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651Y1 - Radiating bouquet - Google Patents

Radiating bouqu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651Y1
KR200395651Y1 KR20-2005-0019241U KR20050019241U KR200395651Y1 KR 200395651 Y1 KR200395651 Y1 KR 200395651Y1 KR 20050019241 U KR20050019241 U KR 20050019241U KR 200395651 Y1 KR200395651 Y1 KR 2003956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bouquet
accessory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24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경석
Original Assignee
한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석 filed Critical 한경석
Priority to KR20-2005-00192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65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6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651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01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functions
    • A41G1/005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functions luminous or luminescen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15Illuminated or sound-producing jewell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부케는 꽃(20)이 삽입 고정되는 연성몸체(30)와 이를 수용하는 캡(40) 및 캡(40)의 하단에 구성된 손잡이(50)로 이루어져 있되, 손잡이(50)에 구비된 스위치(55)의 조작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70); 상기 발광소자(70) 주변에 고정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악세사리(60); 지지력을 가진 직립부재와 도선으로 구성되어 연성몸체(30)에 삽입 고정되되, 상부에 상기 악세사리(60) 및 도선과 연결된 상기 발광소자(70)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스위치(55) 및 손잡이(50)에 구비되어 있는 배터리(100) 및 구동회로(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지지대(8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ght emitting bouqu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oft body 30 to which the flowers 20 are inserted and fixed, a cap 40 and a handle 50 configured at the bottom of the cap 40, and the handle 50.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evice 70 which receives light by operating the provided switch 55; At least one accessory (60) fixedly positioned around the light emitting device (70); It is composed of an upright member having a supporting force and a conductive wire, which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flexible body 30, and the accessory 60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70 connected to the conductive wire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witch 55. And a support (8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100) and the driving circuit (90) provided in the handle (50).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부케에 따르면, 발광소자를 이벤트 진행에 따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어 이벤트의 극대화를 꾀할 수가 있으며 발광소자와 악세사리가 편리하면서 안전하게 지지대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하여 악세사리를 편리하게 뽑아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bouqu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controlled remotely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event, thereby maximizing the event,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accessories are conveniently attached to the support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pport to conveniently pull out the accessories. Can have the effect.

Description

발광 부케{RADIATING BOUQUET}Luminescent Bouquet {RADIATING BOUQUET}

본 고안은 발광 부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부케에 발광소자 및 악세사리를 기술적으로 구성하여 결혼식 등의 행사에서 보다 극대화된 이벤트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부케의 재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발광 부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emitting bouqu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emitting bouquet that can have a more maximized event effect at events such as weddings by technically configur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accessories in the bouquet, and to increase the recyclability of the bouquet will be.

부케는 일반적으로 결혼식에서 신부가 식장 입장 시부터 양 손에 들고 있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 꽃다발로서, 꽃 등의 식물로서 다양한 디자인을 구비하여 표현되는 장식물의 일종이다.A bouquet is a bouquet having a symbolic meaning that a bride holds in both hands at the wedding ceremony at the wedding ceremony, and is a kind of ornament represented with various designs as a plant such as a flower.

현재 사용되는 부케는 일반 꽃다발에 비해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활용도가 극히 낮은데 주로 식이 끝나고 나면 버려지거나 조만간 결혼을 앞둔 신부 친구에게 전달되는 정도로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The bouquets used today are extremely low in spite of their high price compared to the general bouquets, but they are often discarded after the ceremony and delivered to the bride friend who is about to get married soon.

