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513Y1 - 작업용 의자 - Google Patents
작업용 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5513Y1 KR200395513Y1 KR20-2005-0017349U KR20050017349U KR200395513Y1 KR 200395513 Y1 KR200395513 Y1 KR 200395513Y1 KR 20050017349 U KR20050017349 U KR 20050017349U KR 200395513 Y1 KR200395513 Y1 KR 20039551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chair
- center
- work
- bolt fasten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7—Stools for work at ground leve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 A47C3/245—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resiliently support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한쌍의 격판(11)이 구비되어 내측공간이 삼등분되고, 중앙에 볼트체결구(14)가 형성되는 시트(10)와; 공지의 등받이부(43), 허리벨트(45), 시트지지밴드(48), 등받이지지끈(51), 중앙끈(53)이 구비되며, 자크(41)에 의해 여닫도록 구비되고 저면 중앙에 볼트체결구(54)가 형성되며, 상면 내측에는 쿠션재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10)가 내측에 수납되는 시트수납백(40)과; 중앙에 암나사부(24)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10)의 삼등분된 중심부의 공간에 체결고정되어 상기 암나사부(24)가 상기 시트(10)의 볼트체결구(14)와 대응되도록 중앙에 위치되는 사각넷트(20)과; 상기 사각넷트(20)의 암나사부(24)에 체결되는 중공형의 볼트부(31)가 상향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31)의 하측으로 받침부(32)가 형성되는 높낮이조절부재(30)와; 상기 높낮이조절부재(30)가 최상의 위치로 조절될시 상기 암나사부(24)의 내측에 수납되어 상기 시트(10)를 지지하는 지지봉(33)과; 의자(100)의 휴대가 가능하고 세척이 간편하도록 저면에 망사부(61)가 구비된 휴대가방(60)이 구비되며; 상기 사각넷트(20)이 절반으로 분할된 넷트부재(21)가 한쌍을 이루어 구비되며; 상기 넷트부재(21)의 일측의 대응면에는 체결홈(22)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의 대응면에는 체결돌기(23)가 형성되고, 상호 대응되는 체결홈(22)과 체결돌기(23)가 체결되어 사각넷트(20)을 이루도록 구비되고; 상기 시트수납백(40)의 저면에 체결되고, 저면에 다수의 엠보싱(71)이 형성되며, 저면의 중앙에 볼트체결구(74)가 형성되는 엠보싱부재(7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엠보싱부재(70)의 저면에 형성된 볼트체결구(74)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체결구(74)를 밀폐시키는 볼트체결구커버(63)가 더 구비되는 작업용 의자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시트(10)의 공간부에 고정구비되는 사각넷트(20)와 이에 결합되는 높낮이조절부재(30)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시트(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각기 다른 신체 사이즈를 가지는 사용자들이 더욱 편안한 자세로 의자(100)를 착용하여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농작물에 따른 작업유형에 따라 의자(100)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효율적으로 작업이 가능하고, 시트(10)가 높이조절부재(30)의 볼트부(31)를 중심으로 상하이동되므로 시트(10)상에서 작업자가 전후좌우로 작업반경이 자유로워질 수 있으며, 엠보싱부재(70)와 볼트체결구커버(63)가 더 구비되므로 엠보싱부재(70)와 볼트체결구커버(63)를 결합 또는 분리하여서 논밭 뿐 아니라 갯벌 등 어느 곳에서나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작업이 가능하며, 망사부(61)가 구비된 휴대가방(60)이 구비되므로 의자(100)의 휴대가 간편하고, 휴대가방(60)에 의자(100)를 수납한 상태로 의자(100)의 세척이 매우 간편해 지는 등의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시 신체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작업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이나 농어촌 등지에서 수작업이나 농작업을 할 경우는 대부분 자리를 이동해가면서 작업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항시 의자를 휴대하게 되었고, 작업시에 의자위에 앉아서 작업을 하면서 자리를 이동해야 할 경우는 의자를 손으로 들고 자리를 이동하여 작업위치에 다시 의자를 위치시켜서 의자위에 앉아 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20-0366071호 "인체 착용형 작업 의자"가 고안된바 있으나, 종래의 인체 착용형 작업 의자는 등받이부와 방석부재를 지지하는 다리부위가 등받이부의 하측과 방석부재의 전방 하측에 분리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의자를 착용하여 작업위치에 앉을 경우 각각에 형성된 다리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세심한 신경을 써서 앉아야 하므로 의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앉는 동작이 매우 불편하였다.
