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696Y1 - 화재의 전이(轉移)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열발포성방염포 - Google Patents

화재의 전이(轉移)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열발포성방염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696Y1
KR200396696Y1 KR20-2005-0018264U KR20050018264U KR200396696Y1 KR 200396696 Y1 KR200396696 Y1 KR 200396696Y1 KR 20050018264 U KR20050018264 U KR 20050018264U KR 200396696 Y1 KR200396696 Y1 KR 2003966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wire
flame retardant
heat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2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성
장윤호
Original Assignee
오재성
장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성, 장윤호 filed Critical 오재성
Priority to KR20-2005-00182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6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6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6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14Powder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5/00Composition of materials for coverings or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Fireproofing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 발생시 용이하게 불이 붙고 또 화재를 전달하는 구실을 하는 전력선 및 통신선을 열발포성방염포로 감아서 화재 발생시 불이 전선으로 옮겨 붙거나 전선의 불이 더 이상 진행하지 못 하도록 하고자 착안된 것이다.
본 고안은 섬유나 금속으로 짠 그물 형태의 포(布)에 소화제(消火劑)와 열발포성방염고분자화합물(熱發泡性防炎高分子化合物)을 혼합한 점질의 방염재를 도포하여 건조시킨 방염포(防炎布)로 전선을 덮거나 감아서 불이 전선으로 옮겨 붙거나 전선에서 발생한 불을 더 이상 성장하지 못하도록 하는 소재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열발포성방염포(熱發泡性防炎布)를 이용하여 전선 더미를 감싸므로서 전선에 불이 접근하면 열발포성방염포(熱發泡性防炎布)가 발포(發泡)하면서 두터운 발포(發布) 탄화층을 형성하여 화재의 전이를 차단하고, 전선에 불이 붙는 경우 방염포(防炎布)는 두터운 탄화층을 형성하여 산소를 차단하여 전선을 질식함으로써 화재가 케이블트레이나 전선의 경로를 따라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화재의 전이(轉移)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열발포성방염포 {Fire Protection Fabric}
열발포성방염포를 이용하여 전선이나 케이블트레이를 감싸므로서 전선주위의 온도가 상승할 시 발포성도료와 분말소화약제가 방염성의 탄화물형태로 발포하면서 단열효과와 산소차단효과를 발휘하여 전선을 질식하므로서 화재의 전이를 차단하기 위하여, 일반섬유, 금속, 석면, 유리섬유 등의 직포나 그물형태의 천에 불소계나 인계 열발포성도료와 분말소화약제를 혼합하여 도포하고 건조하여 만든 열발포성방염포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발생시 원인이 다르더라도 화재의 전이는 전선을 통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전선으로의 전이는 화재를 건물이나 피해대상의 전체로 확산하는 주요 통로가 되고 있다.
소방방재청 자료에 따르면 전기에 의한 화재도 전체화재의 30%가 넘는 현 실정에서 전선의 화재를 차단하는 것은 전기에 의한 화재를 방지하고 또 전선에 의한 화재의 확산을 막는 중요한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물론 난연성 전선이 생산, 시판되고는 있으나, 가격이 비싸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소방법상 소방관계전선에 국한되어 필수로 사용되도록 정함으로써 시공비의 절감을 위해 전력선이나 통신선은 화재에 취약한 비닐이나 폴리에틸렌계 절연선을 사용하는 예가 많다.
이러한 시공에서의 화재예방을 위해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간단하게 시공이 가능한 열발포성방염포를 개발함으로써 사람의 생명과 재산을 수호하는데 일익을 담당코자 한다.
본 고안은 방염 소재로서 섬유나 금속을 이용하여 만든 천(Texture), 그물(Net), 매트(Mat)에 열발포성방염고분자화합물과 소화제(消火劑)를 용도에 따라 혼합하여 도포한 포(布)를 열발포성방염포(熱發泡性防炎布)라 칭하고 이 포를 이용하여 전선을 감싸므로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고안하였다.
도 1은 본 고안품인 열발포성방염포의 형태와 사진을 첨부하였다.
도 2는 열발포성방염포의 단면을 도해한 것으로 열발포성방염고분자화합물에 소화용분말제와 분산제, 착색제등을 혼합하여 방염성섬유에 도포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발포성방염도료로 활용되는 불소계 고분자화합물이나 인계 고분자화합물의 혼합물들은 열에 의해 50배에서 300배까지 부피가 증가하면서 불연성탄화물로 변하고 그로 인해 두터운 단열층을 형성하고 또 화재 시 산소의 차단막 구실을 하는데 착안하였다.
