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102Y1 - Support fixable to the corner of wall - Google Patents

Support fixable to the corner of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102Y1
KR200395102Y1 KR20-2005-0017066U KR20050017066U KR200395102Y1 KR 200395102 Y1 KR200395102 Y1 KR 200395102Y1 KR 20050017066 U KR20050017066 U KR 20050017066U KR 200395102 Y1 KR200395102 Y1 KR 2003951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wall
screw
footrest
intub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06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경화
Original Assignee
나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경화 filed Critical 나경화
Priority to KR20-2005-0017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10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1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102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4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2201/00Details of connections of bathroom accessories, e.g. fixing soap or towel holder to a wall
    • A47K2201/02Connections to a wall mounted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너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써, 기존의 지지대가 한 벽면을 이용하는 반면에 벽면의 모서리를 상하 또는 좌우로 하여 설치가 용이한 지지대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ner support, while an existing support uses one wall surface, and aims to provide a support that is easy to install with the edge of the wall up or down or left and right.

이를 위하여 상기 코너지지대에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고무판(20)이 접착되며 조립홈(21-1)이 형성되어 있는 발판(21)과; 상기 조립홈(21-1)에 조립고정되며 발판(21)에 소정의 경사를 주는 관절부(2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요철(凹凸)형상의 스크류부(23)가 형성되어 있는 삽관모재(22)와; 상기 스크류부(23)와 회전조립되며 내경에 상기 스크류부(23)와 맞물리도록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하기 용이하도록 굵고 깊은 요철이 형성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조절나사(24)와; 상기 삽관모재(22)가 인입되며, 상기 조립홈(21-1)에 조립고정되며 발판(21)에 소정의 경사를 주는 관절부(22-1)가 형성되어 있는 인입관모재(25)가 구성된다.To this end, the corner support, the rubber plate 20 for preventing slipping is bonded to the footrest 21 and the assembly groove 21-1 is formed; An intubation base member having a joint portion 22-1 fixed to the assembly groove 21-1 and giving a predetermined slope to the footrest 21, and having an uneven screw portion 23 formed therein. (22); An adjustment screw (24) rotatably assembled with the screw part (23), the screw being formed to engage the screw part (23) in an inner diameter, and having a thick and deep unevenness formed to facilitate rotation; The intubation base material 22 is drawn in, and the inlet pipe base material 25 is formed in which the joint part 22-1 is fixed to the assembly groove 21-1 and gives a predetermined slope to the footrest 21. do.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지지대가 한 벽면을 이용하는 반면에 벽면의 모서리를 상하 또는 좌우로 하여 설치가 용이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existing support uses one wall surface, it is easy to install with the edge of the wall surfac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Description

코너 지지대{Support fixable to the corner of wall}Corner support {Support fixable to the corner of wall}

본 고안은 코너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의 모서리를 이용하여 물건 등을 장치하거나 고장하기 위한 지지대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ner suppo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pport for mounting or malfunctioning objects and the like using the edge of the wall.

종래의 지지대들은 보통 벽면의 한 면만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화장실이나 실내에 수건이나 옷들을 걸어두기 위해서 벽면에 못을 박아서 행거를 고정하는 방식이다. Conventional supports usually use only one side of the wall. In other words, to hang a towel or clothes in the bathroom or room, a hanger is fixed by nailing a wall.

이러한 예로써 수건을 걸기위한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1에 도시된다. 도 1을 설명하면 종래의 지지대는 벽면(13)에 "ㄱ"형상의 격자(11)와, 이 격자를 고정시키기 위해 벽면에 밀착되는 고정판(14)과, 이 고정된 격자(11)에 횡으로 삽입되는 횡봉(12)으로 구성된다. In this example a drawing showing a support for hanging a towel is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support includes a lattice 11 having an “a” shape on a wall surface 13, a fixing plate 14 closely adhered to a wall surface to fix the lattice, and transversely to the fixed lattice 11. Consists of a transverse rod 12 is inserted into.