또한, 부케를 결혼을 앞 둔 신부 친구에게 던져 신부 친구의 축복 역시 빌어주는 의식이 성행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보다 이러한 이벤트를 부케 자체를 통해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이 특별히 모색되지 않았다.In addition, the bouquet was not sought specifically to maximize the event through the bouquet itself in the reality that the ritual of blessing the bride friend is also thrown to the bride friend who is about to marry.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부케의 재활용을 높이기 위해 부케 내에 악세사리를 장착하여 예식이 끝난 뒤에도 악세사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is to be able to use the accessories after the ceremony by mounting the accessories in the bouquet to increase the recycling of the bouquet.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부케에 발광소자를 구비하여 이벤트 효과를 극대화하고, 원격으로 작동도 가능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figuration that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element in the bouquet to maximize the event effect,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remotely.

본 고안의 추가 목적은 발광소자와 악세사리가 지지대에 부착되어 있되, 편리하면서 안전하게 지지되어 있을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accessories are attached to the support, but can be conveniently and safely support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부케는 꽃(20)이 삽입 고정되는 연성몸체(30)와 이를 수용하는 캡(40) 및 캡(40)의 하단에 구성된 손잡이(50)로 이루어져 있되, 손잡이(50)에 구비된 스위치(55)의 조작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70); 상기 발광소자(70)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악세사리(60); 지지력을 가진 직립부재와 도선으로 구성되어 연성몸체(30)에 삽입 고정되되, 상부에 상기 악세사리(60) 및 도선과 연결된 상기 발광소자(70)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스위치(55) 및 손잡이(50)에 구비되어 있는 배터리(100) 및 구동회로(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지지대(8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ight-emitting bouqu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flexible body 30 is inserted into the flower 20 and the cap 40 and the handle 50 configured at the bottom of the cap 40 to accommodate the sam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evice 70 which is light-emitted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55 provided in the handle 50; At least one accessory (60) positioned around the light emitting device (70); It is composed of an upright member having a supporting force and a conductive wire, which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flexible body 30, and the accessory 60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70 connected to the conductive wire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witch 55. And a support (8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100) and the driving circuit (90) provided in the handle (50).

또한, 상기 지지대(80)의 상단은, 상기 악세사리(60)가 고정되는 제 1브랜치(81)와, 도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발광소자(70)가 고정되는 제 2브랜치(84)로 분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80 is composed of a first branch 81 to which the accessory 60 is fixed, and a second branch 84 to which the light emitting device 70 is fixed by being made of a conductive wire. It is characterized by.

더불어, 상기 구동회로(90)는 안테나(91)와 RF 송수신기(92) 및 발광소자 구동부(93)를 구비하여, 원격으로 상기 발광소자(70)의 점멸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circuit 90 may include an antenna 91, an RF transceiver 92, and a light emitting device driver 93, and may remotely control the blinking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70.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of the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부케(10)의 대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부케(10)에 꽃(20)과 지지대(80)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light emitting bouqu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ower 20 and the support 80 is coupled to the light emitting bouqu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부케(10)는 일반 부케와 마찬가지로 유연한 성질을 가진 다공성 발포재로 이루어진 연성몸체(30) 내에 여러 종류로 표현, 디자인될 수 있는 꽃(20)이 줄기를 통해 삽입 고정되고 이러한 연성몸체(30)는 흡습 성질을 지녀 일정 수분을 함유하도록 하여 꽃(20)의 신선함을 유지할 수가 있으며, 캡(40)은 이 연성몸체(30)를 내부에 수용하여 하단에 위치한 손잡이(50)와 결합되어 있고 다양한 패브릭 소재를 통해 손잡이(50)와 캡(40) 주위를 감싸 장식적인 측면을 보강할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light-emitting bouqu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wer 20, which can be expressed in various types in the flexible body 30 made of a porous foam material having a flexible property similar to the general bouquet, stems Inserted and fixed through the flexible body 30 has a hygroscopic property to contain a certain moisture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the flower 20, the cap 40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body 30 to the bottom It is coupled to the handle 50 located in and wrapped around the handle 50 and the cap 40 through a variety of fabric materials can be reinforced decorative side.