그 실험 예를 도 3에 도시하였다.
종전의 기술은 열발포성고분자화합물에 착색제와 계면활성제등을 혼합하여 방염성도료를 제조하여 목재나 철 등 방염성이 필요한 물질에 도포함으로써 방염의 역할로 활용되어 왔다. 허나 이러한 재료는 비닐이나 폴리에틸렌으로 절연된 일반 전력선이나 통신선의 화재에 대한 취약성에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즉 전선은 도료나 수지로 도포가 어렵기 때문에 이를 개선키 위하여 본 고안품을 개발하게 되었다.
도 4 와 도 5 는 본 고안품인 열발포성방염포를 이용하여 케이블트레이와 전선의 防火방법에 관하여 도시 하였다. 본 방법의 이점은 도료의 직접 도포보다 두꺼운 방염층을 형성할 수 있고, 설치가 용이하며, 전선이나 통신선의 추가나 제거시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전선의 발화를 억제하는 한편 전선을 단열함으로써 전선으로부터 발생하는 발화성 유독가스의 방출을 감소할 수 있다.
종전의 전선 防火기술은 케이블트레이에 별도의 방염처리 없이 케이블트레이 적층시 맨 상단의 트레이는 뚜껑을 덮도록 한 방법과 트레이가 조작실 위를 지나거나 하부에서 수직으로 설치할 시 소화설비를 하도록 한 설치규정이었다.
개별적인 전선에서는 일정거리 이상에서는 전선관을 사용하도록 하고, 지근거리에서는 별도의 방법이나 규정이 없이 처리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전선관의 사용시 화재의 전이는 방지할 수 있다고 보이나 단열이 안되면 전선피복의 열화에 의해 유해가스를 다량 방출 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열발포성방염포의 표면이 열에 의해 탄화하면서 발포하여 불연성단열층을 형성함으로써 화염이 전선으로 옮겨 붙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과 전선으로의 열전도를 막고 전선내부의 불도 질식, 차단하여 더 이상 화재가 확산되지 못하게 함으로서 화재의 확산을 진압하는데 초점을 둔 고안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열발포성방염포의 제작과 그 제작품에 한한다.
다음은 열발포성방염포의 제작에 따른 구성을 보인다.
열발포성방염포는 형태의 유지와 사용의 용이성 등을 위하여 그물형태의 직물로 사용하되 전선을 감쌌을 때 평상시 전선에서 발생하는 저항열을 발산하기 위하여 충분한 통기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그물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허나 그물코의 구멍이 크면 통기성은 좋아지나 열발포시 차단에 지연될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그물코는 2~5mm이내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보다 안전한 방화대책을 위해 불연성 직물을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나. 공해물질의 유발이나 작업상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반섬유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불연성 직물의 예로는 화이버그라스, 석면, 금속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형상과 인장강도의 유지및 작업성의 확보를 위하여 사용되는 섬유에는 열발포성소화약제를 도포하는데 열발포성소화약제는 불소계나 인계 열발포성고분자화합물에 분말소화약제, 안료와 분산제로 활용될 계면활성제를 배합하여 골고루 혼합하여 제조한다.
그 배합비율은 용도에 따라 다르며, 도포량 조절을 위해 분말소화제를 증량할 수 도 있고, 전선외부의 불이 중시될 시 소화제를 감량하거나 제외해도 관계는 없다.
열발포성소화약제를 그물형 직물에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고안품은 완성된다.
사용방법에 관하여는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나 대표적인 방법을 도5, 도 6 에 도식하였다.
지난 10년 간의 소방방재청 통계에 따르면 전기에 의한 화재가 30 %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화재의 직접적인 원인이기도 하지만, 건물이나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전력선이나 통신선은 화재를 전이하는 주요 통로로 작용된다.
특히 다량의 전선이 통과하는 지하공동구나 공장의 칼버트는 터널 형태로 화재 발생 시 화재를 다른 건물이나 건물 내 다른 장소로 화재를 옮기는 구실을 한다.
더우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전력선이나 통신선은 그 피복이 폴리에틸렌계로 화염에 불이 잘 붙고 또 오래타는 특성이 있으며 유독성 가스를 배출하여 진화를 어렵게 한다.
따라서 화염으로부터 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한다면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고, 화재를 보다 용이하게 진화함수 있음은 물론 유독가스의 감소를 통해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그러기 위해서 본 고안품은 전선에서 발생하는 화재는 물론 외부요인에 의한 화재에서도 전선으로 전이되는 화염을 차단함으로서 화재예방이나 확산방지에 그 효과가 크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열발포성방염포의 형태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열발포성방염포의 세부도.
도 3 은 열발포성방염포의 연소실험 예
도 4 는 열발포성방염포의 발포 후 확대사진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여러 가지 전선의 방염처리 방법.
도 6 은 콘크리트 벽면에 지지된 전선의 처리방법 예.

