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949Y1 - FlOWERING PLANTS STAND BY USED INDOOR DECORATION - Google Patents

FlOWERING PLANTS STAND BY USED INDOOR DECO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949Y1
KR200394949Y1 KR20-2005-0017515U KR20050017515U KR200394949Y1 KR 200394949 Y1 KR200394949 Y1 KR 200394949Y1 KR 20050017515 U KR20050017515 U KR 20050017515U KR 200394949 Y1 KR200394949 Y1 KR 2003949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ic plate
port
bottom plate
light emitting
transparent acry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51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경문
Original Assignee
우경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경문 filed Critical 우경문
Priority to KR20-2005-0017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94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9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949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가 개시된다. 본 고안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는 관상용 식물을 식재하거나 꽃을 꽂아 놓을 수 있는 화분 내지 화병의 기능과 더불어 조명수단을 포함하여 실내 장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과 특히 외벽을 이루는 투명아크릴판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아크릴판을 분리/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문구, 도형 내지 그림 등을 상기 투명아크릴판에 배면 인쇄를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발광수단을 상기 투명아크릴판의 밑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직접 식재된 식물이나 꽂아진 꽃을 조명하는 것이 아닌 투명아크릴판의 소재의 특성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조명을 가능한 특징이 있고,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의 발광수단을 냉음극형광램프(CCFL), 외부전극형광램프(EEFL) 및 발광다이오드(LED)를 이용하여 저전력소비, 경량화 및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화초를 식재하거나 꽃을 꽂을 수 있는 인테리어 소품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간접조명을 통해 장식적 효과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실내의 다른 소품들과 잘 어울릴 수 있는 효과 및 물받이 기능을 겸비한 받침부를 통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An indoor decorative flower stand is disclosed. The interior decoration flower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that can be used for interior decoration, including lighting means, as well as a function of a potted plant or a vase for planting an ornamental plant or inserting flowers, and in particular, includes a transparent acrylic plate forming an outer wall. And a structure capable of separating / combining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back-printing a desired phrase, figure or figure on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It is possible to indirectly illuminate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of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rather than illuminating directly planted plants or plugged flowers by placing it on the bottom of the acrylic plate, and in particular, The light emitting means is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 and light emitting diode (LED) Used is characterized by enabling low power consumption, light weight and small siz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interior accessory for planting flowers or inserting flowers, and maximizes the decorative effect through indirect lighting, and also supports the supporting part that combines with other small items in the room and drip function. It is easy to use through the effect.

Description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FlOWERING PLANTS STAND BY USED INDOOR DECORATION}Flower stand for interior decoration {FlOWERING PLANTS STAND BY USED INDOOR DECORATION}

본 고안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는 실내 장식용으로 이용되는 인테리어 소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상용 식물을 식재하거나 꽃을 꽂을 수 있는 인테리어 소품에 관한 것이다.The indoor design flower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ior accessory used for indoor decor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ior accessory that can plant ornamental plants or insert flowers.

생활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실내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건강에 대한 관심으로 산세베리아와 같은 공기 정화 식물 등과 허브와 같은 발향 식물을 실내에서 많이 기르고 있으며 또한 인테리어를 위해 관상용 식물 내지 꽃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In addition to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the interest in the interior is increasing day by day, and the concern for health is raising a lot of fragrance plants such as air purification plants such as San Seberia and herbs, and also a lot of ornamental plants or flowers for the interior. I use it.

공기 정화 식물이나 발향 식물 등은 일반적인 화분에서 기르고 있으며, 관상용 식물의 경우에도 소정의 깊이를 갖는 판상의 화분에 식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화분은 통상 소재로 구분하면 합성수지 화분, 도자기 화분, 토기 화분 및 목재 화분 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화분은 화초를 식재하기 위한 수단으로써의 기능만 존재할 뿐 인테리어적인 기능이 없다.Air purification plants and fragrance plants are grown in general pots, and in the case of ornamental plants, it is common to be planted in plate-shaped pots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Such flower pots are generally divided into materials, such as synthetic resin flowerpots, ceramic flowerpots, earthenware flowerpots and wooden flowerpots. However, these pots only have a function as a means for planting flowers, there is no interior function.

또한 상기와 같은 화분은 별도의 물받이를 요하므로 미관이 떨어지고 사용자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별도의 장치로써 의미가 없이 단지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수단으로만 이용되고 있으므로 식재된 식물이 죽는 경우 죽은 식물이 식재된 화분 통채로 버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종래의 화분은 일회성이 강하여 재사용되지 못해 쓰레기의 생산과 자원낭비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otted plants as described above need a separate drip, so the aesthetics fall and the user is uncomfortable, and as a separate device is used only as a means for planting plants without meaning, dead plants will die when planted plants die. It is common to throw away whole potted plants. Therefore, the conventional flowerpot is a one-time strong, can not be reused, there is a problem causing the production of waste and waste of resources.

꽃의 경우에도 통상적으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통상의 화병을 이용하며 이와 같은 화병은 화분에 비해 인테리어적인 기능은 좀 있으나, 화병 또한 꽃꽂이를 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 인테리어 소품이 되지는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화병은 통상 소재로 구분하면 합성수지 화병, 도자기 화병, 토기 화병 및 유리 화병 등으로 나뉜다.In the case of flowers, a conventional vase that can usually store water is used. Such a vase has some interior functions compared to a flower pot, but the vase is also a means for arranging flowers, but it is not an interior accessory. Such vases are usually divided into synthetic vases, ceramic vases, earthenware vases and glass vases.

따라서 종래 화분과 화병은 화초의 식재 내지 꽃꽂이를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이용될 뿐 인테리어적 기능이 없으므로 다른 인테리어 소품 등과 어울리지 못하는 문제점과 기본적인 화분 형상과 기본적인 화병 형상을 갖고 있어 모던한 이미지를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conventional flower pots and vases are used as a means for planting or arranging flowers, but because they do not have interior functions, they do not fit with other interior props, and they do not have a modern image because they have basic flowerpot shapes and basic vase shapes. There is this.