물론 고정판(14)이 벽면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못이나 강력접착제등이 이용되게 된다. 따라서, 횡봉(12)에 수건(10)을 걸어두는 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Of course, the nail or strong adhesive is used to fix the fixing plate 14 to the wall. Therefore, the structure which hangs the towel 10 to the side bar 12 is attained.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지지대구조에 따를 경우 한쪽 벽체만을 이용하여 지지대를 고정하게 되므로 공간이 좁은 화장실이나 실내의 경우에는 적절치가 않다. 또한 종래의 지지대의 경우 강력접착제나 못 등으로 고정을 하였는데 처음에 위치를 잘못잡았다거나 하여 해체하여 다른곳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못을 빼거나 접착제를 제거해내야 하는등 해체 가 어려운 점이 있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upport structure, the support is fixed using only one wall, so it is not appropriate in the case of a narrow space or a bathroom.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upport was fixed with a strong adhesive or nail, etc., if the initial position was misplaced or dismantled to install in another place, there was a difficult point to dismantle, such as removing the nail or remove the adhesive.

또한 못질을 하게 되면 못구멍이 생기게 되며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접착자국이 남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nail nails are created when nails are used, and adhesive marks remain when adhesives are used.

또한, 노약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지재대를 설치할 때 못질을 해야 하는등 힘이 많이 들기 때문에 설치하는 것에 엄두를 내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lderly, it was often difficult to install such an earthquake belt because it was very laborious.

또한 종래의 방식에 의할 경우 지지대가 한 가지 기능만을 수행하는데 이를테면 수건을 걸기위한 행거 또는 옷걸이용행거들 중에 하나의 목적으로만 가능하므로 다른 목적으로 전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e support performs only one function, for example, because it is possible to use only one of the hangers for hangers or hangers for hanger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for other purposes.

본 고안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지지대가 한 벽면을 이용하는 반면에 벽면의 모서리에 상하 또는 좌우로 하여 설치가 용이한 지지대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that is easy to install by vertically or vertically at the edge of the wall while using a wall.

또한, 한가지의 지지대로 다른 형태의 지지대로 다양한 적용이 가능한 지지대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을 두고 있다.In addition, it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support tha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applications of one type of support to another type of support.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벽면에 부착되는 발판과, 횡봉 또는 세로봉으로 이용되는 관모재,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나사로 구성되는 코너지지대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it provides a corner support consisting of a scaffold attached to the wall, a tubular material used as a transverse rod or a longitudinal rod, adjusting screw adjusting the length.

따라서 상기 코너지지대에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고무판이 접착되며 조립홈이 형성되어 있는 발판과; 상기 조립홈에 조립고정되며 발판에 소정의 경사를 주는 관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요철형상의 스크류부가 형성되어 있는 삽관모재와; 상기 스크류부와 회전조립되며 내경에 상기 스크류부와 맞물리도록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하기 용이하도록 굵고 깊은 요철이 형성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조절나사와; 상기 삽관모재가 인입되며, 상기 조립홈에 조립고정되며 발판에 소정의 경사를 주는 관절부가 형성되어 있는 인입관모재 등이 구성되게 된다.Therefore, the corner support, the rubber plate for the non-slip is bonded to the scaffold and the assembly groove is formed; An intubation base material having a joint part fixed to the assembly groove and gi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o the foot plate, and having an uneven screw part formed thereon; An adjusting screw which is assembled with the screw and rotates and has an inner diameter in which a screw is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screw, and a thick and deep unevenness is formed to facilitate rotation; The intubation base material is drawn in, and the inlet pipe base material and the like are formed in which the joint part is fixed to the assembly groove and gives a predetermined slope to the scaffold.

또한, 상기 발판의 옆면은 평평하며,상기 옆면 위에 놓여질수 있도록 평평하며 벽면의 모서리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한 개의 모서리를 갖는 평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ide surface of the scaffold is flat, may further include a flat plate having a flat surface to be placed on the side surface and having at least one edge to be coupled to the edge of the wall.

그러므로 벽면의 모서리를 상하 또는 좌우로 하여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stall with the edge of the wall up or down or left and righ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코너 지지대의 분해도로써, 모서리에 고정되기 위한 발판(21), 삽입되는 삽관모재(22),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나사(24), 상기 삽관모재(22)가 인입되는 인입관모재(25) 등이 구성된다.2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rne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rest 21 to be fixed to the corner, the intubation base material 22 to be inserted, the adjustment screw 24 for adjusting the position, the intubation base material 22 is inserted A drawing pipe base material 25 is constituted.

