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812Y1 - 미역채묘틀 - Google Patents

미역채묘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812Y1
KR200394812Y1 KR20-2005-0015570U KR20050015570U KR200394812Y1 KR 200394812 Y1 KR200394812 Y1 KR 200394812Y1 KR 20050015570 U KR20050015570 U KR 20050015570U KR 200394812 Y1 KR200394812 Y1 KR 2003948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seaweed
seedling
threa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5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춘
문 식 공
Original Assignee
최형춘
문 식 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69596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94812(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최형춘, 문 식 공 filed Critical 최형춘
Priority to KR20-2005-00155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8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8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8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채묘사를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한 미역채묘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몸체의 각 지지봉의 사이에 채묘사를 감고 상판의 결합구멍을 몸체의 결합봉에 끼워 고정시 몸체와 상판에 형성된 침봉이 채묘사에 꽂히도록하여 채묘사를 고정시키게 된 미역채묘틀이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침이 꽂힌 채묘사부분이 약간씩 움직이게되어 견고한 고정상태로 유지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몸체(1)의 돌편(1A(1B)에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봉(101)(101')과 돌기(102)(102')를 형성하여 각 지지봉(101)(101')의 사이에는 채묘사(3)를 감을 수 있도록하고 몸체(1)의 결합봉(1')에는 상판(2)의 결합구멍(2')을 끼워 결합시킬 수 한 채묘틀에 있어서 돌편(1A)(1B)의 사이에는 중간돌편(1C)을 형성하고 상판(2)에는 수개의 누름판(2A)(2B)(2C)(2D)을 형성하여 채묘사(3)를 지그재그로 눌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한 미역채묘틀을 제공할 수 있도록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미역채묘틀{FARMING FRAME WORK OF BROWN SEAWEED}
본 고안은 채묘사를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한 미역채묘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채묘사에 부착되어 있는 어린미역엽체가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함과 아울러 어린미역엽체의 성장에 필요한 개뻘 등의 부유물의 부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하기 위하여 채묘사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채묘틀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한 미역채묘틀이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1992-0005542호로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몸체(10)의 각 지지봉(100)의 사이에 채묘사(3)를 감고 상판(20)의 결합구멍(20')을 몸체(10)의 결합봉(10')에 끼워 고정시 몸체(10)와 상판(20)에 형성된 침봉(1-1)(2-1)이 채묘사에 꽂히도록하여 채묘사(3)를 고정시키게 된 것이므로 채묘사(3)가 실로 꼬아서된 것이다보니 침(1-1)(2-1)이 꽂힌 채묘사(3)부분이 약간씩 움직이게되어 견고한 고정상태로 유지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몸체(1)의 돌편(1A(1B)에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봉(101)(101')과 돌기(102)(102')를 형성하여 각 지지봉(101) (101')의 사이에는 채묘사(3)를 감을 수 있도록하고 몸체(1)의 결합봉(1')에는 상판(2)의 결합구멍(2')을 끼워 결합시킬 수 한 채묘틀에 있어서 돌편(1A)(1B)의 사이에는 중간돌편(1C)을 형성하고 상판(2)에는 수개의 누름판(2A)(2B)(2C)(2D)을 형성하여 채묘사(3)를 지그재그로 눌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한 미역채묘틀을 제공할 수 있도록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중요부분의 단면도로서
도1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1)의 돌편(1A)(1B)에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봉(101)(101')과 돌기(102)(102')를 형성하여 각 지지봉(101)(101')의 사이에는 채묘사(3)를 감을 수 있도록하고 몸체(1)의 결합봉(1')에는 상판(2)의 결합구멍(2')을 끼워 결합시킬 수 있도록한 채묘틀에 있어서 돌편(1A)(1B)의 사이에는 중간돌편(1C)을 형성하고 상판(2)에는 수개의 누름판(2A)(2B)(2C)(2D)을 형성하여 채묘사(3)를 지그재그로 눌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몸체(1)의 지지봉(101)(101')의 사이에 채묘사(3)를 감고 몸체(1)의 결합봉(1')에 상판(2)의 결합구멍(2')을 끼워 고정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판(2)을 눌러 고정하게 되면 몸체(1)에 형성된 돌편(1A)(1B)의 돌기(102)(102')와 중간돌편(1C) 및 상판(2)의 누름판(2A)(2B)(2C)(2D)에 의하여 채묘사(3)는 도2에 도시된 바와 지그재그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에따라 심한조류나 파도 등에도 유동되지 않게되어 채묘사에 부착된 미역엽체나 미역엽체의 성장에 필요한 부유물질이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몸체(1)에 형성된 돌편(1A)(1B)의 돌기(102)(102')와 중간돌편(1C) 및 상판(2)의 누름판(2A)(2B)(2C)(2D)에 의하여 채묘사(3)를 지그재그로 고정하게 됨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부단면도
도3은 종래제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몸체 2 상판
1' 결합봉 2' 결합구멍
1A, 1B 돌편 2A, 2B, 2C, 2D 누름판
1C 중간돌편 3 채묘사
101, 101' 지지봉