또한 식재된 식물 내지 꽃꽂이 된 꽃에 조명을 원할 경우 종래에는 화분 내지 화병 자체에 조명장치가 포함될 수 없어 별도의 조명장치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조명이 이루어지므로 설치가 번거롭고 오히려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과 직접 식재된 식물 내지 꽃꽂이 된 꽃에 직접 조명함으로 식재된 식물 내지 꽃에 않좋은 영향을 줌과 동시에 수분의 빠른 증발을 야기시킬 수 있고, 발광원이 사용자 눈에 직접 보일 수가 있어 사용자의 눈을 피곤하게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f you want to illuminate planted plants or flower arrangements, conventional lighting devices can not be included in the pots or vases themselves, so install a separate lighting device and illuminate through it, which is cumbersome to install and rather harms the beauty. By directly illuminating the plant or flower arrangement, it may adversely affect the plant or flower planted and cause rapid evaporation of moisture, and the light emitting source may be directly visible to the user's eyes, thereby making the user's eyes tir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또한 사용자가 문자, 도형 내지 이미지 등을 화분 내지 화병 등에 인쇄를 원하는 경우에도 화분 내지 화병 등에 문자, 도형 내지 이미지 등을 인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실크인쇄의 경우 화분 내지 화병 자체의 표면이 고르지 못해 원하는 인쇄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설령 인쇄를 하더라도 화분 내지 화병의 표면에 인쇄가 이루어지므로 인쇄된 것이 마찰 등으로 쉽게 지워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when a user wants to print a character, a figure, an image, or the like in a flower pot or a va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int the character, the figure, an image, etc. in a flower pot or a vas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silk print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sired printing is not made because the surface of the flowerpot or the vase itself is uneven. Even if printed, the printing is made on the surface of the flowerpot or the v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inted is easily erased by friction.

또한 제품의 외관을 투명아크릴판으로 형성한 제품 역시 외관 자체가 일체되어, 상기 일체로 형성된 투명아크릴판의 내부면에 인쇄를 하는 기계 등을 이용하여 인쇄작업을 할 수 없어 결국 배면인쇄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oduct formed by the appearance of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is also the appearance itself is integrated, it is not possible to print by using a machine for print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formed integrally, the back printing is not possible after all There is thi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화초를 식재하거나 꽃꽂이를 할 수 있어 화분과 화병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모던한 이미지를 제공하여 인테리어 소품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자체에 조명수단을 포함하여 식재된 식물 내지 꽃꽂이 된 꽃을 간접적으로 조명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도형 내지 이미지 등을 배면에 실크인쇄를 할 수 있어 고품질의 인쇄가 가능하고, 인쇄된 것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plant flowers or make flower arrangements, so that it can be used as a flower pot and a vase, and it can be used as an interior accessory by providing a modern image and lighting itself. Indirect lighting can be used to indirectly illuminate planted or flower arrangements, including means, and silk printing on the back of texts, figures, and images desired by the user, enabling high quality printing and maintaining prints for a long time.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pparatus.

상기와 같은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는 다각형 또는 원형 중 어느 하나의 평면 형태를 갖는 판형상으로 중앙에 관통부를 형성하고, 상면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갖는 턱을 일체로 형성한 바닥판; 소정의 길이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두개의 아크릴판삽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판에 수직으로 일체되어 형성한 다수의 아크릴판지지대; 상기 아크릴판지지대와 인접한 아크릴판지지대의 각각의 아크릴판삽입홈 사이에 삽입되고, 배면에 소정의 인쇄가 된 다수의 투명아크릴판; 상기 바닥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면적으로 중앙에 배수공이 형성된 하측면을 갖고, 상기 아크릴판지지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상측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화초를 식재하거나 꽃을 꽂을 수 있는 포트; 상기 포트의 배수공을 개폐하는 개폐수단; 상기 포트를 삽입하여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포트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한 포트 장착틀; 및 상기 바닥판의 하면과 결합/분리를 하며, 상기 바닥판의 관통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받을 수 있는 물받이부를 형성한 받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화병과 화분의 기능을 모두 갖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interior design flower stand for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the plate shape having a planar shape of any one of polygons or circles in the center and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A bottom plate integrally formed with a jaw; A plurality of acrylic plate support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ming two acrylic plate insertion grooves in a length direction,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plate vertically; A plurality of transparent acrylic plates inserted between the acrylic plate inserting grooves of the acrylic plate support and the adjacent acrylic plate support, and having a predetermined printing on the rear surface thereof; A port having a lower side with a drainage hole formed in the center with a relatively smaller area than the bottom plate, and having an upper side that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acrylic plate support, for planting flowers or inserting flowers;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hole of the port; A port mounting frame integrally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t a height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the port for inserting and mounting the port; And a support portion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a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forming a drip tray portion for receiv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portion of the bottom plate. The vase and the pot may have both functions. There is a characteristic.

또한, 조명을 위하여 상기 아크릴판지지대에 삽입된 투명아크릴판의 하단면과 접하는 위치에 형성된 발광수단설치공간; 상기 발광수단설치공간에 설치되는 발광수단; 및 상기 발광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means installation space form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inserted into the acrylic plate support for illumination; Light emitting means installed in the light emitting means installation space; And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light emitting means.

이때, 상기 발광수단은 냉음극형광램프(CCFL), 외부전극형광램프(EEFL) 및 발광다이오드(LE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means is any one of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a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또한, 상기 바닥판은 외측에서 관통부 방향으로 하방 경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ttom plate is made of a downward slope in the direction of the through portion from the outside;

이때, 상기 바닥판은 상면 중 상기 포트 장착틀이 형성된 면 이외의 면 중 상기 받침부의 물받이부와 통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한 다수의 구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bottom plate is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a position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drip tray portion of the base portion of the surface other than the surface of the port mounting frame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또한, 상기 아크릴판지지대는 상단면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과 결합/분리가 가능한 투명아크릴판 고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crylic plate support to form a coupling groove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fixing piece that can be combined / separated with the coupling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상기 포트는 내경면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포트를 사용자가 견인하기 위한 돌출걸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rt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protruding hanger for the user to pull the 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포트의 배수공과 일체로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된 캡 결합관; 상기 캡 결합관과 결합 또는 분리를 하여 상기 캡 결합관을 개폐하는 캡; 및 상기 캡 결합관에서 분리된 캡을 보관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부의 물받이부에 일체로 형성된 캡 보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a cap coupling pipe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ly integrally with the drain hole of the port; A cap that opens or closes the cap coupling tube by engaging or separating the cap coupling tube; And a cap storage part integrally formed with the drip tray part of the support part to keep the cap separated from the cap coupling pipe.

또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바닥판의 하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바닥판과 일체로된 받침부에 삽탈될 수 있는 수납 서랍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the drip tray part may be in the form of a storage drawer that may be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support part integrated with the bottom pla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interior decoration flower stand.

도 1은 본 고안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의 구성 및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부면을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갖는 턱(110)이 형성되고 주앙부위에 관통부(120)가 형성된 바닥판(10), 두개의 아크릴판삽입홈(210)이 형성된 다수의 아크릴판지지대(20), 다수의 투명아크릴판(30), 배수공(410)이 형성된 포트(40), 개폐수단(50), 포트 장착틀(60) 및 물받이부(710)가 형성된 받침부(70)로 구성된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interior design flower stand for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ttom plate 10 having a jaw 11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an outer surface and a through portion 120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two acrylic plate insertion grooves ( A plurality of acrylic plate support 20 is formed 210, a plurality of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the port 40 is formed with a drain hole 410, opening and closing means 50, the port mounting frame 60 and the drip tray 710 It is composed of a support portion 70 is formed.