이에 대한 구조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발판(21)은 벽체모서리의 두 군데에 고정되기 위해 지지대의 양쪽에 2쌍으로 구성되게 된다. 물론 벽체의 재질에 따라서 마찰력을 주기위해 접착식이 될 수도 있다. 벽체의 재질이 시멘트인 경우 시멘트는 거친표면이지만 양쪽에서 밀어내는 힘과 고무의 접착력을 이용하여 고정이 가능하며 욕실타일과 같은 경우 표면이 매끈하기 때문에 발판이 더 잘 붙게 된다. 그러나 표면에 매우 거칠어 고무재질의 발판이 붙지 않는 경우 발판에 별도의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벽에 붙이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발판밑에 접착제등을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며 발판과 벽을 못등과 같은 별도의 수단으로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o describe the structure of this in more detail, first, the footrest 21 is composed of two pairs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to be fixed to two places of the wall edge. Of course,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wall, it may be adhesive to give friction. If the material of the wall is cement, the cement is a rough surface, but it can be fixed by using the pushing force of both sides and the adhesive force of rubber. In the case of bathroom tiles, the surface is smooth, so the scaffold is better attached. However, if the rubber footing does not adhere to the surface is very rough, it is also possible to attach to the wall using a separate adhesive means to the footing.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n adhesive or the like under the scaffolding or to combine the scaffolding and the wall by a separate means such as nails.

발판의 고정을 위해서 미끄럼방지를 위해 고무판(20)을 접착할수도 있는데 양면테이프나 접착제등이 이용가능할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종래에 많은 방법이 선보이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In order to fix the footrest, the rubber plate 20 may be adhered to prevent slippage, but a double-sided tape or an adhesive may be used. Since many methods have been introduced in the related art, it will be omitted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고무판(20)은 보통 고무재질이 이용가능하나 실리콘재질 등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rubber plate 20 may be a rubber material, but a silicon material or the like may be used.

이 고무판이 접착된 발판(21)은 삽관모재(22)에 조립되게 되는데, 삽관모재(22)에는 발판(21)이 약간의 경사가 있도록 결합되기 위한 관절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인체의 말목처럼 발바닥이 벽에 밀착되도록 발판(21)에 경사를 주게 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틈이 없이 안정적으로 발판(21)이 벽에 밀착고정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발판(21)은 일정한 면적이 있는 형태를 띠게 되는데, 인체의 발처럼 앞쪽이 좁고 후면이 넓은 형상이 바람직하나 장방형이나 원반형의 형상도 가능하다.The foot plate 21 to which the rubber plate is bonded is assembled to the intubation base material 22, and the intubation base material 22 is formed with a joint portion 22-1 for engaging the foot plate 21 so that there is a slight inclination. This is a structure that inclines the footrest 21 so that the so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like the horse's horse. Therefore, the footrest 21 can be fixed to the wall stably without a gap. To this end, the scaffold 21 has a shape having a certain area, preferably a narrow front and a wide rear like a human foot, but also rectangular or disc shaped.

삽관모재(22)에는 요철(凹凸)이 반복되는 스크류부(23)가 형성된다. 삽관모재(22)의 재질로는 강관으로 금속재질뿐만 아니라 플라스틱재질도 가능하다. 삽관모재는 속이빈 형태일수도 있고 강성을 위해 속이 꽉찬 형태의 관일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부(23)에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이 가능한 조절나사(24)가 조립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intubation base material 22 is formed with a screw portion 23 in which unevenness is repeated. The intubation base material 22 may be a steel pipe, as well as a plastic material. Intubation may be hollow or may be a full tube for rigidit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adjustment screw 24 is inserted into the screw portion 23 to move back and forth.