지지대(80)는 꽃(20)과 마찬가지로 연성몸체(30) 내에 삽입 고정되고 꽃(30) 사이에 다수 구성되어 있되 발광소자(7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도선 및 직립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철심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직립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부에는 발광소자(70)와 악세사리(60)가 핀과 같은 고정부재 내지 악세사리 자체에 부착되어있는 핀, 또는 케이프와 같은 접착 수단에 의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하부에는 손잡이(50)에 위치한 스위치(55) 및 구동회로(90), 배터리(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support 80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flexible body 30 like the flower 20,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lowers 30, but the core for maintaining power and upright state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70. It is composed of an upright member made of the same material, the upper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70 and the accessories 60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by a fixing member such as a pin or the attachment itself, such as a pin, or an adhesive means such as a cape. It is supported so that the lower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 55, the drive circuit 90, the battery 100 located on the handle 50.

발광소자(70)는 LED 내지 소형전구 등으로 이루어진 발광체로서, 손잡이(50)의 일 측에 구성되어 누름 방식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위치(55)를 통해 발광소자(70)의 ON/OFF이 가능하다.The light emitting device 70 is a light emitting device consisting of LED to small light bulbs, etc.,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handle 50, the ON / OFF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70 is possible through the switch 55 driven by the pressing method. .

발광소자(70)의 전원공급은 손잡이 하단에 장착된 배터리(100)에 의해 이루어지며, 구동회로(90)는 스위치(55)와 연계되어 발광소자(70)의 작동 및 점멸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70)는 구동회로(90)의 제어 구성을 통해 점멸이 반복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The power supply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70 is made by the battery 100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handle, the driving circuit 90 may be connected to the switch 55 to control the operation and blinking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70. .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70 may take a manner in which flashing is repeated through a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circuit 90.

악세사리(60)는 발광소자(70) 주변의 지지대(80) 상부에 고정되어 인조보석 및 큐빅과 같이 빛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장식물로서, 발광소자(70)가 발광될 때 그 빛을 수용하여 반짝임을 강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부케(10)가 발광되면서 주변의 악세사리(60)가 더욱 반짝거려 부케(10) 자체의 화려함을 보다 강조하여 예식장의 흥겨운 분위기를 한층 고조시킬 수 있다.The accessory 60 is a decoration that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80 around the light emitting device 70 and exhibits a sensitive reaction to light such as artificial gems and cubic. When the light emitting device 70 emits light, the light is received and sparkles. Can be emphasized. As a result, the accessory 10 is more sparkling as the bouquet 10 emits light, thereby further emphasizing the splendor of the bouquet 10 itself,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exciting atmosphere of the wedding ceremony.

악세사리(60)는 지지대(80)와 결합되기 위해 제공된 핀을 해제하거나 악세사리(60) 자체에 부착되어 있는 핀 등의 고정수단을 잡아당김으로써 지지대(80)와 분리가 가능하며, 부케를 받는 이가 부케(10)와 분리된 악세사리(60)를 장식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Accessories 60 can be separated from the support 80 by releasing the pin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support 80 or by pulling the fixing means such as pins attached to the accessory 60 itself, the tooth receiving the bouquet The accessory 60 separated from the bouquet 10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as a decoration.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부케(10)에서 지지대(80)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 and 4 is a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80 in the light emitting buk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악세사리(60)는 외부 핀 내지 자체 핀에 의하여 지지대(80)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나 보다 효율적인 결합 방식을 제공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지지대(80)의 상부는 제 1브랜치(81) 및 제 2브랜치(84)로 분리 구성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ccessory 60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80 by external pins or their own pins, but in order to provide a more efficient coupling method, as shown in FIG. The first branch 81 and the second branch 84 are separated.

제 1브랜치(81)는 악세사리(60)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기 위한 곳으로 상단부 및 측부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82)을 구비하고 있어 이 고정홀(82)에 여러 악세사리(60)를 끼워 넣을 수도 있고, 악세사리(60) 자체의 핀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The first branch 81 is a place where the accessory 60 is detachably mounted. The first branch 81 includes at least one fixing hole 82 at the upper end and the side thereof, so that various accessories 60 can b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82. It may be inserted, or may be fixed by inserting the pin of the accessory (60) itself.

