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442Y1 - 공기 살균 정화 및 식품재료 살균소독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살균 정화 및 식품재료 살균소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442Y1
KR200396442Y1 KR20-2005-0013097U KR20050013097U KR200396442Y1 KR 200396442 Y1 KR200396442 Y1 KR 200396442Y1 KR 20050013097 U KR20050013097 U KR 20050013097U KR 200396442 Y1 KR200396442 Y1 KR 2003964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air
case
water pipe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0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태균
Original Assignee
허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태균 filed Critical 허태균
Priority to KR20-2005-00130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4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4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61L2/183Ozone dissolved in a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 살균 정화 및 식품재료 살균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공기정화실이 형성되어 흡기구 및 배기구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공기정화실에서 흡기구 및 배기구의 사이에 설치되는 휀과; 상기 케이스의 공기정화실의 중간에 설치되는 오존산화램프와; 상기 배기구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음이온발생기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유입 통과하는 수관(水管)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단에 설치되어 공기정화실 및 수관의 일단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발생기와; 상기 수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오존발생기로부터 공급되는 오존을 혼합하는 오존 혼합기와;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기적 제어를 하도록 된 콘트롤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을 가지며, 실내공기를 순환시킴에 있어 오존의 공급과 동시에 오존산화램프에 의한 살균 및 소독으로 공기정화와 동시에 공기중에 함유된 유해균을 살균하여 청정한 공기로 순환 공급하도록 함과 동시에 오존수의 공급으로 각종 식품재료나 위생제품들을 편리하게 살균 소독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공기 살균 정화 및 식품재료 살균소독장치{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system for foodstuffs material with the air cleaner}
본 고안은 공기 살균 정화 및 식품재료 살균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의 공기를 살균 및 정화하는 한편 수돗물에 오존을 공급하여 오존수를 제공함으로서 이를 이용한 식품재료의 살균 및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공기 살균 정화 및 식품재료 살균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대부분의 생활이 실내에서 이루어지게 되면서 실내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었고, 특히 실내부 공기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큰 실정이어서 실내 공기를 정화하여 공급하는 공기 정화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공기 정화기는 실내의 공기에 함유된 다양한 불순물을 여과하여 다시 공급하는 단순한 여과장치로서 공기중에 함유된 많은 유해한 세균들을 제거하지는 못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실내에서의 유해균에 의한 감염이나 오염 등으로부터의 피해를 예방하기에는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병원이나 식당 또는 주방 등과 같이 특히 위생에 대한 관리가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되는 장소에 있어서는 살균 및 소독이 주기적으로 필요하게 되는데, 종래의 공기 정화기로서는 이러한 위생환경의 조건에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도 실내 공기를 살균 소독하는 장치가 사용된 바 있으나 이는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됨으로써 고가의 제작비와 설치비가 요구되었을 뿐만 아니라 단순히 오존의 발생에 따른 소독 효과를 얻는 것에 불과하여 소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사용상의 주의를 필요로 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한편,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는 식품 재료를 사용함에 있어서 위생적인 세척을 위하여 각종 세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세척제의 화학적 성분으로 인하여 오히려 물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었으며, 대규모의 식당에서는 오존을 이용한 소독 및 살균을 하도록 된 장치가 있었으나 별도의 시설이 요구되는 등 실용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실내 공기의 정화를 함에 있어서 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유해물질의 분해 제거와 실내 공기의 살균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서 공기의 정화는 물론 인체에 유해한 세균을 제거하여 위생적이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면서, 오존수를 제공하여 각종 식품재료나 식기 등의 살균 세척이 가능하도록 된 공기 살균 정화 및 식품재료 살균소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 공기의 정화 및 오존수의 제공이 이루어지면서 그 구성이 간단하고 사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공기 살균 정화 및 식품재료 살균소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공기정화실이 형성되어 흡기구 및 배기구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공기정화실에서 흡기구 및 배기구의 사이에 설치되는 휀과; 상기 케이스의 공기정화실의 중간에 설치되는 오존산화램프와; 상기 배기구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음이온발생기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유입 통과하는 수관(水管)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단에 설치되어 공기정화실 및 수관의 일단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발생기와; 상기 수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오존발생기로부터 공급되는 오존을 혼합하는 오존 혼합기와;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기적 제어를 하도록 된 콘트롤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오존산화램프는 자외선램프로서 UV-B 중파장 자외선램프(280~320nm;이하,'오존산화램프'라 함)를 의미한다.
