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094Y1 - A Multipurpose Loader for Farm - Google Patents

A Multipurpose Loader for Fa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094Y1
KR200396094Y1 KR20-2005-0018531U KR20050018531U KR200396094Y1 KR 200396094 Y1 KR200396094 Y1 KR 200396094Y1 KR 20050018531 U KR20050018531 U KR 20050018531U KR 200396094 Y1 KR200396094 Y1 KR 2003960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bucket
body frame
load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53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희창
Original Assignee
한국특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특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특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85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09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0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094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bucket-arms, i.e. a pair of 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 geometry, material of bucket-arms directly pivoted on the frames of tractors or self-propelled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5Wheel lo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로우더는 주행 및 운반 이동이 가능하도록 차체프레임(50)의 좌우측면 하부에 마련된 하부프레임(15)에 의해 트랙링크(11), 아이들러(12), 스프로킷(13), 하부롤러(14)가 설치구성되어 주행모터(16)의 동력을 받아 주행하는 무한궤도형 주행부(10)와; 장비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고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차체프레임(50)의 상단 후방쪽에 각각 서로 간섭이 배치된 컨트롤박스(21), 엔진(22), 유압펌프(23), 연료탱크(24) 및 운전석(25) 등으로 구성된 운전제어부(20)와; 적재물을 적재하여 하역할 수 있도록 차체프레임(50)의 중앙 부위에 배치된 적재함(31)과, 상기 적재함(31)의 저면과 차체프레임(50)의 중앙 부위사이에 설치된 붐실린더(32)의 작동에 의해 덤프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 적재부(30)와; 자가 적재 및 로우더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적재함(31)의 양측면인 차체프레임(50) 상에 서로 유기적으로 각각 설치된 붐(41), 버켓실린더(42), 유압실린더(43)와, 상기 버켓실린더(42)에 지지 연결된 작업판(45) 상에 장착된 버켓(44)으로 구성된 버켓작업부(40)를 갖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loader for enrichment, and the lo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ck link (11), idler (by the lower frame 15 provided on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frame 50 to enable traveling and transport movement) 12), the sprocket 13, the lower roller 14 is installed, the tracked running portion 10 for driving under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16; The control box 21, the engine 22, the hydraulic pump 23, and the fuel tank 24, in which interference is disposed at the upper rear side of the body frame 50 so a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ntire equipment and provide power. And a driving control unit 20 including a driver's seat 25 and the like. Of the loading box 31 dispos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body frame 50 so as to load and unload the load, and the boom cylinder 32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box 31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body frame 50 A loading section 30 configured to have a dump function by operation; The boom 41, the bucket cylinder 42, the hydraulic cylinder 43 and the bucket cylinder (34) are organically installed on each of the body frame 50, which is both sides of the loading box 31 to perform the self-loading and loader functions. 42 has a bucket work portion 40 composed of a bucket 44 mounted on a work plate 45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42.

Description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A Multipurpose Loader for Farm}Multi-functional loader for livestock farming {A Multipurpose Loader for Farm}

본 고안은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농축산가에서 요구되는 로우더 작업은 물론, 본체에 장착된 적재함에 자가 적재를 통한 운반차 기능을 가지면서 무한궤도를 채용하여 경사지에서 작업 및 열악한 지반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loader for agricultural and livestock, and more particularly, a loader working in a concentrated farm, as well as having a carriage function through self-loading in a loading box mounted on the main body, employing an endless track and working on a slop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loader for concentrated livestock, which enables stable work even in the ground environment.

주지하는 바와 같이 로우더(Loader)는 차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버켓 등과 같은 작업장치로 흙, 모래, 자갈과 같은 적재물을 들어올려 이동한 후 트럭의 적재함에 하역하거나 다른 장소로 하역하는 중장비로서, 주로 건설 산업용에 이용되고 있다.As is well known, a loader is a heavy equipment that is a work device such as a bucket provided in front of a vehicle body and lifts and moves a load such as soil, sand, or gravel, and then unloads or unloads a truck into a loading box. It is us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이러한 주지 관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로우더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상기 엔진으로부터 출력을 받아 회전하는 토크 컨버터와, 상기 토크 컨버터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을 감속하여 전후 추진축으로 회전력을 각각 전달하기 위한 감속기와, 유니버셜 조인트를 통해 상기 추진축에 연결되어 각각의 차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디퍼런셜로 구성되어 있는 바, 주로 건설 산업용으로 사용되고 있었다.These well-known general loaders include an engine for generating power, a torque converter rotating with output from the engine, a reducer for reducing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torque converter and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front and rear propulsion shafts, respectively. It is connected to the propulsion shaft through a universal joint and consists of a differential for rotating each axle, which was mainly used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즉, 통상적인 로우더는 주행을 위해 전 후방에 휠 타입의 바퀴를 가지고 있고, 짐을 들어 올리고 하역하기 위한 버켓을 가지고 있는 바, 상기 버켓은 붐에 의해 상하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붐은 유압펌프에 의해 구동되는 붐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That is, a conventional loader has wheel-type wheels at the front and rear for driving, and has a bucket for lifting and unloading the bar, the bucket is to be rotated up and down by the boom, the boom is a hydraulic pump It is to be driven by the operation of the boom cylinder driven by.

이처럼 로우더는 전방에 마련된 버켓을 통해 간단한 굴착 작업이 가능하지만 심도 있는 굴착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주로 건설공사 현장에서 지면에 쌓여진 토사나 골재를 퍼올려 덤프 차량으로 운반 적재하여 줌으로써, 인력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비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Like this, the loader can carry out simple excavation work through the bucket provided at the front, but it is impossible to make deep excavation, so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power by mainly transporting and loading the soil or aggregate accumulated on the ground to the dump vehicle at the construction site. It is being used as an equipment.

이와 같이 기존의 로우더는 주로 대규모 건설 현장에서 효과적인 작업 능률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s such, conventional loaders are known to have an effective work efficiency mainly at large construction sites.