그리고 의자를 착용시 어깨벨트부재를 어깨에 착용하여야 하므로 앉아서 장시간 작업시 어깨벨트부재로 인해 작업으로 인한 양팔의 피로감 이외의 또 다른 무게 중량이 전달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더욱 피로감을 더하였다.
또한 어깨벨트부재를 어깨에 착용하여야 함으로 인해 작업시 양팔을 주로 사용하여야 하는 사용자가 양팔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작업동선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의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장시간 작업으로 인한 지루함과 피로를 잠시 덜기위하여 상체를 뒤로 저치게 되면 등받이부가 뒤로 저쳐지면서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 다리부가 등받이의 회동에 의해 다리부가 전방측으로 틀어지게 되므로 의자 전체의 균형이 깨져서 사용자가 뒤로 넘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한편, 여성들이 지개를 매는 것은 거부감을 갖게되는 우리의 문화적 정서로 인해 어깨벨트부재를 어깨에 착용하는 지개식의 종래 고안은 보통 밭일을 많이 하는 농촌의 여성들에게 거부감을 주게되어 적합하지 못한 고안이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고안자는 "국내특허출원 2005-30394호"를 고안한바 있는바, 이는 도1과 같이 상면 후방에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면 둘레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지지다리가 형성되는 시트와; 하부에 상기 힌지부에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에 결속되어 구비되고 암수의 버클에 의해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벨트와; 일단이 상기 허리벨트의 일측에 고정되고 자유단인 타단이 상기 시트의 측면부에 착탈되는 한쌍의 탄력을 가진 시트지지밴드와; 일단이 상기 등받이의 일측에 결속되어 고정되고 자유단인 타단이 상기 시트의 일측면에 착탈되는 등받이고정끈과; 상기 시트의 전면부 중앙에 길게 구비되는 중앙끈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작업용 의자는, 시트의 높이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각기 다른 신체구조를 가지는 각각의 사용자들이 자신에게 맞는 사이즈로 시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었고, 이에 따라 모든 사용자들이 범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휴대시에 시트와 등받이에 구비된 허리벨트, 시트지지밴드, 등받이고정끈, 중앙끈 등이 너저분하게 길게 늘어진 상태가 되거나, 이들을 돌돌말아 정리하여 휴대한다 하여도 그 작업이 번거러워지는 등 휴대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자의 신체사이즈에 맞게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한 작업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작업용 의자는, 작업용 의자에 있어서, 내측에 한쌍의 격판이 구비되어 내측공간이 삼등분되고, 중앙에 볼트체결구가 형성되는 시트와; 공지의 등받이부, 허리벨트, 시트지지밴드, 등받이지지끈, 중앙끈이 구비되며, 자크에 의해 여닫도록 구비되고 저면 중앙에 볼트체결구가 형성되며, 상면 내측에는 쿠션재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가 내측에 수납되는 시트수납백과; 중앙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의 삼등분된 중심부의 공간에 체결고정되어 상기 암나사부가 상기 시트의 볼트체결구와 대응되도록 중앙에 위치되는 사각넷트과; 상기 사각넷트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중공형의 볼트부가 상향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의 하측으로 받침부가 형성되는 높낮이조절부재와; 상기 높낮이조절부재가 최상의 위치로 조절될시 상기 암나사부의 내측에 수납되어 상기 시트를 지지하는 지지봉과; 의자의 휴대가 가능하고 세척이 간편하도록 저면에 망사부가 구비된 휴대가방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작업용 의자의 다른 특징은, 상기 사각넷트이 절반으로 분할된 넷트부재가 한쌍을 이루어 구비되며; 상기 넷트부재의 일측의 대응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의 대응면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호 대응되는 체결홈과 체결돌기가 체결되어 사각넷트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작업용 의자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시트수납백의 저면에 체결되고, 저면에 다수의 엠보싱이 형성되며, 저면의 중앙에 볼트체결구가 형성되는 엠보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작업용 의자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엠보싱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볼트체결구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체결구를 밀폐시키는 볼트체결구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시트의 공간부에 고정구비되는 사각넷트와 이에 결합되는 높낮이조절부재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시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각기 다른 신체 사이즈를 가지는 사용자들이 더욱 편안한 자세로 의자를 착용하여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농작물에 따른 작업유형에 따라 의자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효율적으로 작업이 가능하고, 시트가 높이조절부재의 볼트부를 중심으로 상하이동되므로 시트상에서 작업자가 전후좌우로 작업반경이 자유로워질 수 있으며, 엠보싱부재와 볼트체결구커버가 더 구비되므로 엠보싱부재와 볼트체결구커버를 결합 또는 분리하여서 논밭 뿐 아니라 갯벌 등 어느 곳에서나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작업이 가능하며, 망사부가 구비된 휴대가방이 구비되므로 의자의 휴대가 간편하고, 휴대가방에 의자를 수납한 상태로 의자의 세척이 매우 간편해 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작업용 의자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로써, 본 고안 작업용 의자는 도1과 같이 시트(10), 시트수납백(40), 사각넷트(20), 높낮이조절부재(30), 지지봉(33), 휴대가방(60)으로 대분된다.