오존기체(O₃)는 공기중에 산소가 강에너지 단파장(180~240nm)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결합상태가 불안정한 오존이 생성되기도 하고, 또한 저에너지 중파장(280~320nm)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불안정한 산소분자가 분리되면서 안정된 산소분자로 환원되기도 하는데, 본 고안에서는 오존기체를 발생시키면서 이 오존기체에 저에너지 중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서 더욱 신속하게 반응, 안정된 산소분자로 바뀌도록 하고, 이 때 강력한 하이드로옥시겐(hydro oxygen)의 발생으로 강한 산화ㆍ탈취작용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신속하게 공기중의 유해물질 분해제거는 물론 살균되도록 하므로써, 실내의 공기를 단시간에 살균처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오존산화램프는 최적 용량의 중파장대 UV-B램프를 사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오존기체의 신속한 작용을 유도하도록 된 것이다.
특히, 오존기체는 대기 중에 방출되었을 때, 공기 중의 산소분자와 반응하여 산화가 진행되는 바, 이러한 오존기체의 공기중에서의 산화진행은 상당한 시간을 요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자외선 조사방법에 의해 오존의 산화 진행 과정이 급속히 빠르게 진행되는 광 산화법을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흡기구에는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기구에 설치되는 필터는 일반 프리필터(free filter)와 헤파필터(hefa filter)가 이중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구에 설치되는 음이온발생기에서는 음이온이 발생되어 유해 세균의 활동을 지속적으로 억제, 소멸시켜줌은 물론, 산소공급 활동을 도와 인체에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내부 일단을 나타낸 일부 단면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살균 정화 및 식품재료 살균소독장치는 케이스(1)의 내부가 상·하로 구획되어 상측 내부가 공기정화실(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정화실(2)의 양 측벽에는 흡기구(3)가 형성되어 있고, 이 흡기구(3)에 필터(4)가 설치되어 있다.
흡기구(3)에 설치되는 필터(4)는 흡기되는 실내 공기의 미세먼지 등 오염물질을 0.03미크론까지 99.9% 여과하게 되는데, 이 필터(4)는 프리필터 및 헤파필터의 이중필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정화실(2)은 후방으로부터 상측에 이르기까지 통로(5)를 형성하게 되며 이 통로(5)는 케이스(1)의 전방 상측으로 이어져서 케이스(1)의 전방 상측에 형성되는 배기구(6)와 연결되어 있다.
공기정화실(2)의 통로(5) 일단에는 오존산화램프(8)가 설치되어 있으며, 다시 그 후방에는 휀(9)이 설치되어 흡기구(3)로부터 배기구(6)로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오존산화램프(8)는 UV-B 중파장 자외선램프(280~320nm)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구(6)에는 음이온발생기(10)가 설치되어서 배출되는 공기에 음이온을 함유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1)의 내부 하단의 일측으로는 수관(水管;11)이 유입되어 통과하도록 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수도관이 적용될 수 있고, 가압모터(12)가 설치되어 압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스(1)의 내부 하단의 일측에는 오존발생기(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오존발생기(14)로부터 실리콘호스로 이루어지는 오존 공급관(15,16)이 각각 공기정화실(2)과 수관(11)의 일단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오존이 공기정화실(2)과 수관(11)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수관(11)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오존 혼합기(20)에 의해 수관(11) 내부로 오존이 분사 혼합되어진다.