그러나,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소규모 건설 현장 등에서는 오히려 비효율적인 측면이 크기 때문에 잘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actual use, it is not used well in a small construction site because it is rather inefficient.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통상의 로우더는 주로 건설 및 토목용으로 제작되어 그 회전반경이 비교적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농축산가에서 축사와 같은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 가축의 분뇨 처리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loader as described above is mainly made for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because the radius of rotation is relatively large,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operations such as manure treatment of livestock in places where the space is small, such as livestock farms in the concentrated farms There was this.

특히, 현재 우리 나라의 고냉지 농사나 과수원 및 소규모 농축산가 등에서 운반 작업을 필요로 할 때, 대부분 수레 등을 이용하여 인력에 의해 운반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 현실을 고려하면, 기계화된 소형 장비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할 것이다.Particularly, when the transport work is currently required in high cold farming, orchards and small farms in our country, the fact that most of the transport work is carried out by manpower using carts is necessary. I will be desperate.

이와 같은 관점에서 로우더의 응용기술 분야는 다양한 농사일의 힘든 노동을 감당하는 분야로 우리의 농업 현실에 절실한 분야라 할 수 있다.From this point of view, the loader's application technology field is a field that bears the hard labor of various farming jobs and is an urgent field for our agricultural reality.

즉, 상기 로우더가 담당하여 작업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살펴보면, 퇴비의 상차, 농자재의 상차, 비료의 상차, 축사의 축분 제거, 가축 사료의 운반, 객토시 땅고르기 작업 등을 들 수 있다.That is, looking at the example that the loader can work in charge, the compost loading, the loading of agricultural materials, the loading of fertilizers, the removal of livestock feed, the transport of livestock feed, land picking and the like.

그러나, 기존의 로우더는 대부분 크기 자체가 크게 제작되어 비닐하우스나 축사와 같은 다소 협소한 장소에서 장비의 방향전환 등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덤프 차량 등에 적재물을 들어 올려 실어주는 로우더 기능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자가 적재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아 농축산가에서 운반용으로 값비싼 로우더를 구매할 아무런 이유가 없었다.However, the existing loaders are mostly large in siz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hange the direction of equipment in a narrow space such as a vinyl house or a barn, and lifts a load on a dump vehicle as described above. Most states have only loader functions, so there is no reason to buy expensive loaders for transport from the farmers because they do not have self-loading capabilities.

또한, 기존의 로우더는 평지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주로 휠 타입의 바퀴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경사지나 지반 환경이 열악한 지역에서는 그 이동이 제한되어 사용에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loader mainly adopts wheel-type wheels so as to move easily on a flat surface, the movement of the loader is limited in an inclined area or a poor ground environment, and thus has inconvenience in use.

따라서, 우리 나라와 같이 산악지형에 따른 경사지가 많은 현실을 고려할 때, 기존의 휠 타입 로우더의 경우 이동 자체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그 효용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Therefore, when considering the reality of a lot of slopes according to the mountainous terrain, such as our country, the conventional wheel type loaders have to be limited movement itself is very poor in its utility.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농축산가에서 요구되는 로우더 작업은 물론, 차체프레임에 장착된 적재함에 자가 적재를 통한 운반차 기능을 가지면서 무한궤도를 채용하여 경사지에서 작업 및 열악한 지반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로우더를 다용도 활용하여 장비의 기능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loader work required in the concentrated farms, as well as having a carrier function through the self-loading the loading box mounted on the body frame By adopting a caterpillar, it is possible to stably work even in inclined and poor ground environments, and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loader for agricultural and livestock that maximizes the functions of the equipment by utilizing the loader for various purpos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주행 및 운반 이동이 가능하도록 차체프레임의 좌우측면 하단에 마련된 하부프레임에 의해 트랙링크, 아이들러, 스프로킷, 하부롤러가 유기적으로 설치 구성되어 주행모터의 동력을 받아 주행하는 무한궤도형 주행부와; 장비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고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차체프레임의 상단 후방쪽에 각각 서로 간섭없이 배치된 컨트롤박스, 엔진, 유압펌프, 연료탱크 및 운전석 등으로 이루어진 운전제어부와; 적재물을 적재하여 하역할 수 있도록 차체프레임의 중앙 부위에 배치된 적재함을 갖는 적재부와; 자가 적재 및 로우더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적재함의 양측면인 차체프레임 상에 서로 유기적으로 각각 설치된 붐, 유압실린더, 버켓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에 지지 연결된 작업판 상에 장착된 버켓으로 구성된 버켓작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track link, idler, sprocket, the lower roller is organically installed by the lower frame provided on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frame to enable the traveling and transporting movement of the driving motor An endless track travel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d drive the vehicle; An operation control unit including a control box, an engine, a hydraulic pump, a fuel tank, and a driver's seat dispos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body frame without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so a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ntire equipment and provide power; A loading unit having a loading box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body frame to load and unload loads; Including a bucket work unit consisting of a boom, a hydraulic cylinder, a bucket cylinder and each bucket mounted on a work plate connected to the hydraulic cylinder, each organically installed on the body frame, which is both sides of the loading box to perform the self-loading and loader functions It is achieved by providing a multifunctional loader for a concentrated animal, characterized in that.

