)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면서도 당해분야에 속한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정도의 구성 및 작용을 갖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작용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ush lock locking device (2) is already well-known technolog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have a configuration and action that can be understood by anyone who understand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러한 트레이(30)의 작용에 의해 리모컨(3)의 수납 및 인출 사용예를 도시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An example of the storage and withdrawal usage of the remote controller 3 by the action of the tray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the illustration.

먼저, 리모컨(3)이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 4a는, 그 수납공간(22)으로부터 리모컨(3)을 꺼내어 사용하는 상태인 것이며, 상기한 리모컨(3)의 사용이 종료된 이후에는 상기한 리모컨(3)을 도 4b의 도시와 같이 그 삽탈공(21)을 통해 수납공간(22)의 내측으로 밀어 넣게 된다.First, FIG. 4A shows a state in which the remote controller 3 is drawn out, which is a state in which the remote controller 3 is taken out from the storage space 22 and used, and after the use of the remote controller 3 is terminated. One remote control 3 is pushed into the storage space 22 through the insertion hole 21 as shown in Figure 4b.

이와 같이 상기한 리모컨(3)을 밀어 넣게 되면 리모컨(3)은 트레이(30)에 안착되면서 그 트레이(30)를 수납공간(22)의 내측으로 밀어 넣게 되는 것이며, 트레이(30) 단부의 스프링(1) 반발력에 의해 상기한 트레이(30)의 삽입력에 제한을 받게 되는 순간, 상기한 트레이(30)의 양측벽 내부로 돌출 형성된 탄력돌기(34)와 상기한 리모컨(3)의 요홈(4)이 서로 맞물리면서 도 4b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리모컨(3)과 트레이(30)의 일차적인 체결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mote controller 3 is pushed in, the remote controller 3 is seated on the tray 30, and the tray 30 is pushed into the storage space 22, and the spring of the end of the tray 30 is pushed. (1) When the insertion force of the tray 30 is restricted by the repulsive force, the elastic protrusions 34 protruding into both side walls of the tray 30 and the grooves of the remote controller 3 4) is engag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4B, the primary fastening state of the remote controller 3 and the tray 30 is achieved.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그 리모컨(3)을 내측으로 더욱 밀어 넣게 되면 그 압압력에 의해 리모컨(3) 및 트레이(30)가 동시에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도 4c의 도시와 같이 트레이(30) 단부에 형성된 걸림구(32)가 푸쉬록잠금장치(2)에 계지되어 고정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pushes the remote controller 3 further inward, the remote controller 3 and the tray 30 are pushed inward at the same time by the pressing force, and the end of the tray 30 as shown in FIG. 4C. The locking hole 32 formed in the lock is locked to the push lock device (2).

따라서, 사용자는 리모컨(3)을 압압하던 힘을 제거하여도 상기한 트레이(30)가 푸쉬록잠금장치(2)에 의해 그 수납공간(22)의 내측에서 위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그 리모컨(3)의 수납상태가 종료되는 것이다.Therefore, even if the user removes the pressing force of the remote controller 3, the tray 30 is maintained in a fixed position inside the storage space 22 by the push lock locking device 2 The storage state of the remote controller 3 is terminated.

이러한 상태에서, 리모컨(3)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노출된 리모컨(3)의 단부를 압압하게 되면, 이에 의해 상기한 푸쉬록잠금장치(2)의 록킹구조가 해제되므로 상기한 트레이(30)는 단부의 스프링(1)에 의해 수납공간(22)의 외측으로 빠르게 밀려나면서 트레이(30) 내측의 리모컨(3)을 외측으로 충분하게 노출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presses the exposed end of the remote controller 3 to use the remote controller 3, the locking structure of the push lock locking device 2 is thereby released, thereby allowing the tray 30 to be released. Is quickly push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space 22 by the spring (1) of the end serves to fully expose the remote control 3 inside the tray 30 to the outside.

그러므로, 도 4d의 도시와 같이 충분히 노출된 리모컨(3)의 단부를 파지한 상태로 그 리모컨(3)을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리모컨(3)의 요홈(4)과 트레이(30)의 탄력돌기(34)가 서로 이탈되면서 상기한 리모컨(3)이 용이하게 인출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remote control 3 is pulled out while holding the end of the remote controller 3 sufficiently exposed as shown in FIG. 4D, the groove 4 of the remote controller 3 and the resilient protrusion of the tray 30 ( As the 34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remote controller 3 is easily drawn out.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사용자는 리모컨(3)의 용이한 수납 및 인출은 물론, 수납 상태에서 가볍게 리모컨의 단부를 눌러주면 충분한 길이로 리모컨(3)이 노출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리모컨의 사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By such an operation, the user can easily use the remote controller because the user can easily store and withdraw the remote controller 3, as well as press the end of the remote controller in a stored state to expose the remote controller 3 to a sufficient length. .