상기 바닥판(10)은 원형, 삼각형 내지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판형상을 갖을 수 있다. 상기 바닥판(10)의 형상은 본 고안의 외관 형태를 결정한다. 즉 도 3 본 고안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의 바닥판 형상에 따른 본 고안의 형태를 실시예로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10)이 원형인 경우(a)에는 본 고안은 원기둥 형상을 하게 되고, 삼각형인 경우(b)에는 삼각기둥 형상을 하게 되고, 상기 바닥판(10)이 정사각형으로 된 경우(c)에는 본 고안은 정사각기둥 형상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닥판(10)의 외측면에는 상기 외측면을 따라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턱(110)을 갖고, 중앙부위에는 관통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턱(110)은 투명아크릴판(30)의 하단부를 감추는 역할 및 발광수단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관통부(120)는 상기 포트(40)의 배수공(41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받침부(70)의 물받이부(7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포트(40)의 배수공(410)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ttom plate 10 may have a plate shape of circular, triangular to square or polygonal. The shape of the bottom plate 10 determines the appearanc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when the bottom plate 10 is circular (a) as shown in the figure show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ottom plate of the plant stand for indoor deco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f the triangle (b) has a triangular prism shape, and the bottom plate 10 is a square (c), the subject innovation is a square pillar shape. 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 has a jaw 110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 along the outer surface, the through portion 120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The jaw 110 serves to hide the lower end of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and to provide a space for installing the light emitting means, the through part 120 is a drain hole 410 of the port 40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wider than the drain hole 410 of the port 40 to allow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it to be delivered to the drip tray 710 of the base 70.

이때 상기 바닥판(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의 외측에서 관통부(120) 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내려가는 경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관통부(120)가 바닥판(10)의 평면 위치보다 밑에 형성하여 바닥판(10)에 하방 경사를 줌으로써 바닥판(10)의 하면에 형성된 결로가 중력에 의해 흘러내려 받침부(70)의 물받이부(710)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bottom plate 10 is preferably made of an inclined downward downward from the outside of the bottom plate toward the through portion 120 direction. That is, the penetrating portion 120 is formed below the planar position of the bottom plate 10 so that the bottom plate 10 is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condensa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 flows down by gravity to support the portion 70. To fall to the drip tray 710 of the.

또한 상기 바닥판(10)은 상면 중 상기 포트 장착틀(60)이 형성된 면 이외의 면 중 상기 받침부(70)의 물받이부(710)와 통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한 다수의 구멍(13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구멍은 포트(40)에서 넘친 물 내지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청소 중에 부가된 물의 배수를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다수의 구멍(130)은 포트 장착틀(60)이 결합된 바닥판 중에서 포트 장착틀(60)의 외측에 해당하는 바닥판(10)의 면 중 상기 받침부(70)의 물받이부(710)로 배수를 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포트 장착틀(60)과 바닥판의 턱(110) 사이의 바닥판(10)에 고인 물을 받침부(70)로 배수한다. In addition, the bottom plate 10 has a plurality of holes 130 formed in a position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drip tray 710 of the support portion 70 of the surface other than the surface on which the port mounting frame 60 is forme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The plurality of holes are for drainage of excess water at port 40 or added water during cleaning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plurality of holes 130 are drip trays of the support part 70 of the bottom plate 10 of the bottom plate 10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port mounting frame 60 among the bottom plate to which the port mounting frame 60 is coupled ( 710 is formed at a position capable of drainage to drain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bottom plate 10 between the port mounting frame 60 and the jaw 110 of the bottom plate to the support unit 70.

상기 아크릴판지지대(20)는 상기 투명아크릴판(30)을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투명아크릴판(3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바닥판(10)과 수직으로 다수개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아크릴판지지대(20)의 갯수는 바닥판(10)이 원형인 경우는 두개 내지 네개가 형성되고,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경우에는 꼭지점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crylic plate support 20 is to support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at the same time to enable separation or bonding of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a plurality of vertically integrated with the bottom plate 10 Is formed. 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acrylic plate support 20 is the bottom plate 10 is formed in the case of a circular two to four, in the case of a polygon, such as a triangle, a square, a pentagon,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vertex.

즉, 바닥판(10)이 삼각형인 경우는 아크릴판지지대(20)가 세개가 되며, 사각형인 경우는 아크릴판지지대(20)가 네개가 되고, 오각형인 경우는 아크릴판지지대(20)가 다섯개가 된다. That is, when the bottom plate 10 is triangular, the acrylic plate support 20 is three, and in the case of a quadrilateral, the acrylic plate support 20 is four, and in the case of the pentagon, the acrylic plate support 20 is five. Becomes

이와 같이 바닥판(10)에 소정의 길이를 갖고 결합하는 아크릴판지지대(20)는 투명아크릴판(30)이 위에서 아래로 삽입될 수 있도록 두개의 아크릴판삽입홈(210)을 아크릴판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상면에서 부터 바닥판(10)에 이르기까지 형성한다. 따라서 투명아크릴판(30)은 아크릴판지지대(20)와 인접한 아크릴판지지대(20) 사이에서 각각의 아크릴판삽입홈(210)에 삽입되어 삽입된 투명아크릴판(30)의 상단면은 개방되고, 좌우 일부는 상기 아크릴판삽입홈(210)에 삽입되고, 하측 일부는 바닥판(10)의 턱(110)에 의해 가려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acrylic plate support 20 coupled to the bottom plate 10 with a predetermined length has two acrylic plate insertion grooves 210 formed thereon so that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can be inser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It forms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bottom plate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is inserted into each acrylic plate insertion groove 210 between the acrylic plate support 20 and the adjacent acrylic plate support 20, and the top surface of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inserted is opened. , The left and right portions are inserted into the acrylic plate insertion groove 210, and the lower portion is covered by the jaw 110 of the bottom plate 10.

결국 투명아크릴판(30)은 아크릴판지지대(20) 사이마다 삽입됨으로, 만일 아크릴판지지대(20)가 두개가 형성된 경우에는 투명아크릴판(30)이 두장 삽입되고, 아크릴판지지대(20)가 네개가 결합된 경우에는 투명아크릴판이 네장 삽입된다.After all,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is inserted between the acrylic plate support 20, if two acrylic plate support 20 is formed, two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is inserted, the acrylic plate support 20 When four are combined, four transparent acrylic plates are inserted.