제 2브랜치(84)는 상단에 구성된 발광소자(70)와 전기적으로 유통하도록 도선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second branch 84 is composed of conductive wires so as to be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light emitting element 70 formed at the upper end.

이러한 제 1 및 제 2 브랜치(81,84)는 중앙부에서는 서로 밀착 구성되어 있다가 상단에서 분리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nd second branches 81 and 84 are preferab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center and have a form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또한, 제 2 브랜치(84)는 제 1브랜치(81)보다 약간 하방에서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제 2브랜치(84)가 직립 구성되어 발광소자(70)의 빛이 단순히 상 방향으로 직립 조사되는 것보다 악세사리(60)의 조사면적을 넓힐 수 있을 뿐 아니라 발광소자(70)가 악세사리(60)의 하단부를 조사하여 악세사리(60)가 보다 은은하게 반짝이게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second branch 84 is configured to be slightly inclined below the first branch 81, which is the second branch 84 is configured upright so that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70 is simply irradiated upright. This is to not only widen the irradiation area of the accessory 60 but also to make the accessory 60 more shiny by irradiating the lower end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70.

도 4를 참조하면, 제 1브랜치(81)는 상단이 개방된 삽입홀(83)을 구비한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측부에는 도 3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고정홀(82)을 구비하고 있다. 제 1브랜치(81)의 삽입홀(83)에는 악세사리(60)가 역시 결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지지대(80)의 상단, 즉 삽입홀(83)을 통해 결합되는 악세사리(60)는 추가로 구비되는 결합부재(85) 상단에 부착되어 있고 이 결합부재(85)는삽입홀(83)을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제 1브랜치(8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 결합부재(85)의 측부에는 상기 고정홀(82)과 대응되는 관통홀(86)이 구비되어 고정홀(82)로 결합되는 악세사리(60)의 핀과 같은 일 측부가 관통홀(82)을 관통하여 결합부재(85)와 결합이 된다. 결합부재(85)는 상단의 직경이 삽입홀(83)의 직경보다 넓어 제 1브랜치(81) 하방으로 하강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불어, 제 1브랜치(81) 형상 자체도 상광하협(上鑛下峽)하게 구성되어 결합부재(85)가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first branch 81 has a hollow structure having an insertion hole 83 having an open upper end, and has a fixing hole 82 at the side thereof as in the configuration of FIG. 3. An accessory 60 may also be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83 of the first branch 81. Specifically, the accessory 60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80, that is, through the insertion hole 83, is additionally provided.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member 85 is provided, the coupling member 85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branch 81 detachably through the insertion hole 83, the side of the coupling member 85 The through hole 86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82 is provided, and one side portion such as a pin of the accessory 60 coupled to the fixing hole 82 penetrates the through hole 82 and the coupling member 85. Are combined. Coupling member 85 is configure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is wid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83 does not descend below the first branch (81).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first branch 81 itself is also configured to be upper and lower (上 鑛 下 되어) so that the coupling member 85 can be fixed.