먼저 시트(10)는, 내측에 한쌍의 격판(11)이 구비되어 내측공간이 삼등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저면의 중앙에 후술할 높낮이조절부재(30)의 볼트부(31)가 관통되는 볼트체결구(14)가 형성된다.
시트수납백(40)은, 자크(41)에 의해 여닫도록 구비되어 자크(41)에 의해 개구된 내측으로 시트(10)가 수납된다.
그리고 저면 중앙에는 볼트체결구(54)가 형성되며, 상면 내측에는 쿠션재(미도시)가 구비된다.
또한 시트수납백(40)에는 공지의 등받이부(43), 허리벨트(45), 시트지지밴드(48), 등받이지지끈(51), 중앙끈(53)이 구비되는바, 자크(41)를 기준으로 상측부의 양측에는 고정고리(47)가 구비되고 그 고정고리(47)에 시트지지밴드(48)가 구비된다.
여기서, 시트지지밴드(48)의 일단에 고정고리(47)에 연결되는 연결후크(49)가 구비되며, 타단에는 사용자의 바지에 고정되는 고정집게(50)가 구비된다.
또한 고정고리(47)에는 등받이지지끈(51)이 연결되는데, 이는 등받이지지끈(51)의 양단에 구비된 연결후크(52)에 의해 고정고리(47)에 연결구비되며, 작업자가 허리에 착용하기전 임시 휴대손잡이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등받이부(43)는 시트수납백(40)의 상면에 주머니형식으로 구비되는바, 등받이부(43)의 양측에는 자크(42)가 구비되고, 등받이부(43)에 대응되는 포켓부(44)에 자크(42)에 의해 여닫히게 된다.
등받이부(43)의 내측에는 허리벨트(45)가 구비되는바, 허리벨트(45)는 등받이부(43)가 열리면 등받이부(43)를 사용자의 등에 고정되도록 체결되며, 등받이부(43)가 닫혀있을시 등받이부(43)와 포켓부(44)의 내측에 수납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등받이부(43)는 그 후면에 지퍼포켓(미도시)이 구비되어 후술할 휴대가방(60)을 수납할 수 있다.
여기서, 포켓부(44)의 상부와 등받이부(43)의 외측면 하측에는 벨크로(46)가 구비되어 등받이부(43)와 포켓부(44)가 닫힐시 벨크로(46)가 상호 부착되어 등받이부(43)와 포켓부(44) 내측에 수납된 허리벨트(45)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중앙끈(53)은 시트수납백(40)의 상측부 전방에 구비된 고정고리(47)에 결속되며, 일측이 사용자의 허리벨트 등에 결속되어 시트(10) 및 시트(10)가 수납된 시트수납백(40)이 사용자의 엉덩이에 밀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중앙끈(53)은 작업중 보행구간이 많아서 보행에 약간이라도 불편하다고 느낄때 작업자는 시트지지밴드(48)를 일시 사용하지 않아도 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사각넷트(20)은, 중앙에 암나사부(24)가 형성되며 시트(10)의 삼등분된 중심부의 공간에 삽입되어 암나사부(24)가 시트(10)의 볼트체결구(14)와 대응되도록 중앙에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사각넷트(20)은 절반으로 분할된 넷트부재(21)가 한쌍을 이루어 구비되며, 넷트부재(21)의 일측의 대응면에는 체결홈(22)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의 대응면에는 체결돌기(23)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넷트부재(21)의 상호 대응되는 체결홈(22)과 체결돌기(23)가 체결되어 사각넷트(20)의 형상을 이룬다.