또한, 상기 아크릴판지지대(20)는 아크릴판지지대(20)의 상단면에 결합홈(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과 결합/분리가 가능한 투명아크릴판 고정편(220)을 더 포함하여, 아크릴판지지대(20) 사이에 삽입된 투명아크릴판(30)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결합홈은 나사산이 형성된 홈으로 하고, 상기 투명아크릴판 고정편(220)은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홈에 결합할 수 있도록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위와 삽입된 투명아크릴판 부위를 덮을 수 있는 확장부위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crylic plate support 20 further includes a transparent acrylic plate fixing piece 220 that forms a coupling groove (not shown) on the top surface of the acrylic plate support 20 and can be combined / separated with the coupling groove. By doing so,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inserted between the acrylic plate support 20 is fixed. In this case, the coupling groove is a threaded groove, and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fixing piece 220 covers the coupling portion formed with the threaded portion and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portion inserted as shown to be coupled to the groove in which the thread is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sion portion can be made.

상기 투명아크릴판(30)은 판상의 통상 아크릴판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아크릴판지지대(20)에 형성된 아크릴판삽입홈(210)에 삽입되어 장착되어 본 고안의 투명 외벽을 형성한다.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is a plate-shaped normal acrylic plate is inserted into the acrylic plate insertion groove 210 formed in the acrylic plate support 20 as described above to form a transparent outer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투명아크릴판(30)은 아크릴판지지대(20)의 수만큼 존재하고, 이때 투명아크릴판(30)에는 소정의 문자, 도형, 이미지 내지 명화 등을 실크인쇄방법을 통해 상기 투명아크릴판(30)이 장착된 경우의 배면에 인쇄한다.Therefore,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 as many as the number of acrylic plate support 20, wherein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through the silk printing method for a predetermined letter, figure, image or painting, etc. It prints on the back surface when the acryl plate 30 is attached.

즉, 도 4 본 고안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의 투명아크릴판에 배면인쇄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아크릴판(30)의 전면에 인쇄를 하는 것이 아니라,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아크릴판(30)의 배면에 인쇄를 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인쇄물이 투명아크릴판(30)을 통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과 인쇄물의 수명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투명아크릴판(30)을 통해 사용자에게 인쇄물이 보이므로 보다 시각적으로 좋은 시감을 제공하고, 투명아크릴판(30)의 배면에 인쇄물이 위치하여 스크레치 등으로 인쇄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4 (a) of the figure for explaining that the back printed on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of the plant stand for interior deco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prin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As shown in 4 (b), the back of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is printed. This is to increase the life of the printed matter and to ensure that the printed matter is delivered to the user through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and the printed material is visible to the user through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to provide a better visual sense, transparent acrylic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inted matter from being damaged by the scratches and the like by placing the printed matt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plate 30.

즉, 본 고안은 투명아크릴판(30)에 소정의 문자, 도형, 이미지 내지 명화 등을 배면에 인쇄하고, 이를 아크릴판지지대(20)에 삽입하여 장착한다. 이때 상기 아크릴판지지대(20)에 삽입된 투명아크릴판(30)은 상기 투명아크릴판 고정편(2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ints a predetermined letter, figure, image or masterpiece, etc. on the back of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and inserts it into the acrylic plate support 20. In this case,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inserted into the acrylic plate support 20 may be fixed by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fixing piece 220.

따라서 상기 투명아크릴판(30)은 아크릴판지지대(20)에서 자유롭게 삽입 및 분리가 되어 사용자는 투명아크릴판(30)의 교체만으로 다양한 문자, 도형, 이미지 내지 명화 등을 본 고안에 이용할 수 가 있다. 예를 들면 금강산의 봄, 여름, 가을 및 겨울의 풍경 사진을 인쇄한 각각의 투명아크릴판(30)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계절의 금강산 풍경 사진이 인쇄된 투명아크릴판(30)의 교체하면서 이용이 가능하다. 즉 여름 풍경의 금강산 사진이 인쇄된 투명아크릴판(30)이 아크릴판지지대(20)에 삽입된 경우 이를 겨울 풍경의 금강산 사진으로 바꾸고 싶은 경우 겨울 풍경의 금강산 사진이 인쇄된 투명아크릴판과 상기 삽입된 여름 풍경의 금강산 사진이 인쇄된 투명아크릴판을 교체할 수 있다.Therefore,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is freely inserted and separated from the acrylic plate support 20, the user can use a variety of characters, figures, images or paint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by replacing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 For example, if there are respective transparent acrylic plates 30 which print landscape pictures of the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of Mt. Kumgang, the user may replace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s 30 on which the pictures of Mt. Available. In other words, if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printed with Mt. Kumgang photo of the summer landscape is inserted into the acrylic plate support 20, and wants to replace it with the Mount Kumgang photo of the winter landscape,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printed with Mt.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transparent acrylic board printed with pictures of Mt.

본 고안에서는 아크릴소재로 된 투명아크릴판으로 한정하고 있으나, 유리판 내지 기타 투명도가 있는 다양한 소재를 이용할 수가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a transparent acrylic plate made of an acrylic material, various materials having a glass plate or other transparency can be used.

상기 포트(40)는 화초를 식재하거나 꽃꽂이를 하기 위한 것으로 기둥형상으로 그 형태는 상측면은 개방되고, 개방되지 않은 하측면의 중앙에는 배수공(410)을 갖는다.The port 40 is for planting flowers or for arranging flowers, and has a columnar shape, the upper side of which is open, and a drain hole 410 in the center of the lower side, which is not opened.

이때 상기 포트(40)의 바닥판(10)으로 부터의 높이는 아크릴판지지대(20)와 투명아크릴판(30)으로 형성된 본 고안의 외벽의 높이보다 낮도록 한다. 즉 포트(40)의 높이는 아크릴판지지대(20)의 길이보다 작게 한다. 통상 포트(40)의 높이는 아크릴판지지대의 길이의 0.7배에서 0.9배 사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의 시각적 개방감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height from the bottom plate 10 of the port 40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outer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of the acrylic plate support 20 and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That is, the height of the port 40 is mad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acrylic plate support 20. In general, the height of the pot 40 is preferably between 0.7 and 0.9 times the length of the acrylic plate support. This is to increase the visual openness of the user.

이때 상기 포트(40)의 기둥형상은 다양한 기둥형상으로 할 수 가 있으나 바람직한 것은 상기 바닥판의 형상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10)이 사각형인 경우(c)에는 사각기둥형상으로 하고, 바닥판(10)이 원형인 경우(a)에는 원기둥형상으로 바닥판(10)이 삼각형인 경우(b)에는 삼각기둥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column shape of the port 40 may be a variety of columnar shape, but preferably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bottom plate. That is, as shown in FIG. 2, when the bottom plate 10 is rectangular (c), the bottom plate 1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when the bottom plate 10 is circular (a), the bottom plate 10 has a cylindrical shape. In the case of a triangle (b), it is preferable to have a triangular prism shape.