여기서, 상기 붐은 대략 기역자 형상구조로 제작되어 붐의 양 끝단 및 기역자로 절곡된 외측 부위에 핀 고정을 통해 상대물에 체결 고정할 수 있는 핀체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작업판은 평판 구조를 가지면서 그 전면에 상기 버켓이 장착됨과 동시에, 그 후면의 양측면 상하단에는 각각 붐체결부와 버켓실린더체결부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붐의 일단은 상기 적재함의 양측면인 차체프레임 상에 형성된 붐고정부에 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붐의 타단은 작업판에 마련된 붐체결부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붐의 일측인 하단쪽에는 유압실린더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붐의 타측인 상단쪽에는 버켓실린더가 연결 설치되되; 상기 유압실린더의 일단은 차체프레임에 형성된 유압실린더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타단인 피스톤 부분은 상기 붐의 핀체결부에 고정되며, 상기 버켓실린더의 일단은 상기 붐의 핀체결부에 고정되고, 상기 버켓실린더의 타단인 피스톤 부분은 작업판에 형성된 버켓실린더체결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boom is formed in a roughly shaped machine structure, each of the pin and the fastening portion that can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counterpart through the pin fixed to the outer portion bent by both ends of the boom is formed with a flat plate structure While the bucket is mounted on the front and at the same time, the boom fastening portion and the bucket cylinder fastening portion are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ar side, respectively, so that one end of the boom is formed on the pin of the boom fixing part formed on the body frame which is both sides of the loading box. Is fixed by rotation, the other end of the boom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boom fastening portion provided on the working plate, the hydraulic cylinder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boom is installed, the bucket cylinder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boom The connection is established; One end of the hydraulic cylinder is fixed to the hydraulic cylinder fixing portion formed on the body frame, the other end of the piston por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is fixed to the pin fastening portion of the boom, one end of the bucket cylinder is a pin fastening portion of the boom The piston portion, which is fixed and the other end of the bucket cylinder, is preferably fixed to the bucket cylinder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working plate.

그리고, 상기 적재함의 저면과 차체프레임의 중앙 부위사이에 설치에 붐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적재함의 전면에 개폐 가능한 문짝이 마련됨으로써, 상기 붐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덤프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oom cylinder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box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body frame, and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on the front of the storage box,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dump fun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boom cylinder.

특히, 상기 각 구성부품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황에 따라 체결 분리를 용이하게 할 필요가 체결 부위에는 P자와 R자를 결합한 형태의 형상 구조를 갖는 체결구를 통해 체결함으로써, 상기 체결부위에 끼워서 체결할 경우에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구조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분리가 필요한 경우에 작업자가 외력을 가할 때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articularly, 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it is necessary to facilitate the fastening and disassemb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by fastening the fastening part through a fastener having a shape structure in which the P and R shape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reby fastening to the fastening part.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be firmly fixed through an elastically compressed structure, and to be easily separated when an operator exerts an external force when separation is required.

한편, 상기 작업판에 장착된 버켓을 제거하고, 상기 버켓 설치위치에 적재물을 지게차 형태로 들어 올릴 수 있는 플레이트판을 설치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bucket mounted on the working plate, and to install a plate plate that can lift the load in the form of a forklift at the bucket installation posi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를 보여주는 사진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의 측면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의 배면도이며,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의 주행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의 운전제어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의 적재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의 버켓작업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의 작업부에서 자가 적재하는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예시도 이다.1 is a photographic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loader for a concentrated live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multifunctional loader for live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ar view of the multifunctional loader for live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unning part of the multifunctional loader for a concentrated f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control unit of the multifunctional loader for a livestock f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loading of the multifunctional loader for a concentrated f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cket working part of a multifunctional loader for a concentrated live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xample of use showing a self loading state in a working part of the multifunctional loader for live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는, 크게 주행 및 운반 이동이 가능하도록 차체프레임(50)의 좌우측면 하단에 설치된 하부프레임(15)에 의해 트랙링크(11), 아이들러(12), 스프로킷(13), 하부롤러(14)가 유기적으로 설치 구성된 상태에서 주행모터(16)의 동력을 받아 주행하는 무한궤도형 주행부(10)와, 장비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고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컨트롤박스(21), 엔진(22), 유압펌프(23), 연료탱크(24) 및 운전석(25) 등으로 구성된 운전제어부(20)와, 적재물을 적재하여 하역할 수 있도록 적재함(31)을 갖춤과 동시에 상기 적재함(31) 저면과 차체프레임(50)의 중앙 부위사이에 설치된 붐실린더(32)의 작동에 의해 덤프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 적재부(30)와, 자가 적재 및 로우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적재함(31)의 양측면인 차체프레임(10) 상에 각각 붐(41), 버켓실린더(42), 유압실린더(43)가 서로 유기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버켓실린더(42)에 지지 연결된 작업판(45) 상에 버켓(44)이 설치구성된 버켓작업부(40)를 갖추고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multi-functional loader for enrich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ck link (by the lower frame 15 installed on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frame 50 to enable large driving and transport movement) 11) the crawler-type traveling part 10 which is driven by the driving motor 16 in the state where the idler 12, the sprocket 13, and the lower roller 14 are organically installed and the operation of the whole equipment To load the load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 consisting of a control box 21, the engine 22, the hydraulic pump 23, the fuel tank 24 and the driver's seat 25, etc. to control the power and provide power The loading unit 30 is configured to have a dumping function by operating the boom cylinder 32 install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loading box 31 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body frame 50 at the same time as having the loading box 31 to be unloaded. On both sides of the stacker 31 to perform self loading and loading functions. The boom 41, the bucket cylinder 42, the hydraulic cylinder 43 are organically installed on each of the body frame 10, and the bucket 44 on the work plate 45 supported by the bucket cylinder 42 ) Has a bucket work unit 40 is configured.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상기한 로우더의 각 구성요부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the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lo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프레임(50)은 로우더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을 각각의 설치위치에 장착할 수 있도록 유기적으로 구획된 뼈대 구조로서, 대략 사각 형상을 가지면서 일정 두께를 갖는 평판구조로 되어 있다.First, 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body frame 50 is a skeleton structure that is organically divided so that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loader at each installation position,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t has a flat plate structure having a certain thickness.

물론, 상기 차제프레임(50)은 로우더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을 설치 장착하여 지탱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는 금속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f course, the vehicle frame 50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sufficient strength to install and support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loader.

