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443Y1 - height adjuster of desk or chair - Google Patents

height adjuster of desk or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443Y1
KR200394443Y1 KR20-2005-0013699U KR20050013699U KR200394443Y1 KR 200394443 Y1 KR200394443 Y1 KR 200394443Y1 KR 20050013699 U KR20050013699 U KR 20050013699U KR 200394443 Y1 KR200394443 Y1 KR 2003944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plate
desk
piece
moun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69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근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피스
Priority to KR20-2005-0013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44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4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443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8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 또는 의자의 높낮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책상의 천판 밑을 지지하는 아암과, 이 아암에서 일체로 연장되고 상측 양면이 통공으로 형성된 중공부를 갖춘 받침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의 내측에는 축에 의해 마운팅 플레이트로 작동편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래치가 현수되고, 또한 상기 중공부로 삽입되는 다리가 래치의 외주를 포함하게 하여, 그 일 측면에 형성된 걸림공으로 상기 래치의 작동편 하측부에 형성된 래치편이 끼워져 연결되게 하고, 상기 중공부의 통공에는 케이싱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연결되는 회동 원통체와 록킹 플레이트를 구비한 버튼 자물쇠를 설치한 구성으로서, 상기 통공에 고정되는 케이싱에서 회동 원통체를 90도 회동 조작함에 따라 록킹 플레이트의 양측 변이 90도 정반 변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케이싱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서 그 종단의 록킹 플레이트로 작동편의 상측부를 간섭하여 다리의 걸림공에서 래치편이 빠져나온 다리 분리 상태로 되게 하거나, 또는 마운팅 플레이트의 스토퍼 사이로 록킹 플레이트가 걸쳐져서 케이싱이 눌려지지 않게 하여 다리 분리 상태로 조작할 수 없게 보호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adjusting device of a desk or a chair, and includes a support block having an arm supporting a base plate of a desk and a hollow portion extending from the arm and having hollow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through holes. The latch is suspended in the mounting plate to the mounting plate by the shaft so as to be swingable, and the leg inserted into the hollow part includes the outer periphery of the latch. The formed latch piece is fitt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through-hole of the hollow portion is provided with a rotating cylinder and a button lock having a locking plate integrally connected with a casing therebetween, the rotating cylindrical body in the casing fixed to the through-hole By 90-degree rotation operation, both sides of the locking plate are shifted by 90 degrees. When the casing is pressed by the user, the locking plate at its end interferes with the upper part of the operating piece so that the latch piece is pulled out of the latch hole of the leg, or the locking plate is sandwiched between the stoppers of the mounting plate and the casing is pressed. It is designed to protect it from being operated so that it can not be operated with the legs separated.

Description

책상 또는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height adjuster of desk or chair} Height adjuster of desk or chair}

본 고안은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책상의 천판이나 의자 좌판의 높이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춘 책상 또는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adjus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ight adjusting device of a desk or chair having a configuration that can arbitrarily adjust the height of the top plate or the seat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종래부터 책상 또는 의자의 높이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 조절하게 되어 있는 장치는 다양한 구조로 실용화되고 있다.Conventionally, devices that adjust the height of a desk or chair to a user's body have been put into practical use in various structures.

가장 단순한 구조로 된 높낮이 장치의 일례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19991호의 도 1에 개시된 고정나사 방식으로서, 이것은 의자 다리를 두 개의 지름이 다른 파이프로 형성하고, 이들 파이프를 상호 동심상으로 끼워 맞춰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조립하고,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조절된 길이는 외측 파이프에 설치된 고정나사를 내측 파이프 외주의 길이 방향으로 단계를 이루어 뚫린 구멍으로 일치시켜 나사 고정하는 것으로 보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An example of the height device having the simplest structure is the fixing screw method disclosed in FIG. 1 of Korean Utility Model Model No. 219991, which forms a chair leg with two different diameter pipes and fits them concentrically. Assembled so that the slide can be moved, the length adjusted by the slide movement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fixing screw installed in the outer pi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pipe outer periphery to match the hole in the hole to fix the screw.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는 길이 조절 시에 고정나사를 풀고 죄어야 하는 등 번거롭게 조작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structur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cumbersome to operate such as loosening and tightening the fixing screw when adjusting the length.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구성의 높낮이 조절장치로는,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8435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나사와 이에 대응하는 나사공 대신에 외측 파이프 상단에 스토퍼 블록을 부착하고, 내측 파이프 외주에는 걸림홈을 부여한 구조가 공지되어 있다.As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configuration which can be easily operated, 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Model No. 284350, a stopper block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pipe instead of the fixing screw and the corresponding screw hole, and the inner pipe outer periphery The structure which gives a locking groove is known.