상기 개폐수단(50)은 상기 포트(40)의 배수공(410)을 개방하거나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포트(40)에 화초를 식재하는 경우에는 요하지를 않지만, 만일 상기 포트(40)에 꽃꽂이를 하는 경우에는 포트(40) 내부에 물을 저장하기 위해 포트(40)에 형성된 배수공(50)을 밀폐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와 같은 개폐수단(50)은 개방된 구멍을 밀폐할 수 있으며, 자유롭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다양한 소재와 형태를 할 수 있으며 어느 특정된 소재와 형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공에 삽입되어 상기 배수공을 밀폐하는 삽입돌기와 상기 포트의 하측면과 밀착되는 밀착면으로 된 형상을 하고, 실리콘 소재를 이용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50 is for opening or closing the drain hole 410 of the port 40, but is not required when planting flowers in the port 40, but if the flower arrangement in the port 40 In this case, it is used to close the drain hole 50 formed in the port 40 to store water in the port 40. Such opening and closing means 50 may seal the open hole, and can be freely coupled and separated various materials and forms that are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material and form, but as shown in the drain hole It is preferable to have a shape made of an insertion protrusion for inserting and sealing the drain hole and a close contact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ort, and using a silicon material.

또한, 상기 개폐수단(50)은 도 2 본 고안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의 개폐수단의 실시예의 형태를 보인 도면의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트(40)의 배수공과 일체되어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속된 캡 결합관(430)과 상기 캡 결합관(430)과 결합 또는 분리를 하여 상기 배수공과 연속된 캡 결합관(430)을 개폐하는 캡(510)과 상기 캡(510)이 분리된 경우 상기 분리된 캡(510)을 보관하기 위해 받침부의 물받이부(720) 내면에 일체로 형성된 캡 보관부(720)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50 is integral with the drain hole of the port 40 as shown in Figure 2 (a) of the figure showing the embodi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interior decoration flower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predetermined predetermined Cap 510 and the cap 510 to open and close the cap coupling pipe 430 and the cap coupling pipe 430 continuous by combining or separating the cap coupling pipe 430 and the cap coupling pipe 430 by the length of the When separated, the cap storage unit 7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drip tray 720 of the base to store the separated cap 510.

따라서 본 고안을 화병으로 사용할 경우는 상기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 결합관(430)에 캡(510)을 결합하여 상기 캡 결합관(430)을 폐쇄시키고, 여기에 물을 저장할 수 있고, 본 고안을 화분으로 사용할 경우는 상기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캡 결합관(430)에서 캡(510)을 분리하여 상기 캡 결합관(430)을 개방시켜 배수공을 통해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분리된 캡(51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분리된 캡(510)을 보관할 수 있는 캡 보관부(720)를 물받이부(710)의 내면에 형성하여 분리된 캡(510)의 분실을 방지한다.Therefore, when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s a vase as shown in FIG. 2 (a) by combining the cap 510 to the cap coupling pipe 430 to close the cap coupling pipe 430, to store water therei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flowerpot, as shown in FIG. 2 (b), the cap coupling pipe 430 is separated from the cap coupling pipe 430 to open the cap coupling pipe 430 through a drain hole. In order to allow water to be drained, and to prevent the loss of the separated cap 510, a cap storage unit 720 capable of storing the separated cap 51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rip tray 710 to separate the cap. The loss of the cap 510 is prevented.

즉, 캡(510)을 캡 결합관(430)에 결합하면, 본 고안은 화병의 기능을 하고, 캡(510)을 캡 보관부(720)에 결합하면, 본 고안은 화분의 기능을 한다. That is, when the cap 510 is coupled to the cap coupling pipe 430, the subject innovation functions as a vase, and when the cap 510 is coupled to the cap storage portion 720, the subject innovation functions as a pot.

이때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 결합관(430)이 하방으로 돌출된 포트(40)는 상기 포트(40)를 포트 장착틀(60)에서 분리하여 놓을 때, 상기 돌출된 캡 결합관(430)에 의해 상기 포트(40)가 중심을 잡기 어려워 쉽게 넘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은 보조다리(4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캡 결합관(430)이 형성된 포트(40)의 경우 포트 장착틀(6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보조다리(440)에 의해 지지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when the cap coupling pipe 430 protrudes downward from the port 40 when the port 40 is separated from the port mounting frame 60, the protruding cap coupling pipe ( 430 has a problem that the port 40 is difficult to center and easily falls, an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leg 440 as shown in order to prevent this.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ort 40 having the cap coupling pipe 430 is separated from the port mounting frame 60 is supported by the auxiliary leg 440.

또한, 상기 포트(40)는 내경면 상측 즉 내측 벽면의 윗 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걸이(4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돌출걸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릴 수 있도록 포트(40)의 내측 벽면에서 돌출된 형상의 것으로 포트(40)가 포트 장착틀(60)에 장착된 경우 사용자가 포트(40)를 쉽게 견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port 40 further includes a protruding hook 420 as shown above the inner diameter surface, 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wall surface. The protruding hanger is shap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of the port 40 so that a user's finger can be caught so that the user easily pulls the port 40 when the port 40 is mounted to the port mounting frame 60. For sake.

상기 포트 장착틀(60)은 상기 바닥판(10)의 상면 중앙부위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포트(40)가 삽입되어 상기 삽입된 포트(40)가 상기 바닥판의 상면 중앙부위에서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포트 장착틀(60)은 상기 포트(40)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갖으므로 상기 포트(40)와 동일한 기둥형상으로 상측면이 개방된 통 형태를 갖는다. 즉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트(40)가 원형인 경우(a)에는 포트 장착틀(60) 역시 원형의 기둥형상을 하고, 포트(40)가 사각형인 경우(c)에는 포트 장착틀(60) 역시 사각형의 기둥형상을 하고, 포트(40)가 삼각형인 경우(b)에는 포트 장착틀(60) 역시 삼각형의 기둥형상을 한다. 이때 상기 포트 장착틀(60)의 높이는 상기 포트(40)의 높이에 1배 이하 내지 0.2배 이상의 높이를 갖는다. 즉 상기 포트 장착틀(60)의 바닥판에 대한 수직방향의 길이는 상기 포트 장착틀(60)에 포트(40)가 삽입되어 장착된 경우 포트 장착틀(60)과 포트(40)의 높이가 같거나 포트(40)에 비해 높이가 낮은 길이를 갖는다. 그러나 이때 포트 장착틀(60)의 상기 길이는 최소한 포트(40) 길이의 0.2배 이상으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장치가 기울어졌을 때 포트 장착틀(60)에서 포트(40)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The port mounting frame 60 is integrally formed at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10 so that the port 40 is inserted so that the inserted port 40 can be positioned at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It plays a role. Therefore, since the port mounting frame 60 has a shape in which the port 40 can be inserted, the port mounting frame 60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upper side is opened in the same column shape as the port 40. That is, as shown in FIG. 3, when the port 40 is circular (a), the port mounting frame 60 also has a circular columnar shape, and when the port 40 is rectangular (c), the port mounting frame is (60) also has a rectangular columnar shape, and if the port 40 is a triangle (b), the port mounting frame 60 also has a triangular columnar shape.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port mounting frame 60 has a height of less than 1 times to 0.2 times the height of the port 40. That is,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ttom plate of the port mounting frame 60 is the height of the port mounting frame 60 and the port 40 when the port 40 is inserted into the port mounting frame 60. Have a length that is the same or lower in height than the port 40. However, the length of the port mounting frame 60 is at least 0.2 times the length of the port 40 so that the port 40 does not fall out of the port mounting frame 60 whe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ilted.