물론 조절나사(24)의 내경에는 상기 스크류부의 요철과 똑같은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부(23)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조절나사(24)는 스크류부(23)의 요철을 따라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조절나사(24)의 겉모양은 맨손으로 쉽게 돌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굴곡이 굵고 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여졌을때 잘풀려나가지 않도록 하기위해 내경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가 삽관모재(22)의 스크류부(23)와 밀착되어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Of course,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adjustment screw 24, the screw portion 23 is formed with the same irregularities as the unevenness of the screw portion is formed. Therefore, the adjustment screw 24 is able to move back and forth along the unevenness of the screw portion 23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Of course, the outer shape of the adjustment screw 24 is preferably to be thick and deep in order to be able to easily turn with bare hands. In addition, the screw formed in the inner diameter is preferably in close contact with the screw portion 23 of the intubation base material 22 so as not to loosen when tightened.

상기 조절나사에 의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삽관모재(22)가 인입되도록 하는 인입관모재(25)가 구성된다. 인입관모재(25)도 삽관모재(22)와 유사한 재질로 구성되며, 안은 삽관모재(22)가 인입될 수 있도록 비어있는 강관구조이다. 또한 삽관모재(22)가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삽관모재(22)의 직경보다 약간 큰직경이 된다. 하부에는 발판(21)이 경사를 가지고 조립될 수 있도록 관절부(22-1)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Inlet pipe base material 25 is configured to allow the intubation base material 22 to be inserted in order to enable the length adjustment by the adjustment screw. Inlet pipe base material 25 is also composed of a material similar to the intubation base material 22, the inside is an empty steel pipe structure so that the intubation base material 22 can be inserted. In addition, the intubation base material 22 has a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tubation base material 22 so that the intubation material can be drawn in or drawn out. In the lower part, the joint part 22-1 is formed so that the footrest 21 can be assembled with an inclination.

물론 상기 삽관모재(22)에 조립되는 발판을 기술할 때 생략하긴 하였으나 발판(21)에는 조립홈(21-1)이 형성되어 있어 이 홈을 이용하여 삽관모재(22) 또는 인입관모재(25)에 발판(21)이 조립고정된다. Of course, although omitted when describing the scaffold to be assembled to the intubation base material 22, the assembling groove 21-1 is formed in the scaffold 21 using the intubation base material 22 or the inlet pipe base material 25 ), The footrest 21 is assembled and fixed.

인입관모재(25)에 조립되는 발판도 삽관모재(22)와 동일하게 벽면부착시 미끄럼방지를 위한 고무판(20)이 접착된다. In the same way as the intubation base material 22, the foot plate assembled to the inlet pipe base material 25 is bonded with a rubber plate 20 for preventing slippage.

상기 기술한 도 2의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인 코너지지대가 완성되게 되며, 이 코너지지대의 조립된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 3에 도시된다. 즉 양발판이 경사를 가지고 있으며 조립나사(24)를 회전시켜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본 도면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길이가 늘어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길이가 늘어나게 되면서 양발판을 벽쪽으로 서로 밀어내게 됨으로써 발판과 벽이 밀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 발판이 벽에 결합하게 되는 것은 발판자체의 결합력도 있지만 발판을 가운데에서 벽족으로 밀어내는 힘에 의해 벽과 발판의 결합이 더 강하게 되는것이다. By the configuration of FIG. 2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rner support is completed, the figure showing the assembled appearance of this corner support is shown in FIG. That is to say that both plates have a slope and to adjust the length by rotating the assembly screw (24). In this figure, the length is increased by rotating counterclockwise. As the length increases, the two legs are pushed against each other toward the wall, thereby allowing the scaffold and the wall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caffold is coupled to the wall, the scaffolding itself is also coupled, but the coupling between the wall and the scaffold is stronger by the force pushing the scaffold from the center to the wall group.