Claims (1)

  1. 섬유나 금속을 이용하여 만든 천(Texture), 그물(Net), 매트(Mat)에 열발포성고분자화합물을 도포하여 제작한 열발포성천(Cloth)이나 열발포성그물(Net)또는 열발포성매트(Mat)를 통칭한 열발포성방염포
KR20-2005-0018264U 2005-06-24 2005-06-24 화재의 전이(轉移)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열발포성방염포 KR2003966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264U KR200396696Y1 (ko) 2005-06-24 2005-06-24 화재의 전이(轉移)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열발포성방염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264U KR200396696Y1 (ko) 2005-06-24 2005-06-24 화재의 전이(轉移)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열발포성방염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696Y1 true KR200396696Y1 (ko) 2005-09-26

Family

ID=4369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264U KR200396696Y1 (ko) 2005-06-24 2005-06-24 화재의 전이(轉移)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열발포성방염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69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973B1 (ko) * 2008-04-16 2009-08-25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방염 케이블 트레이
KR101026256B1 (ko) 2011-01-28 2011-03-31 주식회사 라인엔지니어링 화염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트레이
KR101628297B1 (ko) 2015-12-29 2016-06-08 주식회사 광운기술 돌기형 내화구조체
KR20170035174A (ko)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광운기술 터널 및 시설물 내의 화재확산 방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230130513A (ko) 2022-03-03 2023-09-12 주식회사 시큐웨어 전기자동차소화덮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973B1 (ko) * 2008-04-16 2009-08-25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방염 케이블 트레이
KR101026256B1 (ko) 2011-01-28 2011-03-31 주식회사 라인엔지니어링 화염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트레이
KR20170035174A (ko)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광운기술 터널 및 시설물 내의 화재확산 방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628297B1 (ko) 2015-12-29 2016-06-08 주식회사 광운기술 돌기형 내화구조체
KR20230130513A (ko) 2022-03-03 2023-09-12 주식회사 시큐웨어 전기자동차소화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3821A (en) Fire protective tape
KR100738470B1 (ko)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JP4777877B2 (ja) 耐火発泡体、それを用いた建設資材、開口の遮炎封止システム、および壁に設けられた開口の封止方法
US4189619A (en) Fire protective mastic and fire stop
KR20080049915A (ko)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위한 열발포소화성 방화 격벽
KR200396696Y1 (ko) 화재의 전이(轉移)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열발포성방염포
CN102634351B (zh) 水性无卤柔性防火堵料
JP2009215721A (ja) 耐火断熱シート
KR101618654B1 (ko) 친환경 및 무독성 발포방염제가 코팅된 방염망
US11814837B2 (en) Intumescent grid
CN107323034A (zh) 发泡聚合物的防火系统
USRE32131E (en) Fire protective tape
DE19649749A1 (de) Verfahren zur Ausbildung eines Brandschutzes für brennbare oder hitzegefährdete Bauteile
KR20080003279U (ko) 열발포성 깔개와 전선격벽 구조물이 부착된 케이블방염트레이
EP3106207A1 (en) Covering article for reactively extinguishing a fire
EP0081485A1 (en) Fire protective tape
JPH0244612A (ja) ケーブル用難燃テープ
USRE31428E (en) Fire protective tape
CN104591661B (zh) 一种电缆用矿物填充材料及其制备方法
WO1980002086A1 (en) Fire protective mastic and fire stop
RU53920U1 (ru) Огне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RU53921U1 (ru) Огне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396453B1 (ko) 불연성 저압접속함 뚜껑 및 그 제조방법
CN215596608U (zh) 一种耐火空气传输格栅
KR101764376B1 (ko) 질식소화 방염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