높낮이조절부재(30)는, 사각넷트(20)의 암나사부(24)에 체결되는 중공형의 볼트부(31)가 상향돌출되어 형성되고, 볼트부(31)의 하측으로 받침부(32)가 형성된다.
지지봉(33)은, 높낮이조절부재(30)가 최상의 위치로 조절될시 암나사부(24)의 내측에 수납되어 상기 시트(10)를 지지하는데, 특히 이는 높낮이조절부재(30)가 최상의 높이로 조절되어 볼트부(31)의 최상단 나사산만이 체결될시 나사산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한 나사산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이다.
휴대가방(60)은, 본 고안 의자(100)를 내측에 수납하여 휴대가 간편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휴대가방(60)의 저면에는 도2와 같이 망사부(61)가 구비되는바, 이는 의자(100)를 세척하기 위해 물에 세탁시 휴대가방(60) 내측의 물이 배수되는 시간을 기다릴 필요없이 물이 원활히 빠지게되고, 휴대가방(60)내의 통풍이 원활하며, 습기를 제거할 필요가 없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망사부(61)의 상부에는 밀폐부(62)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는 의자(100)의 보관중 자외선을 차단하여 의자(100)가 변색,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부(6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시트(10)에 높낮이조절부재(30)의 미결합시 시트(10) 및 시트수납백(40)의 볼트체결구(14)(54)들에 체결되어 이들 볼트체결구(14)(54)들을 밀폐하는 볼트체결구커버(63)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작업용 의자는, 시설재배지나 임가공 농어가에서 수확된 농작물 등을 선별,포장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영세사업장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의자(100)의 조립시 먼저, 사각넷트(20)의 분할된 넷트부재(21)를 결합하는바, 넷트부재(21)의 상호대응되는 체결홈(22)과 체결돌기(23)를 각각 결합하여 넷트부재(21)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결합된 넷트부재(21)를 시트(10)의 삼등분된 중앙부위의 공간 내측으로 삽입하여 시트(10) 저면의 볼트체결구(14)에 암나사부(24)가 대응되도록 위치시킨 후 시트(10) 저면에서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시트수납백(40)의 자크(41)를 열어서 그 내측에 사각넷트(20)가 결합된 시트(10)를 수납하여 자크(41)를 닫아서 밀봉한다.
다음으로 시트수납백(40), 시트(10)의 저면에 형성된 볼트체결구(45)(14)에 높낮이조절부재(30)에 구비된 볼트부(31)를 관통시켜서 사각넷트(20)의 암나사부(24)에 결합하여 도4와 같이 높낮이조절부재(30)를 결합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의자(100)를 사용자가 착용시, 먼저 높낮이조절부재(30)의 받침부(32)가 저면에 지지되도록 의자(100)를 위치시키고, 등받이부(43)의 양측 자크(42)를 열어서 등받이부(43)를 펼친 후, 시트(10)의 상측 즉, 시트수납백(40)의 상면에 사용자가 착석한다.
사용자가 착석후 등받이부(43)에 구비된 허리벨트(45)를 사용자의 허리에 결속하고, 등받이부(43)의 후방측에서 등받이지지끈(51)을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지지시킨다.
그리고 시트수납백(40) 양측에 구비된 시트지지밴드(48) 일단의 고정집게(50)를 사용자의 바지에 결속한다.
