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789Y1 - 손목받침대 - Google Patents

손목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789Y1
KR200396789Y1 KR20-2005-0017704U KR20050017704U KR200396789Y1 KR 200396789 Y1 KR200396789 Y1 KR 200396789Y1 KR 20050017704 U KR20050017704 U KR 20050017704U KR 200396789 Y1 KR200396789 Y1 KR 2003967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upport body
wrist
roller
wrist 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관영
Original Assignee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정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정관영 filed Critical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7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7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7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7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71Platforms for supporting wri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021/0307Platforms for supporting office equipment and wrists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의 전면 테두리부를 따라 수평 이송되는 손목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손목받침대는 상면 중앙부에 구형 회전부재(52)가 장착되고 전방과 후방에 각각 수평연장부(61)(62)가 구비된 판상의 수평지지몸체(51a)와 수평지지몸체(51a)의 후방에서 하향 절곡된 수직지지몸체(51b)로 이루어진 본체(51)와, 상기 전,후방 수평연장부(61)(62)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롤러(53)와, 상기 수직지지몸체(51b)에 장착되는 배면판(63)과의 사이에 스프링(64)이 개재된 상태로 수직지지봉(55)이 결합되고 상기 수직지지봉(55) 하단 절곡부(55a)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수평연장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롤러(57)와, 상기 수평지지몸체(51a)의 회전부재(52) 상부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손목받침판(60)으로 구성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손목받침대는 수평 이송시 상부롤러의 미끄러짐이 최소화되고 이송 경로 보정에 의한 일정한 수평 이송이 유지되도록 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손목받침대{A wrist support}
본 고안은 책상의 전면 테두리부를 따라 유동하는 손목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상,하 한 쌍의 롤러가 장착된 몸체가 책상의 전면 테두리부에 탄성 결합되어 책상 전면에서 좌우 유동되는 구조로써, 몸체의 상면에 장착된 손목받침판을 통해 손목이 편안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손목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르러 컴퓨터를 이용한 관련 직종이 점차 많아지고 있는 가운데 컴퓨터를 조작하기 위한 키보드, 마우스등과 같은 컴퓨터 주변기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통상적으로 책상의 상판 위에 키보드와 마우스를 비롯한 입력수단을 위치시키고 작업자는 의자에 착석한 상태로 책상의 상부에 놓여있는 입력수단을 사용하여 컴퓨터를 조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책상이나 테이블 위에 놓여진 키보드 및 마우스를 비롯한 입력수단을 조작하여 컴퓨터 작업이 수행될 때는 키보드와 마우스등이 놓여진 높이로 팔을 들어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팔꿈치가 책상의 외측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작업자의 손목 부분만이 책상의 가장자리에 지지되어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마우스의 경우에는 마우스를 파지한 손의 손목이 책상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팔꿈치를 비롯한 팔목을 책상에 고정시킨 채로 손목의 움직임만으로 마우스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마우스 조작 방식은 손목 및 팔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하여 오랫동안 마우스를 사용할 경우에는 손목을 비롯한 팔이 쉽게 피로하게 되고 심할 경우에는 손목 엘보우등의 관절 질환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책상의 상판에 마우스를 파지한 손과 손목에서 연장된 팔꿈치를 올려놓고 오랜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팔을 비롯한 어깨에 많은 피로 하중이 전달되어 어깨를 비롯한 목등에 결림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작업자가 팔 및 팔꿈치를 책상의 외측 하부로 쳐진 상태로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팔목과 