이 구조에서 상기 스토퍼 블록이 걸림홈에 걸려 제동함에 따라 길이 조절된 상태가 보전되고, 상기 스토퍼 블록을 누르면 걸림홈에서 벗어나와 길이 조정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환된다.In this structure, the stopper block is held in the locking groove, and thus the length is adjusted, and when the stopper block is pressed, the stopper block is moved out of the locking groove and the length is adjusted.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는, 단순하게 스토퍼 블록을 누르는 것으로 모든 조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이점은 있다.The height adjustment device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operated because all the operation is made by simply pressing the stopper block.

그러나 조절 시에 조작을 행하는 부분은, 아무런 보안수단 없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초 중등 학생인 경우에는 이를 장난 대상으로 삼기 십상이어서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고, 걸림홈과 스토퍼 블록 사이의 접촉 부분은 쉽게 마모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사용 수명도 짧다.However, since the part that is operated during adjustment is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any security measures, when the user is a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 it is easy to use it as a joke object, and there i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The contact part has a structure that wears easily, so the service life is short.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책상 또는 이자의 높낮이 조절장치에서 볼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작의 간편성과 조작부의 보안서, 그리고 사용 수명이 긴 견고한 구조를 갖춘 책상 또는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desk or chair having a solid structure with a simple structure of operation, a security unit of a control unit, and a long service lif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seen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height adjusting device of a desk or interest. The purpose is to.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는 본 고안은, 책상의 천판 밑을 지지하는 아암과, 이 아암에서 일체로 연장되고 상측 양면이 통공으로 형성된 중공부를 갖춘 받침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의 내측에는 축에 의해 마운팅 플레이트로 작동편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래치가 현수되고, 또한 상기 중공부로 삽입되는 다리가 래치의 외주를 포함하게 하여, 그 일 측면에 형성된 걸림공으로 상기 래치의 작동편 하측부에 형성된 래치편이 끼워져 연결되게 하고, 상기 중공부의 통공에는 케이싱을 사이에 두고 일체로 연결되는 회동 원통체와 록킹 플레이트를 구비한 버튼 자물쇠를 설치한 구성으로서, 상기 통공에 고정되는 케이싱에서 회동 원통체를 90도 회동 조작함에 따라 록킹 플레이트의 양측 변이 90도 정반 변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케이싱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서 그 종단의 록킹 플레이트로 작동편의 상측부를 간섭하여 다리의 걸림공에서 래치편이 빠져나온 다리 분리 상태로 되게 하거나, 또는 마운팅 플레이트의 스토퍼 사이로 록킹 플레이트가 걸쳐져서 케이싱이 눌려지지 않게 함으로써 다리 분리 상태로 변환할 수 없게 보호하는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mbodying the above object, the arm supporting the base plate of the desk, and a support block having a hollow portion which is integrally extended from the arm and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through holes, the inside of the hollow portion by a shaft The latch is supported by the mounting plate so that the operation piece is swingably supported, and the leg inserted into the hollow part include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atch, and the latch piec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operating piece of the latch is inserted into the latch hole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button lock having a locking cylinder and a locking plate which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asing, and the hollow part of the hollow part is connected to the hollow part, and the rotating cylindrical body is rotated 90 degrees in the casing fixed to the through part. As the opposite sides of the locking plate are shifted by 90 degrees, the casing is moved by the user. And the locking plate at its end to interfere with the upper part of the operating piece so that the latch piece escapes from the latch hole of the leg, or the locking plate is sandwiched between the stoppers of the mounting plate so that the casing is not pressed. Can be implemented by a configuration that protects it from being converted to.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도 1의 도시와 같이, 책상의 천판(2)을 밑에서 지지하는 받침 블록(4), 이 받침블록(4)의 내측으로 수납 배치되는 래치(latch: 6), 이 래치(6)의 외주를 통하여 상기 받침블록(4)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연결되는 다리(8), 그리고 상기 받침블록(4)의 상측 단으로 설치되어서 상기 래치(6)를 구속하는 버튼 자물쇠(10)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support block 4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2 of the desk from below, a latch (Latch: 6), which is disposed inwardly of the support block 4, the latch 6 A leg 8 which is slidably fitted into the support block 4 through an outer periphery thereof, and a button lock 10 which is installed as an upper end of the support block 4 to restrain the latch 6. do.