마지막으로 시트수납백(40)의 전방에 구비된 중앙끈(53)을 당겨서 시트(10)가 사용자의 엉덩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한 후 중앙끈(53)을 사용자의 허리벨트 등에 결속하여 의자(100)의 착용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의자(100)를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한 후 작업을 할시 사용자가 상체를 앞으로 숙이거나 뒤로 젖혀도 등받이부(43)는 허리벨트(45)에 의해 확실히 착용되어 있으므로 등받이부(43)가 사용자의 신체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앉은 자세로 자리를 조금씩 이동하면서 작업을 하여도 시트(10) 및 시트수납백(40)이 시트지지밴드(48)와 중앙끈(53)에 의해 사용자의 하체에 확실히 밀착되므로 시트(10) 및 시트수납백(40)이 사용자의 신체로 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완전히 선체로 조금씩 이동하면서 작업을 실시한다 하여도 허리벨트(45), 시트지지밴드(48), 중앙끈(53)에 의해 의자(100)는 사용자의 신체로 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신체 사이즈가 각기 다른 사용자가 의자(100)를 신체에 착용할시 사각넷트(20)의 암나사부(24)에 결합된 높낮이조절부재(30)의 볼트부(31)를 풀거나 조여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시트(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농민들의 작업유형에 따라 높낮이조절부재(30)를 조절하여 시트(10)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바, 가지에 달린 고추 등의 작물을 수확할 경우는 높낮이조절부재(30)를 조절하여 시트(10)를 높게 한 상태로 농작물 수확 작업을 실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추, 마늘, 파 등의 작물을 수확할 경우는 높낮이조절부재(30)를 조절하여 시트(10)가 낮게 위치되게 하여 농작물 수확 작업을 실시 할 수 있다.
또한 알뿌리 작물을 수확 할 경우 즉, 감자나 고구마 등의 농작물을 수확할 경우는 높낮이조절부재(30)를 분리하고 볼트체결구(14)(54)들에 볼트체결구커버(63)를 결합하여 시트(10)가 바닥면에 닿도록 의자(100)의 높이를 최소한으로 하여 농작물 수확 작업을 실시 할 수 있다.
여기서, 볼트체결구(14)(54)들에 볼트체결구커버(63)가 결합되면 암나사부(24)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이물질의 투입으로 인한 차후 사용시의 고장원인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높낮이조절부재(3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시트(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농작물에 따른 작업의 유형 등에 따라 시트(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의자(100)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높낮이조절부재(30)의 조절시 높낮이조절부재(30)를 최상의 높이로 조절하게 되면 볼트부(31)의 최상단의 나사산만이 사각넷트(20)의 암나사부(24)에 체결되어 있게 되는데, 이때 볼트부(31)의 내측에 지지봉(33)을 삽입하면 지지봉(33)의 상단이 도5와 같이 시트(10)의 상단 내측에 밀착되어 지지봉(33)이 시트(10)를 지지하게 되므로 나사산에 가해지는 하중을 덜어주어 높낮이조절부재(30)의 볼트부(31)의 나사산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시트(10)의 중앙공간부에 구비되어 암나사부(24)를 가지는 사각넷트(20)가 높낮이조절부재(30)의 볼트부(31)에 조여지거나 풀어지게 되므로 시트(10)가 높낮이조절부재(30)의 볼트부(31)를 따라 회전되면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의자(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시트(10)상에서 사용자의 몸을 360°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팔넓이 만큼의 작업공간이 확보된 전방작업중 시트(10)상에서 몸을 살짝 비틀어주면 좌우의 시각공간에서도 전방의 작업공간만큼 작업공간이 확보되며, 배면작업도 시트(10)상에서 몸을 정반대로 틀면 전방의 작업공간만큼 작업공간이 확보되는 등 작업자의 동선이 최소화되어 작업의 능률이 배가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간에 작업자들의 원만한 대면 의사소통으로 작업의 손실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작업이 완료되면 의자(100)를 휴대가방(60)에 수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을 많이 하는 농어민 등과 같은 사용자는 오랜 시간 작업과 피로함으로 인해 의자(100)의 세척이 쉽지 않게 되는데 의자(100)를 휴대가방(60)에 수납한 상태로 휴대가방(60)을 물에 담궈서 흔들어준 후 빼내면 휴대가방(60)의 내측의 물이 휴대가방(60) 저면의 망사부(61)로 쉽게 빠지게 되고 이를 간편히 탁탁 털어주고 다음 작업시까지 보관장소에 걸어놓는 것만으로 세척 및 관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의자(100)를 휴대가방(60)에 수납한 상태에서 의자(100)를 세척후 휴대가방(60)의 망사부(61)에 의해 물이 배수되는 시간을 기다리지 않고 보관장소로 바로 갈수 있으며, 보관시 습기가 자연적으로 제거되고, 통풍이 원활해질 수 있어 보관이 간편해 진다.