상기 받침부(70)는 상기 바닥판(10)의 하면과 결합/분리를 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상기 바닥판(10)의 관통부(12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받을 수 있는 물받이부(710)를 갖음으로 본 고안의 받침 역할과 물받이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The support part 70 has a structure capable of engaging / separating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 and a drip tray part receiv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part 120 of the bottom plate 10. Having a 710 serves as a support and a drip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받침부(70)는 상기 바닥판(10)의 하면과 결합 내지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본 고안의 받침 역할을 함과 동시에 내부에 물을 받을 수 있는 물받이부(710)가 형성되어 상기 포트(40)의 배수공(410)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바닥판(10)의 관통부(120)를 관통한 물을 받는 물받이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받침부(70)에 물이 고인 경우 바닥판(10)에서 받침부(70)를 분리하여 상기 물받이부(710)에 고인 물을 버릴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부(70)의 형상은 전체적인 일체감을 주기 위해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10)이 원형인 경우(a)에는 상기 받침부(70)는 원형의 기둥형상을 하고, 상기 바닥판(10)이 삼각형인 경우(b)에는 상기 받침부(70) 역시 삼각형의 기둥형상을 하고, 상기 바닥판(10)이 사각형인 경우(c)에는 상기 받침부(70) 역시 사각형의 기둥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support portion 7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 to enable the separation or serving as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water receiving portion 710 that can receive water therein is formed in the port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hole 410 of the 40 serves as a drip tray receiving the water penetrating the through part 120 of the bottom plate 10. Therefore, when the water accumulates in the support part 70, the user may separate the support part 70 from the bottom plate 10 and discard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water support part 710. At this time, when the bottom plate 10 is circular (a), as shown in FIG. 2, the shape of the support part 70 has a circular columnar shape. When the bottom plate 10 is a triangle (b), the supporting portion 70 also has a triangular pillar shape, and when the bottom plate 10 is a quadrangle (c), the supporting portion 70 is also rectangular. It is preferable to have a columnar shape of.

또한, 상기 받침부(70)는 사용자의 물버림 행위의 편의를 위해 상기 바닥판의 하면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물받이부(710)를 상기 받침부(70)에서 삽탈이 가능하도록 수납 서랍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받침부의 물받이부를 수납 서랍 형태로 바닥판의 하면과 일체로 형성된 받침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받침부에서 상기 수납 서랍 형태의 물받이부를 분리하여 고인 물을 버릴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7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s watering action, and the storage drawer shape to allow the drip tray 710 to be removable from the support portion 70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at is, the drip tray part of the support part can be stored in the support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in the form of a storage drawer so that the user can separate the water drawer part of the storage drawer form from the support part and discard the accumulated water.

즉, 도 5 본 고안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의 받침부의 수납 서랍 형태의 물받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부(70)를 바닥판(10)에 일체로 형성하고, 일면은 개방시키고 상기 개방된 면으로 수납 서랍 형태의 물받이부(710)가 삽탈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받이부(710)에 고인 물의 퇴수를 원하는 경우 상기 물받이부(710)를 받침부(70)에 분리하여 퇴수한 후 상기 물받이부(710)를 받침부(70)에 결합한다. 즉, 도 6 본 고안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의 받침부(70)에 수납 서랍 형태의 물받이부(710)가 형성된 실시 형태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That is, Figure 5 as shown in the figure for explaining the water drawer in the shape of the storage drawer of the base of the plant stand for interior deco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7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plate 10, one side is opened and The drip tray 710 in the form of a storage drawer can be inserted into the open surface. Therefore, when the user wants to withdraw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drip tray 710, the drip tray 710 is separated from the drip tray 70 and discharged, and then the drip tray 710 is coupled to the drip tray 70. That is, FIG. 6 has a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drip tray part 710 in the form of a storage drawer is formed on the support part 70 of the interior decoration flower stand.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발광수단이 부가된 본 고안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interior decoration flower stand with the light emitting means is added throug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7은 본 고안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태드에 발광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는 상기 투명아크릴판(30)의 하단면과 접하는 상기 바닥판(10)의 위치에 발광수단(8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아크릴판지지대에 삽입된 투명아크릴판의 하단면과 접하는 위치에 형성된 발광수단설치공간(150), 상기 발광수단설치공간(150)에 설치되는 발광수단(80) 및 상기 발광수단(80)을 구동하는 구동수단(90)으로 이루어진다.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light emitting means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decoration flower stand for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7, the inventive interior decoration flower stand is the acrylic plate support so that the light emitting means 80 may be installed at the position of the bottom plate 10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Light emitting means installation space 150 form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inserted into the light emitting means 80 and the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light emitting means 80 installed in the light emitting means installation space 150 It consists of 90.

상기 발광수단설치공간(150)은 바닥판(10)의 상면과 바닥판(10)에 형성된 턱(110)의 배면 및 아크릴판지지대(20)에 삽입된 투명아크릴판(30)의 하단면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아크릴판삽입홈(210)은 바닥판(10)의 상면까지 형성되지 않고, 바닥판(10)의 턱(110)의 높이보다는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턱(110)의 높이보다는 낮은 높이(H)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공간에 발광수단(80)을 설치한다. 따라서 발광수단(80)에서 발광된 빛은 투명아크릴판(30)의 하단면으로 입사하여 상기 투명아크릴판(30)을 관통하여 상단면으로 발광된 빛이 나온다. 따라서 간접 조명이 이루어진다.The light emitting means installation space 150 i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 and the bottom of the jaw 110 formed on the bottom plate 10 and the acrylic plate support 20. Is formed by. Therefore, the acrylic plate insertion groove 210 is not form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 it is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jaw 110 of the bottom plate 10. Therefore, a space having a height (H)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jaw 110 is formed, and the light emitting means 80 is installed in the space thus formed. Therefor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80 is inciden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and passes through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to emit light emitted to the upper surface. Indirect lighting is thus achieved.