이러한 구성으로, 악세사리(60)가 쉽사리 이탈되지 않고 지지대(80)에 적절히 부착되어 있을 수가 있으며, 지지대(80)의 측부에 장착된 악세사리(60)를 먼저 제거한 뒤 결합부재(85)를 제 1브랜치(81) 내에서 빼어 낸 뒤 결합부재(85) 상부의 악세사리(60)를 분리함으로 일일이 꽃(20) 사이에 위치한 지지대(80)에서 하나씩 악세사리(60)를 떼어 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가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accessory 60 may be properly attached to the support 80 without being easily detached, and the accessory 60 is first removed after the accessory 60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80. By removing the accessories (60)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85 after pulling out in the branch 81 can reduce the hassle of having to remove the accessories (60) one by one from the support 80 located between the flowers (20). have.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부케의 RF 송수신기(92)를 구비한 구동회로(90)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5 shows a block diagram of a drive circuit 90 having an RF transceiver 92 of a light emitting bouqu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설명한 대로, 발광소자(70)는 사용자의 스위치(55) 작동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ON/OFF이 될 수도 있으나, OFF 상태라 하더라도 별도의 신호에 의하여 발광소자(70)가 발광되는 구성 또는 ON 상태에서 곧바로 발광소자(70)의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별도의 신호처리에 의하여 발광되는 구성을 취할 수가 있는데, 이러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은 구동회로(90) 상의 RF 송수신기(92)에 의하여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light emitting device 70 may be mechanically turned on / off by the user's switch 55 operation, but the light emitting device 70 may emit light according to a separate signal even if it is turned off or on.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device 70 may not be driven immediately, but may be configured to emit light by a separate signal processing. The configuration for providing such a signal may be performed by the RF transceiver 92 on the driving circuit 90.

더불어, 신부가 파지하고 있는 부케(10)는 예식 후에 조만간 결혼을 앞둔 신부의 친구 중 한 사람에게 던져져 그 부케(10)를 받은 사람의 축복을 기리는 의식이 결혼식에서 흔히 거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의식에 대한 극대화된 이벤트를 마련하기 위해 미리 부케(10)를 받는 이에게 별도의 RF 송수신기를 장착하게 한 다음, 신부의 손에서 부케(10)가 떨어져 부케(10)를 받는 이에게 이동하는 순간, 부케(10)를 받는 이의 1m 반경 내에 이르렀을 때 구동회로(90)가 부케를 받은 이에 장착된 RF 송수신기와 교류하는 과정에서 이 거리를 인식하여 발광소자(70)를 작동하는 방법을 취한다면 부케(10)를 던지고 받는 의식이 한층 흥미로워 질 것이다.In addition, the bouquet (10) held by the bride is thrown to one of the bride's friends who are about to get married soon after the ceremony, and the ceremony is often celebrated at the wedding to honor the blessing of the person who received the bouquet (10). In order to arrange an event for the maximum, the person receiving the bouquet 10 may be equipped with a separate RF transceiver, and then the bouquet 10 is removed from the bride's hand and moves to the person receiving the bouquet 10. (10) When the driving circuit 90 recognizes this distance in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the RF transceiver mounted on the receiver when it reaches within a radius of 1m of the recipient receives the method of operat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70, the bouquet ( 10) Throwing and receiving rituals will be more interesting.

이를 위해, 구동회로(90)는 소정 크기의 PCB 상에 안테나(91), 송신부 및 수신부를 구비한 RF 송수신기(92) 및 발광소자 구동부(93)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To this end, the driving circuit 9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RF transceiver 92 and a light emitting device driver 93 having an antenna 91,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on a PCB of a predetermined size.

추가적으로, 부케(10)를 받은 이에게도 상기 구동회로(90)의 RF 송수신기(92)와 신호교류를 이룰 수 있도록 별도의 RF 송수신기가 구비되어야 한다.In addition, a person receiving the bouquet 10 should also be provided with a separate RF transceiver to achieve signal exchange with the RF transceiver 92 of the driving circuit 90.

부케(10)의 구성상 안테나(91)의 크기가 소규모로 제한되기는 하나 근거리,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m 반경 상에서 작동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저주파로서도 충분히 안테나(91)에서 충분히 신호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는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Although the antenna 91 is limited in size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bouquet 10, a sufficient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at the antenna 91 can be performed sufficiently even at a low frequency for the purpose of operating at a short distance, preferably at a radius of 1 to 2 m. Can achieve that goal.