오존발생기(14)에서 발생되는 오존은 조절기에 의해 농도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도관의 일단이 본원 장치를 통과하면서 오존 혼합기(20)에 의해 오존이 혼합되어 오존수 상태로 공급됨으로서 가정용 또는 업소용의 기존의 수도밸브를 통해 오존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케이스(1)의 전면 중간에는 콘트롤 패널(17)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의 오존산화램프(8)를 비롯하여 휀(9), 음이온발생기(10) 및 오존발생기(14) 등은 모두 콘트롤 패널(1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 콘트롤 패널(17)에 의하여 조작 및 설정될 수 있으며, 이 콘트롤 패널(17)에는 동작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나 오존의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의 전면은 도어(18)로 되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실내에 설치되면서 일측으로는 수도관과 같은 수관이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실내의 공기 정화 및 살균과 더불어 오존수를 공급하게 되는데, 오존발생기(14)는 오존(O₃)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공기정화실(2)과 수관(11)에 공급되는 오존이 서로 농도를 달리 하여 공급할 수 있다.
휀(9)이 동작되면, 실내의 공기가 케이스(1)의 양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흡기구(3)를 통해 공기정화실(2)로 유입되며, 흡기구(3)에 설치된 필터(4)에 의해 공기의 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여과된 상태로 흡입되면서 오존발생기(14)로부터 공급되는 오존과 혼합되고, 동시에 오존산화램프(8)의 작동에 의해 오존의 광 산화 즉, 산소환원작용에 의해 공기층의 오염균 및 오염물질 등이 산화 분해 및 살균되어 맑은 공기로서 휀(9)에 의해 배기구(6)를 통해 다시 실내로 배출되면서 음이온발생기(10)의 작용에 의해 음이온을 함유한 공기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이렇게 실내의 공기는 순환되면서 정화되며 타이머에 의한 일정 시간동안의 동작이나 주기적인 동작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따라, 오염된 공기의 먼지나 불순물의 제거는 물론 오염물질과 유해한 세균마저 살균 처리되고, 음이온을 함유한 맑은 공기가 실내로 순환 공급될 수 있어서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오존발생기(14)의 또 다른 오존 공급관(16)에 의해 공급되는 오존은 수관(11)의 일단으로 연결되어 오존 혼합기(20)에 의해 수관내의 물에 유입 혼합되어 오존수를 형성하게 되며, 이렇게 형성된 오존수는 각종 식품재료나 식기 및 기타의 위생용품을 살균 세척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기존의 수도관의 일단을 본원 장치의 오존 혼합기(20)에 연결함으로써 공급되는 수돗물이 오존화되어 다시 수도관을 통해 가정이나 업소 등의 일반적인 최종 사용처로 공급되도록 하고, 기존의 수도밸브를 통해 오존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공기정화실(2)과 수관(11)에 공급되는 오존은 그 농도를 서로 달리할 수 있는데, 공기정화실(2)에 공급되는 오존은 상대적으로 저농도 오존을, 수관(11)에 공급되는 오존은 상대적으로 고농도 오존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제반 전기적인 장치는 케이스(1) 전면의 콘트롤 패널(17)에서 조작이 이루어지게 되며, 케이스(1)의 전면이 도어(18)로 이루어져서 이 도어(18)를 열고 오존발생기(14)의 조작을 직접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해 실내 공기의 살균 및 소독이 이루어지면서 각종 유해물질 및 유해균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되고 청정한 공기의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특히, 병원(진찰실, 수술실, 병실 등)이나 식당(조리실) 및 음식물 제조공장 등에서는 보다 쾌적하고 위생적인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음은 물론 오존수의 편리한 사용으로 각종 제품의 위생적인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오존산화램프나 휀 등의 배치는 흡기구와 배기구 사이에서 임의대로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용량이나 갯수는 사용하는 실내의 크기에 따라 자유로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실내공기를 순환시킴에 있어 오존의 공급과 동시에 오존산화램프에 의한 살균 및 소독으로 공기정화와 동시에 공기중에 함유된 유해균을 살균하여 청정한 공기로 순환 공급하도록 함과 동시에 오존수의 공급으로 각종 식품재료나 위생제품들을 편리하게 살균 소독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 상기 도 1의 횡단면도
도 3 - 본 고안의 내부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 사시도
도 4 - 오존수 혼합부의 일례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스 2 ; 공기정화실
3 ; 흡기구 4 ; 필터
5 ; 통로 6 ; 배기구
8 ; 오존산화램프 9 ; 휀
10 ; 음이온발생기 11 ; 수관(水管)