상기 도 3에서 A-A'축으로 절단한면을 도시한 도면이 도 4이다. 이는 길이조절이 어떻게 가능한 지를 보여주는 단면이다. 이를 설명하면, 삽관모재(22)가 인입관모재(25)의 안쪽으로 인입되어 있고, 삽관모재(22)의 스크류부(23)상에서 조절나사(24)가 회전되어 전후로 이동되게 된다. 또한 인입관모재(25)가 삽관모재(22)의 직경보다 크므로 단차가 발생하여 조절나사(24)에 의해 정지되게 된다. 즉 조절나사(24)에 막혀 인입관모재(25)는 더 이상 안쪽으로 이동이 안되므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plane cut along the line AA ′ of FIG. 3. This is a cross section showing how length control is possible. To explain this, the intubation base material 22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tube base material 25, and the adjustment screw 24 is rotated on the screw portion 23 of the intubation base material 22 to be moved back and forth. In addition, since the introduction pipe base material 25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tubation base material 22, a step is generated and stopped by the adjustment screw 24. That is, the insertion pipe base material 25 is blocked by the adjustment screw 24 is no longer moved inward,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따라서 조절나사(24)를 회전시키면 인입관모재(25)가 바깥쪽으로 밀려나오면서 지지대의 길이가 늘어나 양쪽벽에 밀어내는 힘이 생기게 되므로 고정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adjustment screw 24 is rotated, the inlet pipe base material 25 is pushed outward, and thus the length of the support is increased, so that the pushing force is generated on both walls.

도 5는 발판의 다른 고정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도 2내지 3에서 기술한 방식인 발판(21)에 삽관모재(22) 또는 인입관모재(25)를 조립고정하는 방식과 달리 유동고정방식을 보여준다. 즉 이를 설명하면 유동발판(51)에는 유동홈(52)이 형성되어 있어, 관모재(50)가 움직이면서 한쪽으로 기울임이 형성되므로 유동발판(51)이 상기 기술한 발판(21)처럼 경사지게 된다. 즉 점선으로된 여의봉형상의 관모재(50)가 우측으로 기울이면서 안쪽홈에 안착됨으로써 고정된다. 따라서 유동발판(51)에 경사가 가능하게 되어 벽모서리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5 is a view showing another fixing structure of the scaffold, unlike the method of assembling and fixing the intubation base material 22 or the inlet pipe base material 25 on the scaffold 21 which is the method described in FIGS. Shows. In other words, the flow scaffold 51 is formed in the flow scaffold 51, so that the inclination is formed to one side while the tubular material 50 moves, so that the flow scaffold 51 is inclined like the scaffold 21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the bar-shaped tubular base material 50 in the dotted line is fixed by being seated in the inner groove while inclining to the righ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be inclined to the floating scaffold 51 can be fixed to the wall corner.

도 2 내지 도4에 의하여 조립된 코너지지대의 적용예를 보인 것이 도 6과 도 7에 도시된다. 도 6은 방안의 모서리를6 and 7 show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corner support assembled by FIGS. 2 to 4. 6 shows the corner of the room

이용하여 옷장이 설치될 경우, 코너지지대(60)를 양측벽에 고정하고 이를 행거로 이용한 예를 보여준다. 즉 상기 기술한 삽관모재(22)와 인입관모재(25)가 조립되어 횡봉으로써의 기능을 하므로 옷걸이가 가능하다. 또한, 옷장을 이루는 평판들 아래에는 본 고안에 따른 코너지지대를 삽입함으로써 평판이 코너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코너지지대를 사용하여 평판을 고정시키는 경우 평판의 한쪽끝은 모서리에 고정이 되기 때문에 코너지지대를 한 개만 사용하여도 튼튼한 고정이 가능하다. 단, 평판의 아래쪽에 들어가는 코너지지대는 평판이 그 위에 올라갈 수 있도록 평평한 옆면을 가진것을 사용하였다.  When the closet is installed by using, the corner support 60 is fixed to both side walls and shows an example of using it as a hanger. In other words, the intubation base material 22 and the inlet pipe base material 25 described above are assembled to function as a horizontal bar, so a hanger is possible. In addition, by inserting the corne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der the flat plate constituting the closet to be fixed to the flat plate. As such, when fixing the plate using the corner support, one end of the plate is fixed to the corner, so that only one corner support can be used for strong fixing. However, the corner support that enters the bottom of the plate is used with a flat side so that the plate can rise above it.

