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700Y1 -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 - Google Patents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700Y1
KR200393700Y1 KR20-2005-0016467U KR20050016467U KR200393700Y1 KR 200393700 Y1 KR200393700 Y1 KR 200393700Y1 KR 20050016467 U KR20050016467 U KR 20050016467U KR 200393700 Y1 KR200393700 Y1 KR 2003937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appa
blocking
vein
water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4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복
Original Assignee
이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복 filed Critical 이경복
Priority to KR20-2005-00164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7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7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7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20Mica; Vermiculit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01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23/02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with sensing element expanding and contracting in response to changes of temperature
    • G05D23/08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with sensing element expanding and contracting in response to changes of temperature with bimetallic el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맥 차단 흙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람에게 수맥 및 전자파의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온열 기능이 있어 각종 통증 등을 완화시키는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의한 해결 방법의 요지는 동일 평면으로서, 다수의 지지각(支持脚)(102)과, 지지각(102)의 상부에 설치된 받침대(104)와, 받침대(104) 위에 위치된 외피(111), 외형틀(112), 수맥 차단용 알루미나(113), 초장파 발생부(130), 방습 페이퍼(114), 우레탄(115), 절연지(116), 발열용 탄소 히터(117), 절연지(118), 수맥 차단용 카파 네트(119), 수맥 및 전자파 차단용 카파 플레이트(120), 바이오진(121) 및 흙층(122)이 순차 적층된 상판(110)과, 전자파 흡수부(140)를 포함하고, 위의 수맥 차단용 카파 네트(119)는 다수의 가로 방향 카파선(119a)과, 다수의 세로 방향 카파선(119b)과, 가로 방향 카파선(119a) 또는 세로 방향 카파선(119b)에 연결된 동시에 전원 플러그(107)에 구비된 접지 단자(107a)와 연결된 접지선(108)으로 이루어진 수맥 차단 흙 침대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Clay bed for isolating water vein having copper net}
본 고안은 수맥 차단 흙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사람에게 수맥 및 전자파의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온열 기능이 있어 각종 통증 등을 완화시키는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침대(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1-1선 확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침대(10')는 상부가 개구된 대략 육면체 형태의 받침대(2')와, 상기 받침대(2')를 일정 높이로 지지시켜 줄 수 있도록 받침대(2')의 네모서리에서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다수의 지지각(支持脚)(3')과, 상기 받침대(2')의 상부에 다수의 스프링(5')이 위치되고, 상기 스프링(5') 상부에 일정 두께의 탄성섬유(6')가 위치되며, 상기 스프링(5') 및 탄성섬유(6')를 감싸는 외피(7')로, 사람이 눕거나 착석할 수 있도록 된 상판(8')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지표면의 지하에는 많은 지하수가 흐르는데 이러한 지하수에 의해 복잡한 파형의 수맥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수맥은 사람에게 특히 나쁜 영향을 미치는데, 그 이유는 지하수에 용해된 각종 광물질이 모여서 자기량에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즉, 지자력과 자전류에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그 위에 있는 생명체에 전기적 영향력을 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맥은 엄청난 파괴력을 가지고 있어, 사람이나 가축 그리고 건축물과 정밀기계 등에 피해를 주며 초고층 건물의 상층부에까지 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생명체의 경우 움직이는 중에는 그 영향이 거의 없으나 취침 중에서는 수맥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침대는 단순히 지지판 위에 스프링, 탄성섬유 및 외피로 이루어진 상판이 위치되어 구성됨으로써, 지하로부터 발생되는 수맥의 악환경에 사람이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침대 하부에 수맥이 흐를 경우, 그 위의 사람은 수맥의 악영향을 그대로 받아서 통증의 회복이 늦어지거나, 약물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거나, 또는 오히려 통증 등이 악화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더불어, 종래의 침대는 온열 기능이 없어 그 위의 사람에게 최적의 온도 환경을 제공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각종 건강에 좋은 기능적 요소가 전혀 없는 단점도 있다.