팔꿈치 관절등에 더 많은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관절염이나 팔목터널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등의 질환이 발생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자세로 장시간 키보드나 마우스를 이용하게 되면 허리 또는 둔부에도 하중이 집중되면서 신체에 무리가 가게 될 뿐 만 아니라 업무 효율도 감소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책상의 상판이나 가장자리부에 장착되어 작업자의 팔목 또는 손목을 비롯한 팔의 일부분이 지지되는 손목 및 팔목지지대가 다수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종래의 팔 지지장치는 팔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가 책상의 상판에 기본적으로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컴퓨터 작업 중 팔의 위치 변경이나 자세의 변화에 따라 지지대를 이동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아래 도시된 도면을 통해서 종래 대표적인 팔 지지장치의 구조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팔 지지장치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팔 지지장치는 작업자의 팔을 지지하는 받침부(700)와 상기 받침부(700)의 지지와 자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볼-소켓 연결되는 지지부(500)와, 상기 지지부(500)와 수평 결합되어 받침부(700)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에 의해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300)와, 상기 회전부재(300)의 단부측이 힌지 결합되고 나사결합에 의해 책상의 주연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브라켓(100)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때, 상기 브라켓(100)에 구비된 나사조임구(103)를 이용하여 책상의 테두리부에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100)의 후방에 결합되어 책상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회전부재(300) 일단부 상부에 팔이 지지되도록 만곡면으로 이루어진 받침부(700)가 지지부(500)에 의해서 자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팔 지지장치는 브라켓(100)에 의해서 회전부재(300)를 비롯한 받침부(700)가 책상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책상의 테두리부에 고정되도록 한 구조로써, 상기 브라켓(100)과 힌지결합된 회전부재(300)와 상기 회전부재(300) 일단부의 볼-소켓 구조에 의해서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장착된 받침부(700)에 의해서 상기 받침부(700)에 지지되는 팔의 유동 범위를 어느 정도 조절할 수는 있으나, 받침부(700)와 지지부(500)를 포함한 회전부재(300)등이 브라켓(100) 고정에 의해서 책상 상면에서의 이동이 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팔 지지장치는 상기 회전부재(300)와 지지부(500)의 의해서 팔의 이동에 따라 유동 가능하기는 하지만 브라켓(100)에 의해서 책상의 테두리부의 한 지점에 고정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작업자의 위치 이동에 따라 팔의 지지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브라켓(100)의 나사조임구(103)를 풀고 책상으로부터 해체한 후 원하는 위치에 다시 장착되야 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700)를 지지하는 지지부(500)와 회전부재(700)에 의해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손목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질 때 팔을 지지하는 받침부(700)에 과도한 하중이 발생되면 지지부(500)를 비롯한 회전부재(300)가 파손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인은 고안의 명칭을 "수평이동식 손목받침대"(2004.3.31. 출원번호:2004-22183)로 하는 특허를 출원하였는 바, 그 간략한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수평받침대(10)는 하향 만곡면을 이루는 판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양측 만곡부(11a) 저면에 한 쌍의 제1롤러(12)가 장착되는 손목받침판(11)과, 상기 손목받침판(11)의 후방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배면 양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레일(13a)이 돌출 형성되고 중앙부에 전면으로 다수의 걸림턱(14a)이 조밀하게 돌출 형성된 중앙이송구(14)가 구비된 수직지지대(13)와, 상기 수직지지대(13)의 내측면의 중앙이송구(14)상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한 쌍의 제2롤러(17)가 장착된 하부고정판(16)과, 상기 하부고정판(16) 상면 후방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타단부의 절결부(20a)가 중앙이송구(14)의 걸림턱(14a)상에 탄성 지지되는 스프링부재(2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구조의 종래 손목받침대(10)는 책상의 