다양한 주파수 채널을 통해 특정 주파수에만 반응하는 장치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나, 소형화 및 가격의 저렴성을 위해 단일 주파수 채널만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테나는 구동회로(90) 기판 상에 이루어진 금속패턴의 패치 안테나(Patch Antenna)(91)로 구성되며 구동회로(90) 상의 이러한 안테나(91)는 구동회로(90)가 위치되는 손잡이(55)의 해당 외면부위에 별도로 관통된 소형홈(미도시)을 통해 외부와 곧바로 접하여 RF 신호의 원활한 송수신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별도의 홈 없이 손잡이(55) 내에 내장될 수도 있다. 구동회로(90)는 이러한 RF 송수신기(92) 뿐 아니라 발광소자 구동부(93)도 구비하여 RF 송수신기(92)에서의 수신부의 수신신호를 발광소자(70)의 작동신호로 변환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figuration of a device that responds only to a specific frequency through various frequency channels, but only a single frequency channel is preferably used for miniaturization and low cost. The antenna is composed of a patch antenna 91 of a metal pattern formed on a substrate of the driving circuit 90. The antenna 91 of the driving circuit 90 has a handle 55 in which the driving circuit 90 is located. In addition, through a small groove (not shown) separately penetrated to the corresponding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outside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outside to perform a smo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RF signal, it may be embedded in the handle 55 without a separate groove. The driving circuit 90 includes not only the RF transceiver 92 but also the light emitting device driver 93 so that the reception signal of the receiver of the RF transceiver 92 can be converted into an operation signal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70.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부케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고안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bouqu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represent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부케에 따르면 부케 내에 악세사리를 장착하여 예식이 끝난 뒤에도 악세사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부케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부케에 발광소자를 구비하여 이벤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light-emitting bouqu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he accessories in the bouquet to be able to use the accessories after the ceremony, can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bouquet, by providing a light emitting element in the bouquet to maximize the event effect It has the advantage to do it.

또한, 발광소자를 이벤트 진행에 따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어 이벤트의 극대화를 꾀할 수가 있으며 발광소자와 악세사리가 편리하면서 안전하게 지지대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하여 악세사리를 편리하게 뽑아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controlled remotely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event to maximize the event,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accessories are convenient and securely attached to the support detachably has the effect that the accessories can be conveniently pulled ou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부케의 대략적인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light emitting bouqu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부케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part of the light emitting bouqu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부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지지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for another embodiment of the light emitting bouqu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부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지지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for another embodiment of the light-emitting bouqu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회로의 추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dditional configuration of a drive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부케 80: 지지대10: bouquet 80: support

20: 꽃 81: 제 1브랜치20: flower 81: first branch

30: 연성몸체 84: 제 2브랜치30: soft body 84: the second branch

40: 캡 85: 결합부재40: cap 85: coupling member

50: 손잡이 90: 구동회로50: handle 90: drive circuit

60: 악세사리 92: RF 송수신부60: accessory 92: RF transceiver

70: 발광소자 100: 배터리70: light emitting element 100: battery

Claims (5)