물론, 종래에도 온열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 침대 위에 단순히 전기장판 등을 올려놓고 그 위에 사람이 누워있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 전기장판에서 다량의 전자파가 발생되어 그 위의 사람에게 나른함, 불면증, 신경 예민, 두통, 숙면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자파는 백혈병, 임파암, 뇌암, 중추신경계암, 유방암, 치매, 유산 및 기형아 출산 등 특히 임산부에게 좋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불어, 종래의 침대는 원적외선이라든가 초장파등 사람의 건강 회복에 도움이 되는 기능이 전혀 없는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람에게 수맥 및 전자파의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온열 기능이 있어 각종 통증 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의 일예로써, 본 고안은 동일 평면으로서,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해당되는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지지각(支持脚)과, 상기 지지각의 상부에 설치된 동시에, 상부가 개구(開口)된 육면체 형태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위에 위치되어 있되, 하부에서부터 외피, 외형틀, 수맥 차단용 알루미나,초장파 발생부, 페이퍼, 우레탄, 절연지, 발열용 탄소 히터, 절연지, 수맥 차단용 카파 네트, 수맥 및 전자파 차단용 카파 플레이트, 바이오진 및 흙층이 순차 적층되어 형성된 상판과,상기 상판의 수맥 및 전자파 차단용 카파 플레이트에 도선으로 연결되어 전자파를 흡수하여 제거하는 전자파 흡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맥 차단용 카파 네트는 가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고, 세로 방향으로 소정 피치를 가지며 배열된 다수의 가로 방향 카파선과, 상기 가로 방향 카파선에 대하여 교차하는 세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고, 가로 방향으로 소정 피치를 가지며 배열된 다수의 세로 방향 카파선과, 상기 가로 방향 카파선 또는 세로 방향 카파선에 연결된 동시에 전원 플러그에 구비된 접지 단자와 연결된 접지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판의 일측인 외형틀에는 초장파 발생부 및 발열용 탄소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가 더 부착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해서는 상기 수맥 차단용 카파 네트와 플러그에 구비된 접지 단자를 상호 연결하는 접지선이 바이패스(bypass)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의 흙층은 적갈색 점토 60중량%, 이산화규소(실리카) 15중량%, 생광석파우다(흑운모) 10중량%, 증점제 7중량%, 펄프 3중량%, 석고 무수물 5중량%가 배합되어 압축 성형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파 흡수부는 전원선에 저항(R), 콘덴서(C) 및 인덕터(L)가 병렬로 연결된 채 일단이 상기 수맥 및 전자파 차단용 카파 플레이트에 도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온도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바이메탈이 연결되고, 또한 온도 감지를 위한 온도 센서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고안에 의한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에 의하면, 상판의 구성 요소중에 알루미나, 카파 네트 및 카파 플레이트가 포함되어, 지하로부터 발생되는 수맥파를 완벽하게 차단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수맥파를 세개의 부재(알루미나, 카파 네트 및 카파 플레이트)가 차단함으로써, 수맥 차단 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더욱이 본 고안은 다수의 가로 방향 카파선 및 다수의 세로 방향 카파선으로 이루어진 카파 네트가 상기 알루미나와 카파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저가로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효율적으로 수맥뿐만 아니라 전자파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탄소 히터가 장착됨으로써, 흙 침대 위의 사람에게 온열을 제공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고, 약물이 신속히 작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전자파 흡수부가 설치됨으로써, 탄소 히터 등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전자파를 더욱 효율적으로 흡수 및 제거하여 사람에게 전자파가 방사되지 않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초장파 발생부가 장착됨으로써, 초장파가 사람에게 직접 작용하여 물리 치료 기능을 더할뿐만 아니라, 건강에 이로운 환경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3-3선을 확대 도시한 도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100)는 다수의 지지각(支持脚)(102), 상기 지지각(102)의 상부에 위치된 받침대(104), 상기 받침대(104)의 상부에 위치된 상판(110), 상기 상판(110)에 연결되어 전자파를 차단하는 전자파 흡수부(140)(도 5 참조)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다수의 지지각(102)은 동일 평면으로서,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해당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은 지면(방바닥)에 접촉되어 상술한 받침대(104), 상판(110) 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어서, 상기 받침대(104)는 상기 지지각(102)의 상부에 설치된 동시에, 상부가 개구(開口)된 육면체 형태를 한다. 이러한 상기 받침대(104) 및 지지각(102)은 통상의 목재, 금속, 합성수지재 또는 이들의 등가물로 형성 가능하며,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상기 상판(110)은 상기 받침대(104)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판(110)은 하부에서부터 천연가죽 또는 합성 가죽으로 이루어진 외피(111), 원목으로서 보온성이 우수한 외형틀(112), 수맥 차단용 알루미나(113), 초장파 발생부(130), 습기를 차폐하는 방습페이퍼(114), 보온성이 우수한 우레탄(115),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절연지(116), 발열용 탄소 히터(117),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절연지(118), 수맥 차단용 카파 네트(119), 수맥 및 전자파차단용 카파 플레이트(120),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바이오진(121) 및 흙층(122)이 순차 적층되어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초장파 발생부(130)는 선택 사항으로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장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형틀(112)은 상부가 개방된 대략 육면체 형태를 하며, 상기 외피(111)는 상기 외형틀(112)을 감싸는 형태를 한다. 또한, 상술한 나머지 구성 요소는 모두 상기 외형틀(112) 내측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를 한다.