받침블록(4)은 천판(2)의 밑면을 따라 연장되고 그 폭 방향 치수에 알맞은 길이를 가지는 아암(40)과, 이 아암(40)에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중공부(42), 그리고 이 중공부(42)의 상측 양면으로 형성되어서 중공부(42)의 내측과 연통된 통공(44)을 보유하고, 또한 통공(44)의 양측에는 홈(46)이 형성되어 있어서 각각 길고 짧은 트리밍판(48)(50)을 선택하여 끼워 붙일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아암(40)의 상면에는 몇 개의 천판용 나사공(52)과, 상기 래치(6)를 부착하기 위한 래치용 나사공(54)이 마련되어 있다.The supporting block 4 has an arm 40 extending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2 and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rection dimension thereof, a hollow portion 42 extending in the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arm 40, And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42 to hold the through-hole 44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hollow portion 42, and grooves 46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hole 44, respectively, long and short The trimming plates 48 and 50 can be selected and fitted, and the top surface of the arm 40 includes several top plate screw holes 52 and a latch screw hole for attaching the latch 6 to each other. 54 is provided.

래치(6)는 상기 래치용 나사공(54)을 통해 끼워지는 고정나사(60)에 대응하는 나사공을 갖춘 브래킷(62)이 상측에 형성되고, 이 브래킷(62)의 하측 방 양쪽으로 1쌍의 스토퍼(64)가 대향 배치된 마운팅 플레이트(66), 그리고 이 마운팅 플레이트(66)의 내측에서 축(68)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힌지 되도록 설치되는 작동편(70)으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편(70)은 축(68)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72)의 탄성 작용을 받아, 그 상측부(74)가 항상 마운팅 플레이트(66)의 상측 면에서 떨어져 위치하게 되어 있고, 반대로 하측부(76)는 마운팅 플레이트(66)의 하측 면에 밀착된 상태로 놓이게 되어 있다.The latch 6 is formed with a bracket 62 having a screw hole corresponding to the set screw 60 fitted through the latch screw hole 54 at an upper side thereof. The pair of stoppers 64 are opposed to the mounting plate 66 and the operating piece 70 installed so as to be pivotally hinged by the shaft 68 inside the mounting plate 66. The piece 70 is subjected to the elastic action of the torsion spring 72 provided on the shaft 68, so that the upper portion 74 is always located awa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66, on the contrary, the lower portion 76 )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66.

한편, 작동편(70)의 하측부(76)에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66)의 뒤쪽으로 돌출되는 래치편(7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76 of the operating piece 7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latch piece 78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mounting plate 66.

이 래치편(78)은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편(70)이 일부를 타발하여 돌출되게 형성할 수도 있고, 여의치 않은 경우는 별도의 부품으로 하여 작동편(70)의 소정개소에 용접 부착할 수도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latch piece 78 may be formed by protruding a part of the actuating piece 70, or, if it is not possible, attaching i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actuating piece 70 by using a separate part. have.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래치(6)는 받침블록(4)의 중공부(42)로 수용되어서 그 내측 상단에 부착 설치되는 것이다.The latch 6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ccommodated by the hollow portion 42 of the support block 4 and is attached to the inner upper end thereof.