즉, 도 8 본 고안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에 발광수단이 설치된 예를 보이기 위한 도면의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10)이 사각형인 경우 발광수단(80)을 도시한 바와 같이 네면의 바닥판(10)의 턱(110) 배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렬로 결선하여 설치한다. 이때 발광수단(80)에 연결되는 전선은 전선배출공(14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온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투명아크릴판(30)을 아크릴판지지대(20)의 아크릴판삽입홈(210)에 삽입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8 (a) of the drawing for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eans is installed on the indoor decorative flower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means 80 when the bottom plate 10 is a quadrangle as shown As shown in the figure, the wiring is installed in series as shown in the rear surface of the jaw 110 of the bottom plate 10 of the four sides. At this time, the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means 80 exits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 discharge hole 140. In this state,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is inserted into the acrylic plate insertion groove 210 of the acrylic plate support 20.

따라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가 되어 발광수단(80)이 발광을 하면, 발광된 빛은 투명아크릴판(30)의 상단면으로 나온다.Therefore, when the light emitting means 80 emits light as shown in FIG. 8 (b), the emitted light is emitted to the top surface of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30.

이때, 상기 발광수단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냉음극형광램프(CCFL), 외부전극형광램프(EEFL) 및 발광다이오드(LED)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발광수단(80)을 저전력 소모, 소형화 및 경량화를 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ight emitting means is to use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a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to make the light emitting means 80 low power consumption, miniaturization and lightweight can do.

상기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ourscent Lamp, CCFL) 내지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ourscent Lanm, EEFL) 및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s of the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to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will be omitted.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발광수단(80)이 설치된 발광수단설치공간(150)에 방수 내지 방진을 위해 에폭시 수지를 충전하여 방수/방진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preferable to form a waterproof / dustproof layer by filling an epoxy resin for waterproofing or dustproofing in the light emitting means installation space 150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eans 80 is installed.

상기 구동수단(90)은 상기 발광수단(80)을 구동하기 위한 통상의 전자회로로 외부 전원 즉 일반 110V 내지 220V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발광수단(80)을 발광시키는 장치를 일컫는다. 따라서 상기 구동수단(90)은 어느 특정된 발광수단의 구동장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에 설치된 발광수단(80)을 구동할 수 있는 통상의 구동장치로 한다.The driving means 90 refers to a device that emits the light emitting means 80 by receiving an external power source, that is, a power of 110V to 220V, as a general electronic circuit for driving the light emitting means 80. Therefore, the driving means 90 is not limited to the driving device of any specific light emitting means, and is a conventional driving device capable of driving the light emitting means 80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는 종래 화분과 화병이 각각 화분 내지 화병으로써의 단순한 기능만을 갖고 있고, 인테리어적인 기능이 없었던 것에 반해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화분 또는 화병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인테리어 소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실내 장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와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1회 사용으로 버려지는 화분 및 화병의 쓰레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rior design flower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function as a flowerpot or a vase, respectively, the conventional flowerpots and vases, whereas the interior function does not have an interior function, the present design is basically a user can use as a flowerpot or a vase The effect of providing interior props can be used for interior decoration and repeated use, thereby reducing the waste of flower pots and vases discarded by single use.

또한, 본 고안의 외벽을 형성하는 투명아크릴판을 하나의 원기둥, 삼각기둥 내지 사각기둥의 형상을 일체된 형태로 하지않고 이를 동일하게 절단된 형태로 하여 인쇄장비를 이용하여 투명아크릴판의 배면에 인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forming the outer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single cylinder, a triangular prism or a square pillar in the form of a single cut, and is cut in the same manner to the back of the transparent acrylic sheet using a printing equipment. Printable effect is possible.

또한, 인쇄물이 배면에 인쇄된 투명아크릴판을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내지 이미지 등을 직접 인쇄하여 본 고안에 설치하거나 원하는 인쇄물이 인쇄된 투명아크릴판으로 교체 설치하여 이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inted material has a structure that can replace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printed on the back, the user directly prints the desired character or image, etc.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or installed by replacing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printed with the desired printed material There is an effect available.

또한, 발광수단을 자체 내에 설치함으로써 간접 조명을 하여 식재된 식물 내지 꽃꽂이된 꽃에 나뿐 영향을 주지않으면서 조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light emitting means in itself, indirect lighting has an effect that can be illuminated without affecting only plants or flower arrangements planted.

또한, 수납 서랍 형태의 물받이부를 통하여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use through the drip tray in the form of a storage drawer.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 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examples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It is natural.

도 1은 본 고안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의 구성 및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interior design flower stand for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의 개폐수단의 실시예의 형태를 보인 도면.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form of an embodi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interior decoration flower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의 바닥판 형상에 따른 본 고안의 형태를 실시예로 보인 도면.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ottom plate of the indoor decoration flower stand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의 투명아크릴판에 배면인쇄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back printed on a transparent acrylic plate of the interior decoration flower stand for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의 받침부의 수납 서랍 형태의 물받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ure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water drawer in the form of a storage drawer of the base portion of the interior decoration flower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의 받침부에 수납 서랍 형태의 물받이부가 형성된 실시 형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 Figure 6 is a view for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drip tray in the form of a storage drawer formed in the base of the plant stand for interior deco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에 발광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light emitting means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decoration flower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에 발광수단이 설치된 예를 보이기 위한 도면.Figure 8 is a view for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eans is installed on the indoor decoration flower stan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바닥판 20 : 아크릴판지지대10: bottom plate 20: acrylic plate support

30 : 투명아크릴판 40 : 포트30: transparent acrylic plate 40: pot

50 : 개폐수단 60 : 포트 장착틀50: opening and closing means 60: port mounting frame

70 : 받침부 80 : 발광수단70: support portion 80: light emitting means

90 : 구동수단90: drive means

110 : 턱 120 : 관통부110: jaw 120: through part

130 : 구멍 140 : 전선배출공130: hole 140: wire discharge hole

210 : 아크릴판삽입홈 220 : 투명아크릴판 고정편210: acrylic plate insertion groove 220: transparent acrylic plate fixing piece

410 : 배수공 420 : 돌출걸이410: drain hole 420: protruding hook

430 : 캡 결합관 440 : 보조다리430: cap coupling pipe 440: secondary leg

510 : 캡 710 : 물받이부510: cap 710: drip tray

720 : 캡 보관부720: cap storage

Claims (9)