상면과 저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제1롤러(12)와 제2롤러(17)의 구동에 의해서 책상의 테두리부에서 수평 이동되기는 하나, 상기 롤러(11)(12)의 자체적인 회전만으로 손목받침대(10)가 이송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팔꿈치를 중심으로 한 원거리의 이동시 책상의 상면에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손목받침대(10)상에 사용자의 손목이 거치된 상태에서 팔꿈치를 중심으로 한 손목의 이동시 손목의 이동 경로는 팔꿈치를 중심으로 반원형의 형태를 이루게 되며 손목에 밀착된 손목받침대(10)는 손목을 따라 이동되면서 일측의 롤러(11)(12)가 책상의 상판에서 이탈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종래의 손목받침대(1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의도적으로 손목받침대(10)를 책상의 전방으로 미는 느낌으로 이동시켜야만 해야만 하기 때문에 컴퓨터 작업시 자유로운 손목의 수평 이동에 제약이 따를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팔 지지장치 및 손목받침대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책상의 상면과 밀착되는 몸체의 양단부에 한 쌍의 상부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몸체의 후방에서 연장된 롤러지지봉상에 한 쌍의 하부롤러가 결합되어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가 책상 테두리부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손목받침대가 제공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부지지몸체의 전방 양측부의 유동홈상에서 상부롤러가 장착된 롤러지지봉 일단부가 좌우 유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몸체의 유동시 책상의 상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 데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책상의 상면과 전면에 밀착 결합되는 수평지지몸체와 수직지지몸체로 구성된 본체와, 상기 수평지지몸체의 양단부에 장착된 한 쌍의 상부롤러와, 상기 수직지지몸체에 수직 결합된 수직지지봉 절곡단부에 롤러지지봉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롤러와, 상기 수평지지몸체의 상면에 유동구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손목받침판으로 이루어진 손목받침대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수평지지몸체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몸체의 양측부로 연장된 수평연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연장부상에는 롤러지지봉이 결합되기 위한 관통공과 장방형의 유동통공이 구비된다.
상기 수직지지몸체는 수평지지몸체의 후방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책상 테두리부의 전면에 밀착 결합되며 내부에 스프링이 결합된 수직지지봉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봉은 하단부가 수평지지몸체와 평행하게 절곡 형성되고 그 절곡단부에 하부롤러가 결합된 롤러지지봉이 장착된다.
한편, 상기 상부롤러는 수평지지몸체의 전,후방 수평연장부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데, 상부롤러의 중앙부에 내입된 롤러지지봉 양단부가 각 수평연장부에 구비된 유동통공과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부롤러 외주면에서 가해지는 마착력으로 인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롤러지지봉은 전방 수평연장부의 유동통공에 삽입된 일단부측이 장방형의 유동통공내에서 몸체의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유동됨으로써, 상부롤러의 개별적인 회동에 의해 몸체가 항상 책상의 테두리부에 밀착된 상태로 이송되도록 한다.
본 고안 손목받침대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3은 본 고안의 손목받침대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 손목받침대의 손목받침판이 탈거된 정면 사시도이며, 도5는 본 고안 손목받침대의 손목받침판이 탈거된 배면 사시도이고, 도6은 본 고안 손목받침대의 측면도이며, 도7은 본 고안 손목받침대의 배면판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손목받침대(50)는 책상의 테두리부 상면에 밀착되고 상면 중앙에 회전부재(52)가 장착된 수평지지몸체(51a)와 수평지지몸체(51)의 후방에서 하향 절곡되어 책상의 테두리부 전면에 결합되는 수직지지몸체(51b)로 이루어진 본체(51); 상기 수평지지몸체(51a)의 양측부에 롤러지지봉(54)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상부롤러(53); 상기 수직지지몸체(51b) 배면측에 결합된 수직지지봉(55)의 수평 절곡부(55a)상에 롤러지지봉(56)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하부롤러(57); 상기 수평지지몸체(51a)의 회전부재(52) 상단에 장착되는 손목받침판(60)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지지몸체(51a)는 배면이 책상의 상면에 밀착되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전방과 후방에 각각 양측으로 연장된 전,후방 수평연장부(61)(62)가 구비되며, 상기 전,후방 수평연장부(61)(62)상에는 각각 장방형의 유동통공(61a)과 원형의 관통공(62a)이 형성된다.