도 7은 대형스크린을 벽면모서리에 고정시키기 위해 본 발명인 코너지지대를 사용한 예로써 스크린(71)의 양쪽면에 코너지지대(70)를 상하로 설치하여 이 코너지지대에 스크린(71)을 고정한 것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쓰임새가 있다. 즉 커텐봉걸이, 화분벽걸이 등에도 적용가능하다.7 is an example of using the present invention corner support for fixing the large screen to the corner of the corner of the screen 71, the corner support 70 is installed up and down to fix the screen 71 to this corner support. There are many other uses. That is, it can be applied to curtain rod hanger and flowerpot wall hanger.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의 지지대가 한 벽면을 이용하는 반면에 벽면의 모서리를 상하 또는 좌우로 하여 설치가 용이하다. 기존에는 벽면에 걸개 등을 설치하기 위해 못질을 하거나 접착제를 이용한 제품을 사용하였는데 못질을 하는 경우에는 벽에 구멍이 뚫려 후에 이사를 하거나 하는등의 이유로 걸개를 떼거나 옮길때 벽에 못질한 구멍이 그대로 남게되어 보기 흉하였고, 접착제를 이용한 제품인 경우 역시 걸개를 떼면 접착자국이 그대로 남아 보기 흉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벽에 못구멍이나 접착자국등을 남기지 않음으로써 모서리가 있기만 하다면 자유자재로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existing support uses one wall surface, the installation is easy by the top and bottom or left and right edges of the wall surface. In the past, nailing or adhesive-based products were used to install hooks on the wall. In the case of nailing, nail holes in the wall were removed when the hook was removed or moved, for example, due to a hole in the wall. It remained unsightly as it was, and in the case of a product using an adhesive, the adhesive marks remained unsightly after removing the hook.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freely as long as there are corners by not leaving nail holes or adhesive marks on the wall.

또한 못질이나 못구멍을 뚫는 작업은 힘없는 아이나 노인이 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지만 본 고안은 모서리에 고정시키고 볼트를 돌려 밀어내기만 하면 되므로 누구나 간편하게 쓸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nailing or drilling a hole for nails are difficult for a child or old man without power, bu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anyone can use simply because it is fixed to the corner and push the bolts.

또한, 지지대에 평판을 얹어 모서리에 간편하게 선반을 만들 수도 있으며 지지대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한뒤 그 사이에 다른 연결부재를 놓는등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make a shelf at the corner by placing a flat plate on the support, it is possible to use the application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installing the support at a certain interval and then placing other connecting members therebetween.

도 1은 종래 한쪽 벽면에 고정되는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upport fixed to the conventional one side wall.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코너 지지대의 분해도이다.2 is an exploded view of a corne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된 코너 지지대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corne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상기 도 3에서 코너 지지대를 A-A'축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rner supporter taken along the line AA ′ in FIG. 3.

도 5는 상기 도 2에서 발판의 다른 고정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other fixing structure of the scaffold in FIG.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코너지지대를 옷장에 적용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rne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loset.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코너지지대를 대형스크린에 적용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corne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large screen.

********도면2와 도면5의 부호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in FIGS. 2 and 5 **********

20 : 고무판, 21 : 발판20: rubber plate, 21: scaffold

22 : 삽관모재, 23 : 스크류부22: intubation base material, 23: screw portion

24 : 조절나사, 25 : 인입관모재24: adjusting screw, 25: inlet pipe base material

50 : 관모재, 51 : 유동발판50: tubular material, 51: flow scaffold

52 : 유동홈52: flow groove

Claims (6)