꽃(20)이 삽입 고정되는 연성몸체(30)와 이를 수용하는 캡(40) 및 캡(40)의 하단에 구성된 손잡이(50)로 이루어진 부케에 있어서,In the bouquet consisting of a soft body 30 to which the flowers 20 are inserted and fixed, a cap 40 for receiving it and a handle 50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ap 40, 손잡이(50)에 구비된 스위치(55)의 조작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70);At least one light emitting device 70 that receives power by operating the switch 55 provided in the handle 50; 상기 발광소자(70) 주변에 고정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악세사리(60);At least one accessory (60) fixedly positioned around the light emitting device (70); 지지력을 가진 직립부재와 도선으로 구성되어 연성몸체(30)에 삽입 고정되되, 상부에 상기 악세사리(60) 및 도선과 연결된 상기 발광소자(70)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스위치(55) 및 손잡이(50)에 구비되어 있는 배터리(100) 및 구동회로(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지지대(8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부케.It is composed of an upright member having a supporting force and a conductive wire, which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flexible body 30, and the accessory 60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70 connected to the conductive wire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witch 55. And a support (8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100) and the driving circuit (90) provided in the handle (50).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대(80)의 상단은, 상기 악세사리(60)가 고정되는 제 1브랜치(81)와, 도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발광소자(70)가 고정되는 제 2브랜치(84)로 분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부케.The upper end of the support 80 is separated into a first branch 81 to which the accessory 60 is fixed, and a second branch 84 to which the light emitting device 70 is fixed by being made of a conductive wire. Luminescent bouquet made with.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브랜치(81)는 상부 및 측면에 고정홀(82)을 구비하여 이에 악세사리(6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부케.The first branch (81) has a fixing hole (82) on the top and s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essory (60) is fixed thereto, the light emitting bouquet.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브랜치(81)의 상단은 개방된 삽입홀(83)을 구비한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삽입홀(83)을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부재(85)가 추가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결합부재(85)의 측면에는 관통홀(8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부케.The upper end of the first branch 81 has a hollow structure having an open insertion hole 83, the coupling member 85 is detachably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83 is further configured However, the side of the coupling member 85,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 86 is formed, the light emitting bouque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회로(90)는 안테나(91)와 RF 송수신기(92) 및 발광소자 구동부(93)를 구비하여, 원격으로 상기 발광소자(70)의 점멸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부케.The driving circuit 90 includes an antenna 91, an RF transceiver 92, and a light emitting device driver 93 so as to remotely control the blinking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70. .
KR20-2005-0019241U 2005-07-01 2005-07-01 Radiating bouquet KR20039565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241U KR200395651Y1 (en) 2005-07-01 2005-07-01 Radiating bouqu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241U KR200395651Y1 (en) 2005-07-01 2005-07-01 Radiating bouqu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651Y1 true KR200395651Y1 (en) 2005-09-13

Family

ID=43696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241U KR200395651Y1 (en) 2005-07-01 2005-07-01 Radiating bouqu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651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789B1 (en) 2020-01-22 2020-06-26 이화영 Bouquet holder
KR200493467Y1 (en) 2020-09-11 2021-04-05 이화영 Bouquet hold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789B1 (en) 2020-01-22 2020-06-26 이화영 Bouquet holder
KR200493467Y1 (en) 2020-09-11 2021-04-05 이화영 Bouquet hol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9283B2 (en) Electrical decoration lighting device and set of such devices
US7898105B2 (en) RF powered specialty lighting, motion, sound
US5315492A (en) Illuminated window display ornament
JPH05504440A (en) Fish tank lighting device
US11156345B2 (en) Wreath decoration system
JP5254478B1 (en) Luminous toys
KR200395651Y1 (en) Radiating bouquet
US6377222B1 (en) Ornamental antenna light
JP3211345U (en) Lighting device
JP3132857U (en) bouquet
KR20110001494U (en) A dog lead provided with a flashlight
US7278752B2 (en) Device for providing internal illumination of live flowers and other products
JP3170778U (en) Cord reel
US11793342B1 (en) Modular Christmas tree assembly
EP3443873A1 (en)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lighting el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element of the beverage container
US11833440B2 (en) Inflatable ornament apparatus
US20050265017A1 (en) Electrical decoration-lighting device
US20130188342A1 (en) Lamp structure
KR20160009917A (en) Bouquet
KR20230000620U (en) An artificial wreath with led
JP3845670B2 (en) Light decoration device for garlands
WO2005026785A2 (en) Optical fiber device for illuminating floral displays
JP3058622U (en) Relay light emitting antenna for mobile phone
JP3116904U (en) Stick light
JP3067349U (en) Light-emitting structure of light-emitting antenna for receiver paired with mobile transmitter such as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