12 ; 가압모터 14 ; 오존발생기
17 ; 콘트롤 패널 20 ; 오존 혼합기

Claims (2)

  1. (정정) 내부에 공기정화실이 형성되어 필터가 설치된 흡기구 및 배기구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공기정화실에서 흡기구 및 배기구의 사이에 설치되는 휀과;
    상기 케이스의 공기정화실의 중간에 설치되는 오존산화램프와;
    상기 배기구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음이온발생기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유입 통과하는 수관(水管)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단에 설치되어 공기정화실 및 수관의 일단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발생기와;
    상기 수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오존발생기로부터 공급되는 오존을 혼합하는 오존 혼합기와;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기적 제어를 하도록 된 콘트롤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 정화 및 식품재료 살균소독장치
  2. (삭제)
KR20-2005-0013097U 2005-05-10 2005-05-10 공기 살균 정화 및 식품재료 살균소독장치 KR2003964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097U KR200396442Y1 (ko) 2005-05-10 2005-05-10 공기 살균 정화 및 식품재료 살균소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097U KR200396442Y1 (ko) 2005-05-10 2005-05-10 공기 살균 정화 및 식품재료 살균소독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921A Division KR100576989B1 (ko) 2005-05-10 2005-05-10 공기 살균 정화 및 식품재료 살균소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442Y1 true KR200396442Y1 (ko) 2005-09-22

Family

ID=4369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097U KR200396442Y1 (ko) 2005-05-10 2005-05-10 공기 살균 정화 및 식품재료 살균소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44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130Y1 (ko) * 2018-11-26 2019-05-03 김덕규 휴대용 공기흡입 발판
CN112325551A (zh) * 2020-11-26 2021-02-05 天津瑞宝客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细菌病毒低温消杀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130Y1 (ko) * 2018-11-26 2019-05-03 김덕규 휴대용 공기흡입 발판
CN112325551A (zh) * 2020-11-26 2021-02-05 天津瑞宝客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细菌病毒低温消杀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463B1 (ko) 오존수 제조장치를 구비한 실내 살균소독 및 공기 살균정화기
JP5143387B2 (ja) 流体処理方法及び流体処理装置
US6652816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ozone and anion
US8277740B2 (en) Ozone generator
KR101777209B1 (ko) 실내 공기 중의 포름알데히드 제거 및 살균에 의한 공기 정화 방법 및 공기 정화 장치
CA2905956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focused gas phase application of biocide
KR100576989B1 (ko) 공기 살균 정화 및 식품재료 살균소독장치
KR20110085060A (ko)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
KR20150061810A (ko) Uv led를 구비한 가습 공기청정기
KR200396442Y1 (ko) 공기 살균 정화 및 식품재료 살균소독장치
CN101469895A (zh) 简易多功能室内空气净化器
KR20110004617A (ko)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고효율 탈취ㆍ공기살균 장치 및 그방법
KR100755271B1 (ko) 식품가공 공장용 공기정화 시스템
KR200428872Y1 (ko) 오존수 제조장치를 구비한 실내 살균소독 및 공기 살균정화기
KR200443340Y1 (ko) 이중 팬과 이중 케이스를 구비한 공기살균기
KR100567563B1 (ko) 실 내부 살균소독 및 공기 살균 정화기
KR200373329Y1 (ko) 냉온풍이 발생되는 공기 소독 정화 장치
KR100550088B1 (ko) 광촉매 필터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0357196Y1 (ko) 실 내부 살균소독 및 공기 살균 정화기
KR20110098073A (ko) 공기 청정 및 살균장치
JPH01104262A (ja) オゾン殺菌・脱臭装置
KR20210146543A (ko) 실내 살균 소독 및 공기 살균 조화기
CN202538017U (zh) 立柜式等离子体净化消毒器
CN208704054U (zh) 一种新型的空气消毒器
KR200377807Y1 (ko) 플러그인 타입의 소형 공기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