다각형 또는 원형 중 어느 하나의 평면 형태를 갖는 판형상으로 중앙에 관통부를 형성하고, 상면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갖는 턱을 일체로 형성한 바닥판;A bottom plate which has a through-shaped portion in the center in a plate shape having a planar shape of a polygon or a circle, and integrally formed a jaw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소정의 길이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두 개의 아크릴판삽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판에 수직으로 일체되어 형성한 다수의 아크릴판지지대;A plurality of acrylic plate support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ming two acrylic plate insertion grooves in a length direction,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plate vertically; 상기 아크릴판지지대와 인접한 아크릴판지지대의 각각의 아크릴판삽입홈 사이에 삽입되고, 배면에 소정의 인쇄가 된 다수의 투명아크릴판;A plurality of transparent acrylic plates inserted between the acrylic plate inserting grooves of the acrylic plate support and the adjacent acrylic plate support, and having a predetermined printing on the rear surface thereof; 상기 바닥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면적으로 중앙에 배수공이 형성된 하측면을 갖고, 상기 아크릴판지지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상측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화초를 식재하거나 꽃을 꽂을 수 있는 포트;A port having a lower side with a drainage hole formed in the center with a relatively smaller area than the bottom plate, and having an upper side that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acrylic plate support, for planting flowers or inserting flowers; 상기 포트의 배수공을 개폐하는 개폐수단;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hole of the port; 상기 포트를 삽입하여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포트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한 포트 장착틀; 및 A port mounting frame integrally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t a height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the port for inserting and mounting the port; And 상기 바닥판의 하면과 결합/분리를 하며, 상기 바닥판의 관통부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받을 수 있는 물받이부를 형성한 받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And a support portion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he support portion forming a drip tray portion for receiv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portion of the bottom pl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아크릴판지지대에 삽입된 투명아크릴판의 하단면과 접하는 위치에 형성된 발광수단설치공간;A light emitting means installation space form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parent acrylic plate inserted into the acrylic plate support; 상기 발광수단설치공간에 설치되는 발광수단; 및Light emitting means installed in the light emitting means installation space; And 상기 발광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And a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light emitting mea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ight emitting means 냉음극형광램프(CCFL), 외부전극형광램프(EEFL) 및 발광다이오드(LE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It is any one of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a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ottom plate 외측에서 관통부 방향으로 하방 경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It is made of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penetrating portion from the outside; Indoor decorative flower stand.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The method of claim 1 or 4, wherein the bottom plate is 상면 중 상기 포트 장착틀이 형성된 면 이외의 면 중 상기 받침부의 물받이부와 통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한 다수의 구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And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a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receiving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mong the surfaces other than the surface on which the port mounting frame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판지지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crylic plate support 상단면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과 결합/분리가 가능한 투명아크릴판 고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Forming a coupling groove on the top surface, a transparent acrylic plate fixing piece that can be combined / separated with the coupling groove; Indoor decorative flower stand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Th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port is 내경면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포트를 사용자가 견인하기 위한 돌출걸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It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urface protruding hanger for towing the port by the user; Indoor decorative flower stand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상기 포트의 배수공과 일체로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된 캡 결합관; 상기 캡 결합관과 결합 또는 분리를 하여 상기 캡 결합관을 개폐하는 캡; 및A cap coupling tube integrally formed with a drain hole of the port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A cap that opens or closes the cap coupling tube by engaging or separating the cap coupling tube; And 상기 캡 결합관에서 분리된 캡을 보관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부의 물받이부에 일체로 형성된 캡 보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And a cap storage unit formed integrally with the drip tray part of the support part to store the cap separated from the cap coupling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portion 상기 바닥판의 하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바닥판과 일체로된 받침부에 삽탈될 수 있는 수납 서랍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he drip tray is in the form of a storage drawer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base portion integral with the bottom plate; Indoor decorative flower stand, characterized in that.
KR20-2005-0017515U 2005-06-17 2005-06-17 FlOWERING PLANTS STAND BY USED INDOOR DECORATION KR20039494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515U KR200394949Y1 (en) 2005-06-17 2005-06-17 FlOWERING PLANTS STAND BY USED INDOOR DECO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515U KR200394949Y1 (en) 2005-06-17 2005-06-17 FlOWERING PLANTS STAND BY USED INDOOR DECORA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282A Division KR100654895B1 (en) 2005-06-17 2005-06-17 Flowering plants stand by used indoor deco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949Y1 true KR200394949Y1 (en) 2005-09-07

Family

ID=43696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515U KR200394949Y1 (en) 2005-06-17 2005-06-17 FlOWERING PLANTS STAND BY USED INDOOR DECO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949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790B1 (en) 2018-01-30 2018-07-25 (주)씨에스이엔엘 an image changeable lighting stand
KR102425568B1 (en) 2021-09-29 2022-07-27 허미숙 Appratus for supporting interior lighting flowerpot
KR102492267B1 (en) 2021-08-06 2023-01-27 (주)하톤 Appratus for supporting interior lighting flowerpo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790B1 (en) 2018-01-30 2018-07-25 (주)씨에스이엔엘 an image changeable lighting stand
KR102492267B1 (en) 2021-08-06 2023-01-27 (주)하톤 Appratus for supporting interior lighting flowerpot
KR102425568B1 (en) 2021-09-29 2022-07-27 허미숙 Appratus for supporting interior lighting flowerp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26706Y (en) Multifunctional water culture device
GB2369981A (en) Horticultural chamber
KR200394949Y1 (en) FlOWERING PLANTS STAND BY USED INDOOR DECORATION
KR100654895B1 (en) Flowering plants stand by used indoor decoration
KR20070094676A (en) Luminescent flowerpot
KR101043719B1 (en) Flowerpot block with a advertising function
KR20080006233U (en) Indoor and outdoor pollen with emit light
KR100626998B1 (en) Flowerpot for decoration
JP3416765B2 (en) Container and hoisting device with flower arrangement, flower pot, artificial flower basket
CN203692034U (en) Aerial hanging cultivation flowerpot and droplight and flowerpot combination adopting flowerpot
KR200397179Y1 (en) Flowerpot for decoration
KR20080102485A (en) Double flowerpot for decorating
KR100407912B1 (en) Flowerpot having advertisement means
CN217905314U (en) Novel landscape flower bed
KR200482118Y1 (en) Light flowerpot for decoration
KR200437492Y1 (en) The wall mounted type picture frame in which an aquarium and flowerpot are equipped
CN215650322U (en) Wall-mounted vase
JP3160511U (en) Light-up device with LED from inside of pots, cut flowers, etc.
CN104180253A (en) LED gardening wall lamp
JP6067393B2 (en) Plant breeding container
CN209030794U (en) A kind of Table top hydroponics greenhouse
CN114646035B (en) Park landscape lamp
CN213757573U (en) A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of flowers for landscape garden
CN206890195U (en) Plant desk lamp
RU72832U1 (en) TRANSPARENT COOKWARE BASKET WITH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