상기 다리(8)는 파이프상을 이루고 있고, 그 단면 형태는 래치(6)를 수용함과 동시에 받침블록(4)의 중공부(42) 내측 형태에 어울려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형태로 되어야 한다.The leg 8 has a pipe shape,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eg 8 has to be slidably movable in accord with the inner shape of the hollow part 42 of the support block 4 while accommodating the latch 6.

이 실시 예에서 다리(8)는 일측 표면이 내측으로 눌려져서 약간 돌출된 내향면(80)을 가진 직사각형태로 되어 있고, 이 내향면(80)에는 길이 방향으로 걸림공(84)을 몇 단계로 등분 배열되도록 뚫어 놓은 구조로 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eg 8 has a rectangular shape with an inward surface 80 which is protruded slightly on one side of the surface inwardly, and the inward surface 80 has several steps of engaging holes 8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structured so as to be arranged in equal parts.

상기 걸림공(84)의 배열 길이는 높이 조절 범위에 상응하는 것이고, 대체로 책상, 의자의 높이 조절은 10 ~ 15cm 범위이면 족하기 때문에 그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등분 배열하는 것이 좋다.The length of the arrangement of the locking holes 84 corresponds to the height adjustment range, and generally,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desk and chair is sufficient if it is within the range of 10 to 15 cm, and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m equally within the range.

마지막으로 버튼 자물쇠(10)는, 중심에 바닥 달린 원형공(100)이 형성되고 그 이면측에는 약간 옆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의 종단에서 대칭되는 위치로 돌기(102)가 형성된 케이싱(104)과, 중심에는 바닥 달린 육각공(106)을 보유하고 상기 원형공(100)에 회동 가능하게 수납되는 회동 원통체(108), 및 양측 변이 경사면(110)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102)에 의해 오직 90도 회동되는 록킹 플레이트(114)를 세트 스크루(112)로 상기 회동원통체(108)에 일체로 연결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Finally, the button lock 10 has a casing 104 having a projection 102 formed at a position symmetrical at the end of a flange formed with a circular circular hole 100 at the center and slightly extending laterally at its rear side, and a center thereof. Has a bottomed hexagonal hole 106 and is rotatably housed in the circular hole 100, and both sides are formed of the inclined surface 110 and both sides are formed only 90 degrees by the projection (102) The locking plate 114 to be rotate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rotation cylinder 108 with the set screw 112.

상술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조립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ssembled as shown in FIG.

즉, 래치(6)의 상측 브래킷(62)은 받침블록(4)의 중공부(42) 내측 상단으로 부착 고정됨에 따라 수직으로 현수되고, 그 주위로는 다리(8)가 삽입되어 역시 중공부(42)의 내측으로 수용됨에 따라, 그 내향면(80)에 뚫린 걸림공(82)의 일부가 상기 래치(6)의 래치편(78)에 관통되어서 상호 일체로 연결된다.That is, the upper bracket 62 of the latch 6 is vertically suspended as it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hollow part 42 of the support block 4, and the leg 8 is inserted around the hollow part 42. As received inside 42, a part of the locking hole 82 drilled in the inward surface 80 passes through the latch piece 78 of the latch 6 so as to b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또, 이러한 래치편(78)과 걸림공(82)의 연계 상태는, 작동편(70)이 토션 스프링(72)의 탄성을 받고 있음에 따라 그대로 유지 보전된다.In addition, such a latching state of the latch piece 78 and the locking hole 82 is maintained as it is, as the operating piece 70 receives the elasticity of the torsion spring 72.

버튼 자물쇠(10)는 케이싱(102)에서 연장 형성된 플랜지를 이용하여 통공(44)을 통해 삽입된 다음, 도면의 화살표 방향에 따라 홈(46)을 타고 끼워지는 짧은 트리밍판(48)에 의해 조립되고, 긴 트리밍판(50)은 반대 측으로 열린 통공(46)을 폐쇄하여 준다.The button lock 10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44 using a flange extending from the casing 102 and then assembled by a short trimming plate 48 fitted into the groove 46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the figure. The long trimming plate 50 closes the through hole 46 opened to the opposite side.