상기 전,후방 수평연장부(61)(62)의 사이에는 외주면에 합성수지 재질의 상부롤러(53)로 둘러싸인 롤러지지봉(54)이 장착되는 데, 상기 롤러지지봉(54)은 양단부가 전,후방 수평연장부(61)(62)에 구비된 유동통공(61a)과 관통공(62a)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전방 수평연장부(61)의 유동통공(61a)에 결합된 롤러지지봉(54)은 외주면에 가해지는 마찰력에 의하여 자체 회전하는 상부롤러(53)와 동시에 회전되며 유동통공(61a)에 삽입된 롤러지지봉(54)의 일단부측은 유동통공(61a)의 폭만큼 유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상부롤러(53)는 그 외주면이 책상의 상면과 밀착되도록 판형의 수평지지몸체(51a)의 두께와 같거나 다소 큰 지름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평지지몸체(51a)의 이송시 책상 상면과의 마찰력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회전되면서 전방 수평연장부(61)의 결합 단부측이 유동통공(61a) 내에서 본체(51)의 이송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각각 유동된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몸체(51a)의 후방 단부측에서 하향 절곡 형성된 수직지지몸체(51b)는 내측면이 책상 상판의 테두리부 전면에 밀착되고 외측면에 배면판(63)이 장착된 구조로써, 상기 수직지지몸체(51b)와 배면판(63) 사이에는 상단부에 스프링(64)이 탄성 결합된 한 쌍의 수직지지봉(55)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수직지지봉(55)은 그 하단부가 수평지지몸체(51a)와 평행하게 절곡되고 수직지지몸체(51b) 내부의 수직지지봉(55) 상단부에 결합된 스프링(64)에 의해서 탄성적인 상,하 유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수직지지봉(55)의 절곡부(55a)상에는 외주면에 하부롤러(57)가 장착된 롤러지지봉(56)이 결합되며, 이때 상기 하부롤러(57)와 롤러지지봉(56)은 한 쌍의 상부롤러(53)와 평행하게 절곡부(55a)상에 지지됨에 따라 책상의 상판에 장착시 상판의 상면과 저면에 상,하부 롤러(53)(57)가 밀착 결합된다.
한편, 상기 수평지지몸체(51a)의 상면 중앙부에는 베어링 구조의 회전부재(52)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52)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손목이 안착되는 판상의 손목받침판(60)이 결합된다.
상기 손목받침판(60)은 상면에 안착된 사용자의 손목 움직임에 따라 회전부재(52)가 소정의 범위내에서 유동되며 상기 손목받침판(60)은 전체적으로 오목만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 손목받침대의 장착 과정과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작동 구조를 아래 도시된 도8과 도9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음, 도8은 본 고안 손목받침대의 책상 부착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가)는 우측 이동시 사시도이고, (나)는 좌측 이동시 사시도이며, 도9는 본 고안 손목받침대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손목받침대(50)는 수평지지몸체(51a) 및 상부롤러(53)와 평행을 이루도록 하부롤러(57)가 수직지지봉(55)의 하단 절곡부(55a)상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지지봉(55)의 상단부는 수평지지몸체(51a)의 후방에서 하향 절곡된 수직지지몸체(51b) 내부에 스프링(64)이 개재된 상태로 탄성 결합된다.
상기 수평지지몸체(51a)의 양측부에 결합된 상부롤러(53)와 수직지지몸체(51b)의 전방에 수평 결합된 하부롤러(57)는 그 사이로 책상의 상판(P) 테두리부가 삽입될 수 있는 충분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부롤러(53)와 하부롤러(57)의 간격 조정은 수직지지몸체(51b)와 배면판(63) 사이에 스프링(64)이 개재된 상태로 탄성 결합된 한 쌍의 수직지지봉(55)에 수직 하중을 가함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서로 평행한 상부롤러(53)와 하부롤러(57)가 탄성적으로 확개된 상태에서 상판(P)의 테두리부에 본체(51)의 장착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본체(51)는 하부롤러(57)가 지지되는 수직지지봉(55)이 탄성적으로 유동되어 상부롤러(53)와 하부롤러(57)의 외주면이 상판(P)의 전면과 배면상에 밀착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판(P)의 테두리부에 장착된 본 고안의 손목받침대(50)는 테두리부를 따라 좌,우로 이송되며 상기 손목받침대(50)의 유동시에는 상판(P)의 전,후면에 밀착된 각 롤러(53)(57)가 개별적으로 회전되면서 본체(50)가 원할하게 좌,우 이송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판(P)의 상면에 접촉된 상부롤러(53)는 본체(50)의 이송 방향에 따라 전방 수평연장부(61)의 유동통공(61a)에 결합된 롤러지지봉(54)의 전방 단부가 유동됨에 의해서 전,후방 수평연장부(61)(62) 사이에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된다.