이때, 상기 차체프레임(50)의 좌우측면 하단에는 주행을 위한 주행부(10)가 설치되고, 상기 차체프레임(50)의 상단 전방에서 중앙부위에 걸쳐 적재함(31)이 장착되어 적재부(30)를 구성하게 되며, 상기 적재부(30)의 후방에 장비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고 동력을 제공하는 운전제어부(20)가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10 for driving is installed on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frame 50, the loading box 31 is mounted over the center portion from the upper front of the body frame 50, the loading unit 30 ) And a driving control unit 2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ntire equipment and providing power to the rear of the loading unit 30.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프레임(50)의 좌우측면 하단에 설치되는 상기 무한궤도형 주행부(10)는, 다수의 트랙슈가 무한궤도형으로 연결된 트랙링크(11)와, 트랙링크(11)의 장력을 조정하며 주행방향을 유도하는 아이들러(12)가 전방에 장착되며 스프로킷(13) 등을 포함하는 주행장치가 후방에 장착되는 하부프레임(15)과, 장비의 중량을 트랙링크(11)를 통하여 지면에 고르게 분포시키도록 하부프레임(15) 하측에 3~4개 정도 장착되는 하부롤러(14)를 갖추고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4, the tracked running portion 10 is installed on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frame 50, the track link 11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rack shoes in an endless track, An idler 12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track link 11 and inducing a driving direction is mounted at the front, and the lower frame 15 at which the traveling device including the sprocket 13 is mounted at the rear, and the weight of the equipment The lower roller 14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frame 15 so as to be evenly distributed on the ground through the track link 11.

이때, 상기 스프로킷(13)은 주행모터(16)에 연결되어 주행 동력을 전달받게 되고, 상기 주행모터(16)는 모터커버(17)에 의해 보호되는 구조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sprocket 13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16 receives the driving power, the driving motor 16 has a structure that is protected by the motor cover (17).

이와 같은 상기 무한궤도형 주행부(10)를 구성하는 트랙링크(11), 아이들러(12), 스프로킷(13), 하부롤러(14) 등의 구성에 따른 유기적인 배치 및 결합관계는 이미 주지 관용되는 보편화된 기술이기 때문에, 그 구체적인 배치 및 결합관계에 관련된 설명은 생략한다.The organic arrangement and coupling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rack link 11, idler 12, sprocket 13, lower roller 14, etc. constituting the crawler type running part 10 is well known. Since it is a generalized technology,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specific arrangement and coupling relationship is omitted.

이처럼 본 고안의 로우더에서 상기와 같은 무한궤도형 주행부(10)를 갖춤에 따라 비탈진 악조건의 지형에서도 주행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경사지 등에서도 종래 휠 타입 로우더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되게 로우더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lo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trackless running unit 10 as described above, so that it is possible to travel even in unfavorable terrain, as well as to work on the slope more stably than the conventional wheel type loaders. Can be done.

물론, 이동 능력 측면에서 휠타입의 주행부를 갖는 기존의 로우더에 비해 빠른 속도로 이동하지 못한다는 단점은 있으나, 우리나라와 같은 소규모 농축산가의 협소한 작업 환경을 갖는 현실 및 경사지가 많은 지형적 특색 등을 고려할 때, 빠른 이동성 보다는 안정적인 작업성을 측면이 더 바람직하고 필요로 한다 할 것이다.Of cours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 not move at a faster speed than the existing loader having a wheel-type driving in terms of mobility, but considering the reality and narrow terrain features with a narrow working environment of small farms such as Korea In this case, the aspect is more desirable and requires stable workability than fast mobility.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로우더의 운전제어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차체프레임의 후방으로 일정높이 돌출된 의자판(25a)에 위에 안치된 운전석(25)에 앉아 장비 전체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운전자가 장비 제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각 부품의 공간 배치를 운전자 중심으로 최적화된 배치구조를 구현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 of the lo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operator sits on the driver's seat 25 is placed on the chair plate 25a protruding a certain height to the rear of the body frame equipment 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whole operation, and realizes the layout structure optimized for the driver's space arrangement for each part so that the operator can control the machine efficiently.

즉, 운전석(25) 전면에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레버(도 1 참조)가 설치되는 컨트롤박스(21)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컨트롤박스(21) 하단부위에 연료탱크(24)가 배치되어 있다.That is, the control box 21 is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driver's seat 25, the operating lever (see Fig. 1) that can be operated by the operator is located, the fuel tank 24 is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rol box 21 have.

물론, 상기 연료탱크(24)에는 작업자가 연료상태를 외부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연료게이지가 마련되어 있다.Of course, the fuel tank 24 is provided with a fuel gauge that allows the operator to visually check the fuel state from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컨트롤박스(21) 내에는 작업자의 조작레버 조작에 따라 유압의 분배를 통해 작업 형태를 조절하는 다양한 밸브(27)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박스(21)는 전면커버(21a)에 의해 감싸져 있으며, 컨트롤박스의 좌우 측면에는 작업자가 이동 중 안정적 자세 확보를 위한 손잡이(28)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box 21 has a variety of valves 27 for adjusting the work form by the distribution of the hydraulic pressur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of the operator, the control box 21 is a front cover (21a) It is wrapped by,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trol box is provided with a handle 28 for ensuring a stable posture while the worker is moving.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21)의 측면에 연료탱크(24)에 연계된 엔진(22)이 배치되고, 상기 엔진(22)의 전방에 유압펌프(23)가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ngine 22 linked to the fuel tank 24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ontrol box 21, the hydraulic pump 23 is disposed in front of the engine 22.

상기 유압펌프(23)는 상기한 붐실린더(32), 버켓실린더(42), 유압실린더(43) 등에 유압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hydraulic pump 23 serves to provide hydraulic pressure to the boom cylinder 32, the bucket cylinder 42, the hydraulic cylinder 43, and the like.

또한, 상기 운전제어부(20)의 일측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26)가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battery 26 for supplying power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

이와 같은 상기 운전제어부(20)의 각 구성 부품들은 상기 차체프레임의 하방 상단면을 덮어주는 덮개판(29)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 is disposed on the cover plate 29 that covers the lower top surface of the body frame.