조립된 후에, 버튼 자물쇠(10)의 록킹 플레이트(114)는 작동편(70)의 상측부(74)에 대향하게 되고, 도시한 상태에서는 그 양측 변의 경사면(112)을 상기 상측부(74)에 접촉시켜 놓고 있다.After assembly, the locking plate 114 of the button lock 10 is opposed to the upper portion 74 of the operation piece 70, and in the illustrated state, the inclined surfaces 112 on both sides thereof are in the upper portion 74. In contact with

이렇게 조립된 후에, 상기 받침 블록(4)의 아암(40) 상면으로 천판(2)을 부착하면 전체로서 도 3의 도시와 같이 하나의 책상을 형성하게 된다.After the assembly, the top plate 2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rm 40 of the supporting block 4, thereby forming a single desk as shown in FIG.

본 고안이 적용된 책상은 받침블록(4)이 1조 1쌍으로 채용되어 천판(2)을 지지하고 있게 되고, 필요하다면 별도의 가방걸이(84), 수납함(86) 등이 더 부착될 수 있다.In the des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support blocks 4 are used in pairs to support the top plate 2, and if necessary, a separate bag hanger 84 and a storage box 86 may be further attached. .

천판(2)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양손으로 받침블록(4)의 양측에 돌출된 버튼 자물쇠(10)를 누른 채로 천판(2)의 위치를 높이거나 낮추는 것으로 행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op plate 2, the user can perform by raising or lowering the position of the top plate 2 while pressing the button lock 10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block 4 with both hands.

버튼 자물쇠(10)의 록킹 플레이트(114)에 형성된 경사면(112)이 도 2로 설명한 바 있듯이, 작동편(70)의 상측부(74)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버튼 자물쇠(10)의 케이싱(104)이 도 4의 도시와 같이 양측의 스토퍼(64) 사이를 아무런 간섭 없이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가벼운 힘으로도 이를 누를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inclined surface 112 formed on the locking plate 114 of the button lock 10 contacts the upper portion 74 of the operation piece 70 to the casing 104 of the button lock 10. 4 can pass through the stoppers 64 on both sides without any interference as shown in FIG. 4, so that the user can press it even with a light force.

버튼 자물쇠(10)의 케이싱(104)이, 도 5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으로 눌려지면, 작동편(70)의 상측부(74)는 축(68)을 지점으로 하여 토션 스프링(72)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강제 이동되고, 반대로 하측부(76)의 래치편(78)은 걸림공(82)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어, 결과적으로 받침블록(4)에서 다리(8)가 분리된 상태로 된다. When the casing 104 of the button lock 10 is pressed inward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5, the upper portion 74 of the operating piece 70 has the shaft 68 as the point to the torsion spring 72. The latch piece 78 of the lower portion 76 is forced out of the locking hole 82, resulting in a state in which the leg 8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block 4 in a state where the latch piece 78 of the lower portion 76 is displaced. .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천판(2)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눌러 낮춰 주는 것으로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user can arbitrarily adjust the height by lifting or lowering the top plate 2.

높낮이 조절을 완료하고 나면, 육모 렌치와 같은 도구를 바닥 달린 육각공(106)에 끼우고 90도 회동시키면, 도 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 원통체(108)가 90도 선회되면서 그 종단에 부착된 록킹 플레이트(114)의 경사면(110)을 대향하는 양 스토퍼(64)에 접촉시켜 놓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버튼 자물쇠(10)를 눌러도 록킹 플레이트(114)의 양 경사면(110)이 스토퍼(64) 사이로 걸쳐져 있음에 따라 눌려지지 않게 된다.After the height adjustment is completed, a tool such as a hair growth wrench is inserted into the bottomed hexagonal hole 106 and rotated 90 degrees. As shown in FIG. 6, the rotating cylinder 108 is rotated 90 degrees and attached to the end thereof. The inclined surface 110 of the locking plate 11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pposite stoppers 64. In this state, even if the button lock 10 is pressed, the two inclined surfaces 110 of the locking plate 114 are prevented from being pressed by the stopper 64.