더불어, 상기 상판(110)의 흙층(122)은 적갈색 점토 60중량%, 이산화규소(실리카) 15중량%, 생광석파우다(흑운모) 10중량%, 증점제 7중량%, 펄프 3중량%, 석고 무수물 5중량%가 배합되어 압출 성형된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조합 비율로 점토, 이산화규소, 생광석파우다, 증점제, 펄프 및 석고 무수물을 배합 및 믹싱한 후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소정 시간동안 진공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 후, 상기 배합물을 압축 성형하고 이어서, 60~70℃에서 대략 7일간 양생한다. 이어서, 마감재 처리를 수행하고, 그 표면에 UV 코팅을 수행한 후, 60~70℃에서 대략 1일간 건조시킨다. 이어서, 소정 형태로 재단하고 포장함으로써, 소정 형태의 흙층(122)이 제조된다. 더불어, 필요에 따라 상기 흙층의 제조시 옥과 맥반석 세라믹에 게르마늄을 함유한 견운모와 도자기의 원료인 백토, 원적외선 방사와 탈취 효과가 우수한 일라이트, 그리고 광촉매 효과를 더하기 위해 산화티타늄을 결합한 바이오 세라믹이 더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흙층(122)은 적외선 중에서도 인체에 가장 유익한 파장(8~14㎛)을 갖고 있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데, 이는 피부의 심층(4~5cm깊이)까지 침달하여 세포를 공진시켜 체온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이때 체온이 상승하면서 미세혈관이 확장되고 혈액순환이 활성화 되면서 신진대사가 강화되고 조직재생력이 증가하면서 성장촉진에 현저한 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많은 땀이 방출되면서 얻어지는 대발한(大發汗) 효과로 인해 각종 유해성 물질, 노폐물, 중금속류가 배출되어 산성화 된 우리의 몸을 건강한 알카리성 체질로 개선시켜주는 것은 물론 육체와 정신의 건강을 이완시켜 주기 때문에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스트레스 해소에도 큰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흙층(122)의 제조시 바이오 세라믹을 더 첨가하게 되면, 예를 들어 새 아파트 입주시 갖게 되는 시멘트 독과 각종 유해 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바이오진(121)은 각종 질토를 1,200 ~ 1,700℃의 열로 가열하여 완성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바이오진(121) 역시 상기 발열용 탄소 히터(117)의 동작에 의해 소정 온도로 가열되면,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판(110)의 상부 일측에는 탄소 히터(117) 및 초장파 발생부(130)에 전원을 공급하고, 전자파를 흡수 제거하는 제어부(106)가 설치되어 있고, 그 측부에는 상기 상판(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 플러그(107)가 연결되어 있다. 물론, 사용자는 이러한 제어부(106)를 조작함으로써, 선택적으로 탄소 히터(117) 또는/및 초장파 발생부(13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 플러그(107)는 접지 단자(107a)와 전원 단자(107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원 플러그(107)가 결합되는 전원 콘센트(109) 역시 접지 단자(107a)가 접촉되는 접지 접촉 단자(109a) 및 전원 단자(107b)가 결합되는 전원 결합홀(109b)이 형성되어 있다. 하기하겠지만, 상기 전원 플러그(107)의 접지 단자(107a)는 전원 콘센트(109)의 접지 접촉 단자(109a)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판(110)의 구성 요소중 카파 네트(119)를 대지에 직접 접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100)에서 카파 네트(119), 탄소 히터(117), 전자파 흡수부(140) 및 초장파 발생부(130) 등의 전기적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100)에서 카파 네트(119) 및 그 주변 구조만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100)에서 탄소 히터(117) 및 그 주변 구조만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100)에서 초장파 발생부(130) 및 그 주변 구조만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전자파 흡수부(140)는 상판(110)의 구성 요소중 카파 네트(119) 위에 설치된 수맥 및 전자파 차단용 카파 플레이트(120)에 도선(141)이 연결되어 있고, 이 도선(141)은 병렬 연결된 저항(R), 컨덴서(C) 및 인덕터(L)에 연결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저항(R), 컨덴서(C) 및 인덕터(L)의 일단은 교류 전원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접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탄소 히터(117) 등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전자파는 