한편, 기존의 대부분의 로우더에는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단지 버켓으로 적재물을 들어 올린 상태로 운반이 가능한 정도였으나, 본 고안의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적재함을 갖춘 적재부(30)를 마련함으로써, 로우더가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existing loaders are not provided with a space for loading the load was only enough to be transported in the state of lifting the load in the bucket, the multifunctional loader for enrich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By providing a loading unit 30 having a separate stacking box, the loader has a featur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특히, 상기 적재함은(31)는 상기 차체프레임(50)의 상단 전방에서 중앙부위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재함(31)의 저면에는 붐실린더(32)가 차체프레임(50)에 일단이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붐실린더(32)의 작동으로 덤프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particular, the loading box 31 is disposed over the center portion in front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frame 50, one end of the boom cylinder 32 is supported on the body frame 5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box 31. Since it is installed in a state that is configured to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dump fun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boom cylinder (32).

따라서, 상기 적재함(31)을 이용한 다양한 운반작업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덤프 기능을 통한 적재물의 하역이 매우 용이하게 됨에 따라 농축산가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장비의 유용 가치가 높아지게 된다.Therefore, various transport operations using the loading box 31 are possible, as well as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load through the dump function is very easy to use in a concentrated acid value, and the useful value of the equipment is increased.

이때, 상기 적재함(31)이 덤프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적재함(31)의 전면에는 착탈 혹은 힌지 개폐 가능한 문짝(33)이 마련되어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as the stacking box 31 is configured to perform a dump function, the front of the stacking box 31 is provided with a door 33 that can be attached or detached or hinged.

즉, 상기 문짝(33)은 완전히 분리될 수 있음은 물론, 적재함(31)의 양쪽 상단면에 힌지 구동방식으로 설치되어 덤프기능을 통한 하역작업 시 문짝(33)을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문짝(33)이 개방되어 자연스럽게 하역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That is, the door 33 can be completely separated, as well as installed in the hinge driving method on both upper surfaces of the loading box 31, the center of the hinge shaft without completely removing the door 33 during the unloading operation through the dump function The door 33 may be opened so that the unloading can be naturally made.

그리고, 상기 적재함(31)이 덤프 기능을 통해 들려진 후 다시 제자리로 내려와 복원될 때, 순간적으로 차체프레임(50)에 충격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재함(31)의 저면 일측에 충격방지용 러버(34)가 마련되어 있다. Then, when the stacking box 31 is lifted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being lifted through the dumping function and restored, the shock-resistant rubber (1)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tacking box 31 to prevent the impact on the body frame 50. 34).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로우더의 각 구성부품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황에 따라 체결 분리를 용이하게 할 필요가 체결 부위에는 도면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P 자와 R자를 결합한 형태의 체결구(60)를 통해 체결하고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in the process of fastening each component of the lo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facilitate fastening and disassemb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Fastening through the fastener 60 of the combined form.

상기 체결구(60)는 체결부위에 끼워서 체결할 경우에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구조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분리가 필요한 경우에 작업자가 외력을 가할 때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The fastener 60 may be firmly fixed through a structure that is elastically compressed when the fastener 6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art,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when an operator exerts an external force when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fastener 60. .

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로우더에 적용된 버켓작업부(40)는 본 고안의 또 하나의 특징을 보여주는 구성으로, 상기 버켓작업부(40)는 버켓(44)에 의한 자가 적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7, the bucket working portion 40 applied to the loa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showing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cket working portion 40 is a bucket 44 It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loading function.

즉, 상기 버켓작업부(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31)의 양측면인 차체프레임(10) 상에 각각 붐(41), 버켓실린더(42), 유압실린더(43)가 서로 유기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버켓실린더(42)에 지지 연결된 작업판(45) 상에 버켓(44)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바, 상기 붐(41)은 대략 기역자 형상구조로 제작되어 붐의 양 끝단 및 기역자로 절곡된 외측 부위에 핀 고정을 통해 상대물에 체결 고정할 수 있는 핀체결부(41a,41b,412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bucket working portion 40, as described above, the boom 41, the bucket cylinder 42, the hydraulic cylinder 43 is organically on each of the body frame 10, which is both sides of the stacking box 31 And a bucket 44 is installed on the working plate 45 connected to the bucket cylinder 42. The boom 41 is manufactured in a roughly shaped structure so that both ends of the boom are formed. And pin fastening portions (41a, 41b, 412c) that can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counterpart through the pinned to the outer portion bent by the translator is formed,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작업판(45)은 평판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그 전면에 상기 버켓(44)이 장착되게 되고, 그 후면의 양측면 상하단에는 각각 붐체결부(45b)와 버켓실린더체결부(45a)가 마련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working plate 45 has a flat plate structure, and the bucket 44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and the boom fastening portion 45b and the bucket cylinder fastening portion 45a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ear surface thereof. Is provided.

따라서, 상기 붐(41)의 일단은 상기 적재함(31)의 양측면인 차체프레임(50) 상에 형성된 붐고정부(51)에 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붐(41)의 타단(41c)은 작업판(45)에 마련된 붐체결부(45b)에 체결 고정되게 된다.Accordingly, one end of the boom 41 is rotatably fixed to the boom fixing part 51 formed on the body frame 50, which is both sides of the loading box 31, by a pin, and the other end 41c of the boom 41. )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boom fastening portion 45b provided on the working plate 45.

그리고, 상기 붐(41)의 일측인 하단쪽에는 유압실린더(43)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붐(41)의 타측인 상단쪽에는 버켓실린더(42)가 연결 설치되게 된다.The hydraulic cylinder 43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oom 41, and the bucket cylinder 42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oom 41.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43)의 일단은 차체프레임(50)에 형성된 유압실린더고정부(52)에 고정되고, 상기 유압실린더(43)의 타단인 피스톤 부분은 상기 붐(41)의 핀체결부(41a)에 고정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hydraulic cylinder 43 is fixed to the hydraulic cylinder fixing part 52 formed in the vehicle body frame 50, the piston portion of the other end of the hydraulic cylinder 43 is the pin fastening portion of the boom 41 It is fixed to 41a.