따라서 사용자가 초 중등 학생일 때에도, 버튼 자물쇠(10)의 조작을 장난의 대상으로 삼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even when the user is a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 the operation of the button lock 10 cannot be made a joke.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이 책상에 적용된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의자에도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desk,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a chair.

도 7은 본 고안을 의자에 적용한 예를 보여 주는 사시도로서, 받침블록(4)의 아암(40)을 의자의 좌판에 맞춰 다소 짧게 형성한 것 외에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hair, and basically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xcept that the arm 40 of the support block 4 is formed to be shorter in accordance with the seat of the chair. It can be see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받침블록이 외부로 돌출된 버튼 자물쇠를 단지 눌러 주는 간편한 조작으로 책상 또는 의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use becaus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desk or chair by a simple operation of simply pressing the button lock protruding outward.

또, 높이 조절 후에는 버튼 자물쇠를 회동시켜서 눌려지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조절된 상태를 안전하고 확실하게 보전할 수 있다.Moreover, after height adjustment, the button lock can be rotated so that it cannot be pressed, and the adjusted state can be preserved safely and reliably.

게다가 다리를 받침블록의 내부에 부착되는 래치의 외주로 끼워 조립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받침블록의 중공부와 다리 사이의 연결 상태도 측방향으로의 흔들림이 전혀 없는 견고한 상태로 된다.In addition, since the legs are assembled in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latch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ing block,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hollow portion and the legs of the supporting block also becomes a solid state without any lateral shaking.

그리고 다리의 걸림공으로 래치의 래치편을 출입시켜 받침블록의 중공부와 다리 사이를 연결 및 분리하게 한 것이므로 접촉부에서 마모가 발생하지 않아 고장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atch piece of the latch is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latching hole of the leg to connect and disconnect the hollow part of the support block and the leg, wear does not occur at the contact part, and thus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failure.

도 1은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주요 구성부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assembly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 장치를 책상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pplying the present device to a desk.

도 4는 본 고안 장치의 록킹 해제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Figure 4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unlocked state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 장치의 록킹 해제 작동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nlocking operation example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 장치의 록킹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Figure 6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cked state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 장치를 의자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device is applied to a chai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천판 4: 받침블록2: top plate 4: support block

6: 래치 8: 다리6: latch 8: legs

10: 버튼 자물쇠 40: 아암10: button lock 40: arm

42: 중공부 44: 통공42: hollow portion 44: through hole

46: 홈 48: 짧은 트리밍판46: groove 48: short trim plate

50: 긴 트리밍판 52: 천판용 나사공50: long trim plate 52: top plate screw hole

54: 래치용 나사공 60: 고정나사54: Latch screw hole 60: Set screw

62: 브래킷 64: 스토퍼62: bracket 64: stopper

66: 마운팅 플레이트 68: 축66: mounting plate 68: shaft

70: 작동편 72: 토션 스프링70: operating piece 72: torsion spring

74: 상측부 76: 하측부74: upper side 76: lower side

78: 래치편 80: 내향면78: latch piece 80: inward facing

82: 걸림공 100: 바닥 달린 원형공82: hook hole 100: round hole with a bottom

102: 돌기 104: 케이싱102: projection 104: casing

106: 바닥 달린 육각공 108: 원통체106: hexagonal hole with a bottom 108: cylindrical body

110: 경사면 112: 세트 스크루110: slope 112: set screw

114: 록킹 플레이트114: locking plate

Claims (3)