상기 수맥 및 전자파 차단 카파 플레이트(120) 및 도선(141)을 따라 전자파 흡수부(140)에 전달되고, 이어서 상기 전자파 흡수부(140)의 컨덴서(C) 및 접지를 통해 흡수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파 흡수부(140)는 탄소 히터(117)의 작동중에 발생하는 각종 전자파를 흡수 및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카파 네트(119)는 단순히 제어부(106)를 바이패스(bypass)하여 대지에 접지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파 네트(119)는 가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고, 세로 방향으로 소정 피치를 가지며 배열된 다수의 가로 방향 카파선(119a)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파 네트(119)는 상기 가로 방향 카파선(119a)에 대하여 교차하는 세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고, 가로 방향으로 소정 피치를 가지며 배열된 다수의 세로 방향 카파선(119b)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비록 상기 가로 방향 카파선(119a) 및 세로 방향 카파선(119b)이 대략 "+"자 형태의 교차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교차 형태로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물론, 그 가로 방향 카파선(119a) 및 세로 방향 카파선(119b)의 피치도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더불어, 이러한 카파 네트(119)의 전체 넓이는 대략 상기 흙층(122)의 넓이와 같게 형성됨이 좋다. 또한, 상기 가로 방향 카파선(119a) 또는 세로 방향 카파선(119b)에는 접지선(108)이 더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접지선(108)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06)를 바이패스하여 전원 플러그(107)의 접지 단자(107a)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카파 네트(119)는 자연스럽게 전원 플러그(107)를 통하여 전원 콘센트(109)의 접지 접촉 단자(109a)에 접촉된다. 물론, 상기 접지 접촉 단자(109a)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대지에 접지된다. 도면중 미설 부호 109c는 전원선이다.
이어서, 상기 탄소 히터(117)는 제어부(106)를 통해 교류 전원에 연결되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 히터(117)는 바이베탈(124)을 통하여 제어기(106_1)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어기(106_1)에는 온도센서(125)가 연결되어 탄소 히터(117)의 과열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6)에는 다수의 탄소 히터(117)가 직접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다수의 탄소 히터(117)는 등간격으로 다수가 배열되어 있고, 각 탄소 히터(117)의 양단에는 카파 패턴(123)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카파 패턴(123)에 전원이 인가될 경우, 상기 탄소 히터(117)에서 일정한 주울열이 발생하게 되어 있다. 물론, 상기 탄소 히터(117) 및 카파 패턴(123)의 상, 하층에는 누설 전류를 방지하기 위해 절연지(116,118)가 적층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106)에는 온도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바이메탈(124)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상판(110)의 온도 감지를 위해 온도 센서(1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온도 센서(125)는 통상의 써미스터 또는 이의 등가물이 가능하며, 여기서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상기 교류 전원에는 직류 발생기(150)(제어부(106) 내측에 설치됨)가 연결되어 있고, 이 직류 발생기(150)에 의한 직류 전원은 상기 제어기(106_1)에 공급된다.(도 5 참조)
이어서, 상기 초장파 발생부(130)는 제어부(106)를 통해 교류 전원에 연결되어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영구자석(131)이 배열되어 있고, 상기 각 영구자석(131)은 초장파 코일(132)로 감싸여져 있으며, 이러한 각 초장파 코일(132)들은 직렬로 제어부(106)에 연결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106)는 교류 전원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초장파 발생부(130)는 제어부(106)를 통해 교류 전원에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비교적 긴 길이의 파장을 갖는 초장파가 발생된다.