또한, 상기 버켓실린더(42)의 일단은 상기 붐(41)의 핀체결부(41b)에 고정되고, 상기 버켓실린더(42)의 타단인 피스톤 부분은 작업판(50)에 형성된 버켓실린더체결부(45a)에 고정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bucket cylinder 42 is fixed to the pin fastening portion 41b of the boom 41, the other end of the bucket cylinder 42 is a bucket cylinder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work plate 50 It is fixed to 45a.

이와 같은 체결구조를 통해 상기 버켓(44)은 통상의 로우더 작업은 물론, 자가 적재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rough such a fastening structure, the bucket 44 can smoothly perform the self loading function as well as the normal loader operation.

즉, 요구되는 작업 형태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43)와, 버켓실린더(42)의 작동 범위를 조절하여 붐(41)의 위치가 결정함과 동시에 버켓의 위치 상태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by adjusting the operating range of the hydraulic cylinder 43 and the bucket cylinder 42 according to the required work type, the position of the boom 41 is determined and the position of the bucket is adjusted.

예를 들어,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로우더에 의해 각각 로우더 작업 및 자가 적재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2의 경우에는 유압실린더(43)의 피스톤이 늘어나면서 붐(41)의 하단을 밀어줌에 따라 붐(41)의 형상 구조에 따라 붐(41)이 하향하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버켓슬린더(42)의 피스톤의 길이 조작을 통해 요구되는 버켓(44)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로우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For example, referring to the process in which the loader operation and the self loading operation are performed by the loa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and 8, respectively, in the case of FIG. 2, the piston of the hydraulic cylinder 43 is stretched to the boom. As the lower end of the 41 is pushed, the boom 41 is lowered according to the shape structure of the boom 41, and in such a state, the worker requests the bucket required by manipulating the length of the piston of the bucket slider 42.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44, the loader operation is performed.

그리고, 도 8의 경우에는 유압실린더(43)의 피스톤을 길이를 줄여 붐(41)의 하단을 당겨 줌에 따라 붐(41)의 형상 구조에 따라 붐(41)이 상향하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버켓슬린더(42)의 피스톤의 길이 조작을 통해 작업판(45)을 당기거나 밀어서 요구되는 버켓(44)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자가 적재작업을 수행하게 된다.In the case of FIG. 8, as the length of the piston of the hydraulic cylinder 43 is shortened and the lower end of the boom 41 is pulled, the boom 41 moves upward according to the shape structure of the boom 41.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bucket 44 required by the operator by pulling or pushing the working plate 45 through the length operation of the piston of the bucket slider 42, the self-loading operation is performed.

즉, 상기 붐(41)이 상향된 상태에서 버켓실린더(42)의 피스톤을 신장시키게 되면, 상기 붐(41)과 체결된 작업판(45)의 붐체결부(45b)를 기준으로 작업판(45)이 회동하게 되면서 버켓(44)이 뒷쪽 방향으로 접히면서 버켓(44) 내의 적재물이 버켓(44)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적재함(31)에 투입 가능한 위치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piston of the bucket cylinder 42 is extended in the state where the boom 41 is raised, the work plate (based on the boom fastening portion 45b of the work plate 45 fastened to the boom 41) is As the 45 is rotated, the bucket 44 is folded backward so that the load in the bucket 44 can be placed in the loading box 31 positioned below the bucket 44.

이와 같은 붐(41)과 버켓(44)의 위치 상태를 조작하는 방법을 통해 본 고안의 로우더는 통상의 로우더에서 수행할 수 있는 로우더 작업 및 자가 적재작업을 병행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e method of manipulating the position of the boom 41 and the bucket 44 as described above, the loa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loader operation and a self loading operation that can be performed in a conventional loader.

특히, 본 고안의 로우더는 아래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제원을 통해 기존의 로우더에 비해 상대적을 작은 크기로 제작됨으로써, 농축산가의 협소한 축사나 비닐하우스 등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In particular, the loa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in a relatively small size compared to the existing loader through the specifications as shown in Table 1 below, it is possible to work in a narrow barn or plastic house of a concentrated farm value.

물론, 표 1에 제시된 본 고안에 따른 로우더의 제원은 우리 나라와 같은 소규모 농축산 형태를 갖는 농축산가 및 고냉지 농사를 짓는 경우, 협소한 작업 공간 및 비탈진 경사지에서 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환경이 많은 점을 고려하여 보다 알맞도록 하기 위해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설계된 제원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specifications of the lo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able 1 take into consideration that there are many environments where work must be carried out in a narrow working space and sloped slopes when building farms and cold farms with small-scale farming types such as Korea. In order to be more suitable, only the specifications designed in accordance with one preferred embodiment, and can be changed as needed, of course.