책상의 천판 또는 의자의 좌판과 이를 지지하는 다리 사이를 신축 조절하게 되어 있는 책상 또는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In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desk or chair is adapted to stretch between the top plate of the desk or the seat of the chair and the legs supporting it, 상기 천판 또는 좌판을 지지하는 아암에서 일체로 연장되고 상측부에 양면으로 열려진 통공이 형성된 중공부를 갖춘 받침 블록; A support block having a hollow part integrally extending from an arm supporting the top plate or the seat plate and having a through hole open on both sides at an upper side thereof; 브래킷에 의해 상기 중공부로 부착 고정되는 마운팅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이 마운팅 플레이트의 내측에는 토션 스프링이 설치된 축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서 그 상측부가 상기 토션 스프링에 탄압된 채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스토퍼 사이로 위치함과 아울러 하측부에 설치된 래치편을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후측으로 돌출 연장시키게 되는 작동편을 갖춘 래치; A mounting plate attached and fixed to the hollow portion by a bracket, the inner side of the mounting plate being pivotably supported by a shaft provided with a torsion spring, the upper side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stoppers of the mounting plate while being pressed against the torsion spring; And a latch having an actuating piece for protruding and extending the latch piec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o the rear side of the mounting plate. 상기 래치의 외주를 둘러 싸면서 상기 받침 블록의 중공부로 끼워지고 길이 방향에 따라 등간격으로 뚫린 걸림공을 상기 래치편에 끼워져 연결되는 다리;A leg which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art of the supporting block whil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atch and is inserted into the latch piece by a locking hole drill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받침 블록의 통공으로 삽입 배치되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이 케이싱의 중심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싱의 이면측에 배치되는 록킹 플레이트와 일체로 연결되는 회동원통체가 상기 케이싱의 이면측 플랜지에 대칭 형성된 돌기에 의해 90도 제한 회동하게 되어 있는 버튼 자물쇠로 이루어지고, 상기 록킹 플레이트는 버튼 자물쇠의 회동원통체에 의해 90도 제한 회동되어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스토퍼 사이를 통과하여 작동편의 상측부에 접촉될 수 있거나, 상기 스토퍼 사이로 가로 걸쳐져 정지상으로 배치되는 구성을 갖춘 책상 또는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A rotating cylind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ing block and is connected to the locking plate which is received at the center of the casing and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cking plate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casing. It consists of a button lock which is to be rotated 90 degrees by the lock plate, the locking plate can be rotated 90 degrees by the rotating cylinder of the button lock can pass through the stopper of the mounting plate to contact the upper side of the working piec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desk or chair having a configuration across the stopper to be disposed in a stationary pha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의 래치편은 별도로 성형 되어 작동편의 소정개소에 용접 부착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또는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a desk or chai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tch piece of the latch is formed separately and weld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peration pie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일측 표면이 내측으로 눌려져서 약간 돌출된 내향면을 가진 단면을 보유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또는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leg has a cross section having an inward surface slightly protruded by pressing one side surface inward.
KR20-2005-0013699U 2005-05-16 2005-05-16 height adjuster of desk or chair KR20039444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699U KR200394443Y1 (en) 2005-05-16 2005-05-16 height adjuster of desk or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699U KR200394443Y1 (en) 2005-05-16 2005-05-16 height adjuster of desk or 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443Y1 true KR200394443Y1 (en) 2005-08-31

Family

ID=43695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699U KR200394443Y1 (en) 2005-05-16 2005-05-16 height adjuster of desk or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44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8766B2 (en) Armrest device
US5522527A (en) Beverage container fixing device for bicycle
US6660949B2 (en) Safety switch actuator
CA2472911A1 (en) Container with elastomeric lid spring
US7748782B2 (en) Tilt adjustment mechanism for child safety seat
KR970062362A (en) Fixture
US6419048B1 (en) Adjustable supports
US5927810A (en) Adjustable musician&#39;s chair
KR200394443Y1 (en) height adjuster of desk or chair
JP3698192B2 (en) Adjustable feet for equipment
CA2045213C (en) Setting-up apparatus of over-centering coil spring
JP4495076B2 (en) How to hang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KR100361156B1 (en) A Movable Leg for the Collapsible Table
JP2018111958A (en) Hook device for shower head
JP3799345B2 (en) Traveling body
JPH1042999A (en) Armrest structure for chair
KR100376254B1 (en) Apparatus for rocking a sliding door
JP6125889B2 (en) Door stop device
JP5837803B2 (en) Armrest device
KR200445740Y1 (en) A physical strength machine
JP3373485B2 (en) Recessed cover device having hook receiving bar for hanging manhole cover
JP3956766B2 (en) Emergency stop switch
JP3711235B2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4495101B2 (en) Opening and closing body device
JPS63303298A (en) Camera suppo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