이러한 초장파 발생부(130)는 교번 자장 발생부라고도 할 수 있는데, 시간과 더불어 자장의 강도가 일정 주기로 변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어부(106)를 통해서는 전압이 낮추워진 교류 전원이 입력됨으로써, 상기 초장파 발생부(130)에는 N극과 S극이 1초에 50~60회 속도로 바뀌면서 초장파가 발생한다. 이는 유리,섬유,목제,돌,고무등 모든것을 관통함으로써, 인체 깊숙히 골수속의 신경에도 작용하는 특수성이 있다. 또한 인체조직의 탄소, 산소, 질소, 망간, 철의 자화작용을 도와, 체내의 세포를 자극해 세포의 재생력을 강화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100)는 상판(110)에 알루미나(113), 카파 네트(119) 및 카파 플레이트(120)가 층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판(110) 위의 사람에게 각종 지하의 수맥에 의한 악영향을 더욱 효율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카파 네트(119)는 접지선(108), 전원 플러그(107)의 접지 단자(107a) 및 전원 콘센트(109)의 접지 접촉 단자(109a)를 통하여 대지에 직접 접지됨으로써, 수맥파 뿐만 아니라 각종 전자파도 효율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알루미나(113) 및 카파 플레이트(120)도 도선(141)을 통하여 전자파 흡수부(140)에 연결됨으로써, 탄소 히터(117)등으로부터 발생하는 각종 전자파를 흡수 및 제거하여, 환자에게 해로운 전자파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100)는 제어부(106)에 연결된 탄소 히터(117)에 의해 열이 발생됨으로써, 바이오진(121) 및 흙층(122)이 가열되어 그 위의 사람에게 온열 효과를 주는 동시에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또한 허리를 곧게 펴준다.
더불어, 이러한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100)는 초장파 발생부(130)가 설치되어 사람에게 초장파를 직접 방사하고, 물리 치료 기능을 수행하며, 혈액순환 등을 활성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고안에 의한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에 의하면, 상판의 구성 요소중에 알루미나, 카파 네트 및 카파 플레이트가 포함되어, 지하로부터 발생되는 수맥을 완벽하게 차단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수맥을 세개의 부재(알루미나, 카파 네트 및 카파 플레이트)가 차단함으로써, 수맥 차단 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더욱이 본 고안은 다수의 가로 방향 카파선 및 다수의 세로 방향 카파선으로 이루어진 카파 네트가 상기 알루미나와 카파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저가인 동시에 효율적으로 수맥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탄소 히터가 장착됨으로써, 흙 침대 위의 사람에게 온열을 제공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고, 약물이 신속히 작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전자파 흡수부가 설치됨으로써, 탄소 히터 등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전자파를 흡수 및 제거하여 사람에게 전자파가 방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초장파 발생부가 장착됨으로써, 초장파가 사람에게 직접 작용하여 물리 치료 기능을 더할뿐만 아니라, 건강에 이로운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1-1선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3-3선을 확대 도시한 도식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의 전기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에서 카파 네트 및 그 주변 구조만을 도시한 도식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에서 탄소 히터 및 그 주변 구조만을 도시한 도식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에서 초장파 발생부 및 그 주변 구조만을 도시한 도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흙 침대 102; 지지각
104; 받침대 106; 제어부
107; 전원 플러그 107a; 접지 단자
107b; 전원 단자 108; 접지선
109; 전원 콘센트 109a; 접지 접촉 단자
109b; 전원 결합홀 110; 상판
111; 외피 112; 외형틀
113; 알루미나 114; 방습페이퍼
115; 우레탄 116; 절연지
117; 탄소 히터 118; 절연지
119; 카파 네트 120; 카파 플레이트
121; 바이오진 130; 초장파 발생부
131; 영구자석 132; 초장파 코일
122; 흙층 140; 전자파 흡수부
141; 도선 150; 직류 발생기

Claims (5)

  1. 동일 평면으로서,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해당되는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지지각(支持脚)(102)과,
    상기 지지각(102)의 상부에 설치된 동시에, 상부가 개구(開口)된 육면체 형태의 받침대(104)와,