그리고 의자(100)의 세척 및 보관이 용이하므로 오랜시간 작업으로 인해 피로감을 느끼는 작업자들에게 장비관리의 편리성이 제공된다.
또한 의자(100)의 세척후 의자(100)를 그늘에 보관하여야 하나 보관자 과실로 햇빛이 있는곳에 보관하더라도 휴대가방(60)의 밀폐부(62)에서 자외선이 차단되어 의자(100)의 탈변색과 변형으로 기능성이 상실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라 시트(10)의 저면에 체결되고, 저면에 다수의 엠보싱(71)이 형성되며, 저면의 중앙에 볼트체결구(74)가 형성되는 엠보싱부재(70)가 더 구비된다.
이 엠보싱부재(70)는 의자(100)가 누드타입으로 구비될시 즉, 시트수납백(40)의 중앙 지퍼(41)를 기준으로 시트수납백(40)의 상부만이 시트(10)의 상부에 씌워질시 시트(10)의 하부에 결합되어진다.
그리고 시트수납백(40)의 상부는 단부둘레에 본드가 접착되어 시트(10)상에 씌워지거나, 시트수납백(40)의 상부 양측에 결속띠가 구비되어 결속띠가 엠보싱부재(70)를 감싸고 단부가 재봉되어 시트(10)의 상부에 확실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 작업용 의자가 누드타입으로 구비될시는 노지의 밭농사와 갯벌의 조개 채취 등의 작업시 사용되며, 비교적 깨끗하지 못한 환경에서 사용되므로 볼트체결구(54)에 볼트체결구커버(63)를 체결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상태로 갯벌 등에서 의자(100)를 사용하게 되면 엠보싱부재(70)의 다수의 엠보싱(71)에 의해 갯벌에서 쉽게 가라앉지 않게 되며, 엠보싱(71)에 의해 엠보싱부재(70)의 저면과 갯벌의 표면 사이에 발생하는 표면장력이 작아지게 되어 찐득한 갯벌에서도 본 고안 작업용 의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쉽게 앉고 설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용 의자에 의하면, 시트(10)의 공간부에 고정구비되는 사각넷트(20)와 이에 결합되는 높낮이조절부재(30)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시트(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각기 다른 신체 사이즈를 가지는 사용자들이 더욱 편안한 자세로 의자(100)를 착용하여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농작물에 따른 작업유형에 따라 의자(100)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효율적으로 작업이 가능하고, 시트(10)가 높이조절부재(30)의 볼트부(31)를 중심으로 상하이동되므로 시트(10)상에서 작업자가 전후좌우로 작업반경이 자유로워질 수 있으며, 엠보싱부재(70)와 볼트체결구커버(63)가 더 구비되므로 엠보싱부재(70)와 볼트체결구커버(63)를 결합 또는 분리하여서 논밭 뿐 아니라 갯벌 등 어느 곳에서나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작업이 가능하며, 망사부(61)가 구비된 휴대가방(60)이 구비되므로 의자(100)의 휴대가 간편하고, 휴대가방(60)에 의자(100)를 수납한 상태로 의자(100)의 세척이 매우 간편해 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 작업용 의자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작업용 의자에 따른 휴대가방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작업용 의자에 따른 엠보싱부재를 보이는 저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 작업용 의자의 요부를 발췌한 요부발췌 단면도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시트 11 ; 격판
14,54,74 ; 볼트체결구 20 ; 사각넷트
21 ; 넷트부재 22; 체결홈
23 ; 체결돌기 24 ; 암나사부
30 ; 높낮이조절부재 31 ; 볼트부
32 ; 받침부 33 ; 지지봉
40 ; 시트수납백 41,42 ; 자크
43 ; 등받이부 44 ; 포켓부
45 ; 허리벨트 46 ; 벨크로
47 ; 고정고리 48 ; 시트지지밴드
49,52 ; 연결후크 50 ; 고정집게
51 ; 등받이지지끈 53 ; 중앙끈
60 ; 휴대가방 61 ; 망사부
62 ; 밀폐부 63 ; 볼트체결구커버
70 ; 엠보싱부재 71 ; 엠보싱
Claims (4)
- 작업용 의자에 있어서,내측에 한쌍의 격판(11)이 구비되어 내측공간이 삼등분되고, 중앙에 볼트체결구(14)가 형성되는 시트(10)와;공지의 등받이부(43), 허리벨트(45), 시트지지밴드(48), 등받이지지끈(51), 중앙끈(53)이 구비되며, 자크(41)에 의해 여닫도록 구비되고 저면 중앙에 볼트체결구(54)가 형성되며, 상면 내측에는 쿠션재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10)가 내측에 수납되는 시트수납백(40)과;중앙에 암나사부(24)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10)의 삼등분된 중심부의 공간에 체결고정되어 상기 암나사부(24)가 상기 시트(10)의 볼트체결구(14)와 대응되도록 중앙에 위치되는 사각넷트(20)과;상기 사각넷트(20)의 암나사부(24)에 체결되는 중공형의 볼트부(31)가 상향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31)의 하측으로 받침부(32)가 형성되는 높낮이조절부재(30)와;상기 