즉, 도8의 (가)에서와 같이 상판(P)의 테두리부에 장착된 손목받침대(50)의 본체(51)가 우측으로 이송될 때는 수평지지몸체(53)의 우측 전,후방 수평연장부(61)(62) 사이에 장착된 롤러지지봉(54)의 전방 단부가 유동통공(61a) 내에서 좌측으로 유동됨으로써, 우측 상부롤러(53)가 좌향 경사진 상태로 회전된다.
또한, 반대의 경우로 손목받침대(50)의 본체(51)가 좌측으로 이송될 때는 수평지지몸체(53)의 좌측 전,후방 수평연장부(61)(62) 사이에 장착된 롤러지지봉(54)의 전방 단부가 우측으로 유동되어 좌측 상부롤러(53)는 우향 경사진 상태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좌,우측 상부롤러(53)가 우향 또는 좌향 경사지게 회전되도록 하는 이유는 손목받침대(50)를 일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힘을 가하게 될 때, 하중이 가해진 방향으로 상부롤러(53)가 미끄러져 수평 이송 경로를 벗어난 상태로 이송되어 상판(P)의 테두리부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상부롤러(53)의 유동 경사 각도에 의해서 이송 방향의 상판(P) 내측으로 이송 경로가 보정되어 항상 일정한 수평 이송 경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상부롤러(53)의 유동 경사 각도는 대략 16°~19°정도로 유지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도9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상판(P)의 테두리부에 장착된 손목받침대(50)의 손목받침판(60)에 손목을 올려놓고 손목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서 손목받침대(50)의 본체(51)가 좌,우로 유동되도록 하며, 상기 손목받침판(60)이 수평지지몸체(51a)의 상부에서 그 중앙부에 결합된 회전부재(52)에 의해서 상하좌우로 유동되어 손목의 안락한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손목받침판(60)의 유동 각도는 상하 10°, 좌우 10°정도로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손목받침대는 본체의 양측부에 평행하게 탄성 결합된 한 쌍의 상,하부 롤러에 의해서 상판 테두리부에 밀착 결합됨에 따라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부지지몸체의 양측부에서 상부롤러가 일단부가 좌우 유동됨으로써, 수평 이송시 상부롤러의 미끄러짐이 최소화되고 이송 경로 보정에 의한 일정한 수평 이송이 유지되도록 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 손목받침대의 다른 이점은 수직지지몸체에 내장된 스프링을 이용한 결합 방식이 채택됨으로써 탈부착이 용이하고 크기와 무게를 최소화하여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성이 용이한 데에 있다.
도1은 종래 팔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2는 종래 손목받침대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손목받침대 사시도.
도4는 본 고안 손목받침대의 손목받침판이 탈거된 정면 사시도.
도5는 본 고안 손목받침대의 손목받침판이 탈거된 배면 사시도.
도6은 본 고안 손목받침대의 측면도.
도7은 본 고안 손목받침대의 배면판 분리 사시도.
도8은 본 고안 손목받침대의 책상 부착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가)는 우측 이동시 사시도이고,
(나)는 좌측 이동시 사시도이다.