미끄럼방지를 위한 고무판(20)이 접착되며 조립홈(21-1)이 형성되어 있는 발판(21)과;A footrest 21 to which the rubber plate 20 for preventing slipping is bonded and the assembly groove 21-1 is formed; 상기 조립홈(21-1)에 조립고정되며 발판(21)에 소정의 경사를 주는 관절부(2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요철형상의 스크류부(23)가 형성되어 있는 삽관모재(22)와;An intubation base material 22 having a joint part 22-1 fixed to the assembly groove 21-1 and gi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o the footrest 21, and having an uneven screw part 23 formed therein. Wow; 상기 스크류부(23)와 회전조립되며 내경에 상기 스크류부(23)와 맞물리도록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하기 용이하도록 굵고 깊은 요철이 형성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조절나사(24)와;An adjustment screw (24) rotatably assembled with the screw part (23), the screw being formed to engage the screw part (23) in an inner diameter, and having a thick and deep unevenness formed to facilitate rotation; 상기 삽관모재(22)가 인입되며, 상기 조립홈(21-1)에 조립고정되며 발판(21)에 소정의 경사를 주는 관절부(22-1)가 형성되어 있는 인입관모재(25)The intubation base material 22 is drawn in, and the inlet pipe base material 25 having the joint part 22-1 which is assembled and fixed to the assembly groove 21-1 and gives a predetermined slope to the footrest 21 is formed.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너지지대.Corner support configured to inclu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삽관모재(22)는 상기 인입관모재(25)의 직경보다 작아서 단차가 형성되어, 인입관모재(25)가 조절나사(24)에 막히게 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지지대.The intubation base material 22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let pipe base material 25, so that a step is formed, and the inlet pipe base material 25 is blocked by the adjustment screw 24, so that the length adjustment is possible.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발판(21)은 벽면모서리의 상하 또는 좌우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지지대.The scaffolding 21 is a corner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install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of the wall edg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무판(20)은 미끄럼방지를 위한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재질의 고무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지지대.The rubber plate 20 is a corner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rubber plate or rubber material of the rubber material for slipp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발판(21)과 관절부(22-1)의 연결구조는,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ootrest 21 and the joint portion 22-1, 여의봉형상의 관모재(50)가 열쇠홈형상의 유동홈(52)이 형성되어 있는 유동발판(51)에 삽입되어 일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벽면에 부착되는 유동발판(51)에 기울기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는 코너지지대. The inclined bar-shaped tubular material 50 is inserted into the flow scaffold 51 in which the key groove-shaped flow groove 52 is formed and moved to one side, such that the inclination is formed on the flow scaffold 51 attached to the wall. Corner support. 제 1 항내지 제 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상기 발판의 옆면은 평평하며,The sides of the scaffold are flat, 상기 옆면 위에 놓여질수 있도록 평평하며 벽면의 모서리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한 개의 모서리를 갖는 평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지지대.And a flat plate having at least one edge so as to be flat on the side and coupled to the edge of the wall.
KR20-2005-0017066U 2005-06-14 2005-06-14 Support fixable to the corner of wall KR20039510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066U KR200395102Y1 (en) 2005-06-14 2005-06-14 Support fixable to the corner of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066U KR200395102Y1 (en) 2005-06-14 2005-06-14 Support fixable to the corner of w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102Y1 true KR200395102Y1 (en) 2005-09-07

Family

ID=43696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066U KR200395102Y1 (en) 2005-06-14 2005-06-14 Support fixable to the corner of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102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0271C (en) Over-the-door hanging apparatus
US20140305063A1 (en) Panel for Wall of a Set Building an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CA3039704A1 (en) Hanging device for siding members
KR200395102Y1 (en) Support fixable to the corner of wall
JP2006511745A5 (en)
US11647870B2 (en) Shower shelving system
KR101508282B1 (en) Clip for connection panel and panel having it
NO20034507L (en) Curtain walling frame
KR0134744B1 (e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KR101118522B1 (en) The surface of a wall - adhesion device of hanger
KR100759955B1 (en) A shelf for corner and installation method for thereof
WO2020070478A1 (en) Self supporting hook
JP7043347B2 (en) Simple structure
KR200411324Y1 (en) fabricated corner shelf
KR200310184Y1 (en) hanger
KR102055932B1 (en) A sectional shelf capable of installing pipe hanger
US20240110584A1 (en) Shmitchik
GB2385103A (en) Double ended fastener
KR102556837B1 (en) Hidden height adjusting device type for system furniture
US20220349521A1 (en) Support assembly and mounting system
KR200189538Y1 (en) Prop of ward robe for room wall sticking
JP2005240512A (en) Bathroom floor pedestal
CA2767601A1 (en) Ceiling tile suspension system
KR200315642Y1 (en) Wall tapestry
EP2344006A1 (en) Storage system comprising upright segments and joint pie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