이때, 상기한 트레이(30)는 제한적인 범위내에서만 슬라이딩되어야 하는 것으로, 필요 이상 내측으로 깊이 들어가거나 필요 이상 외측으로 슬라이딩되지 못하도록 상기한 트레이(30)가 내장되어진 수납공간(22)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경계리브(26)를 형성하고, 그 경계리브(26)의 상측에는 일정 깊이의 가이드홈(25)을 형성한 후, 상기한 가이드홈(25)과 대응되는 높이의 트레이(30) 양측벽에 상기한 가이드홈(25)을 따라 슬립되는 일체의 돌출구(33)를 형성함으로써,At this time, the tray 30 is to be slid only within a limited range, so that the tray 30 is embedded in both sides of the storage space 22 in which the tray 30 is embedded so as not to go deeply into the inside or slide outward more than necessary. A boundary rib 26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guide groove 25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above the boundary rib 26, and the tray 30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25 is formed. ) By forming integral protrusions 33 which slide along the guide grooves 25 on both side walls,

상기한 트레이(30)가 그 가이드홈(25)의 내측에서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트레이(30)의 슬라이딩을 방지하면서도, 리모컨(3)이 과도하게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 수납되거나 불필요하게 노출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이다.While the tray 30 is allowed to slide only inside the guide groove 25 to prevent unnecessary sliding of the tray 30, the remote controller 3 is excessively pushed inward to be stored or unnecessaryly exposed. There is no such thing.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리모컨 수납부를 갖는 컴퓨터용 키보드는, 리모컨 수납부에 의해 컴퓨터용 리모컨을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며, 리모컨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푸쉬록잠금장치 및 스프링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트레이로부터 그 리모컨의 간편한 인출을 가능케 하여, 리모컨의 분실에 따른 사용상의 어려움이나 수납 및 보관의 어려움이 없게 되는 것이다.The computer keyboard having the remote control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store the computer remote control more safely and easily by the remote control storage unit, and when using the remote control, sliding by the push lock locking device and the spring By allowing the easy withdrawal of the remote control from the tray, there is no difficulty in use or storage and storage due to the loss of the remote contro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키보드의 분리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puter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키보드의 결합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ation keyboard for a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키보드의 평단면도3 is a plan sectional view of a computer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용 키보드의 리모컨 수납부 작동도로서,4a and 4b is a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housing of the computer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리모컨이 분리된 상태의 수납부 측단면도Figure 4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orage unit with the remote control removed

도 4b는 리모컨과 트레이의 체결상태도를 보인 평단면도Figure 4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astening state diagram of the remote control and the tray

도 4c는 리모컨과 트레이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의 평단면도Figure 4c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the remote control and the tray fully inserted

도 4d는 리모컨을 인출하기 위해 일부가 돌출된 상태의 측단면도Figure 4d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protruded to withdraw the remote control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1 : 스프링 2 : 푸쉬록잠금장치1: spring 2: push lock locking device

3 : 리모컨 4 : 요홈3: remote controller 4: groove

10 : 상판 11,11' : 입력키10: top plate 11,11 ': input key

20 : 하판 21 : 삽탈공20: lower plate 21: shovel hole

22 : 수납공간 23 : 스프링지지대22: storage space 23: spring support

24 : 안치턱 25 : 가이드홈24: inner jaw 25: guide groove

26 : 경계리브26: boundary rib

30 : 트레이 31 : 스프링포켓30: tray 31: spring pocket

32 : 걸림구 33 : 돌출구32: latching hole 33: protrusion

34 : 탄력돌기34: elastic protrusion

Claims (3)