높낮이조절부재(30)가 최상의 위치로 조절될시 상기 암나사부(24)의 내측에 수납되어 상기 시트(10)를 지지하는 지지봉(33)과;의자(100)의 휴대가 가능하고 세척이 간편하도록 저면에 망사부(61)가 구비된 휴대가방(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사각넷트(20)이 절반으로 분할된 넷트부재(21)가 한쌍을 이루어 구비되며;상기 넷트부재(21)의 일측의 대응면에는 체결홈(22)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의 대응면에는 체결돌기(23)가 형성되고, 상호 대응되는 체결홈(22)과 체결돌기(23)가 체결되어 사각넷트(20)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높이조절부재()가 분리되어 시트(10)가 최저의 높이로 조절될시 상기 시트수납백(40) 및 시트(10)의 볼트체결구()들에 체결되는 볼트체결구커버(6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시트(10)의 저면에 체결되고, 저면에 다수의 엠보싱(71)이 형성되며, 저면의 중앙에 볼트체결구(74)가 형성되는 엠보싱부재(7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7349U KR200395513Y1 (ko) | 2005-06-16 | 2005-06-16 | 작업용 의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7349U KR200395513Y1 (ko) | 2005-06-16 | 2005-06-16 | 작업용 의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5513Y1 true KR200395513Y1 (ko) | 2005-09-13 |
Family
ID=43696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7349U KR200395513Y1 (ko) | 2005-06-16 | 2005-06-16 | 작업용 의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5513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3462B1 (ko) | 2010-04-07 | 2012-05-08 | 대신자토산업(주) | 의자의 다리 구조 |
-
2005
- 2005-06-16 KR KR20-2005-0017349U patent/KR20039551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3462B1 (ko) | 2010-04-07 | 2012-05-08 | 대신자토산업(주) | 의자의 다리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44369B2 (en) | Packaged inflatable pillow for multiple uses for body support and water device accessory including formation into a raft or mat | |
US9198525B2 (en) | Wearable carrier and method of carrying a child or animal | |
KR950010706B1 (ko) | 등받이가 내장된 상의 | |
US6609642B2 (en) | Mechanical advantage backpack | |
KR100406088B1 (ko) | 절첩식 의자 | |
AU645416B2 (en) | Contour model with attached apron | |
US4606086A (en) | Lounge chair for reading | |
US6053570A (en) | Detachable storage device positionable under theater seats | |
US6042184A (en) | Face and head supporting device for use with a lounge chair or the like | |
US8690031B1 (en) | Backpack system | |
WO1999058018A1 (en) | Backpack | |
US7052080B2 (en) | Frame for supporting a back pack and providing a seat structure | |
EP2214541A1 (en) | Wearable towel | |
WO2020075354A1 (ja) | 動作補助作業着 | |
US11445773B2 (en) | Multi-use cover | |
KR20120059742A (ko) | 작업용 방석의자 | |
JP6653738B2 (ja) | 作業用椅子 | |
US6986445B1 (en) | Backpack and chair apparatus | |
KR200395513Y1 (ko) | 작업용 의자 | |
JP2010537747A (ja) | 調整可能な背部支持装置 | |
US20070210628A1 (en) | Lounge chair cover and method for using same | |
KR20180077119A (ko) | 내구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쿠션방석. | |
EP2522317A2 (en) | Chair occupant support vest | |
KR200336096Y1 (ko) | 이동 작업용 휴대의자 | |
KR200389409Y1 (ko) | 작업용 의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EXTG | Extingu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