    상기 받침대(104) 위에 위치되어 있되, 하부에서부터 외피(111), 외형틀(112), 수맥 차단용 알루미나(113), 초장파 발생부(130), 방습 페이퍼(114), 우레탄(115), 절연지(116), 발열용 탄소 히터(117), 절연지(118), 수맥 차단용 카파 네트(119), 수맥 및 전자파 차단용 카파 플레이트(120), 바이오진(121) 및 흙층(122)이 순차 적층되어 형성된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의 수맥 및 전자파 차단용 카파 플레이트(120)에 도선으로 연결되어 전자파를 흡수하여 제거하는 전자파 흡수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수맥 차단용 카파 네트(119)는 가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고, 세로 방향으로 소정 피치를 가지며 배열된 다수의 가로 방향 카파선(119a)과, 상기 가로 방향 카파선(119a)에 대하여 교차하는 세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고, 가로 방향으로 소정 피치를 가지며 배열된 다수의 세로 방향 카파선(119b)과, 상기 가로 방향 카파선(119a) 또는 세로 방향 카파선(119b)에 연결된 동시에 전원 플러그(107)에 구비된 접지 단자(107a)와 연결된 접지선(10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맥 차단 흙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10)의 일측인 외형틀(112)에는 초장파 발생부(130) 및 발열용 탄소 히터(117)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106)가 더 부착되고, 상기 제어부(106)를 통해서는 상기 수맥 차단용 카파 네트(119)와 플러그(107)에 구비된 접지 단자(107a)를 상호 연결하는 접지선(108)이 바이패스(bypass)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맥 차단 흙 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10)의 흙층(122)은 적갈색 점토 60중량%, 이산화규소(실리카) 15중량%, 생광석파우다(흑운모) 10중량%, 증점제 7중량%, 펄프 3중량%, 석고 무수물 5중량%가 배합되어 압축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맥 차단 흙 침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흡수부(140)는 전원선에 저항(R), 콘덴서(C) 및 인덕터(L)가 병렬로 연결된 채 일단이 상기 수맥 및 전자파 차단용 카파 플레이트(120)에 도선(141)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맥 차단 흙 침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6)에는 온도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바이메탈(124)이 연결되고, 또한 온도 감지를 위한 온도 센서(125)가 더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맥 차단 흙 침대.
KR20-2005-0016467U 2005-06-09 2005-06-09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 KR2003937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467U KR200393700Y1 (ko) 2005-06-09 2005-06-09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467U KR200393700Y1 (ko) 2005-06-09 2005-06-09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9226A Division KR100649480B1 (ko) 2005-06-09 2005-06-09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700Y1 true KR200393700Y1 (ko) 2005-08-30

Family

ID=4369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467U KR200393700Y1 (ko) 2005-06-09 2005-06-09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7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322B1 (ko) 2006-06-08 2007-06-13 조성완 초장파발생기의 과열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322B1 (ko) 2006-06-08 2007-06-13 조성완 초장파발생기의 과열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1601B1 (ko) 무전자파 은 돌 지압 침대
US6899725B2 (en) Bed for diagnosis having functions of blocking water vein and electromagnetic wave and generating ultra-long wave
KR200393700Y1 (ko)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
KR100649480B1 (ko)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흙 침대
KR100495996B1 (ko) 수맥 차단 황토 침대
KR100649481B1 (ko)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돌 침대
KR200385634Y1 (ko) 수맥 및 전자파 차단용 황토소파
KR200385632Y1 (ko) 수맥 및 전자파 차단용 옥돌소파
KR100596470B1 (ko) 은 나노 무전자파 수맥차단 및 초장파발생 기능의 은온돌침대
KR200316819Y1 (ko) 수맥 차단 황토 침대
KR100495993B1 (ko) 수맥 차단 돌 침대
KR200393701Y1 (ko) 카파 네트를 갖는 수맥 차단 돌 침대
KR100525151B1 (ko) 수맥 및 전자파를 차단하고 초장파 발생 기능을 갖는 듀얼침대
KR200320984Y1 (ko) 수맥 및 전자파를 차단하고 초장파 발생 기능을 갖는듀얼 침대
KR100520001B1 (ko) 은나노 무전자파 수맥 차단 돌 침대
KR200316818Y1 (ko) 수맥 차단 돌 침대
KR200340134Y1 (ko) 동서양의 침대 기능을 갖는 부부용 침대
KR100843000B1 (ko) 음이온 발생 침대형 맥반석 소파
KR200395586Y1 (ko) 금나노 무전자파 수맥 차단 돌 침대
KR100520000B1 (ko) 금나노 무전자파 수맥 차단 돌 침대
KR100495997B1 (ko) 수맥 및 전자파를 차단하고 초장파 발생 기능을 갖는진찰용 침대
KR200395584Y1 (ko) 은나노 무전자파 수맥 차단 돌 침대
KR100842999B1 (ko) 음이온 발생 침대형 황토 소파
KR100495994B1 (ko) 수맥차단 및 초장파 발생 기능을 갖는 진찰용 침대
KR200340133Y1 (ko)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갖는 라텍스 돌 듀얼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