도9는 본 고안 손목받침대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a. 수평지지몸체 51b. 수직지지몸체
52. 회전부재 53. 상부롤러
54. 롤러지지봉 55. 수직지지봉
57. 하부롤러 60. 손목받침판

Claims (4)

  1. 상면 중앙부에 구형 회전부재(52)가 장착되고 전방과 후방에 각각 수평연장부(61)(62)가 구비된 판상의 수평지지몸체(51a)와 수평지지몸체(51a)의 후방에서 하향 절곡된 수직지지몸체(51b)로 이루어진 본체(51)와, 상기 전,후방 수평연장부(61)(62)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롤러(53)와, 상기 수직지지몸체(51b)에 장착되는 배면판(63)과의 사이에 스프링(64)이 개재된 상태로 수직지지봉(55)이 결합되고 상기 수직지지봉(55) 하단 절곡부(55a)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수평연장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롤러(57)와, 상기 수평지지몸체(51a)의 회전부재(52) 상부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손목받침판(6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몸체(51a)는 전,후방 수평연장부(61)(62)에 각각 장방형의 유동통공(61a)과 관통공(61b)이 구비되어 롤러지지봉(54)의 양측 단부가 관통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53)는 그 유동 경사 각도가 대략 16°내지 19°로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53)와 하부롤러(57)는 우레탄등의 탄성을 보유한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받침대.
KR20-2005-0017704U 2005-06-20 2005-06-20 손목받침대 KR2003967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704U KR200396789Y1 (ko) 2005-06-20 2005-06-20 손목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704U KR200396789Y1 (ko) 2005-06-20 2005-06-20 손목받침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977A Division KR100646831B1 (ko) 2005-06-20 2005-06-20 손목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789Y1 true KR200396789Y1 (ko) 2005-09-27

Family

ID=43697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704U KR200396789Y1 (ko) 2005-06-20 2005-06-20 손목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78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990A (ko) * 2019-11-01 2021-05-1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관절 내시경을 위한 주관절 자세유지장치
KR102408110B1 (ko) * 2022-05-24 2022-06-15 주식회사 메딕프로헬스케어 의료용 다리거치대
KR102443847B1 (ko) * 2022-03-11 2022-09-16 주식회사 메딕프로헬스케어 의료용 다리받침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990A (ko) * 2019-11-01 2021-05-1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관절 내시경을 위한 주관절 자세유지장치
KR102319960B1 (ko) 2019-11-01 2021-11-0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관절 내시경을 위한 주관절 자세유지장치
KR102443847B1 (ko) * 2022-03-11 2022-09-16 주식회사 메딕프로헬스케어 의료용 다리받침대
KR102408110B1 (ko) * 2022-05-24 2022-06-15 주식회사 메딕프로헬스케어 의료용 다리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950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repetitive or maintained stress injuries
US7862111B2 (en) Adjustable work surface
US8191487B2 (en) Wall-mounted accessory holder
US5593128A (en) Lap supported computer mouse surface
US5678800A (en) Computer mouse pad having inclined surfaces
EP0557439A1 (en) Free sliding hand rest
US20120327566A1 (en) Adjustable display stand
US5884974A (en) Ergonomic arm support and bracket
US5597207A (en) Ergonomic arm support
KR200396789Y1 (ko) 손목받침대
WO2016040739A1 (en) Ergonomic keyboard and peripheral positioning system
US6022079A (en) Ergonomic arm support
US6905102B2 (en) Keyboard support bracket structure
KR100646831B1 (ko) 손목받침대
US20060103180A1 (en) Chair arm with stowable table and mouse pad
US7159827B2 (en) Arm support with mouse pad
US20090108641A1 (en) Adjustable armchair tray
WO2007046827A2 (en) Adjustable armchair tray
US5174631A (en) Footrest and stabilizer
US20020023994A1 (en) Computer navigator armrest device
KR20050097127A (ko) 수평 이동식 손목받침대
JP2022542169A (ja) 人間による床レベルのタスク実行を容易にする下半身支持システム
CN205716267U (zh) 一种笔记本电脑支架
US6086024A (en) Ergonomic arm support apparatus
KR200381283Y1 (ko) 자유 위치조절형 마우스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