항목Item 제원Specifications 항목Item 제원Specifications 장비중량Weight 1160㎏1160 kg 주행속도Speed 2.0㎞/h2.0 km / h 평적버켓용량Flat Bucket Capacity 0.08㎥0.08㎥ 엔진engine 2기통4행정가솔린2-cylinder 4-stroke gasoline 산적버켓용량Bulk Bucket Capacity 0.14㎥0.14㎥ 정격출력Rated output 18/3600ps/rpm18 / 3600ps / rpm 최대덤프높이Maximum Dump Height 1090㎜1090 mm 배기량Displacement 570㏄570 yen 전장Battlefield 3365㎜3365 mm 트랙폭Track width 200㎜200 mm 전폭full width 1135㎜1135 mm 텀블러거리Tumbler Distance 1072.5㎜1072.5 mm 전고Height 1730㎜1730 mm 유압탱크용량Hydraulic tank capacity 40ℓ40ℓ 적재용량load capacity 0.5㎥0.5㎥ 연료탱크용량Fuel tank capacity 25ℓ25ℓ 등판능력Climbing ability 30°30 ° 배터리battery 12/24 V/A12/24 V / A

한편, 첨부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로우더는 상기 평판 구조를 갖는 작업판(45)에 버켓(44) 대신에 적재물을 지게차 형태로 들어 올릴 수 있는 플레이트판을 설치함으로써, 지게차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lo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plate plate that can lift the load in the form of a forklift instead of the bucket 44 on the working plate 45 having the flat plate structure, forklift function You can also do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농축산가용 다기능 로우더에 의하면, 농축산가에서 요구되는 퇴비의 상차, 농자재의 상차, 비료의 상차, 축사의 축분 제거, 가축 사료의 운반, 객토시 땅고르기 작업과 같은 통상의 로우더 작업은 물론, 차체프레임에 장착된 적재함에 자가 적재를 통한 운반차 기능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ultifunctional loader for a concentrated acid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ormal load such as a compost required for a concentrated acid value, a load of agricultural materials, a load of fertilizer, a removal of livestock feed, a transportation of livestock feed, and a ground picking operation Of course, the work of the loader, as well as the loading box mounted on the body frame has the effect that it can have a truck function through self-loading.

또한, 주행부를 무한궤도형으로 채용함으로써, 경사지에서 작업 및 열악한 지반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employing the traveling portion in the endless track ty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work stably i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poor ground environment on the slope.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로우더는 과수원 작업, 축사 작업, 비닐하우스 작업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용도로 활용가능하게 됨에 따라 장비의 기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lo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in a variety of fields, such as orchard work, barn work, vinyl house work,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aximize the function of the equipmen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를 보여주는 사진 도면,1 is a photographic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loader for concen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의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the multifunctional loader for a concentrated live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의 배면도,3 is a rear view of the multifunctional loader for a concentrated live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의 주행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unning portion of the multifunctional loader for concentrated live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의 운전제어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control unit of a multifunctional loader for a concentrated live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의 적재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ading portion of the multifunctional loader for concentrated live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의 버켓작업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cket working part of the multifunctional loader for a concentrated livest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의 작업부에서 자가 적재하는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예시도.Figure 8 is an example showing the use of the self-loading operation state in the working part of the multifunctional loader for enrich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주행부 11 : 트랙링크10: driving unit 11: track link

12 : 아이들러 13 : 스프로킷12: idler 13: sprocket

14 : 하부롤러 15 : 하부프레임14: lower roller 15: lower frame

16 : 주행모터 20 : 운전제어부16: driving motor 20: driving control unit

21 : 컨트롤박스 22 : 엔진21: control box 22: engine

23 : 유압펌프 24 : 연료탱크23: hydraulic pump 24: fuel tank

25 : 운전석 26 : 배터리25: driver's seat 26: battery

30 : 적재부 31 : 적재함30: loading part 31: loading box

32 : 붐실린더 33 : 문짝32: boom cylinder 33: door

40 : 버켓작업부 41 : 붐40: bucket working part 41: boom

42 : 붐실린더 43 : 유압실린더42: boom cylinder 43: hydraulic cylinder

44 : 버켓 50 : 차체프레임44: bucket 50: body frame

Claims (5)