Claims (1)

  1. 몸체(1)의 돌편(1A)(1B)에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봉(101)(101')과 돌기(102)(102')를 형성하여 각 지지봉(101)(101')의 사이에는 채묘사(3)를 감을 수 있도록하고 몸체(1)의 결합봉(1')에는 상판(2)의 결합구멍(2')을 끼워 결합시킬 수 있도록한 채묘틀에 있어서 돌편(1A)(1B)의 사이에는 중간돌편(1C)을 형성하고 상판(2)에는 수개의 누름판(2A)(2B)(2C)(2D)을 형성하여 채묘사(3)를 지그재그로 눌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 미역채묘틀.
KR20-2005-0015570U 2005-06-01 2005-06-01 미역채묘틀 KR2003948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570U KR200394812Y1 (ko) 2005-06-01 2005-06-01 미역채묘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570U KR200394812Y1 (ko) 2005-06-01 2005-06-01 미역채묘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812Y1 true KR200394812Y1 (ko) 2005-09-07

Family

ID=4369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570U KR200394812Y1 (ko) 2005-06-01 2005-06-01 미역채묘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81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297B1 (ko) * 2009-12-18 2010-08-20 박영태 미역 채묘틀
KR200451216Y1 (ko) * 2008-11-12 2010-12-02 지 혁 최 해초 양식용 채묘 틀
KR101934441B1 (ko) * 2016-04-15 2019-01-02 조수현 해초 양식용 채묘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216Y1 (ko) * 2008-11-12 2010-12-02 지 혁 최 해초 양식용 채묘 틀
KR100971297B1 (ko) * 2009-12-18 2010-08-20 박영태 미역 채묘틀
KR101934441B1 (ko) * 2016-04-15 2019-01-02 조수현 해초 양식용 채묘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4812Y1 (ko) 미역채묘틀
KR100520887B1 (ko) 합성틀을 이용한 공동주택 단지 조경 울타리 시공 구조
CN206289055U (zh) 一种生态浮床
CN202750521U (zh) 多层园艺花盆
CN108720467B (zh) 一种墙壁式绿化花架
CN205773648U (zh) 一种人工生态浮岛
CN109566386A (zh) 一种苦苣菜快速种植装置及其种植方法
CN215454351U (zh) 一种园林景观绿化树木支撑装置
CN210120815U (zh) 一种园林水生植物浮岛式栽培装置
KR200365194Y1 (ko) 전복양식용조립식파형쉘터구조
CN201789807U (zh) 水上种植浮床
KR100629952B1 (ko)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CN218550722U (zh) 一种水生植物培育装置
CN212306339U (zh) 一种园林施工用新型幼树移植辅助装置
CN213306475U (zh) 一种可循环使用的深根窄口苗育苗器
CN218604226U (zh) 一种层架式光照植物生长箱
CN219421757U (zh) 一种可以拆卸的园林绿化景观树固定装置
KR200427905Y1 (ko) 신축조절되는 수목지지대
CN211960352U (zh) 一种用于大豆盆栽试验的防虫工具
CN216254285U (zh) 一种农业育苗架
CN216972135U (zh) 一种用于水体污染环境生态环境修复的园林景观池
CN204499009U (zh) 一种开放式无土栽培装置
CN213095393U (zh) 一种漂浮植物野外培养网箱
CN220987027U (zh) 一种快速组装的生态浮岛植物栽培盘
CN214430496U (zh) 一种菠萝蜜育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1221

Effective date: 2010072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504

Effective date: 20101229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10822

Effective date: 2012022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20321

Effective date: 2012081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20912

Effective date: 2012092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0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805

Effective date: 201409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