복수개의 입력키(11)(11')를 갖는 상판(10)과, 그 상판(10)의 하측에 결합되어지는 하판(20)으로 구성된 공지의 컴퓨터용 키보드에 있어서,In a known computer keyboard composed of a top plate 10 having a plurality of input keys 11 and 11 'and a bottom plate 20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top plate 10, 상기한 하판(20)의 하부 일측에 삽탈공(21)을 형성하고, 그 삽탈공(21)의 내측에는 슬라이딩 가능한 트레이(30)를 갖는 수납공간(22)을 형성하되,The insertion hole 21 is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plate 20, and the storage space 22 having a slidable tray 30 is formed inside the insertion hole 21, 상기한 수납공간(22)의 내측단에는, 스프링지지대(23)와 안치턱(24)을 각각 돌출 형성하고,On the inner end of the storage space 22, the spring support 23 and the settling jaw 24 are formed to protrude, respectively, 상기한 트레이(30)의 내측단에는, 상기한 스프링지지대(23)와 동축상의 관체상 스프링포켓(31)과, 상기한 안치턱(24)과 동축상의 걸림구(32)를 각각 형성하며,On the inner end of the tray 30, a cylindrical spring pocket 31 coaxial with the spring support 23, and a settled hole 24 and a coaxial latch 32 are formed, respectively, 상기한 스프링지지대(23)와 스프링포켓(31)의 사이에는 스프링(1)을 삽입 형성하고, 상기 안치턱(24)에는 푸쉬록잠금장치(2)를 고정시켜 상기 걸림구(32)가 상기 푸쉬록잠금장치(2)에 체결 및 분리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수납부를 갖는 컴퓨터용 키보드.The spring 1 is inserted between the spring support 23 and the spring pocket 31, and the push lock locking device 2 is fixed to the settlement 24 so that the locking hole 32 is Computer keyboard having a remote control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fastening and locking the locking device (2).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하판(20)의 수납공간(22) 양측에는, 가이드홈(25)을 갖는 경계리브(26)를 형성하고, 상기 트레이(30)의 양측 선단에는 상기 가이드홈(25)을 따라 이동되게 한 돌출구(33)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구(33)에 의해 트레이(30)의 슬라이딩 폭이 제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수납부를 갖는 컴퓨터용 키보드.Protrusion opening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orage space 22 of the lower plate 20 have boundary ribs 26 having guide grooves 25, and both sides of the tray 30 are moved along the guide grooves 25. (33), the computer keyboard having a remote control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width of the tray 30 is limited by the protrusion (33).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트레이(30)의 선단 내부 양측에는 탄력돌기(34)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트레이(30)에 삽입되는 리모컨(3)의 선단 양측면에는 상기 탄력돌기(34)가 삽입 계지되게 한 요홈(4)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한 리모컨(3)이 탄력돌기(34) 및 요홈(4)에 의해 트레이(30)의 내측에서 삽입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수납부를 갖는 컴퓨터용 키보드.Grooves 4 having elastic protrusions 3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ip of the tray 30, respectively, and the elastic protrusions 34 being inserted and locked on both sides of the tip of the remote controller 3 inserted into the tray 30. Forming each, the computer keyboard having a remote control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te control (3)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tray (30) by the resilient projection (34) and the groove (4).
KR20-2005-0020689U 2005-07-15 2005-07-15 Computer keyboard with a receiving space for remote control KR20039715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689U KR200397150Y1 (en) 2005-07-15 2005-07-15 Computer keyboard with a receiving space for remote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689U KR200397150Y1 (en) 2005-07-15 2005-07-15 Computer keyboard with a receiving space for remote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150Y1 true KR200397150Y1 (en) 2005-09-28

Family

ID=43698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689U KR200397150Y1 (en) 2005-07-15 2005-07-15 Computer keyboard with a receiving space for remote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150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600B1 (en) 2006-05-18 2008-03-06 김광운 Computer keyboard having a drawing type receiver for internet phone
KR20150012374A (en) * 2013-07-25 2015-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600B1 (en) 2006-05-18 2008-03-06 김광운 Computer keyboard having a drawing type receiver for internet phone
KR20150012374A (en) * 2013-07-25 2015-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KR102111344B1 (en) * 2013-07-25 2020-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92017B (en) Battery mount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5208116A (en) Battery locking apparatus for portable personal computer
EP1760997B1 (en) Battery locking mechanism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0238181B1 (en) A portable computer
US7796382B1 (en) Stylus ejecting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1858233B1 (en) Battery cover lock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113359951A (en) Electronic device
KR20010111452A (en) Connector for card
CN201162743Y (en) Handle locking structure
US20070076379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employing numeric keypad
US11281311B2 (en) Switch module and wireless mouse including the same
KR200397150Y1 (en) Computer keyboard with a receiving space for remote control
JP5687508B2 (en) Battery pack, battery charger and electronic equipment
JPH11194852A (en) Electronic equipment system
CN214797637U (en) Push type switch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with same
JP507828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0338281Y1 (en) A Device for Locking Battery Pack of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88850A (en) Lock device for battery pack using retractable type
CN219773886U (en) Key for vehicle
JP7579154B2 (en) Electronic key
CN220155689U (en) Stop gear, battery package and mobile air conditioner
KR100661570B1 (en) Device for locking battery of mobile phone
CN213071574U (en) Adapter
KR100636532B1 (en) Battery pack locking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29882B1 (en) Mobile terminal with battery lock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