주행 및 운반 이동이 가능하도록 차체프레임(50)의 좌우측면 하부에 마련된 하부프레임(15)에 의해 트랙링크(11), 아이들러(12), 스프로킷(13), 하부롤러(14)가 설치구성되어 주행모터(16)의 동력을 받아 주행하는 무한궤도형 주행부(10)와;The track link 11, the idler 12, the sprocket 13, and the lower roller 14 are installed by the lower frame 15 provided on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body frame 50 so as to move and transport. An endless track type driving unit 10 that is driven by the driving motor 16; 장비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고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차체프레임(50)의 상단 후방쪽에 각각 서로 간섭이 배치된 컨트롤박스(21), 엔진(22), 유압펌프(23), 연료탱크(24) 및 운전석(25) 등으로 구성된 운전제어부(20)와;The control box 21, the engine 22, the hydraulic pump 23, and the fuel tank 24, in which interference is disposed at the upper rear side of the body frame 50 so a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ntire equipment and provide power. And a driving control unit 20 including a driver's seat 25 and the like. 적재물을 적재하여 하역할 수 있도록 차체프레임(50)의 중앙 부위에 배치된 적재함(31)을 갖는 적재부(30)와;A loading unit 30 having a loading box 31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body frame 50 so as to load and unload loads; 자가 적재 및 로우더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적재함(31)의 양측면인 차체프레임(50) 상에 서로 유기적으로 각각 설치된 붐(41), 버켓실린더(42), 유압실린더(43)와, 상기 버켓실린더(42)에 지지 연결된 작업판(45) 상에 장착된 버켓(44)으로 구성된 버켓작업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The boom 41, the bucket cylinder 42, the hydraulic cylinder 43 and the bucket cylinder (34) are organically installed on each of the body frame 50, which is both sides of the loading box 31 to perform the self-loading and loader functions. Multifunctional loader for enrich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ucket working portion 40 consisting of a bucket 44 mounted on a working plate 45 is connected to the support (42).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붐(41)은 대략 기역자 형상구조로 제작되어 붐의 양 끝단 및 기역자로 절곡된 외측 부위에 핀 고정을 통해 상대물에 체결 고정할 수 있는 핀체결부(41a,41b,412c)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작업판(45)은 평판 구조를 가지면서 그 전면에 상기 버켓(44)이 장착됨과 동시에, 그 후면의 양측면 상하단에는 각각 붐체결부(45ba)와 버켓실린더체결부(45a)가 마련됨으로써,The boom 41 is formed in a roughly shaped structure, and pin fastening portions 41a, 41b, and 412c, which can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counterpart through pin fixing,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om and bent into the translator,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working plate 45 has a flat plate structure while the bucket 44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and at the same time, the boom fastening portion 45ba and the bucket cylinder fastening portion 45a are provided at bo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ear surface thereof. By 상기 붐(41)의 일단은 상기 적재함(31)의 양측면인 차체프레임(50) 상에 형성된 붐고정부(51)에 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붐(41)의 타단(41c)은 작업판(45)에 마련된 붐체결부(45b)에 체결 고정되며,One end of the boom 41 is rotatably fixed to the boom fixing part 51 formed on the body frame 50, which is both sides of the loading box 31 by a pin, and the other end 41c of the boom 41 is It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boom fastening portion 45b provided on the working plate 45, 상기 붐(41)의 일측인 하단쪽에는 유압실린더(43)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붐(41)의 타측인 상단쪽에는 버켓실린더(42)가 연결 설치되되; 상기 유압실린더(43)의 일단은 차체프레임(50)에 형성된 유압실린더고정부(52)에 고정되고, 상기 유압실린더(43)의 타단인 피스톤 부분은 상기 붐(41)의 핀체결부(41a)에 고정되며, 상기 버켓실린더(42)의 일단은 상기 붐(41)의 핀체결부(41b)에 고정되고, 상기 버켓실린더(42)의 타단인 피스톤 부분은 작업판(50)에 형성된 버켓실린더체결부(45a)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The hydraulic cylinder 43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boom 41, and the bucket cylinder 42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boom 41; One end of the hydraulic cylinder 43 is fixed to the hydraulic cylinder fixing part 52 formed in the body frame 50, the piston portion, the other end of the hydraulic cylinder 43 is the pin fastening portion 41a of the boom 41 ), One end of the bucket cylinder 42 is fixed to the pin fastening portion 41b of the boom 41, the other end of the bucket cylinder 42 is a bucket formed on the work plate 50 Multifunctional loader for enrichment,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cylinder fastening portion (45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적재함(31)의 저면과 차체프레임(50)의 중앙 부위사이에 설치에 붐실린더(32)가 설치되고, 상기 적재함(31)의 전면에 개폐 가능한 문짝(33)이 마련됨으로써, 상기 붐실린더(32)의 작동에 의해 덤프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The boom cylinder 32 is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31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frame 50, and the door 33 is opened and cl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ading box 31, thereby providing the boom cylinder. A multifunctional loader for a concentrated anim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have a dump function by the operation of (32).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구성부품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황에 따라 체결 분리를 용이하게 할 필요가 체결 부위에는 P자와 R자를 결합한 형태의 형상 구조를 갖는 체결구(60)를 통해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it is necessary to facilitate the fastening and disassemb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fastening portion for a concentrated mountain, characterized in that fastening through the fastener 60 having a shape structure of the form of combining P and R Multifunctional load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작업판(45)에 장착된 버켓(44)을 제거하고, 상기 버켓(44) 설치위치에 적재물을 지게차 형태로 들어 올릴 수 있는 플레이트판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용 다기능 로우더.Removing the bucket 44 mounted on the working plate 45, the bucket 44 is installed multifunctional loader for a livestock, characterized in that to install a plate plate for lifting the load in the form of a forklift.
KR20-2005-0018531U 2005-06-27 2005-06-27 A Multipurpose Loader for Farm KR20039609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531U KR200396094Y1 (en) 2005-06-27 2005-06-27 A Multipurpose Loader for Fa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531U KR200396094Y1 (en) 2005-06-27 2005-06-27 A Multipurpose Loader for Fa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094Y1 true KR200396094Y1 (en) 2005-09-15

Family

ID=43697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531U KR200396094Y1 (en) 2005-06-27 2005-06-27 A Multipurpose Loader for Fa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094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823B1 (en) 2010-10-25 2013-04-04 강평구 Transporting device for tractor
KR101713099B1 (en) * 2015-11-02 2017-03-22 화정준 Working Vehicle
CN110406997A (en) * 2019-07-09 2019-11-05 龙工(上海)机械制造有限公司 A kind of compartment coal leveling device for wheel load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823B1 (en) 2010-10-25 2013-04-04 강평구 Transporting device for tractor
KR101713099B1 (en) * 2015-11-02 2017-03-22 화정준 Working Vehicle
CN110406997A (en) * 2019-07-09 2019-11-05 龙工(上海)机械制造有限公司 A kind of compartment coal leveling device for wheel loa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08865B (en) The extendible Operation Van of vehicle frame
US7695236B2 (en) Utility vehicle
US89311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terial distribution
US20120161407A1 (en) Transportation Cart
KR200396094Y1 (en) A Multipurpose Loader for Farm
US20060243465A1 (en) Material handling system
US9470015B2 (en) Multi-purpose grasping attachment
US20090297305A1 (en) Material handling device
US6578924B2 (en) All wheel drive power buggy
CN204750336U (en) Dual purpose excavator with clean function
US7527118B2 (en) Moveable additional axle assembly for attachment to skid steer loader
US5636699A (en) Mobile hauling vehicle
US20010040405A1 (en) All wheel drive power buggy
CN105270494A (en) Multi-functional crawler-type mountain transport vehicle
CN210127505U (en) Multifunctional special vehicle
JP5110528B2 (en) Self-propelled maneuvering spreader
KR200167202Y1 (en) Skid steer loader equipped with loading box
CN205636841U (en) Crawler -type lifting machine excavator all -in -one
USH1910H (en) Rubber tired carrier
AU728424B2 (en) Minature, portable, self-contained power machine
CN217598721U (en) Mining multifunctional crawler carrier
CN214355336U (en) Chassis structure of agricultural machinery equipment
KR20000000033A (en) multi-purposed vehicle in farming
KR20230111800A (en) Electric work vehicle for transport
CN201305048Y (en) Foldable crawler-type chassis an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